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607B1 -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607B1
KR100350607B1 KR1019990011179A KR19990011179A KR100350607B1 KR 100350607 B1 KR100350607 B1 KR 100350607B1 KR 1019990011179 A KR1019990011179 A KR 1019990011179A KR 19990011179 A KR19990011179 A KR 19990011179A KR 100350607 B1 KR100350607 B1 KR 10035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817A (ko
Inventor
김재민
오정석
박상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783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06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607B1/ko
Priority to JP2000020281A priority patent/JP2000295667A/ja
Priority to US09/540,830 priority patent/US7139014B1/en
Publication of KR2000006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07B1/ko
Priority to US11/003,222 priority patent/US7526323B2/en
Priority to US11/493,754 priority patent/US757746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function and another apparatus or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화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카메라 제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로 캡쳐하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및 전자메일에 첨부되는 화상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폰부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화상이나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외부화상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화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내부 생성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화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상에 한 화면이 구성되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PICTURE DATA, AND OPERAT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와 그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발달은 단순히 음성만을 전달하는 통신단말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통신단말기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시대에 맞추어 화상 송수신 등의 기능과 음성 송수신 기능이 함께 구현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구현된다면 사용자들은 무척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평소에 주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예컨대, 휴대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현해 놓은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있다면, 예컨대, 사용자가 갑자기 어떤 피사체 장면이나 업무상 필요한 화면들을 찍어 간직하고 싶을 때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를 이용하면 원하는 장면 또는 화면들을찍어 내부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촬영한 화상을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면, PC(Personal Computer)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도 원하는 화상을 상기 휴대폰 복합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면 음성통화 기능은 기본적으로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신방법 및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음성통화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카메라 제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로 캡쳐하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부와;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및 전자메일에 첨부되는 화상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폰부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화상이나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외부화상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화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내부 생성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화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상에 한 화면이 구성되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카메라 제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로 캡쳐하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및 전자메일에 첨부되는 화상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폰부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화상이나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외부화상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화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내부 생성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화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상에 한 화면이 구성되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 구성된 일체화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와의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메일에 첨부된 화상데이터에 대해 상대방 통신단말기로의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를 파워온 시킴에 따라 휴대폰 사용모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제어 및 일반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카메라 동작 요구에 의거하여 카메라 사용모드에 따른 제2 전원 공급 제어 및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촬영제어가 있으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 재생제어가 있으면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메모리에 저장된 촬영 화상을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휴대폰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 전자메일 전송요구가 있게 되면 제1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는 과정과, 카메라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폰 사용모드중 촬영되었던 화면이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표시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재생모드에서 사용자의 전자메일 전송요구가 있게 되면 제2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대편 주소 및 메시지를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대편 주소 및 메시지에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첨부하여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보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외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간 화상데이터 및 E-메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 개념 구성도,
도 5는 음성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 휴대폰 및 카메라 사용모드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사용모드중 촬영모드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모드중 재생모드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에서의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에서의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에서 "휴대폰 사용 모드"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음성 및/또는 화상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모드임을 의미하고, "카메라 사용모드"라 함은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관련해 사용되는 모드임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이 가능하게 구현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이하 "MVP"(Mobile Visual Phone)라 칭함)의 블록 구성도로서, 크게 피사체의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카메라부(2)와, 음성통화 또는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폰부(4)와,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8), 및 휴대폰부(4)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8)에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부(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MVP에서, 카메라부(2)는 디지털 스틸 비디오 카메라(digital still video camera)가 기본이 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피사체의 이미지는 렌즈부(10)를 통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12)로 인가된다. 상기 렌즈부(12)는 디지털 스틸 비디오 카메라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줌 렌즈(zoom lens), 포커스 렌즈(focus lens) 및 조리개(iris)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의 렌즈부(12)는 사용자가 MVP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순하게 구현된다. 즉 줌렌즈와, 상기 줌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줌렌즈 구동부와, 조리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리개 구동부 등의 기구 및 회로 구성을 삭제하고, 조리개는 상기 조리개 구동부가 삭제됨으로 인해 일정한 조리개 개폐량을 가진 상태로 고정되게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0)는 포커스 렌즈와 조리개로 단순화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렌즈부(10)를 디지털 스틸 비디오 카메라에 구비되는 통상의 렌즈부와 같이 줌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와 그 구동부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CCD(12)는 렌즈부(10)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촬상영상신호)로 변환출력하며, CDS/AGC(Correlated Double Sampling/Auto Gain Control)(14)는 상기 촬상영상신호를 상관더블 샘플링하고 이득 조절한다. 상기 CDS에서의 상관더블 샘플링 동작은 CCD(12)에 의해서 발생된 촬상영상신호의 노이즈를 제거시켜 준다. 상기 CCD(12) 및 CDS/AGC(14)는 통상적 CMOS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 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CDS/AGC(14)에서 상관더블 샘플링되고 이득 조절된 신호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6)로 인가된다. ADC(16)는 CDS/AGC(14)에서 이득조절된 1필드분의 촬상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or)(18)로 출력한다. DSP(18)는 디지털변환된 1필드분의 촬영화상신호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방식의 화상신호(Y,C)로 처리하며,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상기 화상신호(Y,C)를 JPEG(Joint Picture Expert Group)압축부(20)로 보내거나 칼라 그래픽 LCD(이하 "칼라 LCD"라 약칭함)(48)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표시장치(8)쪽으로 보낸다. 상기 화상신호(Y,C)에서 Y는 휘도신호를 의미하고, C는 색신호를 의미한다.
DSP(24)가 화상신호(Y,C)를 JPEG압축부(20)를 통해 제1메모리(22)에 저장시키거나 또는 표시장치(8)로 보내는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의 셔터키를 누르게 되면 그 때의 피사체(정지화상)는 촬영된다. 이때 DSP(18)에서 출력되는 촬영 화상신호(Y,C)는 JEPG압축부(20)를 거쳐 제1메모리(22)에 저장된다. 한편 카메라 사용모드중 상기 셔터키가 인가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DSP(18)에서 출력된 화상신호(Y,C)는 카메라제어부(24)를 통해 제3메모리(26)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카메라제어부(24), DSP(18), 선택부(44), 표시장치(8)의 LCD구동부(46)의 경로를 거쳐서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칼라 LCD(48)를 통해 카메라 렌즈로 들어오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JPEG압축부(20)는 카메라제어부(24)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셔터키를 누름에 따라 DSP(18)에서 제공되는 촬영 화상신호(Y,C)를 JPEG포맷으로 변환하고 소정 비율로 압축하여 제1메모리(22)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카메라제어부(24)에 제어에 의거하여 제1메모리(22)에 저장된 압축 화상을 압축해제하여 DSP(18)로 제공한다. 상기 JPEG압축부(20)는 화상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예컨대, 640x480 크기의 VGA(Video Graphics Array)급 신호를 약 1/8 정도의 크기로 압축시킨다. 640x480 크기의 이미지는 약 300KB(Killo Byte) 정도가 되는데, 이 화상을 JPEG압축부(20)에서 1/8로 압축을 하게되면 대략 40KB 정도의 크기가 된다. 제1메모리(22)는 JPEG압축부(20)에서 출력된 압축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된다. 제1메모리(22)는 메모리 용량에 따라서 촬영된 화상의 양이 조절되는데, 수십장(예컨대, 50장 정도)의 촬영 화상이 저장될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제어부(2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되며, 카메라부(2)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폰부(4)에 구비된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휴대폰부(4)의 키입력부(34)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키에 대응된 신호가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에 의거하여 전달되면 그에 따른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카메라제어부(24)에 연결된 제2메모리(26)는 카메라제어부(24)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통상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된다. 카메라 제어부(24)에 연결된 제3메모리(28)는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들어오는 화상을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버퍼로서, 통상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된다.
다음으로, 도 1의 MVP 구성중 휴대폰부(4)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휴대폰 제어부(32)는 휴대폰부(4)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휴대폰부(4) 또는 카메라부(2)를 동작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카메라부(2)로부터 받아 제4 메모리(36)에 저장시키는 동작제어, 및 인터페이스부(6)의 OSD(40)를 제어하여 표시장치(8)의 칼라 LCD(48)상에 원하는 문자 또는 배경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32)는 일예로, 미합중국 "QUALCOMM사"에서 생산되는 MSM(Mobile station MODEM(MOdulator and DEModulator))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MSM칩의 일예로는 MSM2000, MSM2300, MSM3000, MSM3100 등이 있다.
키입력부(34)는 통상의 휴대폰에 구비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들 및, 카메라촬영 및 재생에 필요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는 휴대폰 제어부(32)에 인가된다. 카메라 촬영 및 재생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키들로는,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관련된 키, 카메라 환경 선택을 위한 모드키, 사진을 찍기 위한 셔터키, 모드키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엔터키와, 카메라 파워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키들중의 일부도 카메라 사용모드시 사용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의 외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a)는 정면도이고 (b)는 좌측면도이며 (c)는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키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정면도 및 좌측면도를 참조하면, MVP 전면에 구비된 300은 표시창으로서 칼라 LCD로 구현된다. 상기 표시창(300)은 카메라 사용모드시 뷰파인더(view finder)로 사용된다. 308은 통상의 휴대폰에 구비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들의 배열이다. 숫자키 및 기능키 위에 구비된 키들(302,304,306)은 카메라 촬영 및 재생을 위해 구비된 키로서, 302는 카메라 환경 선택을 위한 모드키이다. 모드키(302)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로는, 삭제 기능모드(일부,전부), 날짜 기능모드, 디스플레이 기능모드(fine, normal), 및 감도(sensitivity) 기능모드 등이 있다. 상기 감도기능모드에서는 정지화상의 감도를 디지털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304는 사진을 찍기 위한 셔터키, 306은 모드키(302)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엔터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의 플립(도 3의 (a)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휴대폰에 구비된 숫자키 및 기능키(308)가 있는 영역만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드키(302), 셔터키(304), 엔터키(306)는 MVP의 플립이 덮혀져 있을 경우에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의 플립을 열지 않고도 키들(302,304,306)을 이용해 촬영 및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MVP의 좌측면에 구비된 316은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관련된 키(이하 "카메라 촬영/재생키"라 칭함)이고, 318은 카메라 파워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이하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라 칭함)이다. 314는 카메라 촬영/재생키(316)의 윗부분에 구비된 RS232C잭으로서 사용자가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정지화상을 다운로드 받거나 MVP의 정지화상을 PC로 업로드하기 위한 위한 잭이다. 312는 휴대폰의 볼륨 업/다운 키이다. 카메라 사용모드중 재생모드(여기서, 재생모드는 촬영후 저장된 정지화상들중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정지화상을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의미함)에서, 사용자가 상기 볼륨 업/다운 키(312)를 업 또는 다운으로 누르게 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정지 화상의 앞장 또는 뒷장으로 넘겨져 그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의 (b) 및 (c)에 도시된 310은 카메라 렌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 렌즈(310)가 MVP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렌즈(310)의 하부에는 배터리(320)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MVP는 플립타입(flip type)으로 구현하였지만 폴더타입(folder type)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로 변형 내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휴대폰제어부(32)에 연결된 제4메모리(36)는 EEPROM(Elect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쉬ROM(flash ROM),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이다. EEPROM에는 각종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변수들이 저장되며, 상기 RAM에는 휴대폰 제어시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쉬 ROM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프로토콜, 무선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토콜 등이 맵핑되어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는 부가기능, 데이터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다. 부가기능으로는 예컨대, 음성 다이얼링(voice dialing), 문자인식, PIM(Personal Information Menagement), 게임 등이 있으며, 데이터기능에는 예컨대, 브라우져, E-메일기능, 팩시밀리기능 등이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이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에는 MVP에서 PPP(Point to Point Protocol)서버까지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인터넷망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이 있다.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의 일예로는 TCP/IP/PP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 Point to Point Protocol)가 있다. 상기 무선링크 프로토콜로는 IS-657에서 규정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과, RLP(Radio Link Protocol) 즉, 일반데이터를 CDMA 프로토콜에 맞게 변형 및 복원을 위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CDMA 프로토콜로는 IS-95A에서 규정하는 800MHz대 CDMA프로토콜과, J-STD-008에서 규정하는 1.8GHz대CDMA(또는 GSM) 프로토콜, 및 IS-95B에서 규정하는 데이터 속도 64Kbps∼114Kbps정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쉬 ROM에는 상기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 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나 화상을 무선 전송시 그 데이터나 화상의 일부를 저장하는 영역도 확보되어 있다. 통상 한 장의 화상을 모두 저장하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버퍼가 필요하지만, 제4메모리(36)의 플래쉬 ROM에는 작은 용량의 버퍼(예컨대, 600바이트 용량의 버퍼) 영역을 할당한다. 그래서 카메라 제어부(24)에서 제공하는 화상 데이터를 512바이트씩 나누어 받아 저장하고 전송한다.
오디오부(33)는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마이크로폰(micro phone) 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RF부(30)로 송출하고 RF부(30)로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 SP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 RF(Radio Frequency)부(30)는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안테나로 수신된 RF신호를 다운 컨버팅 및 복조하여 오디오부(33)로 출력하며, 오디오부(32)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변조 및 업컨버팅하여 RF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한다. 상기 RF부(30)로 송수신되는 신호는 음성신호 뿐만 아니라 화상 및 문자와 같은 데이터도 포함된다.
휴대폰 제어부(32)에 연결된 RS232C인터페이스부(38)는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정지화상을 다운로드하거나 PC로 정지화상을 업로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도 1의 구성에서, 인터페이스부(6)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상기 인터페이스부(6)는 OSD(40)와 엔코더(42) 및 선택부(44)로 구성된다.
OSD(On Screen Display; 40)는 표시장치(8)의 칼라 LCD 화면에 문자를 또는 PC에서 다운로드된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OSD 제어를 수행한다. OSD(40)에서 출력되는 화상신호 R,G,B는 예컨대, 8비트 디지털신호로서 내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41)를 통해 아날로그 R,G,B신호로 변환되어 엔코더(42)로 인가된다. 엔코더(42)는 인가되는 아날로그 R,G,B신호를 NTSC방식 또는 PAL방식에 맞는 Y,C신호로 변환하여 선택부(44)로 출력한다. 선택부(44)는 아날로그 멀티플랙서로 구현되며, 카메라부(2)의 DSP(18)에서 출력된 외부 화상신호 Y,C 및 엔코더(42)에서 출력된 OSD 화상신호 Y,C를 택일하여 표시장치(8)로 출력한다. 표시장치(8)는 LCD구동부(46) 및 칼라 LCD(48)로 구성되며, 칼라 LCD(48)에 문자 및 화상을 칼라로 표시한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에 대한 상세 구성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보드 즉, 휴대폰 보드(100)와 카메라 보드(200)에 나누어져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보드(100)와 카메라보드(200)는 일예의 구성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2의 휴대폰 보드(100)에는 도 1의 휴대폰부(4)에 있는 RF부(30), 오디오부(33), 키입력부(34), 제4메모리(36) 등의 구성에 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고, 도 2의 카메라보드(200)에도 도 1의 카메라부(2)에 있는 CCD(12), CDS/AGC(14), ADC(16), JPEG압축부(20), 제1,제2,제3 메모리(22,26,28) 등의 구성에 관한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각 보드에는 해당 부품 또는 회로블록이 각각 구비되어 있슴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배터리 전원 BATT(+)은 3.6V, 동작전원 범위 4.3∼2.8V로 설정하고 있슴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배터리 전원 3.6V와는 다른 전원 3.3V 등은 배터리전원 BATT(+)가 레귤레이터를 통해서 공급되는 것이고, 수 십 볼트의 전원들은 DC/DC컨버터를 통해서 공급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보드(100)와 카메라 보드(200)에는 각각 별도의 DC/DC컨버터(미도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두 개의 보드(100,200)가 함께 동작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보드만으로도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보드(100,200)간의 원활한 동작과 동작 명령, 화상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 보드(100,200)간에는 다수의 라인들로 구성된 연결부(150)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휴대폰 보드(100)와 카메라보드(200)에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 보드(100)의 전원부에서 카메라보드(200)의 전원부로 동일한 배터리 전원라인 Batt(+)를 연결한다. 또한 동작의 안정을 위해서 동일한 접지선 GND도 연결한다. 또한 두 보드(100,200) 간의 명령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휴대폰 보드(100)의 휴대폰 제어부(32)와 카메라보드(200)의 카메라 제어부(24) 사이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포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라인 SD,RD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라인 SD,RD를 이용해 휴대폰 제어부(32)는 카메라부(2)의 모든 동작(촬영 및 재생 등등)을 지시하고 정확히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화상 전송시 필요한 화상데이터 등을 주고 받는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라인 SD,RD를 이용함으로써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 하에 있는 키입력부(도 1의 34)를 통해 입력된 카메라 동작관련 키데이터들은 카메라제어부(24)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의 카메라보드(200)에는 카메라 파워를 온오프하기 위한 카메라파워 온오프 스위치(318)와, PC에서 다운로드되거나 PC로 업로드하기 위한 RS-232C잭(314)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318)는 한쪽은 접지되고 다른 한쪽은 휴대폰 제어부(24)의 GPIO(CP_CHECK)포트에 연결된 CP_CHECK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_CHECK라인 상에는 저항에 통해 예컨대, 3.3V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 제어부(24)의 GPIO(CAM_CTRL)포트와 카메라 보드의 카메라 제어부(24) 사이에는 CAM_PWR_CTRL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318)를 누르는 것을 CP_CHECK라인을 통해 휴대폰 제어부(32)가 인식을 하고, 상기 휴대폰 제어부(32)가 CAM_PWR_CTRL라인을 통해서 카메라제어부(24)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2)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카메라부(2)의 전원이 오프될 시 카메라부(2)에는 카메라제어부(24)가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 즉, 수 mA 정도의 누설전류만이 인가된다. 사용자가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318)를 이용해서 카메라부(2)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카메라제어부(24)는 상기 누설전류를 이용해서 현재 동작 수행중에 있는 카메라부(2)의 각종 동작들을 안전하게 종료시킨다. 카메라부(2)의 각 회로 및 기구 블록의 기동은 휴대폰 제어부(32)의 명령을 받은 카메라제어부(24)의 명령에 의해서 수행된다.
한편 도 2의 카메라보드(200)에는 LCD구동부(46) 및 칼라 LCD(4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LCD전원공급부(202)가 구비되어 있고, 휴대폰 보드(100)에는 LCD 백라이트(20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전원공급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칼라 LCD(48)는 동작시 전류 소모가 많으므로 이러한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휴대폰제어부(32)에서는 LCD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휴대폰제어부(32)의 GPIO(LCD_CTRL)포트는 제1,제2 트랜지스터 114와 116의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114)는 컬렉터가 3.3V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114)의 컬렉터단과 선택부(44) 간에는 상기 선택부(44)에 3.3V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MUX_PWR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116)는 컬렉터가 배터리전원 BATT(+)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116)의 컬렉터와 LCD전원공급부(202)간 및 직류전원공급부(206)간에는 LCD_CTRL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폰 제어부(32)는 상기 GPIO(LCD_CTRL)포트를 이용하여 LCD전원공급부(202) 및 직류전원공급부(206)도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보드(200)에 구비된 직류전원공급부(206)와 휴대폰 보드(100)의 엔코더(42) 간에는 ENC_PWR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ENC_PWR라인을 통하여 직류전원공급부(206)의 직류전원이 엔코더(42)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 구성에서는 LCD구동부(46), LCD전원공급부(202), 선택부(44), 및 직류전원공급부(206)를 일예로 카메라보드(200)에 구성되도록 하였지만, 실제 설계시 필요에 따라 휴대폰보드(100)와 카메라 보드(200)중 어느 하나의 보드에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6)내의 OSD(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MPU(Main Processing Unit)(104), OSD신호처리부(106), 프로그램 롬(108), 및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110)로 이루어진 4개의 블록(각 블록은 칩으로 구현 가능함)으로 구성된다.
MPU(104)는 OSD(4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OSD신호처리부(106)는 DSP(18)에서 출력되는 외부 색동기신호 C_Sync(휘도신호 Y에 포함됨)에 동기되어서 칼라 LCD(48)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정지화상의 특정 영역에 원하는 글자를 디스플레이시켜주거나, 내부에서 생성한 내부 색동기신호 C_Sync에 동기되어서 상기 칼라 LCD(48)상에 문자만을 디스플레이시켜 주거나 PC로부터 다운 로드받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준다. 프로그램 롬(108)는 MPU(104)의 동작 프로그램, 폰트(font)들 및 아이콘들이 맵핑되어 있으며, 플래쉬 메모리(110)는 PC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수 장의 화상(예컨대, 두 장 내지 여덟 장 분량의 정지화상)을 저장한다.
상기 OSD(40)에 포함된 OSD신호처리부(106)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기존의 휴대폰에서 흑백 문자형 LCD에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용된 칼라 LCD(48)에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OSD신호처리부(106)는 기존의 휴대폰제어부(32)의 일예로 사용된 MSM칩에 사용된 데이터 DATA(0-7), 어드레스 AO, 기록신호 WR,칩선택신호(Chip Select signal) CS, 리셋신호 RESET 등의 신호를 그대로 받아 들여 원하는 문자 및 화상을 칼라 LCD상에 표현할 수 있도록 변환시켜준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MSM칩에서 사용하는 예컨대, 27MHz클럭과 동일한 클럭을 이용하기 위해 OSD(40)의 OSD신호처리부(106)는 휴대폰 제어부(32)에서 제공하는 클럭 CLK(27MHz)를 인가받는다. 휴대폰 제어부(32)는 내부 GPIO(OSD_CTRL)포트를 통해 OSD(40)에 공급되는 3.3V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즉 휴대폰 제어부(32)인 MSM칩의 GPIO(OSD_CTRL)포트는 제3트랜지스터(118)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미터는 접지되고, 컬렉터는 PWR 3.3V라인을 통해 OSD(40)의 OSD신호처리부(10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8)의 컬렉터에는 전원 3.3V가 인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휴대폰 제어부(32)는 상기 GPIO(OSD_CTRL)포트를 이용해서 OSD(40)에 공급되는 3.3V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SD신호처리부(106)에는 카메라보드(200)에 있는 RS232C잭(314)에 연결된 OSD_SD라인이 접속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카메라 보드(200)의 RS232C잭(314)을 이용하여 PC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정지화상을 다운로드받아 MVP의 칼라 LCD(48)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OSD신호처리부(106)의 동작들은 OSD(40)의 MPU(104)의 제어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OSD신호처리부(106)로부터는 R,G,B신호와 색 동기신호 C_Sync가 출력된다. R,G,B신호는 256칼라를 표현할 수 있는 8비트 디지털 신호(R: 3비트, G: 3비트, B: 2비트)이다.
MVP의 카메라에서 촬영 및 재생중인 화상에 원하는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선동기를 맞추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DSP(18)에 연결된 C_Sync라인이 OSD신호처리부(106)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DSP(18)로부터 출력되는 외부 색동기신호 C_Sync가 현재 촬영 및 재생중인 화상데이터에 대한 색동기신호로서 OSD신호처리부(106)에 인가된다. OSD신호처리부(106)는 상기 외부 색동기신호 C_Sync에 동기되어 칼라LCD(48)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특정 문자가 표시되게 제어한다.
상기 OSD신호처리부(106)에는 내부 동기신호발생부(미도시됨)가 포함되어 있다. 카메라 사용모드가 아닌 휴대폰 사용모드인 경우에는 카메라부(2)의 DSP(18)에서 출력되는 외부 동기신호 C_Sync가 없으므로, 상기 내부 동기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내부 동기신호 C_Sync를 이용해서 칼라 LCD(48)에 배경화면 또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OSD신호처리부(106)에서 출력되는 RGB신호는 R,G,B 8비트 디지털 신호로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도 1의 41)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며, OSD신호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색동기신호 C_Sync와 함께 엔코더(42)에 인가된다. 엔코더(42)에서는 아날로그로 변환된 R,G,B신호와 색동기신호 C_Sync를 입력으로 클럭발생부(112)에서 발생된 3.5794MHz의 클럭에 응답하여 OSD용 화상신호 Y,C로 변환하여 선택부(44)로 출력한다.
선택부(44)는 MUX_PWR라인을 통해 전원 3.3V를 공급받는데, 상기 MUX_PWR라인은 전원 3.3V가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114)의 컬렉터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114)의 에미터단은 접지되어 있고, 베이스단은 휴대폰 제어부(32)의GPIO(LCD_CRTL)포트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GPIO(LCD_CRTL)포트를 통한 휴대폰 제어부(32)의 전원 제어에 의거하여 선택부(44)에는 상기 3.3V 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카메라부(2)의 DSP(18)에서 출력된 화상신호 Y,C 및 엔코더(42)에서 출력된 화상신호 Y,C를 택일하여 표시장치(8)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부(44)에서의 입력 선택 제어는 OSD(40)의 OSD신호처리부(106)에 의해서 수행되는데, 이를 위해 OSD신호처리부(106)와 선택부(44) 사이에는 MUX_CTRL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OSD신호 처리부(106)는 상기 MUX_CTRL라인을 통해 문자 또는 배경화면이 출력이 필요한 타이밍에서 선택부(44)가 엔코더(42)에서 출력되는 OSD용 화상신호 Y,C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이고, 도 7은 MVP의 카메라 사용모드중 촬영모드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 8은 MVP의 카메라 사용모드중 재생모드에서의 제어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에서의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전송을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에서의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의 파워를 온 시키면 휴대폰 제어부(32)는 도 6의 60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602단계의 휴대폰 사용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602단계와 같은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휴대폰 제어부(32)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휴대폰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즉, 도 1의 휴대폰부(4) 및 인터페이스부(6)의 선택부(44), 표시장치(8)에 전원을 공급해 준다. 그후 606단계와 같이 일반 휴대폰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 사용모드에서는 카메라 제어부(24)외의 카메라부(2)의 각 회로 및 기구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GPIO(LCD_CRTL)포트를 이용해서 LCD전원공급부(202), 직류전원공급부(206), 백라이트 전원공급부(102), 선택부(44)에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그에 따라 선택부(44)에 전원이 인가되고, LCD전원공급부(202)에 의해서 LCD구동부(46) 및 칼라 LCD(48)에도 전원이 공급되며, 직류전원공급부(206)에 의해서 엔코더(42)에도 전원이 공급되고, 백라이트 전원공급부(102)에 의해서 백라이트(204)에도 전원이 공급 된다. 또한 카메라부(2)의 카메라제어부(24)에도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미도시됨).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에서 E-메일 전송 요구를 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608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610단계의 E-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한다.
한편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의 카메라 기능을 작동시키고자할 때에는 MVP의 좌측면에 구비된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318)를 "온" 시킨다. 휴대폰 제어부(32)는 도 6의 612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614단계의 카메라 사용모드로 진행한다. 카메라 사용모드가 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616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하여 카메라부(2)에도 전원이 공급되게 한 후 618단계로 진행한다. 618단계에서 휴대폰 제어부(32)는 OSD(40)를 제어하여 칼라 LCD(48)상에 카메라 사용모드임을 알리는 메시지(문자 또는 그래픽)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의 좌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촬영/재생키(316)를 누르면 휴대폰 제어부(32)는 이를 도 6의 620단계에서 인식하고, 624단계의 촬영모드로 진행한다. 만약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가 MVP의 좌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촬영/재생키(316)를 재차 누르면 휴대폰 제어부(32)는 이를 도 6의 622단계에서 인식하고, 626단계의 재생모드로 진행한다. 사용자가 상기 촬영/재생키(316)를 누를 때마다 촬영모드와 재생모드는 토글(toggle) 된다.
촬영모드일 때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624단계와 같은 촬영모드가 되면, 카메라제어부(24)는 700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피사체를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 되게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피사체는 렌즈부(10), CCD(12), CDS/AGC(14), ADC(16), DSP(18), 카메라제어부(24)를 거쳐서 DRAM인 제3메모리(28)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그후 카메라제어부(24), DSP(18), 선택부(44), LCD구동부(46)를 거쳐서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피사체를 칼라 LCD(48)(뷰파인더 역할)을 통해 확인을 하고, 사진을 찍기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VP 전면에 위치한 셔터키(306)를 누르게 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이를 702단계에서 인식을 하고 704단계로 진행하여 그때의 피사체를 촬영되게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한다. 그후 706단계에서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하여 촬영된 화상데이터를 카메라부(2)의 제1 메모리(22)에 저장시키며, 제1메모리(22)에 상기 촬영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촬영 대기 메시지를 칼라 LCD(48)상에 표시되도록OSD(40)를 제어한다. 상기 촬영 대기 메시지의 일예로는 "WAIT"라는 텍스트 문자가 될 수 있다.
그후 현재의 촬영모드에서 촬영/재생키(316)가 입력되는지를 도 7의 708단계에서 판단하고, 만약 상기 촬영/재생키(316)가 입력되 않으면 전기한 700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촬영/재생키(316)가 입력되면 626단계의 재생모드로 토글된다.
한편 촬영모드중 도 7의 702단계에서 셔터키(304)가 입력되지 않으면 휴대폰 제어부(32)는 710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온오프스위치(318)가 오프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카메라 온오프스위치(318)가 오프되면 712단계에서 카메라부(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카메라제어부(24)를 제어하고, 그후 602단계의 휴대폰 사용모드로 돌아간다. 그렇지만 도 7의 710단계의 판단에서,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318)가 온 상태이며 714단계로 진행하여 MVP 파워 오프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MVP파워 오프이면 과정을 종료한다. 하지만 MVP 파워 오프도 아니면 도 7의 700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도 6의 614단계에서 수행되는 재생모드에서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재생모드는 사용자가 촬영해 놓은 화상들을 칼라 LCD(48)를 통해 다시 보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재생모드는 카메라 사용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재생모드가 선택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도 8의 800단계로 진행한다. 도 8의 800단계에서는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하여 마지막 촬영된정지화면을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즉 카메라 제어부(24)는 휴대폰 제어부(32)의 제어하에 플래쉬 메모리인 제1메모리(22)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정지화상을 읽어 내어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MVP의 볼륨업다운키(312)를 업 또는 다운되게 누르면 휴대폰 제어부(32)는 볼륨 업 또는 다운 입력에 따른 촬영된 정지화상의 화면을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되게 카메라 제어부(24)를 제어한다. 예컨대, 볼륨 업에 대응된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정지화상 이후에 저장된 정지화상이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고, 볼륨 다운에 대응된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정지화상 이전에 저장된 정지화상이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한다.
그후 806단계에서 촬영/재생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촬영/재생키(316)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기한 802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촬영/재생키(316)가 입력되면 624단계의 촬영모드로 토글된다.
한편 도 8의 802단계에서 볼륨 업 다운키(312)가 입력되지 않으면 휴대폰 제어부(32)는 808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온오프스위치(318)가 오프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카메라 온오프스위치(318)가 오프되면 809단계에서 카메라부(2)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카메라제어부(24)를 제어하고, 그후 602단계의 휴대폰 사용모드로 돌아간다. 그렇지만 도 8의 808단계의 판단에서, 카메라 온오프 스위치(318)가 온 상태이며 도 8의 8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의 E-메일전송 요구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E-메일전송요구가 있으면 610단계로 진행하여 E-메일 전송모드로 들어간다. 재생모드에서 E-메일 전송모드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가 E-메일 메시지 전송시 정지화상도 첨부하여 전송하고자 함이다.
상기 810단계에서 E-메일 전송모드도 아니면, 휴대폰 제어부(32)는 814단계로 진행하여 MVP 파워 오프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MVP파워 오프이면 과정을 종료한다. 하지만 MVP 파워 오프도 아니면 도 8의 802단계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메일 전송모드에서는 E-메일 또는 화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E-메일 또는 화상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메일 또는 화상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망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간 화상데이터 또는 E-메일 전송을 위한 시스템 개념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MVP간 화상데이터 또는 E-메일을 전송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MVP(400)에서 전송된 E-메일 또는 화상 데이터는 PPP(Point to Point)서비스 제공자(402) 및 인터넷망(404)을 통해서 E-메일서버(406)로 전달된다. 상기 E-메일서버(406)에 전달된 E-메일 또는 화상데이터는 인터넷 망(408), PPP서비스 제공자(410)를 통해 다른 MVP(412)로 전달된다. 상기 E-메일서버(406)에는, 전송된 E-메일 및 화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SMTP(Sending Mail Transfer Protocol) 서버와, E-메일 서버(406)에 있는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POP(Post Office Protocol) 서버가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MVP를 사용하여 음성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구성도로서, MVP(500, 600), MVP(500, 60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기지국(502, 602), PPP서버(504, 604), 상기 PPP서버(504, 604)에 연결된 인터넷 망(514, 614), 상기 인터넷망(514, 614)에 연결된 E-메일서버(516), PC(508, 608), 상기 PC(508, 608)와 PPP서버(504, 604)간에 연결된 MODEM(MOdulator and DEModulator)(510, 610), 상기 PC(508, 608)와 인터넷망(514, 614)간에 연결된 LAN(Local Area Network)(512, 6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지국(502, 602)는 이동통신망(506,606)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E-메일서버(516)에는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수신을 위한 SMTP 서버(518, 618)와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POP서버(520, 620)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는 휴대폰부(4)의 제4메모리(36)에 E-메일 기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컴퓨터 연결없이도 상기 E-메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메일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예컨대, 데이터 패킷통신 규격인 IS-657을 응용하여 사용하였으며, 정지 화상압축의 국제표준인 JPEG(Joint Picture Expert Group) 압축방법을 이용하여 화상을 E-메일 내용에 첨가하여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도 1 내지 도 5, 도 9를 참조하여 화상데이터 및 E-메일 서버를 타측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MVP 사용자는 휴대폰 사용모드 또는 카메라 사용모드의 재생모드에서 E-메일 전송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MVP 사용자에 의해서 E-메일 전송모드가 선택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도 9의 900단계로 진행한다. 도 9의 900단계에서는 OSD(40)를 제어하여 칼라 LCD(48)에 상대편 주소 입력 요구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MVP의 키입력부(34)를 이용하여 상대편 주소를 입력하면 이를 도 9의 902단계에서 인식하고 904단계로 진행한다. 휴대폰 제어부(32)는 상기 904단계에서 칼라 LCD(48)를 통해 메시지(제목 및 내용) 입력을 요구한다. 사용자가 메시지(제목 및 내용)를 입력하면 이를 906단계에서 인식하고 그후 907단계로 진행한다. 907단계에서 휴대폰 제어부(32)는 화상 첨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칼라 LCD(48)로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사용자가 E-메일 전송모드 상태에서 화상을 첨부하려면 화상 첨부에 대응된 키를 누를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통화키를 바로 누르면 E-메일 전송모드 상태에서는 화상 첨부를 하지 않은 것이다. 휴대폰 제어부(32)는 908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통화키가 입력되었으면 914단계로 진행한다. 하지만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9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화상첨부 요구 즉, 화상 첨부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910단계에서 화상 첨부 요구가 있으면 휴대폰 제어부(32)는 912단계로 진행하여 E-메일에 화상을 첨부시키기 위한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E-메일에 화상을 첨부시키기 위한 동작은 도 8의 626단계, 800단계, 802단계 및 804단계에 해당된다. 상기 912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도 9의 908단계로 되돌아 간다.
한편 도 9의 908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E-메일에 첨부할 정지화상이 있는가를 판단한다. 카메라 사용모드의 재생모드에서 E-메일 전송모드를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E-메일 전송에 첨부할 화상데이터가 있슴을 의미하고,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E-메일 전송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912단계와 같은 화상첨부 동작을 수행하면 E-메일 전송에 첨부할 화상데이터가 있슴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E-메일 전송모드만 선택된 경우에는 E-메일에 첨부할 화상데이터가 없슴을 의미한다.
상기 914단계에서의 판단에서, E-메일 전송에 첨부할 정지화상이 있으면 휴대폰 제어부(32)는 916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메시지(제목 및 내용)와 첨부 정지화상을 E-메일서버(516)로 패킷 전송함과 동시에 칼라 LCD(48)에 E-메일 전송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914단계에서의 판단에서, E-메일 전송에 첨부할 정지화상이 없으면 휴대폰 제어부(32)는 918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메시지(제목 및 내용)를 E-메일서버(516)로 패킷 전송함과 동시에 칼라 LCD(48)에 E-메일 전송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그후 휴대폰제어부(32)는 920단계와 같이 전송이 완료되면 922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그후 924단계로 진행한다. 924단계에서는 카메라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602단계의 휴대폰 사용모드가 된다.
도 9의 916단계에서 수행되는 동작 즉, E-메일에 정지화상을 첨부하여 E-메일 서버(516)로 패킷 전송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MVP내 카메라부(2)와 휴대폰부(4) 간의 정지화상 데이터 전송은 통상의 디지털 스틸 비디오 카메라의 데이터 블록 사이즈인 예컨대, 512바이트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MVP에서 E-메일서버(516)로의 데이터 전송은 패킷단위로 이루어진다. 패킷의 크기는, 데이터 블록이 536바이트로 되어 있고, 헤더부분이 8바이트, TCP(TransmissionControl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 부분이 각각 20바이트씩으로 구성되어 전체 584바이트가 된다.
전송시 휴대폰 제어부(32)는 카메라부(2)의 제1메모리(22)에 저장된 정지화상들중에 전송할 정지화상데이터(40KB(Killo Byte)정도의 크기)를 512 바이트씩 읽어와 휴대폰부(4)의 제4메모리(36)에 임시 저장한다. 그리고 읽어온 512바이트 단위 화상데이터를 E-메일의 메시지(제목 및 내용)에 첨부하여 536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블록에 실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데이터는 패킷 전송된다.
전송할 정지화상(약 40KB정도)과 E-메일의 내용을 포함하여 약 60KB 정도의 사이즈가 된다고 볼 때, MVP에서는 패킷의 데이터 및 헤더부분을 포함해 약 70킬로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70KB * 8 / 9600bps로 대략 60초 정도가 된다. 여기서 9600bps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속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 MVP(500)에서는 원하는 E-메일서버(516)에 접속하기 위하여 기지국(502) 및 PPP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를 통하여 PPP서버(504)에 접속하고,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E-메일서버(516)에 접속한다. MVP(50)에서는 E-메일 서버(516)의 메일 수신부분인 SMTP서버(518)나 메일송신 부분인 POP서버(520)를 이용해 E-메일서버(516)에 화상데이터가 첨부된 E-메일을 올리거나 E-서버(516)로부터 E-메일(또는 화상데이터 첨부된 E-메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5와 같이 E-메일서버(516)에 E-메일이 수신되면 E-메일 서버(516)는 상대편 단말기 예컨대, PC(608) 또는 MVP(600)에 E-메일이 왔슴을 알리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대편 MVP에서 E-메일 및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VP에서의 E-메일 및 화상데이터 수신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E-메일이 수신되면 MVP의 휴대폰 제어부(32)는 도 10의 100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02단계에서 E-메일이 수신됨을 칼라 LCD(48)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서버 전화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E-메일 메시지를 확인하게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부(34)내 구비된 통화키를 입력시키면 휴대폰 제어부(32)는 1006단계로 진행하여 E-메일 서버와 통화를 형성시킨다. 그후 1008단계에서 E-메일의 제목을 다운로드 받아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사용자가 E-메일 메시지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게 위해 소정 키를 이용해 선택제어를 하게 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101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12단계로 진행한다. 1012단계에서는 메시지 내용, 화상 첨부 여부, 첨부 화상 파일 크기를 다운 로드받고, 그를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
그후 사용자가 첨부 화상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구하면 휴대폰 제어부(32)는 1014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16단계로 진행하여 첨부화상을 다운로드 받는다. 그후 1018단계에서는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면 1020단계에서 다운로드 완료되었슴을 칼라 LCD(48)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그렇지만 상기 1018단계에서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으면 1022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종료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첨부화상을 다운 로드 받다가 시간이 너무 걸린다는 등의 이유로 다운로드를 중단하고 싶을 때 사용자는 통화종료키를 누르면 된다. 휴대폰 제어부(32)에서는 1022단계에서 통화 종료키가 인가되었는가를 판단하고 통화 종료키가 인가되면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용 통신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여 촬영 재생 및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음성통신도 가능하다.

Claims (20)

  1. 음성통화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카메라 제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로 캡쳐하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및 전자메일에 첨부되는 화상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폰부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화상이나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외부화상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화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내부 생성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화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상에 한 화면이 구성되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통상의 휴대폰에 구비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들 및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필요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부로 인가하는 키입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필요한 각종 키들은,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관련된 키와,
    카메라 환경 선택을 위한 모드키와,
    사진을 찍기 위한 셔터키와,
    상기 모드키에 의해 선택된 카메라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엔터키와,
    카메라 파워 온오프를 위한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키, 셔터키, 엔터키는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키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는, 삭제 기능모드, 날짜 기능모드, 디스플레이 기능모드, 및 감도 기능모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촬영 및 재생에 관련된 키와, 상기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키, 셔터키, 엔터키는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의 플립이 덮혀져 있을 경우에도 노출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파워 온오프 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른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제어부에는 동작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나머지 회로 및 기구부에는 동작전원이 차단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부는,
    동작 프로그램과,
    부가기능, 데이터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 서버까지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및 인터넷망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무선링크 설정을 위한 무선링크 프로토콜과,
    통신 방식 프로토콜을 맵핑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부가기능은, 음성 다이얼링, 문자인식, 개인정보관리, 게임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기능은, 브라우져, 전자메일기능, 팩시밀리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슴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지털로 캡쳐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제이피이지(JPEG)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상기 카메라 메모리에 압축 화상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소정 읽기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메모리에 저장된 압축화상데이터를 압축해제하여 출력시키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16.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카메라 제어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로 캡쳐하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카메라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따라 음성통화 및 전자메일에 첨부되는 화상 송수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휴대폰부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화상이나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휴대폰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외부화상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휴대폰부에서 제공되는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외부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외부화상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내부 생성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 문자 및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외부 화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화상신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장치상에 한 화면이 구성되게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 구성된 일체화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와의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망과;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메일에 첨부된 화상데이터에 대해 상대방 통신단말기로의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를 파워온 시킴에 따라 휴대폰 사용모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제어 및 일반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카메라 동작 요구에 의거하여 카메라 사용모드에 따른 제2 전원 공급 제어 및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 촬영제어가 있으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 재생제어가 있으면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메모리에 저장된 촬영 화상을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표시부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전원 공급 제어는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부에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제2 전원 공급 제어는 휴대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부 및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부에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동작방법.
  20. 휴대폰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휴대폰기능을 수행하는 휴대폰 사용모드에서 사용자의 전자메일 전송요구가 있게 되면 제1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는 과정과,
    카메라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폰 사용모드중 촬영되었던 화면이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의 표시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재생모드에서 사용자의 전자메일 전송요구가 있게 되면 제2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대편 주소 및 메시지를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전자메일 전송모드로 진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대편 주소 및 메시지에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첨부하여 전자메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1019990011179A 1999-03-31 1999-03-31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KR10035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179A KR100350607B1 (ko) 1999-03-31 1999-03-31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JP2000020281A JP2000295667A (ja) 1999-03-31 2000-01-28 音声及び画像の送/受信のための携帯用複合通信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と通信システム
US09/540,830 US7139014B1 (en) 1999-03-31 2000-03-31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images, and ope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11/003,222 US7526323B2 (en) 1999-03-31 2004-12-03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and images, and ope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11/493,754 US7577460B2 (en) 1999-03-31 2006-07-26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receiving and images, and ope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179A KR100350607B1 (ko) 1999-03-31 1999-03-31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817A KR20000061817A (ko) 2000-10-25
KR100350607B1 true KR100350607B1 (ko) 2002-08-28

Family

ID=1957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179A KR100350607B1 (ko) 1999-03-31 1999-03-31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139014B1 (ko)
JP (1) JP2000295667A (ko)
KR (1) KR100350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70A (ko) * 2001-02-13 2001-07-13 이윤재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10067571A (ko) * 2001-02-13 2001-07-13 이윤재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791B1 (ko) * 1999-10-25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의 화상/문서 편집방법
AU761064C (en) 2000-02-21 2004-02-26 Trek 2000 International Ltd A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JP4974405B2 (ja) * 2000-08-31 2012-07-11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使用方法、サーバ使用予約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599654B2 (ja) * 2000-09-12 2004-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送信及び保存方法
JP2002152346A (ja) * 2000-11-14 2002-05-24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40028648A (ko) * 2000-11-29 2004-04-0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휴대용 통신 장치
US6760772B2 (en) 2000-12-15 2004-07-06 Qualcomm, Inc. Generating and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interface for high data rate signal transfer
US6965683B2 (en) * 2000-12-21 2005-11-15 Digimarc Corporation Routing networks for use with watermark systems
DE20021842U1 (de) * 2000-12-21 2001-06-21 Wolfgang Feierbach Transportabler Kommunikationsrechner
WO2003005609A1 (en) * 2001-06-05 2003-01-16 Woori Technology Inc. Character terminal, and charact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same
IL159391A0 (en) 2001-06-28 2004-06-01 Trek 2000 Int Ltd Method and devices for data transfer
KR100767131B1 (ko) * 2001-07-13 2007-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서버에서의 오에스디 메뉴 서비스 제공방법과,이를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오에스디 메뉴 다운로드 방법
KR20030006734A (ko) * 2001-07-14 2003-01-23 엠텍비젼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050187433A1 (en) * 2001-07-26 2005-08-25 Given Imaging Ltd. In-vivo imaging device providing constant bit rate transmission
US9113846B2 (en) 2001-07-26 2015-08-25 Given Imaging Ltd. In-vivo imaging device providing data compression
GB2378078B (en) * 2001-07-27 2005-05-25 Hewlett Packard Co Image capture
KR100767113B1 (ko) * 2001-08-30 200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US8812706B1 (en) 2001-09-0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ismatched delays in signals of a mobile display interface (MDDI) system
KR20030049670A (ko) * 2001-12-17 2003-06-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사진을 편집하여 포토메일을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420681B1 (ko) * 2001-12-20 2004-03-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의 합성 및 송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폰
KR20030066097A (ko) * 2002-02-04 2003-08-09 삼성전기주식회사 화상 코덱 기능을 갖는 화상장치
ATE488840T1 (de) * 2002-02-07 2010-12-15 Trek 2000 Int Ltd Tragbare datenspeicher- und bildaufzeichnungs einrichtung mit der fähigkeit zur direkt verbindung mit einem computer-usb-port
US7193609B2 (en) 2002-03-19 2007-03-20 America Online, Inc. Constraining display motion in display navigation
KR20030077317A (ko)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팩스 전송 기능을 구비한 무선가입자망 단말장치
JP3948988B2 (ja) * 2002-03-27 2007-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TWI223538B (en) 2002-03-28 2004-11-01 Casio Computer Co Ltd Data communication devic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KR20030096880A (ko) * 2002-06-18 2003-12-31 뷰티 업 컴패니, 리미티드 음향 및 영상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
KR100547887B1 (ko) * 2002-06-21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영상데이터 표시장치 및방법
CN100508581C (zh) * 2002-08-12 2009-07-01 三洋电机株式会社 带拍摄功能的通信终端
JP4123473B2 (ja) * 2002-08-19 2008-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20040025313A (ko) * 2002-09-19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편집 및 전송방법
KR20040031168A (ko) * 2002-10-04 2004-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폰을 이용한 뉴스 제작 및 제공 시스템
KR100517979B1 (ko) * 2002-12-10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오버레이 장치
KR100598494B1 (ko) * 2003-02-11 2006-07-11 정연경 씨디엠에이모듈을 내장한 무선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동영상정보전송시스템
US7525557B2 (en) * 2003-02-14 2009-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ving image composition device, moving image composition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with moving image composition function
JP4053444B2 (ja) * 2003-03-07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JP3667744B2 (ja) * 2003-04-17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端末、ベース機器、ワイヤレスシステム、無線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ベース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35251B1 (ko) * 2003-05-10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을 갖는 영상 출력 방법
ATE517500T1 (de) 2003-06-02 2011-08-15 Qualcomm Inc Erzeugung und umsetzung eines signalprotokolls und schnittstelle für höhere datenraten
KR100754681B1 (ko) * 2003-07-2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JP2005045587A (ja) 2003-07-23 2005-02-17 Nec Saitama Ltd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この装置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
JP4284701B2 (ja) * 2003-07-28 2009-06-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複合機器、電源供給制御方法、及び、電源供給制御プログラム
RU2006107561A (ru) 2003-08-13 2007-09-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US) Сигнальный интерфейс для высоких скоросте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CN101764804A (zh) 2003-09-10 2010-06-30 高通股份有限公司 高数据速率接口
CA2542649A1 (en) 2003-10-15 2005-04-28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O2005043862A1 (en) 2003-10-29 2005-05-12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O2005048562A1 (en) 2003-11-12 2005-05-2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control
US7841533B2 (en) 2003-11-13 2010-11-30 Metrologic Instruments, Inc. Method of capturing and processing digital images of an object within the field of view (FOV) of a hand-supportable digitial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system
EP1690404A1 (en) 2003-11-25 2006-08-1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with improved link synchronization
KR100906319B1 (ko) 2003-12-08 2009-07-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링크 동기화를 갖는 고 데이터 레이트 인터페이스
US20050140790A1 (en) * 2003-12-29 2005-06-30 Curitel Communication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V reception function
TWI253812B (en) * 2004-01-09 2006-04-21 Benq Corp Method of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mobile unit by broadcasting message
JP2005221853A (ja) * 2004-02-06 2005-08-18 Nec Electronics Corp コントローラドライバ,携帯端末,及び表示パネル駆動方法
US7398316B2 (en) * 2004-02-27 2008-07-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hole video frame transmission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8669988B2 (en) 2004-03-10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JP4519903B2 (ja) 2004-03-17 2010-08-0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速データレート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CA2560744C (en) 2004-03-24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DE102004044785A1 (de) * 2004-04-10 2005-10-27 Leica Microsystems Semiconducto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Positionierkoordinaten für Halbleitersubstrate
KR101172919B1 (ko) * 2004-06-02 2012-08-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
US8650304B2 (en) 2004-06-04 2014-02-11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pre skew and post skew calibration data rate in a 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MDDI) communication system
MXPA06014097A (es) 2004-06-04 2007-03-07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de interfaz de datos de alta velocidad.
TWI246322B (en) * 2004-09-20 2005-12-21 Alpha Imaging Technology Corp Image processing device
US8699330B2 (en) 2004-11-2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ata transmission rate control
KR100923170B1 (ko) * 2004-11-24 2009-10-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US8723705B2 (en) 2004-11-24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Low output skew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US20060161691A1 (en) * 2004-11-24 2006-07-20 Behnam Katibian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ronous execution of commands across a communication link
US8692838B2 (en) 2004-11-2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667363B2 (en) 2004-11-24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yclic redundancy checks
US8873584B2 (en) 2004-11-24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US8539119B2 (en) 2004-11-24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having a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message format
JP2006157166A (ja) * 2004-11-25 2006-06-15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321761B2 (en) * 2004-12-03 2008-01-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data from being transferred
US20070242852A1 (en) * 2004-12-03 2007-10-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marking sensed data
US7272240B2 (en) * 2004-12-03 2007-09-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ensing, and adjusting watermarks
US7826835B2 (en) * 2004-12-16 2010-11-02 Intel Corporation Mobile phone policy management
US7640037B2 (en) * 2005-05-18 2009-12-29 scanR,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business data
US7450760B2 (en) 2005-05-18 2008-11-11 Scanr,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business data
US7627349B2 (en) * 2005-07-11 2009-12-01 Nokia Corporation Alternative notifier for multimedia use
KR100667669B1 (ko) * 2005-07-21 2007-01-12 장경식 휴대폰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가 첨부된 메시지 전송방법
EP1748641A1 (en) 2005-07-28 2007-01-31 TCL & Alcatel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for capturing an image with an electronic handheld device
US7809156B2 (en) 2005-08-12 2010-10-05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nd using a fingerprint for an article
JP4991034B2 (ja) * 2005-11-04 2012-08-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モバイル通信ターミナル及びモバイル通信ターミナルのメディア再生時間を計算する方法
US7969497B2 (en) * 2005-11-21 2011-06-28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US8692839B2 (en) 2005-11-23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buffer
US8730069B2 (en) 2005-11-23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TWI339978B (en) * 2006-03-29 2011-04-01 High Tech Comp Corp Handheld device havind a digital alblum for preserving history images and the application thereof
US20070229678A1 (en) * 2006-03-31 2007-10-04 Ricoh Company, Ltd. Camera for generating and sharing media keys
US9525547B2 (en) * 2006-03-31 2016-12-20 Ricoh Company, Ltd. Transmission of media keys
US20070233612A1 (en) * 2006-03-31 2007-10-04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generating a media key
US8554690B2 (en) * 2006-03-31 2013-10-08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using media keys
US8689102B2 (en) * 2006-03-31 2014-04-01 Ricoh Company, Lt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d using media keys
KR100744474B1 (ko) * 2006-05-23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8011349A (ja) * 2006-06-30 2008-01-17 Nikon Corp 動画撮影が可能なカメラ
KR101026397B1 (ko) * 2006-11-16 2011-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479991A3 (en) 2006-12-04 2014-01-08 Lynx System Developers, Inc. Autonomous systems and methods for still and moving picture production
US8412269B1 (en) * 2007-03-26 2013-04-02 Celio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to a device for increased usability
US20080243702A1 (en) * 2007-03-30 2008-10-02 Ricoh Company, Ltd. Tokens Usable in Value-Based Transactions
US8756673B2 (en) 2007-03-30 2014-06-17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sharing data
TW200920105A (en) * 2007-10-31 2009-05-01 Mitac Int Corp Handheld device having independently operat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US8208024B2 (en) * 2007-11-30 2012-06-26 Target Brands, Inc. Communic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TWI374666B (en) * 2008-10-29 2012-10-11 Myson Century Inc On-screen display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57354B1 (ko) * 2009-02-12 201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8838179B2 (en) * 2009-09-25 2014-09-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media communication recordings
JP5874178B2 (ja) * 2010-04-09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中継装置
EP2656142A1 (en) * 2010-12-22 2013-10-30 Pick'ntell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mirror camera
US9060107B2 (en) * 2011-11-23 2015-06-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ideo responses to messages
US9325818B2 (en) * 2011-12-09 2016-04-26 Charles J. Kulas Dedicated processor for camera functions in host devices
US8957987B2 (en) * 2012-07-06 2015-02-17 Integrenz LLC Still image sound annotation system
CN103458376A (zh) * 2013-01-26 2013-12-18 曾昭兴 手机号码传送方法及手机号码传送系统
WO2014124372A1 (en) * 2013-02-08 2014-08-14 Brothers Media Group, LLC Method for real time distribution of dealership generated data and media originating from a retail environment
EP3057309B1 (en) * 2015-02-12 202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92A (ko) * 1997-02-19 1998-10-15 구자홍 Pda에서의 화상통화기능 구현을 위한 촬상 및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H06233295A (ja) * 1993-02-01 1994-08-19 Canon Inc 画像通信端末装置
US5636315A (en) * 1993-02-26 1997-06-03 Fuji Photo Film Co., Ltd. Video printer having a key simplified in operation
US5612732A (en) * 1993-03-31 1997-03-18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compact imaging and displaying apparatus with rotatable camera
US5381460A (en) * 1993-12-30 1995-01-10 Uniden America Corp., Monitor mode in a portable telephone
FI115739B (fi) * 1994-05-19 2005-06-30 Nokia Corp Laite henkilökohtaiseen viestintään, tietojenkeruuseen ja -käsittelyyn ja piirikortti
JP3211570B2 (ja) * 1994-06-08 2001-09-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及び液晶駆動装置検査方法
US6370546B1 (en) * 1996-04-08 2002-04-09 Sony Corporation Firs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rectly accessing, updating second information process device and vice versa via transmission bus management authority
US5806005A (en) * 1996-05-10 1998-09-08 Ricoh Company, Ltd. Wireless image transfer from a digital still video camera to a networked computer
US6009336A (en) *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JPH1065780A (ja) 1996-08-22 1998-03-06 Hitachi Ltd テレビ電話機能付きの携帯電話機
US5969750A (en) * 1996-09-04 1999-10-19 Winbcnd Electronics Corporation Moving picture camera with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JPH1098511A (ja) 1996-09-24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携帯電話装置
EP0930768A4 (en) * 1997-03-03 2004-12-01 Toshiba Kk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H10304578A (ja) * 1997-04-21 1998-11-13 Canon Inc 電気機器及び電気機器の運用制御方法
JPH10336238A (ja) 1997-06-05 1998-12-18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US6259469B1 (en) * 1997-09-05 2001-07-10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6169911B1 (en) * 1997-09-26 2001-01-02 Sun Microsystem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telephone
US6044403A (en) * 1997-12-31 2000-03-28 At&T Corp Network server platform for internet, JAVA server and video application server
US6192257B1 (en) * 1998-03-31 2001-02-20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 image capability
US6252588B1 (en) * 1998-06-16 2001-06-26 Zentek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dio visual e-mai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392A (ko) * 1997-02-19 1998-10-15 구자홍 Pda에서의 화상통화기능 구현을 위한 촬상 및 통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570A (ko) * 2001-02-13 2001-07-13 이윤재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10067571A (ko) * 2001-02-13 2001-07-13 이윤재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6323B2 (en) 2009-04-28
US7139014B1 (en) 2006-11-21
KR20000061817A (ko) 2000-10-25
JP2000295667A (ja) 2000-10-20
US7577460B2 (en) 2009-08-18
US20070123302A1 (en) 2007-05-31
US20050085263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607B1 (ko)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US679571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amera interface for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6731952B2 (en)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a detachable camera / battery module
KR100261607B1 (ko)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JP3809723B2 (ja) 複合機器
KR100261606B1 (ko) 원격 통신이 가능한 디지탈 스틸 카메라
EP1048166B1 (en) Imag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KR100547791B1 (ko) 카메라가 실장된 휴대폰의 화상/문서 편집방법
KR20020014251A (ko) 화상 통신 휴대폰
JP2001197460A (ja) 画像データの中継方法および通信管理センタ
JP2001197298A (ja) 画像データの送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0600991B1 (ko) 플래시 자동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JP2002190877A (ja) 撮像装置、通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通信装置の発呼方法、プログラム、通信装置の発呼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10063189A (ko) 카메라 폰에서의 촬영화상 전송방법
KR100769672B1 (ko) 화상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JPH111460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5007285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136653A (ja) 画像転送無線通信端末システム
KR100689524B1 (ko) 휴대폰의 화면 보호 기능 구현 방법
KR100605622B1 (ko) 무선단말기의 촬영 영상 저장 방법
KR100641321B1 (ko)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JP2001016313A (ja) 無線機器
JP2004235804A (ja) 携帯端末機器
KR100693587B1 (ko) 고화질 영상 및 동영상 처리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