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40A -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실외 유닛 - Google Patents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실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40A
KR20080067640A KR1020087011021A KR20087011021A KR20080067640A KR 20080067640 A KR20080067640 A KR 20080067640A KR 1020087011021 A KR1020087011021 A KR 1020087011021A KR 20087011021 A KR20087011021 A KR 20087011021A KR 20080067640 A KR20080067640 A KR 2008006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valve
outdoor unit
mounting structure
air condition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869B1 (ko
Inventor
카즈히로 시오야마
사토루 오쿠라
타다시 사오
이쿠지 이시이
케이지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 유닛(2)에 있어서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기부(基部, 30, 40)와 고정부(50)를 구비한다. 폐쇄 밸브(18, 19)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3)에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을 통하여 접속된다. 기부(30, 40)는 실외 유닛(2)의 바닥 프레임(26)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된다. 고정부(50)는 기부(30, 40)에 연속하고,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50)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18, 19)의 하방(下方)에는 공극(空隙)이 있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 공기 조화 장치, 실외 유닛, 고정부

Description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CLOSING VALVE INSTALLATION STRUCTURE, AN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폐쇄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빌딩 등의 건물이나 일반 주택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을 냉매 연락 배관으로 접속하는 세퍼레이트형의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빌딩에 설치되는 멀티 타입의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옥상 등에 실외 유닛이, 각 플로어의 천장 등에 실내 유닛이 배치되고,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 및 액측 냉매 연락 배관에 의하여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을 연락시켜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내부의 냉매 회로의 말단에 가스측 폐쇄 밸브 및 액측 폐쇄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폐쇄 밸브는, 현지에 있어서 실외 유닛 및 실내 유닛이 배치된 후에, 실내 유닛으로부터의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 및 액측 냉매 연락 배관에 접속되고, 그 후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 환된다. 이것에 의하여,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의 사이에서 냉매를 유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가스측 폐쇄 밸브 및 액측 폐쇄 밸브는, 특허 문헌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에 세워지는 취부판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취부판은, 특허 문헌 1의 도면 중에는 명료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대체로 도 9에 도시하는 취부판(100)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많다. 취부판(100)은 1매의 판상(板狀)의 부재가 L자형으로 꺾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꺾여 구부러진 일방(一方)의 부분(101)은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에 면으로 접하고, 타방(他方)의 부분(102)에는 폐쇄 밸브를 삽입하기 위한 노치(102a, 102b)가 형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7007호 공보
그렇지만, 폐쇄 밸브가 이와 같은 취부판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이 납땜(금속과 금속을 납을 사용하여 열로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접합부에 닿게 하기 위한 버너 등의 불길이 취부판에까지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취부판의 전후로 공간이 칸막이되어 버리기 때문에, 작업 스페이스가 제한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접합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손의 방향이나 공구를 움직이는 각도 등이 제한을 받아, 작업자가 접합 작업 시에 다소간에 부자유를 강요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폐쇄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기부(基部)와 고정부를 구비한다. 폐쇄 밸브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 유닛에 냉매 연락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기부는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된다. 고정부는 기부에 연속하고,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의 하방(下方)에는 공극(空隙)이 있다.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부에 연속하는 고정부가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의 하방, 즉 고정부 중 폐쇄 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하방에는 기부가 존재하지 않고, 공극이 펼쳐져 있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주로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 상에 세워지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그 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덧붙여, 기부와 고정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별체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현지에 설치할 때에는, 실내 유닛에 연결되는 냉매 연락 배관에 폐쇄 밸브를 접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가 1매의 대략 장방형(長方形)의 판상 부재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버너 등의 불길로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납땜 위치 이외를 태워 버리거나, 폐쇄 밸브 취부 구조 자체에 의하여 공간이 칸막이되어 작업 스페이스가 제한되어 버리거나 한다. 한편,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가 채용된 실외 유닛에 있어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이 개방된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가 해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이고, 기부는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로 형성된다. 고정부는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의 쌍방(雙方)에 연속한다.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가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에 연속한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문형(門型)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에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전체적으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이고, 기부와 고정부는 분할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취부되는 폐쇄 밸브의 수나 크기는, 그 공기 조화 장치의 마력이나 그 공기 조화 장치가 냉난방 프리형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의 차이 등에 따라서 다른 것이 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 장치의 기종이 다르면, 이용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형상도 다른 것이 된다.
한편,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들보 형상의 고정부가 별체이고,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신기종의 공기 조화 장치를 개발할 때에는, 고정부만을 새롭게 다시 설계하고, 기부를 공용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이고, 바닥 프레임은 실외 유닛의 내부를 향하여 팽출(膨出)하는 팽출부를 가진다. 기부는 계합부(係合部)를 가진다. 계합부는 팽출부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과 계합한다.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기부의 특정 부분(계합부)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팽출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와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과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는 것과 함께, 폐쇄 밸브 취부 구조를 바닥 프레임에 대하여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케이싱과 폐쇄 밸브와 폐쇄 밸브 취부 구조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바닥 프레임을 가진다. 폐쇄 밸브는 실내 유닛에 냉매 연락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폐쇄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기부와 고정부를 가진다. 기부는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고정부는 기부에 연속하고,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폐쇄 밸브의 하방에는 공극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 의하여 폐쇄 밸브가 고정된다.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부에 연속하는 고정부가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의 하방, 즉 고정부 중 폐쇄 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하방에는 기부가 존재하지 않고, 공극이 펼쳐져 있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주로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 상에 세워지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그 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덧붙여, 기부와 고정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무방하고, 별체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을 현지에 설치할 때에는, 실내 유닛에 연결되는 냉매 연락 배관에 폐쇄 밸브를 접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가 1매의 대략 장방형의 판상 부재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버너 등의 불길로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납땜 위치 이외를 태워 버리거나, 폐쇄 밸브 취부 구조 자체에 의하여 공간이 칸막이되어 작업 스페이스가 제한되어 버리거나 한다. 한편,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실외 유닛에 있어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이 개방된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가 해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은,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이고, 폐쇄 밸브는 가스측 폐쇄 밸브 및 액측 폐쇄 밸브를 포함한다. 가스측 폐쇄 밸브와 액측 폐쇄 밸브는, 평면에서 볼 때, 가스측 폐쇄 밸브가 액측 폐쇄 밸브보다도 정면 측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 의하여 가스측 폐쇄 밸브와 액측 폐쇄 밸브가 고정된다. 이때, 가스측 폐쇄 밸브는, 액측 폐쇄 밸브에 대하여 실외 유닛의 정면 측으로 오프셋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액측 폐쇄 밸브보다도 굵은 관을 폐쇄하는 가스측 폐쇄 밸브가 정면에서 보아 앞쪽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보다 향상한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부에 연속하는 고정부가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의 하방, 즉 고정부 중 폐쇄 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하방에는 공극이 있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주로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 상에 세워지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그 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이 개방된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가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에 연속한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전체적으로 문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에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여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전체적으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들보 형상의 고정부가 별체이고, 분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신기종의 공기 조화 장치를 개발할 때에는, 고정부만을 새롭게 다시 설계하고, 기부를 공용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기부의 특정 부분(계합부)이, 바닥 프레임에 설치된 팽출부의 적어도 일부분과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와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과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는 것과 함께, 폐쇄 밸브 취부 구조를 바닥 프레임에 대하여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 의하여 폐쇄 밸브가 고정된다.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서는,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부에 연속하는 고정부가 폐쇄 밸브를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폐쇄 밸브의 하방, 즉 고정부 중 폐쇄 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하방에는 공극이 있다. 즉,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주로 실외 유닛의 바닥 프레임 상에 세워지는 기둥 형상의 기부와, 그 기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들보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의 하방이 개방된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서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에 의하여 가스측 폐쇄 밸브와 액측 폐쇄 밸브가 고정된다. 이때, 가스측 폐쇄 밸브는, 액측 폐쇄 밸브에 대하여 실외 유닛의 정면 측으로 오프셋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 실외 유닛에서는, 액측 폐쇄 밸브보다도 굵은 관을 폐쇄하는 가스측 폐쇄 밸브가 정면에서 보아 앞쪽에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보다 향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 2는 실외 유닛의 외관도.
도 3은 케이싱의 일부나 실외 팬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실외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실외 유닛의 내부 상면시도.
도 5는 바닥 프레임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
도 7은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주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폐쇄 밸브 취부 구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 장치 2 : 실외 유닛
3 : 실내 유닛 17a, 17b : 냉매 연락 배관
18 : 가스측 폐쇄 밸브 19 : 액측 폐쇄 밸브
26 : 바닥 프레임 26a : 팽출부
27 : 폐쇄 밸브 취부 구조 30 : 우측 기부
32a, 42a : 계합부 40 : 좌측 기부
50 : 고정부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실외 유닛(2)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를 도시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빌딩용의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이며, 1개 또는 복수의 실외 유닛(2)에 대하여 복수의 실내 유닛(3)이 병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는 주로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실외 열교환기(13), 실외 팽창 밸브(14), 실내 팽창 밸브(15), 실내 열교환기(16)가 차례로 접속된 것이며, 증기 압축식의 냉동 사이클로 되어 있다.
압축기(11), 사방 전환 밸브(12), 실외 열교환기(13) 및 실외 팽창 밸브(14)는 실외 유닛(2)에 포함되어 있고, 실내 팽창 밸브(15) 및 실내 열교환기(16)는 실내 유닛(3)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방 전환 밸브(12)와 실내 열교환기(16)의 사이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에 의하여 접속되고, 실외 팽창 밸브(14)와 실내 팽창 밸브(15)의 사이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에 의하여 접속된다.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은 실외 유닛(2)과 실내 유닛(3)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실외 유닛(2) 내에는 어큐뮬레이터나 그 외의 부속 기기도 설치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실외 유닛(2)의 내부의 냉매 회로의 말단부에는 가스측 폐쇄 밸브(18)와 액측 폐쇄 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는 사방 전환 밸브(12) 측에 배치되어 있고, 액측 폐쇄 밸브(19)는 실외 팽창 밸브(14)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에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이 접속되고, 액측 폐쇄 밸브(19)에는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이 접속된다. 이들의 폐쇄 밸브(18, 19)는, 실외 유닛(2)이나 실내 유닛(3)을 설치할 때에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 밸브(18, 19)는, 각 유닛(2, 3)을 현지에 설치하고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 및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폐쇄 밸브(18, 19)에 접속한 후에 열림 상태로 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10)는 실제의 회로를 간략화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실제의 압축기(11)는 인버터에 의하여 회전수 제어가 행하여지는 용량 가변의 압축기(이하, 인버터 압축기라고 한다.)와, 온 오프 제어가 행하여지는 정용량의 압축기(이하, 정용량 압축기라고 한다.)가 설치 물건의 대소에 대응하여 5, 8, 10, 12, 14, 16, 18마력(HP)이라는 다양한 마력을 실현하도록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많다. 덧붙여,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압축기(11)로서, 1대의 인버터 압축기(11a)와 1대의 정용량 압축기(11b)가 조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도 4 참조).
또한, 실외 유닛(2)에는, 실외 열교환기(13)에 공기를 닿게 하여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외 팬(29)이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이 공기 조화 장치(1)의 운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냉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 보지(保持)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13)로 유입하고,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액화한다. 액화한 냉매는 완전 열림 상태의 실외 팽창 밸브(14)를 통과하고,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을 통하여 각 실내 유닛(3)으로 유입한다. 실내 유닛(3)에 있어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15)에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나아가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그리고 냉매의 증발에 의하여 냉각된 실내 공기는, 도시하지 않는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로 불어내져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가스측 냉매 연락 배관(17a)을 통하여 실외 유닛(2)으로 되돌아와 압축기(11)에 흡입된다.
한편, 난방 운전 시는, 사방 전환 밸브(12)가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 보지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각 실내 유닛(3)의 실내 열교환기(16)로 유입하고,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액화한다. 냉매의 응축에 의하여 가열된 실내 공기는 실내 팬에 의하여 실내로 불어내져 실내를 난방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 있어서 액화한 냉매는 완전 열림 상태의 실내 팽창 밸브(15)로부터 액측 냉매 연락 배관(17b) 을 통하여 실외 유닛(2)으로 되돌아온다. 실외 유닛(2)으로 되돌아온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14)에서 소정의 저압으로 감압되고, 나아가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그리고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증발하여 기화한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12)를 통하여 압축기(11)에 흡입된다.
덧붙여, 냉방 운전 시 및 난방 운전 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정지 중의 실내 유닛(3)의 실내 팽창 밸브(15)는 닫힘 상태로 되어 있어, 그 실내 유닛(3)의 실내 열교환기(16)에는 냉매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실외 유닛의 구성>
다음으로, 도 2 ~ 도 9를 참조하여 실외 유닛(2)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덧붙여, 도 3, 도 4 및 도 7에 있어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당히 배관 등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는 실외 유닛(2)의 외관도이고, 도 3은 케이싱의 일부나 실외 팬(29)을 제외한 상태에서의 실외 유닛(2)의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폐쇄 밸브(18, 19) 및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케이싱의 좌측면판(22), 우측면판(24)은 각각 지주(支柱, 81, 82), 지주(83, 84)와 함께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측면판(22, 24)에는 실외 유닛(2)의 케이싱 내로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開口, 2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의 배면판(23), 정면판(21)은 각각 지주(81, 84), 지주(82, 83)의 외측에 장착된다. 또한, 연직으로 연장되는 4개의 지주(81 ~ 84)는 하단 부근의 바닥 프레임(26)이나 상부의 가로 스테이(72) 및 모터 지지대(7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 지지 대(73)에는 실외 팬(29)을 구동하는 모터(70)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의 천판(天板, 25)은, 그 외주(外周) 가장자리부가 지주(81 ~ 84) 혹은 측면판(22, 24)이나 배면판(23)에 고정되어 있고, 실외 팬(29)의 날개차의 주위에 배치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벨 마우스(29a)와 함께 실외 유닛(2)의 공기 취출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천판(25)에는 벨 마우스(29a)에 대응하는 원공(圓孔)이 뚫어져 있고, 이 원공을 덮도록 하여 격자상(格子狀)의 연강선(軟鋼線)의 팬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정면판(21)의 뒤에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내부에 구비하는 스위치 박스(71)가 배치되어 있다.
(폐쇄 밸브 및 바닥 프레임)
도 4는 실외 유닛(2)의 높이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바닥 프레임(26)은 압축기(11)나 실외 열교환기(13) 등을 지지하는 것과 함께,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를 통하여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는 역할도 완수하고 있다. 실외 유닛(2)의 가스측 폐쇄 밸브(18) 및 액측 폐쇄 밸브(19)는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측 폐쇄 밸브(18) 및 액측 폐쇄 밸브(19)의 배열 방향은, 케이싱의 정면판(21)에 대해서도 측면판(22)에 대해서도, 대체로 45°의 각도로 되어 있다. 즉, 가스측 폐쇄 밸브(18)와 액측 폐쇄 밸브(19)는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좌우 방향(정면판(21)을 따르는 방향)으로 오프셋되고, 또한 전후 방향(좌측면판(22)을 따르는 방향)으로도 오프셋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폐쇄 밸브(18, 19)는, 전후로도 좌우로도 배관을 꺼내기 쉽게 되어 있는 것과 함께,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의 래깅(lagging)(양 관을 보온 테이프로 감거나 화장(化粧) 금속판으로 커버하거나 한다) 작업도 편해지고, 그 굵기도 가늘게 할 수 있어 보기에 좋아진다.
도 5는 바닥 프레임(26)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바닥 프레임(26)에 형성되는 팽출부(26a)의, 도 5에 도시하는 VI-VI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는, 참고를 위하여, 인버터 압축기(11a), 정용량 압축기(11b) 및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취부 위치가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닥 프레임(26)의 표면에는, 각 부재가 적절히 고정되도록, 팽출부(26a)를 포함하는 요철(凹凸)의 패턴이 그려져 있다. 팽출부(26a)는, 실외 유닛(2)의 내부를 향하여, 즉 상방을 향하여, 네 모퉁이가 만곡(彎曲)한 대략 장각형(長角形)의 형상으로 불룩해져 있어,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와 바닥 프레임(26)과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팽출부(26a)를 둘러싸는 영역(26b)은 대략 수평면을 규정하고 있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도 7은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주위의 모습을 정면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8은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사시도이다.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는 주로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기부(30) 및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기부(40)와, 이들의 기부(30, 40)의 상단 부근을 연결하도록 하여 수평 들보와 같이 대략 수평으로 가설(架設)된 고정부(50)로 구성된다. 기부(30, 40) 및 고정부(50)는 3개의 부재로 분할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서로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조립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문형의 형상으로 된다.
다음으로, 우측 기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좌측 기부(40)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 부호 30 ~ 36을 각각 40 ~ 46으로 대신하는 것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설명된다.
우측 기부(30)는, 바닥 프레임(26)의 팽출부(26a)에 의하여 위치 맞춤되어, 바닥 프레임(26)의 영역(26b) 상에 세워진다. 우측 기부(30)는 주로 본체부(31), 저면부(底面部, 32), 제1 측벽부(33), 제2 측벽부(34) 및 제3 측벽부(35)로 구성되고, 소정의 형태로 판 자름된 1매의 금속판이 꺾여 구부러지는 것에 의하여 성형된다.
본체부(31)는, 대략 연직 방향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평평한 판상의 부재이며, 그 하단이 저면부(32)에 연속하고 있다. 저면부(32)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평한 판상의 부재이며, 그 평평한 면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바닥 프레임(26)의 영역(26b)에 면으로 접하고 있다. 저면부(32)는, 좌측 기부(40)에 가까운 측의 윤곽을 따른 부위(계합부, 32a)가 만곡하고 있고, 그 부위(32a)는 바닥 프레임(26)의 팽출부(26a)의 윤곽과, 팽출부(26a)의 하나의 모퉁이 부근에 있어서 계합한다. 또한, 저면부(32)의 중앙 부근에는, 저면부(32)와 바닥 프레임(26)을 체결하는 나사를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이 뚫어져 있다. 나아가, 저면부(32)에는, 이 구멍을 통하여 취부된 나사의 나사산을 둘러싸는 위치에 리브(3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32b)에 의하여, 압축기(11)의 운전 시의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진동이 극소화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측벽부(33)는, 대략 연직 방향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본체부(31)의, 좌측 기부(40)에 가까운 측에 연속하고, 그 평평한 면이 본체부(31)와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2 측벽부(34)는, 대략 연직 방향 세로로 길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본체부(31)의, 좌측 기부(40)에 먼 측에 연속하고, 그 평평한 면이 본체부(31)와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측벽부(33)는 본체부(31)에 대하여 저면부(32)와 반대 방향에 존재하고 있고, 제2 측벽부(34)는 본체부(31)에 대하여 저면부(32)와 같은 방향에 존재하고 있다. 제3 측벽부(35)는 대략 연직 방향 가로로 길게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저면부(32)의, 좌측 기부(40)에 먼 측에 연속하고, 그 평평한 면이 저면부(32)와 대략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우측 기부(30) 및 이것과 같은 좌측 기부(40)의, 꺾여 구부러진 구조에 의하여,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강도가 향상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벽부(34)와 제3 측벽부(35)와의 겹침 부분(36)이 스폿(spot) 용접되어, 한층 더 강도의 향상이 전망되고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부(50)는, 소정의 형태로 판 자름된 1매의 금속판이 꺾여 구부러지는 것에 의하여 성형된다. 고정부(50)는, 그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 각각 나사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기부(30, 40)의 상단에 고정되고, 기부(30, 40)를 기둥으로 하여 가로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 들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0)는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대략 90°의 각도로 4회 꺾여 구부러져, 그 종단면을 보았을 때의 형상이 산형(山型) 내지 계단상(階段狀)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0)에는, 그 상단을 따라서 대략 반원 형상의 노치(51, 52)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51)의 반경(半徑)은 노치(52)의 반경보다도 크고, 노치(51)에는 가스측 폐쇄 밸브(18)가, 노치(52)에는 액측 폐쇄 밸브(19)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나아가, 고정부(50)에는 냉매 충전용의 포트를 받침 고정하기 위한 대략 반원 형상의 노치(53)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측 폐쇄 밸브(18)의 배관 접속구(18a)도 액측 폐쇄 밸브(19)의 배관 접속구(19a)도, 같은 하측을 향하고 있다. 이 폐쇄 밸브(18, 19)는 플레어 너트(flare nut)나 플랜지(flange)에 의하여 냉매 연락 배관(17a, 17b)과 접합하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고, 납땜에 의하여 냉매 연락 배관(17a, 17b)과 접합된다. 이것에 의하여, 현지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18, 19)와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의 접합 작업에서는, 나사 조임 작업이 없어져 시공성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냉매 누출의 우려도 저감되고 있다.
<특징>
(1)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는, 주로 2개의 기둥 형상의 기부(30, 40)와 이들의 기부(30, 40)에 가설된 수평 들보 형상의 고정부(50)로 구성되는 문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고 있는 부분의 하방이 개방된 공간으로 된다. 즉, 현지에 있어서 폐쇄 밸브(18, 19)와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의 접합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외 유닛(2)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18, 19)와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하는 것 외에,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부 재에 관한 작업에 대해서도 그 작업성이 향상한다. 예를 들면, 접합 작업을 납땜에 의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이 개방된 공간에 납땜 작업용의 버너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버너 등의 불길로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자체를 태워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공간에 의하여, 문을 빠져 나가도록 하여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전후에 배관 등의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외 유닛(2)의 설계에 있어서 부재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나아가, 종래와 같이 판상의 부재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재료비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이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에서는, 2개의 기둥 형상의 기부(30, 40)와 수평 들보 형상의 고정부(50)가 별체로 되어 있고, 이들의 부재(30, 40, 50)가 조합되는 것에 의하여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가 형성된다. 따라서, 기종이 다른, 즉 폐쇄 밸브의 수나 크기 등이 다른 복수의 실외 유닛 사이에 있어서, 고정부(50)만을 그 기종의 배관 구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여, 기부(30, 40)를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기종의 공기 조화 장치를 개발할 때에 금형비를 삭감하는 등 하여 개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난방 프리인 기종에 대응하는 고정부이면, 본 실시예의 고정부(50)에 있어서 노치(52)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전용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노치를 한층 더 설치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된다.
또한, 기부(30, 40)와 고정부(50)의 제조 시의 판 자름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다.
(3)
이 실외 유닛(2)의 바닥 프레임(26)의 표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팽출한 팽출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는, 그 기부(30, 40)의 부위(32a, 42a)가 이 팽출부(26a)의 윤곽과 부분적으로 계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이 실외 유닛(2)에서는, 바닥 프레임(26)의 팽출부(26a)와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의 기부(30, 40)의 부위(32a, 42a)가 계합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 프레임(26)과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바닥 프레임(26)과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가 고정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부재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이 문형의 형상을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태양(態樣)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폐쇄 밸브 취부 구조는, 1개의 기둥 형상의 기부와 그 기부에 지지되는 수평 들보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L자형, T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와 냉매 연락 배관의 접합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에 있어서 폐쇄 밸브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 유닛(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의 실내 유닛(3)에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을 통하여 접속되는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이고,
    상기 실외 유닛(2)의 바닥 프레임(26)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연장되는 기부(基部, 30, 40)와,
    상기 기부(30, 40)에 연속하고, 상기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는 고정부(50)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50)에 고정된 상태의 상기 폐쇄 밸브(18, 19)의 하방(下方)에는 공극(空隙)이 있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0, 40)는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2개의 기둥 형상의 부재의 쌍방(雙方)에 연속하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30, 40)와 상기 고정부(50)는 분할 가능한,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6)은 상기 실외 유닛(2)의 내부를 향하여 팽출(膨出)하는 팽출부(26a)를 가지고,
    상기 기부(30, 40)는 상기 팽출부(26a)의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과 계합(係合)하는 계합부(32a, 42a)를 가지는,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5. 바닥 프레임(26)을 가지는 케이싱과,
    실내 유닛(3)에 냉매 연락 배관(17a, 17b)을 통하여 접속되는 폐쇄 밸브(18, 19)와,
    상기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기 위한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
    를 구비하고,
    상기 폐쇄 밸브 취부 구조(27)는,
    상기 바닥 프레임(26)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기부(30, 40)와,
    상기 기부(30, 40)에 연속하고, 상기 폐쇄 밸브(18, 19)를 고정하는 고정부(50)
    를 가지며,
    상기 폐쇄 밸브(18, 19)의 하방에는 공극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 유닛(2).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밸브(18, 19)는 가스측 폐쇄 밸브(18) 및 액측 폐쇄 밸브(19)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측 폐쇄 밸브(18)와 상기 액측 폐쇄 밸브(19)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가스측 폐쇄 밸브(18)가 상기 액측 폐쇄 밸브(19)보다도 정면 측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오프셋(offset)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실외 유닛(2).
KR1020087011021A 2005-11-01 2006-10-27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실외 유닛 KR10096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8921 2005-11-01
JP2005318921 2005-11-01
JP2006041210A JP4033218B2 (ja) 2005-11-01 2006-02-17 閉鎖弁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JP-P-2006-00041210 2006-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40A true KR20080067640A (ko) 2008-07-21
KR100960869B1 KR100960869B1 (ko) 2010-06-04

Family

ID=3800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021A KR100960869B1 (ko) 2005-11-01 2006-10-27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실외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97071B2 (ko)
EP (1) EP1953464B1 (ko)
JP (1) JP4033218B2 (ko)
KR (1) KR100960869B1 (ko)
AU (1) AU2006309884B2 (ko)
ES (1) ES2491220T3 (ko)
WO (1) WO2007052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508B2 (ja) * 2007-10-29 2012-06-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371886B1 (ko) 2007-10-31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98372B1 (ko) * 2007-10-31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9130187A (ja) * 2007-11-26 2009-06-11 Fujitsu Microelectronics Ltd 基板処理装置
JP2011133159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8857202B1 (en) * 2010-03-25 2014-10-14 Silver Linings Systems, LLC High density modular integrated cooling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JP2013113558A (ja) * 2011-11-30 2013-06-10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これに用いる閉鎖弁用の支持部材
US9599118B2 (en) 2013-04-04 2017-03-21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ystem that includes fixed speed and variable speed compressors
KR102396941B1 (ko) *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72567B1 (ko) 2015-08-25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17053577A (ja) * 2015-09-11 2017-03-16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室外機
JP6716963B2 (ja) * 2016-03-03 2020-07-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JP6836115B2 (ja) * 2016-07-07 2021-02-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9120449A (ja) * 2017-12-28 2019-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2019120448A (ja) * 2017-12-28 2019-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2019120447A (ja) * 2017-12-28 2019-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KR102418488B1 (ko) * 2018-01-19 202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
JP2020193748A (ja) * 2019-05-28 2020-12-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筐体
JP2021055934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切替ユニット
JP7467864B2 (ja) * 2019-09-30 2024-04-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切替ユニット
CN212962313U (zh) * 2020-08-21 2021-04-13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安装结构及气液分离装置
US20230366566A1 (en) * 2020-09-14 2023-11-16 Toshiba Carrier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7260805B2 (ja) * 2021-03-31 2023-04-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CN113320356B (zh) * 2021-08-02 2021-09-24 深圳市智为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制冷系统
CN115013958B (zh) * 2022-06-09 2023-09-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阀门安装结构及空调器
JP2024009525A (ja) * 2022-07-11 2024-01-2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827A (en) * 1987-06-29 1988-06-07 Chang Dick Y K Coil support structure
JPH03194334A (ja) * 1989-12-25 1991-08-26 Toshiba Corp 室外ユニット
JP2506785Y2 (ja) * 1990-12-28 1996-08-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機における閉鎖弁の取付構造
JPH0552633U (ja) * 1991-12-09 1993-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H05203196A (ja) * 1992-01-28 1993-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機器類保持装置
JP3549357B2 (ja) * 1997-03-10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591388B2 (ja) * 1999-09-24 2004-1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1263734A (ja) 2000-03-24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空調装置用台枠
JP3565148B2 (ja) 2000-08-09 2004-09-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985556B2 (ja) 2002-03-18 2007-10-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電気絶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3719233B2 (ja) * 2002-07-04 200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09884B2 (en) 2010-05-20
EP1953464B1 (en) 2014-05-21
ES2491220T3 (es) 2014-09-05
JP2007147247A (ja) 2007-06-14
US20090260391A1 (en) 2009-10-22
WO2007052556A1 (ja) 2007-05-10
US8297071B2 (en) 2012-10-30
JP4033218B2 (ja) 2008-01-16
EP1953464A4 (en) 2013-01-23
AU2006309884A1 (en) 2007-05-10
EP1953464A1 (en) 2008-08-06
KR100960869B1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869B1 (ko) 폐쇄 밸브 취부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실외 유닛
CN101300454A (zh) 截止阀安装构造及具有该构造的空调装置的室外单元
KR100578195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US10473341B2 (en) In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EP3260785B1 (en) Outdoor unit
WO2018193520A1 (ja) 室外機、空気調和機、及び、室外機の製造方法
CN113423996A (zh) 室内机以及空气调节装置
JP2008133986A (ja) 空調ユニット、そのフレーム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0511940U (zh) 空调机的室外机
WO2021106194A1 (ja) カバー、冷凍サイクル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3076519A (ja) 室外機における閉鎖弁用の支持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室外機
CN220541236U (zh) 新风空调器
CN220582566U (zh) 新风空调器
JP726262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JP7317202B2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220250155U (zh) 新风空调器
CN112166250A (zh) 压缩机单元、空调装置的室外机以及空调装置
WO2021199155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7325600B2 (ja) 室外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EP3361167A1 (en) Outdoor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outdoor unit
WO2020039472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2020085427A (ja) 冷凍装置
KR200346771Y1 (ko) 에어컨 실외기의 지지패널 구조
CN111670327A (zh) 配管配置构造和空调装置的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