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13B1 -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13B1
KR101561913B1 KR1020090033834A KR20090033834A KR101561913B1 KR 101561913 B1 KR101561913 B1 KR 101561913B1 KR 1020090033834 A KR1020090033834 A KR 1020090033834A KR 20090033834 A KR20090033834 A KR 20090033834A KR 101561913 B1 KR101561913 B1 KR 10156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point
camera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211A (ko
Inventor
최성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13B1/ko
Priority to US12/645,525 priority patent/US9097554B2/en
Priority to EP20100003618 priority patent/EP2241857B1/en
Priority to EP14003795.3A priority patent/EP2837912B1/en
Publication of KR2010011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 현재 위치 및 상기 검출된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관심 지점, 카메라 영상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MAGE FOR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만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도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자에게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도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되었을 때, 차량에서 주변 지역(관심 지점) 정보 탐색 시 위치 정보를 가진 관심 지점 정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심 지점 또는 친구와 같은 지인의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알림으로써, 방향 감각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친구가 있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버스를 타기 위해 어느 방향에서 타야 하는지를 모를 때 유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 현재 위치 및 상기 검출된 관심 지 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는 표시부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과;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지자계 모듈과; 카메라 렌즈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지역 정보에 포함된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POI)) 위치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관심 지점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 현재 위치 및 상기 검출된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는 단계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단계와; 카메라 렌즈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지역 정보에 포함된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POI)) 위치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관심 지점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지도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자에게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되었을 때, 차량에서 주변 지역(관심 지점) 정보 탐색 시 위치 정보를 가진 관심 지점 정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관심 지점 또는 친구와 같은 지인의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알림으로써, 방향 감각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친구가 있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버스를 타기 위해 어느 방향에서 타야 하는지를 모를 때 유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관심 지점 또는 친구와 같은 지인의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알릴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 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 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 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 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는, 특정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121)와; 상기 촬영된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표시된 영상 내에 위치한 관심 지점에 그 관심 지점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부(180)로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텔래매틱스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교통 정보 및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프로그램, 실행 파일 등)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센터(30)와; 차량 내에 장착되고, 원거리 무선 통신망(20)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10)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래매틱스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모듈(206),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신/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된다. 상기 표시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 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1)는 도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30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GPS 모듈(207)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내비게이션 장치(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간주함)의 제1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GPS 모듈(207)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BWA :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13)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도분초 단위(DMS 단위 : Degree/Minute/Second)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 또는, 경위도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상기 지리 좌표 이외에도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13)는, 각종 메뉴 화면, 관심 지점(POI : Point Of Interest, 이하 'POI' 라 한다),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따른 기능 특성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13)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13)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213)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또는 출발지와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1)는, 상기 제어부(212)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 된 화상 정보(또는, 길 안내 지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1)는,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에는,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차량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1)는, 상기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메모리(213)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과 길 안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1)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226)는, 상기 제어부(212)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음성 정보(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226)는, 앰프 또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12)는,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표시부(201) 및 음성 출력부(226)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201)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212), 상기 정보 제공 센터 및/또는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212)는, 콜 센터와 통신부(예를 들면, CDMA 모듈(206))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와 콜센터 간의 정보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는, 특정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카메라(227)와; 상기 촬영된 특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부)(201)와; 상기 표시된 영상 내에 위치한 관심 지점에 그 관심 지점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부(212)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4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는 표시부(404)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401)과;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지자계 모듈(Digital Compass Module)(402)과; 카메라 렌즈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 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408)과;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410)과 같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주요지형지물 정보)(예를 들면, 건물 명칭, 건물의 대표 전화번호, 건물 주소, 지역 이름, 지역 위치 좌표, 지역 주소, 건물을 포함한 지역 사진, 해당 지역의 분류)를 수신하는 통신부(406)와;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지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POI)) 위치(예를 들면, 특정 건물 위치 좌표)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특정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해당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예를 들면, 건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407)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표시부(404)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화면상에 표시한다(S11).
상기 GPS 모듈(401)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S12).
상기 지자계 모듈(Digital Compass Module)(402)은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제1 절대 방위각을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S13). 여기서, 상기 지자계 모듈(402) 대신에, GPS 정보 및 이동 단말기의 이동 방향(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장치의 차량 진행 방향)을 통해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방법은 한국특허번호 10-0831355호에도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408)은 카메라 렌즈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화각 정보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S14).
상기 통신부(406)는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410)과 같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주요지형지물 정보)(예를 들면, 건물 명칭, 건물의 대표 전화번호, 건물 주소, 지역 이름, 지역 위치 좌표, 지역 주소, 건물 사진을 포함한 지역 사진, 해당 지역의 분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변 지역 정보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S15). 여기서,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는 저장부(403)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해당 지역의 분류란 해당 지역 내의 식당, 주유소, 마트, 은행 등과 같은 분류를 의미하며, 그 분류된 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주변 지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 지점 위치(예를 들면, 특정 건물 위치 좌표)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 치와 상기 특정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고(S16),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검출하고(S17),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특정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예를 들면, 건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을 표시한다(S18).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에 주변 지역(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관심 지점의 위치에 표시하여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7)는 현재 위치 및 상기 주변 지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 지점(예를 들면, 특정 건물 위치 좌표)을 근거로 현재 위치로부터의 특정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를 상기 영상에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해당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관심 지점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거나 다수의 관심 지점들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그 관심 지점의 정보를 표시할 때 사용자가 특정 관심 지점을 선택하지 않을 때 현재 위치에서 미리결정된 거리(예를 들면, 10미터 내지 50미터) 이내에 해당하는 지역에 포함된 모든 지형지물(모든 관심 지점들)에 대한 관심 지점 정보를 상기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목적지의 위치 및 방향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에서 특정 관심 지점(예를 들면, 특정 건물)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상기 특정 관심 지점이 위치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특정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관심 지점 정보를 음성 출력부(405)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4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주변 지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 지점 위치(예를 들면, 특정 건물의 위치 좌표)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특정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예를 들면, 55도)을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 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예를 들면, 건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을 결과물로서 상기 영상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한 실시간 영상 내의 지형지물의 위치에 지형지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지도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자에게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되었을 때, 차량에서 주변 지역(관심 지점) 정보 탐색 시 위치 정보를 가진 관심 지점 정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표시하는 표시부(504)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모듈(501)과;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는 지자계 모듈(Digital Compass Module)(502)과; 카메라 렌즈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508)과; 상기 현재 위치를 근거로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과 같은 외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재 위치의 주변 지역 정보(주요지형지물 정보)(예를 들면, 건물 명칭, 건물의 대표 전화번호, 건물 주소, 지역 이름, 지역 위치 좌표, 지역 주소, 건물을 포함한 지역 사진, 해당 지역의 분류)를 수신하는 통신부(506)와; 상기 검출된 현재 위치 및 상기 지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POI)) 위치(예를 들면, 특정 건물 위치 좌표)를 근거로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특정 관심 지점 위치 간의 제2 절대 방위각을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의 제1 절대 방위각 및 상기 표시된 영상의 화각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절대 방위각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근거로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내의 해당 관심 지점(예를 들면, 건물)에 관심 지점 정보(예를 들면, 건물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50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5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입력부(509)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상기 영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음성 출력부(505)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입력부(509)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키워드를 상기 제어부(507)에 출력한다(S21). 여기서, 상기 키워드는 커피전문점(스타벅스), 음식점(치킨점, 패스트푸드, 버거킹), 공원 이름, 건물 명칭과 같은 다양한 키워드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부(504) 상에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관심 지점에 해당하는 키워드를 상기 입력부(509)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4) 상에 표시된 키패드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입력부(509)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예들 들면, fast food)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503) 또는 인터넷망/무선 통신망(510)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그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504)에 출력한다(S22).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4) 상에 표시된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입력부(509)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503) 또는 인터넷망/무선 통신망(510)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그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504)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504)는 상기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23). 상기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설정된 거리(예를 들면, 1 mile 이내에 해당하는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미리설정된 거리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입력부(509)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가 패스트푸드일 때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설정된 거리(예를 들면, 1 mile 이내에 해당하는 패스트푸드점들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패스트푸드점들을 상기 표시부(504)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7)는 현재 위치로부터 각 패스트푸드점까지의 거리를 상기 표시부(504)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관 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는지를 판단하고(S24),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하지 않았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위치를 상기 영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에 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다양한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S25).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4) 상에 표시된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예들 들면, burger king, May wah fast food)(들)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에 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다양한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7)는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를 상기 아이콘 또는 다양한 기호와 함께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상기 영상에 표시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04) 상에 표시된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예를 들면, Bonbon Chicken)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예를 들면, Bonbon Chicken)의 위치 정보, 현재 위치,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절대 방위각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기호를 상기 실시간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S26). 여기서,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정보, 현재 위치, 관심 지점의 위치 자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을 도7 및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입력부(509)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503) 또는 인터넷망/무선 통신망(510)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그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504)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이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없는 거리(예를 들면, 현재 위치로부터 1 mile 이상 떨어진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영상에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창(또는 알림창)을 상기 표시부(504)에 표시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나타낸 도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예를 들면, Central Park)이 카메라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없는 거리(예를 들면, 현재 위치로부터 1 mile 이상 떨어진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영상에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창(14-1)을 상기 표시부(504)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영상에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에서 사용자가 확인키(OK키)를 선택하면,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 크기는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의 사진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영상에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에서 사용자가 확인키(OK키)를 선택하면, 상기 관심 지점의 사진을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관심 지점의 사진뿐만 아니라 관심 지점을 식별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로고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7 및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을 식별하는 아이콘을 나타낸 도이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아이콘 또는 로고를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 및 관심 지점 명칭과 함께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관심 지점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로고뿐만 아니라 상기 관심 지점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콘을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7)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선택하면 그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키워드가 수신될 때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예를 들면, 친구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하는 제5 실시예를 도7 및 도17-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방향 감각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친구가 있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버스를 타기 위해 어느 방향에서 타야 하는지를 모를 때 유용하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507)는 사용자에 의해 친구 찾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부(509)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이동 단말기 전화 번호를 근거로 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콜센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31).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GPS 모듈(401)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 고(S3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상기 표시부(504)에 표시한다(S33).
상기 카메라 모듈(408)은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카메라 방향 정보)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카메라 방향 정보를 상기 제어부(507)에 출력한다(S34).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카메라 방향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고(S35), 그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S36).
도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7)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카메라 방향 정보 및 상기 이동 단말기(예를 들면, 친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예를 들면, 친구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이동 단말기의 방향(친구 방향)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실제 영상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지도 데이터가 없어도 사용자에게 주변 지역(관심 지점)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되었을 때, 차량에서 주변 지역(관심 지점) 정보 탐색 시 위치 정보를 가진 관심 지점 정보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는, 관심 지점 또는 친구와 같은 지인의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알림으로써, 방향 감각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친구가 있는 방향을 확인하거나 버스를 타기 위해 어느 방향에서 타야 하는지를 모를 때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텔래매틱스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적용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관심 지점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된 키패드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된 주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된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표시부 상에 표시된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팝업창을 나타낸 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의 사진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관심 지점을 식별하는 아이콘을 나타낸 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GPS 모듈 402: 지자계 모듈
403: 저장부 404: 표시부
405: 음성 출력부 406: 통신부
407: 제어부 408: 카메라 모듈

Claims (20)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부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검출된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미리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미리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을 근거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하며,
    여기서, 상기 미리설정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해당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영상 내의 관심 지점에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의 범위를 이탈했을 때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상기 영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지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상기 검출된 관심 지점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방향에 위치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관심 지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표시될 수 없는 미리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관심 지점이 상기 미리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면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을 근거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 상기 관심지점의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미리설정된 거리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해당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영상 내의 관심 지점에 상기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영상에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지점의 방향을 음성으로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33834A 2009-04-17 2009-04-17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6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34A KR101561913B1 (ko) 2009-04-17 2009-04-17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12/645,525 US9097554B2 (en) 2009-04-17 2009-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0100003618 EP2241857B1 (en) 2009-04-17 2010-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4003795.3A EP2837912B1 (en) 2009-04-17 2010-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34A KR101561913B1 (ko) 2009-04-17 2009-04-17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11A KR20100115211A (ko) 2010-10-27
KR101561913B1 true KR101561913B1 (ko) 2015-10-20

Family

ID=4233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34A KR101561913B1 (ko) 2009-04-17 2009-04-17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97554B2 (ko)
EP (2) EP2241857B1 (ko)
KR (1) KR101561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5755A1 (ja) * 2004-09-28 2006-04-0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umamoto University 移動体ナビゲート情報表示方法および移動体ナビゲート情報表示装置
US20100030462A1 (en) * 2007-02-15 2010-02-04 Pioneer Corpor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239132B2 (en) * 2008-01-22 2012-08-07 Maran Ma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KR101561913B1 (ko) * 2009-04-17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DE102009037835B4 (de) 2009-08-18 2012-12-06 Metaio Gmbh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virtueller Information in einer realen Umgebung
KR101622196B1 (ko) * 2009-09-07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피오아이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137561A1 (en) * 2009-12-04 2011-06-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geographic coordinates of a point of interest in an image
US9488488B2 (en) 2010-02-12 2016-11-08 Apple Inc. Augmented reality maps
US9170766B2 (en) * 2010-03-01 2015-10-27 Metaio Gmbh Method of displaying virtual information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KR101260576B1 (ko) * 2010-10-13 2013-05-06 주식회사 팬택 A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286866B1 (ko) * 2010-10-13 2013-07-17 주식회사 팬택 Ar 태그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101740435B1 (ko) * 2010-10-18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관련 정보 관리 방법
JP5569365B2 (ja) * 2010-11-30 2014-08-13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案内装置、案内方法、及び案内プログラム
KR101739378B1 (ko) * 2010-12-23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62929B1 (ko) * 2011-01-04 2011-09-07 (주)올라웍스 생성된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콜렉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2107011A2 (de) * 2011-02-10 2012-08-16 Garmin Switzerland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obilen elektrischen geräts
FR2975484B1 (fr) * 2011-05-20 2013-06-07 Sagem Defense Securite Procede de determination a distance d'un azimut absolu d'un point cible
US20130084805A1 (en) * 2011-10-04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Orientation Determination For A Mobile Device
US9171384B2 (en) 2011-11-08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Hands-free augmented real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40257862A1 (en) * 2011-11-29 2014-09-11 Wildfire Defense Systems, Inc. Mobile application for risk management
KR20130063605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리정보와 연계된 촬영 이미지를 이용한 도로 안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50029214A1 (en) * 2012-01-19 2015-01-29 Pioneer Corporatio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5891843B2 (ja) * 2012-02-24 2016-03-23 ソニー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99977B1 (ko) * 2012-07-10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6000780B2 (ja) * 2012-09-21 2016-10-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14094880A1 (en) * 2012-12-21 2014-06-26 Metaio Gmbh Method for representing virtual information in a real environment
US9383218B2 (en) * 2013-01-04 2016-07-05 Mx Technologies, Inc. Augmented reality financial institution branch locator
US9959674B2 (en) 2013-02-26 2018-05-01 Qualcomm Incorporated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JP6442827B2 (ja) * 2014-01-06 2018-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N104596523B (zh) 2014-06-05 2019-05-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街景目的地引导方法和设备
US9883346B2 (en) * 2014-06-19 2018-01-30 Deutsche Telekom Ag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distanced audio by a portable device
US10582105B2 (en) 2014-12-30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Changing camera parameters based on wireless signal information
US9824481B2 (en) * 2014-12-30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Maintaining heatmaps using tagged visual data
JP6271083B2 (ja) * 2015-04-07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メンテナンスサポートシステム
GB201608455D0 (en) 2016-05-13 2016-06-29 Belron Internat Ltd Break analysis system, method and device
JP6609513B2 (ja) * 2016-05-19 2019-11-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視認装置
US10255794B1 (en) 2017-11-28 2019-04-09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0952058B2 (en) 2018-01-02 2021-03-16 Titan Health & Security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0387487B1 (en) 2018-01-25 2019-08-20 Ikorongo Technology, LLC Determining images of interest based on a geographical location
CN108509593A (zh) * 2018-03-30 2018-09-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09032348B (zh) * 2018-06-26 2021-09-14 亮风台(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的智能制造方法与设备
CN111787489B (zh) * 2020-07-17 2023-02-1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实采兴趣点的位置确定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FR3130058A1 (fr) * 2021-12-03 2023-06-09 Orange Procédé de gestion de la représentation de points d’intérê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64B1 (ko) 2005-10-22 2007-02-07 이정웅 지역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지역정보표시방법
US20090040370A1 (en) 2007-08-07 2009-02-12 Palm, Inc. Displaying image data and geographic element data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6462B2 (ja) * 1996-11-18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地図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US6182010B1 (en) * 1999-01-28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al-time visual information on an automobile pervasive computing client
JP2000346634A (ja) * 1999-06-09 2000-12-15 Minolta Co Ltd 3次元入力装置
US7243130B2 (en) * 2000-03-16 2007-07-10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 platform architecture
US6571169B2 (en) * 2001-03-16 2003-05-27 Alpine Electronics, Inc. Destination input method in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system
US7044742B2 (en) * 2001-12-26 2006-05-16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Emergency reporting apparatus
JP3801049B2 (ja) * 2002-01-22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831355B1 (ko) 2002-04-16 2008-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사체를 촬영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및 방위정보의 기록이가능한 영상기록장치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7411493B2 (en) * 2003-03-01 2008-08-12 User-Centric Ip, L.P. User-centric event reporting
JP4754772B2 (ja) * 2003-05-16 2011-08-2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該発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50041457A (ko) 2003-10-31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길안내 방법
JP4851942B2 (ja) * 2003-12-19 2012-01-11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シリアル通信が改善された装置
US7705877B2 (en) * 2004-01-28 2010-04-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of facial features on nonplanar surfaces
US20050177305A1 (en) * 2004-02-06 2005-08-11 Han Maung W.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20060033809A1 (en) * 2004-08-10 2006-02-16 Mr. Jim Robinson Picture transmission and display between wireless and wireline telephone systems
KR100696801B1 (ko) * 2005-03-04 2007-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관심위치 검색방법
US8130269B2 (en) * 2005-03-23 2012-03-06 Aisin Aw Co., Ltd. Visual recognition apparatus, methods, and programs for vehicles
US7728869B2 (en) * 2005-06-14 2010-06-01 Lg Electronics Inc. Matching camera-photographed image with map data in portable terminal and travel route guidance method
US20070033009A1 (en) * 2005-08-05 2007-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voice in portable terminal
US7969497B2 (en) *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ES2276617B1 (es) * 2005-12-01 2008-06-16 Colaboradores En Tecnologia Para La Empresa, S.L. Sistema de control inalambrico de dispositivos mediante un aparato con telefono movil.
US8693995B2 (en) * 2007-12-13 2014-04-08 Michelle Fisher Customized mobile applications for special interest groups
US8484146B2 (en) * 2006-01-18 2013-07-09 Sony Corporation Interaction device implementing a bayesian's estimation
KR100760116B1 (ko) * 2006-02-03 200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지도축척 변경방법
US8571787B2 (en) * 2006-12-06 2013-10-29 Sony Corporation Dynamic routing
CN101578501B (zh) * 2007-01-10 2013-11-13 通腾科技股份有限公司 导航装置及方法
KR101285360B1 (ko) 2007-01-25 201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심 지점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080267504A1 (en) * 2007-04-24 2008-10-30 Nokia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grating code-based and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ies into a mobile visual search
US10210531B2 (en) * 2007-06-18 2019-02-19 Yellowpages.Com Ll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the specification of a complex geographic area
US8504120B2 (en) * 2007-08-31 2013-08-06 Palm,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radio processor i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90156253A1 (en) * 2007-12-18 2009-06-18 Palm,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lly Qualified Domain Name Resolution for Home Network Realm Based o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KR101561913B1 (ko) * 2009-04-17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64B1 (ko) 2005-10-22 2007-02-07 이정웅 지역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지역정보표시방법
US20090040370A1 (en) 2007-08-07 2009-02-12 Palm, Inc. Displaying image data and geographic element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68451A1 (en) 2010-10-21
KR20100115211A (ko) 2010-10-27
US9097554B2 (en) 2015-08-04
EP2241857A1 (en) 2010-10-20
EP2837912A1 (en) 2015-02-18
EP2837912B1 (en) 2016-05-18
EP2241857B1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9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2785B1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2637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15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6139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495166B1 (ko) 차량 항법 방법 및 그 장치
KR101578737B1 (ko) 이동 단말기의 음성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2581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2495B1 (ko)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704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677615B1 (ko) 이동 단말기의 관심 지점 등록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2644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3952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762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3633B1 (ko)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75047B1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3948B1 (ko) 이동 단말기의 poi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2957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7103B1 (ko) 이동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2316B1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746501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2259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7105B1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10158546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