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851B1 -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 Google Patents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851B1
KR100705851B1 KR1020010028583A KR20010028583A KR100705851B1 KR 100705851 B1 KR100705851 B1 KR 100705851B1 KR 1020010028583 A KR1020010028583 A KR 1020010028583A KR 20010028583 A KR20010028583 A KR 20010028583A KR 100705851 B1 KR100705851 B1 KR 10070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cloth opening
sewing
opening opera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705A (ko
Inventor
오토쿠니타다시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7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2Slitting or groo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08Cutting the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소정 시기에 행해지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할 수 있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봉제물을 고정가능하게 하여 서로 천절단 메스(7)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이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천고정부재(11)와,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접근 또는 이간상태로 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천오프닝 수단(21)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수단(36)(98)과,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피봉제물에 소정의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시기에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70)을 구비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소정시기에 행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할 수 있는 선택수단(114)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CLOTH OPENING DEVICE FOR BUTTONHOLING SEWING MACHINE}
도 1은 본 실시예의 천오프닝 장치가 적용되는 사뜨기 재봉틀의 측면도.
도 2는 도 1 재봉틀의 천누름 작동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 재봉틀의 평면도.
도 4는 도 3 재봉틀의 우측의 천받이 판을 생략한 평면도.
도 5는 도 3 재봉틀의 우측의 천오프닝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 Y시시도.
도 7은 도 5에 있어 X시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의 재봉틀의 제어블록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조작패널을 도시한다.
도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의 동작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의 동작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의 동작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천절단 메스, 8: 천누름부(천고정부재)
11: 천받이판(천고정부재), 21: 천오프닝 수단
36,98: 구동수단, 70: 제어장치
75: 조작패널, 114: 새로꿰매는 모드선택스위치
본 발명은 피봉제물을 한쌍의 천고정부재로 고정한 후 천고정부재의 상호이간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천을 좌우로 잡아당기거나 또 잡아당긴 후 피봉제물의 홈이 벌어지도록 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아일렛 사뜨기 재봉틀에 있어서는 베드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이송대에는 피봉제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좌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배치하여 천고정부재가 피봉제물을 고정한 후 이 천고정부재를 천오프닝 장치에 의해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이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선(先)메스의 경우에는 천절단 메스로 피봉제물에 홈을 형성한 후 천오프닝 장치에 의해 천고정부재를 이간시켜 홈을 벌린 상태에서 사뜨기를 실시한다. 또한 천절단 메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천오프닝 장치로 천고정부재를 이간시켜 피 봉제물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사뜨기를 행하며, 후(後)메스의 경우에는 그 사뜨기재봉후에 천절단 메스로 봉제물에 홈을 넣는다. 통상 선메스는 니트지나 얇은 천등의 연한 피봉제물에 사뜨기를 실시할 때 행해지고, 또 후메스는 양복이나 진과 같은 피봉제물에 사뜨기를 실시할 때 또는 홈부를 사뜨는 것을 중요하게 하거나 또는 우선하는 봉제시 행해진다.
종래의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천고정부재가 피봉제물을 고정한 후 상기한 것과 같이 봉제전에 반드시 천오프닝 장치가 동작하여 천고정부재가 이간한다. 그러나 예를들면 실절단이나 봉제어긋남 등으로 인해 사뜨기 사이클 완료후 다시꿰매야 할 때 천오프닝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특히 본래는 홈이 형성되기 전에 사뜨기 봉제가 행해지는 후메스 설정상태에 있어서 이러한 다시 꿰매는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이미 천절단이 행해진 피봉제물의 홈을 벌린 상태에서 사뜨기 봉제가 행해지게 되므로 홈부가 벌어질 때 피봉제물이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솔기 폭이 좁아지고, 다른 봉제 아일렛부의 솔기 폭과의 정합을 이룰 수 없게 되어 현저히 상품가치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천오프닝 양을 기계적으로 조정하는 조정장치가 배치된 경우에는 그 조정장치에 의해 천오프닝 양을 0으로 하거나 또는 스토퍼와 같은 부품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천오프닝 장치가 동작하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고정하여 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 후 다시 꿰매는 작업을 행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부품의 부착이 나 천오프닝 양의 조정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작업효율을 저하시켰다.
또 상기의 천오프닝 양의 조정은 개별의 사뜨기 재봉틀의 부착상태나 봉제조건에 따른 미세조정이 요구되므로 일단 기계조정을 변경하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는 것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다시 꿰매는 작업 등의 일시적인 사용을 위해 이 조정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소정시기에 행해지는 천오프닝 동작을 간단하게,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할 수 있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봉제물을 고정가능하게 하여 서로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이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천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상기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접근상태에서 이간상태로 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가능하게 한 한쌍의 천오프닝 수단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봉제물에 소정의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시기에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소정시기에 행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이간상태로 유지한다. 혹은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접근상태로 유지한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로 할 때는 상기 천고정부재에 의한 천고정 후 또는 봉제동작 전에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고,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는 상기 천고정부재에 의한 천고정 전에 천오프닝 동작을 완료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천누름부와 협동하여 피봉제물을 고정가능하게 하여 서로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이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천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상기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접근상태에서 이간상태로 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가능하게 한 한쌍의 천오프닝 수단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봉제물에 소정의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시기에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천고정부재의 접리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가능하게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구성이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다음 천오프닝 장치라고 약칭함)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사뜨기 재봉틀의 개략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재봉틀 기틀(1)은 대략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는 베드부(2)에 그 안쪽 상부에서 앞쪽으로 뻗는 암부(3)가 배치되어 되는 것으로 베드부(2)의 하부에는 바닥커버(4)가 부착된다.
암부(3)의 선단부에는 재봉바늘(5)이 부착된 바늘봉(6)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한편 베드부(2)에는 바늘봉(6)의 바로 밑에 위치하여 이 바늘봉(6)의 상하이동에 동기하여 작동함으로써 바늘봉(5)과 협동하여 피봉제물에 솔기를 형성하는 루퍼(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또 상기 암부(3)에는 천절단 메스(7)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드부(2)에는 메스받이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천절단 메스(7)에서는 피봉제물에 아일렛 구멍모양의 홈이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도 1에 있어 천받이판(11)은 이송대(10)상에 좌우 한쌍 배치되고, 천누름부(8)는 각각 천받이판(11)에 대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좌우 한쌍 배치된다. 이 천받이판(11) 및 천누름부(8)에 의해 천고정부재를 구성한다.
천누름부(8)에 의해 천받이판(11)상에 올려놓여진 피봉제물을 누르고, 이 상태에서 아일렛구멍의 형상에 따라 이송대(10)를 이동시켜 아일렛의 주연에 순차로 사뜨기 재봉을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송대(10)는 그 아래쪽 및 베드부(2)내에 배치된 이송대 이동수단(12)에 의해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천누름부(8)를 작동시키는 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천누름부(8)를 선단에 구비한 암부(13)는 축(13a)을 통해 천받이판(11)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며, 그 기단부에는 상기 천받이판(11)에 형성된 구멍(11a)을 통해 이 천받이판(11)의 뒤쪽으로 뻗어나오는 역 ㄷ자모양의 받이암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천이송대(10)에는 링크(15)가 좌우로 뻗는 축(16)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되며, 그 한쪽의 단부에 부착된 핀(17)이 상기 받이 암부(14)와 연결된다. 이 경우 받이 암부(14)는 핀(17)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접동할 수 있다.
또 링크(15)의 다른쪽 단부에 부착된 핀(18)은 이송대(10)에 배치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누름용 구동체(19)의 로드(19a)에 죠인트(20)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기구에서는 로드(19a)를 신장하면 천누름부(8)가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이 천누름부(8)에 의해 피봉제물이 천누름판(11)으로 눌리게 된다.
다음 도 3 ~ 도 7을 참조하여 천오프닝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이송대(10)에는 천절단 메스(7)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양측에 한쌍의 천받이판(11)(11)이 상기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화살표 A·B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우측의 천받이판(11)은 천오프닝 수단(21)을 나타내기 위해 생략하고 있다.
이 천오프닝 수단(21)은 상기 천절단 메스(7)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한쌍의 천받이판(11)(11)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 천받이판(11)(11)에 고정되어 천절단 메스(7)에 의해 홈이 형성된 피봉제물의 상기 홈을 개폐하도록 되어있다.
우측의 천오프닝 수단(21)은 상기 천받이판(11)의 이동방향(화살표 A·B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화살표C·D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캠판(작동체)(22)과, 이 캠판(22)에 연결되어 이 캠판(22)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링크(구동부재)(23)와, 상기 천받이판(11)에 연결되어 상기 캠판(22)의 전후이동에 연동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판(종동체)(24)(24)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24)은 좌우로 긴 것으로 그 좌우양단부에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긴 장공(24a)(24a)이 형성되고 이 장공(24a)(24a)에 단나사(26)(26)를 삽통하여 이 단나사(26)(26)를 이송대(10)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레일판(24)은 이송대(10)에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또 상기 각 레일판(24)의 우단부 하면에는 굴림대(27)가 단나사(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캠판(22)은 전후(화살표 C·D방향)으로 긴 것으로 그 전후단부에는 각각 전후로 긴 장공(22a)(2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22a)(22a)에 단나사(29)(29)를 삽통하여 이 단나사(29)(29)를 이송대(10)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캠판(22)은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상기 캠판(22)은 레일판(24)(24)의 하측에 배치되고, 이 캠판(22)의 전후단부에는 각각 경사면(30)(30)이 형성된다. 이들 경사면(30)(30)은 뒤쪽을 향함에 따라 점차 왼쪽으로 경사지므로 이 경사면(30)(30)에는 상기 굴림대(27)(27)가 접촉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캠판(22)이 전후로 이동하면 굴림대(27)(27)가 경사면(30)(30)을 상대적으로 전동(轉動)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레일판(24)(24) 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레일판(24)(24)은 캠판(24)(24)의 전후이동에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구동링크(23)는 상기 레일판(24)(24)사이에서 또한 상기 캠판(22)의 우측에 배치되며, 그 중앙부를 단나사(34)에 의해 이송대(10)에 부착하는 것으로 단나사(34)를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이송대(10)에 부착되고 있다.
상기 구동링크(23)의 일단부에는 장공(23a)이 형성되고, 이 장공(23a)에 단나사(35)를 삽입하여 이 단나사(35)를 상기 캠판(22)의 중앙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구동링크(23)의 일단부는 캠판(22)의 중앙부에 회동함과 동시에 자유롭게 접동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구동링크(23)의 타단부는 에어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에 너클(37)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에어실린더(36)는 이송대(10)의 오른쪽 테두리부에 전후를 향해 배치된 것으로 그 후단부는 핀(38)을 통해 이송대(1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36)는 도시하지 않은 콤프렛서 등의 에어공급원에 도시하지 않은 전자밸브와 에어호스를 통해 접속되고 제어장치에 의해 피스톤 로드(36a)가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구동링크(23)는 에어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에 의해 단나사(34)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 구동링크(23)의 회동에 의해 캠판(22)이전후로 직선이동하며, 이 캠판(22)의 전후의 직선이동에 의해 레일판(24)(24)이 경사면(30)(30) 및 굴림대(27)(27)를 통해 좌우로 직선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구동링크(23)의 이동스트로크 즉 구동링크(23) 단부의 전후방향으로 의 이동스트로크는 레일판(24)(24)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스트로크보다 길어지도록 설정된다. 예를들면 구동링크(23)의 이동스트로크 : 레일판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스트로크 = 5 : 1로 설정된다.
상기 레일판(24)(24)에는 각 레일판(24)과 상기 캠판(22)과의 위치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40)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상기 조정부재(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각 레일판(24)의 우단부 하면에는 굴림대판(41)이 고정나사(42)(42)에 의해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착하고 있다. 즉 각 레일판(24)에는 2개의 장공(도시생략)이 형성되어있어 각 장공에 고정나사(42)를 삽통하고 이 고정나사(42)를 굴림대판(41)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굴림대판(41)은 레일판(42)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나사(42)를 느슨하게 하여 굴림대판(41)을 레일판(24)에 대해 장공의 분만큼 약간 이동시키는 것으로 굴림대판(41)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나사(42)를 조이는 것으로 위치조절된 굴림대판(41)을 레일판(24)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림대판(41)에 상기 굴림대(27)가 단나사(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굴림대판(41)의 부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굴림대(27)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각 레일판(24)과 상기 캠판(22)의 위치관계를 조절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굴림대판(41)의 조절위치는 상기 이송대(10)상에 배치된 좌우의 천받이판(11)(11)이 평행하게 된다. 환언하면 후술하는 천오프닝 판(45)에 배치되어 레일판(24)(24)을 천받이판(11)에 연결하기 위한 천오프닝 받이핀(25)(25)의 좌우방 향의 위치가 같아지는 위치이다.
즉 상기 캠판(22)의 전후에 형성된 경사면(30)(30)에 레일판(24)(24)에 배치된 전후 2개의 굴림대(27)(27)가 접촉했을 때 2개의 레일판(24)(24)의 좌우의 위치를 상기 굴림대(27)(27)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천오프닝 받이핀(25)(25)의 좌우방향의 위치가 같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각 레일판(24)과 캠판(22)과의 위치관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판(24)(24)에는 이들을 연결하도록 하여 천오프닝 판(작동부재)(45)을 고정하고, 이 천오프닝 판(45)에 상기 천받이 판(11)을 연결하고 있다.
즉 상기 천오프닝 판(45)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2등변 삼각형상을 이룬 것으로 그 저면의 길이가 상기 전후의 레일판(24)(24)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게 설정된다. 또 상기 천오프닝 판(45)의 저변 모서리부에는 각각 2개의 구멍이 형성되어있어 이 구멍에 나사(46)를 삽입하고 레일판(24)(24)의 선단부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이 레일판(24)(24)에 이들을 연결하도록 하여 천오프닝 판(45)이 고정된다.
또 천오프닝 판(45)의 저변 모서리부에는 각각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에 상기 레일판(24)을 이송대(10)에 부착하는 단나사(26)의 머리부가 노출된다.
또한 상기 천오프닝 판(45)의 저변 모서리부에는 각각 천오프닝 받이핀(25)(25)이 배치되어있고, 이 천오프닝 받이핀(25)(25)을 천받이판(11)에 형성된 구멍(11b)(11b)에 삽입함으로써 천받이판(11)이 천오프닝 판(45)에 연결된다. 즉 천받이판(11)은 천오프닝 판(45)을 통해 전후 2개의 레일판(24)(24)에 연결된 다.
또 상기 천오프닝 판(45)의 정상부에는 스프링(47)의 일단부가 계지되어있고, 이 스프링(47)의 타단부는 이송대(10)에 부착된 스프링 거는 부(48)에 계지된다. 상기 스프링(47)은 인장상태로 배치되어 이 스프링(47)의 부세력에 의해 천오프닝 판(45)을 화살표 A방향으로 부세하며 이에 따라 레일판(24)(24)에 부착된 굴림대(27)(27)는 상기 경사면(30)(30)에 캠판(22)을 왼쪽으로 부세한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다.
구동링크(23)의 근방에는 상기 천절단 메스(7)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상기 천받이 판(11)이 최접근하는 위치와, 최이간하는 위치의 양쪽을 상기 구동링크(23)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으로 규제하는 규제수단(50)(51)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규제수단(51)은 봉제시 천받이판(11)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대(10)에는 나사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구멍(52)에는 스토퍼나사(53)가 나합되며, 넛트(54)로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나사(53)의 선단부에 상기 구동링크(23)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것으로 구동링크(23)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규제수단(51)에서는 구동링크(23)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것으로 캠판(22) 뒤쪽(화살표 D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에 따라 레일판(24)(24), 천오프닝 판(45)의 오른쪽(오프닝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이 천오프닝 판(45)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천받이판(11)의 오프닝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나사(53)의 위치조절을 행함으로써 천받이판(11)의 오프닝 측으로의 이동규제(위치규제)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규제수단(51)은 천받이 판(11)에서 먼 곳에 있는 구동링크(23)의 근방에서 또한 이송대(10)의 앞단부에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천받이판(11)의 오프닝측으로의 이동규제의 조정작업을 천절단 메스(7)등이 방해가 되지 않게 또한 피봉제물을 천받이판(11)에 올려놓은 채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규제수단(50)은 초기위치에서의 천받이판(11)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대(10)의 측면에는 구동링크(23)와 에어실린더(36) 및 너클(37)과의 연결부 부근에 구동링크(23)의 단부 전후의 이동량보다 충분히 긴 장공(55)이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대(10)의 장공(55)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에는,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이 배치되고, 이 천오프닝 스토퍼판(56)에는 상기 장공(55)을 관통하여 고정나사(57)(57)가 박히게 된다. 그리고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은 고정나사(57)(57)를 조이는 것으로 이송대(10)에 고정되고, 고정나사(57)(57)를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57)(57)를 이송대(10)와의 사이에는 장공(55)을 감추는 스토퍼커버(58)가 끼워져 이 고정나사(57)(57)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천오프닝 스토퍼판(56)에는 장공(60)이 형성된다. 이 장공(60)은 상기 장공(55)보다 짧고 또한 상기 구동링크(23)의 단부 전후의 이동량 보다는 긴 것으로 이 장공(60)에는 구동링크(23)의 단부로 뻗어나와 형성된 연출(延出)부(23a)가 삽입된다. 또한 이 연출부(23a)는 상기 스토퍼커버(58)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장공(55)에도 들어가 있다.
상기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의 앞단부는 L형으로 구부러지고 이 부분에는 나사구멍(61)이 형성된다. 한편 이송대(10) 측면의 앞부단면(62)에는 구멍(3)이 형성되어있어, 이 구멍(63)에는 조절나사(64)가 삽통되며 이 조절나사(64)는 상기 나사구멍(61)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나사(57)(57)를 느슨하게 한 후 조절나사(64)를 돌리는 것으로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은 전후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규제수단(50)에서는 상기 에어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가 인입되고, 구동링크(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연출부(23a)가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여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의 장공(60)의 단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구동링크(23)의 이동범위를 규제하고 이에 따라 천받이판(11)의 클로우징 측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즉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가 상기 장공(60)의 단면에 닿는 것으로 캠판(22)의 앞쪽(화살표 C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에 따라 레일판(24)(24), 천오프닝 판(45)의 왼쪽(클로우징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이 천오프닝 판(45)에 연결되는 상기 천받이판(11)의 클로우징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의 위치를 조절나사(64)에 의해 조절하는 것으로 천받이판(11)의 닫는 측으로의 이동규제(위치규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천오프닝 수단(21)에 의한 천오프닝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에어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가 인입위치에 있고, 레일판(24)(24)이 클로우징 측(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천받이 판(11)이 최접근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의 초기상태에서 에어실린더(36)를 작동시키고 그 피스톤 로드(36a)를 도 4, 도 5에 도시하는 상태까지 팽팽하게 하면 구동링크(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 구동링크(23)의 일단부가 뒤쪽(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링크(23)의 일단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캠판(22)이 뒤쪽으로 직선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레일판(24)(24)이 오른쪽(화살표 B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이 레일판(24)(24)에 천오프닝 받이핀(25)(25)에 의해 연결되는 천받이판(1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천받이판(11)에 고정되는 피봉제물의 홈이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가 상기 규제수단(51)의 스토퍼나사(53)의 선단부에 접촉하면 구동링크(23)의 작동이 정지하고, 이에 따라 천받이판(11)의 이동도 정지하여 천오프닝 동작이 종료한다.
한편 피봉제물의 홈을 오므릴 때에는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가 스토퍼나사(53)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천오프닝 수단(21)을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피봉제물의 홈이 오므라들게 된다. 그리고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가 상기 규제수단(50)의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의 장공(60)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구동링크(23)의 작동이 정지하고 이에 따라 천받이판(11)의 이동도 정지하여 천클로우징 동작이 종료한다.
또 상기 규제수단(50)에 의해 천오프닝 양을 조정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우선 상기 에어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a)를 인입상태로 해 두고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를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의 장공(60)의 단면에 접촉시켜 둔다.
다음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57)(57)를 느슨하게 하고, 조절나사(64)를 돌리면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이 전후로 이동하며, 그 장공(60)의 단면에 접촉하고 있는 구동링크(23)의 연출부(23a)가 전후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구동링크(23)가 단나사(34)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경우 조절나사(64)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이 앞쪽(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링크(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캠판(22)이 뒤쪽(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며, 천오프닝 판(45)이 오른쪽(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천오프닝 판(4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결되는 천받이판(11)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천받이판(11)의 위치가 클로우징 측으로의 규제위치이므로 이 위치와 오프닝 측의 규제위치와의 간격이 짧아지므로 천받이판(11)의 오프닝측으로의 이동량이 작아지게 되어 이 결과 천오프닝 양이 작아진다.
한편 상기 조절나사(64)를 왼쪽으로 돌리면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이 뒤쪽(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링크(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캠판(22)이 앞쪽(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며, 천오프닝 판(45)이 왼쪽(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천오프닝 판(45)이 왼쪽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결되는 천받이판(11)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천받이판(11)의 위치가 클로우징 측으로의 규제위치이므로 이 위치와 오프닝 측의 규제위치와의 간격이 길어지므로 천받이판(11)의 오프닝 측으로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어 이 결과 천오프닝 양이 커진다.
상기와 같이 하여 천오프닝 양을 조정하면 상기 고정나사(57)(57)를 조여 천오프닝 스토퍼판(56)을 이송대(10)에 고정한다. 이와같이 상기 규제수단(50)에서는 천오프닝 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규제수단(50)이 구동링크(23)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 구동링크(23)의 이동스트로크가 레일판(24)(24)의 이동스트로크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조정나사(64)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천받이판(11)의 클로우징 측(상기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상기 천고정부재가 최접근하는 위치)에 있어 이동규제의 미세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제수단(50)은 천받이판(11)에서 먼 곳에 있는 구동링크(23)의 근방에서 또한 이송대(10)의 오른쪽 테두리부에 배치되므로 천받이판(11)의 클로우징 측으로의 이동규제의 조정작업을 천절단 메스(7) 등이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피봉제물을 천받이판(11)에 올려놓은 상태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규제수단(50)(51)은 모두 재봉틀 기틀의 외측에서 구동링크(23)의 이동범위를 조절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대(10)의 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천받이판(11)의 이동규제의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봉틀의 제어블록도이다. 제어장치(70)는 재봉틀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봉제에 필요한 데이터가 기억되는 ROM(71), 각종 계산 및 처리를 행하는 CPU(72), 조작패널(75)에서 입력 또는 설정된 데이터, 프로그램을 기초로 CPU(72)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등이 기억되는 RAM(73)을 구비하고 있다. CPU(72)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조작패널(75), 스타트 스위치(76) 및 누름 스위치(77)가 접속된다.
재봉틀의 도시하지 않은 주축은 서보모터(8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고, 도 1에 도시한 이송대(10)는 X축 펄스모터(81) 및 Y축 펄스모터(82)에 의해 X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또한 도 1의 바늘봉(6)과 도시하지 않은 루퍼는 아일렛부의 봉제를 위해 Z축 펄스모터(8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들 4개의 모터(80~83)는 각각 모터 드라이브회로(84~87)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4)를 통해 CPU(72)에 접속된다. 이송대(10)는 X축 원점센서(88) 및 Y축 원점센서(89)에 의해 그 원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며, 바늘봉 및 루퍼의 원점은 Z축 펄스모터(83)의 회전축의 위상을 검출하는 Z축 원점센서(90)에 의해 검출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들 X, Y 및 Z축 원점센서(88)(89)(9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74)를 통해 CPU(72)에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한 천절단 메스(7)는 천절단 실린더(92)에 의해 천누름부(8)는 누름용 구동체(에어실린더)(19)에 의해 천오프닝 수단(21)은 에어실린더(36)에 의해 각각 구동되지만 이들 각 실린더(92)(19)(36)는 각각 실린더 구동전자밸브(94)(96)(98)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74)를 통해 CPU(72)에 접속된다.
도 9는 조작패널(75)을 도시한다. 조작패널(75)은 재봉틀을 기동할 수 있는 봉제상태와 데이터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준비상태를 변환하는 준비스위치(102), 봉제상태인지 준비상태인지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104), 사용하는 패턴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06), 선택되고있는 패턴데이터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108), 천절단 메스의 동작(메스 낙하)의 유무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10), 이 선택스위치(110)에서 선택된 메스낙하의 유무를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12), 통상모드와 2종류의 다시 꿰매는 모드(천오프닝 ON모드와 천오프닝 OFF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14), 이 선택스위치(114)에서 선택된 다시 꿰매는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116), 데이터 항목설정용의 스위치군(118)으로 구성된다.
준비스위치(102)는 1회 누를 때 마다 봉제상태와 준비상태로 변환되고, 선택스위치(110)는 1회 누를 때 마다 메스낙하의 유무가 변환된다.
상기 모드표시부(104)는 LED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들면 봉제상태시에 점등하고 준비상태시에 소등한다. 마찬가지로 동작표시부(112)도 LED에 의해 구성되며 예를들면 천절단 메스의 동작이 있을 때에 점등한다.
상기 패턴선택 스위치(106)는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부(108)의 수자를 증감하여 패턴 No.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군(118)은 데이터항목의 선택스위치(120)와 데이터항목의 표시부(122), 데이터의 선택스위치(124)와 데이터 표시부(126), 데이터 설정모드의 선택스위치(128)로 구성된다.
이 데이터항목은 여러개가 있고 예를들면 재봉틀의 회전수, 바늘 수 등이 각 각 항목 No.가 할당되고 있으며 선택스위치 120의 +, -키를 조작하여 선택된 항목 No.를 항목표시부(122)에 표시한 후 선택스위치(124)의 +,-키를 조작함으로써 데이터 표시부(126)의 수자를 증감하고 원하는 회전수나 바늘 수 등에 맞춤으로써 각 데이터항목 및 그 데이터가 선택되며, 선택스위치(128)를 누르면 선택된 대로 CPU(72)에 의해 설정된다.
다시 꿰매는 모드의 선택스위치(114)는 1회 누를 때 마다 통상모드에서 천오프닝 ON모드로, 천오프닝 모드에서 천오프닝 OFF모드로, 천오프닝 OFF모드에서 통상모드로 변환된다.
통상모드라 함은 통상의 사뜨기 재봉을 행하는 모드로 천오프닝 동작도 소정시기에 통상대로 행해진다. 천오프닝 ON모드와는 천누름부에 의해 천을 천받이판 상에 압착하기 전에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고, 그 후는 천받이 판을 닫지 않고 그 상태로 봉제작업을 행하는 모드이다. 천오프닝 OFF모드라 함은 천받이판을 벌리지 않고 닫은 상태로 봉제작업을 행하는 모드이다.
다음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조작패널(75)의 조작을 기초로 제어장치(70)가 행하는 각종 동작모드 설정 및 제어동작을 도 10 ~ 도 12의 플로우챠트를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천받이판(11)은 닫은 상태이다.
전원투입 후 도 10의 플로우챠트의 스텝 1에서 작업자에 의한 조작패널(75)로의 패턴입력대기가 된다. 선택스위치(106)가 눌린 경우에는 스텝 2에서 패턴 No.를 갱신하고 스텝 3으로 진행한다.
선택스위치(106)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3으로 진행하여 데이터 설 정모드의 선택스위치(128)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택스위치(128)가 눌러진 경우는 스텝 4에서 데이터 설정을 행하고, 스텝 5로 진행한다. 데이터 설정모드 선택스위치(128)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는 스텝 5로 진행하여 선택스위치(110)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택스위치(110)가 눌러져 있으면 스텝 6으로 진행하고, 천절단 메스의 동작이 있는 지 여부가 판정되며 있을 경우에는 스텝 7에서 메스가 있다는 설정을 행하고 나서 스텝 9로 진행한다. 천절단 메스의 동작이 없을 경우에는 스텝 8에서 메스가 없다는 설정으로 행하고 나서 스텝 9로 진행한다.
스텝 9에서 다시 꿰매는 모드의 선택스위치(114)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하여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 10으로 진행하고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3으로 진행한다.
스텝 10에서는 다시 선택스위치(114)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하여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 11에서 천오프닝 OFF모드의 설정을 행한 후 스텝 14으로 진행하고,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2에서 천오프닝 모드 ON의 설정을 행한 후 스텝 14로 진행한다. 스텝 13에서는 통상모드의 설정을 행한 후 스텝 14로 진행한다.
스텝 14에서는 준비스위치(102)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하여 눌러지면 조작패널(75)의 각종 스위치의 조작을 기초로 각종 설정이 종료되며, 도 11의 플로우챠트의 스텝 15로 진행한다. 준비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았을 때는 스텝 1로 복귀한다.
스텝 15에서는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솔기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 16에서 이송대의 원점검색, 바늘봉과 루퍼의 원점검색 이동동작을 행한다.
다음 스텝 17에서 천오프닝 ON모드인지를 판정하여 천오프닝 ON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18에서 천오프닝 기구를 동작시켜 천받이판(11)을 오프닝한 상태로 한 후 스텝 19로 진행한다.
천오프닝 ON 모드가 아닌 경우(통상모드의 경우 또는 천오프닝 OFF모드인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19로 진행하여 준비스위치(102)가 눌러졌는 지 여부를 판정한다.
준비스위치(102)가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 20에서 천오프닝 ON모드인지를 판정하여 천오프닝 ON모드인 경우에는 천받이판(11)을 접근시켜 닫은 후 스텝 1로 되돌아 온다. 스텝 20에서 천오프닝 ON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1로 복귀한다.
스텝 19에서 준비스위치(102)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2로 진행하여 누름 스위치(77)가 눌러졌는 지를 판정한다.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9로 되돌아 가고,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 23으로 진행하여 누름부를 내리고, 스텝 24로 진행한다.
스텝 24에서는 다시 누름스위치(77)가 눌러졌는 지를 판정하여 눌러진 경우에는 스텝 25에서 누름부를 상승하여 스텝 19로 되돌아 온다.
스텝 24에서 누름스위치(77)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6으로 진행하고, 스타트 스위치(76)가 눌러졌는 지를 판정하여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24로 되돌아 가고 눌러진 경우에는 도 12의 플로우챠트의 스텝 27로 진행한다.
스텝 27에서 천절단 메스동작의 유무를 판정하여, 없는 경우는 스텝 29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28에서 천절단 실린더(92)를 구동하여 천절단을 행한다.
스텝 29에서는 통상모드인지의 판정을 행하여 통상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30으로 이행하고, 천오프닝 기구를 동작시켜 천받이판(11)을 벌린상태로 한 후 스텝 31로 이행한다. 통상모드가 아닌(천오프닝 ON모드 또는 천오프닝 OFF모드) 경우에는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지 않고 그대로 스텝 31 ~34의 동작을 실행한다.
스텝 31에서는 이송대를 재봉시작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 32에서 재봉틀 주축을 회전하여 봉제를 행한다. 봉제종료 후 스텝 33에서 이송대를 원점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바늘봉과 루퍼를 원점위치로 이동하며, 스텝 34에서 누름부를 상승시켜 스텝 35로 진행한다.
스텝 35에서는 통상모드인 지를 판정하여 통상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36에서 천받이판(11)을 닫고나서 스텝 19로 되돌가 가며, 작업자에 의한 조작패널의 조작대기가 된다. 스텝 35에서 통상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19로 되돌아 간다.
이상과 같이 도 9의 조작패널(75)의 다시 꿰매는 모드의 선택스위치(114)를 한번 누름으로써 천오프닝 ON모드가 선택되고, 도 10의 스텝 9,10,12가 실행되어 천오프닝 ON모드가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스텝 18이 실행되고, 스텝 30, 스텝 36의 동작이 생략되므로 천받이판(11)은 누름부에 셋트된 천은 다시꿰매는 봉제가 종료할 때 까지 벌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시 꿰맬 때 이미 봉제가 끝난 재봉형상의 위치에 다시꿰매는 위치를 맞추는 것이 쉬워진다. 또 천오프닝이 열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시 꿰매는 봉제중에 천의 위치어긋남이 얼어나지 않는다.
또 선택스위치(114)를 2번 누름으로써 천오프닝 OFF모드가 선택되고, 도 10의 스텝 9,10,11이 실행되어 천오프닝 OFF모드가 설정된다. 이 설정에 의해 스텝 18이 실행되고, 스텝 30,36의 동작이 생략되므로 천받이 판(11)은 한번도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꿰매는 봉제가 종료된다.
따라서 다시 꿰맬 때 이미 봉제가 끝난 재봉형상의 위치에 다시 꿰매는 위치를 맞추는 것이 쉬워진다. 또 천오프닝이 닫힌 상태이므로 다시 꿰매는 봉제중에 천의 위치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플로우챠트는 선메스 또는 메스낙하가 없는 경우이지만 후메스의 경우에는 스텝 27,28이 생략되어 스텝 32의 봉제작업에서의 직선부가 사뜨기 재봉 종료 후 아일렛 구멍부가 사뜨기 재봉 전에 천절단 메스구동이 행해지는 점에서 다를 뿐이므로 그 외의 스텝은 선메스의 경우와 같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9의 조작패널(75)의 다시 꿰매는 모드의 선택스위치(114)에서 3개의 모드(통상모드와 2종류의 다시 꿰매는 모드)를 선택가능하게 했지만 다시 꿰매는 모드는 천오프닝 ON모드만 또는 천오프닝 OFF모드만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모드표시부(116)는 표시부(104)(112)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LED로 구성되며, 예를들면 다시 꿰매는 모드일 때 점등하고 통상모드시에 소등한다.
또 구동수단과 천오프닝 수단 사이에 클러치 등의 기계적인 수단을 배치하고, 선택수단에 의해 유효무효로 할 때 이 기계적인 수단을 작용시켜 천오프닝 수단의 작용을 유효무효로 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수단이 소정시기에 행해지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가능하게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했다.
이 선택수단에 의해 천오프닝 수단을 무효로 변환하고, 다시 꿰매는 등의 일시적인 사용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후메스 봉제품의 다시 꿰매는 작업을 할 때 사뜨기 재봉폭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 다시 꿰매는 작업 종료후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로 변환함으로써 통상의 사뜨기가 가능하며 종래의 조정장치에 의해 천오프닝 양을 0으로 조정하여 다시 꿰매는 작업을 하는 경우와 같이 천오프닝 양을 재조정할 필요가 없다.
다시 꿰매는 봉제가 종료할 때 까지 천고정부재를 벌린 상태 혹은 닫은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꿰맬 때 이미 봉제가 완료된 봉제형상의 위치에 다시 꿰매는 봉제 위치를 쉽게 맞출 수 있음과 동시에 다시 꿰매는 봉제중에 천의 위치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구동수단에 의한 천고정부재의 접리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가능하게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함으로써 무효로 할 때 천고정부재를 접리방향으로 전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천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재봉제할 수 있다.

Claims (5)

  1. 피봉제물을 고정가능하게 하여 서로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이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천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상기 상하이동 경로에 대해 접근상태에서 이간상태로 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천오프닝 수단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봉제물에 소정의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시기에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소정시기에 행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가능하게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이간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접근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유효로 할 때는 상기 천고정부재에 의한 천고정 후 또는 봉제동작전에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고,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무효로 할 때는 상기 천고정부재에 의한 천고정전에 천오프닝 동작이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5. 천누름부와 협동하여 피봉제물을 고정가능하게 하여 서로 천절단 메스의 상하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이 상하이동 경로에 접근 또는 이간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천고정부재와,
    상기 한쌍의 천고정부재를 상기 상하이동경로에 대해 접근상태에서 이간상태로 하는 천오프닝 동작을 가능하게 한 한쌍의 천오프닝 수단과,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상기 천오프닝 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수단과,
    설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봉제물에 소정의 사뜨기 솔기를 형성함과 동 시에 소정 시기에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천고정부재의 접리동작을 유효 또는 무효로 변환가능하게 하는 선택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장치.
KR1020010028583A 2000-05-26 2001-05-24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KR10070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6176 2000-05-26
JP2000156176A JP4409049B2 (ja) 2000-05-26 2000-05-26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705A KR20010107705A (ko) 2001-12-07
KR100705851B1 true KR100705851B1 (ko) 2007-04-09

Family

ID=1866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583A KR100705851B1 (ko) 2000-05-26 2001-05-24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09049B2 (ko)
KR (1) KR100705851B1 (ko)
CN (1) CN1326024A (ko)
DE (1) DE1012577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9921B2 (ja) * 2001-12-13 2006-05-31 Juki株式会社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EP1321555B1 (de) * 2001-12-21 2006-03-29 Dürkopp Adler Aktiengesellschaft CNC-gesteuerte Knopfloch-Nähmaschine
DE10216810A1 (de) * 2002-04-16 2003-11-06 Due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4692184B2 (ja) * 2005-09-27 2011-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10057722A (ja) * 2008-09-04 2010-03-18 Juki Corp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JP6692179B2 (ja) * 2016-02-23 2020-05-13 Juki株式会社 クランプ補助装置
CN108532137B (zh) * 2018-03-09 2020-09-01 嘉善智诚科技中介服务有限公司 一种服装的扣眼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2359498A (zh) * 2020-11-05 2021-02-12 湖南康宝源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具备平整压紧功能的床上用品加工用花边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2A (ja) * 1996-06-17 1998-01-06 Daiwa:Kk 排水桝と排水桝の内底形成方法
KR20020078061A (ko) * 2001-04-04 2002-10-1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777B2 (ja) * 1990-05-21 1998-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の布開き装置
JP2734769B2 (ja) * 1990-10-08 1998-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ミシン
DE19807771C1 (de) * 1998-02-24 1999-04-15 Due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DE19807772C2 (de) * 1998-02-24 2001-02-22 Duerkopp Adler Ag Augenknopfloch-Näh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2A (ja) * 1996-06-17 1998-01-06 Daiwa:Kk 排水桝と排水桝の内底形成方法
KR20020078061A (ko) * 2001-04-04 2002-10-1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용 튜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780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705A (ko) 2001-12-07
CN1326024A (zh) 2001-12-12
DE10125778A1 (de) 2002-01-31
JP2001334082A (ja) 2001-12-04
JP4409049B2 (ja) 2010-02-03
DE10125778B4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4769B2 (ja) 穴かがりミシン
KR20080045071A (ko) 재봉기
KR100705851B1 (ko)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KR20080081844A (ko) 재봉틀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US4462320A (en) Workholder for an automatic sewing machine
JP2003053080A (ja) 上糸クランプ・カッターを有するミシン
US7980188B2 (en) Cloth-holder frame transfer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2000342873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US4067275A (en) Device for sewing machines for displacing sewn material for a short period of time
KR20020079459A (ko) 사뜨기 재봉틀
JP2005130888A (ja) 自動縫製装置
KR20020079597A (ko) 보턴 사뜨기 재봉틀
KR20030041791A (ko) 단추구멍내기 재봉기
TWI386533B (zh) Sewing sewing machine
KR101403225B1 (ko) 다양한 스티치들의 타입과 레이아웃 이용하여 직물을재봉하기 위한 다기능 재봉기
JP2000317176A (ja) 縫目ほつれ防止装置
US3964409A (en) Device for sewing and cutting-open tucks on cut pieces of garments
EP0530158B1 (en) Improved automatic machine for stitching of various articles, in particular leather articles
JPH09140972A (ja) ミシン
JP4862322B2 (ja) 鳩目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芯糸供給装置
WO2023152675A1 (en) Seam blocking system for sewing machines
JP2003164682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JP2008245732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KR20070100157A (ko) 단추달이 재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