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157A - 단추달이 재봉기 - Google Patents

단추달이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157A
KR20070100157A KR1020070033766A KR20070033766A KR20070100157A KR 20070100157 A KR20070100157 A KR 20070100157A KR 1020070033766 A KR1020070033766 A KR 1020070033766A KR 20070033766 A KR20070033766 A KR 20070033766A KR 20070100157 A KR20070100157 A KR 20070100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loth
holder
sewing machin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요코야마
류이치로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단추달이 봉제 시에,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상태와, 옷감 홀더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옷감 홀더를 상기 단추 홀더와 함께 가동 테이블을 통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설치한 것으로서, 전체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부드러운 옷감을 봉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정지와 단추 홀더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의 일체 이동과의 전환에 의해 V자 형상의 박음을 가능하게 하여 봉제 주름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봉제 품질에서의 단추달기를 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단추달이 재봉기, 바늘판, 옷감 홀더, 단추 홀더, 가동 테이블

Description

단추달이 재봉기{BUTTON 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옷감 홀더를 위치 고정 해제한 상태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옷감 홀더를 위치 고정한 상태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응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단추달이 봉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단추달이 봉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뿌리감기 봉제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단추달기 완료 상태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일반적인 단추달이 재봉기에 의한 단추달이 봉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단추달이 봉제 후의 뿌리감기 봉제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뿌리감기 완료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 요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신사·숙녀복 상의나 조끼의 앞 단추, 안주머니용 단추, 바지의 뒷주머니용 단추 등과 같이 각종 봉제품에 단추를 꿰매붙이는 경우에 사용되는 단추달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을 단추의 각 구멍에 통과시켜 옷감에 단추달이 봉제를 행하는 단추달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단추달이 재봉기는, 일본 특공평 7-490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그 구멍에 바늘이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유지하는 단추 홀더와, 상기 단추 홀더를, 그곳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에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이차원 방향(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가동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구비한 종래 일반적인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는, 단추달이 봉제 시, 상기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가동 테이블을 통하여 단추 홀더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과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체로 구동 이동시킴으로써 옷감에 단추달이 봉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일반적인 단추달이 재봉기에서는 단추달이 봉제 시의 단추와 옷감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50)의 좌우의 구멍 피치(d1)와 옷감(51)에의 바느질 피치(d2)가 같아 좌우의 단추달이 실(LN, RN)이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는, 소위 평행박음이 된다. 이러한 평행박음의 경우에는, 매우 부드러운 옷감을 봉제 대상으로 할 때 좌우의 단추달이 실(LN, RN) 사이의 옷감 부분이 울거나 봉제 주름이 발생하여 질감이 나빠진다.
특히, 단추달이 봉제 후, 도 12의 O를 제1 바늘귀로 하여 A∼N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51)과 단추(50)와의 사이에 걸친 좌우의 단추달이 실(LN, RN)의 양측에 교대로 바늘을 낙하시켜 뿌리감기 실(BN)에 의해 단추달이 실(LN, RN)을 보강하는 뿌리감기 봉제(이는 손바느질일 수도 있고 기계 바느질일 수도 있음)를 행하는 경우, 뿌리감기 실(BN)의 조임력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단추달이 실(LN, RN) 사이의 옷감 부분이 좌우로부터 끌어당겨져 커다란 봉제 주름(x)이 발생하여 봉제 품질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봉제 주름 등의 발생을 없애 봉제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종래 일본 특허 제27110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추 홀더를, 그곳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과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제1 가동 테이블과, 옷감 홀더를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제2 가동 테이블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이들 제1 및 제2 가동 테이블의 이동 피치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하여, 단추달이 봉제 시, 단추는 제1 가동 테 이블을 통하여 좌우의 구멍 피치에 대응하는 양만큼 좌우 이동시키는 한편, 옷감은 제2 가동 테이블을 통하여 단추의 좌우의 구멍 피치보다 작은 양만큼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좌우의 단추달이 실을 V자 형상으로 박아 봉제 주름 등의 발생을 없애 질감, 품질이 양호한 단추달이 봉제를 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일본 특허 제2711024호 공보에서 제안된 바 있는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에 따르면, 일본 특공평 7-4907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일반적인 단추달이 재봉기가 갖는 문제점, 즉 부드러운 옷감에의 단추달이 봉제 시에, 좌우의 단추달이 실 사이의 옷감 부분이 울거나 봉제 주름이 발생하여 질감이 악화되는 것, 특히 뿌리감기 봉제하는 경우에 옷감에 커다란 봉제 주름이 발생하여 봉제 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반면, 그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는, 단추 홀더를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제1 가동 테이블과 옷감 홀더를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제2 가동 테이블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그들 제1, 제2 가동 테이블을 서로 다른 양만큼 이동시키도록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 기능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여 단추달이 재봉기 전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대형화, 중량화되어 그만큼 재봉기 비용이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또한 두 개의 가동 테이블이 구동 이동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도 커서 작업 환경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체 구조가 간단하 여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부드러운 옷감을 봉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봉제 주름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봉제 품질에서의 단추달기를 행할 수 있는 단추달이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는,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을 단추의 각 구멍에 통과시켜 옷감에 단추달이 봉제를 행하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상기 단추를 그 구멍에 바늘이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유지하는 단추 홀더와, 상기 단추 홀더를, 그곳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에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가동 테이블을 구비하고, 단추달이 봉제 시, 상기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상태와, 상기 옷감 홀더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옷감 홀더를 상기 단추 홀더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추달이 봉제 시,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단추 홀더만을 좌우의 구멍 피치에 대응하는 양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우 두 개의 구멍에 대하여 차례대로 박음으로써, 좌우의 단추달이 실을 V자 형상으로 박을 수 있고, 부드러운 옷감을 봉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봉제 주름 등의 발생에 따른 질감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봉제 품질의 단추달기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는 상태와 위치 고정을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설치하기만 해도 되므로, V자 형상의 박음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추 홀더 및 옷감 홀더를 각각 별도로 구동 이동시키는 두 개의 가동 테이블 및 그들 두 개의 가동 테이블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일본 특허 제2711024호에서 개시되는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에 비하여 전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재봉기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동이나 소음도 매우 적어 단추달이 봉제 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전환하여 좌우의 단추달이 실을 V자 형상으로 박는 단추달기와, 이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가동으로 한 채로, 즉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가동 테이블을 통하여, 단추 홀더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과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동량만큼 일체로 구동 이동시킴에 따른 종래와 같은 평행박음의 단추달기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한 대의 재봉기를 복수의 봉제 형태의 단추달기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옷감 홀더를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멀리하여 옷감을 두겹 접기로 유지시키는 위치와 두겹 접기로 유지된 옷감을 상기 바늘판 상으 로 반송하여 올려놓아 고정하는 위치에 걸쳐 구동 요동시키기 위한 옷감 홀더 요동암의 베이스부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수평축과 동축심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며, 그 양단에는 결합턱부를 갖는 대략 L자 형상의 크랭크 링크와, 상기 옷감 홀더가 바늘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축심 둘레로 요동시켰을 때,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가동 테이블 측 및 재봉기 프레임 측에 설치된 두 개의 피결합부와,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두 개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요동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전체 구조의 소형화, 경량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추에이터에 미리 가동·부동의 전환 타이밍을 프로그래밍해 둠으로써 봉제 품질이 높은 단추달기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행하여 작업 효율의 증진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옷감과 단추와의 사이에 걸친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바늘을 낙하시켜 뿌리감기 봉제하는 재봉기에 구비된 경우에는, 단추달기와 그 단추달이 실을 보강하는 뿌리감기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뿌리감기 실의 조임력에 의해 좌우의 단추달이 실 사이의 옷감 부분에 발생하는 봉제 주름을 없애 봉제 품질의 향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뿌리감기 봉제 재봉기에 구비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 이 단추달이 전용 재봉기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그 밖의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의 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이들 도 1, 도 2에 있어서, 1은 바늘로서, 재봉기 암(2) 내에 설치한 재봉기 주축(도시 생략함)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3은 옷감 가이드로서, 이 옷감 가이드(3)의 하측에는 상기 바늘(1)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4)(도 5 및 도 6 참조)이 밀접 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5는 단추 홀더로서, 4홀 단추(6)(도 7 및 도 10 참조)를 그 둘레부의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7)의 신장 수축에 의해 연결대(8, 9)를 통하여 단추달이 봉제 자세와 뿌리감기 봉제 자세로 회전 전환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10은 옷감 홀더로서, 단추(6)를 봉제할 옷감(11)(도 5 참조)을 두겹 접기하고, 그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11)을 고정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옷감 홀더(10)는 실린더(12)의 수축 신장에 의해 연결대(13, 14), 수평축(15), 연결암(16) 및 연결축(17)을 통하여 상기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 가능하고, 상기 수평축(15)에 그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 옷감 홀더 요동암(18)에 부착 부품(19)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2)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옷감 홀더(10)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시킴으로써 이 옷감 홀더(10)를 상기 바늘판(4)으로부터 멀리하여 옷감(11)을 두겹 접기로 유지시키는 위치와, 유지된 두겹 접기한 옷감(11)을 상기 바늘판(4) 상으로 반송하여 옷감 가이드(3)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하는 위치에 걸쳐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20은 옷감 누름쇠로서, 이 옷감 누름쇠(20)는 상기 옷감 홀더(10)에 의해 옷감 가이드(3) 상에 올려진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상면에 실린더(21)를 통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맞닿아 이 옷감(11)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22는 가동 테이블로서, 이 가동 테이블(22)은 도시 생략한 두 개의 스테핑 모터 및 타이밍 벨트를 통하여 수평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X 방향으로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 테이블(22)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암(23, 24)이 고정되고, 이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암(23, 24)의 중간부 사이에 걸쳐 부착편(25, 26)을 통하여 상기 옷감 가이드(3)가 고정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암(23, 24)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 상기 수평축(15)이 가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27은 단추 홀더암으로서, 이 단추 홀더암(27)은 암조인트(28)를 통하여 상기 가동 테이블(22)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추 홀더암(27) 및 단추 홀더(5)는 상기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상기한 전후 Y-Y 방향, 좌우 X-X 방향으로 일체로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9는 옷감 홀더 조절판으로서, 좌측의 옷감 홀더암(23)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수평축(15)의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30은 축암 스토퍼로서 상기 연결대(14)에 고정되며, 상기 옷감 홀더 조절판(29)의 중간부 윗변에 맞닿음 가능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옷감 홀더 요동암(18)의 베이스부에는, 도 2 및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홈(31) 내에는 양단에 결합턱부(32a, 32b)를 갖는 대략 L자 형상의 크랭크 링크(32)의 절곡부가 끼워져 들어가고, 상기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암(23, 24) 사이에는 상기 수평축(15)과 평행하게 다른 수평축(33)이 가설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수평축(33)의 중간 부분 및 그것의 후방에 위치하는 재봉기 프레임(34) 부분에는, 상기 옷감 홀더(10)가 바늘판(4)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링크(32)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요동시켰을 때, 이 크랭크 링크(32) 양단의 결합턱부(32a, 32b)가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피결합부(35 및 36)를 형성하도록 좌우 한 쌍의 칼라 부재(35a) 및 위치 결정 부재(36a)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옷감 홀더 요동암(18)에는 실린더 부착대(37)를 통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실린더(액추에이터)(38)가 고정 유지되고, 이 실린더(38)의 작동 로드(38a)의 선단에 연결편(39) 및 연결핀(40)을 통하여 상기 크랭크 링크(32)가 피벗 지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결합부(36)는 그곳에 결합한 결합턱부(32b)의 전후 Y-Y 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상의 각 구성에 의해, 실린더(38)의 신축 작동에 따라 상기 크랭크 링크(32)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요동시켜 이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b)를 피결합부(36)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시켜 이 옷감 홀더(10)의 좌우 방 향 이동만을 정지시키는 상태와, 상기 크랭크 링크(32)의 다른 하나의 결합턱부(32a)를 피결합부(35)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옷감 홀더(10)를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추달이 재봉기에 의한 단추달기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 생략한 실린더의 작동이나 수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단추 홀더(5)에 4홀 단추(6)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고, 계속하여 실린더(7)의 신장에 의해 상기 단추 홀더(5)를 단추달이 봉제 자세로 함과 동시에, 옷감 홀더(10)에 옷감(11)을 두겹 접기하여 세팅한다.
다음, 도시 생략한 페달을 밟아 실린더(12)를 신장시켜 상기 옷감 홀더(10)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시킴으로써, 이 옷감 홀더(10)에 유지된 두겹 접기한 옷감(11)을 바늘판(4) 상으로 반송하여 옷감 가이드(3)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함과 동시에, 실린더(21)의 신장에 의해 옷감 누름쇠(20)를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상면에 맞닿게 하여 옷감(11)의 틀어짐을 방지한다. 이 때, 실린더(38)의 신장 작동에 의해 크랭크 링크(32)는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요동되어 이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b)는 피결합부(36)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는 재봉기 프레임(34)의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되어 이 옷감 홀더(10)의 좌우 X-X 방향으로의 이동 이 정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재봉기를 작동시키고,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가 단추(6)의 네 개의 구멍 중 우측의 앞뒤 구멍(6Rf, 6Rr)의 피치(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후 Y-Y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6)의 우측의 앞뒤 구멍(6Rf, 6Rr)에 대하여 단추달이 실(RN)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침 수로 단추달이 봉제가 행해진다.
계속하여, 단추(6)의 네 개의 구멍 중 좌측의 앞뒤 구멍(6Lf, 6Lr)에 대한 단추달이 봉제로 이행하는데, 이 때에도 상기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b)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결합부(36)에 결합 유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옷감 홀더(10)는 재봉기 프레임(34)의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되어 이 옷감 홀더(10)의 좌우 X-X 방향으로의 이동은 정지된 채의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재봉기를 작동시키고,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만을 단추(6)의 네 개의 구멍 중 좌우 구멍 피치(d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좌우 X-X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1)를 좌측의 앞뒤 구멍(6Lf, 6Lr)의 피치(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후 Y-Y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6)의 좌측의 앞뒤 구멍(6Lf, 6Lr)에 대하여 단추달이 실(LN)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침 수로 단추달이 봉제가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추달이 봉제 시, 옷감 홀더(10)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 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10)의 좌우 X-X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단추 홀더(5)만을 좌우의 구멍 피치(d1)에 대응하는 양만큼 좌우 X-X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우 각 두 개의 앞뒤 구멍(6Rf, 6Rr 및 6Lf, 6Lr)에 대하여 차례대로 박음으로써,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을 옷감(11)에 대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 형상으로 박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부드러운 옷감(11)을 봉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봉제 주름 등의 발생에 따른 질감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고품질의 단추달이 봉제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단추달이 봉제가 완료된 후에는, 실린더(7)가 수축하여 단추 홀더(5)가 연결대(8, 9)를 통하여 회전하여 뿌리감기 봉제 자세로 전환됨과 동시에, 실린더(38)의 수축 작동에 의해 크랭크 링크(32)는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요동되어 이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a)가 피결합부(35)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가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시 생략한 마이크로컴퓨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신호에 의거하여 가동 테이블(22)이 도 9에 도시한 제1 바늘귀의 뿌리감기 봉제 위치(O)로 이동되고, 계속하여 바늘(1)의 상하 왕복 운동에 동기하여 상기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가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X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피치로 왕복 운동됨으로써, 도 9의 A∼N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11)과 단추(6)의 사이에 걸친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의 양측에 교대 로 바늘(1)을 낙하시켜 뿌리감기 실(BN)에 의해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을 보강하는 뿌리감기 봉제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뿌리감기 봉제에 의해 보강되는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이 옷감(11)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박아져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 사이에는 옷감(11)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뿌리감기 실(BN)을 세게 조여도 단추(6)를 단 부위의 옷감(11) 부분이 끌어당겨지는 것에 기인하는 봉제 주름의 발생이 없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 품질이 높은 단추달이 봉제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홀 단추(6) 중 우측의 구멍(6Rf, 6Rr)에 대한 단추달이 실(RN)과 좌측의 구멍(6Lf, 6Lr)에 대한 단추달이 실(LN)을 옷감(11)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박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같은 4홀 단추(6)라도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a)를 피결합부(35)에 결합하여,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를 항상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한 채로 우측의 구멍(6Rf, 6Rr)도 좌측의 구멍(6Lf, 6Lr)도 박음으로써,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을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평행박음으로 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2홀 단추를 꿰매달기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두 개의 구멍을 전후 방향으로 세팅하여 봉제하는 것이므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 링크(32)의 어느 하나의 결합턱부(32a)를 피결합부(35)에 결합하여 옷감 홀더(10)를 항상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크랭크 링크(32)의 다른 하나의 결합턱부(32b)를 피결합부(36)에 결합하여 옷감 홀더(10)를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 Y-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의 어느 것으로 이용하여도 2홀 단추를 옷감(11)에 꿰매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한 대의 재봉기로 단추달이 봉제와 뿌리감기 봉제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추달이 전용 재봉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부드러운 옷감에 대한 단추달기 시의 봉제 주름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봉제 품질의 향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컨대 옷감 홀더(10)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10)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상태와, 옷감 홀더(1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옷감 홀더(10)를 상기 단추 홀더(5)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특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추달이 봉제 시,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단추 홀더만을 좌우의 구멍 피치에 대응하는 양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우 두 개의 구멍에 대하여 차례대로 박음으로써, 좌우의 단추달이 실을 V자 형상으로 박을 수 있고, 부드러운 옷감을 봉제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봉제 주름 등의 발생에 따른 질감의 악화를 발생시키지 않고 높은 봉제 품질의 단추달기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는 상태와 위치 고정을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설치하기만 해도 되므로, V자 형상의 박음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추 홀더 및 옷감 홀더를 각각 별도로 구동 이동시키는 두 개의 가동 테이블 및 그들 두 개의 가동 테이블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일본 특허 제2711024호에서 개시되는 종래의 단추달이 재봉기에 비하여 전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재봉기 전체의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동이나 소음도 매우 적어 단추달이 봉제 시의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전환하여 좌우의 단추달이 실을 V자 형상으로 박는 단추달기와, 이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가동으로 한 채로, 즉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가동 테이블을 통하여, 단추 홀더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과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동량만큼 일체로 구동 이동시킴에 따른 종래와 같은 평행박음의 단추달기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한 대의 재봉기를 복수의 봉제 형태의 단추달기에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단추달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옷감 홀더를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멀리하여 옷감을 두겹 접기로 유지시키는 위치와 두겹 접기로 유지된 옷감을 상기 바늘판 상으로 반송하여 올려놓아 고정하는 위치에 걸쳐 구동 요동시키기 위한 옷감 홀더 요동 암의 베이스부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수평축과 동축심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며, 그 양단에는 결합턱부를 갖는 대략 L자 형상의 크랭크 링크와, 상기 옷감 홀더가 바늘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축심 둘레로 요동시켰을 때,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가동 테이블 측 및 재봉기 프레임 측에 설치된 두 개의 피결합부와,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두 개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요동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전체 구조의 소형화, 경량화,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액추에이터에 미리 가동·부동의 전환 타이밍을 프로그래밍해 둠으로써 봉제 품질이 높은 단추달기를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행하여 작업 효율의 증진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옷감과 단추와의 사이에 걸친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바늘을 낙하시켜 뿌리감기 봉제하는 재봉기에 구비된 경우에는, 단추달기와 그 단추달이 실을 보강하는 뿌리감기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뿌리감기 실의 조임력에 의해 좌우의 단추달이 실 사이의 옷감 부분에 발생하는 봉제 주름을 없애 봉제 품질의 향상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뿌리감기 봉제 재봉기에 구비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추달이 전용 재봉기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Claims (5)

  1.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을 단추의 각 구멍에 통과시켜 옷감에 단추달이 봉제를 행하는 단추달이 재봉기로서,
    상기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상기 단추를 그 구멍에 바늘이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유지하는 단추 홀더와, 상기 단추 홀더를, 그곳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기 바늘판의 바늘 낙하공에 합치하도록, 수평면 내의 서로 직교하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 이동시키는 가동 테이블을 구비하고,
    단추달이 봉제 시에, 상기 옷감 홀더를 소정 위치에 위치 고정 유지하여 이 옷감 홀더의 좌우 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상태와, 상기 옷감 홀더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옷감 홀더를 상기 단추 홀더와 함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는, 상기 옷감 홀더를 상기 바늘판으로부터 멀리하여 옷감을 두겹 접기로 유지시키는 위치와 두겹 접기로 유지된 옷감을 상기 바늘판 상으로 반송하여 올려놓아 고정하는 위치에 걸쳐 구동 요동시키기 위한 옷감 홀더 요동암의 베이스부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수평축과 동축심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 지지되고, 그 양단에는 결합턱부를 갖는 대략 L자 형상의 크랭크 링크와, 상기 옷감 홀더가 바늘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축심 둘레로 요동시켰을 때,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가동 테이블 측 및 재봉기 프레임 측에 설치된 두 개의 피결합부와, 상기 크랭크 링크를 상기 양단의 결합턱부가 택일적으로 두 개의 피결합부에 결합하도록 요동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옷감과 단추와의 사이에 걸친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바늘을 낙하시켜 뿌리감기 봉제하는 재봉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동 전환 기구가 단추달이 전용 재봉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상기 크랭크 링크의 두 개의 피결합부에 대한 택일적인 결합에 따른 옷감 홀더의 가동·부동의 전환 타이밍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달이 재봉기.
KR1020070033766A 2006-04-05 2007-04-05 단추달이 재봉기 KR200701001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29590 2006-04-05
JP2006129590A JP4935179B2 (ja) 2006-04-05 2006-04-05 ボタン付けミ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157A true KR20070100157A (ko) 2007-10-10

Family

ID=38677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766A KR20070100157A (ko) 2006-04-05 2007-04-05 단추달이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5179B2 (ko)
KR (1) KR20070100157A (ko)
CN (1) CN101050587B (ko)
TW (1) TWI3865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9137B2 (ja) * 2009-02-18 2013-11-13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のボタンホルダ装置
CN103434821B (zh) * 2013-08-29 2015-07-29 昆山市周市斐煌服饰厂 一种用于钉扣机的送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873A (ja) * 1987-05-11 1988-11-16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の根巻装置
JPH034894A (ja) * 1989-05-31 1991-01-10 Juki Corp ボタン縫着装置
JP2655749B2 (ja) * 1990-10-31 1997-09-24 ジューキ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H0591570U (ja) * 1992-05-16 1993-12-1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H08117465A (ja) * 1994-10-27 1996-05-14 Juki Corp ボタン付け装置
JP4698862B2 (ja) * 2000-04-04 2011-06-08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660017B2 (ja) * 2001-05-31 2011-03-30 Juki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DE10238708A1 (de) * 2002-08-23 2004-03-04 Dürkopp Adler AG Knopfloch-Nähmaschine
JP2004329405A (ja) * 2003-05-02 2004-11-25 Juki Corp ボタン付け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50587B (zh) 2012-12-26
TWI386532B (zh) 2013-02-21
CN101050587A (zh) 2007-10-10
TW200806841A (en) 2008-02-01
JP4935179B2 (ja) 2012-05-23
JP2007275525A (ja)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10069100A (ja) 押え金及びミシン
JP2010075543A (ja) 偏平縫いミシン
JP4660017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CN106245239B (zh) 夹紧机构及具备该夹紧机构的缝纫机
JP2000271364A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20070100157A (ko) 단추달이 재봉기
JP4877627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6045318B2 (ja) ミシン
KR101347087B1 (ko)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TWI461583B (zh) On the stitching sewing machine
TW541378B (en) Over lock sewing machine
JP3693323B2 (ja) ミシンにおけるスプレッダーの駆動装置
JP2007029151A (ja) 環縫いミシン
JPH0523453A (ja) ミシン
CZ2010744A3 (cs) Zpusob a zarízení k prišívání knoflíku na šicím stroji
TW201840923A (zh) 縫紉機的布料移送裝置
JP4862322B2 (ja) 鳩目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芯糸供給装置
JPH0543751Y2 (ko)
CZ308429B6 (cs) Způsob šití imitací rukávových dírek dvěma různými nitěmi dvoujehlovým šicím strojem se dvěma jehelními tyčemi a zařízení k jeho provádění
JP2007029153A (ja) 環縫いミシンの目飛ばし装置
JP2971097B2 (ja) 4つ穴ボタンの縫着方法
CN116288954A (zh) 缝纫机
US1900388A (en) Button sewing machine
JP2003164682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