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844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844A
KR20080081844A KR1020080020272A KR20080020272A KR20080081844A KR 20080081844 A KR20080081844 A KR 20080081844A KR 1020080020272 A KR1020080020272 A KR 1020080020272A KR 20080020272 A KR20080020272 A KR 20080020272A KR 20080081844 A KR20080081844 A KR 2008008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upper thread
sewing
lower threa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697B1 (ko
Inventor
노리까즈 하야까와
모또나리 나까노
Original Assignee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가동날을 갖는 윗실끊기 기구가 절단한 윗실의 단부의 꿰매어 넣기를 방지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윗실 가동날을, 재봉침의 바로 아래에서 윗실을 걸어 두는 상측 실채기 위치와, 상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한 상측 실끊기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측 이동 기구와, 재봉침의 눈구멍으로 연장되는 윗실의 절단된 실끝을 유지하는 윗실 유지 기구와, 상측 이동 기구 및 윗실 유지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재봉침의 상기 눈구멍으로부터 윗실 유지 기구로 연장되는 윗실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는 윗실 방향 조절 기구를 갖는다. 윗실 방향 조절 기구에 의해, 실끝 유지 상태의 윗실의 인장 방향이 봉제 개시 시의 봉제 방향과 다르도록 윗실의 인장 방향을 변경한다.
가동날, 재봉침, 상측 이동 기구, 윗실 해방 기구, 가공천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 종료 시에 윗실을 절단하는 윗실끊기 기구와, 윗실끊기 기구로 절단한 실끝을 유지하는 윗실 유지 기구를 구비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공천에 이어지는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는 실끊기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이 있다. 종래의 재봉틀은, 실끊기 장치로 절단한 윗실이나 밑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실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실끊기 장치는, 봉제 종료 시에, 자동적, 또는 작업자에 의한 실끊기의 지시에 의해, 가공천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있어서,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1992년 제26490호에 기재된 재봉틀의 윗실 절단 장치는, 윗실 끼움 지지 기구와, 절단 부재와, 고정판과,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윗실 절단 기구를 베드부의 상측에 구비하고 있다. 봉제 종료 시에, 윗실 절단 기구는 절단 부재의 발열에 의해 천 누름과 가공천 사이에서 윗실을 절단한다. 그 후에 윗실 끼움 지지 기구는, 재봉침측의 윗실끝을 유지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의 봉제 개시 시에, 윗실 끼움 지지 기구가 유지하는 윗실끝은, 재봉침의 봉제 동작에 의해 재봉침측으로 인장하는 힘이 가해져, 윗실 끼움 지 지 기구로부터 빠진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1992년 제213385호에 기재된 재봉틀의 실끊기 장치는, 가공천의 상측에 1쌍의 윗실끊기 메스 및 끼움 지지체를 구비하고, 가공천의 하측에 고정 메스, 이동 메스 회전팔 및 밑실 찾기판 등을 구비하고 있다. 봉제 종료 시에, 한 쌍의 윗실끊기 메스로 윗실을 절단한다. 윗실을 절단 후, 한 쪽의 윗실끊기 메스와 끼움 지지체로 윗실끝을 유지한다. 이동 메스 회전 팔 및 밑실 찾기판이 동시에 회전해서 밑실을 고정 메스로 절단한다. 밑실을 절단 후, 이동 메스 회전 팔 및 밑실 찾기판이 회전 복귀할 때, 밑실 찾기판과 이동 메스의 선단에 의해 밑실끝을 유지한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성 4년 제26490호에 기재된 재봉틀의 윗실 절단 장치는 봉제 종료 시에 윗실 절단 기구에 의해 절단한 윗실의 재봉침측의 실끝을 유지한다. 재봉침의 눈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실끝부의 유지 방향이, 차회에 있어서 봉제를 개시하였을 때의 봉제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실 끼움 지지 기구로부터 분리된 윗실끝이 가공천의 봉제 예정 위치 상에 위치한다. 그 결과, 차회의 봉제에 있어서 재봉틀은 가공천에 윗실끝을 꿰매어 넣어, 봉제 개시 시에 있어서의 스티치가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성 2년 제213385호에 기재된 재봉틀의 실끊기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 절단 후에 끼움 지지체에서 윗실 및 밑실의 실끝을 각각 개별로 유지하고 있다. 그로 인해, 봉제 개시 시의 봉제 방향과, 윗실 단부의 유지 방향 혹은 밑실 단부의 유지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차회에 있어서의 봉제 개시 시에, 재봉틀은 끼움 지지체로부터 빠진 윗실끝 및 밑실끝을 가공천에 꿰매어 넣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윗실끊기 기구에서 절단한 윗실끝을, 봉제 개시 시에 꿰매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재봉틀은, 재봉틀 기체 틀과, 재봉침을 설치한 침봉과, 북집과, 바늘판의 상방에서 가공천으로부터 상기 재봉침의 눈구멍으로 연장되는 윗실을 절단하는 윗실 가동날을 갖는 윗실끊기 기구와, 상기 윗실 가동날을 상기 재봉침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윗실을 걸어 두는 상측 실채기 위치와, 상기 상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한 상측 실끊기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측 이동 기구와, 상기 상측 이동 기구가 상기 윗실 가동날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윗실끊기 기구가 절단한 상기 윗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윗실 유지 기구와, 상기 상측 이동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봉침의 상기 눈구멍으로부터 상기 윗실 유지 기구로 연장되는 상기 윗실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윗실 방향 조절 기구를 갖는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측 이동 기구에 의해, 윗실 가동날이 상측 실채기 위치로 이동하여 윗실을 걸어 둔 상태에서 원래의 상측 실끊기 위치로 복귀 이동한다. 이때, 윗실끊기 기구가 윗실을 절단하고, 가공천으로부터 연장되는 윗실의 실끝은 소정 길이의 상태에서 윗실 유지 기구가 유지한다. 작업자는 윗실 유지 기구가 유지하는 윗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윗실 방향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한다. 작업자는 윗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다음의 봉제 개시 시에 있어서의 봉제 방향과 일치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봉제 개시 후에 윗실 유지 기구로부터 빠진 실끝이 가공천 상에 위치하였을 때에 실끝의 방향은 봉제 방향과 다르다. 그 결과, 실끝의 가공천으로의 꿰매어 넣기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재봉틀은, 또한 상기 윗실 가동날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윗실 방향 조절 기구는 상기 상측 안내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돌출 부재와, 상기 상측 돌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원호 홈과, 상기 재봉틀 기체 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측 원호 홈을 통해 상기 상측 돌출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상측 안내 부재는 상기 재봉침측의 단부보다도 반대측의 단부가 상방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지지 부재를 통해 재봉틀 기체 틀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상측 원호 홈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였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측 안내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결과, 상측 안내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재봉틀을 소형화할 수 있다. 윗실 유지 기구가 유지하는 윗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상측 원호 홈을 따라서 변경할 수 있는 결과, 작업자는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윗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재봉틀은 가공천을 누르는 천누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 기 상측 원호 홈은 상기 상측 안내 부재가 이동하는 한계 위치를 상기 천누름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였다.
본 구성에 따르면, 윗실 유지 기구가 유지하는 윗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천누름 장치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4, 5, 6에 기재된 재봉틀의 상기 재봉틀 기체 틀은 아암부를 갖고 있다. 상기 윗실끊기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는 상기 아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실의 경로와 반대측에 배치하였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윗실을 실패로부터 재봉침에 실걸이하는 실걸이 작업을 행하는 측은, 윗실끊기 기구 및 윗실 유지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측과는 아암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윗실끊기 기구와 윗실 유지 기구는 실걸이 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작업성이 좋다.
청구항 7의 재봉틀은 상기 바늘판의 하방에서 상기 가공천으로부터 상기 북집으로 연장되는 밑실을 절단하는 밑실 가동날을 갖는 밑실끊기 기구와, 상기 밑실 가동날을,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밑실을 걸어 두는 하측 실채기 위치와, 상기 하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한 하측 실끊기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하측 이동 기구와, 상기 하측 이동 기구 상기 밑실 가동날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밑실끊기 기구가 절단한 밑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밑실 유지 기구를 갖는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하측 이동 기구에 의해 밑실 가동날이 하측 실채기 위치로 이동하여 밑실을 걸어 둔 상태에서 원래의 하측 실끊기 위치로 복귀 이동한다. 이때, 밑실끊기 기구가 밑실을 절단하고, 가공천으로부터 연장되는 밑실의 실끝은 소정 길이의 상태에서 밑실 유지 기구가 유지한다.
청구항 8의 재봉틀은 밑실을 안내하는 실 안내 구멍을 가진 보빈 케이스를 상기 북집이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8의 재봉틀은 밑실 방향 조절 기구를 상기 하측 이동 기구 및 상기 밑실 유지 기구에 설치하고 있다. 밑실 방향 조절 기구는 상기 북집의 상기 보빈 케이스의 상기 실 안내 구멍으로부터 상기 밑실 유지 기구로 연장되는 상기 밑실의 인장 방향을 조절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밑실 유지 기구가 유지하고 있는 밑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다음의 봉제 개시 시에 꿰매어 넣지 않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실끝의 가공천으로의 꿰매어 넣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재봉틀의 상기 하측 이동 기구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밑실의 인장 방향을, 상기 바늘판의 바늘 구멍으로부터 상기 보빈 케이스의 상기 실 안내 구멍을 향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봉제 개시 시에 밑실 유지 기구로부터 빠진 밑실의 실끝부를 꿰매어 넣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재봉틀은 상기 밑실 가동날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밑실 방향 조절 기구는 상기 하측 안내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돌출 부재와, 상기 하측 돌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원호 홈과, 상기 하측 원호 홈을 통해 상기 하측 돌출 부재를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연결하는 체결 부재를 갖고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하측 돌출 부재의 하측 원호 홈을 통해, 하측 안내 부재의 방향(밑실 유지 기구가 유지하는 밑실의 실끝의 인장 방향)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윗실끊기 기구에서 절단한 윗실끝을, 봉제 개시 시에 꿰매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틀(1)은, 재봉틀 본체부인 베드부(2)와, 베드부(2)로 이어지는 각주부(3)와, 각주부(3)로부터 베드부(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부(4)를 테이블(13) 상에 구비하고 있다. 베드부(2)는, 상면부에 바늘판(5)과 천누름 장치(15)를 갖고 있다. 바늘판(5)은, 재봉침(9)이 통과 가능한 바늘 구멍(5a)(도5 참조)을 갖고 있다. 베드부(2), 각주부(3) 및 아암부(4)는, 재봉틀 기체 틀을 구성하고 있다. 도1에서, 각주부(3)측을 재봉틀(1)의 후방으로 하고 후술하는 천 누름판(16)측을 재봉틀(1)의 전방으로 한다.
아암부(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주축을 갖고 있다. 아암부(4)에는, 상하로 왕복 이동하는 침봉(8) 및 천평(6)(도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침봉(8)의 하단에는, 재봉침(9)이 장착되어 있다. 도3에 있어서 침봉(8)의 좌측에는, 누름 막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막대(11)는, 상하로 이동한다. 누름 막대(11)의 하단부에는, 재봉침(9)을 삽입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천누름부(12)가 고정되어 있다. 윗실 공급원인 도시하지 않은 실톳으로부터 연장되는 윗 실(14)은, 실 인장기(7), 천평(6), 및 복수의 실 안내부(10)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재봉침(9)의 눈구멍(9a)(도4 참조)을 관통하고 있다.
베드부(2)에는, 수직 회전 북집(22)(도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회전 북집(22)은, 재봉침(9)과 협동해서 땀을 형성한다. 수직 회전 북집(22)은, 도시하지 않은 밑실 보빈을 수용한 보빈 케이스(23)를 갖는다. 보빈 케이스(23)는, 바늘판(5)측으로 돌출되는 각부(23a)를 갖고 있다. 각부(23a)의 상단에 밑실(21)을 안내하는 실 안내 구멍(23b)을 갖는다. 밑실 보빈으로부터 연장되는 밑실(21)은, 실 안내 구멍(23b), 실 안내판(24) 및 바늘판(5)의 바늘 구멍(5a)을 통해서 베드부(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재봉침(9)을 설치한 침봉(8), 천평(6) 및 수직 회전 북집(22) 등은, 봉제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천누름 장치(15)는, 봉제 대상인 가공천(W)을 천 누름판(16)과 이송판(17)에 의해 유지한다. 도시하지 않은 X 방향 구동 기구 및 Y 방향 구동 기구는, 천누름 장치(15)를 이동시킨다. X 방향 구동 기구는, X 축 구동 모터(98)(도13 참조)에 의해 이송판(17)을 주축(도시 생략)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 방향 구동 기구는, Y 축 구동 모터(99)(도13 참조)에 의해 이송판(17)을 주축으로 평행한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천누름 장치(1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판(17), 누름팔(18) 및 천 누름판(16) 등을 갖고 있다. 이송판(17)은, 바늘판(5) 상을 전후좌우로 이동한다. 누름팔(18)은, Y 구동 기구 상에 설치되어 있다. 천 누름판(16)은, 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며, 또한 누름팔(18)의 전단부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천 누름판(16)은, 통상은 이송판(17)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아암부(4)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 솔레노이드(20)에 의해 연결 부품(도시 생략)을 통해 천 누름판(16)은 승강한다. 봉제중, 천 누름판(16)은, 누름 솔레노이드(20)에 의해 이송판(17)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결과, 천 누름판(16)은, 이송판(17)과의 사이에 가공천(W)을 끼운다. 가공천(W)을 끼운 천 누름판(16)과 이송판(17)은, 동기해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3)은, 하측으로 제어 박스(2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박스(26)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90)(도13 참조) 및 가압 공기 공급계의 구동부를 내장하고 있다. 테이블(13)은, 하측에 페달형의 기동 정지 스위치(27)가 배치되어 있다. 기동 정지 스위치(27)는, 봉제 동작의 개시 신호 및 종료 신호, 천 누름판(16)의 상승 동작 신호 및 하강 동작 신호를 입력한다.
윗실(14)이 실톳로부터 재봉침(9)에 이르는 윗실 경로는, 도3 지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아암부(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윗실 유지 기구(31), 윗실 해방 기구(32),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 윗실끊기 기구(35) 및 상측 이동 기구(36)는, 아암부(4)를 사이에 두고 윗실 경로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작업자가 윗실(14)을 실톳으로부터 재봉침(9)에 실걸이하는 실걸이 작업을 할 때, 윗실끊기 기구(35) 등은 실걸이 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작업성이 높다.
윗실끊기 기구(35)는, 바늘판(5)의 상방에서 가공천(W)으로부터 재봉침(9)의 눈구멍(9a)으로 연장되는 윗실(14)을 절단한다. 윗실끊기 기구(35)로 절단한 윗실(14)의 실끝(14b)을 윗실 유지 기구(31)는 유지한다. 윗실 해방 기구(32)는, 윗 실 유지 기구(31)가 유지한 윗실(14)의 실끝(14b)을 해방시킨다.
윗실끊기 기구(35)는, 제1 본체 프레임(37)(상측 안내 부재), 제1 가동날(40)(윗실 가동날) 및 제1 고정날(41)을 갖고 있다. 제1 가동날(40)은, 적어도 후술하는 상측 실끊기 위치부터 상측 실채기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제1 본체 프레임(37)은, 도4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37a), 측벽부(37b), 선단 벽부(37c), 후단 벽부(37e) 및 유지 벽부(37d)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유지 벽부(37d)는, 하단부에, 제1 가동날(40)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37f)(도7 참조)을 갖고 있다.
제1 가동날(40)은, 소정폭을 갖는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가동날(40)은, 상측 실채기 위치(도17 참조)와, 상측 실끊기 위치(도3, 도4 참조) 사이를 이동한다. 상측 실채기 위치는, 재봉침(9)의 바로 아래에서 윗실(14)을 걸어 두는 위치이다. 상측 실끊기 위치는, 상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고 있다. 상측 실채기 위치부터 상측 실끊기 위치까지의 거리는, 재봉침(9)의 눈구멍(9a)부터 바늘판(5)까지의 거리보다도 길다. 제1 가동날(40)의 날부(40b)(도7 참조)는, 제1 가동날(40)의 선단의 훅부(40a)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날(41)은, 고정부(41a) 및 날부(41b)를 갖고 있다. 고정부(41a)는, 날부(41b)보다 폭이 넓고, 또한 유지 벽부(37d)의 하측에 고정 나사(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날부(41b)는, 고정부(41a)의 선단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상측 이동 기구(3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이동 기구(36)는, 제1 본체 프레 임(37), 제1 이동 블록(44) 및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제1 공기 실린더)를 갖고 있다. 제1 이동 블록(44)은, 제1 가동날(4O)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는, 제1 이동 블록(44)을 통해 제1 가동날(40)을 왕복 이동시킨다.
제1 이동 블록(44)은,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44a) 및 연결부(44b)를 갖고 있다. 본체부(44a)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 형상이다. 연결부(44b)는, 본체부(44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이동 블록(44)은, 제1 본체 프레임(37)의 저벽부(37a)의 상면을 이동한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는, 후단 벽부(37e)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45a)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45a)의 선단부는, 본체부(44a)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44a)의 전단부는, 제1 가동날(4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윗실 유지 기구(3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실 유지 기구(31)는, 제1 유지 용수철(47)(윗실 유지 용수철), 제1 판 용수철(48) 및 조절 나사(49) 등을 갖고 있다. 제1 유지 용수철(47)은, 유지 벽부(37d)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 판 용수철(48)은, 제1 유지 용수철(47)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 유지 용수철(47)은, 사각 형상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판 용수철(48)은, 사각 형상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대략 제1 유지 용수철(47)과 동일 형상이다. 제1 유지 용수철(47), 제1 판 용수철(48)의 후단부를 유지 벽부(37d)의 상측에 고정 나사(50)는 고정되어 있다. 제1 유지 용수철(47)의 하측으로 구부러지는 전단부가, 제1 가동날(40)의 전단부를 상측으로부터 압박하고 있다. 조절 나사(49)는, 제1 판 용수철(48), 제1 유지 용수철(47)을 통하여, 유지 벽부(37d)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절 나사(49)는, 제1 판 용수철(48)을 제1 유지 용수철(47)에 압박하는 힘, 즉 제1 가동날(40)과 제1 유지 용수철(47) 사이에서 윗실(14)의 실끝(14b)을 유지하는 힘을 조절한다.
윗실 해방 기구(3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실 해방 기구(32)는, 상측 해방 실린더(53)(제2 공기 실린더), 제1 이동 블록(44) 및 제1 가동날(40) 등을 갖고 있다. 상측 해방 실린더(53)는, 후단 벽부(37e)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 해방 실린더(53)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53a)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53a)의 선단부는, 제1 이동 블록(44)의 연결부(44b)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3a)의 이동 범위는,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의 이동 범위보다도 짧다.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내경은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내경보다도 크다. 상측 해방 실린더(53) 및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에 동일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했을 때,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구동력은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구동력보다도 강하다. 그 때문에,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측 해방 실린더(53)를 전진시킬 수 있다.
제1 가동날(40)과 제1 유지 용수철(47)에 의해 윗실(14)의 실끝(14b)을 유지하는 윗실 유지 상태에 있을 때,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3a)를 전진 시킨다. 그 결과,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는, 제1 이동 블록(44)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이동 블록(44)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가동날(40)이 전방의 상측 해방 위치(도18 참조)로 이동한다. 제1 가동날(40)의 이동에 의해, 윗실 유지 기구(31)는 윗실(14)의 실끝(14b)의 유지를 해방한다. 상측 해방 위치는, 상측 실채기 위치보다도, 상측 실끊기 위치측으로 된다.
재봉침(9)의 눈구멍(9a)으로부터 연장되는 윗실(14)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는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는, 제1 본체 프레임(37), 제1 돌출판(55)(상측 돌출 부재) 및 지지 부재(56)를 갖고 있다. 제1 돌출판(55)은, 평면에서 보아 만곡 형상이다. 제1 돌출판(55)은, 만곡 형상의 2개의 원호 홈(55a)(상측 원호 홈)을 소정 간격으로 갖고 있다. 제1 돌출판(55)은, 후단에 있어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고정부(55b)를 일체로 갖고 있다. 고정부(55b)를 제1 본체 프레임(37)의 측벽부(37b)에 고정 볼트(57)는 고정하고 있다. 제1 본체 프레임(37)은, 후단 벽부(37e)가 선단 벽부(37c)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고정 볼트(56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56)를 아암부(4)의 선단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원호 홈(55a)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58)는, 제1 돌출판(55)을 지지 부재(56)에 고정한다.
도5,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본체 프레임(37)은, 평면에서 보아 바늘판(5)의 바늘 구멍(5a)에 대하여 좌측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본체 프레임(37)은, 천누름 장치(15)의 누름팔(18)보다도 전방측의 위치 에 있다. 제1 본체 프레임(37)은, 누름팔(18)과 간섭하지 않는다.
제1 본체 프레임(37)의 방향[윗실(14)의 인장 방향]은, 도8에 도시하는 후방 한계 위치부터, 도19에 도시하는 지지 부재(56)와 평행한 전방 한계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원호 홈(55a)은, 제1 본체 프레임(37)의 이동 한계 위치를 천누름 장치(15)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제1 본체 프레임(37)의 방향을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에 의해 조절할 경우, 작업자는, 고정 볼트(58)를 풀어, 제1 본체 프레임(37)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작업자는, 고정 볼트(58)를 지지 부재(56)에 체결한다. 원호 홈(55a)의 원호의 중심은, 재봉침(9)의 축선 상에 있는 결과, 제1 본체 프레임(37)의 선단은 원호 홈(55a)에 의해 반드시 재봉침(9)을 향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봉틀(1)은, 밑실끊기 기구(65), 하측 이동 기구(66), 밑실 유지 기구(61), 밑실 해방 기구(62) 및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밑실끊기 기구(65), 하측 이동 기구(66), 밑실 유지 기구(61), 밑실 해방 기구(62) 및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는, 바늘판(5)의 하방에 있어서 수직 회전 북집(2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밑실끊기 기구(65)는, 가공천(W)으로부터 수직 회전 북집(22)으로 연장되는 밑실(21)을 절단한다. 밑실 유지 기구(61)는, 밑실(21)의 실끝(21b)을 유지한다. 밑실 해방 기구(62)는, 밑실 유지 기구(61)가 유지한 밑실(21)의 실끝(21b)을 해방시킨다.
밑실끊기 기구(65)는, 제2 본체 프레임(67)(하측 안내 부재), 제2 가동날(70)(밑실 가동날) 및 제2 고정날(71)을 갖고 있다. 제2 가동날(70)은, 적어도 후술하는 하측 실끊기 위치부터 하측 실채기 위치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제2 본체 프레임(67)은,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부(67a), 측벽부(67b), 선단 벽부(67c), 후단 벽부(67e) 및 유지 벽부(67d)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유지 벽부(67d)는, 상단부에, 제2 가동날(70)을 길이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67f)(도12 참조)을 갖고 있다.
제2 가동날(70)은, 소정폭을 갖는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하측 실채기 위치(도20 참조)와, 하측 실끊기 위치(도3, 도9 참조) 사이를 제2 가동날(70)은, 이동한다. 하측 실채기 위치는, 바늘판(5)의 하측에서 밑실(21)을 걸어 두는 위치이다. 하측 실끊기 위치는, 하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하고 있다. 하측 실채기 위치부터 하측 실끊기 위치까지의 거리는, 재봉침(9)의 눈구멍(9a)부터 바늘판(5)까지의 거리보다도 길다. 제2 가동날(70)의 날부(70b)(도12 참조)는, 제2 가동날(70)의 선단의 훅부(70a)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날(71)은, 고정부(71a) 및 날부(71b)를 갖고 있다. 고정부(71a)는, 날부(71b)보다 폭이 넓고, 또한 유지 벽부(67d)의 상측에 고정 나사(7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날부(71b)는, 고정부(71a)의 선단측으로 경사져 설치되어 있다.
하측 이동 기구(6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 도9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이동 기구(66)는, 제2 이동 블록(74) 및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제3 공기 실린더)를 갖고 있다. 제2 이동 블록(74)은, 제2 가동날(70)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는, 제2 이동 블록(74)을 통해 제2 가동날(70)을 왕복 이동시킨다.
제2 이동 블록(74)은,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74a) 및 연결부(74b)를 갖고 있다. 본체부(74a)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 형상이다. 연결부(74b)는, 본체부(74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이동 블록(74)은, 제2 본체 프레임(67)의 저벽부(67a)를 따라 이동한다.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는, 후단 벽부(67e)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는,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75a)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75a)의 선단부는, 본체부(74a)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밑실 유지 기구(6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실 유지 기구(61)는, 제2 유지 용수철(77)(밑실 유지 용수철), 제2 판 용수철(78) 및 조절 나사(79) 등을 갖고 있다. 제2 유지 용수철(77)은, 유지 벽부(67d)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 판 용수철(78)은, 제2 유지 용수철(77)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2 유지 용수철(77)은, 사각 형상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 판 용수철(78)은, 사각 형상의 탄성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2 유지 용수철(77)과 대략 동일 형상이다. 유지 벽부(67d)의 하측에 제2 유지 용수철(77), 제2 판 용수철(78)의 후단부를 고정 나사(80)는, 고정하고 있다. 제2 유지 용수철(77)의 구부러지는 전단부가, 제2 가동날(70)의 전단부를 하측으로부터 압박하고 있다. 조절 나사(79)는, 제2 판 용수철(78), 제2 유지 용수철(77)을 통해 유지 벽부(67d)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절 나사(79)는, 제2 판 용수철(78)을 제2 유지 용수철(77)에 압박하는 힘, 즉 제2 가동날(70)과 제2 유지 용수철(77) 사이에서 밑실(21)의 실끝(21b)을 유지하는 힘을 조절한다.
밑실 해방 기구(6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실 해방 기구(62)는, 하측 해방 실린더(83)(제4 공기 실린더), 제2 이동 블록(74) 및 제2 가동날(70) 등을 갖고 있다.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전단부는, 제2 본체 프레임(67)의 후단 벽부(67e)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하측 해방 실린더(83)는,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83a)를 갖고 있다. 피스톤 로드(83a)의 선단부는, 제2 이동 블록(74)의 연결부(74b)에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피스톤 로드(83a)의 이동 범위는,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피스톤 로드(75a)의 이동 범위보다도 짧다.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내경은,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내경보다도 크다. 하측 해방 실린더(83) 및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에 동일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했을 때,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구동력은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구동력보다도 강하다. 그 때문에,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피스톤 로드(75a)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하측 해방 실린더(83)를 전진시킬 수 있다.
제2 가동날(70)과 제2 유지 용수철(77)로 밑실(21)의 실끝(21b)을 유지하는 밑실 유지 상태에 있을 때, 하측 해방 실린더(83)를 전진시키면,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피스톤 로드(75a)는 제2 이동 블록(74)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2 이동 블록(74)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가동날(70)이 전방의 하측 해방 위치(도21 참조)로 이동하여, 밑실 유지 기구(61)는 밑실(21)의 실끝(21b)의 유지를 해방한다. 하측 해방 위치는, 하측 실채기 위치보다도, 하측 실끊기 위치측으로 된다.
수직 회전 북집(22)의 보빈 케이스(23)의 실 안내 구멍(23b)으로부터 밑실 유지 기구(61)에 연장되는 밑실(21)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는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는, 제2 본체 프레임(67), 제2 돌출판(85)(하측 돌출 부재) 및 고정 볼트(86)(체결 부재)를 갖고 있다. 제2 돌출판(85)은, 평면에서 보아 만곡 형상이다. 제2 돌출판(85)은, 만곡 형상의 2개의 원호 홈(85a)(하측 원호 홈)을 소정 간격으로 갖고 있다. 제2 돌출판(85)은, 전단에 있어서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고정부(85b)를 일체로 갖고 있다. 고정 볼트(87)는 고정부(85b)를 제2 본체 프레임(67)의 측벽부(67b)에 고정하고 있다. 제2 본체 프레임(67)은, 선단 벽부(67c)측일수록 높게[재봉침(9)측일수록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제2 돌출판(85)은, 원호 홈(85a)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86)에 의해 바늘판(5)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본체 프레임(67)은, 평면에서 보아 바늘판(5)의 바늘 구멍(5a)에 대하여 좌경사 전방에 위치한다. 평면에서 보아, 밑실(21)의 인장 방향은, 바늘판(5)의 바늘 구멍(5a)으로부터 보빈 케이스(23)의 실 안내 구멍(23b)을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본체 프레임(67)의 방향[밑실(21)의 인장 방향]은, 도10에 도시하는 전방 한계 위치부터, 도22에 도시하는 X 축으로 평행한 후방 한계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방법은,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와 마찬가지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재봉틀(1)의 제어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90)는, CPU(91), ROM(92) 및 RAM(93)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구성하고 있다. 제어 장치(90)에는, 기동 정지 스위치(94), 누름 스위치(95), 회전 각도 검출 센서(96), 구동 회로(100), 구동 회로(101), 구동 회로(102) 및 구동 회로(103)가 접속하고 있다. 누름 스위치(95)는, 누름판(16)을 누름 위치 또는 누름 해제 위치로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회전 각도 검출 센서(96)는, 주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구동 회로(100)는, 재봉틀 모터(97)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 회로(101)는, 천 누름판(16)을 누름 위치로 절환하는 누름 솔레노이드(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 회로(102)는, X 축 구동 모터(98)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 회로(103)는, Y 축 구동 모터(99)의 구동을 제어한다.
ROM(92)은, 재봉틀(1)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 봉제를 실시하는 복수 종류의 봉제 데이터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봉제 데이터는, 바늘 떨어짐 위치 데이터, 밑실 해방 지령 코드 및 윗실 해방 지령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바늘 떨어짐 위치 데이터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코로부터 최종의 제n 코의 바늘 떨어짐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밑실 해방 지령 코드는, 밑실(21)을 해방시키는 지령 코드이다. 윗실 해방 지령 코드는, 윗실(14)을 해방시키기 위한 지령 코드이다. 봉제 데이터는, 제n 코의 바늘 떨어짐 데이터의 다음에, 윗실(14)을 절단하는 윗실 절단 지령 코드, 및 밑실(21)을 절단하는 밑실 절단 지령 코드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RAM(93)은, CPU(91)에서 연산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90)는,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10 내지 113)가 접속하고 있다.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 및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는, 각각 배기 교축 밸브(104A 내지 107A, 104B 내지 107B)를 내장하고 있다(도15 참조).
상측 실끊기 실린더(45),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로의 가압 공기 공급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도15a, 도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실끊기 실린더(45),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는 왕복 이동형의 공기 실린더이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는, 전진용 공기 도입구(45b), 후퇴용 공기 도입구(45c)를 갖고 있다.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는, 전진용 공기 도입구(75b), 후퇴용 공기 도입구(75c)를 갖고 있다.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는, 공기 공급원(115)으로부터 상측 실끊기 실린더(45)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로를 절환한다.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는, 공기 공급원(115)으로부터 하측 실끊기 실린더(75)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로를 절환한다. 가압 공기를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전진용 공기 도입구(45b)로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45a)는 전진한다. 가압 공기를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전진용 공기 도입구(75b)로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75a)는 전진한다. 가압 공기를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후퇴용 공기 도입구(45c)로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45a)는, 후퇴 한다. 가압 공기를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후퇴용 공기 도입구(75c)로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75a)는 후퇴한다.
배기 교축 밸브(104A)(상측 이동 속도 조절 기구) 및 배기 교축 밸브(106A)(하측 이동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은, 배기 교축 밸브(104B)(상측 이동 속도 조절 기구) 및 배기 교축 밸브(106B)(하측 이동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상측 실끊기 위치로 이동하는 제1 가동날(40)의 속도는, 상측 실채기 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도 느리다. 하측 실끊기 위치로 이동하는 제2 가동날(70)의 속도는, 하측 실채기 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도 느리다.
도15b 및 도1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해방 실린더(53) 및 하측 해방 실린더(83)는 왕복 이동형의 공기 실린더이다. 상측 해방 실린더(53)는, 전진용 공기 도입구(53b), 후퇴용 공기 도입구(53c)를 갖고 있다. 하측 해방 실린더(83)는, 전진용 공기 도입구(83b), 후퇴용 공기 도입구(83c)를 갖고 있다.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는, 공기 공급원(115)으로부터 상측 해방 실린더(53)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절환한다.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는, 공기 공급원(115)으로부터 하측 해방 실린더(83)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절환한다. 가압 공기를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전진용 공기 도입구(53b)로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53a)는 전진한다. 가압 공기를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전진용 공기 도입구(83b)로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83a)는 전진한다. 가압 공기를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후퇴용 공기 도입 구(53c)로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53a)는, 후퇴한다. 가압 공기를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후퇴용 공기 도입구(83c)로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가 공급하면, 피스톤 로드(83a)는 후퇴한다.
배기 교축 밸브(105A)(윗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 및 배기 교축 밸브(107A)(밑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은, 배기 교축 밸브(105B)(윗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 및 배기 교축 밸브(107B)(밑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상측 실끊기 위치로 이동하는 제1 가동날(40)의 속도는, 상측 해방 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도 빠르다. 하측 실끊기 위치로 이동하는 제2 가동날(70)의 속도는, 하측 해방 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도 빠르다.
특히, 배기 교축 밸브(105A)(윗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은, 배기 교축 밸브(107A)(밑실 해방 속도 조절 기구)의 공기 통과량보다도 작다. 윗실(14)은, 밑실(21)보다 저속도로 윗실 유지 기구(31)로부터 빠진다.
윗실 해방 지령 코드에 기초하여, CPU(91)는,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를 구동하여,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53b)로 공급시킨다. 그 후에 소정 시간(130msec) 경과 후, CPU(91)는,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를 구동하여,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53c)로 공급시킨다. 밑실 해방 지령 코드에 대해서는, 윗실 해방 지령 코드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윗실 절단 지령 코드에 기초하여, CPU(91)는,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를 구동하여,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45b)로 공급시킨다. 그 후에 소정 시간(700msec) 경과 후, CPU(91)는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를 구동하여,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45c)로 공급시킨다. 재봉틀(1)의 전원 투입 시는, 어떤 피스톤 로드(45a, 53a, 75a, 83a)도 후퇴하도록, CPU(91)는, 각 구동 회로(110 내지 113)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재봉틀(1)의 작용 및 효과를, 도14 및 도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최종 땀인 제n 코의 바늘 떨어짐 위치 데이터에 의해 봉제가 종료된 T1일 때, 판독한 윗실 절단 지령 코드에 기초하여 윗실끊기 기구(35)는 윗실(14)(도16의 일점쇄선으로 도시)을 절단한다. 윗실 유지 기구(31)는, 절단한 윗실(14)의 실끝(14b)을 유지한다. T2가 되면, 판독한 밑실 절단 지령 코드에 기초하여 밑실끊기 기구(65)는 밑실(21)(도16의 이점쇄선으로 도시)을 절단한다. 밑실 유지 기구(61)는, 절단한 밑실(21)의 실끝(21b)을 유지한다.
윗실(14)의 절단 및 윗실(14)의 유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a에 설명한 바와 같이, T1일 때,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가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45b)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0)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는, 재봉침(9)측으로 전진한다. 피스톤 로드(45a)의 전진에 의해, 제1 가동날(40)은 도4에 도시하는 상측 실끊기 위치로부터 도17에 도시하는 상측 실채기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1 가동날(40)의 훅부(40a)는 재봉침(9)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고, 훅부(40a)는 가공천(W)으로부터 눈구멍(9a)으로 연장되는 윗실(14)을 걸어 둔다.
구동 회로(110)로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700msec 경과 후, 제1 전자기 절환 밸브(104)가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45c)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0)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피스톤 로드(45a)가 후퇴하면, 제1 가동날(40)은 T3에서 도4의 상측 실끊기 위치로 신속하게 후퇴한다. 제1 가동날(4O)의 후퇴에 의해, 훅부(40a)의 날부(40b)와 제1 고정날(41)의 날부(41b)는 윗실(14)을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제1 가동날(40) 및 제1 유지 용수철(47)은, 재봉침(9)의 눈구멍(9a)로 이어지는 절단된 윗실(14)의 실끝(14b)을 유지한다.
제1 가동날(40)은 실톳으로부터 윗실(14)을 풀어내어, 상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상측 실끊기 위치에서 윗실(14)을 절단한다. 가공천(W)으로부터 연장되는 윗실(14)의 실끝(14a)은, 상측 실채기 위치와 상측 실끊기 위치의 거리에 대응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윗실(14)의 긴 실끝(14a)을 손가락으로 잡기 쉬워진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가열한 인두를 이용하여, 흐트러짐 방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밑실(21)의 절단 및 밑실(21)의 유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2일 때,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가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75b)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2)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피스톤 로드(75a)는 전진한다. 피스톤 로드(75a)의 전진에 의하여, 제2 가동날(70)은 도9에 도시하는 하측 실끊기 위치로부터 도20에 도시하는 하측 실채기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2 가동날(70)의 훅부(70a)는 재봉침(9)의 바로 아래로 이동하고, 훅부(70a)는 가공천(W)으로부터 수직 회전 북 집(22)으로 연장되는 밑실(21)을 걸어 둔다.
구동 회로(112)로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700msec 경과 후,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가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75c)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2)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전자기 절환 밸브(106)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피스톤 로드(75a)가 후퇴하면, 제2 가동날(70)은 T4에서 도9의 하측 실끊기 위치로 신속하게 후퇴한다. 제2 가동날(70)의 후퇴에 의해, 훅부(70a)의 날부(70b)와 제2 고정날(71)의 날부(71b)는 밑실(21)을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제2 가동날(70) 및 제2 유지 용수철(77)은, 수직 회전 북집(22)으로 이어지는 절단된 밑실(21)의 실끝(21b)을 유지한다.
제2 가동날(70)은 밑실(21)을 풀어내어, 하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하측 실끊기 위치에서 밑실(21)을 절단한다. 가공천(W)으로부터 연장되는 밑실(21)의 실끝(21a)은, 하측 실채기 위치와 하측 실끊기 위치와의 거리에 대응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밑실(21)의 긴 실끝(21a)을 손가락으로 잡기 쉬워진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가열한 인두를 이용하여, 흐트러짐 방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재봉틀(1)에 있어서, 봉제 개시 시에, 유지 상태의 윗실(14)을 윗실 해방 기구(32)에 의해 해방하는 것과 동시에, 유지 상태의 밑실(21)을 밑실 해방 기구(62)에 의해 해방하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도14 및 도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4에 도시하는 봉제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를 개시한 직후, CPU(91)는 제1 코의 바늘 떨어짐 데이터, 제2 코의 바늘 떨어짐 데이터 다음에, 밑실 해방 지령 코드를 판독한다. 도16에서의 T11일 때, 밑실 해방 기구(62)는 밑실(21)의 실끝(21b)을 해방한다. CPU(91)는 윗실 해방 지령 코드가 판독하여, T12일 때 윗실 해방 기구(32)는 윗실(14)의 실끝(14b)을 해방한다.
밑실(21)의 해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d에 설명한 바와 같이, T11일 때,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가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83b)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3)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피스톤 로드(83a)는 하측 실끊기 실린더(75)의 후퇴측에의 구동력을 이겨내고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83a)의 이동에 의해, 제2 가동날(70)은 도9에 도시하는 하측 실끊기 위치로부터 도21에 도시하는 하측 해방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2 가동날(70) 및 제2 유지 용수철(77)은, 유지하고 있었던 밑실(21)의 실끝(21b)을 해방한다. CPU(91)가 구동 회로(113)로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100msec 경과 후,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가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83c)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3)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7)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하측 해방 실린더(83)의 피스톤 로드(83a)가 후퇴한다.
윗실(14)의 해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12일 때,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가 가압 공기를 전진용 공기 도입구(53b)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1)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 해,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3a)는 상측 실끊기 실린더(45)의 후퇴측으로의 구동력을 이겨내고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53a)의 전진에 의해, 제1 가동날(40)은 도4에 도시하는 상측 실끊기 위치로부터 도18에 도시하는 상측 해방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1 가동날(40) 및 제1 유지 용수철(47)은, 유지하고 있던 윗실(14)의 실끝(14b)을 해방한다. CPU(91)가 구동 회로(111)로 신호를 출력하고나서 130msec 경과 후,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가 가압 공기를 후퇴용 공기 도입구(53c)로 공급하도록, CPU(91)는, 구동 회로(111)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1 해방 전자기 절환 밸브(105)에 의한 가압 공기의 공급에 의해, 상측 해방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3a)가 후퇴한다.
재봉틀(1)은,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를 구비하고 있다. 윗실(14)의 인장 방향은, 제1 본체 프레임(37)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도8에 도시하는 후방 한계위치부터, 도19에 도시하는 전방 한계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다. 봉제를 실시할 경우, 윗실(14)의 인장 방향과 봉제 개시 시의 봉제 방향이 서로 다르게,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에 의하여 윗실(14)의 인장 방향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1)은, 봉제의 개시 시에 윗실 해방 기구(32)가 해방한 윗실(14)의 실끝(14b)을 꿰매어 넣는 일이 없다.
재봉틀(1)은,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밑실(21)의 인장 방향은, 제2 본체 프레임(67)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도10에 도시하는 위치부터, 도22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실(21)의 인장 방향은, 바늘 구멍(5a)으로부터 보빈 케이스(23)의 실 안내 구멍(23b)을 향하 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밑실(21)의 인장 방향이 전술한 동일한 방향과 상이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재봉틀(1)은, 봉제의 개시 시에 밑실 해방 기구(62)가 해방한 밑실(21)의 실끝(21b)을 꿰매어 넣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윗실끊기 기구(35) 및 윗실 유지 기구(31)는 아암부(4)를 사이에 두고 실구로부터 재봉침(9)에 이르는 윗실(14)의 경로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윗실끊기 기구(35) 및 윗실 유지 기구(31)가, 작업자에 의한 윗실(14)의 실패로부터 재봉침(9)까지의 실걸이 작업을 방해하지 않아, 작업성이 좋다.
윗실 방향 조절 기구(33)는 제1 본체 프레임(37)이, 가공천(W)을 누르는 천누름 장치(15)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윗실(14)의 인장 방향을 조절한다. 상측 이동 기구(36) 및 윗실 유지 기구(31)의 인장 방향은 천누름 장치(15)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밑실 방향 조절 기구(63)는 밑실끊기 기구(65)의 제2 가동날(70)을 안내하는 제2 본체 프레임(67), 제2 본체 프레임(67)으로부터 연장된 수평인 제2 돌출판(85), 제2 돌출판(85)에 형성한 원호 홈(85a), 원호 홈(85a)을 통해 제2 돌출판(85)을 바늘판(5) 이면에 연결하는 고정 볼트(86)를 갖는다. 제2 돌출판(85)의 원호 홈(85a)을 통해 제2 본체 프레임(67)의 방향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재봉틀의 사시도.
도2는 재봉틀의 주요부 확대 부분 사시도.
도3은 재봉틀의 부분 정면도.
도4는 재봉틀의 주요부 확대 정면도.
도5는 윗실끊기 기구, 윗실 유지 기구 및 윗실 해방 기구가 평면도.
도6은 윗실 유지 기구의 주요부 부분 정면도.
도7은 제1 본체 프레임의 부분 저면도.
도8은 재봉틀의 베드부의 주요부 부분 평면도.
도9는 재봉틀의 베드부의 정면도.
도10은 재봉틀의 바늘판의 저면도.
도11은 밑실 유지 기구의 주요부 부분 정면도.
도12는 제2 본체 프레임의 부분 저면도.
도13은 재봉틀의 제어계의 블럭도.
도14는 봉제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는 도표.
도15a는 상측 실끊기 실린더에 대한 공기 공급계의 회로도.
도15b는 상측 해방 실린더에 대한 공기 공급계의 회로도.
도15c는 하측 실끊기 실린더에 대한 공기 공급계의 회로도.
도15d는 하측 해방 실린더에 대한 공기 공급계의 회로도.
도16은 윗실과 밑실의 절단 및 해방의 타임차트.
도17은 윗실끊기 기구에 의한 실채기 상태에 있어서의 도4 상당도.
도18은 윗실 해방 상태에서의 도4 상당도.
도19는 윗실의 인장 방향이 상이한 도5 상당도.
도20은 밑실끊기 기구에 의한 실채기 상태에 있어서의 도9 상당도.
도21은 밑실 해방 상태에서의 도9 상당도.
도22는 밑실의 인장 방향이 상이한 도10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봉틀
2 : 베드부
3 : 각주부
4 : 아암부
5 : 바늘판
13 : 테이블
15 : 천누름 장치

Claims (10)

  1. 재봉틀 기체 틀과, 재봉침을 설치한 침봉과, 북집과, 바늘판의 상방에서 가공천으로부터 상기 재봉침의 눈구멍으로 연장되는 윗실을 절단하는 윗실 가동날을 갖는 윗실끊기 기구와, 상기 윗실 가동날을 상기 재봉침의 바로 아래에서 상기 윗실을 걸어 두는 상측 실채기 위치와, 상기 상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한 상측 실끊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상측 이동 기구와, 상기 상측 이동 기구가 상기 윗실 가동날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윗실끊기 기구가 절단한 상기 윗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윗실 유지 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상측 이동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봉침의 상기 눈구멍으로부터 상기 윗실 유지 기구로 연장되는 상기 윗실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윗실 방향 조절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가동날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상측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윗실 방향 조절 기구는,
    상기 상측 안내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측 돌출 부재와,
    상기 상측 돌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원호 홈과,
    상기 재봉틀 기체 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측 원호 홈을 통해 상기 상측 돌출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상측 안내 부재는 상기 재봉침 측단부보다도 반대측의 단부가 상방이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하고, 또한 상기 상측 원호 홈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2항에 있어서, 가공천을 누르는 천누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측 원호 홈은 상기 상측 안내 부재의 이동 한계 위치를 상기 천누름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기체 틀은 아암부를 갖고,
    상기 윗실끊기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는 상기 아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실의 경로와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기체 틀은 아암부를 갖고,
    상기 윗실끊기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는 상기 아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실의 경로와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틀 기체 틀은 아암부를 갖고,
    상기 윗실끊기 기구 및 상기 윗실 유지 기구는 상기 아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윗실의 경로와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판의 하방에서 상기 가공천으로부터 상기 북집으로 연장되는 밑실을 절단하는 밑실 가동날을 갖는 밑실끊기 기구와,
    상기 밑실 가동날을 상기 바늘판의 하측에서 상기 밑실을 걸어 두는 하측 실채기 위치와, 상기 하측 실채기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한 하측 실끊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하측 이동 기구와,
    상기 하측 이동 기구가 상기 밑실 가동날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밑실끊기 기구가 절단한 밑실의 실끝을 유지하는 밑실 유지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은, 밑실을 안내하는 실 안내 구멍을 가진 보빈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이동 기구 및 상기 밑실 유지 기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 케이스의 상기 실 안내 구멍으로부터 상기 밑실 유지 기구로 연장되는 상기 밑실의 인장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밑실 방향 조절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 방향 조절 기구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밑실의 인장 방향을, 상기 바늘판에 형성한 바늘 구멍으로부터 상기 보빈 케이스의 상기 실 안내 구멍을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밑실 가동날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하측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밑실 방향 조절 기구는,
    상기 하측 안내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측 돌출 부재와,
    상기 하측 돌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원호 홈과,
    상기 하측 원호 홈을 통해 상기 하측 돌출 부재를 상기 바늘판의 이면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80020272A 2007-03-06 2008-03-05 재봉틀 KR100983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5151A JP2008212442A (ja) 2007-03-06 2007-03-06 ミシン
JPJP-P-2007-00055151 200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844A true KR20080081844A (ko) 2008-09-10
KR100983697B1 KR100983697B1 (ko) 2010-09-24

Family

ID=3952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272A KR100983697B1 (ko) 2007-03-06 2008-03-05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67629B1 (ko)
JP (1) JP2008212442A (ko)
KR (1) KR100983697B1 (ko)
CN (1) CN101260600B (ko)
AT (1) ATE457378T1 (ko)
DE (1) DE602008000625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28Y1 (ko) * 2013-03-15 2014-06-10 오덕남 실 절단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재봉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23B1 (ko) 2010-01-14 2011-12-22 이상재 쌍침 사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봉틀
CN103668816B (zh) * 2013-12-06 2015-09-23 湖州冠炯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绳绣机机头
JP2016123621A (ja) * 2014-12-26 2016-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CN106257990B (zh) * 2015-04-16 2017-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上线夹紧装置以及缝纫机
CN104805605B (zh) * 2015-05-12 2018-07-10 浙江杜马缝纫机股份有限公司 平缝机的剪线机构
CN106350949A (zh) * 2016-11-29 2017-01-25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面线的剪线机构
CN106436073B (zh) * 2016-11-29 2023-02-03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底面线的剪线结构
DE102017207627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Baugruppe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Soll-Nahtüberstan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270B2 (ja) 1990-05-22 1995-11-08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
JP3339755B2 (ja) * 1994-12-22 2002-10-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糸端処理装置
JPH09299676A (ja) * 1996-05-14 1997-11-25 Juki Corp ミシンの交換糸引出し装置
JP4081701B2 (ja) 1999-07-13 2008-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切換え方法及びその上糸切換え装置
JP4510991B2 (ja) 2000-04-25 2010-07-28 Juki株式会社 糸切り装置
JP2002095882A (ja) * 2000-09-26 2002-04-02 Brother Ind Ltd 上糸カセット及び上糸交換装置
KR100843364B1 (ko) 2001-02-23 2008-07-0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구멍 사뜨기 재봉틀
JP3981972B2 (ja) 2002-03-28 2007-09-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3821098B2 (ja) 2003-01-22 2006-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4419644B2 (ja) * 2004-03-30 2010-02-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上糸挟持機構
CN1763288A (zh) * 2004-10-18 2006-04-26 重机公司 缝纫机的切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28Y1 (ko) * 2013-03-15 2014-06-10 오덕남 실 절단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7629B1 (en) 2010-02-10
DE602008000625D1 (de) 2010-03-25
ATE457378T1 (de) 2010-02-15
KR100983697B1 (ko) 2010-09-24
EP1967629A1 (en) 2008-09-10
JP2008212442A (ja) 2008-09-18
CN101260600B (zh) 2012-06-13
CN101260600A (zh)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697B1 (ko) 재봉틀
KR100983973B1 (ko) 재봉틀
KR20080045071A (ko) 재봉기
JP6031380B2 (ja) 二本針ミシン
JP5522577B2 (ja) 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付二重環縫いミシン
KR101790642B1 (ko) 다중-헤드, 다중-바늘 자수기, 이를 위한 다중-바늘 헤드, 쓰레드 절단 부재 및 쓰레드 절단기
US5333565A (en) Thread cutting via reciprocating arm with pockets and a trimming plate
JP2009066191A (ja) 縫目ほつ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5468334B2 (ja) 縫目ほつ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300874A (ja) ボタン孔ミシン
JP2000325683A (ja) ミシンの鳥の巣防止装置
US20040154507A1 (en) Sewing machine
JP5026231B2 (ja)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KR100705851B1 (ko)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JPH02504594A (ja) 多針縫製機の糸切断付属装置
KR101033076B1 (ko) 재봉틀
JP2006191967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739869B2 (ja) ミシン
JP6581853B2 (ja) 穴かがりミシン
JPH06270A (ja) サテンステッチ押え装置
WO2005024109A1 (en) Device to automatically change the thread in a needle in textile machines, relative method and textile machine adopting said thread-change device
JP4689312B2 (ja) ミシン
JPH04354979A (ja) 複数針ミシンの飾り糸切断装置
JP2004033443A (ja) 縫製方法
JPH0662985U (ja) 偏平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