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87B1 -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 Google Patents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87B1
KR101347087B1 KR1020070087547A KR20070087547A KR101347087B1 KR 101347087 B1 KR101347087 B1 KR 101347087B1 KR 1020070087547 A KR1020070087547 A KR 1020070087547A KR 20070087547 A KR20070087547 A KR 20070087547A KR 101347087 B1 KR101347087 B1 KR 10134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lder
cloth
nee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559A (ko
Inventor
류이치 요코야마
가즈히로 하타케나카
Original Assignee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단추달이 작용(공정)이 완료된 후로서 뿌리감기 봉제 작용으로의 이행 전의 단계에서 단추 홀더 및 여기에 유지되어 있는 단추를 옷감 홀더에 대하여 상승 이동 및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단추달이 자세에서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 시에 발생하는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간단하게 합리적으로 교정하여 외관 및 질감이 양호한 마무리감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재봉기, 바늘, 바늘판, 옷감, 옷감 홀더, 단추 홀더, 바느질 공정, 단추달이 공정, 뿌리감기 바느질, 단추 꿰매달기 방법.

Description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METHOD FOR SEWING BUTTONS AND SEWING MACHINE THEREOF}
본 발명은 신사 숙녀복 상의나 조끼의 앞 단추, 안주머니용 단추, 바지의 뒷주머니용 단추 등과 같이 각종 봉제품에 단추를 재봉기에 의해 꿰매 붙이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단추의 꿰매달기에 사용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는 바늘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바늘실을 단추의 각 구멍에 통과시켜 옷감에 꿰매 붙이고, 계속하여 그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바늘을 교대로 낙하시킴으로써 단추달이 실에 보강용 뿌리감기(根卷)를 실시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추를 옷감에 꿰매 붙이는 단추달이 작용(공정)과, 그에 계속하여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하는 뿌리감기 작용(공정)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행하는 단추 꿰매달기에 사용되는 재봉기는, 기본적으로,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과, 이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유지하고 그 유지한 단추를 상기 단추달이 자세와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한 단추 홀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본 구성을 구비한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있어서, 종래 일반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 2-126883호 공보나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 5-437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추달이 작용이 완료된 후,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에서 단추달이 실이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는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하여 곧바로 뿌리감기 작용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각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의한 경우에는, 도 10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겹 접기한 옷감(W)의 접힘부(Wa)에 꿰매어져 달린 단추(B)를 단추 홀더를 통하여 도 10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하였을 때, 구체적으로는, 단추(B)가 도 10의 (A)와 같은 수평 자세에서 도 10의 (B)와 같은 수직 자세로 넘어뜨려졌을 때, 하측에 위치하는 단추달이 실(실제로는 4홀 단추(B)의 우측의 전후 구멍에 대한 단추달이 실)(RN)의 밑동 부분(RNa)에 느슨함이 발생하여 단추달이 실(LN, RN) 전체가 뒤틀어짐을 발생시키기가 쉽다. 이러한 뒤틀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 도 10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추달이 실(LN, RN) 사이에 걸쳐 뿌리감기 실(BN)을 몇 겹이고 감아 뿌리감기가 실시되게 되고, 그 결과 단추달이 실(RN)의 밑동 부분(RNa)에 뒤틀어짐이 그대로 남은 상태에서 옷감(W)에 꿰매어져 달린 단추(B)의 앉음새가 나쁘기 때문에, 단추(B)가 어느 한쪽의 단추달이 실(RN) 쪽으로 기울어지는 등 외관 및 질감이 나쁘게 마무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추달이 자세에서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 시에 발생하는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간단하게 합리적으로 교정하여 외관 및 질감이 양호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꿰매달기 방법은,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유지하는 단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한 상태에서 그들 각 구멍 및 바늘 낙하공에 상기 바늘을 통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겹 접기한 옷감의 접힘부에 단추를 꿰매 붙이는 단추달이 공정과,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단추달이 실이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는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단추달이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바늘을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하는 뿌리감기 바느질 공정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행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으로서, 상기 단추달이 공정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공정으로의 이행 전에, 상기 단추 홀더와 옷감 홀 더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하는 공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는,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과, 이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유지하는 단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 홀더를 여기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한 상태에서 단추의 각 구멍 및 바늘 낙하공에 상기 바늘을 통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겹 접기한 옷감의 접힘부에 단추를 꿰매 붙이는 단추달이 작용과,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단추달이 실이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는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단추달이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바늘을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하는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로서, 상기 단추달이 작용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으로의 이행 전에, 상기 단추 홀더와 옷감 홀더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 가능한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단추달이 공정(작용)이 완료된 후에 단추 홀더를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하여 뿌리감기 공정(작용)으로 이행하기 전단계에 있어서, 그 단추 홀더와 옷감 홀더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단추달이 실에 인장력을 부가함으로써 자세 전환 시에 단추달이 실의 밑동 부분에 발생하는 느슨함을 제거한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뒤틀어짐 교정 후의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함으로써 단추를 경사시키지 않고 옷감으로부터 똑바르게 들뜬 상태에서 확실하게 꿰매달아 외관 및 질감이 모두 양호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특히, 상기한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 교정 수단으로서 상기 단추 홀더를 옷감 홀더에 대하여 상승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하강 이동시키는 수단을 채용함(청구항 2 및 청구항 5)으로써 단추달이 실에 인장력과 흔들림을 동시에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뒤틀어짐 교정을 확실하게 하여 외관 및 질감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있어서,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 교정에 사용하는 실린더에 의한 단추 홀더의 상승 이동량을 조정 가능한 스토퍼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6). 이 경우에는 단추달이 실의 종류나 굵기, 옷감의 성질 등에 따라 단추 홀더의 상승 이동량을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단추달이 실에 발생하는 뒤틀어짐의 정도와 관계없이 그 뒤틀어짐 교정을 확실하게 하여 외관 및 질감의 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이외의 효과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의 요부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이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바늘로서 재봉기 암(2) 내에 설치한 재봉기 주축(도시 생략)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한다. 3은 옷감 가이드로서, 이 옷감 가이드(3)의 하측에는 상기 바늘(1)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4)이 밀착 접촉 상태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5는 단추 홀더로서, 4홀 단추(6)(도 5, 도 6 및 도 8 참조)를 그 둘레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7)의 신장 수축에 의해 연결간(連結杆, 8, 9)를 통하여 도 1에 도시한 단추달이 자세와 도 2에 도시한 뿌리감기 자세로 회전 전환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10은 옷감 홀더로서, 단추(6)를 봉제할 옷감(11)(도 3 참조)을 두겹 접기하고, 그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11)을 고정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옷감 홀더(10)는 실린더(12)의 수축 신장에 의해 연결간(13, 14), 수평축(15), 연결 암(도시 생략)을 통하여 상기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 가능하며, 상기 수평축(15)에 그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 옷감 홀더 요동 암(18)에 부착 부품(19)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2)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옷감 홀더(10)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시킴으로써 이 옷감 홀더(10)를 상기 바늘판(4)으로부터 멀리하여 옷감(11)을 두겹 접기로 유지시키는 위치와, 유지된 두겹 접기한 옷감(11)을 상기 바늘판(4) 상으로 반송하여 옷감 가이드(3)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하는 위치에 걸쳐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0은 옷감 누르개로서, 이 옷감 누르개(20)는 상기 옷감 홀더(10)에 의해 옷감 가이드(3) 상에 올려진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상면에 실린더(21)를 통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맞닿아 이 옷감(11)의 휨을 방지하는 것이다.
22는 가동 테이블로서, 이 가동 테이블(22)은 도시 생략한 두 개의 스테핑 모터 및 타이밍 벨트(16)를 통하여 수평면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전후 Y-Y 방향·좌우 X-X 방향으로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 테이블(22)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 암(23, 24)이 고정되고, 이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 암(23, 24)의 중간부 사이에 걸쳐 상기 옷감 가이드(3)가 고정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옷감 홀더 암(23, 24)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 상기 수평축(15)이 걸쳐져서 고정되어 있다.
27은 단추 홀더 암으로서, 이 단추 홀더 암(27)은 암 조인트(28)를 통하여 상기 가동 테이블(22)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단추 홀더 암(27) 및 단추 홀더(5)는 상기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상기한 전후 Y-Y 방향·좌우 X-X 방향으로 일체로 구동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9는 옷감 홀더 조절판으로서, 좌측의 옷감 홀더 암(23)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수평축(15)의 둘레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30은 축 암 스토퍼로서, 상기 연결간(14)에 고정되며, 그 상단부(30a)는 상기 옷감 홀더 조절판(29)의 중간부 상변에 맞닿음 가능하게 절곡되어 있다.
31은 스토퍼 조절구로서, 상기 옷감 홀더 암(23)에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부가 상기 옷감 홀더 조절판(29)의 상단부에 지축(32)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스토퍼 조절구(3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옷감 홀더(10)의 선단부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뿌리감기 시의 제1 바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 중의 17은 스토퍼 나사로서, 상기 단추 홀더(5)의 단추달이 자세 및 뿌리감기 자세를 초기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쪽(우방)의 옷감 홀더 암(24)과 상기 단추 홀더 암(27)의 중간부 사이에는 도 4에 명시한 바와 같이 그 단추 홀더 암(27)을 암 조인트(28)와 함께 상기 가동 테이블(22) 상에 설치한 지점축(33) 둘레에서 화살표 u-d로 도시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 가능하게 하는 에어 실린더(34)가 개재되어 있고, 단추달이 작용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으로의 이행 전에 상기 에어 실린더(34)를 통하여 단추 홀더 암(27)을 화살표 u-d 방향으로 한 번만 왕복 요동시키고, 이에 따라 단추 홀더(5)를 옷감 홀더(10)에 대하여 조금 상승 이동시킨 후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단추달이 실(후술함)에 발생한 느슨함(뒤틀어짐)을 교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 조인트(28)에는 나비 너트(35)를 통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 및 고정이 자유로운 볼트(36)가 나사 결합 유지되어 있으며, 이 볼트(36)를 상하로 위치 이동시켜 그 하단부와 상기 가동 테이블(22)의 상면과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에어 실린더(34)에 의한 단추 홀더(5)의 상승 이동량을 조정 가능한 스토퍼 기구(37)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의한 단추달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 생략한 실린더의 작동이나 수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단추 홀더(5)에 4홀 단추(6)를 탄성적으로 유지시키고, 계속하여 실린더(7)의 신장에 의해 상기 단추 홀더(5)를 도 1에 도시한 단추달이 자세로 함과 아울러, 옷감 홀더(10)에 옷감(11)을 두겹 접기하여 세팅한다.
이어서, 도시 생략한 페달을 밟음으로써 실린더(12)를 신장시켜 상기 옷감 홀더(10)를 수평축(15)의 축심 둘레로 회전 요동시킴으로써 이 옷감 홀더(10)에 유지된 두겹 접기한 옷감(11)을 바늘판(4) 상으로 반송하여 옷감 가이드(3)의 상면에 올려놓아 고정함과 아울러, 실린더(21)의 신장에 의해 옷감 누르개(20)를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상면에 맞닿게 하여 옷감(11)의 휨을 방지하는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재봉기를 작동시켜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6)의 4개의 구멍 중 우측의 전후 구멍(6Rf, 6Rr)의 피치(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후 Y-Y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이어서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를 단추(6)의 4개의 구멍 중 좌우 구멍 피치(d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좌우 X-X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를 좌측의 전후 구멍(6Lf, 6Lr)의 피치(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전후 Y-Y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단추(6)의 우측의 전후 구멍(6Rf, 6Rr) 및 좌측의 전후 구멍(6Lf, 6Lr)에 대하여 단추달이 실(RN 및 LN)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침수로의 봉제 동작이 행해져 도 6 및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6)가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접힘부(11a)에 꿰매져 달린다.
상기와 같은 단추달이 작용이 완료된 후에는, 실린더(7)가 수축하여 연결간(8, 9)를 통하여 단추 홀더(5)가 회전하여 도 2 및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된다. 이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 직후에서는, 하측(도 5, 도 6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추달이 실(RN)의 밑동 부분(RNa)에 느슨함이 발생하여 단추달이 실(RN, LN) 전체에 뒤틀어짐이 발생해 있다.
이 도 7의 (B)에 도시한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으로 이행하기 전 단계에 있어서, 에어 실린더(34)가 신축 작동되어 단추 홀더 암(27)이 도 4의 화살표 Uu-d 방향으로 왕복 요동되고, 이에 따라 단추 홀더(5) 및 여기에 유지된 단추(6)가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감 홀더(10)에 대하여 조금 상승 이동된 후 하강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추달이 실(RN, LN)에 인장력 및 흔들림이 가해져서 하측의 단추달이 실(RN)의 밑동 부분(RNa)에 발생해 있던 느슨함이 제거되어 뒤틀어짐이 교정되어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추달이 실(RN, LN)이 두겹 접기한 옷감(11)의 접힘부(11a)에 대하여 상하 대칭의 형태가 된다.
이상의 단추달이 작용 및 뒤틀어짐 교정 작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시 생략한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작동 신호에 따라 가동 테이블(22)이 도 8에 도시한 제1 바늘의 뿌리감기 바느질 위치(O)로 이동되고, 계속하여 바늘(1)의 상하 왕복 운동에 동기하여 상기 가동 테이블(22)을 통하여 단추 홀더(5) 및 옷감 홀더(10)가 전후 Y-Y 방향 및 좌우 X-X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피치로 왕복 운동됨으로써 도 8의 A~N으로 도시한 순서로 옷감(11)과 단추(6) 사이에 걸친 좌우의 단 추달이 실(RN, LN)의 양측에 교대로 바늘(1)을 낙하시키고, 이에 따라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단추달이 실(RN, LN)에 걸쳐 뿌리감기 실(BN)이 몇 겹이고 감겨 뿌리감기 봉제가 행해져 단추달이 실(RN, LN)이 보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추달이 작용(공정)이 완료된 후로서 단추 홀더(5)를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하여 뿌리감기 작용(공정)으로 이행하기 전 단계에 있어서, 그 단추 홀더(5)를 상하로 왕복 이동시켜 단추달이 실(RN, LN)에 인장력 및 흔들림을 부가함으로써 자세 전환 시에 단추달이 실(RN)의 밑동 부분(RNa)에 발생해 있던 느슨함을 제거하여 뒤틀어짐을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뒤틀어짐 교정 후의 단추달이 실(RN, LN)에 뿌리감기를 실시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추(6)를 경사시키지 않고 옷감(11)으로부터 똑바르게 들뜬 상태에서 확실하게 꿰매 달아 외관 및 감촉 모두 양호한 마무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추달이 작용 후에 단추 홀더(5)를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한 후에 에어 실린더(34)의 신축 작동에 의해 단추 홀더(5) 및 단추(6)를 상승 및 하강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나, 도 7의 (A)에 도시한 단추달이 자세에서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을 담당하는 실린더(7)의 수축 동작에 동기시켜 에어 실린더(34)를 신축 작동시킴으로써 뒤틀어짐 교정하면서 도 7의 (D)에서 도시한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홀 단추(6) 중 우측의 구멍(6Rf, 6Rr)에 대한 단추달이 실(RN)과 좌측의 구멍(6Lf, 6Lr)에 대한 단추달이 실(LN)이 서로 평행한 형태가 되도록 꿰매 붙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의 가상선으로 도시 한 바와 같이 좌우의 단추달이 실(LN, RN)이 V자 형상이 되도록 꿰매 붙이는 경우에 적용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의 요부를 좌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재봉기의 요부를 우방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재봉기의 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재봉기에 있어서, 요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추달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단추달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E)는 단추 꿰매달기 작용을 공정순으로 보인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뿌리감기 봉제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단추달이 완료 상태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종래 일반적인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에 의한 단추달이 작용을 공정순으로 보인 개략 정면도이다.

Claims (7)

  1.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유지하는 단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한 상태에서 그들 각 구멍 및 바늘 낙하공에 상기 바늘을 통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겹 접기한 옷감의 접힘부에 단추를 꿰매 붙이는 단추달이 공정과,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단추달이 실이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는 뿌리 감기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단추달이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바늘을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하는 뿌리감기 바느질 공정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행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으로서,
    상기 단추달이 공정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공정으로의 이행 전에, 상기 단추 홀더와 옷감 홀더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하는 공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 교정 공정이, 상기 단추 홀더를 옷감 홀더에 대하여 상승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 교정 공정이, 상기 단추 홀더의 단추달이 자세로부터 뿌리감기 자세로의 전환에 동기하여 행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방법.
  4. 재봉기 주축에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 바늘과, 이 바늘이 상하로 통과 이동하는 바늘 낙하공을 갖는 바늘판과, 두겹 접기한 옷감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 옷감을 유지하는 옷감 홀더와, 단추를 유지하는 단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단추 홀더를 여기에 유지된 단추의 각 구멍이 상하로 관통하는 단추달이 자세로 한 상태에서 단추의 각 구멍 및 바늘 낙하공에 상기 바늘을 통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두겹 접기한 옷감의 접힘부에 단추를 꿰매 붙이는 단추달이 작용과, 상기 단추 홀더를 거기에 유지된 단추의 단추달이 실이 상기 바늘판의 상면을 따라 바늘 낙하공을 횡단하는 뿌리감기 자세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옷감 홀더 및 단추 홀더를 상기 단추달이 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바늘을 단추달이 실의 양측에 교대로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에 뿌리감기를 실시하는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을 차례대로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로서,
    상기 단추달이 작용 후로서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으로의 이행 전에, 상기 단추 홀더와 옷감 홀더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 가능한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재 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달이 실의 뒤틀어짐을 교정 가능한 구동 수단이, 상기 단추 홀더를 옷감 홀더에 대하여 상승 이동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하강 이동시키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의한 단추 홀더의 상승 이동량을 조정 가능한 스토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옷감 홀더의 선단부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 뿌리감기 바느질 작용 시의 제1 바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옷감 홀더 위치 조절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꿰매달기 재봉기.
KR1020070087547A 2006-08-31 2007-08-30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KR101347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9456 2006-08-31
JP2006269456A JP4844828B2 (ja) 2006-08-31 2006-08-31 ボタン縫い付け方法及びその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559A KR20080020559A (ko) 2008-03-05
KR101347087B1 true KR101347087B1 (ko) 2014-01-03

Family

ID=3915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547A KR101347087B1 (ko) 2006-08-31 2007-08-30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44828B2 (ko)
KR (1) KR101347087B1 (ko)
CN (1) CN101135088B (ko)
TW (1) TW2008252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0491B2 (ja) * 2010-05-31 2012-12-26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ボタン付け方法及びボタン付け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883A (ja) * 1988-11-07 1990-05-15 Yamato Sewing Mach Seizo Kk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H0424045A (ja) * 1990-05-18 1992-01-28 Brother Ind Ltd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H0543751Y2 (ko) * 1988-11-07 1993-11-04
JP2004329389A (ja) 2003-05-02 2004-11-25 Juki Corp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116B2 (ja) * 2003-05-02 2008-10-15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及びボタン縫付方法
JP4445355B2 (ja) * 2004-09-07 2010-04-07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6883A (ja) * 1988-11-07 1990-05-15 Yamato Sewing Mach Seizo Kk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H0543751Y2 (ko) * 1988-11-07 1993-11-04
JPH0424045A (ja) * 1990-05-18 1992-01-28 Brother Ind Ltd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2004329389A (ja) 2003-05-02 2004-11-25 Juki Corp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44828B2 (ja) 2011-12-28
CN101135088B (zh) 2012-05-30
KR20080020559A (ko) 2008-03-05
JP2008055127A (ja) 2008-03-13
TWI367974B (ko) 2012-07-11
TW200825234A (en) 2008-06-16
CN101135088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0991B1 (en) Sewing machine feed device
JP4660017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TWI749282B (zh) 縫合管狀針織物開口端之縫紉機及其編織方法
KR101347087B1 (ko) 단추 꿰매달기 방법 및 그 재봉기
KR20060063740A (ko) 재봉기
KR100685060B1 (ko) 단추를 다는 재봉틀
JP2000271364A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JP4213510B2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JP4877627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CN216838498U (zh) 一种缝纫机挑线机构
KR20070100157A (ko) 단추달이 재봉기
JP2004147713A (ja) ミシン
JPS6141594B2 (ko)
JPH06218163A (ja) 継目縫合機のリードの支持体
KR20030001332A (ko) 자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6821A (ko) 단추구멍박기 재봉기
JP5982124B2 (ja) ミシン
JP5420606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JP4862322B2 (ja) 鳩目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芯糸供給装置
JP2007029151A (ja) 環縫いミシン
JP2006263178A (ja) ミシンの糸調子装置
US875628A (en) Scalloping-embroidery machine.
JP5715788B2 (ja) 上飾り縫いミシン
US591049A (en) Overseaming sewing-machine
JPH0424046A (ja) 単環縫い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