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단계 공정으로 구성된 L-메치오닌 및 유기산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2단계 공정은 1단계로서 L-메치오닌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에 의하여 L-메치오닌 전구체를 생산하는 단계; 및 2단계로서 상기 단계로 생산된 L-메치오닌 전구체를 효소 반응에 의하여 L-메치오닌과 유기산을 생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단계 공정은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를 제작하고, 이 균주를 이용한 발효법으로 L-메치오닌 전구체를 배양액에 축적하는 공정이다. 이 때,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균주는 본 발명에 의하여 고안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균주 및 균주의 제조 방법도 포함된다.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는 하기의 화학식;
으로 구성된 O-아실호모세린(O-acyl homoserine) 그룹에 해당하며, 여기에서 R 그룹은 C, H, O, N 및 기타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로서 최대 15개의 탄소 분자를 포함하는 그룹이다. 예를 들어, 상기 O-아실호모세린 그룹은 O-아세틸 호모세린 (O-Acetyl homoserine), O-숙시닐 호모세린 (O-succinyl homoserine), 프로피오닐 호모세린 (Propionyl homoserine), 아세토아세틸 호모세린 (Acetoacetyl homoserine ), 쿠마로일 호모세린 (Coumaroyl homoserine), 말로닐 호모세린 (Malonyl homoserine), 하이드록시메틸글루타릴 호모세린 (Hydroxymethylglutaryl homoserine), 피메릴 호모세린 (Pimelylhomoserine)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O-아세틸 호모세린 (O-Acetyl homoserine)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 (O-succinyl homoserine)이다.
본 발명에서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란 L-메치오닌 전구체를 생물체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원핵 및 진핵 미생물 균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에 의하여 L-메치오닌 전구체를 축적할 수 있는 미생물 균주를 말한다. 예를 들어,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어위니아(Erwin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a)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렙토스피라(Leptospira) 속, 살모넬라(Salmonellar) 속, 브레비박테리아(Brevibacteria) 속, 하이포모나스(Hypomononas) 속, 크로모박테리움(Chromobacterium) 속 및 노카디아(Norcardia) 속 또는 곰팡이류(fungi) 또는 효모류(yeast)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O-숙시닐 호모세린을 생산하기 위하여 슈도모나스속, 노카디아속, 에스케리키아 속의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O-아세틸 호모세린을 생산하기 위하여 에스케리키아속, 코리네박테리움속, 렙토스피라속, 효모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이하 E.coli라 함)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스케리키아 속 균주에 외래의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서 O-숙시닐 호모세린 및 O-아세틸 호모세린을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결손은 유전체 상에서 상기 유전자 부위를 절제하거나 특정 유전자 서열을 삽입하여 단백질 서열을 변형시킴으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유전자의 약화는 상기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및 5'-UTR 부위의 염기 서열을 변형시킴으로써 단백질의 발현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해당 유전자의 ORF 부위에 변이를 도입함으로서 단백질의 활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 강화는 상기 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및 5-UTR 부위의 염기 서열에 변형을 시킴으로서 단백질 발현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해당 유전자의 ORF 부위에 변이를 도입함으로서 단백질의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해당 유전자를 염색체 상에 추가 도입함으로서 발현을 강화시킬 수 있으 며, 해당 유전자를 벡터 상에 자가 프로모터 또는 강화된 별개의 프로모터와 함께 도입하여 균주에 형질 전환시킴으로써 단백질의 발현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양태에서,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로서, L-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균주로부터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등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킨다.
상기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통칭 metB,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통칭 metZ,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통칭 metY로 표기한다. 상기와 같은 활성을 가지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는 예를 들어,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coli)에서 공지되어 있는 metB가 있다. 이는 문헌(Blattner et. al., Science 277 : 1453-1462 (1997))에 의하여 공개된 E.coli의 게놈 서열로부터 얻을 수 있다(Accession no. AAC75876). 또한, 상기 유전자 서열은 미국생물공학정보센터(NCBI) 및 일본 DNA 데이터 뱅크(DDBJ)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도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같은 활성을 갖는 유전자로서,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의 metB 및 metY, 슈 도모나스(Pseudomonas) 유래의 metZ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는 하기 반응식에 나타난 바와 같이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시스타치오닌 또는 호모시스테인으로 합성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을 가지는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킬 경우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이 배양액에 과량 축적된다.
L-시스테인 + O-숙시닐-L-호모세린 <=> 숙시네이트 + 시스타치오닌
L-시스테인 + O-아세틸-L-호모세린 <=> 아세테이트 + 시스타치오닌
HS- + O-숙시닐-L-호모세린 <=> 숙시네이트 + 호모시스테인
HS- + O-아세틸-L-호모세린 <=> 아세테이트+ 호모시스테인
2단계로서, 제1단계에서 제조된 균주에서 호모세린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thrB 유전자를 약화 또는 결손시킨다. thrB 유전자는 호모세린으로부터 O-포스포호모세린 (O-phosphohomoserine) 을 합성하며, 이는 다시 thrC 유전자에 의하여 쓰레오닌이 된다. 합성된 호모세린이 전량 메치오닌의 전구체 합성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thrB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킨다.
3단계로서, metA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조절유전자인(regulator) metJ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킨다. 메치오닌 전구체의 합성에 관여하는 metA 유전자 는 메치오닌에 의하여 피드백 조절을 받는데, 상기 metJ 유전자는 metA 유전자의 전사시에 관여하는 조절 유전자이다. metA가 항상 과량으로 발현되어 높은 활성을 가지고 메치오닌 전구체를 합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metA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조절유전자를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E.coli에서 metJ 유전자가 제거되면 metA 유전자의 발현이 항상 촉진된 상태가 되어 L- 메치오닌 전구체를 대량 합성할 수 있다.
상기의 2, 3 단계는 전구체 생산 균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구체 생산균주를 제작하기 위하여 필수적이지는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키아 속의 미생물에서 전구체 생산 경로를 강화하기 위하여 실시할 수 있다.
4단계로서, 메치오닌 전구체의 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메치오닌 생합성 경로 중 첫번째 과정을 매개하는 효소인 호모세린 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 또는 호모세린 O-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metA 유전자 또는metX 유전자의 발현을 강화시킨다. metA 유전자는 호모세린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통칭이며, metX 유전자는 호모세린O-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통칭이다. 상기 metA 또는 metX 유전자의 발현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전자의 추가 도입 또는 5'-UTR또는 프로모터를 변화시키거나 각 유전자 ORF 에 변이를 도입한다. 이 유전자의 발현을 강화할 경우 L-메치오닌 전구체의 합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는, O-숙시닐 호모세린을 생산하는 균주로부터 O-아세틸호모세린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염색체내에 존재하는 호모세린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 하는 유전자인 metA 유전자를 결손시킬 수 있다. metA 유전자를 결손시켜 O-숙시닐 호모세린의 생산을 막고, 추가로metX 유전자를 도입하여 O-아세틸호모세린을 생산할 경우, metA 유전자가 존재시 metX 유전자를 도입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수율의 O-아세틸호모세린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O-아세틸 호모세린을 생산하는 균주로부터 O-숙시닐 호모세린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호모세린 O-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metX 유전자를 결손시킬 수 있다. metX 유전자를 결손시켜 O-아세틸 호모세린의 생산을 막고 추가로 metA 유전자를 도입하여 O-숙시닐 호모세린을 생산할 경우, 더 높은 수율의 O-숙시닐 호모세린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4 단계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도입한 균주를 제작하여 L-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축적할 수 있다.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는 L-라이신, L-쓰레오닌 또는 L-이소류신 생산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L-쓰레오닌 생산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미 호모세린까지의 합성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균주로서, 더 많은 양의 메치오닌 전구체를 합성할 수 있다. 따라서, L-쓰레오닌 생산균주를 이용하여 쓰레오닌 합성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키고, metB 또는 metY, 또는 metZ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켜 메치오닌 전구체를 축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thrB 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킨 후, metB 또는 metY 또는 metZ유전자를 결손 또는 약화시켜 메치오닌 전구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metA 또는 metX유전자의 발현을 강화하여 보다 많은 양의 메치오닌 전구체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L-쓰레오닌 생산 균주"란 L-쓰레오닌을 생물체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원핵 및 진핵 미생물 균주를 말한다. 예를 들어, L-쓰레오닌을 생산하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어위니아(Erwinia) 속, 세라티아(Serratia) 속, 프로비덴시아 (Providencia)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및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스케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쓰레오닌 생산 균주는 천연 미생물 균주뿐만 아니라 변이 미생물도 포함한다. 이러한 변이 미생물의 예에는 이소루이신 리키형 요구성, L-라이신 유사체에 대한 내성 및 α-아미노부티릭산 내성을 가지는 미생물; 내재적 포스포에놀 파이루베이트 카르복실레이즈(ppc) 유전자가 게놈 함유된 유전자 외에 추가로 1 카피 이상 염색체 DNA 중에 삽입된 변이 미생물; L-메치오닌 생합성 중간체인 옥살로아세테이트(oxaloacetate, OAA)를 포스포에놀 파이루베이트(PEP)로 전환하는데 관여하는 pckA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 L-메치오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tyrB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tyrR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 및 당전달에 관련된 galP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galR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미생물이 포함된다. 상기 L-라이신 유사체는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 및 δ-메틸-L-라이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L-쓰레오닌을 생산하는 E.coli 변이 균주 TF4076(KFCC 10718, 한국특허공고 제92-8365호)을 변이시킨 L-쓰레오닌 생산 및 L-메치오닌-비요구성 CJM002를 사용하였다. TF4076은 메치오닌 요구성, 메치오닌 유사체 (예, α-아미노-β-히드록시 발레릭산, AHV)에 대한 내성, 라이신 유사체 (예,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 AEC)에 대한 내성, 이소루이신 유사체 (예, α-아미노부티릭산) 대한 내성, 메치오닌의 유사체 (예, 에티오닌)에 대한 내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L-쓰레오닌 생산균주인 TF4076(KFCC 10718, 한국 특허공고 제92-8365호)는 메치오닌 요구성, 메치오닌 유사체 (예, α-아미노-β-히드록시 발레릭산, AHV)에 대한 내성, 라이신 유사체 (예, S-(2-아미노에틸)-L-시스테인, AEC)에 대한 내성, 이소루이신 유사체 (예, α-아미노부티릭산) 대한 내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한국 특허의 전체 내용은 원용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진다. 이러한 TF4076은 메치오닌 요구성 균주로 세포내에서 메치오닌은 합성하지 못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메치오닌 요구성을 해제하여 메치오닌 생산 균주로 이용하기 위하여 NTG를 이용한 인공적인 돌연변이 법을 사용하여 메치오닌 요구성이 해제된 쓰레오닌 생산 균주인 E.coli CJM002를 제조하였다. 상기 E.coli CJM002는 Escherichia coli MF001로 KCCM(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 대한민국 서울 서대문구 홍재 1동 유림 빌딩, 361-221)에 2004년 4월 9일자로 제 KCCM-10568호로 기탁하였다. 또한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제작한 O-숙시닐 호모세린 생산균주인 Escherichia coli CJM-BTJ (pMetA-CL) 균주는 2006년 7월 21일에 제 KCCM-10767호로 기탁하였으며, Escherichia coli CJM-BTJ (pCJ-MetA-CL) 균주는 2007년 7 월 5 일에 제 KCCM-10872호로 기탁하였다. 또한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제작한 O-아세틸 호모세린 생산균주인 Escherichia coli CJM-BTJA (pCJ-MetX-CL) 균주는 2007년 7 월 5 일에 제 KCCM-10873호로 기탁하였다.
상기 제조된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의 배양 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당업자라면 선택되는 균주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방법의 예에는,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 배양이 포함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다양한 배양 방법은 예를 들어 문헌("Biochemical Engineering" by James M. Lee, Prentice-Hall International Editions, pp 138-176)에 개시되어 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다양한 미생물의 배지는 예를 들어 문헌("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미국, 198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탄소원의 예에는, 포도당, 자당, 유당, 과당(fructose),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와 같은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셀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의 예에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CSL), 및 대두밀과 같은 유기 질소원 및 요소,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 과 같은 무기 질소원이 포함된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에는 인원으로서,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및 대응되는 소듐-함유 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배지 또는 전구체는 배양물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및 황산과 같은 화합물을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양물의 호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한다. 배양물의 온도는 통상 20 ℃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25 ℃ 내지 40 ℃이다. 배양 기간은 원하는 L-메치오닌 전구체의 생성량이 얻어질 때까지 계속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0 시간이다.
제 2단계 공정은 상기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에 의하여 생산된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과 메칠 머캅탄을 기질로 이용하여 시스타치오닌 신타제(Cystathionine synthase)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활성을 가지는 효소 또는 상기 효소를 포함한 균주를 이용한 효소반응을 통하여 L-메치오닌 및 유기산을 생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축적된 호모세린 (homoserine), O-포스포호모세린(O-phospho homoserine), O-숙시닐호모세린 (O- succinyl homoserin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기질로 이용하여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등의 효소 반응을 이용하여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기질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는 에스케리치아속(Escherichia Sp.),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 렙토스피라속(Leptospira sp.), 코리네박테리움속(Corynebacterium sp.), 사카로마이세스속(Saccharomyces sp.), 크로모박테리움속(Chromobacterium sp.), 노카디아속(Nocardia sp.), 브라디리조비움속(Bradyrhizobium sp.), 하이호모나스속(Hyphomonas sp.), 메틸로코커스속(Methylococcus sp.), 메틸로바실러스속(Methylobacillus sp.), 니트로소모나스속(Nitrosomonas sp.), 크렙시엘라속(Klesiella sp.), 바실러스속(Bacillus sp.), 쉬겔라속(Shigella sp.), 코웰리아속(Colwellia sp.), 살모넬라속(Salmonella sp.), 효모 (yeast), 펀자이 (fungi)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2단계 공정에서 O-숙시닐호모세린을 L-메티오닌 전구체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 노카디아속 (Nocardia sp.) 크 로모박테리움속(Chromobacterium sp.)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urogenosa), 노카디아 파르시니카 (Nocardia Farcinica), 슈도모나스 푸티다 (Pseudomonas putida),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단계 공정에서 O-아세틸호모세린을 L-메티오닌 전구체로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렙토스피라속(Leptospira sp.), 크로모박테리움속(Chromobacterium sp.), 하이포모나스속(Hyphomonas sp.)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렙토스피라 메에리(Leptospira meyeri),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urogenosa),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Hyphomonas Neptunium),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에 속하는 미생물 균주로부터 유래된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은 하기와 같으며 그 구조식은 도 2와 같다.
CH3SH + O-숙시닐-L-호모세린 <=> 숙시네이트 + 메치오닌
CH3SH + O-아세틸-L-호모세린 <=> 아세테이트 + 메치오닌
상기의 반응에서는 도 2에 표기된 화학식과 같이 메칠머캅탄의 CH3S- 잔기가 O-숙시닐 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 호모세린의 숙시네이트 (succinate) 또는 아세테이트 (acetate) 잔기와 치환되어 메치오닌을 생성하게 된다. 반응시 메칠머캅탄 (CH3SH) 은 여러가지 형태로 첨가가 가능하다.
상기 활성을 가지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서열은 미국생물공학정보센터(NCBI) 및 일본의 DNA 데이터 뱅크(KEGG)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도 얻을 수 있다.
생물학적 전환반응을 위하여 상기에서 획득한 유전자 서열로부터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발현 벡터에 삽입한 후, 재조합 균주로부터 상기의 효소를 활성형으로 발현시킨다. 발현된 효소 및 효소 발현 균주 모두 상기의 반응에 직접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유전자를 발현시킨 효소 및 효소 발현 균주는 L-메치오닌 전구체를 축적한 발효 상등액 또는 발효액과 직접 혼합 또는 부분적 혼합 반응을 이용하여 반응을 유도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발효액에 축적된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은 슈도모나스속, 크로모박테리움속, 렙토스피라속, 하이포모나스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또는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에 의하여 메치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액에 축적된 O-숙시닐호모세린은 슈도모나스 아에루 지노사 또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또는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및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및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에 의하여 메치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발효액에 축적된O-아세틸호모세린은 렙토스피라 메에리(Leptospira meyeri),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Hyphomonas Neptunium),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및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및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에 의하여 메치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유전자는 E.coli 용 발현벡터인 pCL-CJ1벡터 (한국 CJ사)에서 발현되었으며, 발현된 단백질은 초음파(sonication)을 이용한 세포파쇄로 효소액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효소액을 O-숙시닐호모세린 및 O-아세틸호모세린이 축적된 발효액에 첨가하였으며, 이와 함께 메칠머캅탄 용액을 함께 첨가하여 반응을 유도한다. 반응의 진행여부는 DTNB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미국 sigma사) 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 산물은 HPLC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O-숙시닐호모세린, O-아세틸호모세린과 CH3SH와의 반응을 통하여 L-메치오닌 이외에도 O-숙시닐호모세린의 경우 숙신산을, O-아세틸호모세린의 경우 아세트산을 별도의 생산공정 없이 부산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액에 축적된 O-숙시닐호모세린은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또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또는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및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및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에 의하여 메치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발효액에 축적된O-아세틸호모세린은 렙토스피라 메에리(Leptospira meyeri),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Hyphomonas Neptunium),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cystathionine gamma synthase) 및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acetylhomoserine sulfhydrylase) 및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O-succinylhomoserine sulfhydrylase)에 의하여 메치오닌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유전자는 E.coli 용 발현벡터인 pCL-CJ1벡터 (한국 CJ사)에서 발현되었으며, 발현된 단백질은 초음파(sonication)을 이용한 세포파쇄로 효소액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효소액을 O-숙시닐호모세린 및 O-아세틸호모세린이 축적된 발효액에 첨가하였으며, 이와 함께 메칠머캅탄 용액을 함께 첨가하여 반응을 유도한다. 반응의 진행여부는 DTNB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미국 sigma사) 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 산물은 HPLC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O-숙시닐호모세린, O-아세틸호모세린과 CH3SH와의 반응을 통하여 L-메치오닌 이외에도 O-숙시닐호모세린의 경우 숙신산을, O-아세틸호모세린의 경우 아세트산을 별도의 생산공정 없이 부산물로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균주의 제작
1-1) metB 유전자의 결손
E.coli 균주에서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MetB 유전자를 결손시키기 위하여, FRT-one-step PCR dele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PNAS (2000) vol97: P6640-6645). 서열번호 1, 2번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KD3 벡터(PNAS (2000) vol97: P6640-6645)를 주형으로 하여 PCR 반응으로 결손 카세트 (deletion cassette)를 제작하였다.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1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2 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은 pKD46 벡터 (PNAS (2000) vol97: P6640-6645)를 미리 형질 전환시킨 E.coli (K12) W3110 균주에 일렉트로포레이션하였다.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하여 pKD46으로 형질전환된 W3110 균주는 100ug/L 암피실린 (ampicilin) 과 5mM 아라비노스 (l-arabinose) 가 포함된 LB 배지를 이용하여 30℃에서 OD600=0.6 까지 배양시킨 후, 멸균 증류수로 2 회, 10%글리세롤 (glycerol) 로 1회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일렉트로포레이션은 2500V로 가하였다. 회수된 균주를 25μg/L 클로람페니콜 (chloramphenichol)을 포함한 LB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37℃ 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균주를 주형으로 하여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PCR 한후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2Kb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metB 유전자의 결손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균주는 다시 pCP20 벡터 (PNAS (2000) vol97: P6640-6645) 로 형질전환시켜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다시 동일한 조건의 PCR을 통하여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50 bp로 작아진 최종 metB 유전자 결손 균주를 제작하였고, 크로람페니콜 마커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균주를 W3-B 로 명명하였다.
1-2) thrB 유전자의 결손
호모세린 키나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thrB 유전자를 결손시킴으로써 호모세린으로부터 O-숙시닐호모세린의 합성량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쓰레오닌 생산균주를 이용할 경우 호모세린의 이용 활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 유전자의 결손이 꼭 필요하다. 상기 제작된 W3-B 균주에서 thrB 유전자를 결손시키기 위하여, metB 유전자 결손시와 동일한 FRT one step PCR dele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thrB 결손 카세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pKD4 벡터 (PNAS (2000) vol97: P6640-6645) 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3, 4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 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1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6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을 pKD46 벡터로 미리 형질 전환시킨 W3-B 균주에 일렉트로포레이션하였다. 회수된 균주를 50 μg/L 카나마이신 (kanamycin)을 포함한 LB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37oC 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균주를 직접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3, 4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PCR 한후,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6Kb로 확인되는 균주를 선별함으로써 thrB 유전자의 결손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균주는 다시 pCP20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다시 동일한 조건의 PCR을 통하여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50 bp로 작아진 최종 thrB 유전자 결손 균주를 제작하고, 가나마이신 마커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균주는 W3-BT 균주로 명명하였다.
1-3) metJ 유전자의 결손
메치오닌 전구체의 합성에 관여하는 metA 유전자의 조절 유전자인 metJ 유전자를 결손시키기 위하여, metB 유전자 결손시와 동일한 FRT one step PCR dele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metJ 유전자 결손 카세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5, 6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 ℃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1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2 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을 pKD46 벡터로 미리 형질 전환시킨 W3-BT 균주에 일렉트로포레이션하였다. 회수된 균주를 클로람페니콜을 포함한 LB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37℃ 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균주를 직접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7, 8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PCR 한후,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6Kb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metJ 유전자의 결손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균주는 다시 pCP20 벡터를 형질전환하여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다시 동일한 조건의 PCR을 통하여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600 bp로 작아진 최종 metJ 유전자 결손 균주를 제작하고, 크로람페니콜 마커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균주를 W3-BTJ 로 명명하였다.
1-4-1) metA 유전자의 과다 발현
보다 많은 메치오닌 전구체의 합성을 위하여,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합성에 관여하는 호모세린 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 (homoserine O-succinyl transferase) 효소를 코딩하는 metA 유전자를 과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coli w3110의 크로모좀(chromosome)을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9, 10 번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 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25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2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은 pCL1920 벡터를 SmaI 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DNA 절편과 연결시켰다. 연결된 벡터를 E.coli에 형질전환시켜 50μg/L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벡터를 pMetA-CL 로 명명하였다. pMetA-CL 벡터의 모식도는 도 3과 같다. 상기 벡터를 W3-BTJ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제작된 균주를 W3-BTJ/pMetA-CL로 명명하고, O-숙시닐 호모세린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metA 유전자의 발현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의 metA 유전자를 pCL1920 벡터에 CJ1 프로모터 (한국, CJ사) 와 EcoRV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연결시켰다. 연결된 벡터를 E.coli 균주에 형질전환시키고 50μg/L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벡터를 pCJ-MetA-CL 로 명명하였다. 상기 벡터를 W3-BTJ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제작된 균주를 W3-BTJ/ pCJ-MetA-CL로 명명하고, O-숙시닐호모세린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1-4-2) metX 유전자의 과다 발현
O-아세틸호모세린의 합성을 위하여, 메치오닌 전구체인 O-아세틸 호모세린 합성 유전자인 호모세린 O-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 (homoserine O-acetyl transferase) 를 코딩하는 metX 유전자를 과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렙토스피라 메예리(Leptospira meyeri)의 크로모좀(chromosome) 을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11, 12 번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25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1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을 pCL1920 벡터에 CJ1 프로모터와 EcoRV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연결시켰다. 연결된 벡터를 E.coli 에 형질전환시켜 50μg/L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벡터를 pCJ1-MetXlme-CL 로 명명하였다. 상기 벡터를 W3-BTJ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제작된 균주를 W3-BTJ/ pCJ-MetXlme-CL로 명명하고, O-아세틸 호모세린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metX 유전자의 과발현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코리네박테리움 크로모좀(chromosome)을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68, 69번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25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을 pCL1920 벡터에 CJ1 프로모터와 EcoRV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연결시켰다. 연결된 벡터를 E.coli 에 형질전환시켜 50μg/L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에서 배양한 후 선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벡터를 pCJ-MetXcgl-CL 로 명명하였다. 상기 벡터를 W3-BTJ 균주에 형질전환시켜 제작된 균주 를 W3-BTJ/ pCJ-MetXcgl-CL로 명명하고, O-아세틸 호모세린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1-4-3) metA 유전자의 결손
O-아세틸 호모세린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W3-BTJ 균주에서 호모세린 O-숙시닐 트랜스퍼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metA를 결손시켰다. metX 유전자만을 도입한 경우 일정량의 O-숙시닐 호모세린이 축적됨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metA 유전자를 결손시킬 경우 더 많은 양의 O-아세틸 호모세린을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표 3 참조). metA 유전자를 결손시키기 위하여 FRT one step PCR dele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metA유전자 결손 카세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70, 71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1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PCR 산물을 1.0% 아가로즈 겔에서 전기영동한 후, 1.2 kbp 크기의 밴드로부터 DNA를 정제하였다. 회수된 DNA 절편을 pKD46 벡터로 미리 형질 전환시킨 E.coli W3-BTJ 균주에 일렉트로포레이션하였다. 회수된 균주를 클로람페니콜을 포함한 LB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37℃ 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균주를 직접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70, 71 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같은 조건으로 PCR 한후,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1Kb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metA 유전자의 결손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균 주를 다시 pCP20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다시 동일한 조건의 PCR을 통하여 1.0% 아가로스 겔 상에서 유전자의 크기가 100 bp로 작아진 최종 metA 유전자 결손 균주를 제작하고, 클로람페니콜 마커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균주를 W3-BTJA 로 명명하였다. W3-BTJA 균주를 상기 pCJ-MetXlme-CL 벡터로 형질전환시켜 제작된 균주를 W3-BTJA/pCJ-MetX-CL로 명명하였다. 상기 균주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한 결과, O-숙시닐 호모세린의 축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O-아세틸 호모세린의 생산량이 W3-BTJ 대비 약 20%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1-5) L-쓰레오닌 생산 균주의 전환
메치오닌 요구성이 해제된 ㅣ-쓰레오닌 생산 균주인 에스케리키아 콜라이CJM002(KCCM-10568호) 를 이용하여 상기 1-1 내지 1-3 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균주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균주는 각각 CJM-BTJ, CJM-BTJ/pMetA-CL 및 CJM-BTJ/pCJ-MetA-CL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CJM-BTJ 균주를 사용하여 상기 1-4-3의 방법으로 metA 유전자를 결손시킨 균주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균주를 CJM-BTJA 로 명명하였다.
실시예2 : L-메치오닌 전구체 생산을 위한 발효
1-1) 플라스크 배양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작된 균주의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량을 실험하기 위하여 삼각플라스크 배양을 실시하였다. 항생제 스펙티노마이신이 함유된 평판 LB 배지에 W3-BTJ 와 CJM-BTJ및 metA, metX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시킨 W3-BTJ 균주를 접종하여 31oC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를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3ml LB 배지에 접종한 후 31oC 에서 5 시간 배양하고, 다시 25ml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배지를 포함한 250ml 삼각플라스크에 200배 희석하여 31℃ 200 rpm에서 64시간 배양하여 HPLC 분석을 통하여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량을 비교하였다(표 2 및 표 3). 그 결과, 메치오닌 요구성이 해제된 쓰레오닌 생산 균주를 사용하여 제작된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균주의 경우에 있어서,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플라스크 배지 조성
조성 |
농도(리터당) |
포도당 |
40 g |
황산암모늄 |
17 g |
KH2PO4 |
1.0 g |
MgSO4ㆍ7H2O |
0.5 g |
FeSO4ㆍ7H2O |
5 mg |
MnSO4ㆍ8H2O |
5 mg |
ZnSO4 |
5 mg |
탄산칼슘 |
30 g |
효모엑기스 |
2 g |
메치오닌 |
0.15g |
쓰레오닌 |
0.15g |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메치오닌 전구체(O-숙시닐호모세린) 생산
|
OD |
포도당 소모(g/L) |
O-숙시닐호모세린 (g/L) |
W3-BTJ |
10 |
40 |
0.3 |
W3-BTJ/ pMetA-CL |
12 |
40 |
1.2 |
W3-BTJ/ pCJ-MetA-CL |
12 |
40 |
1.8 |
CJM-BTJ |
5.0 |
33 |
0.6 |
CJM-BTJ/ pMetA-CL |
6.0 |
36 |
5.2 |
CJM-BTJ/pCJ-MetA-CL |
6.0 |
40 |
10.1 |
플라스크 배양을 통한 메치오닌 전구체(O-아세틸호모세린) 생산
|
OD |
포도당 소모(g/L)
|
O-아세틸호모세린 (g/L)
|
W3-BTJ |
10 |
40 |
0 |
W3-BTJ/pCJ-MetXlme-CL |
12 |
40 |
1.5 |
W3-BTJ/pCJ-metXcgl-CL |
12 |
40 |
1.4 |
W3-BTJA/pCJ-metXlme-CL |
11 |
40 |
1.8 |
CJM-BTJ |
5.0 |
33 |
0 |
CJM-BTJ/pCJ-metXlme-CL |
5.5 |
40 |
4.8 |
CJM-BTJ/pCJ-MetXcgl-CL |
6.0 |
36 |
4.6 |
CJM-BTJA/pCJ-metX-CL |
5.8 |
40 |
6.5 |
1-2) 대형 발효조 실험
실시예 1에서 가장 뛰어난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능을 보인 균주를 이용하여 메치오닌 전구체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5L 발효조 배양을 실시하였다. 항생제 스펙티노마이신이 함유된 평판 LB 배지에 CJM-BTJ/pCJ-metA-CL균주 또는 CJM-BTJA/pCJ-metXlme-CL균주를 접종하여 31℃에서 하루밤 배양하였다. 그 후, 단일 콜로니를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10 ml LB 배지에 접종한 후 31℃ 에서 5 시간 배양하고, 다시 200ml 메치오닌 전구체 Seed배지를 포함한 1000ml 삼각플라스크에 100배 희석하여 31℃ 200 rpm에서 3~10시간 배양후 5L 발효조에 접종하여 유가식 배양(Fed batch) 발효법으로 50~100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한 발효액에서 메치오닌 전구체 농도를 HPLC로 분석한 결과는 표5와 같았다.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발효조 배지 조성
조성
|
Seed media
|
Main media
|
Feed media
|
Glucose(g/L) |
10.1 |
40 |
600 |
MgSO47H20(g/L) |
0.5 |
4.2 |
|
Yeast extract(g/L) |
10 |
3.2 |
|
KH2PO4 |
3 |
3 |
8 |
Ammonium sulfate(g/L) |
|
6.3 |
|
NH4Cl(g/L) |
1 |
|
|
NaCl(g/L) |
0.5 |
|
|
Na2HPO412H2O(g/L) |
5.07 |
|
|
DL-Methionine(g/L) |
|
0.5 |
0.5 |
L-Isoleucine(g/L) |
0.05 |
0.5 |
0.5 |
L-Threonine(g/L) |
|
0.5 |
0.5 |
발효조에서의 메치오닌 전구체 생산
|
O-숙시닐호모세린생산 (g/L) |
O-아세틸호모세린생산 (g/L) |
CJM-BTJ/pCJ-MetA-CL |
>80 |
0 |
CJM-BTJA/pCJ-MetXlme-CL |
0 |
>55 |
실시예 3 : 메치오닌 전환효소의 생산
1-1) E.coli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E.coli유래의 시스타치오닌 감마 신타아제를 코딩하고 있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E.coli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 서열 13,14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25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coI/HindIII로 절단하여,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최종 제작된 벡터를 pCJ-MetB-CL이라 명명하였으며, 모식도는 도 4 와 같다. 클로닝된 벡터를 E.coli W3110 세포에 형질전환시키고, 50 μg/L의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 LB 평판배지에서 배양한 후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콜로니를 50 μg/L의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 LB 배지 3ml 에 접종하여 하루밤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다시 회수하여 0.1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액 (potassium phosphate, pH7.5)으로 세척하여 다시 200 μl 의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액에 현탁하고, 30초 간격으로 5회 소니케이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파쇄된 세포추출액을 12,000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Bio-Rad 단백질 정량액 (미국 BIO-Rad 사) 을 이용하여 단백질 총량을 정량하였다. 또한 SDS-PAGE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회수된 세포 추출액의 상등액을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1-2) 슈도모나스속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 Sp.)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슈도모나스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및 슈도모나스 푸티다 (Pseudomonas putida) 의 2종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균주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여,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의 경우 프라이머 서열 15, 16 번, 슈도모나스 푸티다의 경우 서열 17, 18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PacI로 절단하여,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1-3) 슈도모나스속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슈도모나스속 유래의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Y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 19, 20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PacI로 절단하여,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1-4)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Corynebacterium glutamicum)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21, 22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coI/HindIII로 절단하여,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5) 코리네박테리엄 글루타미컴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코리네박테리엄 글루타미컴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코리네박테리엄 글루타미컴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23, 24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6) 렙토스피라속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렙토스피라 메예리 (Leptospira meyeri)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코딩하있는 metY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렙토스피라 메예리 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25, 26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1-7) 사카로마이세스속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25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27, 28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Pac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1-8) 크로모박테리움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29, 30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9) 노카디아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노카디아 파르시니카 (Nocardia Farcinica)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노카디아 파르시니카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31, 32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0) 브라디리조비움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브라디리조비움 자포니쿰 (Bradyrhizobium Japonicum)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브라디리조비움 자포니쿰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33, 34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1) 하이포모나스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 (Hyphomonas Neptunium)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35, 36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BamHII/HindI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2) 메틸로코커스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메틸로코커스 캡슐라투스 (Methylococcus Capsulatus)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메틸로코커스 캡슐라투스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37, 38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3) 메틸로바실러스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메틸로바실러스 플라겔라투스 (Methylobacillus Flagellatus)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메틸로바실러스 플라겔라투스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39, 40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4) 니트로소모나스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 (Nitrosomonas Europaea) 유래의 O-숙시닐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를 코딩하는 metZ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41, 42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으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5) 크렙시엘라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크렙시엘라 뉴모니애 (Klesiella Pneumoniae)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크렙시엘라 뉴모니애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43, 44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6) 바실러스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바실러스속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바실러스속 서브틸리스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45, 46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7) 쉬겔라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쉬겔라속 플렉스네리 2457T (Shigella flexneri 2457T)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쉬겔라속 플렉스네리 2457T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47,48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8) 코웰리아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코웰리아 사이크레리스라애 (Colwellia Psychrerythraea)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코웰리아 사이크레리스라애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49, 50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19) 살모넬라속 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
메치오닌 전구체인 O-숙시닐호모세린 또는 O-아세틸호모세린을 메치오닌으로 전환시킬 효소로서 사용될 살모넬라 엔티가 혈청형 파라티푸스 (Salmonella enterica serovar Paratyphi A)유래의 시스타치오닌 신타아제를 코딩하는 metB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살모넬라 엔티가 혈청형 파라티푸스의 크로모좀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 서열 51, 52 번을 이용하여 변성(denaturation) 단계는 94℃에서 30초,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55℃에서 30초, 연장(extension) 단계는 72℃에서 2분 동안 실시하고, 이를 30 회 수행하는 PCR 반응을 수행하여 획득하였다.
획득한 DNA 절편을 NdeI/AvrII로 절단하고, 동일하게 절단한 pCL-CJ1 벡터 (한국, CJ사) 의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벡터를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포추출액의 상등액을 회수하고, 효소 전환반응에 사용하였다.
1-20) OSHS 을 기질로 한 전환효소의 활성 비교
상기의 1-1) 에서 1-19) 의 방법으로 획득한 각각의 효소액을 활성 비교하여 최적의 메치오닌 전환효소를 선별하였다.
이를 위하여 O-숙시닐호모세린(Sigma 사) 를 3 mM의 농도로 0.1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액 (pH 7.5) 에 용해하였다. 또한 이 반응액에 조효소로 사용되는 피리독살포스페이트 (pyridoxal 5'-phosphate, 미국 Sigma 사) 를 최종농도 10 μ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반응액에 또 다른 기질로서 사용되는 메칠머캅탄(Methyl mercaptan, 일본 동경 화성공업주식회사) 을 최종농도 2mM 로 첨가하였다. 이 반응액 1ml을 37℃ 에 위치한 후, 각 효소추출액을 단백질 농도 5mg/ml 로 맞추어서 10μl 첨가하였다. 반응의 진행 여부는 매 5-10 분 간격으로 100μl의 반응액을 회수하여 4mg/ml의 DTNB (미국 Sigma 사) 용액 900μl 에 첨가한 후, 415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DTNB는 반응액 중에 잔존하는 메칠머캅탄의 SH 그룹과 반응하여 노란색의 물질을 합성한다. 따라서, 반응액상의 메칠머캅탄이 반응에 의해 메치오닌으로 전환됨에 따라 반응액의 노란색이 사라지는 것으로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 결과 도 5와 같이 크로모박테리움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노카디아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슈도모나스 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및 O-아세틸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가 매우 높은 활성을 보였다. 기타의 효소들도 모두 어느 정도의 활성은 보였으나 반응 진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을 확인하였다. 각 효소의 기질에 대한 반응성을 요약한 표는 표 6과 같다. 또한, 1 시간의 반응이 종료된 후 선별된 반응액으로부터 HPLC 분석을 통하여 최종 생성된 메치오닌 및 숙신산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는 표 7 과 같다.
1-21) OAHS를 기질로 한 전환효소의 활성 비교
상기1-20 항과 동일한 반응을 O-아세틸호모세린을 이용하여 반응시켰다. O-아세틸 호모세린은 발효 상등액으로부터 정제하였다. O-숙시닐호모세린과 동일한 반응액 및 동일한 효소액을 이용하여 반응시킨 결과, 도 6와 같이 하이포모나스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슈도모나스 속 유래의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크로모박테리움 속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 및 렙토스피라 속 유래의 O-아세틸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가 높은 활성을 보였다. 기타의 효소들도 모두 어느 정도의 활성은 보였으나 반응 진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을 확인하였다. 각 효소의 기질에 대한 반응성을 요약한 표는 표 6 와 같다. 또한, 1 시간의 반응이 종료된 후 선별된 반응액으로부터 HPLC 분석을 통하여 최종 생성된 메치오닌 및 아세트산의 양을 확인한 결과는 표8과 같다.
각 균주 유래의 효소를 이용한 O-숙시닐호모세린 및 O-아세틸호모세린의 전환반응
균주 |
균주번호 (ATCC) |
유전자명 (KEGG) |
기질특이성 |
OSH |
OAH |
에스케리치아 콜리 (Escherichia Coli K12) |
55151 |
MetB |
+ |
+ |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Pseudomonas aurogenosa) |
17933 |
MetZ |
+++ |
+ |
MetY |
++++ |
++++ |
슈도모나스 푸티다 (Pseudomonas putida) |
17390 |
MetZ |
++++ |
+ |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컴 (Corynebacterium glutamicum) |
13032 |
MetB |
+ |
+ |
MetY |
+ |
+ |
렙토스피라 메에리 (Leptospira meyeri) |
43278 |
MetY |
+ |
++ |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 |
2704 |
Met25 |
+ |
+ |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Chromobacterium Violaceum) |
12472 |
MetZ |
++++ |
+++ |
노카디아 파르시니카 (Nocardia Farcinica) |
3318 |
MetZ |
++++ |
+ |
브라디리조비움 자포니쿰 (Bradyrhizobium Japonicum) |
10324 |
MetZ |
+ |
+ |
하이호모나스 넵튜니움 (Hyphomonas Neptunium) |
49408 |
MetZ |
+ |
++++ |
메틸로코커스 캡슐라투스 (Methylococcus Capsulatus) |
19069D-5 |
MetZ |
+ |
+ |
메틸로바실러스 플라겔라투스 (Methylobacillys Flagellatus) |
51484D |
MetZ |
+ |
+ |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에 (Nitrosomonas Europaea) |
19718D |
MetZ |
+ |
+ |
크렙시엘라 뉴모니애 (Klesiella Pneumoniae) |
25955 |
MetB |
+ |
+ |
바실러스속 섭틸리스 (Bacillus Subtilis) |
10783 |
MetB |
+ |
+ |
쉬겔라속 플렉스네리 2457T (Shigella flexneri 2457T) |
700930D-5 |
MetB |
+ |
+ |
코웰리아 사이크레리스라애 (Cowwellia Psychrerythraea) |
BAA-618D |
MetB |
+ |
+ |
살모넬라 엔티가 세로바 파라티피 A (Salmonella enterica serovar Paratyphi A) |
9150D |
MetB |
+ |
+ |
각 효소를 이용한 O-숙시닐호모세린으로부터의 메치오닌 및 숙신산 생성량
효소의 유래 유전자 이름 |
생성 메치오닌 양 (g/L) |
생성 숙신산 양 (g/L) |
코리네박테리엄 글루타미컴 metB |
0.05 |
0.03 |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metB |
0.14 |
0.1 |
노카디아 파시니카 metZ |
0.21 |
0.17 |
슈도모나스 푸티다 metZ |
0.22 |
0.17 |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metZ |
0.22 |
0.17 |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
0.22 |
0.17 |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metY |
0.21 |
0.17 |
각 효소를 이용한 O-아세틸호모세린으로부터의 메치오닌 생성량.
효소의 유래 유전자 이름 |
생성 메치오닌 양 (g/L) |
생성 아세트산 양 (g/L) |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metY |
0.22 |
0.081 |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metZ |
0.18 |
0.068 |
하이포모나스 넵튜니움 metZ |
0.22 |
0.082 |
코리네박테리엄 글루타미컴 metY |
0.05 |
0.015 |
렙토스피라 메예리 metY |
0.15 |
0.05 |
1-22) 전환효소의 피드백 저해 확인
상기1-20 및 21 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메치오닌의 존재 유무에 따른 피드백 저해 반응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반응액을 제조하고 각 반응액에 각각 5g/L의 메치오닌을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동일한 반응진행을 하였다. 메치오닌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의 반응 진행 속도를 100% 로 하였을 때, 메치오닌 존재시의 잔존 활성을 %로 표기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슈도모나스 유래의 O-아세틸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노카디아 유래의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 및 렙토스피라 유래의 O-아세틸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가 메치오닌에 의한 활성 저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효소는 메치오닌에 의한 피드백 저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추후 반응에는 피드백 저해가 없는 효소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피드백 저해를 받는 효소 역시 피드백 저해가 해제되는 변이주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반응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메치오닌에 의한 효소의 활성 저해
효소 유래 유전자명 |
잔존활성(%) |
OSHS |
OAHS |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metZ |
97 |
100 |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metY |
54 |
53 |
노카디아 파르시니카 metZ |
68 |
|
슈도모나스 푸티다 metZ |
98 |
|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 metZ |
98 |
|
렙토스피라 메에리 metY |
|
45 |
하이호모나스 넵튜니움 metZ |
|
100 |
1-23) 전환효소의 상동성 비교
전환반응에 사용된 각 효소간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O-숙시닐 호모세린 및 O-아세틸 호모세린에 대한 반응성 및 피드백 조절 저해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효소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로 명명되는 metZ 간의 상동성 및 O-아세틸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로 명명되는 metY 간의 상동성이 상호간의 상동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와 연관하여 볼 때 O-숙시닐 호모세린설피드릴라아제로 명명된 metZ의 경우에는 피드백 조절 저해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은데 비하여, O-아세틸 호모세린 설피드릴라아제로 명명된 metY의 경우에는 실시예에 사용된 효소 모두가 피드백 조절 저해를 보여 상대적으로 높은 피드백 조절 저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숙시닐 호모세린 및 O-아세틸호모세린에 대한 선택성은 metZ 유전자군은 O-숙시닐호모세린에 대한 선택성이 높으며, metY 유전자군은 O-아세틸호모세린에 대한 선택성이 높았으나, 슈도모나스 푸디다 유래의 metY 및 크로모박테리움 비오라슘 유래의 metZ 는 특이적으로 두가지의 기질 모두에 대하여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효소를 아미노산 서열에 의거하여 서열정렬 프로그램인 클러스탈 더블류 프로그램(ClustalW program ;DNAstar) 로 정렬(align)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서열로 명기되는 도메인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도메인을 공통적으로 가지는 효소는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메치오닌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메인 1: Y-(S, I, T, V)-R-X-X-(N,S)
도메인 2:
(V,A,I)-(V,L,I)-D-N-X-(F,V,M,I)-X-(T,S)-(P,A)-X-(L,I)-(Q,C,V)-X-(P,G)-(L,F)-X-(L,M,H)-G-(A,V)-(D,H)
도메인3:
(S,A,G,P)-(P,A,V)-F-(N,D)-(A,S)-(W,F,Y)-X-X-X-(K,Q,R,S)-G-(L,M,V,I,M)-(E,K,D,R)-T-(L,M)-
도메인 5: (H,Y)-(P,A)-(A,S)-(T,S)-(T,M,Q)-(T,S)-H
도메인 6: (V,I,L)-R-(V,I,L,F)-(S,A)-(V,I,T)-G-(L,I)-E-
실시예 4 : 메치오닌 전환효소에 의한 메치오닌 전환반응
1-1) 전환효소의 대량 생산
실시예 2 (1-2, 1-8)에서 제작된 메치오닌 전환효소 생산균주를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1L 발효조 배양을 실시하였다. 항생제 스펙티노마이신이 함유된 평판 LB 배지에, W3110을 슈도모나스 유래 metZ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 또는 하이포모나스 유래metZ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시킨 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30~40℃에서 하루밤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를 스펙티노마이신이 포함된40 ml LB 배지에 접종한 후 30~40℃ 에서 5 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슈도모나스 유래 metZ 발현 균주 및 하이포모나스 유래 metZ 발현 균주를 1L 발효조에서 600~900rpm, 30~40℃, 15~3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에 사용된 배지 조성은 표 10에 나타내었다.
배양이 끝난 메치오닌 전환효소 발효액을 초음파 전동을 이용하여 세포를 파쇄하여 메치오닌 전환 효소액을 제작하였다.
전환효소 생산 플라스크 배지 조성
2XYT 배지조성 |
|
효모 추출물(g/L) |
10 |
트립토판(g/L) |
16 |
글루코스(g/L) |
40 |
스펙티노마이신(g/L) |
50 |
1-2) 메치오닌 전환 반응
상기의 실시예 2 (1-2)번에서 생산된 O-숙신닐호모세린 발효액과 O-아세틸 호모세린 발효액에 각각 실시예 4 (1-1)번에서 제작된 슈도모나스 유래 O-숙시닐 호모세린 전환 효소액 및 하이포모나스 유래의 O-아세틸호모세린 전환 효소액을 사용하여 메치오닌 전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메치오닌 전구체 발효액 2.0L에 파쇄한 효소배양액 0.1L를 첨가한 후 15% Na-메칠머캅탄 0.3L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2 시간 경과 후 발효액을 회수하여 세포를 제거한 후 HPLC를 통하여 메치오닌 생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
L-메치오닌(g/L) |
숙신산(g/L) |
아세트산(g/L) |
O-숙시닐 호모세린 발효액 (>80g/L) |
>42 |
>33 |
0 |
O-아세틸 호모세린 발효액 (>55 g/L) |
>40 |
0 |
>15 |
상기의 결과에서와 같이, 기존의 발명에서는 10g/L이하의 낮은 농도의 L-메치오닌을 생산하는 것에 비하여 상기의 발명에서는 30g/L이상의 L-메치오닌을 생성하여 L-메치오닌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