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544A -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544A
KR20080020544A KR1020070087202A KR20070087202A KR20080020544A KR 20080020544 A KR20080020544 A KR 20080020544A KR 1020070087202 A KR1020070087202 A KR 1020070087202A KR 20070087202 A KR20070087202 A KR 20070087202A KR 20080020544 A KR20080020544 A KR 2008002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peripheral
liquid crystal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377B1 (ko
Inventor
야스히로 시라사까
가즈야 우에다
히로히데 후꾸모또
히사시 가도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5Details of drivers for counter electrodes, e.g. common electrodes for pixel capacitors or supplementary storage capac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제2 기판, 액정층,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한다. 제1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된다.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르다.
화소 영역, 주변 전극, 집광 광학계, 액정층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발명은 2006년 8월 3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JP 2006-233909에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에 있어서의 표시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패널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적, 녹, 청으로 분리하고, 각 색광을 액정 표시 소자로 구성되는 3개의 라이트 밸브에 의해 변조하고, 변조된 후의 색광속을 다시 합성해서 투사면에 확대 투사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에서, 최근에는 고휘도화와 고수명화가 요구되고 있어, 그것들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 강력한 광에도 열화를 일으키지 않고 무기 재 료로 이루어지는 배향막을 적용한 액정 표시 소자가 적용되도록 되어 있다.
영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은, 대면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끼워넣어서 구성되어 있고, 제1 기판의 화소 영역(유효 화소 영역)의 대향면측 및 제2 기판의 대향면측 전체 면에는 공통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은 각각 배향막에 의해 덮여 있다. 이 배향막은 액정층에 포함되는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는 화소 영역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시일재(a seal material)로 밀봉되어서, 액정층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사이에 충전 밀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정 패널에서는, 액정 주입시에 혼입하거나, 액정층을 둘러싸고 있는 시일재로부터 용출한 이온성 불순물이 그 후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에 의해, 화소 영역에 확산·응집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표시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 특성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구성의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Hei 10-260406호(이하 특허 문헌 1로 함)에서 이하를 제안한다. 표시 장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표면 개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액정 패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화소 영역의 배향막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배향막의 표면 에너지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시일재로부터 용출한 이온성 불순물을 표면 에너지가 높은 주변 영역의 배향막 부분에 흡착 포획해서 화 소 영역에의 이온성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Hei 3-152512호에는 주변 영역에 이온 흡착성이 높은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화소 영역에의 이온성 불순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Hei 10-177177호에는, 시일재와 화소 영역 사이에 돌기를 설치하고 시일재로부터 용출한 이온성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a barrier) 구조를 가진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주변 영역에 이온 트랩 전극을 설치해서 전기적으로 불순물 이온을 흡착하여 확산을 억제하는 다수의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Hei 1-293317호, 일본 특허 공개 제Hei 4-0125617호, 일본 공개 특허 제Hei 6-289408호, 일본 특허 공개 제Hei 8-201830호, 일본 특허 공개 제Hei 9-54325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8510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6355호, 일본 특허 공개 제Hei 4-86812호(이하 특허 문헌 11로 함)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7613호(이하 특허 문헌 12로 함)를 참조한다.
그렇지만, 주변 영역의 배향막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술은 막 상태의 제어가 매우 곤란하다.
특수재료를 이용하는 제안은 제조공정 수를 증대시켜 실현성이 낮다.
돌기를 설치하는 제안은 액정 중에 용출된 불순물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 때문에 효과가 불충분하다.
한편, 이온 트랩 전극에 의한 전기적인 이온성 불순물의 흡착은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투사형 영상 표시 장치의 고휘도화와 장기 수명화에 적응한 무기 재료로로 이루어진 배향막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온성 불순물이 배향막에 흡착하기 쉽다. 따라서, 선행 예에 있는 단순 전극을 설치한 것만으로는 양호한 표시를 유지하는 것에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다.
액정 셀 내의 이온성 불순물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번-인(burn-in) 등의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다 고품위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소 영역과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된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된 액정층과, 제 1 기판에 형성된 제1 전극부와,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부와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하는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과,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액정 표시 장치에 유도하는 집광 광학계와,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변조된 광을 확대해서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과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되는 액정층과, 제1 기판에 형성된 제1 전극부와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한다. 제1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전극부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부와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부와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한쪽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고,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은 먼저 주변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인접하는 전극 사이의 전위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가로 방향의 전계가 생기고, 액정의 미소한 흔들림에 의한 흐름 외에 추가로, 불순물 이온을 이동시키는 힘이 된다. 따라서, 화소 영역으로부터 이동해오는 이온을 재빠르게 화소 영역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셀 내의 이온성 불순물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번-인 등의 표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보다 고품위의 화질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의 특징적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 후, 이 액정 표시 장치가 적용되는 적합한 전자기기인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B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는 TFT 기판(제1 기판)(10)과 TFT 기판(10)에 대향(대면) 배치되는 투명한 대향(counter) 기판(제2 기판)(20)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31)은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에 봉입되어 있다. 봉입된 액정(31)은 광 변조층으로서의 액정층(30)을 형성한다. 액정층(30)의 주위는 시일재(seal material)(40)에 둘러싸여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은 시일재(4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TFT 기판(10)은 석영, 글래스,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ITO(Indium Tin Oxide) 막 등의 투명전도막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대략 사각형의 화소 전극(11)은 TFT 기판(10)의 내면측(대향면 측)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화소 전극(11)은 유효 화소 영역(화소 영역)(12)에 형성되고 있다. 이 화소 영역(12) 주위의 주변 영역(13)에는 인접하는 복수의 주변 전극(13A 및 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11) 및 주변 전극(13A 및 13B)을 피복하도록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 무기배향 막(50)이 형성되어 있다.
TFT 기판(10)에 형성된 화소 전극(11)과 주변 전극(13A 및 13B)은 제1 전극부(EL1)를 구성하고 있다.
대향 기판(20)은 석영, 글래스,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의 내면측(대향면 측)에 ITO 등의 투명 도전막에 의해 형성된 공통 전극(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통 전극(21)을 피복하도록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된 무기배향 막(5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대향 기판(20)에 형성된 공통 전극(21)은 화소 영역(12)의 화소 전극부와 주변 영역(13)의 주변 전극이 접속됨으로써 얻어진 화소 영역(12)과 주변 영 역(13)에 공통인 하나의 전극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20)에 형성된 공통 전극(21)이 제2 전극부(EL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 기판(10)의 중앙부에 화소 전극(11) 등이 형성되는 유효 화소 영역(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유효 화소 영역(12)의 주위에 주변 영역(13)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영역(13)에는 제1 주변 전극(13A)과 제2 주변 전극(13B)이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전극(13A 및 13B)이 각각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전극들은 주변 전극(13A 및 13B)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변 전극(13A 및 13B)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쪽의 끝을 단락하는 빗살 무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난 바와 같은 사각형 파의 전압은 화소 전극(11), 주변 전극(13A 및 13B)에 인가된다. 도 4a는 화소 전극(11)에 인가되는 전압(V11)을 나타낸다. 도 4b는 제1 주변 전극(13A)에 인가되는 전압(V13A)을 나타낸다. 도 4c는 제2 주변 전극(13B)에 인가되는 전압(V13B)을 각각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의 사각형 파는 주변 전극(13A 및 13B)에 인가되는 전압이 화소 전극(11)의 인가 전압(Vsig)보다도 크고, 주변 전극(13A)에의 인가 전압(V13A)과 제2 주변 전극(13B)에의 인가 전압(V13B)과의 위상(또는 극성)이 서로 반대인 것이 특징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의 TFT 기판(액정 패널부)에서의 회로 요소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FT 기판(10A)은 화소가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된 유효 화소 영역(12) 및 주변 영역(13) 주위의 주변부에 수평 전송 회로(101), 수직 전송 회로(102-1 및 102-2), 프리차지 회로(103) 및 전압 제어 회로(104)를 포함한다.
유효 화소 영역(12)에는 복수의 데이터 선(105)과 복수의 주사선(게이트 배선)(106)이 격자 형상으로 배선되어 있다. 각 데이터 선(105)의 일단 측은 수평 전송 회로(101)에 접속되고, 타단 측은 프리 차지 회로(103)에 접속되어 있다. 각 주사선(106)의 단부가 수직 전송 회로(102-1 및 102-2)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TFT 기판(10A)의 유효 화소 영역(12)을 구성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화소(PX)에는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화소 스위칭용 박막 트랜지스터(TFT)(107), 액정(108(31)), 및 보조 용량(축적 용량)(109)이 설치되어 있다.
화소 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 선(105)이 트랜지스터(107)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어, 기입하는 화소 신호(Vsig)를 공급하고 있다. 트랜지스터(107)의 게이트에 주사선(10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소정의 타이밍에서 주사선(106)에 펄스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1)은 트랜지스터(107)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인 트랜지스터(107)를 일정 기간만 스위치를 온(on) 시킴으로써, 데이 터 선(105)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소 신호(Vsig)를 소정의 타이밍에 기입한다.
화소 전극(11)을 통해서 액정(108)에 기입된 소정 레벨의 화소 신호는 대향 기판(200)에 형성된 공통(대향) 전극(21)과 화소 전극(11) 사이에 일정 기간 유지된다. 액정(108)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서 액정(108)의 분자집합의 배향이나 질서가 변화된다. 액정(108)은 그것에 의해 광을 변조하고, 이에 따라 계조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입사광이 이 액정 부분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전체로서 액정 표시 소자로부터 화소 신호에 따른 콘트라스트를 갖는 광이 출사된다.
이 경우, 유지된 화소 신호가 누설(leak)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 용량과 병렬로 보조 용량(축적 용량)(109)이 부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지 특성은 더욱 개선되어, 콘트라스트비가 높은 액정 표시 소자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지 용량(축적 용량)(109)을 형성하기 위해서, 저항화된 공통 배선(1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제어 회로(104)는 전술한 주변 영역(13)에 형성된 제1 주변 전극(13A)에의 인가 전압(V13A)과 제2 주변 전극(13B)에의 인가 전압(V13B)을 전압(V12A)과 전압(V13B)의 위상(또는 극성)이 서로 반대로 되도록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는 예를 들면, 프레임마다 각 화소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대향 전극 전압에 대하여 반전시키는 프레임 반전 구동을 행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소자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의 구성 및 구동의 설명에 앞서, 액정층 중의 불순물의 움직임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액정 분자가 역병렬 배향하고 있는 상태를 바로 옆에서 보고 있는 상태이다.
액정층(30)에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이며, 하나의 프레임 기간마다 극성이 정부(正負) 역전한다. 그 교류 파형에 응답해서, 액정 분자도 그 극각(polar angle) 방향의 배향이 약간 흔들리고, 흔들림(sway)의 속도는 경사 방향과 완화 방향 사이에서 다르다(도 6의 α).
그러면, 액정층(30)에는 미소한 유동이 생긴다. 액정층(30)의 중간층에는, 액정 분자의 무게 중심을 회전축으로 한 흔들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미소한 유동(도 6의 +γ 및 -γ)은 상쇄되어서 불순물 이온을 움직이는 힘을 구성하지 않는다.
한편, 대향하는 기판(10 및 20)의 액정층 계면(무기 배향막(50 및 51))에서는, 액정 분자는 분자쇄(a molecular chain)의 한 쪽이 배향막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분자쇄는 배향막 계면과의 접점에서 흔들리고, 액정(31)의 배향 방향에 미소한 유동이 나타난다(도 6의 +β 및 -β).
대향하는 기판(10 및 20) 중 하나의 한 측면 상의 이 흐름은 다른 기판의 측면 상의 흐름으로부터 역방향이 되어, 전체로서는 상쇄되어 있다. 그러나, 이 흐름은 계면에서는 한 방향의 미소한 유동이 되어서, 불순물 이온이 움직여진다. 따라서, 불순물 이온은 액정(31)의 배향 방위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여 간다. 그러 한 현상이 특허 문헌 11에 기재되어 있다.
도 7은 그 현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참조 번호 25는 대향 기판(20)의 액정 배향 방위를 나타내는 배향 벡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15는 TFT 기판(10)의 액정 배향 방위를 나타내는 배향 벡터를 나타낸다. 각 기판 계면의 불순물(200)은 각각 기판의 벡터 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경우, 불순물(200)은 도 7의 참조 번호 201 및 202로 표시되는 위치에서 표시 얼룩(display variations)으로서 관측된다. 이것은 화소 전극의 전압이 누설하는 불순물의 결과로서 실제로 액정에 인가된 전압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멀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인 경우에는 검은 얼룩이 일어나고, 노멀리 화이트 모드인 경우는 흰 얼룩이 된다.)
도 8 및 도 9는 체크 패턴을 계속해서 표시했을 경우의 불순물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압 인가에 의해 백(白) 표시가 되는 노멀리 블랙 모드인 경우의 불순물 이온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8은 표시된 체크 패턴과 기판의 배향 벡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표시를 잠시 계속해서 표시한 후 균일한 화상을 표시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8에서 백을 표시하고 있었던 영역, 즉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었던 영역의 가장자리에 선 형상의 흔적, 소위 번-인 현상이 관측된다.
이 현상은 높은 전압을 인가하고 있는 부분(백)은 낮은 전압을 인가하는 부 분(흑)보다 액정의 흔들림이 비교적 크고 기판 계면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백 표시 영역 내의 불순물 이온이 배향 벡터에 따라 이동해서 흐름의 느린 흑(黑)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체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균일한 표시)를 잠시 지속하면, 균일한 유동과 불순물의 확산으로, 선 형상의 흔적이 제거된다.
도 9에서 대향 기판의 액정 배향 벡터(25)의 방향에 번-인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도 8의 표시 상태에서 미약한 직류 성분이 교류 파형에 중첩되어서 액정층에 인가되고, 불순물 이온의 극성으로 인해 불순물이 한쪽 기판에 부착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번-인 현상은 유기 재료의 배향막을 이용해도 관측될 경우가 있지만, 무기 재료를 이용한 배향막 쪽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2).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층(30) 내의 불순물 이온(200)은 기판 계면 부근을 액정 배향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전압 상승과 함께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또한, 불순물 이온(200)은 또한 전계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직류 전계 성분이 있으면 배향막에 흡착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이 현상을 이용해서 안출되었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서, 본 실시예의 설명을 다시 할 것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극(13A 및 13B)이 주변 영역(13)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인접한 전극들 사이의 전위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가로 방향의 전계가 생기고, 액정의 미소한 흔들림에 의한 흐름 외에 추가로 불순물 이온을 이동시키는 힘이 되므로, 화소 영역(12)으로부터 이동해 오는 이온을 재빠르게 화소 영역(12)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 전극(13A 및 13B)에 인가되는 전압은 화소 영역(12)보다도 크게 한다. 이에 의해 액정의 미소한 흔들림에 의한 흐름이 빨라져서, 상기의 경우보다 더욱 재빠르게 화소 영역 밖으로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인접하고 있는 전극의 전위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주변 영역에서의 불순물 이온의 흐름을 멈추는 일없이 계속적으로 화소 영역(12) 밖으로 불순물 이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그 주기를 짧게 하는(주파수를 높게 함) 것에 의해 상기의 경우보다 불순물 이온의 이동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대폭적인 회로변경을 하지 않고 상기를 실현하기 위한 주변 전극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TFT 기판(10) 측에 도 3의 빗살형 전극 구조를 채용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실험 예를 설명한다.
3 종류의 주변 전극 구조와 그 구동 방법이 준비된다. 일정 시간의 연속 구동 후에 도 8의 체크 패턴을 표시하고, 번-인 현상을 위해 확인한다. 사용한 샘플은 다음과 같이 제작되었다.
주변 전극 구조는 주변 전극이 전혀 없는 것(없음), 주변 영역에 동일한 1개의 전극(solid) 및 본 실시예의 빗살무늬 전극의 3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화소 전극 사이 및 빗살무늬 주변 전극 사이의 간격은 1.0 ㎛로 했다.
동일한 ITO 막으로 형성되는 투명 도전막이 부착된 글래스 기판을 대향 전극으로서 이용했다. 무기 재료로 형성된 배향막은 SiO2를 경사 방향으로 증착함으로써, 대향 기판과 TFT 기판의 전극 면에 성막했다. 시일재를 통해 대략 서로 평행하게 겹쳐서 고정했다.
액정은 유전률 이방성이 마이너스인 재료를 사용했다. 액정은 진공주입 방법에 의해 상기 기판 간에 도입되어서, 상기 배향막에 의해 수직 배향되었다. 주입구를 UV 경화성 수지에 의해 경화 밀봉했다. N-I 점을 넘는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해서, 재배향 처리를 실시했다. 단자부에 FPC를 접합했다. 이에 의해서 노멀리 블랙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가 생산되었다.
실험에서, 우선 다음에 설명하는 동작 조건에서 연속 동작시켰다.
동작 온도: 55℃, 동작 전압: ±5V, 구동 주파수: 120㎐, 주변 전극 전압: ±7.5V, 주변 전극 주파수: 120Hz. 제1 및 제2 주변 전극에 의해서 형성되는 빗살무늬 전극에서 인접하는 전극에 극성이 반전하는 파형을 인가했다(도 4b 및 도 4c). 연속 동작은 소정 시간 행하였다.
그 다음,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를 행하였다.
동작 온도: 55℃, 구동 주파수: 120㎐, 주변 전극전압: ±7.5V, 주변 전극 주파수: 120㎐. 빗살무늬 전극에서는 인접하는 전극에 극성이 반전하는 파형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5V(백)과 ±1V(흑)의 체크 패턴(도 8)을 1시간 동안 표시한 후, 2V의 균일한 화면 표시를 행했다. 암실 내에서 투사형 영상 표시 장치를 이용해서, 녹색광으로 확대 투영하여, 눈으로 확인을 했다.
상기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없음 주변 솔리드 1 라인 빗살
0 A A A
96 A B B
192 A B B
288 B B B
384 B B B
480 B C A
576 C C A
768 C C A
960 C C A
1152 D C A
1536 D C A
1920 D C A
2304 D C A
A: 번-인이 없음
B: 약간의 번-인
C: 번-인이 발생하지만, 곧 사라짐
D: 심한 번-인
주변 전극 없이, 약 1000시간 후 번-인이 심해진다. 솔리드(solid) 전극을 설치해서, 2000시간 후라도 번-인이 곧 소실한다. 따라서, 선행 예에서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선이 실제로 사용상 충분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한편, 본 실시예의 빗살무늬 전극을 설치한 샘플에서는, 2000시간을 초과해도 번-인이 관측되지 않고, 또한 매우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을 이온의 움직임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주변 전극 없이 화소 영역 중의 불순물 이온이 액정 구동에 의한 플로우로 인해 도 7과 같은 일부에 응집함으로써, 심한 번-인이 된다. 베타 전극이 배치된 경우, 화소 영역으로부터 주변 영역으로 연속해서 불순물 이온이 이동하고 도 7과 같이 응집하지 않으므로, 번-인은 완화된다.
빗살무늬 전극을 배치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영역이 높은 쓸어내기(sweeping-out) 능력을 갖고, 또한 화소 영역에서 불순물 이온을 능동적으로 쓸어낼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 내에 불순물이 체류하지 않고 화소 영역의 불순물을 쓸어낼 수 있어서, 번-인이 없는 양호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본 실시예에서는, TFT 기판(10)을 투명 기판이라고 했다. 하지만, 실리콘(Si) 기판을 이용해서 반사형 화소 전극을 배치한 반사 기판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의 구성에서는, 제1 기판으로서 TFT 기판(10)의 주변 영역(13)에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주변 전극(13A 및 13B)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판으로서 대향 기판(20) 측에서도, 공통 전극을 대신해서 화소 영역(12)에서의 공통 전극(화소 전극부)(21A)과 주변 영역(13)에 TFT 기판(10)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주변 전극(21B 및 21C)을 설치해서 제2 전극부(EL2A)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주변 전극(21B 및 21C)에의 구동 전압의 인가는 제1 전극부(EL1)의 주변 전극(13A 및 13B)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것과 같이 행해진다.
도 10의 예에서도 도 2의 구성과 유사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의 구성 대신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으로서의 TFT 기판(10)에 제1 전극부(EL1B)를 구성하는 주변 전극을 단일 전극(13C)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의 형상은 빗살무늬 형상이다. 하지만,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크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액정 표시 소자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3의 개략구성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투사형 표시 장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는 일례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사형의 액정 프로젝터에 이용된다.
도 13에 도시한 액정 프로젝터(300)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색, 청색, 녹색의 3원색으로 분리해서, 각각의 색에 대하여 액정 표시 패널을 1매씩 이용해서 컬러 화상 표시를 행하는 소위 3판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각 색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은 각각 도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대응한다. 3매의 액정 표시 패널은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적색광이 입사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 325R로 나타낸다. 녹색광이 입사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 325G로 나타낸다. 청색광이 입사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액정 표시 장치 325B로 나타낸다.
도 13의 액정 프로젝터(300)는 광을 발하는 광원(311)과, 광원(311)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측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어레이(312)와, 제1 렌즈 어레이(312)로부터 출사된 광이 반사해서 출사광의 광로(광축(310))를 90°만큼 변경하는 미러(314)와, 미러(314)로부터 반사된 광이 입사하는 제2 렌즈 어레이(313)를 구비하고 있다.
미러(314)는 적합하게는 전반사 미러이다.
제1 렌즈 어레이(312)와 제2 렌즈 어레이(313)에는 각각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312M 및 313M)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렌즈 어레이(312)와 제2 렌즈 어레이(313)는 광의 조도 분포를 균일화하기 위한 것이며, 입사광을 복수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광원(311)과 제1 렌즈 어레이(312)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UV(Ultra Violet)/IR(Infrared) 컷 필터를 설치하여도 된다.
광원(311)은 컬러 화상 표시에 필요한 적색광, 청색광 및 녹색광을 포함하는 백색광을 발한다. 광원(311)은 백색광을 발하는 발광체(도시 생략)와 발광체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반사, 집광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발광체로는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메탈 할로겐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 등의 램프가 사용된다. 리플렉터는 집광 효율이 좋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회전 타원거울이나 회전 포물면 등의 회전 대칭인 오목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발광체의 발광 점은 오목면 형상의 리플렉터의 초점위치에 배치된다.
광원(311)의 발광체로부터 출사된 백색광은 대략 평행광이 되어서, 제1 렌즈 어레이(312)를 통과해서, 전반사 미러(314)에 입사한다. 전반사 미러(314)에 의해 광축(310)이 90°굽은 백색광은 제2 렌즈 어레이(313)에 입사한다.
도 13에 도시된 액정 프로젝터(300)는 제2 렌즈 어레이(313)로부터 광이 출사된 측에 PS 합성 소자(315)와, 컨덴서 렌즈(316)와,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317)를 갖는다.
PS 합성 소자(315)는 제2 렌즈 어레이(313)에서의 인접하는 마이크로 렌즈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위상차판(315A)을 구비하고 있다. 반파장판이 위상차판(315A)의 일례이다.
PS 합성 소자(315)는 입사광을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의 편광으로 분리한다. 또한, PS 합성 소자(315)는 분리한 2개의 편광 중 한쪽의 편광을 그 편광 방향(예를 들면 P편광)을 유지한 채 편광 변환 소자(315)로부터 출사한다. 다른 쪽의 편광(예를 들면 S편광 성분)을 반파장판(315A)의 작용에 의해 다른 편광 성분(예를 들면 P편광 성분)으로 변환해서 출사한다.
PS 합성 소자(315)로부터 출사한 광은 컨덴서 렌즈(316)에 의해 집광되어서, 다이크로익 미러(317)에 입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317)는 입사광 중 예를 들면 적색광(LR)을 반사하고 그 밖의 색의 광을 투과한다. 다이크로익 미러(317)는 이로써 입사광을 적색광(LR)과 그 밖의 색으로 색분해한다.
또한, 액정 프로젝터(300)는 다이크로익 미러(317)에 의해 색분해된 적색광(LR)의 광로에 따라 미러(318), 필드 렌즈(324R), 입사측 편광판(330I), 액정 표시 장치(325R) 및 출사측 편광판(33OS)을 포함한다.
미러(318)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전반사 미러가 이용된다. 전반사 미러(318)는 다이크로익 미러(317)에 의해 색분해된 적색광(LR)을 입사측 편광판(330I) 및 액정 표시 장치(325R)를 향해서 반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측 편광판(330I)은 전반사 미러(318)로부터 입사측 편광판(330I)에 입사하는 적색광(LR)에 포함된 광 중, 편광축(330a)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325R)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325R)는 입사측 편광판(330I)을 통해서 입사한 적색광(LR)을 입력 화상 데이터에 따라 공간적으로 변조한다.
출사측 편광판(33OS)은 액정 표시 패널(325R)로부터의 변조된 적색광(LR) 중에 포함되는 광 중, 편광축(330b)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액정 프로젝터(300)는 다이크로익 미러(317)에 의해 색분해된 다른 색 광의 광로에 따라 다이크로익 미러(319)를 가지고 있다. 다이크로익 미러(319)는 입사광 중, 예를 들면 녹색광(LG)을 반사하고 청색광(LB)을 투과한다. 다이크로익 미러(319)는 이에 따라, 입사광을 녹색광(LG)과 청색광(LB)으로 색분해한다.
다이크로익 미러(319)에 의해 색분해된 녹색광(LG)의 광로에는, 필드 렌즈(324G), 입사측 편광판(330I), 액정 표시 장치(325G) 및 출사측 편광판(33OS)이 설치되어 있다.
입사측 편광판(330I)은 다이크로익 미러(319)부터 입사측 편광판(330I)으로 입사하는 녹색광(LG)에 포함된 광 중, 편광축(330a)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325G)는 입사측 편광판(330I)을 통해서 입사한 녹색광(LG)을 입력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공간적으로 변조한다.
출사측 편광판(33OS)은 액정 표시 장치(325G)로부터의 변조된 녹색광(LG) 중, 편광축(330b)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또한, 다이크로익 미러(319)에 의해 색분해된 청색광(LB)의 광로에 따라, 릴레이 렌즈(320), 미러(321), 릴레이 렌즈(322), 미러(323), 필드 렌즈(324B), 입사측 편광판(330I), 액정 표시 장치(325B) 및 출사측 편광판(33OS)가 설치되어 있다.
미러(321 및 323)는 바람직하게는 전반사 미러이다. 전반사 미러(321)는 릴레이 렌즈(320)를 통해서 전반사 미러(323)에 입사한 청색광(LB)을 전반사 미러(323)를 향해서 반사한다. 전반사 미러(323)는 전반사 미러(321)에 의해 반사되어 릴레이 렌즈(322)를 통해서 입사한 청색광(LB)을 입사측 편광판(330I) 및 액정 표시 장치(325B)를 향해서 반사한다.
입사측 편광판(330I)은 전반사 미러(323)로부터 입사하는 청색광(LB) 중, 편광축(330a)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액정 표시 장치(325B)는 전반사 미러(323)에 의해 반사되어 필드 렌즈(324B) 및 입사측 편광판(330I)를 통해서 입사한 청색광(LB)을 입력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공간적으로 변조한다.
출사측 편광판(33OS)은 액정 표시 장치(325B)로부터의 변조된 청색광(LB) 중, 편광축(330b)에 일치하는 방향의 광을 통과시킨다. 적색광(LR), 녹색광(LG) 및 청색광(LB)의 광로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 이들 3개의 색광을 합성하는 기능을 가진 크로스 프리즘(326)이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프리즘(326)은 일례로서, 적색광(LR), 녹색광(LG), 청색광(LB)이 각각 입사하는 입사면(326R, 326G 및 326B) 및 적색광(LR), 녹색광(LG), 청색광(LB)이 합성된 광이 출사하는 출사면(326T)을 각각 가지는 4개의 직각 프리즘을 접합해서 구성된다.
액정 프로젝터(300)에서는, 크로스 프리즘(326) 내에 입사한 녹색광(LG)을 출사면(326T) 측을 향해서 투과하고, 크로스 프리즘(326) 내에 입사한 적색광(LR) 및 청색광(LB)을 출사면(326T) 측을 향해서 반사하도록, 다이크로익 막이 각 직각 프리즘의 접합 면에 코팅되어 있다.
이렇게, 크로스 프리즘(326)은 입사면(326R,326G 및 326B)에 입사한 3개의 색광을 합성해서, 출사면(326T)으로부터 출사한다.
또한, 액정 프로젝터(300)는 크로스 프리즘(326)으로부터 출사된 합성광을 스크린(328)에 투사하기 위한 투사 렌즈(327)를 가지고 있다. 투사 렌즈(327)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스크린(328)에 투사되는 화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줌 기능과 포커싱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은 투사형의 액정 표시 소자뿐만 아니라, 반사형 액정 표시 소자와 LCOS 장치에 적용해도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또한, 본 발명이 구동 내장형의 액정 표시 소자, 구동 회로 외장형의 액정 표시 소자, 대각 1인치로부터 15인치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여러가지 사이즈의 액정 표시 소자 및 단순 매트릭스 방식, TFD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 선광 모드, 복굴절 모드 등의 액정 표시 소자 중 어느 방식에 적용해도, 전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TFT 기판(제1 기판)(10), TFT 기판(10)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면 배치된 대향 기판(제2 기판)(20), TFT 기판(10) 및 대향 기판(20)이 마주하는 표면 각각에 형성된 무기 배향막(50 및 51)과, 화소 영역(12)을 포함시켜서 유지된 액정층(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TFT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의 간극 내에 주변 영역(13), TFT 기판(10) 상에 형성된 제1 전극부(EL1) 및 배향 기판(20)에 형성된 제2 전극부(EL2)를 더 포함한다. 제1 전극부(EL1)는 화소 영역(12)에 형성된 화소 전극(11)과 주변 영역(13)에 형성된 주변 전극(13A 및 13B(또는 13C))을 포함한다. 제2 전극부(EL2)는 화소 영역(12)에 형성된 화소 전극부(21(A)) 및 주변 영역(13)에 형성된 주변 전극(21(21B 및 21C))을 포함하고, 제1 전극부(EL1)와 제2 전극부(EL2) 중의 적어도 한쪽의 전극부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주변 전극이 서로 인접하는 각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기 재료를 배향막에 사용할 경우에도, 불순물 이온에 의한 번-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의 대폭적인 변경에 의한 제조 코스트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고품질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변경, 조합, 부조합(sub-combinations) 및 교체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한에 있어서의 디자인 요구와 다른 인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A'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B의 확대 평면도.
도 4a, 4b 및 4c는 화소 전극과 복수의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소자의 어레이 기판(액정 패널부)에 있어서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이온 불순물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이온 불순물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체크 모양 패턴을 계속해서 표시할 경우의 불순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전압 인가에 의해 백 표시(white display)가 되는 노멀리 블랙 모드(normally black mode)인 경우의 불순물 이온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복수의 주변 전극의 다른 형상(체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3 판식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액정 표시 장치
10···TFT 기판(제1기판)
11···화소전극
12···화소영역
13···주변 영역
13A, 13B···복수의 주변 전극
13C···단일의 주변 전극
14···단자부
20···대향 기판(제2 기판)
21···공통 전극
21A ···화소전극부(공통 전극)
21B, 21C···복수의 주변 전극
30···액정층
31···액정
40···시일재
50, 51···무기배향 막
EL1, EL1B··· 제1 전극부
EL2, EL2A ··· 제2전극부
101···수평전송 회로
102-1, 102-2···수직전송 회로
103··· 프리차지 회로
104···전압제어 회로
105···데이터 선
106···주사선
107···화소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FT)
108···액정
109···보조 용량(축적 용량)
300···액정 프로젝터(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영상 표시 장치))

Claims (18)

  1. 액정 표시 장치로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부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하는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이 서로 다른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부의 화소 전극부와 주변 전극은 서로 접속되어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의 주변 전극과 상기 제2 전극부의 주변 전극은, 인접하는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각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이 다른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의 주변 전극은 단일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부의 주변 전극은 인접하는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부의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이 다른 액정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이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이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되 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보다도 큰 액정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이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보다도 큰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액정 표시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액정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액정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되 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액정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가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보다도 높은 액정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각각의 대향면 상에 무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은 빗살무늬(comb-tooth) 형상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극은 체크 형상(checker)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16. 액정 표시 장치로서,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이 서로 다른 액정 표시 장치.
  17. 영상 표시 장치로서,
    광원과,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유도하는 집광 광학계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변조된 광을 확대해서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된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기판 상에 형성된 제2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 중의 적어도 한쪽의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른 영상 표시 장치.
  18. 영상 표시 장치로서,
    광원과,
    적어도 하나의 액정 표시 장치와,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유도하는 집광 광학계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변조된 광을 확대해서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면 배치된 제2 기판 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과의 간극 내에 유지된 액정층과,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 주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전극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변 전극의 서로 인접한 각 전극에 인가된 구동 전압의 전압 값은 서로 다른 영상 표시 장치.
KR20070087202A 2006-08-30 2007-08-29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KR101511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33909 2006-08-30
JP2006233909A JP4923866B2 (ja) 2006-08-30 2006-08-30 液晶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544A true KR20080020544A (ko) 2008-03-05
KR101511377B1 KR101511377B1 (ko) 2015-04-10

Family

ID=3915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87202A KR101511377B1 (ko) 2006-08-30 2007-08-29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81153B2 (ko)
JP (1) JP4923866B2 (ko)
KR (1) KR101511377B1 (ko)
CN (1) CN100565304C (ko)
TW (1) TWI358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951B2 (ja) * 2007-06-12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100039208A1 (en) * 2008-01-15 2010-02-18 Epstein Richard I High-frequency, thin-film liquid crystal thermal switches
KR20100003565A (ko) * 2008-07-01 2010-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774995B2 (ja) * 2008-11-13 2015-09-09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Gopマージおよびビット割付けを用いたマルチスレッド・ビデオ符号化
JP2010175907A (ja) * 2009-01-30 2010-08-12 Victor Co Of Japan Ltd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4661965B2 (ja) * 2009-02-18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1825817B (zh) * 2009-03-06 2011-12-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
KR101127588B1 (ko) * 2010-03-09 2012-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2083513A (ja) 2010-10-12 2012-04-26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39776B (zh) * 2010-11-30 2014-06-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液晶顯示裝置
JP2012198395A (ja) * 2011-03-22 2012-10-1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2203235A (ja) * 2011-03-25 2012-10-22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99741B2 (ja) 2011-03-29 2015-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5708133B2 (ja) 2011-03-29 2015-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2208301A (ja) 2011-03-29 2012-10-25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2247662A (ja) * 2011-05-30 2012-12-13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25066A (ja) * 2011-07-21 2013-02-0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790256B2 (ja) * 2011-07-29 2015-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プロジェクター
JP5842456B2 (ja) * 2011-08-17 2016-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895473B2 (ja) * 2011-11-22 2016-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28332B2 (ja) 2012-01-12 2016-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228425A (ja) * 2012-04-24 2013-11-07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3235128A (ja) 2012-05-09 2013-11-2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用基板
JP2014026141A (ja) * 2012-07-27 2014-02-06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978919B2 (ja) * 2012-10-24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40097887A (ko) * 2013-01-30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02543B2 (ja) 2013-06-17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6428079B2 (ja) 2013-11-08 2018-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6009046A (ja) * 2014-06-24 2016-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6057427A (ja) * 2014-09-09 2016-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6133634A (ja) * 2015-01-20 2016-07-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液晶装置の駆動方法、電子機器
JP6394438B2 (ja) * 2015-02-27 2018-09-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5044971B (zh) 2015-08-27 2018-11-2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JP6610171B2 (ja) * 2015-11-02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7169663A1 (ja) 2016-03-31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108053B2 (en) * 2016-10-21 2018-10-23 Omnivision Technologies,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peripheral electrode
US10481439B2 (en) * 2016-11-21 2019-11-1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by controlling ion migration
JP2018105987A (ja) * 2016-12-26 2018-07-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897118B2 (ja) * 2017-01-30 2021-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電子機器
JP6844306B2 (ja) * 2017-02-24 2021-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6299900B2 (ja) * 2017-02-28 2018-03-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CN106896595A (zh) * 2017-03-21 2017-06-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面板、液晶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6702368B2 (ja) * 2018-07-23 2020-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166948A (ja) * 2021-04-22 2022-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181870A (ja) 2021-05-27 2022-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3019434A (ja) 2021-07-29 2023-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4637138B (zh) * 2022-03-31 2023-05-30 广州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81018B (en) * 1980-07-31 1985-06-26 Suwa Seikosha Kk Active matrix assembly for display device
JP2605799B2 (ja) 1988-05-20 1997-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
JPH02236589A (ja) * 1989-03-10 1990-09-19 Hitachi Ltd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3152512A (ja) 1989-11-08 1991-06-28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486812A (ja) 1990-07-31 1992-03-19 Sharp Corp 液晶の精製方法
JPH04125617A (ja) * 1990-09-18 1992-04-27 Fujitsu Ltd 液晶表示パネル
JPH06289408A (ja) 1993-03-30 1994-10-18 Seiko Instr Inc 液晶表示装置
JP3529460B2 (ja) * 1994-12-01 2004-05-2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H08201830A (ja) 1995-01-27 1996-08-09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0954325A (ja) 1995-08-16 1997-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77177A (ja) 1996-12-17 1998-06-30 Advanced Display:Kk 液晶表示装置
JP3886592B2 (ja) 1997-03-18 2007-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3883641B2 (ja) * 1997-03-27 2007-0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コンタクト構造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6335776B1 (en) * 1998-05-30 2002-01-01 Lg. Philips Lcd Co., Ltd.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pixel electrode
JP3497098B2 (ja) 1999-05-25 2004-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EP1139152A1 (en) * 2000-03-27 2001-10-04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Liquid crystal alignment structure
JP2002196355A (ja) 2000-12-27 2002-07-12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494695B1 (ko) * 2001-10-05 2005-06-13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5078048A (ja) * 2003-09-04 2005-03-24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047613A (ja) 2004-08-04 2006-02-16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CN100446079C (zh) * 2004-12-15 2008-12-24 日本电气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其驱动方法及其驱动电路
JP4972344B2 (ja) * 2006-05-23 2012-07-11 シチズンファインテックミヨタ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58497A (ja) 2008-03-13
CN100565304C (zh) 2009-12-02
TWI358587B (en) 2012-02-21
US8081153B2 (en) 2011-12-20
US20080055529A1 (en) 2008-03-06
TW200819881A (en) 2008-05-01
CN101135818A (zh) 2008-03-05
JP4923866B2 (ja) 2012-04-25
KR101511377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37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
US20070030436A1 (en)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projector, and micro-device
US8953129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US8643814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JP5708133B2 (ja) 液晶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12083513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60187393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rojection device using thereof
JP200909269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0829286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6579161B2 (ja)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8268253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ならびに映像表示装置
JP200802072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JP2018180428A (ja) 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9069422A (ja) 液晶表示素子およ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6597749B2 (ja)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JP2013257445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024923A (ja) 液晶表示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22202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6215515A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パネルを用いる液晶投射装置
US108598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disposed outside of diagonally opposit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of a pixel area
US11435623B2 (en) Liquid crystal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orientation regions through which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circulated and electronic device
JP200620126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7052214B2 (ja) 液晶装置の駆動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US20110090440A1 (en) Liquid cryst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22166948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