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113B1 -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113B1
KR100767113B1 KR1020010052812A KR20010052812A KR100767113B1 KR 100767113 B1 KR100767113 B1 KR 100767113B1 KR 1020010052812 A KR1020010052812 A KR 1020010052812A KR 20010052812 A KR20010052812 A KR 20010052812A KR 100767113 B1 KR100767113 B1 KR 10076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storage unit
capacity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607A (ko
Inventor
이창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1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 표시장치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접속된 컴퓨터가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미지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컴퓨터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켜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휴대용 기기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원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켜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 용량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독특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컴퓨터, 기록매체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 표시방법{Portable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장치에 의한 이미지 표시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장치에 의한 이미지 표시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이미지 표시장치 101, 203 : 이미지저장부
103, 205 : 입력부 105, 207 : 디스플레이
107, 209 : 제어부 201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및 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한 이미지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정의 기록들을 시간 및 장소에 구애을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생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대중적으로 제시되어 왔던 기기로는,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FD), 컴팩트디스크(CD) 등의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기(이하, 시스템이라 한다)가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록매체는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시스템 또한 소형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DCD(Digital Convergence Disc)라는 매체가 개발는 바, DCD는 지름 32mm의 소형 디스크로서 그 크기에 비해 500메가바이트의 대용량을 갖는다. 이러한 DCD와 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가 적용되는 장치 또한, 내부 메모리용량이 증가되고, 디스플레이의 데이터표시용량이 증가되었으며, 사용자는 증가된 메모리용량과 디스플레이의 데이터표시용량을 이용하여 개성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미지 표시장치(100)는 표시될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저장부(101),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103),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5), 및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09)를 구비한다.
이미지저장부(101)는 디스플레이(105)에 표시되기 위한 이미지가 적어도 하 나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이미지 표시장치(100)의 제조과정에서 제조자에 의해 저장된다. 선택부(103)는 사용자가 이미지저장부(101)에 저장된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된 선택명령은 제어부(107)에 제공된다.
제어부(1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명령을 수신하고, 이미지저장부(101)로부터 수신된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인출한다. 인출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05)에 제공되고, 디스플레이(105)는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미지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범위가 제조과정에서 설정되어 저장된 이미지의 범위 내에 한정되므로, 원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이미지 개발자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용량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다.
그런데, 이미지 개발자로부터 모든 사용자가 각각 자신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다운받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용량이 다른 사용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이미지 표시장치의 내부에 별도의 이미지 변환장치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장치 내부에 별도의 이미지 변환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휴대용 기기의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접속된 상기 컴퓨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는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 표시장치는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장착된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이미지를 입력시키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기록시키고, 상기 이미지가 기록된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이미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컴퓨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내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제공된 상기 정보에 기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컴퓨터로부터 변환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표시방법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선택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미지 표시방법은 상기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기록매체에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입력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상기 기록매체가 삽입되면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이미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이미지의 크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표시방법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선택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만의 개성있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 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장치(200)는, 접속된 컴퓨터(25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1),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203),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05),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07), 및 접속된 컴퓨터(250)가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컴퓨터(250)에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제어부(207)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부(201)는 컴퓨터(250)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현되며, 컴퓨터(25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미지저장부(203)는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미지는 이미지표시장치(200)의 제조과정에서 초기생성되어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접속된 컴퓨터(250)에 의해 수정, 변경, 작성, 추가 등이 된 이미지가 전송되어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될 수도 있다.
입력부(205)는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입력부(205)를 통해 입력된 선택명령은 제어부(207)에 제공된다. 여기서, 입력부(205)는 컴퓨터(250)로부터 수 신된 이미지를 장착된 기록매체(도시하지 않음)에 저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명령도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207)는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선택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207)에 표시되는 다른 선택메뉴나 파일의 목록에 대한 배경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다른 선택메뉴나 파일의 목록과 함께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7)는 컴퓨터(25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가 기록매체에 저장된 경우에는 그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면,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에 관계없이 기록매체로부터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9)는 이미지 표시장치(2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09)는 인터페이스부(201), 이미지저장부(203), 선택부(205), 및 디스플레이(207) 각각을 제어함으로써, 인터페이스부(201)에 접속된 컴퓨터(250)에 의해 전송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킨다. 제어부(209)는 접속된 컴퓨터(250)가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컴퓨터(250)에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09)는 컴퓨터(25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미지 표시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미지 표시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장치에 의한 이미지 표시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하여 이미지 표시장치(200)와 컴퓨터(250)를 접속시키면, 제어부(209)는 컴퓨터(250)에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301). 이러한 제어부(209)에 의한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제공은 이미지 표시장치(200)가 컴퓨터(250)에 접속된 후에 컴퓨터(200)에 의한 PnP(Plug-and-Play) 동작이 진행될 때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가 컴퓨터(250)에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미지 표시장치(200)를 컴퓨터(250)에 접속한 후에 이미지모드전환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이미지모드로 전환하였을 때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가 컴퓨터(250)에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250)는 인터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거나, 이미지작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사용자는 컴퓨터(250)를 통해 이미지의 작성이 가능하며, 이미지 표시장치(200)의 이미지저장부(203)에 기 저장된 이미지의 수정, 변경, 추가 등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미지의 작성, 수정, 변경, 추가 등은 컴퓨터(250)에 저장된 그림문서작성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의 작성, 수정, 변경, 추가 등은 제어부(207)에 의해 제공된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다. 즉, 그림문서파일은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반면에,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은 사진과 같은 대용량의 이미지를 그대로 표현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진과 같은 대용량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207)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적당하게 변환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예컨대, 사진파일의 경우에, 특징적인 영상의 외곽선만을 도출하여 그림으로써, 그 사진의 특징적인 이미지는 그대로 표현하면서 데이터의 용량은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진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픽셀수를 줄여 표현함으로써, 예컨대, 4개의 픽셀을 1개의 픽셀로 묶어 표현하는 경우와 같이, 사진에 대한 전체 데이터량은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진의 전체적인 이미지 중에서 특징적인 부분만을 잘라 표현함으로써,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컴퓨터(250)는 저장 또는 작성된 이미지를 상술한 방법 등에 의해 이미지 표시장치(200)의 디스플레이(207)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킨다(S303). 변환된 이미지는 이미지 표시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01)에 제공된다. 제어부(209)는 인터페이스부(201)로부터 변환된 이미지를 수신한다(S305). 또한, 제어부(209)는 수신된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한다(S307). 여기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부(207)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시킬 것인지 또는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207)에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선택메뉴를 제공하고, 제어부(209)가 입력부(20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수신된 이미지가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되면, 제어부(209)는 입력부(205)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 단한다(S309).
수신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9)는 수신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킨다(S315). 기록매체에 컴퓨터(25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가 저장된 후에는, 제어부(209)는 그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는 경우에 그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S317). 이 경우, 기록매체는 이미지저장부(203)와는 달리 다른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의 이미지만을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미지가 저장된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면,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207)에 표시되는 것으로 구현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미지가 저장된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면, 제어부(209)는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7)에 기록매체에 기록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표시시킬 것인지 또는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9)는 표시된 선택메뉴에 따라 입력부(205)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독출하고, 독출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록매체마다 고유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시킬 수 있으며, 기록매체에 기록된 고유의 이미지는 그 해당되는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면 그 삽입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7)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수신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9)는 입력부(205)를 통하여 입력된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수신한다(S311). 제어부(209)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전송하여 표시시킨다(S313). 이로써, 휴대용 기기는 휴대용 기기에 접속된 컴퓨터(250)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고, 변환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장치에 의한 이미지 표시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09)는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하여 접속된 컴퓨터(25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다(S401). 여기서, 컴퓨터(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접속된 서버로부터 이미지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거나, 이미지작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제어부(209)는 컴퓨터(25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의 크기와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을 비교한다(S403).
컴퓨터(25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의 크기가 디스플레이(207)의 용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405), 제어부(209)는 수신된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킨다(S407). 여기서, 제어부(209)에 의한 이미지변환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예컨대, 사진파일의 경우에, 특징적인 영상의 외곽선만을 도출하여 표현함으로써, 그 사진의 특징적인 이미지는 그대로 표현하면서 데이터의 용량은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진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의 픽셀수 를 줄여 표현함으로써, 예컨대, 4개의 픽셀을 1개의 픽셀로 묶어 표현하는 경우와 같이, 사진에 대한 전체 데이터량은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진의 전체적인 이미지 중에서 특징적인 부분만을 잘라 표현함으로써, 데이터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변환된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시킨다(S409). 여기서,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부(207)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시킬 것인지 또는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207)에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선택메뉴를 제공하고, 제어부(209)가 입력부(20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변환된 이미지가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되면, 제어부(209)는 입력부(205)를 통해 변환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1).
변환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9)는 변환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킨다(S417). 기록매체에 제어부(209)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가 저장된 후에는, 제어부(209)는 그 기록매체가 휴대용 기기에 삽입되는 경우에 그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S419).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는 이미지저장부(203)와는 달리 다른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나의 이미지만을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209)는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표시시키는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07)에 기록매체에 기록된 이미지를 독출하여 표시시킬 것인지 또는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메뉴를 표시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라는 선택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9)는 입력부(205)를 통하여 입력된 이미지저장부(203)에 저장된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수신한다(S413). 제어부(209)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전송하여 표시시킨다(S415). 이로써, 휴대용 기기는 컴퓨터(250)로부터 소정의 이미지를 수신한 후디스플레이(207)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변환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07)에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의 이미지 표시장치는 원하는 이미지의 크기를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켜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 용량에 거의 구애받지 않고 독특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외부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접속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게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장착된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이미지를 입력시키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기록시키고, 상기 이미지가 기록된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4.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이미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외부 기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 내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제공된 상기 정보에 기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변환된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선택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 미지 표시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기록매체에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입력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저장된 상기 기록매체가 삽입되면,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에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독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방법.
  7. 외부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장치.
  9.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이미지 표시방법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이미지의 크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보다 큰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용량에 적합하도록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상기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선택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표시방법.
KR1020010052812A 2001-08-30 2001-08-30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KR100767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12A KR100767113B1 (ko) 2001-08-30 2001-08-30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12A KR100767113B1 (ko) 2001-08-30 2001-08-30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07A KR20030018607A (ko) 2003-03-06
KR100767113B1 true KR100767113B1 (ko) 2007-10-16

Family

ID=2772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12A KR100767113B1 (ko) 2001-08-30 2001-08-30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275A (ko) * 2002-03-26 2003-10-01 주식회사 레인콤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한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1496454B1 (ko) * 2007-12-28 2015-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817A (ko) * 1999-03-31 2000-10-25 윤종용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KR20000067045A (ko) * 1999-04-22 2000-11-15 조정남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이미지 변환 처리 장치및 이미지 데이터 크기 축소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817A (ko) * 1999-03-31 2000-10-25 윤종용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KR20000067045A (ko) * 1999-04-22 2000-11-15 조정남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이미지 변환 처리 장치및 이미지 데이터 크기 축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07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8906B2 (ja) 可搬格納デバイス
US87432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an electronic camera
US6816189B2 (en) Electron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674993B1 (en) User help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icons set and used in the user interface of a digital camera
EP1752917A1 (en) Memory card, access device, and memory card processing method
US80138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storage device, 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20051641A1 (en) Electronic camera apparatus and file management method
JP2006221288A (ja) 画像記録装置
KR20140052697A (ko) 저장 용량을 관리하는 단말 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100767113B1 (ko) 휴대용 기기에 구비된 이미지 표시장치 및 그 이미지표시방법
JP2004080461A (ja) 記録媒体管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KR20010032209A (ko) 디스크 및 이 디스크에 의한 화상처리 시스템
JP4674726B2 (ja) ファイルの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7750952B2 (en) Image data recording or stor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aid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izing areas on a recording medium
JP4724412B2 (ja) 画像データ記録装置
JP200601874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データ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4318752A (ja)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31480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897992A (ja) 画像情報管理装置
JPH10145721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3291479B2 (ja) 電子アルバム装置
KR20080055419A (ko) 휴대용 단말장치 및 지원장치 그리고 이의 썸네일이미지제공방법.
JPH0793349A (ja) 画像情報処理装置
JPH05324727A (ja) キーワード検索装置
JPH04170862A (ja) ディジタル複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