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321B1 -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321B1
KR100641321B1 KR1020040075460A KR20040075460A KR100641321B1 KR 100641321 B1 KR100641321 B1 KR 100641321B1 KR 1020040075460 A KR1020040075460 A KR 1020040075460A KR 20040075460 A KR20040075460 A KR 20040075460A KR 100641321 B1 KR100641321 B1 KR 10064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641A (ko
Inventor
서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3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은,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에 대응하여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릴리스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종료하는 카메라 셧 키, 상기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 셧 키로부터 상기 프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스위치부, 상기 프레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프레스 신호의 유지가 종료되는 경우, 소정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촬영신호를 생성하는 촬영신호 생성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카메라 시스템이 지향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진을 촬 영하기 위해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폰, 흔들림, 촬영버튼, 셔터

Description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A SYSTEM OF MOBILE PHONE CAMERA FOR REDUCING UNSTABLITY IN TAKING PICTURES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에서 하나 이상의 버튼을 지정하여 카메라 셧 키로 설정하는 동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되는 버튼 정보 및 카메라 셧 키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촬영시 상기 카메라 시스템 내부 구성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110 : 카메라 셧 키 120 : 스위치부
130 :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 140 : 촬영신호 생성부
150 : 촬영부 16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단순한 호출기능으로 등장한 개인 휴대 단말기는 급격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즉석에서 사진을 찍어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즉, 카메라폰으로 진화하였으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휴대폰들이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폰의 인기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그 수요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맞춰 카메라폰의 진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카메라폰은 디지털 카메라의 일종인데,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필름과 같은 별도의 매체가 필요 없고 그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에 힘입어 갈수록 그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인 카메라폰은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에 이식하여 저장하는 것은 물론 편집까지 할 수 있어서 기존의 인화지에 의한 사진보다 그 효용성이 크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디지털 특징상 신호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즉,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송수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카메라폰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탁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망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즉석에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 등에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촬영한 사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그 수요가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카메라폰은 일반 디지털 카메라보다 개발 시점이 늦었던 이유와, 그로 인해 관련 기술이 뒤떨어진다는 점, 소형화가 주류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부품들이 현실적으로 탑재되기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의 품질보다 그 사진의 품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사진 촬영시 사진의 품질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인 흔들림 방지에 있어서, 카메라폰은 주로 소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므로 사용자의 사진촬영시 그립감이 떨어져 흔들림 방지를 기대하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버튼을 촬영 버튼으로 사용하므로, 사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버튼을 프레스할 때 안정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별한 추가적 구성 없이, 카메라폰에 의한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기대할 수 있는 촬영 버튼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버튼을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랴 셧 키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장 편한 버튼으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을 사진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 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은,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에 대응하여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릴리스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종료하는 카메라 셧 키, 상기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 셧 키로부터 상기 프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스위치부, 상기 프레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프레스 신호의 유지가 종료될 경우, 소정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촬영신호를 생성하는 촬영신호 생성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카메라 시스템이 지향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상기 카메라 셧 키로 지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 대한 버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의 카메라 셧 키 지정 여부에 대한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 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소정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통신 모듈은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분할다중화접속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1x 또는 EV-DO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망과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100)은 크게 카메라 셧 키(110), 스위치부(120),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130), 촬영 신호 생성부(140), 촬영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 셧 키(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 사용자가 지정한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100)으로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하여 카메라 셧 키(110)를 프레스(press)할 경우, 카메라 셧 키(110)는 사용자가 프레스 하는 시점에 소정의 프레스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110) 프레스를 유지하는 동안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상기 프레스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프레스 하고 있는 카메라 셧 키(110)를 릴리스(release)하는 시점에 카메라 셧 키(110)는 상기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종료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는 소정의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또한 키패드부는 카메라폰 외관의 소정 위치에 셔터를 설치하고, 상기 셔터를 누름으로써 셔터 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키며, 카메라 동작 온 오프 키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부는 사용자로부터 접속 설정을 위한 입력 문자열을 입력 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는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자국어, 알파벳, 또는 특수문자 등)와 대응된다. 사용자는 키패드부를 통하여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120)는 사용자가 사진촬영을 위하여 카메라 셧 키(110) 프레스를 유지하는 동안 카메라 셧 키(1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프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프레스 신호의 수신을 계속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카메라 셧 키(110)의 동작과 더불어 동시에 연속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서 소정의 저항,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카메라 셧 키(110)로부터 프레스 신호를 수신한다. 스위치부(120)는 상기 프레스 신호 수신의 유지가 종료되는 경우(즉, 상기 프레스 신호의 falling edge를 검출하여), 촬영신호 생성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촬영 신호 생성부(140)로 전송한다.
촬영 신호 생성부(140)는 스위치부(120)의 프레스 신호 수신 유지가 종료될 경우 생성된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사진 촬영을 개시하기 위한 촬영신호를 생성한다.
촬영부(150)는 촬영 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촬영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100)이 지향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촬영부(150)의 내부 구성(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한 일반적인 사진촬영 동작 수행을 살펴보면, 먼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는 CCD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의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JPEG로 인가하며 상기 화상의 디지털 신호를 Y, C 신호로 변환하여 LCD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CCD(Charge Coupled Device)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카메라의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DSP에 인가하게 되며,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는 컬러 정지화상압축의 국제표준을 이용하여 DSP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화상 신호를 압축한다. DRAM(Dynamic RAM) JPEG에서 압축한 화상신호를 상기 플래시(FLASH)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버퍼 역할을 수행하며 CPU(Central Process Unit)는 카메라부의 카메라 동작에 따른 제반 동작 및 구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LCD(Liquid Crystal Device)는 이러한 제어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의 상태, 동작과정, 또는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촬영하기 편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버튼을 카메라 셧 키(110)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에서 하나 이상의 버튼을 지정하여 카메라 셧 키(110)로 설정하는 동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에서 자신이 가장 프레스 하기 쉽고 편한 그립감을 느끼는 버튼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동하여 상기 선택한 버튼을 셧 키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하고 사진 촬영을 할 경우, 가장 편한 그립감을 느끼는 버튼이 "0" 버튼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동하여 상기 "0" 버튼을 카메라 셧 키(11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 셧 키(110)로 이미 설정된 "0" 버튼 이외의 버튼을 추가로 카메라 셧 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0" 버튼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하여 촬영할 경우 편한 그립감을 느끼는 버튼이라면, 오른손으로 촬영할 경우에는 "3" 버튼이 편한 그립감을 느끼는 버튼이 될 수도 있다. 이 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구동하여 "0" 버튼 이외에 "3" 버튼을 추가하여 카메라 셧 키(110)로 설정할 수 있다.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카메라 셧 키(110)로 설정한 버튼의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의 버튼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서로 대응하여 저장되는 버튼 정보 및 카메라 셧 키 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버튼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 대한 정보, 즉, 버튼 정보 식별자를 의미한다. 카메라 셧 키 정보는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로 설정한 버튼에 대한 카메라 셧 키 지정 여부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버튼 정보 식별자가 "1" 및 "L1" 인 버튼을 카메라 셧 키로 설정한 경우,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상기 "1" 의 버튼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여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L1" 의 버튼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여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버튼 정보 식별자에 대응하여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카메라 셧 키(110) 프레스 동작 발생시, 프레스 신호의 생성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촬영시 상기 카메라 시스템 내부 구성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부의 제1 버튼을 선택하면(단계 411), 상기 선택한 제1 버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카메라 셧 키로 설정되어(단계 412)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70)에 버튼정보식별자에 대응하여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가 저장된다(단계 413).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위해 상기 카메라 셧 키로 설정된 제1 버튼을 프레스하면(단계 414), 카메라 셧 키는 프레스 신호를 생성하고(단계 415),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계속 유지한다(단계 416).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의 프레스 동작을 멈추고 릴리스 하는 경우(단계 417), 카메라 셧 키는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종료하고(단계 418), 스위치부는 상기 프레스 신호의 유지를 종료하게 되며,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제어신호가 생성된다(단계 419). 단계 419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촬영신호 생성부가 촬영의 개시를 알리는 촬영신호를 생성하여 촬영부로 전송하면(단계 420), 촬영부는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이 지향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한다(단계 421).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내부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하는 순간 사진이 촬영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하는 순간 사진이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진 촬영시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하는 순간 사진이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고 난 다음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예를 들어 강풍, 이동체에 의한 흔들림 등)에 대비하고, 상기 예기치 못한 상황이 종료된 다음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하여 흔들림 없이 사진을 촬영하여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할 경우,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하지 않고, 상기 카메라 셧 키를 릴리스 하는 순간 사진 촬영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카메라 셧 키를 프레스 하는 순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및 촬영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이 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된 버튼을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셧 키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장 편한 버튼으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사진 촬영시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품질을 사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에 대응하여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유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릴리스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스 신호의 생성을 종료하는 카메라 셧 키;
    상기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카메라 셧 키로부터 상기 프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유지하는 스위치부;
    상기 프레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프레스 신호의 유지가 종료되는 경우,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촬영신호를 생성하는 촬영신호 생성부; 및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이 지향하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 신호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촬영신호 생성부의 촬영신호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버튼을 상기 카메라 셧 키로 지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부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버튼에 대한 버튼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의 카메라 셧 키 지정 여부에 대한 카메라 셧 키 지정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버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카메라 셧 키로 지정된 제1 버튼을 상기 카메라 셧 키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제2 버튼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고,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사용자의 프레스 동작 발생 시점에 대응하여 하나의 프레스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0075460A 2004-09-21 2004-09-21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KR10064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460A KR100641321B1 (ko) 2004-09-21 2004-09-21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460A KR100641321B1 (ko) 2004-09-21 2004-09-21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641A KR20060026641A (ko) 2006-03-24
KR100641321B1 true KR100641321B1 (ko) 2006-11-02

Family

ID=3713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460A KR100641321B1 (ko) 2004-09-21 2004-09-21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3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641A (ko) 200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607B1 (ko)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JP5812741B2 (ja) 撮影機能付き通信端末、同端末用の制御プログラム
JPH11168612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入力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2002094848A (ja) 画像通信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WO2005022902A1 (ja) 送信機能付きカメラと携帯電話機、画像データ取得送信プログラム
JP3768968B2 (ja)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H1065889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100641321B1 (ko) 사진 촬영시 흔들림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시스템 및 촬영 방법
JPH11341454A (ja) 画像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2004180077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515807B2 (ja) 携帯端末装置
JPH111460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0644036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연속촬영시특수효과 적용 방법
JP2002101327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並びに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2005007285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0115733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JP4321571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0115731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KR1006239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빠른 카메라 연속촬영 진입 장치 및방법
JPH111274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005078A (ja) シャッタボタン
KR20060072873A (ko) 영상 촬상용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영상 촬영 방법
JP2004328299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JP2004266859A (ja) 画像入力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4147010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