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624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624A
KR20070053624A KR1020060114321A KR20060114321A KR20070053624A KR 20070053624 A KR20070053624 A KR 20070053624A KR 1020060114321 A KR1020060114321 A KR 1020060114321A KR 20060114321 A KR20060114321 A KR 20060114321A KR 20070053624 A KR20070053624 A KR 2007005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amera body
chassis
sta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후쿠마
켄이치 아가타
료 야마모토
토루 카라시마
나오히코 오타케
노조미 오자키
히사야 미야시타
다이스케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57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429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357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429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52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58799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촬영용 버튼이 배치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이 상기 표시부에 의해 폐쇄된다.
촬상 장치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CAP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폐쇄 상태의 촬상 장치를 도 2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개방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개방 상태의 촬상 장치를 도 4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카메라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슬라이드 동작 중의 폐쇄 상태의 촬상 장치의 표시부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슬라이드 동작 중의 폐쇄 상태의 촬영 렌즈와 표시 화면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배면도.
도 9는 슬라이드 동작 중의 개방 상태의 촬상 장치의 표시부의 확대 정면도.
도 10은 슬라이드 동작 중의 개방 상태의 촬영 렌즈와 표시 화면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배면도.
도 11은 슬라이드 동작 중에 표시부가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촬영 렌즈와 표시 화면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촬상 장치의 배면도.
도 12는 촬상 장치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촬상 장 치의 확대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폐쇄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폐쇄 상태의 촬상 장치를 도 13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 상태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개방 상태의 촬상 장치를 도 15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18의 B 는 본 발명의 제4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19의 B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배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화살표 XXI-XXI선 방향에 따른 도면.
도 22는 도 20의 화살표 XXII-XXII선 방향에 따른 도면.
도 23은 도 20의 화살표 XXIII-XXIII선 방향에 따른 도면.
도 24는 가이드판의 평면도.
도 25는 도 18의 B의 화살표 XXV상에서 본 도면.
도 26은 촬상 장치(1000)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7은 촬상 장치(1000)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28의 A 및 B는 재생 모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촬영 모드에서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편집 모드에서 화상 데이터 및 입력 문자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는 제4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
도 32는 제4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
도 33은 도 32의 화살표 XXXIII-XXXIII선에 방향에 따른 도면.
도 34는 도 32의 화살표 XXXIV-XXXIV선 방향에 따른 도면.
도 35는 도 32의 화살표 XXXV-XXXV선 방향에 따른 도면.
도 36은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
도 37의 A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전면 사시도.
도 37의 B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
도 38의 A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다른 전면 사시도.
도 38의 B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다른 배면 사시도.
도 39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또 다른 전면 사시도.
도 40은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또 다른 배변 사시도.
도 41은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
도 42는 도 41의 화살표 XLII-XLII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3은 도 41의 화살표 XLIII-XLIII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4는 도 41의 화살표 XLIV-XLIV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5는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
도 46은 제6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
도 47은 도 46의 화살표 XLVII-XLVII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8은 도 46의 화살표 XLVIII-XLVIII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49는 도 46의 화살표 XLIX-XLIX선 방향으로 본 도면.
도 50은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동화 또는 정지화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비디오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image)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 촬영시에 필요한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 및 촬영시 또는 촬영한 화상의 재생시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 중에, 몇몇의 촬상 장치는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촬상 렌즈는 카메라 본체부의 앞면(front)에 배치된다. 촬영용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는 카메라 본체부의 후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표시 화면은 상기 표시부의 후면에 배치된다(예를 들면 일본국특개평8-98071호 공보를 참조).
상기 일본국특개평8-98071호 공보에 기술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용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상기 표시부의 슬라이드딩 상태에 무관하게 측방으로 노출된다(일본국특개평8-98071호 공보의 도 1 및 2을 참조). 그러나, 비촬영시에 표시부 전체는 카메라 본체부상에 접혀질 수 있다(일본국특개평8-98071호 공보를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용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는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한 표시부의 슬라이드 상태에 무관하게 측방으로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 조작 버튼이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 버튼은 사용자가 상기 표시 화면상에 촬영된 상을 재생할 때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재생시에, 사용자는 촬영용 버튼을 자동적으로 조작 또는 접촉할 수 있다. 그 때, 촬상 장치는 의도하지 않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기가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 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촬영용 버튼이 배치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이 상기 표시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용 버튼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폐쇄 및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 촬영용 버튼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상기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가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은 노출되고,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는 촬영용 버튼이 노출됨과 동시에 촬영 모드로 설정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촬영용 버튼이 배치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이 상기 표시부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촬영용 버튼이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촬상 장치는 사이즈를 작게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때에, 촬상 장치는 작은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상기 촬영 렌즈를 폐쇄 및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와 함께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렌즈 커버를 더 갖고,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는 상기 촬영 렌즈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 렌즈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는 상기 촬영 렌즈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촬영 렌즈는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전 용 촬용 렌즈가 필요치 않고, 그에 따라,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의 갯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안에, 촬영 렌즈의 위치로부터의 표시 화면의 중심의 이동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는 시차가 작게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는 시차가 없이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의 방향은 Z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서로 수직이고 상기 Z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2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XY 평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부에 대한 촬영 렌즈의 위치의 자유도 및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개방되는 거리는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는 시차가 없이 용이하게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슬라이드 되고 상기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촬상 장치는 시차가 없이 용이하게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 촬영용 버튼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상기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가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은 노출되고,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찰영 모드가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즉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가 제1의 반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되는 경우에, 표시 화면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즉시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편리한 사용이 개선될 수 있다.
촬상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가 제1의 방향으로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되는 경우에, 촬상 장치는 전원이 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상 장치가 온인지의 여부를 촬상 장치의 형상 또는 모드에 근거하여 용이하 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제1 내지 제6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화상 및 정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다양한 촬상 장치(휴대 전화, 비디오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 등)에 적용 가능하다.
제1의 실시예
이하, 제1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촬상 장치(1, 또는 1A)의 전체 구성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촬상 장치(1)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이고, 촬상 장치(1A)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이다.
촬상 장치(1, 또는 1A)는 카메라 블록(2)과, 카메라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 DSP)(3)와, 하드 디스크(4)와, 매체 인터페이스(5)와, 제어 블록(6)과, 조작 블록(7)과, 표시부 컨트롤러(8)와, 표시부(9)와, 외부 인터페이스(10)를 구비한다. 기록 매체(100)는 촬상 장치(1, 또는 1A)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표시부(9)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고 있다.
기록 매체(100)의 예로서는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 광기록 매체(기록 가능한 DVD(Digital Versatile Disc)나 기록 가능한 CD(Compact Disc) 등 ), 및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카메라 블록(2)은 광학부(11)와, 화상 센서(12)(CCD(Charge Coupled Device) 등)와, 전처리(preprocessing) 회로(13)와, 광학부용 드라이버(14)와, 화상 센서 드라이버(15)와, 타이밍 생성 회로(16)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부(11)는 렌즈, 줌 기구(mechanism),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아이리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블록(6)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7), RAM(Random Access Memory)(18), 플래시 ROM(Read Only Memory)(19), 및 클록 회로(20)가 시스템 버스(21)에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상기 제어 블록(6)은 촬상 장치(1, 또는 1A)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RAM(18)은 처리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작업 영역(work area)으로서 사용된다. 플래시 ROM(19)에는 CPU(17)에서 실행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 또는 상기 프로그램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클록 회로(20)는 현재의 날짜, 현재의 요일, 현재의 시각, 촬영 일시 등을 제공한다.
화상의 촬영시에, 광학부용 드라이버(14)는 제어 블록(6)에 의한 제어하에 광학부(11)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그 후, 생성한 구동 신호를 광학부(11)에 송출하여 상기 광학부(11)를 동작시킨다. 광학부(11)는 광학부용 드라이버(14)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에 응하여, 줌 기구, 포커스 기구, 셔터 기구, 조리개 기구를 제어하여, 피사체의가 화상을 받아들인다. 그 후,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화상 센서(12)에 출력한다.
화상 센서(12)는 광학부(11)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를 광전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화상 센서 드라이버(15)로부터 송출된 구동 신호에 응하여 동작하고, 광학부(11)로부터 출력된 피사체의 화상을 받아들여 타이밍 생성 회로(16)로부터 송출되는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받아들인 피사체의 화상(화상 정보)을 전기 신호로서 전처리 회로(13)에 송출한다.
타이밍 생성 회로(16)는 제어 블록(6)으로부터의 제어하에, 소정의 타이밍을 제공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센서 드라이버(15)는 타이밍 생성 회로(16)로부터 출력된 타이밍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센서(12)에 송출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전처리 회로(13)는 이것에 공급된 전기 신호의 화상 정보에 대해 CDS 처리(Correlated Double Sampling processing)를 행하여 S/N비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AGC 처리(Automatic Gain Control processing)를 행하여 이득을 제어하고, A/D(Analog/Digital) 변환을 행하여 디지털 신호로 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처리 회로(13)로부터 송출되고 디지털 신호로 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DSP(3)에 공급된다. 카메라 DSP(3)는 이것에 공급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AWB(Auto White Balance) 등의 카메라 신호 처리를 시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여러 가지 조정이 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되고, 시스템 버스(21), 매체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기록 매체(100)에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그 기록 매체(100)에 파일로서 기록된다.
기록 매체(10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후술하는 각종의 조작 버튼 등에 의해 구성된 조작 블록(7)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 신호에 응하여, 목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가 매체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기록 매체(100)로부터 판독되고, 이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카메라 DSP(3)에 공급된다.
카메라 DSP(3)는 기록 매체(100)로부터 판독되고 매체 인터페이스(5)를 통하여 공급된, 인코딩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관해, 디코딩(해동(decompressing))을 행하고, 디코딩된 화상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21)를 통하여 표시부 컨트롤러(8)에 공급한다.
표시부 컨트롤러(8)는 공급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9)에 송출한다. 표시부(9)에 화상 신호가 송출되면,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응한 화상이 표시부(9)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외부 인터페이스(10)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 등)와 접속된다. 외부 인터페이스(10)에 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됨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 매체(100)에의 기록이나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퍼스널 컴퓨터에의 출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외부 인터페이스(10)에 통신 모듈을 접속함에 의해,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여러 가지의 화상 데이터나 기타의 정보를 취득하여 기록 매체(100)에 기록하거나,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송신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외부 인터페이스(1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인터페이스,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용 인터페이스로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광이나 전파에 의한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기록 매체(100)에 기록할 수 있음과 함께, 기록 매체(100)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것을 재생하고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의 제공을 받아서 기록 매체(100)에 기록하거나, 판독하여 재생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하, 촬상 장치(1, 또는 1A)의 예시적인 구조가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모든 방향(상하 좌우 방향)은 촬영자측에서 본 것으로 정의하고, 피사체를 향한 방향은 전방으로 정의하고, 촬영자측을 향한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한다.
우선,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예시적인 구성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촬상 장치(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평하고 가로가 길다란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부(22)와 그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표시부(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표시부(23)는 상기 설명된 표시부(9)와 대응한다는 점이다.
카메라 본체부(22)와 표시부(23)는 외형이 개략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슬라이드 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의 전체 면과 표시부(23)의 앞면(23a)의 앞면이 대향한 상태로 되고, 상기 상태가 촬상 장치(1)의 폐쇄 상태가 된다.
카메라 본체부(22)의 앞면(22b)의, 예를 들면, 좌단부에서의 상단부에는 피사체의 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24)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22)의 윗면(22C)에는 셔터 버튼(25), 전원 버튼(26) 및 슬라이드 노브(27)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 버튼(25)은 촬영시에 가압 조작하는 버튼이고, 전원 버튼(26)은 가압 조작에 의해 전원의 투입 또는 그 정지를 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슬라이드 노브(27)는 표시부(23)를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노브이다.
카메라 본체부(22)의 우측면(22d)에는 상측부터 차례로, 십자키(28), 백 버튼(29), 보조 메뉴 버튼(30) 및 메뉴 버튼(31)이 배치되어 있다.
십자키(28)는 상하 전후의 4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표시부(23)의 후술하는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섬네일의 선택이나 중앙부의 버튼을 가압 조작함에 의해, 예를 들면, 선택한 섬네일의 확대 표시 등을 행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백 버튼(29)은 선택한 항목을 삭제하여 앞의 항목으로 되돌리는 기능 등을 가지며, 메뉴 버튼(31)은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며, 보조 메뉴 버튼(30)은 선택한 메뉴의 하층에 있는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십자키(28), 백 버튼(29), 보조 메뉴 버튼(30) 및 메뉴 버튼(31)은 어느 것이나, 촬영한 화상을 재생한 재생 모드에서 사용한 빈도가 높은 버튼이다.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의 우단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키(32), 재생 버튼(33), 모드 전환 버튼(34), 타이머 버튼(35), 플래시 버튼(36), 매크로 모드 버튼(37), 삭제 버튼(38)이 배치되어 있다.
줌 키(32)는 화상의 화각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며, 재생 버튼(33)은 촬영한 화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며, 모드 전환 버튼(34)은 예를 들면, 재생 모드, 정지화 촬영 모드, 동화 촬영 모드 등의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며, 타이머 버튼(35)은 셀프타이머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플래시 버튼(36)은 촬영시에 있어서의 발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매크로 모드 버튼(37)은 매크로 촬영(접사)을 행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며, 삭제 버튼(38)은 촬영한 화상을 삭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줌 키(32), 타이머 버튼(35), 플래시 버튼(36), 매크로 모드 버튼(37)은 일괄하여 촬영용 버튼이라고 한다. 상기 촬영용 버튼(39)은 주로 피사체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용 모드에서 주로 사용된다.
촬영용 버튼(39)은 상기 버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외에, 역광 보정을 행하는 역광 보정용 버튼, 화상의 떨림을 보정하는 떨림 보정 버튼, 피사체의 눈이 붉게 촬영되는 이른바 적안 촬영을 방지한 적안 방지 버튼, 색조의 틀림을 보정하는 화이트 밸런스 버튼 등의 촬영시에 사용하는 각종의 버튼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22)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그 상단부에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표시부(23)의 후면(23b)에는 표시 화면(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 화면(41)은 후면(23b)의 주연(peripheral portion)을 제외한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3)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에 조작용 노치(42)가 형성되고, 그 조작용 노치(42)의 한쪽의 단연(peripheral edge)이 조작 연부(operation edge portion)(42a)로서 마련되어 있다. 조작용 노치(42)는 카메라 본체부(22)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 검출 스위치(40)에 대응하여 위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의 앞면과 표시부(23)의 앞면(23a)의 앞면이 대향한 폐쇄 상태에서,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슬라이드 되면, 조작 연부(42a)에 의해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조작된다.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조작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모드가 설정되고, 개폐 검출 스위치(40)에 대한 조작이 해제되면, 촬영한 화상을 재생하여 표시 화면(41)에 표시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된다.
카메라 본체부(22)의 내부에는 섀시(43)가 배치되고, 그 섀시(43)에 슬라이드 기구(44)가 마련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촬상 장치(1)를 정면에서 본 때에는 카메라 본체부(22)의 배면측에 표시부(23)가 차폐되고 카메라 본체부(22)의 외형과 표시부(23)의 외형이 맞닿아 겹치지만, 도 7에는 카메라 본체부(22)와 표시부(23)의 위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표시부(23)의 외형 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이것은 도 9 및 도 12에서도 동일하다).
슬라이드 기구(44)는 슬라이드 판(45, 46)과 스프링 지지축(47)과 스프링 부재(48)를 갖고 있다.
섀시(43)에는 상하로 사이들 두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판(45)은 상측의 지지 구멍(43a)에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드 판(45)은 2개의 연결 구멍(45a)을 갖고 있다.
슬라이드 판(46)은 하측의 지지 구멍(43a)에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2개의 연결 구멍(46a, 46a)을 가지며, 좌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된 연결핀(46b)을 갖고 있다.
섀시(43)의 하단에 가까운 위치에는 좌우로 사이를 두고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부(43b)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돌기부(43b) 사이에 스프링 지지축(47)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축(47)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 부재(48)가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축(47)에는 스프링 부재(48)의 측방의 위치에 연결 부재(49)가 활주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49)는 원통형상의 피지지부(49a)와 둥근고리형상의 연결부(4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연결 부재(49)는 피지지부(49a)가 스프링 지지축(47)에 지지되고, 연결부(49b)의 중심부에 슬라이드 판(46)의 연결핀(46b)이 삽입되고 슬라이드 판(46)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49)가 스프링 지지축(47)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피지지부(49a)의 축 방향에서의 일 단면에 스프링 부재(48)의 일 단면이 접촉되고, 연결 부재(49)가 스프링 부재(48)에 의해 왼쪽(도 7에 도시하는 A방향)으로 가세된다. 이하, 상기 A방향은 제1의 방향이라고 한다.
섀시(43)의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는 좌우로 들어나는 핀 안내 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다. 섀시(43)에는 핀 안내 구멍(43c)의 우단측에 로크 레버(50)가 지지되어 있다. 로크 레버(50)는 기부(base)(51)와 상기 기부(5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로크부(52)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기부(51)의 하단부에 회동 지점(51a)이 마련되고, 그 회동 지점(51a)을 지점으로 하여 섀시(4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부(51)의 상단부에는 부드러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피지지 구멍(51b)이 형성되고, 그 피지지 구멍(51b)에 섀시(43)에 마련된 지지 핀(43d)이 삽입되어 있다.
로크부(52)는 개략 반전된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방으로 감에 따라 기부(51)에 가까워지는 경사연(slanted edge)(52a)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레버(50)는 기부(51)가 핀 안내 구멍(43c)의 오른쪽에 위치되고, 로크부(52)가 핀 안내 구멍(43c)의 우단부에 겹쳐저서 위치된다.
로크 레버(50)의 기부(51)와 섀시(43)는 인장 코일 스프링인 가세 스프링(53)에 의해 연결되고, 그 가세 스프링(53)에 의해 로크 레버(50)가 회동 지점(51a)을 지지점(fulcrum)으로 하는 도 7에 도시하는 R1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로크 레버(50)는 카메라 본체부(22)의 윗면(22C)에 배치된 슬라이드 노 브(27)와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노브(27)가 슬라이드 조작되면, 로크 레버(50)는 회동 지점(51a)을 지점으로 하여 도 7에 도시하는 R2 방향으로 회동되고, 슬라이드 노브(27)에 대한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드 노브(27)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로크 레버(50)도 가세 스프링(53)의 가세력에 의해 R1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43)에는 지지 구멍(43a, 43a) 사이에 삽통 구멍(43e)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 구멍(43e)에는 카메라 본체부(22)의 내부에 배치된 제어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표시부(23)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삽통된다.
표시부(23)의 내부에는 베이스판(54)이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54)에는 상하로 사이를 두고 전방으로 돌출된 2개의 연결 돌기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연결 돌기부(55)에는 각각 2개씩의 부착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54)에는 그 상단에 가까운 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된 피 로크 핀(56)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3)의 연결 돌기부(55) 중의 하나의 부착 구멍(55a)에는 카메라 본체부(22)의 슬라이드 판(45)의 연결 구멍(45a)에 삽통된 2개의 부착 나사(37)가 각각 나사결합되고, 카메라 본체부(22)와 표시부(23)가 연결된다. 카메라 본체부(22)와 표시부(23)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표시부(23)의 피 로크 핀(56)이 카메라 본체부(22)의 핀 안내 구멍(43c)에 삽입된다.
카메라 본체부(22)와 표시부(23)가 연결됨에 의해, 표시부(23)는 슬라이드 판(46) 및 연결 부재(49)를 통하여 스프링 부재(48)에 의해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도 7에 도시하는 A방향으로 가세된다.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의 앞면과 표시부(23)의 앞면(22b)의 앞면이 대향하는 폐쇄 상태에서는 표시부(23)의 피 로크 핀(56)이 카메라 본체부(22)의 로크 부재(50)의 로크부(52)에 계합되고,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로크되어 있다(도 7 참조). 이 때 연결 부재(49)는 스프링 지지축(47)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는 전후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폐쇄 상태에서는 촬영 렌즈(24)는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노브(27)가 조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부재(50)가 R2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피 로크 핀(56)에 대한 계합 상태가 해제되고, 스프링 부재(48)의 가세력에 의해 연결 부재(49)가 도 7에 도시하는 A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연결 부재(49)의 이동에 수반하여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슬라이드된다(도 8 참조).
연결 부재(49)는 피지지부(49a)가 한쪽의 지지 돌기부(43b)에 접함에 의해 A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되고, 연결 부재(49)의 이동의 정지에 수반하여 표시부(23)의 A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정지된다. 그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3)의 일부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개방되는 개방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에 배치된 촬영용 버 튼(39)이 노출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48)의 가세력에 의해 연결 부재(49)의 피지지부(49a)가 한쪽의 지지 돌기부(43b)에 꽉 눌리어 있기 때문에, 이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A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조작용 노치(42)의 조작 연부(42a)에 의해 조작되고, 촬영 모드가 설정된다. 이 때 촬상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에 촬상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가 개방 상태로된 때에, 항상, 전원이 투입되도록 설정함에 의해, 사용자는 촬상 장치(1)의 모드의 상태 또는 형상에 의해 전원의 투입이 행하여저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촬상 장치(1)의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촬상 장치(1)의 개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부(22)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표시부(23)의 좌단부 및 표시부(23)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된 카메라 본체부(22)의 우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촬영용 버튼(39) 및 셔터 버튼(25)을 조작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에서는 촬영용 버튼(39)을 포함하여 촬상 장치(1)에 마련된 모든 버튼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각 버튼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방 상태에서는 모드 전환 버튼(34) 또는 메뉴 버튼(31) 등을 이용하여 재생 모드,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모드를 수동에 의해 설정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촬상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서는 촬영 렌즈(24)는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상태에서는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촬영 렌즈(24)가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에 접근한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촬영시에 있어서,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과 촬영 렌즈(24)와의 위치의 어긋남이 작고, 화상이 시차(parallax)가 적게 촬영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촬영 렌즈(24)의 위치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표시부(23)의 슬라이드 량을 변경함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24)의 중심과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을 일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영 렌즈(24)의 중심과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을 일치시키면, 시차가 없는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 장치(1)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렌즈(24)의 광축 방향(전후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하였을 때에, 표시부(23)가 XY 평면 내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경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3)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여 슬라이드 한 때에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이 촬영 렌즈(2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표시부(23)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경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에 의해,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촬영 렌즈(24)의 위치 및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표시부(23)의 슬라이드 량에 관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시차가 적은 촬영 상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3)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경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도,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촬영 렌즈(24)의 위치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한 표시부(23)의 슬라이드 량을 변경함에 의해,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24)의 중심과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렌즈(24)의 중심과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을 일치시킴에 의해, 시차가 없는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23)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경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에서의 좌우 양 단부중 한쪽의 단부와, 후면(22a)에서의 상하 양 단부중 한쪽의 단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이들의 노출하는 각 단부에 촬영용 버튼(39) 등의 각종의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1에는 버튼을 배치하는 스페이스의 예를,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에서 하단부에 1점 쇄선으로 둘러쌈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개방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표시부(23)를 수동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B 방향(제2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드 시키면, 피 로크 핀(56)이 로크 부재(50)의 로크부(52)의 경사연(52a)에 접한다(도 12 참조). 이 때 연결 부재(49)는 스프링 부재(48)를 압축하면서 슬라이드 판(45, 46)과 함께 B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다.
표시부(23)를 더욱 B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피 로크 핀(56)에 의해 경사연(52a)이 B 방향으로 가압되고, 로크 부재(50)가 회동 지점(51a)을 지지점으로 하여 가세 스프링(53)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R2 방향으로 회동되어 간다.
로크 부재(50)가 R2 방향으로 회동되어 피 로크 핀(56)이 B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피 로크 핀(56)과 로크부(52)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로크 부재(50)가 회동 지점(51a)을 지점으로 하여 가세 스프링(53)의 가세력에 의해 R1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부(22)의 후면(22a)의 앞면과 표시부(23)의 앞면(23a)의 앞면이 대향한 폐쇄 상태로 되고(도 2 및 도 3 참조), 카메라 본체부(3)의 B 방향으로의 가압을 정지함에 의해, 피 로크 핀(56)이 로크 부재(50)의 로크부(52)에 계합되고 표시부(23)가 폐쇄 상태에서 로크되다.
표시부(23)가 카메라 본체부(22)에 대해 B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 검출 스위치(40)에 대한 조작용 노치(42)의 조작 연부(42a)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어, 재생 모드가 설정된다.
촬상 장치(1)의 폐쇄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재생 모드에서 카메라 본체부(22)의 우측면(22d)에 배치된 각 버튼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 한, 폐쇄 상태에서는 메뉴 버튼(31) 등을 이용하여 재생 모드,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모드를 수동에 의해 설정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으로 모드를 전환함에 의해, 셔터 버튼(25)을 가압 조작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다음에,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A)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 도시하는 촬상 장치(1A)의 설명에서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촬상 장치(1)에서의 같은 부분에 붙인 부호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촬상 장치(1)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상세히 설명을 한다.
촬상 장치(1A)는 편평한 가로가 길다란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카메라 본체부(57)와 상기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동작부(5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57)의 앞면(57b)의, 예를 들면, 좌단부에서의 상단부에는 피사체의 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24)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57)는 편평한 개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좌단부가 후방 및 하방으로 약간 패여진 오목부(59)로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59)에 촬영 렌즈(24) 가 위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57)의 윗면(57c)에는 셔터 버튼(25), 전원 버튼(26) 및 슬라이드 노브(27)가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57)의 우측면(57d)에는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십자키(28), 백 버튼(29), 보조 메뉴 버튼(30) 및 메뉴 버튼(31)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57)의 후면(57a)의 우단부에는 줌 키(32), 재생 버튼(33), 모드 전환 버튼(34), 타이머 버튼(35), 플래시 버튼(36), 매크로 모드 버튼(37), 삭제 버튼(38)이 배치되어 있다.
줌 키(32), 타이머 버튼(35), 플래시 버튼(36), 매크로 모드 버튼(37)은 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모드에서 사용되는 촬영용 버튼(39)으로서의 기능을 갖지만, 촬영용 버튼(39)으로서 마련하는 버튼은 이들의 각 버튼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카메라 본체부(57)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그 상단부에,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동작부(58)는 표시부(60)(상기 표시부(9)와 같다)와 렌즈 커버부(61)와 연결판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카메라 본체부(57)와 표시부(60)는 모두 편평한 개략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외형이 개략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60)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슬라이드 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카메라 본체부(57)의 후면(57a)의 앞면과 표시부(60)의 앞면(60a)의 앞면이 대향한 상태로 되고, 이 상태가 촬상 장 치(1A)의 폐쇄 상태가 된다.
표시부(60)의 후면(60b)에는 표시 화면(41)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 화면(41)은 후면(60b)의 주연(peripheral portion)을 제외한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60)의 내부에는 그 상단부에 조작용 노치(42)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용 노치(42)의 한쪽의 단연(edge portion)이 조작 연부(42a)로서 마련되어 있다.
렌즈 커버부(61)는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폐쇄 상태에서의 앞면이 카메라 본체부(57)의 앞면(57b)에 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에서는 렌즈 커버부(61)에 의해 촬영 렌즈(24)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폐쇄 상태에서, 연결판부(62)는 폐쇄 상태에서의 앞면이 카메라 본체부(57)의 윗면(57c)에 접한 상태로 배치된다.
카메라 본체부(57)의 후면(57a)의 앞면과 표시부(60)의 앞면(60a)의 앞면이 대향한 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동작부(58)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슬라이드 되면, 조작 연부(42a)에 의해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조작되어 촬영 모드가 설정되고, 슬라이드 동작부(58)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 개폐 검출 스위치(40)에 대한 조작이 해제되어 재생 모드가 설정된다.
카메라 본체부(57)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기구(44)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60)의 내부에는 2개의 연결 돌기부(55) 및 피 로크 핀(56)이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60)의 2개의 연결 돌기부(55) 중의 하나는 카메라 본체부(57)의 슬라 이드 판(45, 46)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카메라 본체부(57)와 슬라이드 동작부(58)가 연결된다. 표시부(60)의 피 로크 핀(56)은 카메라 본체부(57)의 핀 안내 구멍(43c)에 삽입된다.
폐쇄 상태에서 슬라이드 노브(27)가 조작되면, 슬라이드 동작부(58)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슬라이드 되고,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동작부(58)의 일부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개방된 개방 상태가 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카메라 본체부(57)의 후면(57a)에 배치된 촬영용 버튼(39)이 노출된다. 동시에, 슬라이드 동작부(58)의 렌즈 커버부(61)에 의한 촬영 렌즈(24)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촬영 렌즈(24)가 노출된다.
표시부(60)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개방 상태를 향하여 슬라이드될 때에는 개폐 검출 스위치(40)가 조작용 노치(42)의 조작 연부(42a)에 의해 조작되고, 촬영 모드가 설정된다. 이 때 촬상 장치(1A)에 전원이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에 촬상 장치(1A)에 전원이 투입된다.
촬상 장치(1A)의 개방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부(57)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표시부(60)의 좌단부 및 표시부(6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카메라 본체부(57)의 우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촬영용 버튼(39) 및 셔터 버튼(25)을 조작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상태에서는 촬영용 버튼(39)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1A)에 마련된 모든 버튼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각 버튼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방 상태에서는 모드 전환 버튼(34) 또는 메뉴 버튼(31) 등을 이용하여 재 생 모드,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모드를 수동에 의해 설정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개방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슬라이드 동작부(58)를 수동에 의해 오른쪽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드 시키면, 폐쇄 상태가 된다.
슬라이드 동작부(58)가 카메라 본체부(57)에 대해 오른쪽으로 슬라이드될 때에는 개폐 검출 스위치(40)에 대한 조작용 노치(42)의 조작 연부(42a)에 의한 조작이 해제되고, 재생 모드가 설정된다.
촬상 장치(1A)의 폐쇄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재생 모드에서 카메라 본체부(57)의 우측면(57d)에 배치된 각 버튼을 조작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서는 메뉴 버튼(31) 등을 이용하여 재생 모드,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의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모드를 수동에 의해 설정하여 소망하는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정지화 촬영 모드 또는 동화 촬영 모드 등으로 모드를 전환함에 의해, 셔터 버튼(25)을 가압 조작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A)에서는 슬라이드 동작부(58)를 개방 상태를 향하여 슬라이드함에 의해 촬영 렌즈(24)가 노출되고, 폐쇄 상태에서 촬영 렌즈(24)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커버부(61)를 표시부(60)와 일체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시켜서 촬영 렌즈(24)를 개폐함에 의해, 촬영 렌즈(24)를 보호하기 위한 다른 전용의 렌즈 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1회의 조작에 의해 촬영 렌즈(24) 및 촬영용 버튼(39)이 노출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A)의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A)에서도, 상기한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동작부(58)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여 슬라이드된 때에,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이 촬영 렌즈(24)에 접근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촬영시에 있어서,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과 촬영 렌즈(24)와의 위치의 어긋남이 작고, 시차가 적은 촬영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촬상 장치(1A)에서도,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동작부(58)가 XY 평면 내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해 모두 경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또한,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 렌즈(24)의 중심과 표시 화면(41)의 중앙점(P)을 일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표시부(23, 60)가 슬라이드 되어 개방 상태에서의 촬영용 버튼(39)이 노출되고, 폐쇄 상태에서의 촬영용 버튼(39)이 표시부(23, 60)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폐쇄 상태에서 재생 모드가 설정된 때에, 불필요한 촬영용 버튼(39)이 노출하는 일이 없고, 또한, 사용자에 의한 촬영용 버튼(39)에 대한 잘못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 상태에서의 소형의 상태에서 촬상 장치(1, 또는 1A)를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촬상 장치(1, 또는 1A)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형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표시부(23, 60)가 슬라이드 되어 촬영용 버튼(39)이 노출된 때에 피사체의 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모드가 설정되기 때문에, 촬영용 버튼(39)이 노출되는 동시에 촬영 모드가 설정됨에 의해, 즉시 촬영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표시부(23, 60)가 슬라이드 되어 촬영용 버튼(39)이 폐쇄된 때에 촬영한 화상을 표시 화면(41)에 표시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되기 때문에, 촬영용 버튼(39)이 폐쇄되는 동시에 재생 모드가 설정됨에 의해, 즉시 화상의 재생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표시부(23, 60)의 개폐 동작에 관계없이, 표시 화면(41)에의 화상의 표시를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41)의 사용에 즈음하여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촬상 장치(1, 또는 1A)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 부재(48)를 가세 수단으로서 이용하여 표시부(23) 및 슬라이드 동작부(58)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세의 방향을 필요에 응하여 반대 방향으로 하여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를 향한 방향으로 표시부(23) 및 슬라이드 동작부(58)를 가세하도록 하여도 좋다.
가세 수단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장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고무 등의 각종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세 수단으로서 표시부(23) 및 슬라이드 동작부(58)의 슬라이드 도중에 가세 방향이 변화하는 토글 스프링을 이용하여, 표시부(23) 및 슬라이드 동작부(58)의 카메라 본체부(22, 57)에 대한 슬라이드 위치에 응하여, 표시부(23) 및 슬라이드 동작부(58)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를 향하는 방향 또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6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7의 B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8B의 는 본 발명의 제4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9의 B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모든 방향(상하 및 좌우 방향)은 촬상 장치(1000)를 전방에서 본 상태로 정의한다. 피사체를 향해 시스템의 광축을 따르는 방향이 전방으로 정의되고, 화상 센서측을 향한 광축을 따른 방향이 후방이라고 정의된다.
촬상 장치(1000)는 섀시(1200)와, 촬영 광학계(1400)와, 화상 센서(1600)(도 26 참조)와, 표시 패널(1800)과, 촬영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의 조작부(20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촬상 장치(1000)는 두께 방향으로 분할된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는 일정 두께와 상기 두께보다 더 큰 치수의 좌우 폭과, 상기 두께 보다 더 큰 치수의 높이(수직 방향)를 갖는 얇은 입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1000A) 및 표시부(1000B)는 폭과 높이가 동일하다.
섀시(1200)는 일정 두께와, 상기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좌우 폭과, 상기 두께 보다 더 큰 치수의 높이(수직 방향)를 갖는 얇은 입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섀시(12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의 섀시(1200)를 구성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1000B)의 섀시(1200)로 기능하는 표시부용 섀시(1200B)로 구성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각각 일정 두께와 상기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높이와, 상기 높이보다도 큰 치수의 좌우 폭을 갖는 좌우로 가로가 길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는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앞면(1202) 및 배면(1206)을 구비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는 좌우 폭방향의 양 단에 좌단면(1210) 및 우단면(1212)을 가진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는 상하 높이 방향의 양 단에 상단면(1214) 및 하단면(1216)을 갖고 있다.
표시부용 섀시(1200B)는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앞면(1208) 및 배면(1204)을 가지며, 좌우 폭방향의 양 단에 좌단면(1220) 및 우단면(1222)을 가지며, 상하 높이 방향의 양 단에 상단면(1224) 및 하단면(1226)을 갖고 있다.
도 1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과 접하고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1400)는 피사체상을 화상 센서(1600)에 유도하는 것이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우측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 광학계(1400)를 구성하고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광학부재(1402)(대물 렌즈)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앞면(1202)의 우측 상부의 창(1203)에 면하게 하여 배설되어 있다.
촬영 광학계(1400)의 좌측의 앞면(1202) 개소에는 피사체에 오토 포커스용의 보조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AF용 LED(2202)와, 피사체에 촬영용의 보조광을 조사하는 플래시(2204)가 마련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에는 촬영 광학계(1400)와 화상 센서(1600)가 부착된 판형상의 기판(2400)이 조립되고, 후 섀시(1200B)에는 표시 패널(1800)이 조립되고, 기판(2400)과 표시 패널(1800)은 플렉시블 기판(26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촬상 장치(1000)의 동작에 관련되는 조작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0)의 동작에 관련되는 조작부(2000)는 예를 들면, 셔터 스위치(2002), 동화/정지화/음악 모드 전환 스위 치(2004),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촬영 모드 전환 스위치(2013), 십자 조작 키(2014), 문자 입력 키(2016), 전원 스위치(2100)를 포함한다.
상기 셔터 스위치(2002)는 정지화 촬영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줌 조작 스위치(2006)는 촬영 광학계(1400)의 줌을 망원측으로부터 광각측으로(또는 그 역으로) 변화시킬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는 촬상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촬영 모드와, 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 모드로 전환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동화/정지화/음악 모드 전환 스위치(2004)는 상기한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의 조작에 의해 촬영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사체상을 동화 형식으로 촬상하는 동화 모드와, 피사체상을 정지화 형식으로 촬상하는 정지화 모드의 어느 하나로 전환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동화/정지화/음악 모드 전환 스위치(2004)의 조작에 의해 음악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한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에 의한 모드 설정과는 관계 없이 기억 매체(1006)(도 26 참조)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모드로 이행한다.
메뉴 스위치(2010)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1800)에 촬상 장치(1000)에 대해 여러 가지의 조작 메뉴를 표시시키고, 또는 조작 메뉴의 전환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 메뉴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0)가 실행하는 동작에 관 한 여러 가지의 설정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백 키(2012)는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 메뉴의 표시를 이전의 표시로 되돌릴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촬영 모드 전환 스위치(2013)는 촬영할 때의 촬영 모드, 예를 들면, 매크로 촬영, 스포츠 모드 등을 전환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십자 조작 키(2014)는 표시 패널(1800) 상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서로 직교하는 4방향으로 커서 (또는 반전 표시되어 있는 흑백 부분으로 표시된 항목)을 이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십자 조작 키(2014)는 선택된 동작 메뉴를 확정(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문자 입력 키(2016)는 숫자나 기호를 포함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부가하는 코멘트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촬상 장치(1000)를 인터넷에 접속할 때의 URL을 입력할 때에, 또는 홈페이지나 블록 등에 화상 데이터와 함께 업 로드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전원 스위치(2100)는 촬상 장치(1000)의 전원을 온, 오프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표시 패널(1800)은 화상 센서(1600)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나 여러 가지의 조작 메뉴 등을 표시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800)의 표면을 덮도록 터치 패널(2020)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패널(2020)은 조작부(20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손가락으 로 접촉함에 의해, 예를 들면,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 등과 거의 같은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800)은 표시부(1000B)의 배면(1204)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용 섀시(1200B)는 표시부(1000B)의 배면(1204)에서, 표시 패널(1800)의 상하의 에지를 누르는 좁은 폭으로 좌우로 연재하는 상하의 변(1230)과, 표시 패널(1800)의 좌우의 연을 누르는 좁은 폭으로 상하로 연재하는 좌우의 변(1232)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과 겹쳐져서, 상기 배면(1206)과 상기 앞면(1208)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도 17의 A 및 B에 도시된 제1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는 표시부용 섀시(1200B)와 겹쳐서,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은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최소가 된다. 제2의 상태에서, 도 18의 A 및 B 또는 도 1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은 표시부용 섀시(1200B)으로부터 일부 노출되어,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은 두께 방향에서 본 상기 제1의 상태 보다 더 크다.
도 20은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화살표 XXI-XXI선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의 화살표 XXII-XXII선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의 화살표 XXIII-XXIII선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24는 가이드 판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18의 B의 화살표 XXV상에서 본 도면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좌우 상하 방향의 중앙 개소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000)가 형성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좌우 중앙의 상하부의 내면에는 2개의 보스부(3200)가 팽출 형성되고, 보스부(3200)에 핀 정합 구멍(34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좌반부로서 상하 방향의 중앙 개소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600)가 좌우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좌반부의 상하부에는 핀 삽입 그루브(3800)가 좌우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좌반부의 내면에,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강도,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40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4000)에는 그루브(3600) 및 핀 삽입 그루브(3800)에 대응한 개소에 그루브(4200)와 가이드 그루브(44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그루브(4400)의 연재 방향(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가 가이드 그루브(4400)의 상하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그루브(4400)의 우단부, 중간부, 좌단부의 상하부 각각에는 제1 돌기(4600A), 제2 돌기(4600B), 제3 돌기(460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그들의 배면(1206)과 앞면(1208)이 합쳐지고, 가이드 핀(4800)의 축부(4802)가 가이드판(4000)의 가이드 그루브(4400)으로부터 앞면(1208)의 핀 삽입 그루브(3800)을 통과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보스부(3200)의 핀 정합 구멍(3400)에 감합되고,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방향이 조정되고, 이 조정 후, 접착제(5000)에 의해 가이드 핀(4800)이 보스부(3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2600)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그루브(3000)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그루브(3600)을 통과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 사이에 건너 놓여진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 사이에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고, 가이드 핀(4800)을 가이드 그루브(4400)의 단부(우단부)로 가세하고 있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가깝게 위치하는 가이드 그루브(4400)의 단부(우단부)에 위치 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처져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가이드 그루브(4400)의 단부(좌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의 상태는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3의 상태와, 도 1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에 더하여 재 1의 개소와 다른 제2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4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즉,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1의 상태가 된다.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3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3 돌기(4600C)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19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4의 상태가 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 변위될 때, 계합 오목부(4806)가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에 계합함으로써, 제1의 상태,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될 때마다 유저에게 클릭 느낌이 주어지고, 또한, 그들 제1의 상태,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계지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제1의 상태가 되도록 가세되어 있고, 따라서, 제1의 상태로부터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유저에게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저항감이 부여되고, 또한, 제4의 상태로부터 제3의 상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가세력이 작용하여, 보다 약한 조작력으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핀(4800), 계합 오목부(4806), 돌기(4600A 내지 4600C)에 의해, 제1의 상태와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계지 지지하는 클릭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000)에는 가이드 핀(4800)이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근접 스위치(5400A)와, 가이드 핀(4800)이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근접 스위치(5400B00)와, 가이드 핀(4800)이 제3 돌기(4600C)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근접 스위치(5400C)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제1 내지 제3 근접 스위치(5400A, 5400B, 5400C)에 의해 후술하는 위치 검출부(1018)(도 26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상태와 제3의 상태 사이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과,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 사이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은 동일한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의 상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3의 상태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의 제1의 개소에 더하여 제1의 개소와 다른 제2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4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3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2개의 짧은 변중의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제1의 영역이고, 제4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제1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의 영역보다도 넓은 면적의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제2의 영역이다.
또한, 촬영 광학계(1400)의 광학부재(1402)는 앞면(1202)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개소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위한 개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조작부(2000)의 배치되는 위치가 설명된다.
셔터 스위치(2002)와 전원 스위치(2100)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상단면(1214)에 마련되어 있다.
동화/정지화/음악 모드 전환 스위치(2004)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좌단면(1210)에 마련되어 있다.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우단면(1212)에는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의 플러그가 착탈되는 음성 출력용의 잭(220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7의 B, 도 18의 B, 및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 문자 입력 키(2016)는 제1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에 의해 은폐되며 또한 제2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7의 B,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는 제1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에 의해 은폐되며 또한 제3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8의 B 및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 입력 키(2016)는 제3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에 의해 은폐되며 또한 제4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배면(1206)의 조작부 영역(1240)에는 조작부(2000)가 배치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2000)가 마련되는 표시부용 섀시(1200B)의 배면 개소는 배면(1206)이 연부(1250)보다도 약간 패여진 개소를 연재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 이동할 때에, 조작부(2000)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8)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촬상 장치(1000)의 제어계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6은 촬상 장치(1000)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0)는 전술한 촬영 광학계(1400), 화상 센서(1600), 표시 패널(1800) 등에 더하여, 화상 처리부(1002), 표시 처리부(1004), 기억 매체(1006), 음성 처리부(1008), 마이크로폰(1010), 통신부(1012), 외부 접속 커넥터(1014), 외부 장치용 인터페이스(1016), 위치 검출부(1018), 제어부(1020)(제어 수단)를 구비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1400)는 경통(1410)에 수용되어 있 고, 경통(1410)의 후부에는 화상 센서(1600)가 마련되어 있다.
화상 센서(1600)는 촬영 광학계(1400)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CCD나 CMOS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1002)는 화상 센서(1600)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기억 매체(1006)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표시 처리부(1004)는 화상 처리부(100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표시 패널(1800)에 표시시키는 외에, 제어부(1020)로부터 공급되는 조작 메뉴용의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 등을 표시시키는 것이다.
기억 매체(1006)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부(100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격납함과 함께, 격납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1002)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기억 매체(1006)는 화상 데이터 이외에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거하여 음성 처리부(1008)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의 격납을 행하고, 또한, 격납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1008)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음성 데이터로서는 상기한 음악 모드에서 재생되는 음악 파일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 매체(1006)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재기록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섀시(1200)에 취출 불능으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섀시(1200)에 메모리 카드 슬롯을 마련하고, 메모리 카드 슬롯에 장탈 가능하게 마련된 메모리 카드를 기억 매체로서 이용하여도 좋 다.
음성 처리부(1008)는 마이크로폰(101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접속 커넥터(1014), 외부 장치용 인터페이스(10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기억 매체(1006)에 공급하고, 또한, 기억 매체(1006)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용의 잭(2208)에 공급하고, 또는 외부 장치용 인터페이스(1016), 외부 접속 커넥터(1014)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촬상 장치(1000)는 보이스 레코더(녹음기), 또는 음악 플레이어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용 인터페이스(1016)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로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012)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통신부(1012)는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퍼스터 컴퓨터 등)와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1012)는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해, 모뎀 등의 외부 장치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서버상에 구축되어 있는 홈페이지나 블록에 액세스하고, 그들 홈페이지나 블록를 열람함과 함께, 홈페이지나 블록에 대해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의 업 로드를 행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검출부(1018)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검출 신호를 제어부(1020)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폐쇄 위치로 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제1 위치로 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4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제2 위치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검출부(1018)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근접 스위치(5400A, 5400B, 5400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검출부(1018)로서는 근접 스위치 외에, 종래 공지의 다양한 위치 검출 센서가 채용 가능하다.
제어부(1012)는 화상 처리부(1002), 표시 처리부(1004), 기억 매체(1006), 음성 처리부(1008), 통신부(1012), 외부 장치용 인터페이스(1016), 위치 검출부(1018) 등의 제어를 맡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CPU, 그 CPU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 메모리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7은 촬상 장치(1000)의 동작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촬상 장치(1000)는 전원이 오프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1020)는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 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
제어부(1020)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 및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제어부(1020)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 및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2100)가 온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만일,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라면 스텝 S10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2100)가 온 되어 있으면, 제어부(1020)는 재생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14). 재생 모드에서는 제어부(1020)는 기억 매체(1006)로부터 판독한 정지화 또는 동화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1800)에 표시시키는 모드이다.
도 28의 A 및 B는 재생 모드에서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에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802)에 복수의 섬네일 화상(g)이 표시되고, 확대 표시하고 싶은 섬네일 화상(g)을 선택하여 그 섬네일 화상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2020) 부분을 손가락으로 대면, 도 2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802)에 선택된 섬네일 화상(g)이 하나의 확대 화상(h)으로서 표시된다.
도 2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대 화상(h)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표시 화면(1802)상에 조작용의 버튼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1802)상에 는 조작 메뉴의 표시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메뉴 버튼(B1), 다음의 확대 표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보내기 버튼(B2), 앞의 확대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되돌림 버튼(B3) 등이 표시된다. 보내기 버튼(B2)나 되돌림 버튼(B3)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확대 화상(h)의 순번은 도 28(A)에서 섬네일 화상(g)이 나열되어 있는 순번(왼쪽 위로부터 오른쪽 밑을 향하는 순번)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표시 화면(1802)에는 전지의 잔량 표시 데이터(d1),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데이터(d2), 표시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에 부여된 화상 번호, 기록 매체(1006)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매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가 데이터(d3)(년월일 시간 등) 등이 표시된다.
또한, 재생하는 화상 데이터가 정지화라면, 확대 화상은 정지화이고, 재생하는 화상 데이터가 동화라면, 확대 화상은 동화이다.
뒤이어, 제어부(1020)는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 위치, 제2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제1 위치, 제2 위치의 어느 쪽도 아닌, 즉, 폐쇄 위치라고 판정되었으면,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8).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4로 되돌아와,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으면, 전원을 오프 하고(스텝 S20), 동작을 종료한다.
만일, 스텝 S16에서 제1 위치에 있다고 판정되었으면, 전원을 온 하고(스텝 S22), 촬영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24). 단, 스텝 S22 이전에 이미 전원이 온 상태 라면, 스텝 S22를 스킵하고 스텝 S24로 이행한다.
촬영 모드에서는 정지화 또는 동화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06)에 기록한다.
도 29는 촬영 모드에서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에 촬영중의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촬영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802)에 피사체의 화상(i)이 표시되는 동시에, 전지의 잔량 표시 데이터(d1),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사이즈 데이터(d2), 기록 매체(1006)에 기록한 화상 매수(d4), 줌 위치가 광각단(W)과 망원단(T)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줌 인디케이터(d5), 매크로 촬영이나 스포츠 모드 등의 촬영 모드의 종류, 또는 노출 우선, 셔터 스피드 우선, 또는 초점 조정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아이콘(d6), 자동 초점 조정의 대상이 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마크(d7) 등이 표시된다.
뒤이어, 제어부(1020)는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6).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으면,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지 않으면,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8). 폐쇄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재생 모드로 이행하고(스텝 S30),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스텝 S28에서 폐쇄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 위치, 제2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2).
만일,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4로 되돌아온다.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4로 이행한다.
만일, 스텝 S16에서 제2 위치에 있다고 판정되었으면, 전원을 온 하고(스텝 S42), 편집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44). 단, 스텝 S42 이전에 이미 전원이 온 상태라면, 스텝 S42를 스킵하고 스텝 S44로 이행한다.
편집 모드에서는 기록 매체(1006)에 기록되어 있는 정지화 또는 동화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코멘트 등의 문자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도 30은 편집 모드에서 표시 패널(1800)의 표시 화면(1802)에 화상 데이터나 입력중의 문자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편집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1802)에 기록 매체(1006)로부터 판독한 화상(j)이 표시되는 동시에, 문자 입력 키(2016)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k)이 표시된다.
예를 들변 문자열(k)은 화상(j)에 관한 코멘트이고, 화상(j)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통신부(1012)에 의해 인터넷의 서버상에서의 홈페이지나 블록에 업 로드되는 것이다.
뒤이어, 제어부(1020)는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 한다(스텝 S46).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으면,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전원 스위치(2100)가 오프 되어 있지 않으면,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폐쇄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8). 폐쇄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재생 모드로 이행하고(스텝 S50),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그러나, 스텝 S48로 폐쇄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1018)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 위치, 제2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2).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4로 되돌아온다.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4로 이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섀시(1200)의 외형이 최소가 되고 컴팩트한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표시부용 섀시(1200B)의 배면(1204)의 거의 전역에 표시 패널(1800)이 연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섀시(1200)의 외형이 컴팩트함에도 불구하고 표시 패널(1800)의 면적을 섀시(1200)의 배면(1204)의 거의 전역에 크게 확보할 수 있어서, 화상을 감상하는 데에, 또한, 화상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입력할 때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부(2000)는 은폐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800)에 화상을 표시시켜서 감상하기 위해 불필요한 조작부(2000) 부분을 은폐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을 감상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0)를 제2의 상태중의 제3의 상태로 하면, 표시 패널(1800)의 측방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부분이 노출하고, 표시 패널(1800)의 측방에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가 출현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1800)의 면적을 크게 확보함에도 불구하고, 그들 조작 부재(2006, 2008, 2010, 2012, 2014)를 섀시(1200)에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그들 조작 부재(2006, 2008, 2010, 2012, 2014)를 조작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 장치(1000)가 제3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 키(2016)는 은폐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시에 불필요한 문자 입력 키(2016)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제3의 상태에서는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우측부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좌측부를 좌우의 손으로 각각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패 널(1800)을 손으로 덮는 일 없이 촬상 장치(1000)를 단단히 지지하는 데에 유리해진다.
또한, 도 1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0)를 제2의 상태중의 제4의 상태로 하면, 표시 패널(1800)의 측방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에 마련되어 있는 모든 조작부(2000)가 노출되고, 촬영에 관련되는 조작 부재, 즉,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에 더하여 문자 입력 키(2016)가 출현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1800)의 면적을 크게 확보함에도 불구하고, 줌 조작 스위치(2006), 기록/재생 전환 스위치(2008), 메뉴 스위치(2010), 백 키(2012), 십자 조작 키(2014), 및 문자 입력 키(2016)는 상기 동작 부재를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최적인 형태로 화상 센서(1200)에 배치할 수 있다.
제4의 상태에서는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체크하면서, 문자 입력 키(2016)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등, 편집 작업을 행하는데 알맞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제1의 상태로부터 제2의 상태로 하면, 재생 모드로부터 촬영 모드 또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고, 또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제2의 상태로부터 제1의 상태로 하면, 촬영 모드 또는 편집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전환하기 때문에, 모드 설정을 위한 스위치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 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제1의 상태로부터 제2의 상태로 하면, 전원이 온 되고 촬영 모드 또는 편집 모드로 되기 때문에, 전원 스위치(2100)의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촬영 모드 또는 편집 모드에서 촬상 장치(100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하는 데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이고 재생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화상의 재생에 관련되는 조작 버튼을 터치 패널(2020)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조작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해진다.
또한, 촬영 광학계(1400)의 광학부재(1402)는 앞면(1202)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개소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위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상태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촬영 광학계(1400)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즉, 촬영 광학계(1400)를 갖는 촬상 장치(1000)로서, 촬상 장치(1000)는 전후로 분할된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로 구성되고, 촬영 광학 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에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의 앞면(1202)에서 좌우 폭방향의 중앙보다도 좌우 폭방향의 한쪽에 치우친 개소에 배치되는 광학부재(14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가 합쳐저서 전후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표시부(1000B)의 좌우 폭방향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카메라 본체부(1000A)의 개소가 노출하고 전후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10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10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면,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와, 이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좌우 폭과 상하 높이를 구비하고,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전면(1202)과 배면(1204)이 위치하는 박판형상의 섀시(1200)와, 섀시(1200)에 조립된 촬영 광학계(1400)를 구비한 촬상 장치(1000)로서, 촬상 장치(1000)는 두께 방향으로 분할된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로 구성되고, 섀시(12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의 몸체를 구성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1000B)의 몸체를 구성하는 표시부용 섀시(1200B)로 구성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에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전면(1202)에서 좌우 폭방향의 중앙보다도 좌우 폭방향의 한쪽에 치우친 개소에 개구하는 창(1203)에 배 치되는 광학부재(14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좌우 폭방향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면,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모드시에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터치 패널(2020)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재생 모드시에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항상 노출하고 있는 섀시(1200)의 표면,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좌우 단면(1210, 1212), 상하 단면(1214, 1216), 또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전면(1202), 또는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좌우 단면(1220, 1222), 상하 단면(1224, 1226)의 어느 한쪽에 마련하여도 좋다.
제4의 실시예
다음에 제4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4의 실시예는 제3의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제4의 실시예가 제3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점이고, 또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점이고, 제2의 상태는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31은 제4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4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화살표 XXXIII-XXXIII선에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34는 도 32의 화살표 XXXIV-XXXIV선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35는 도 32의 화살표 XXXV-XXXV선 방향에 따른 도면이다. 도 36은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2는 도 33의 화살표 XXXII-XXXII의 방향의 도면에 대응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0)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1000)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다.
제4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4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또한, 제4의 실시예에서는 제2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한쪽의 긴 변에 따른 부분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좌우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000)가 형성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그루브(30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의 2개소의 내면에는 보스부(3200)가 팽출 형성되고, 보스부(3200)에 핀 정합 구멍(34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가까운 개소에서 상하 방향의 중간 개소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600)이 상하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그루브(36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에는 핀 삽입 그루브(3800)가 상하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2,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내면에,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강도,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40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4000)에는 그루브(3600) 및 핀 삽입 그루브(3800)에 대응한 개소에 그루브(4200)과 가이드 그루브(440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그루브(4400B)의 상하 단부의 좌우 양측에 제1, 제2 돌 기(4600A, 460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그들의 배면(1206)과 전면(1208)이 합쳐지고, 가이드 핀(4800)의 축부(4802)가 가이드판(4000)의 가이드 그루브(4400)으로부터 전면(1208)의 핀 삽입 그루브(3800)을 통과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보스부(3200)의 핀 정합 구멍(3400)에 감합되고,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제2 돌기(4600A, 4600B)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방향이 조정되고, 이 조정 후, 접착제(5000)에 의해 가이드 핀(4800)이 보스부(3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 사이에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고, 가이드 핀(4800)을 가이드 그루브(4400B)의 단부로 가세하고 있다.
즉, 도 32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이 가이드 그루브(4400B)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이 가이드 그루브(4400B) 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하는 제1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1에 도시하는 제2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들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 변위될 때, 계합 오목부(4806)가 제1, 제2 돌기(4600A, 4600B)에 계합함으로써, 제1의 상태, 제2의 상태가 될 때마다 유저에게 클릭 느낌이 주어지고, 또한, 그들 제1의 상태, 제2의 상태가 계지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제1의 상태가 되도록 가세되어 있고, 따라서, 제1의 상태로부터 제2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유저에게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저항감이 부여되고, 또한, 제2의 상태로부터 제1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가세력이 작용하여, 보다 약한 조작력으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핀(4800), 계합 오목부(4806), 돌기(4600A, 4600B)에 의해,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계지 지지하는 클릭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000)에는 가이드 핀(4800)이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근접 스위치(5400A)와, 가이드 핀(4800)이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근접 스위치(5400B00)가 마련되어 있고,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제1, 제2 근접 스위치(5400A, 5400B)에 의해 위치 검출부(1018)(도 26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4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광학계(1400)의 광학부재(1402)는 앞면(1202)의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개소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위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촬영 광학계(1400)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즉, 촬영 광학계(1400)를 갖는 촬상 장치(1000)로서, 촬상 장치(1010)는 전후로 분할된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로 구성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에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의 전면(1202)에서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하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개소에 배치되는 광학부재(14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가 합쳐저서 전후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표시부(1000B)의 상하 방향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카메라 본체부(1000A)의 개소가 노출하고 전후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10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10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면, 제2의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촬영 광학계(1414)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와, 이 두께보다도 큰 치수의 좌우 폭과 상하 높이를 구비하고, 두께 방향의 양 단에 전면(1202)과 배면(1204)이 위치하는 박판형상의 섀시(1200)와, 섀시(1200)에 조립된 촬영 광학계(1400)를 구비한 촬상 장치(1000)로서, 촬상 장치(1000)는 두께 방향으로 분할된 카메라 본체부(1000A)와 표시부(1000B)로 구성되고, 섀시(1200)는 카메라 본체부(1000A)의 몸체를 구성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1000B)의 몸체를 구성하는 표시부용 섀시(1200B)로 구성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에 조립되고, 촬영 광학계(1400)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전면(1202)에서 상하 방향의 중앙보다도 상하 방향의 한쪽으로 치우친 부분에 개구한 창(1203)에 배치된 광학부재(14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상하 방향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면, 제2의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촬영 광학계(1400)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제4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달성된다.
제 5의 실시예
다음에, 제5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5의 실시예가 제3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의 쌍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점이다.
도 37의 A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7의 B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8의 A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다른 전면 사시도이다. 도 38의 B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다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9는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또 다른 전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또 다른 배면 사시도이다.
제5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5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3의 상태가 되고,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3의 상태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4의 상태가 된다.
즉, 제5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상태와 제3의 상태 사이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과,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 사이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5의 실시예에서, 제2의 상태는 도 3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 가 노출하는 제3의 상태와,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의 제1의 개소에 더하여 제1의 개소와 다른 제2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4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5의 실시예에서는 제3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2개의 짧은 변중의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부분이고, 제4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부분과 2개의 긴 변중의 한쪽의 긴 변에 따른 부분이다.
도 41은 제5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41의 화살표 XLII-XLII선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3은 도 41의 화살표 XLIII-XLIII선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4는 도 41의 화살표 XLIV-XLIV선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5는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41은 도 42의 화살표 XLIV-XLIV의 방향으 도면에 대응한다.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좌우 상하 방향의 중간 개소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000)이 형성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그루브(30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의 내면에는 보스부(3200)가 팽출 형성되고, 보스부(3200)에 핀 정합 구멍(34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가까운 개소로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 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600)가 좌우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그루브(36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에는 핀 삽입 그루브(3800)가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그루브(38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재하는 가로홈부(3802)와, 가로홈부(3802)의 좌단부에 접속되고 가로홈부(3802)와 직교하고 하방으로 연재하는 세로홈부(38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내면에,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강도,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40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4000)에는 그루브(3600) 및 핀 삽입 그루브(3800)에 대응한 개소에 그루브(4200)과 가이드 홈(44C)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44C)은 가로홈부(3802)에 대응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재하는 가로홈부(4402)와, 가로홈부(3802)에 대응하여 가로홈부(4402)의 좌단부에 접속되고 가로홈부(4402)와 직교하여 하방으로 연재하는 세로홈부(440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44C)의 연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가로홈부(4402)의 우단부의 상하부에 제1 돌기(4600A)가 형성되고, 가로홈부(4402)의 좌단부의 상하부에 제2 돌기(4600B)가 형성되고, 세로홈부(4404)의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제3 돌기(4600C)가 형성되어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그들의 배면(1206)과 전면(1208)이 합쳐지고, 가이드 핀(4800)의 축부(4802)가 가이드판(4000)의 가이드 그루브(4400)으로부터 전면(1208)의 핀 삽입 그루브(3800)을 통과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보스부(3200)의 핀 정합 구멍(3400)에 감합되고,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방향이 조정되고, 이 조정 후, 접착제(5000)에 의해 가이드 핀(4800)이 보스부(3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고, 가이드 핀(4800)을 가이드 홈(44C)의 단부(가로홈부(4402)의 우단부)로 가세하고 있다.
즉,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이 가로홈부(4402)의 우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이 가로홈부(4402)의 좌단부, 또는 세로홈부(4404)의 하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의 상태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3의 상태와, 도 39,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제1의 개소에 더하여 제1의 개소와 다른 제2의 개소가 노출하는 제4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즉,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7에 도시하는 제1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8에 도시하는 제3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3 돌기(4600C)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9, 도 40에 도시하는 제4의 상태가 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 변위될 때, 계합 오목부(4806)가 제1 내지 제3 돌기(4600A, 4600B, 4600C)에 계합함으로써, 제1의 상태,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될 때마다 유저에게 클릭 느낌이 주어 지고, 또한, 그들 제1의 상태,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계지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제1의 상태가 되도록 가세되어 있고, 따라서, 제1의 상태로부터 제3의 상태, 제4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유저에게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저항감이 부여되고, 또한, 제4의 상태로부터 제3의 상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가세력이 작용하여, 보다 약한 조작력으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핀(4800), 계합 오목부(4806), 돌기(4600A 내지 4600C)에 의해, 제1의 상태와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계지 지지하는 클릭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000)에는 가이드 핀(4800)이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근접 스위치(5400A)와, 가이드 핀(4800)이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근접 스위치(5400B00)와, 가이드 핀(4800)이 제3 돌기(4600C)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근접 스위치(5400C)가 마련되어 있고,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제1 내지 제3 근접 스위치(5400A, 5400B, 5400C)에 의해 위치 검출부(1018)(도 26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4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서 촬영 광학 계(1400)의 광학부재(1402)는 앞면(1202)의 중앙보다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개소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위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상태에서, 촬영 광학계(1400)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서의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제5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3의 실시예에서는 제4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2개의 짧은 변중의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부분과 2개의 긴 변중의 한쪽의 긴 변에 따른 부분과의 2개소가 되기 때문에, 제4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조작부(2000)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고 유리해진다.
제6의 실시예
다음에 제6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6의 실시예는 제5의 실시예의 변형예이고, 제6의 실시예가 제5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점이고, 또한,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 사이에서 상대 이동하는 점이고, 제2의 상태는 제3의 상태와 제4의 상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도 37의 A 및 B,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와,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의 2개의 형태를 하도록,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6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제1의 상태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의 상태가 된다.
또한, 제6의 실시예에서는 제2의 상태에서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 개소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2개의 짧은 변중의 한쪽의 짧은 변에 따른 부분과 2개의 긴 변중의 한쪽의 긴 변에 따른 부분이다.
도 46은 제6의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화살표 XLVII-XLVII선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8은 도 46의 화살표 XLVIII-XLVIII선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9는 도 46의 화살표 XLIX-XLIX선 방향으로 본 도면 이다. 도 50은 가이드판(400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46은 도 47의 화살표 XLVI-XLVI선의 방향의 도면에 대응한다.
도 46,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좌우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000)이 형성되고, 또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그루브(30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의 내면에는 보스부(3200)가 팽출 형성되고, 보스부(3200)에 핀 정합 구멍(34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좌우 중앙의 좌측에서 상하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플렉시블 기판(2600)을 삽입시키는 그루브(3600)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의 그루브(3600)을 끼우는 좌우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에는 핀 삽입 그루브(3800)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9 및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앞면(1208)의 내면에,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강도, 강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판(40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4000)에는 그루브(3600) 및 핀 삽입 그루브(3800)에 대응한 개소에 그루브(4200)과 가이드 홈(4400D)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4400D)은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전면(1208)의 짧은 변 및 긴 변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홈(4400D)의 연재 방향의 양 단의 상하 양측에는 제1 돌기(4600A), 제2 돌기(460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그들의 배면(1206)과 전면(1208)이 합쳐지고, 가이드 핀(4800)의 축부(4802)가 가이드판(4000)의 가이드 그루브(4400)으로부터 전면(1208)의 핀 삽입 그루브(3800)을 통과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보스부(3200)의 핀 정합 구멍(3400)에 감합되고,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제2 돌기(4600A, 4600B)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방향이 조정되고, 이 조정 후, 접착제(5000)에 의해 가이드 핀(4800)이 보스부(3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과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이 그들의 면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와 표시부용 섀시(1200B)의 전면(1208) 사이에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고, 가이드 핀(4800)을 가이드 홈(4400D)의 우단부로 가세하고 있다.
즉,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핀(4800)이 가이드 홈(4400D)의 우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합쳐저서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1000) 의 윤곽이 가장 작아지는 제1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이 가이드 홈(4400D)의 좌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용 섀시(1200B)로부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의 개소가 노출하고 두께 방향에서 본 촬상 장치의 윤곽이 제1의 상태보다도 커지는 제2의 상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7에 도시하는 제1의 상태가 된다.
또한, 가이드 핀(4800)의 헤드(4804)의 하면의 계합 오목부(4806)가 가이드판(4000)의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에서 도 39, 도 40에 도시하는 제2의 상태가 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가 상대 변위될 때, 계합 오목부(4806)가 제1, 제2 돌기(4600A, 4600B)에 계합함으로써, 제1의 상태, 제2의 상태가 될 때다마다 유저에게 클릭 느낌이 주어지고, 또한, 그들 제1의 상태, 제2의 상태가 계지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20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는 제1의 상태가 되도록 가세되어 있고, 따라서, 제1의 상태로부터 제2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유저에게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저항감이 부여되고, 또한, 제2의 상태로부터 제1의 상태로 복귀할 때에, 코일 스프링(5200)에 의한 가세력이 작용하여, 보다 약한 조작력으로 제1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핀(4800), 계합 오목부(4806), 돌기(4600A, 4600B)에 의해, 제1의 상태와 제2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와 표시부용 섀시(1200B)를 계지 지지하는 클릭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4000)에는 가이드 핀(4800)이 제1 돌기(4600A)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근접 스위치(5400A)와, 가이드 핀(4800)이 제2 돌기(4600B)에 계합한 상태인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근접 스위치(5400B00)가 마련되어 있고, 제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제1, 제2 근접 스위치(5400A, 5400B)에 의해 위치 검출부(1018)(도 26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6의 실시예에서도 제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촬영 광학계(1400)의 광학부재(1402)는 전면(1202)의 중앙보다도 제2의 상태에서 노출하는 카메라 본체부용 섀시(1200A)의 배면(1206) 개소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위하여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상태에서, 촬영 광학계(1400)의 광축과, 표시 패널(1800)의 중심과의 위치를 근접시킬 수 있어서, 제2의 상태에서, 유저가 직접 피사체를 시인한 때의 위치와, 표시 패널(1800)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의 위치와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치의 어긋남을 축소할 수 있고, 촬영시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서도 제3의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000)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촬상 장치(비디오 카메라 등), 또는 휴대 정보 단말(휴대전화기, PDA,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음악 플레이어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여러 변형예, 조합예, 하위 조합예 및 변경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그 등가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구 사항 및 다른 요소들에 의거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들은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상기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영용 버튼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표시부의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폐쇄 및 개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상기 촬상 장치는 촬영용 버튼이 노출됨과 동시에 촬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폐쇄 상태에서, 촬영용 버튼이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폐쇄 상태에서, 상기 촬상 장치는 사이즈를 작게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때에, 촬상 장치는 작은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폐쇄 상태에 있어서, 촬영 렌즈는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전용 촬용 렌즈가 필요치 않고, 그에 따라, 촬상 장치의 구성 요소의 갯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의하면, 촬상 장치는 시차가 작게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찰영 모드가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즉시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가 제1의 반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되는 경우에, 표시 화면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즉시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편리한 사용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상 장치가 온인지의 여부를 촬상 장치의 형상 또는 모드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사용의 편리함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9)

  1.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촬영용 버튼이 배치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고,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이 상기 표시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를 폐쇄 및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와 함께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렌즈 커버를 더 갖고,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는 상기 촬영 렌즈를 개방하고, 상기 커버 렌즈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는 상기 촬영 렌즈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의 방향은 Z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서로 수직이고 상기 Z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2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X축 방향 및 상기 Y축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XY 평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슬라이드 되고 상기 촬영용 버튼이 노출되는 때에,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부는 상기 촬영 렌즈의 광축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피사체의 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을 받아들이기 위한 촬영 렌즈를 갖는 카메라 본체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갖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과, 표시부에서의 표시 화면이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이, 대향한 상태에서 표시부가 카메라 본체부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 촬영용 버튼은 상기 카메라 본체부에서의 상기 촬영 렌즈가 배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가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된 때에, 상기 촬영용 버튼은 노출되고,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과 반대인 상기 제2의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넘어 슬라이드 되는 때에, 상기 표시 화면상에서 촬영된 상을 표시하기 위한 재생 모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본체부를 넘어 슬라이드 되는 때에, 전원이 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60114321A 2005-11-21 2006-11-20 촬상 장치 KR20070053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5706A JP2007142936A (ja) 2005-11-21 2005-11-21 撮像装置
JPJP-P-2005-00335705 2005-11-21
JP2005335705A JP2007142935A (ja) 2005-11-21 2005-11-21 撮像装置
JPJP-P-2005-00335706 2005-11-21
JP2005352118A JP2007158799A (ja) 2005-12-06 2005-12-06 撮像装置
JPJP-P-2005-00352118 2005-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624A true KR20070053624A (ko) 2007-05-25

Family

ID=3774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21A KR20070053624A (ko) 2005-11-21 2006-11-20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69497B2 (ko)
EP (1) EP1788801B1 (ko)
KR (1) KR20070053624A (ko)
DE (1) DE602006016536D1 (ko)
TW (1) TWI3390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64B1 (ko) * 2008-08-14 2015-03-02 포토내이션 리미티드 고도의 정확성으로 결함이 있는 눈을 검출하는 카메라에 기반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584B2 (en) * 2006-03-06 2010-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device
KR20080024679A (ko) * 2006-09-14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4939959B2 (ja) * 2007-02-02 2012-05-30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携帯機器
US20090323260A1 (en) * 2008-06-25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Slide and click combination switch for a personal media player
CN101657078B (zh) * 2008-08-22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盖式电子装置
JP4748204B2 (ja) * 2008-11-05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70939B2 (ja)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4697289B2 (ja) 2008-11-05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2010117663A (ja) * 2008-11-14 2010-05-27 Fujin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TW201021556A (en) * 2008-11-19 2010-06-01 Asia Optical Co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TWI453458B (zh) * 2009-04-08 2014-09-21 Altek Corp Digital image shooting parameters of the adjustment method and its automatic adjustment of the shooting parameters of the digital camera device
KR101561913B1 (ko) * 2009-04-17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TW201104330A (en) * 2009-07-24 2011-02-01 Asia Optical Co Inc Photography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tecting the lens set and the display
KR101617289B1 (ko) * 2009-09-30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12137626A (ja) * 2010-12-27 2012-07-19 Panasonic Corp 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KR101947572B1 (ko) * 2012-07-06 2019-0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4320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식 뷰파인더 장치 및 촬상 장치
JP6318628B2 (ja) * 2013-08-14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端末、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表示端末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7207967B2 (ja) * 2018-11-21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936A (ja) 1984-11-30 1986-06-18 Canon Inc 一眼レフレツクス電子カメラ
JP2595034B2 (ja) 1988-04-20 1997-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tr一体形カメラ
US4985037A (en) 1989-05-22 1991-01-15 Petersen Thomas D Universal modular prosthesis stem extension
JP2585803B2 (ja) 1989-07-27 1997-02-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JP2535621B2 (ja) 1989-09-18 1996-09-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vtr
JPH03291065A (ja) 1990-04-09 1991-12-20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一体型vtr
JPH04114567A (ja) 1990-09-05 1992-04-15 Hitachi Ltd Vtr一体形カメラ
JPH04364670A (ja) 1991-06-12 1992-12-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装置
JP2832098B2 (ja) 1991-06-18 1998-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装置
JPH0525085A (ja) 1991-07-23 1993-02-02 Kashima Sekiyu Kk 光学活性化合物
JP3374461B2 (ja) 1993-09-09 2003-02-04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
JPH0898071A (ja) 1994-09-27 1996-04-12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H09135377A (ja) 1995-11-09 1997-05-20 Kyocera Corp バリア付の電子スチルカメラ
JPH1023300A (ja) 1996-06-28 1998-01-23 Sony Corp テレビカメラ
JP3797712B2 (ja) 1996-08-22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JPH1164928A (ja) 1997-08-20 1999-03-05 Hitachi Ltd ディジタルメモリ付きカメラ
JPH11153817A (ja) 1997-11-20 1999-06-08 Kyocera Corp ダイヤル式モード切替え装置
JPH11298773A (ja) 1998-04-08 1999-10-29 Fuji Photo Film Co Ltd モニタ付きカメラ
FI112573B (fi) 1998-06-04 2003-12-15 Nokia Corp Kamerallinen matkaviestin
JP3221400B2 (ja) 1998-06-09 2001-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KR100350607B1 (ko) * 1999-03-31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JP2003149708A (ja) * 2001-11-16 2003-05-21 Ricoh Co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4051978B2 (ja) * 2002-03-27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5051531A (ja) 2003-07-29 2005-02-24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機器
JP2005134502A (ja) 2003-10-29 2005-05-2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US7495700B2 (en) 2004-04-05 2009-02-24 Casio Computer Co., Ltd. Moving image capture device,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KR100616197B1 (ko) * 2004-08-24 200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장치
JP2006113174A (ja) 2004-10-13 2006-04-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WO2006046681A1 (ja) 2004-10-25 2006-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携帯電話装置
JP5243691B2 (ja) 2005-11-09 2013-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064B1 (ko) * 2008-08-14 2015-03-02 포토내이션 리미티드 고도의 정확성으로 결함이 있는 눈을 검출하는 카메라에 기반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6536D1 (de) 2010-10-14
EP1788801A1 (en) 2007-05-23
TW200723862A (en) 2007-06-16
US8111317B2 (en) 2012-02-07
EP1788801B1 (en) 2010-09-01
TWI339063B (en) 2011-03-11
US20070115382A1 (en) 2007-05-24
US7969497B2 (en) 2011-06-28
US20110109785A1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3624A (ko) 촬상 장치
JP5086894B2 (ja) 入力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4657977B2 (ja) 撮像装置
JP4529095B2 (ja) 撮像装置
JP2007158799A5 (ko)
JP4397058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7158799A (ja) 撮像装置
KR101170163B1 (ko) 기록재생장치
KR20060050705A (ko) 기록 재생장치
JPH11331667A (ja) 携帯型電子機器
JP4397950B2 (ja) 撮像装置
JP2006270626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07133014A (ja) 撮像装置
JP2010002514A (ja) 電子機器
CN100504570C (zh) 图像拍摄装置
JP5056713B2 (ja) 記録再生装置
JP4507278B2 (ja) スイ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07142936A (ja) 撮像装置
JP2007325009A (ja) 撮像装置
JP4022689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027405A (ja) スライド操作装置
JP2009175282A (ja) 撮像装置
JP2013245811A (ja) 装置
JP2020074509A (ja) 電子機器
JP200802243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