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705A -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705A
KR20060050705A KR1020050078786A KR20050078786A KR20060050705A KR 20060050705 A KR20060050705 A KR 20060050705A KR 1020050078786 A KR1020050078786 A KR 1020050078786A KR 20050078786 A KR20050078786 A KR 20050078786A KR 20060050705 A KR20060050705 A KR 2006005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pparatus main
external information
recor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무라 아사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장치 본체(2)에 회전 자재로 지지된 대략 원통 모양의 외부 정보 입력수단(6)과 외부 정보 입력수단(6)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 정보 출력수단(7)과 외부 정보 입력수단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 부재(74)와 외부 정보 입력 수단(6)의 회전 위치에 따라 캠 부재(74)에 당접 또는 이간되는 것에 의해서 장치 본체(2)의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75)와 장치 본체(2)에 설치되어 외부 정보의 입력 또는 출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8a, 8b)를 설치하고, 외부 정보 출력수단(7) 및 조작부(8a, 8b)는, 스위치(74)에 의한 장치 본체(2)의 모드 전환에 따라 제어된다.

Description

기록 재생장치{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의 가동부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의 가동부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의 조작 버튼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샤시 및 접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샤시 및 접동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동 블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카메라 유니트 및 카메라 유니트를 지지하는 회전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카메라 유니트 및 카메라 유니트를 지지하는 회전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액정 모니터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가동부가 수납된 상태의 기록 재생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 12는 가동부가 돌출된 상태의 기록 재생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카메라 유니트의 촬상 렌즈가 회전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회전 지지 기구의 클릭판 및 판 용수철이 촬상 렌즈와 함께 회전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 1, 제 2의 스위치의 가압 상태와 조작 모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 1, 제 2의 스위치의 가압 상태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7은 조작 캠 부재의 제 1의 캠이 제 1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조작 캠 부재의 제 2의 캠이 제 2의 스위치를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기록 재생장치 2. 장치 본체
3. 가동 블록 4. 조작 버튼군
5. 헤드폰 잭 6. 카메라 유니트
7. 액정 모니터 8a. 녹음 버튼
8b. 셔터 버튼 9a. 다방향성 스위치
10. 상 하프 11. 하 하프
12.외장 프레임 14. 메인 프레임
20. 스트랩용 개구부 21. 샤시
25. 슬라이드 가이드 홈 26. 코로
30. 접동판 31. 슬라이드 가이드 홈
32. 코로 34. 연결판
50. 회전지지 기구 51. 커버 부재
52. 액정 보호 커버 53. 커버 유리
54. 가동 샤시 55. 배선 기판
56. 화장판 61. 유니트 본체
62. 촬상 렌즈 71. 클릭판
72. 판 용수철 73. 고정판
74. 조작 캠 부재 75. 검출 스위치 부재
76. 지지 핀 82. 클릭구멍
89. 제 1의 캠 90. 제 2의 캠
91. 제 1의 스위치 92. 제 2의 스위치
96. 개구 지지부 101. 스템
102. 하우징 103. 키 톱
본 발명은, 기록 매체가 수납되고, 음성 정보의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음성 정보에 더하여, 화상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를 내장하고, 음성 정보의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IC레코더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IC레코더에 있어서는, 기록 용량이 증가해 나가는 한편으로, 녹음한 음성 정보가 증가하는데 반해, 녹음된 음성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곤란해져, 필요한 음성 정보의 재생이 곤란해지고 있었다. 또, 필요한 음성 정보의 재생을 시급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별도 녹음한 음성 정보의 메모를 취하거나, 녹음한 음성 정보에 파일명 등의 입력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IC레코더에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가지는 촬상 유니트와, 촬상 렌즈에 받아들여진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구비하고, 음성 정보의 녹음시의 화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것으로, 녹음한 음성 정보의 표시로 하는 이른바 길잡이 기능을 갖출 수 있으면 사용성이 향상하고, 편리하다.
이런 종류의 촬상 유니트 및 모니터를 구비한 IC레코더에 있어서는, 음성 정보만을 녹음할 때나, IC레코더의 미사용시에는, 촬상 렌즈나 모니터를 보호하기 위해 촬상 유니트나 모니터가 장치 본체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IC레코더에서는 음성 정보만 녹음 가능한 모드나 음성 정보에 더하여 화상 정보를 촬상 가능한 모드, 또 촬상 렌즈가 조작자 측으로 향한 자기 자신의 촬영의 모드 등의 여러 가지 기록 모드가 설치되는 것에서, 조작자의 사용성의 편리함이 향상된다.
그러나, 각 모드의 전환을 조작자의 전환 조작에 의해서 행한다고 하면, 촬상 렌즈가 수납된 상태에서 촬상 모드로 한다고 하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촬상 렌즈의 회전 조작와, 장치 본체의 모드 전환 조작을 조작자가 일일이 상세하게 설정하는 것은 장치 본체의 조작이 번잡하게 되어, 불편하다.
[특허문헌 1] 특개평10-285440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촬상 유니트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이러한 기록 재생장치는, 장치 본체에 회전 자재로 지지된 대략 원통형의 외부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 정보 출력 수단과,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 부재와,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캠 부재에 당접 또는 이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 정보의 입력 또는 출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정보 출력 수단 및 조작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한 장치 본체의 모드 전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장치 본체(2)를 가지고, 이 장치 본체(2)에 집음 마이크 및 음성 정보를 기억하는 IC칩이 내장된 이른바 IC레코더이다. 이 기록 재생장치(1)는, 유저에 의해서 한 손으로 파지(把持)되어,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나 측면부(2b)에 배설된 조작 버튼군(4)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음성 정보를 녹음하고, 또 장치 본체(2)의 하면부(2c)에 설치된 헤드폰 잭(5)에 헤드폰이 플러그를 꽂는 것에 의해, 음성 정보가 출력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1)는, 장치 본체(2)의 상방에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가 내장된 카메라 유니트(6)와, 화상 정보 및 문자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 모니터(7)를 구비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짜넣어진 가동 블록(3)을 구비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장치(1)는, 가동 블록(3)의 카메라 유니트(6)를 이용하여 녹음과 동시에, 정지화면을 촬상할 수 있는, 어느 음성 정보를 녹음했을 때 상태를 이 음성과 관련지어 기록해 둘 수 있다. 이 촬상 화면은, 액정 모니터(7)에 표시되는 것에 따라 후에 촬상시의 음성 정보를 검색, 재생할 때의 인덱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재생장치(1)의 장치 본체(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하프(10, 11)와, 이 상하 하프(10, 11)에 협지(挾持)되어 장치 본체(2)의 측면부(2b)를 구성하는 외장 프레임(12)을 구비한다. 또, 장치 본체(2)는, 각종 전자 기기가 실장되고, 또 각종 전자 회로가 형성된 배선 기판군(13)과, 이들 배선 기판군(13)이 조립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14) 및 서브 프레임(15)을 가지고, 이 메인 프레임(14)에 상하 하프(10, 11) 및 외장 프레임(12)이 접속되어 있다.
상하 하프(10, 11)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성형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이 평탄화되는 것과 함께 외주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하 하프(10, 11)는, 외장 프레임(12), 메인 프레임(14) 및 배선 기판군(13)과 나사로 고정되기 위한 나사구멍이 설치된 접속편(16)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상 하프(10)는, 대략 중앙부에 녹음 버튼이나 후술하는 카메라 유니트(6)를 조작하는 셔터 버튼을 바깥쪽으로 임하게 하는 개구부(17)가 천설(穿設)되고, 또 상방에는 후술하는 액정 모니터(7)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바깥쪽에 임하게 하는 정사각형의 노치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하 하프(10, 11)에 협지되는 외장 프레임(12)은, 대략 U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성형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하 하프(10, 11)에 협지되는 것에 의해 장치 본체(2)의 측면부(2b) 및 하면부(2c)를 구성하는 것이며, 유저에 의한 장치 본체(2)의 파지부가 된다. 이 외장 프레임(12)은, 측면부(2b)에 장치 본체(2)의 조작 버튼군(4)을 바깥쪽으로 임하게 하는 조작 버튼용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장 프레임(12)은, 하면부(2c)의 중앙부에 헤드폰 잭(5)을 바깥쪽으로 임하는 헤드폰용 개구부(20a)가 형성되고, 하면부(2c)와 측면부(2b)와의 코너부에 장치 본체(2)를 휴대하기 위한 스트랩이 장착되는 스트랩용 개구부(20b)가 형성되 어 있다. 즉, 장치 본체(2)에 헤드폰과 휴대용 스트랩이 동시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헤드폰용 개구부(20a)와 스트랩용 개구부(20b)가 장치 본체(2)의 하면부(2c)의 대략 중앙과 코너부에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서로 얽히는 것이 방지되고 장치 본체(2)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 장치 본체(2)의 하면부(2c)에 헤드폰용 개구부(20a) 및 스트랩용 개구부(20b)가 형성됨으로서, 목으로부터 스트랩을 걸쳐 기록 재생장치(1)를 휴대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면부(2a)를 조작자 측으로 향하여 장치 본체(2)를 파지하면, 녹음 버튼(8a)이나 셔터 버튼(8b) 등의 조작 버튼군(4)에 자연스럽게 손가락이 위치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2)의 파지 동작과 연동하여 녹음 또는 촬상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조작을 급하게 녹음이나 촬상을 행할 때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외장 프레임(12)은, 메인 프레임(14)이나 배선 기판군(13)과 나사 고정되는 나사구멍이 설치된 접속편이 입설(立設)되어 있다. 또, 외장 프레임(12)의 하면부(2c)에는 헤드폰 잭(5)과 나란하게 마이크 잭(40)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에 조립할 수 있는 메인 프레임(14)은, 예를 들면 마그네슘다이캐스트에 의한 금속 프레임이며, 상하 하프(10, 11) 및 외장 프레임(12)이 내부로부터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 메인 프레임(14)은, 후술하는 가동 블록(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는 샤시(2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메인 프레임(14) 및 서브 프레임(15)에 조립할 수 있는 배선 기판군(13)은, CPU나 집음 마이크, 조작 버튼군(4) 등이 실장된 메인 기판이나, 카메라 유니트(6)를 구동 제어하는 카메라 유니트용 기판, 액정 모니터(7)를 구동 제어시키는 LCD 기판 등을 구비한다. 이들 배선 기판군(13)은, 가동 블록(3)에 설치된 카메라 유니트(6)나 액정 모니터(7)와 플렉시블 배선판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배선 기판군(13)에 설치된 조작 버튼군(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 및 측면부(2b)에 임할 수 있다. 이 중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에는, 음성 정보의 녹음을 개시하는 녹음 버튼(8a)과, 카메라 유니트(6)에 의한 화상 기록을 행하는 셔터 버튼(8b)이 배설되어 있다. 이들 녹음 버튼(8a) 및 셔터 버튼(8b)은, 장치 본체(2)의 주면(2a)에 배설됨으로서, 유저가 파지 되었을 때에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위치되고, 급하게 녹음, 촬상의 타이밍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장치 본체(2)의 측면부(2b)에는, 빨리 감기나 빨리 되돌리고, 스킵 등을 행하는 다방향 스위치(9a)나, 조작 정지 버튼(9b), 음량 조절 버튼(9c)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다방향 스위치(9a)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방향으로의 경사 조작 및 푸쉬 조작 가능한 스템(stem)(101)과 스템(101)을 경사 조작 및 푸쉬 조작 자재로 지지하는 도시하지 않는 지지 기구 및 단자가 내장된 하우징(102)과, 스템(101)을 피복하는 합성 수지제의 키 톱(key top)(103)을 구비한다. 그리고, 다방향 스위치(9a)는, 키 톱(103)상에서 스템(101)이 경사 조작 또는 푸쉬 조작됨으로서 빨리 감기나 빨리 되돌리기, 액정 모니터(7)의 표시 전환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재생장치(1)는, 장치 본체(2)의 측면부(2b)에 설치됨으로서, 장치 본체(2)를 유저가 파지 시켰을 때에 손가락이 자연연스럽게 위치되는 것 과 동시에, 다방향 스위치(9a)를 이용함으로서, 키 톱(103)의 경사 또는 푸쉬 조작에 의해서 복수의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을 위한 손가락의 동작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유저의 사용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 다음에, 메인 프레임(14)에 접속되는 샤시(21)와, 이 샤시(21)을 거쳐서 접속되는 가동 블록(3)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샤시(21)는, 가동 블록(3)을 장치 본체(2)의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계합시키는 것이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22, 23)와, 이 측벽부(22, 23)의 사이에 걸쳐서 넘겨지는 연결부(24)를 가지고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측벽부(22, 23)는, 가동 블록(3) 측에 설치된 접동판(30)이 접동되는 것이고, 이들 접동판(30)의 슬라이드를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홈(25)과, 접동판(30) 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31)에 계합하는 원반(原盤) 모양의 코로(26)가 회전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또 측벽부(22, 23)는,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 접동판(30)의 접동 방향에 따라서 접동판(30)을 지지하는 상하 지지벽(27, 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샤시(21)는, 장치 본체(2)에 짜넣어졌을 때에 측벽부(22, 23)가 장치 본체(2)의 긴 방향에 걸쳐서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 측으로부터 배면부(2d)측에 만곡하여 형성되고, 측벽부(22, 23)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 홈(25)도 이와 같이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은, 가동 블록(3)을 장치 본체(2) 내에 슬라이드시키는 하단측의 곡율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블록(3)이 장치 본체(2) 내로 슬라이드 되면, 가동 블록(3)은 회동 지 점이 장치 본체(2)의 배면부(2d) 측으로 이동하도록 원호를 그리는 것 같이 슬라이드 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 본체(2)는, 가동 블록(3)의 액정 모니터(7) 등의 구성 부재가 장치 본체(2)의 배면부(2d) 측으로 경사하여 수납되고, 주면부(2a)와의 사이에 녹음구(8a) 및 셔터구(8b), 이러한 조작 회로가 형성된 배선 기판 등의 조작 부재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측벽부(22, 23)에 설치된 코로(26)는, 측벽부(22, 23)에 나사(29)에 의해서 회전 자재로 접속되어 있다. 이 코로(26)가 접동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31)을 전동함으로서, 샤시(21)와 접동판(30)과의 슬라이드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샤시(21)에 슬라이드 자재로 계합된 접동판(30)은, 가동 블록(3)과 접속됨으로서, 가동 블록(3)을 장치 본체(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이 접동판(30)은,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샤시(21)의 측벽부(22, 23)에 대응하여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접동판(30)에는 샤시(21)의 측벽부(22, 23)에 회전 자재로 형성된 코로(26)가 전동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홈(31)과, 샤시(21)의 측벽부(22, 23)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을 전동하는 코로(32)를 구비한다. 슬라이드 가이드 홈(31)은, 샤시(21)의 측벽부(22, 23)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25)과 동일한 곡율로 만곡되어 있다. 또, 코로(32)는, 나사(33)에 의해서 회전 자재로 접동판(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접동판(30)에는, 서로 대향 하는 내측면부(30a)에, 한 쌍의 접동판(30)을 연결하는 연결판(34)을 계합하는 계합 오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 부(35)에는, 연결판(34)의 긴 방향의 양단부에서 돌설 된 계합돌부(係合突部)(36)가 계합된다.
접동판(30)을 연결하는 연결판(34)은, 긴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접동판(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 된 가이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7)는 긴 방향에 걸쳐서 접동판(30)의 슬라이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38)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홈(38)을 거쳐서 가이드 핀(39)이 이동 자재로 삽통되어 샤시(21)의 연결부(24)와 연결되어 있다. 또, 연결판(34)은, 가이드부(37)를 사이에 둔 양측으로, 비틀어 꼰 코일 용수철(42)의 일단이 계지되는 계지구멍(41)이 천설되어 있다. 계지구멍(41)에는 비틀어 꼰 코일 용수철(42)의 일단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계지부(42a)를 삽통한 나사(43)가 삽통되어 있다. 이 비틀어 꼰 코일 용수철(42)은, 타단에 형성된 고리모양의 계지부(42b)가, 샤시(21)의 연결부(24)의 양측으로 천설된 계지구멍(24a)에 나사(44)에 의해서 계지되어 있다. 비틀어 꼰 코일 용수철(42)은, 접동판(30) 및 연결판(34)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가세(付勢) 방향이 반전하여, 가동 블록(3)을 장치 본체(2)의 상바으로 돌출시켜, 또 장치 본체(2) 내에 수납시킨다.
이상과 같은 샤시(21) 및 한 쌍의 접동판(30)은, 샤시(21)의 측벽부(22, 23)에 설치된 상하 지지벽(27, 28) 사이에 접동판(30)이 지지되는 것과 동시에, 샤시(21)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에 접동판(30)에 형성된 코로(32)가 전동 자재로 계합하고, 또한, 접동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31)에 샤시(21)에 형성된 코로(26)가 전동 자재로 계합된다. 이것에 의해 접동판(30) 및 한 쌍의 접 동판(30) 사이에 연결된 연결판(34)은, 코로(32)가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에 가이드 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접동판(30)에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홈(31)에 샤시(21)에 형성된 코로(26)가 전동함으로서 접동 마찰이 대부분 없어지고, 저항감 없이 슬라이드 된다. 또한, 접동판(30)은, 연결판(34)의 가이드부(37)에 형성된 가이드 홈(38)을, 샤시(21)의 연결부(24)에 삽통된 가이드 핀(39)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슬라이드가 가이드 된다.
이 접동판(30) 및 연결판(34)에는, 가동 블록(3)이 접속되어 접동판(30)이 샤시(21)를 슬라이드함으로서 접동판(30)을 장치 본체(2)의 긴 방향에 걸쳐서 슬라이드 시킨다. 이 가동 블록(3)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유니트 본체에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가 내장된 카메라 유니트(6)와, 카메라 유니트(6)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는 회전지지기구(50)와, 카메라 유니트(6)를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촬상 렌즈를 보호하는 커버부재(51)와, 녹음, 재생 등에 필요한 정보나 화상 등을 표시하는 액정 모니터(7)와, 액정 모니터(7)를 보호하는 액정 보호 커버(52)와, 액정 모니터(7)의 커버 유리(53)와, 카메라 유니트(6) 및 액정 모니터(7)가 장착되는 가동 샤시(54)와, 카메라 유니트(6) 및 액정 모니터(7)의 구동 회로 등이 형성된 배선 기판(55)과, 가동 블록(3)의 배면 측을 가리는 화장판(化粧板)(56)을 구비한다.
카메라 유니트(6)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모양의 유니트 본체(61) 내에 화상 정보를 받아들이는 촬상 렌즈(62)와 촬상 렌즈(62)에 의해 받아들여진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 소자나 CMOS 센서 등의 도시하지 않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를 배선 기판(55) 등에 형성된 구동 회로에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63)을 가진다. 유니트 본체(61)는, 외주면에 촬상 렌즈(62)를 바깥쪽으로 임하게 하는 렌즈 개구(64)가 형성되고, 회전지지 기구(50)에 좌우 양측면(65, 66)을 지지시킴으로서, 이 렌즈 개구(64)를 외주면의 주회방향인 도 7 가운데 화살표(R)방향 및 반화살표(R)방향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렌즈 개구(64) 및 촬상 렌즈(62)는, 유니트 본체(61)의 외주면의 일측면 측에 편의(偏倚)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유니트 본체(61)를 회전 조작하는 유저의 손가락이 렌즈 개구(64)에 직접 접하는 것에 의한 촬상 렌즈(62)의 더러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니트 본체(61)의 좌우 양측면(65, 66)은, 회전지지 기구(50)의 지지 핀(76)이 삽통되는 삽통구멍(65a, 66a)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면(66)은, 회전지지 기구(50)의 클릭판(71)에 계지되는 계지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관계되는 카메라 유니트(6)는, 회전지지 기구(50)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는 것에 의해, 외주면의 주회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외주면에 유저의 손가락을 걸 수 있는 것에 의해 회전 조작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유니트(6)는, 촬상시에는 렌즈 개구(64)가 바깥쪽으로 임하도록 회전되어 화상이 받아들여지고, 카메라 유니트(6)의 미사용시에는 유니트 본체(61)의 하측에 설치된 커버 부재(51)의 안쪽으로 렌즈 개구(64)가 회전되어 촬상 렌즈(62)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니트 본체(61)의 외주면에는, 렌즈 개구(64)와 이간한 예를 들면, 반대측의 면에 유저의 손가락을 거는 손가락 걸이 오목부나 작은 요철(凹凸)부로 이루어지는 손가락 걸이 부를 형성하고, 카메라 유니트(6)를 회전하기 쉽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카메라 유니트(6)는, 유니트 본체(61)가 회전되면 후술하는 회전지지 기구(50)에 의해서 회전 각도가 검출되고, 이 회전 각도에 따라 장치 본체(2)의 조작 모드가 변경된다.
회전지지 기구(50)는, 카메라 유니트(6)를 회전 자재로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61)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조작 모드의 변경의 전환과 이 회전각도에 따라 클릭감을 주어서 장치 본체(2)의 조작 모드의 변경을 감각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회전지지 기구(50)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와 함께 회전되는 클릭판(71)과, 클릭판(71)에 클릭감을 주는 판 용수철(72)과, 후술하는 가동 샤시와 접속되는 고정판(73)과,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조작 모드의 변경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 캠 부재(74)와, 조작 캠 부재(74)에 의해서 조작되는 검출 스위치 부재(75)와, 이들 각부재를 삽통하여 유니트 본체(61)에 축지(軸支) 시키는 것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핀(76)을 구비한다.
클릭판(71)은, 중앙부에 지지 핀(76)의 삽통구멍(71a)이 형성된 대략 원형판 모양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클릭판(71)은, 외주면에, 유니트 본체(61)의 우측면(66)에 형성된 계지 오목부(67)에 계지되는 계지편(81)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 계지편(81)이 계지 오목부(67)에 계지됨으로서, 유니트 본체(61)와 함께 회전된다. 또, 클릭판(71)은, 유니트 본체(61)와 반대측에 판 용수철(72)에 형성된 돌기부(84)가 계합하는 클릭구멍(82)이 소정 개소에 복수로 천설되어 있다. 따라 서, 클릭판(71)은, 유니트 본체(61)와 함께 회전되면, 회전 각도에 따라 장치 본체(2)의 조작 모드가 변경되는 것과 동시에, 이 회전 각도에 따라 천설된 클릭구멍(82)에 판 용수철(72)의 돌기부(84)가 계지하여 클릭감을 줄 수 있다. 회전각도에 대응한 조작 모드의 변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 용수철(72)은, 탄성을 가지는 원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클릭판(71)과 대향하는 면에 클릭구멍(82)에 계지되는 돌기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판 용수철(72)은, 외주부에 고정판(73)에 형성된 계지홈(87)과 계지되는 계지편(85)이 고정판(73) 측에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판 용수철(72)은, 고정판(73)에 계지됨으로서, 고정판(73)을 거쳐서 가동 샤시(54)와 접속되고, 카메라 유니트(6)의 회전에 의해서도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 유니트(6)과 함께 회전되는 클릭판(71)의 클릭구멍(82)을 돌기부(84)가 계지됨으로서, 카메라 유니트(6)의 회전각도에 따라 클릭감을 줄 수 있다.
판 용수철(72)이 계지되는 고정판(73)은, 중앙부에 지지 핀(76)의 삽통구멍(77)이 형성된 원형의 금속판의 일부에서 가동 샤시(54) 측에 접속편(86)이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73)은, 대략 원형의 외주부에, 판 용수철(72)에의 돌출된 계지편(85)이 계지되는 계지홈(87)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판(73)은, 접속편(86)이 가동 샤시(54)에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접속편(86)에는 카메라 유니트(6)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장치 본체(2)의 조작 모드를 변환하는 검출 스위치 부재(75)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스위치 조작을 행하는 조작 캠 부재(74)는, 중앙 에 지지 핀(76)이 삽통되는 삽통구멍(88)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이 삽통구멍(88)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외주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제 1의 캠(89)과 제 2의 캠(90)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의 캠(89, 90)은, 각각 검출 스위치 부재(75)에 형성된 제 1의 스위치(91)와 제 2의 스위치(92)에 대응하여, 조작 캠 부재(74)가 카메라 유니트(6)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 회전각에 따라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를 가압하여 조작 모드의 변환을 실행시킨다. 이들 제 1, 제 2의 캠(89, 90)은, 외주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범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조작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조작 캠 부재(74)는, 카메라 유니트(6)측이 상기 고정판(73) 및 판 용수철(72)의 각 삽통구멍 내를 삽통하여 클릭판(71)에 계합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캠 부재(74)는,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가 회전 조작되면, 클릭판(71)과 함께 회전된다.
유니트 본체(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핀(76)은, 클릭판(71), 판 용수철(72), 고정판(73), 조작 캠 부재(74)에 형성된 삽통구멍을 삽통하고, 유니트 본체(61)의 우측면(66)에 형성된 삽통구멍(66a)에 삽통한다. 이 지지 핀(76)은, 예를 들면 주위에 나사산이 끊어질 수 있었던 셀프 탭이 이용된다. 또한, 유니트 본체(61)의 좌측면(65)에도, 중앙에 삽통구멍이 형성된 원반 모양의 화장판(93)이 지지 핀(9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회전지지 기구(50)에 지지된 카메라 유니트(6)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51)는,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 및 유니트 본체(61) 내에 설치된 촬상 렌 즈(62)를 보호하는 것이며, 단면 대략 U자 모양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저부 중앙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결된 형상을 이루고, 이 노치부는 노치의 개방단 측에 의해 유니트 본체(61)가 주회방향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설되는 배설부(95)로 된다. 이 배설부(95)는, 유니트 본체(61)의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지고 유니트 본체(61)의 외주면을 소정의 회전각에 따라서 바깥쪽에 임하는 제 1의 개구부(97)와, 배설부(95)에 배설된 유니트 본체(61)의 좌우 양측면(65, 66)을 지지하는 회전지지 기구(50)을 조립할 수 있는 제 2의 개구부(98)를 가진다.
또, 배설부(95)의 개방단과 반대 측에는, 배설부(95)에 배설된 유니트 본체(61)가 커버 부재(51)의 안쪽으로 움푹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미사용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62)를 커버 부재(51)의 안쪽에 임하게 하여 보호하는 개구 지지부(9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지지부(96)는, 유니트 본체(61)의 지름보다 짧은 폭을 가지고, 유니트 본체(61)의 외주부의 하부를 개구 지지부(96)로부터 커버 부재(51)의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는 것과 동시에, 유니트 본체(61)가 조작자에 의해서 하부에 가압 되었을 때 유니트 본체(61)의 외주에 당접하여, 커버 부재(51)의 안쪽으로 움푹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개구 지지부(96)에 지지됨으로서, 배설부(95)에 배설된 유니트 본체(61)는, 회전 조작될 때에 제 1의 개구부(97)에 의해 임하는 외주부를 가압되었을 때에도, 커버-부재(51)의 안쪽으로 침체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 유니트 본체(61)는, 카메라 유니트(6)의 미사용시에는 촬상 렌즈(62)를 개구 지지부(96)에 의해 커버 부재(51)의 안쪽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촬상 렌즈(62)를 바깥쪽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먼지 등의 부착이나 렌즈 표면에의 상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설부(95)는 유니트 본체(61)의 좌우 양측면(65, 66)의 외측에 아치부(99, 100)가 걸쳐있다. 이들 아치부(99, 100)에 의해, 유니트 본체(61)는,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 기구(50)가 아치부(99, 1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커버-부재(51)의 상방으로의 누락방지도 도모해진다.
회전지지 기구(50)의 고정판(73)의 접속편(86)과 접속되는 가동 샤시(54)에는, 장치 본체(2) 측에 조립할 수 있는 샤시(21)에 지지된 접동판(30)과, 이 접동판(30) 및 연결판(34)에 접속된 액정 모니터(7)와, 액정 모니터(7)를 보호하는 액정 보호 커버(52)와, 카메라 유니트(6) 및 액정 모니터(7)의 구동 회로 등이 형성된 배선 기판(55)과, 가동 블록(3)의 배면측을 가리는 화장판(56)이 접속되어 있다. 또 액정 모니터(7)에는 모니터부를 보호하는 커버 유리(53)가 첩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가동 블록(3)은, 액정 모니터(7)와 접속된 접동판(30)이, 샤시(21)의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을 슬라이드함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 내의 수납 위치와, 도 2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의 상방의 돌출 위치에 따라서 이동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장치(1)는, 가동 블록(3)이 도 1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에 있을 때는, 통상의 음성 녹음이나 재생 조작이 행하여진다. 이때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에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부(18)에 의해 액정 모니터(7)의 상부 가장자리(7a)가 임할 수 있다. 액정 모니터(7)의 상부 가장자리(7a)에는, 녹음 또는 재생 시간이나 메모리 잔량 등의 녹음이나 재생 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블록(3)과 계합된 샤시(21)의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은, 장치 본체(2)의 긴 방향에 따라서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로부터 배면부(2d)측에 만곡하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계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을 접동판(30)이 슬라이드함으로서, 이 접동판(30)과 접속된 가동 블록(3)도 주면부(2a)로부터 배면부(2d)측에 걸쳐 원호 모양으로 회동되면서 슬라이드 된다. 구체적으로, 이 슬라이드 가이드 홈(25)은, 가동 블록(3)이 도 11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 내의 수납 위치에 슬라이드될 때, 가동 블록(3)의 회동 지점이 배면(2d)측으로 약간 이동하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블록(3)은, 장치 본체(2)의 수납 위치에 슬라이드 되면,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로부터 배면부(2d)에 걸쳐 깊게 경사하기 때문에, 가동 블록(3)의 액정 모니터(7)와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를 구성하는 상 하프(10)와의 사이에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1)는, 이 가동 블록(3)의 액정 모니터(7)와 장치 본체(2)의 상 하프(10)와의 사이에 설치한 스페이스에, 녹음을 개시하는 녹음구(8a)나 카메라 유니트(6)를 조작하는 셔터구(8b) 및 이들을 구동시키는 회로가 형성된 배선 기판을 배설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녹음중 등에 이 녹음중의 음성 정보에 관한 화상 정보를 받아들이는 경우에는, 가동 블록(3)이 도 2 및 도 12에 나타내는 돌출 위치에 회동되고, 장치 본체(2)의 주면부(2a)에 액정 모니터(7)의 전체가 나타난다. 유저는, 액정 모니터(7)에 표시되는 촬상 렌즈(62)에 받아들여진 화상을 보면서 커버 부재 (51)의 제 1의 개구부(97)에 의해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을 회전 조작하여 앵글 조정을 행한 후, 촬상을 행한다.
이때, 기록 재생장치(1)는, 가동 블록(3)이, 도 2 및 도 12에 나타내는 장치 본체(2)의 상방의 돌출 위치에 회동되었을 경우에, 액정 모니터(7) 근방에 셔터 버튼(8b)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장치 본체(2)를 파지한 손의 엄지를 이용하여 가동 블록(3)을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켜 유니트 본체(61)을 회전 조작하는 것과 동시에, 이 엄지를 재빠르게 셔터 버튼(8b)에 위치 시킬 수 있어, 액정 모니터(7)에 의해서 촬상 화면을 확인하면서 셔터 버튼(8b)도 확인할 수 있어 민첩하게 셔터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액정 모니터(7)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블록(3)이 장치 본체(2) 내에 수납되어 있었을 때에 상부 가장자리(7a)에 표시되어 있던 음성 정보의 녹음이나 재생 등에 필요한 정보가, 하부 가장자리(7b)로 이동하여 표시되고, 주로 촬상용의 모니터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즉, 기록 재생장치(1)는, 가동 블록(3)이 장치 본체(2) 내의 수납 위치에 슬라이드 되어 액정 모니터(7)의 일부만이 나타나고 있는 경우에는, 녹음 기능만이 이용되는 것으로부터, 이것에 필요 정보를 액정 모니터(7)의 필요한 최소한의 표시 영역으로 표시하고, 가동 블록(3)이 장치 본체(2)의 상방의 돌출 위치에 슬라이드되고, 액정 모니터(7)의 전체가 나타나면 녹음 기능에 더해서 촬상 기능을 이용되는 것으로부터, 이것에 연동하여 이 액정 모니터(7)의 표시 내용을 음성 녹음 및 음성 재생에 적절한 정보로부터 영상 촬영, 영상 재생에 적절한 정보를, 최적인 표시 영역으로 표시시킨다. 따라서, 기록 재생장치(1)는, 녹음 기능에 더해서 촬상 기능도 가지고, 이러한 다기능화에 따라 장치 본체(2)의 형태가 변화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이 기능에 최적인 표시 영역으로 최적인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어 표시 변경 버튼 등의 설치, 조작 등을 행할 필요가 없고, 조작성,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문자 정보가 액정 모니터(7)의 상부 가장자리(7a)로부터 하부 가장자리(7b)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모니터 전체에는 촬상 렌즈(62)에 받아들여진 영상이 표시된다. 또, 조작 버튼군(4)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문자 정보를 소거시킬 수도 있다. 그 후, 기록 재생장치(1)는, 주면부(2a)의 액정 모니터(7)의 하부에 설치된 셔터버튼(8b)등의 조작부가 조작되고, 화상 정보를 촬상한다. 촬상된 화상 정보는, 음성 정보를 재생할 때에 액정 모니터(7)에 일람 표시되는 인덱스로서 이용되고, 유저는 간단하게 촬상시의 음성 정보를 선택, 재생할 수 있고, 또 이 음성을 녹음했을 때의 화자나 그 주위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기록 재생장치(1)는,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가 회전되면, 이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지지 기구(50)가 유저에 클릭감을 주는 것과 동시에, 회전 각도에 따라 조작 모드의 변경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기록 재생장치(1)는, 도 13(a) 및 도 14(a)에 나타내는 유니트 본체(61) 내에 설치된 촬상 렌즈(62)가 커버 부재(51)의 바로 아래로 향한 기준 위치(회전 각도 0°)에 있는 홀드 온 포지션과, 도 13(b) 및 도 14(b)에 나타내는 촬상 렌즈(62)가 기준 위치로부터 회전되지만 커버 부재(51)의 개구 지지부(96)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위치(예를 들면 회전 각도 24°)에 있는 홀드 온 포지션과, 도 13(c) 및 도 14(c)에 나타내는 촬상 렌즈(62)가 커버 부재(51)의 개구 지지부(96)로부터 바깥쪽으로 임하게 되는 위치(예를 들면 회전 각도 70°)에 있는 카메라 온 포지션과, 도 13(d) 및 도 14(d)에 나타내는 촬상 렌즈(62)가 대략 정면으로 향해진 위치(예를 들면 회전 각도 95°)에 있는 홈 포지션과 도 13(e) 및 도 14(e)에 나타낸 촬상 렌즈(62)가 조작자 측에 회전된 위치(예를 들면 회전 각도 220°)에 있는 반전 포지션과, 도 13(f) 및 도 14(f)에 나타내는 유니트 본체(61)의 회전 한계가 되는 위치(예를 들면 회전 각도 270°)에 있는 스톱 포지션과의 각 포지션에 따라 조작 모드의 변경을 행한다.
유니트 본체(61)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지지 기구(50)의 클릭판(7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판(73)에 계지되어 회전이 규제되고 있는 판 용수철(72)에 돌설 된 돌기부(84)에 승넘을 수 있는 클릭구멍(8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릭구멍(82)은,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에, 판 용수철(72)의 돌기부(84)가 계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의 클릭구멍(82a)과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에, 판 용수철(72)의 돌기부(84)가 계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의 클릭구멍(82b)과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홈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에, 판 용수철(72)의 돌기부(84)가 계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3의 클릭구멍(82c)과 도 14(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스톱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에, 판 용수철(72)의 돌기부(84)가 계지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4의 클릭구멍(82d)을 구비한다.
유저는 제 1 ~ 제 4의 클릭구멍(82a ~ 82d)이 돌기부(84)에 계지됨으로서 클 릭감을 얻을 수 있고,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 홀드 오프 포지션, 홈 포지션 및 스톱 포지션으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클릭판(71)은, 홀드 온 포지션 및 홀드 오프 포지션에 대응한 제 1, 제 2의 클릭구멍(82a, 82b)가, 홈 포지션 및 스톱 포지션에 대응한 제 3, 제 4의 클릭구멍(82c, 82d)에 의해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클릭판(71)은,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 및 홀드 오프 포지션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홈 포지션 및 스톱 포지션으로 회전했을 때에 비교해 큰 클릭감을 줄 수 있고, 유저에 대해서 보다 확실히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 및 홀드 오프 포지션까지 회전된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유니트 본체(61)가 각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의 조작 모드의 변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홀드 온 포지션에서는, 장치 본체(2)의 조작 버튼군(4)의 조작이 무효로 되고, 오조작이 방지된다. 또, 녹음이나 재생시에 유니트 본체(61)를 홀드 온 포지션으로 회전시키면, 녹음이나 재생을 계속 한다. 홀드 오프 포지션에서는, 장치 본체(2)의 조작 버튼군(4) 내, 셔터 버튼(8b) 이외가 유효로 되고, 음성 정보의 녹음이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카메라 온 포지션으로부터 홈 포지션에 있어서는 촬상 렌즈(62)가 커버 부재(51)의 제 1의 개구부(97)로부터 바깥쪽으로 임하여 액정 모니터(7)에 촬상 렌즈(62)에 받아들여진 화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셔터 버튼(8b)을 포함하여 모든 조작 버튼군(4)의 조작이 유효로 된다. 반전 포지션으로부터 스톱 포지션에 있어서는, 조작자 측에 촬상 렌즈(62)가 회전되는 것으로부터, 액정 모니터(7)에 표시되는 화상을 반전시키고, 조작자로 부터 보았을 때에 상하가 역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니트 본체(61)에 클릭감을 주어 조작 모드의 변환을 행하는 장치 본체(2)는, 유니트 본체(61)와 함께 회전되는 조작 캠 부재(74)에 의해서 고정판(73)에 접속된 조작 스위치 부재(75)의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의 가압 조작을 행하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의 가압 상황을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 모드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7(a) 및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에 회전되었을 때, 검출 스위치 부재(75)는, 조작 캠 부재(74)의 제 1, 제 2의 캠(89, 90)이 모두,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에 당접되지 않고 OPEN으로 된다. 장치 본체(2)는,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가 모두 OPEN인 것으로부터,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온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조작 버튼군(4)의 조작을 무효로 된다.
그 다음에, 도 17(b)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어 홀드 오프 포지션으로 되면, 검출 스위치 부재(75)는, 조작 캠 부재(74)의 제 1의 캠(89)이 제 1의 스위치(91)와 당접되어 CLOSE가 되고, 제 2의 캠(90)이 제 2의 스위치(92)와 당접되지 않고 OPEN이 된다. 장치 본체(2)는,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제 1의 스위치(91)가 CLOSE, 제 2의 스위치(92)가 OPEN으로 되고, 유니트 본체(61)가 홀드 오프 포지션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여, 조작 버튼군(4)의 셔터 버튼(8b) 이외의 조작을 유효로 한다.
그 다음에, 도 17(c, d) 및 도 18(c,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 (61)가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어 카메라 온 포지션으로부터 반전 포지션의 직전까지의 영역으로 위치되면, 조작 캠 부재(74)의 제 1, 제 2의 캠(89, 90)이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와 당접되어 모두 CLOSE가 된다. 장치 본체(2)는,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제 1, 제 2의 스위치(91, 92)의 모두가 CLOSE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유니트 본체(61)가 카메라 온 포지션으로부터 반전 포지션의 직전까지의 영역으로 회전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액정 모니터(7)에 촬상 렌즈(62)에 받아들여진 화상을 정회전 표시함과 동시에 셔터 버튼(8b)을 포함하여 모든 조작 버튼군(4)의 조작을 유효로 한다.
그 다음에, 도 17(e) 및 도 1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전 포지션으로 되면, 검출 스위치 부재(75)는, 조작 캠 부재(74)의 제 1의 캠(89)이 제 1의 스위치(91)와 당접되지 않고 OPEN이 되고, 제 2의 캠(90)이 제 2의 스위치(92)와 당접되어 CLOSE가 된다. 장치 본체(2)는 검출 스위치 부재(75)의 제 1의 스위치(91)가 OPEN, 제 2의 스위치(92)가 CLOSE인 것으로부터, 유니트 본체(61)가 반전 포지션까지 회전된 것을 검출하여, 액정 모니터(7)에 표시하는 화상을 반전시키고, 조작자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하가 역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다음에, 도 17(f) 및 도 1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본체(61)가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톱 포지션으로 되었을 때에도, 검출 스위치 부재(75)는, 조작 캠 부재(74)의 제 1의 캠(89)이 제 1의 스위치(91)와 당접되지 않고 OPEN 상태가 유지되고, 제 2의 캠(90)이 제 2의 스위치(92)와 당접되 어 CLOSE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때, 제 4의 클릭구멍(82d)에 돌기부(84)가 계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스토퍼 기구에 의해서 유니트 본체(61)의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 후, 유니트 본체(61)가 도 13 가운데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되어 카메라 온 포지션을 넘어 홀드 오프 포지션까지 되돌려지면, 홀드 온 포지션으로부터 대략 40°정도의 위치에서 카메라 유니트(6)의 동작이 정지되고, 액정 모니터(7)에 의해 영상이 사라진다.
이와 같이, 기록 재생장치(1)에서는, 유니트 본체(61)에 형성된 촬상 렌즈(62)의 회전 조작과 연동하여 장치 본체(2)의 조작 모드가 변경되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모드 변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니트 본체(61)의 회전각도에 적절한 장치 본체(2)의 촬영 모드됨으로서, 유니트 본체(61)의 조작을 감각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하에 이러한 기록 재생장치(1)의 조립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동 블록(3)의 가동 샤시(54)에 액정 모니터(7) 및 배선 기판(55)을 접속한다. 또, 커버 부재(51)에는 제 1의 개구부(97) 측으로부터 배설부(95)에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가 삽입되어 그 다음에, 제 2의 개구부(98) 측으로부터 회전지지 부재(50)를 조립할 수 있다.
또, 샤시(21)에 접동판(3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됨과 동시에, 이 접동판(30)에 액정 모니터(7)가 장착된다. 액정 모니터(7)에는 커버 유리(53)가 첩착(貼着)된다. 그리고, 가동 샤시(54)에, 샤시(21)에 계합된 접동판(30)에 접속 된 액정 모니터(7)와, 액정 보호 커버(52)와, 배선 기판(55)과, 화장판(56)을 장착하고, 그 다음에, 회전지지 부재(50)의 고정판(73)과 가동 샤시(54)를 접속한다.
그 다음에, 가동 샤시(54)를 슬라이드 자재로 지지하는 샤시(21)을 메인 프레임(14)에 접속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14)은, 미리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마이크 등이 실장된 배선 기판군(13)이 접속되어 있다. 그 후, 장치 본체(2)를 구성하는 상하 하프(10, 11) 및 외장 프레임(12)에서, 메인 프레임(14)을 둘러싸도록 접속하여 기록 재생장치(1)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기록 재생장치(1)는, 커버 부재(51)의 제 1의 개구부(97) 측으로부터 배설부(95)에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가 삽입되고, 그 다음에, 제 2의 개구부(98) 측으로부터 회전지지 부재(50)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 재생장치(1)는, 유니트 본체(61)의 지름 보다 작은 지름의 개구 지지부(96)가 형성된 커버 부재(51)의 선단측인 제 1의 개구부(97) 측으로부터 유니트 본체(61)가 짜넣어져 회전지지 기구(50)에 의해서 유니트 본체(61)의 누락방지가 도모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2)는, 상하 하프(10, 11)의 조립 공정과는 다른 카메라 유니트(6)를 가동 블록(3)에 조립할 수 있고, 카메라 유니트(6)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제작, 설계상의 자유도를 더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기록 재생장치(1)에 대해서는, 상기 홀드 온 포지션, 홀드 오프 포지션, 카메라 온 포지션, 홈 포지션, 반전 포지션 및 스톱 포지션이 되는 카메라 유니트(6)의 유니트 본체(61)의 회전 각도는 예시이며, 적당히 변경하 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재생장치에 의하면,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의 회전 조작과 연동하여 장치 본체의 조작 모드가 변경되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모드 변환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의 회전 각도에 적절한 장치 본체의 촬상 모드 되는 것에 의해,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의 조작을 감각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장치 본체의 조작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장치 본체에 회전 자재로 지지된 대략 원통형의 외부 정보 입력 수단과,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에 의해서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외부 정보 출력 수단과,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 부재와,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캠 부재에 당접 또는 이간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장치 본체의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와,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 정보의 입력 또는 출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정보 출력 수단 및 조작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한 장치 본체의 모드 전환에 따라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은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니트이며, 이 촬상 유니트를 회전함으로서 상기 촬상 렌즈가 상기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임하면, 상기 캠 부재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장치 본체를 촬상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은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니트이며, 이 촬상 유니트를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촬상 렌즈가 상기 장치 본체의 바깥쪽으로 임하지 않은 위치로 되면, 상기 캠 부재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장치 본체를 녹음 모드 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정보 출력 수단은 모니터이며, 상기 외부 정보 입력 수단은 촬상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유니트이며, 이 촬상 유니트를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촬상 렌즈가 조작자 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캠 부재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가 상기 모니터의 표시를 상하 반전시켜 이 조작자를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장치.
KR1020050078786A 2004-08-31 2005-08-26 기록 재생장치 KR20060050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3432A JP4628045B2 (ja) 2004-08-31 2004-08-31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JP-P-2004-00253432 2004-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705A true KR20060050705A (ko) 2006-05-19

Family

ID=3509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786A KR20060050705A (ko) 2004-08-31 2005-08-26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9040B2 (ko)
JP (1) JP4628045B2 (ko)
KR (1) KR20060050705A (ko)
CN (1) CN100417195C (ko)
GB (1) GB24176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2753B2 (ja) * 2007-06-13 2009-09-16 ソニー株式会社 音声レコーダ
CN101630055B (zh) * 2008-07-17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摄像功能的电子设备
CN101999879B (zh) * 2009-09-01 2013-01-23 上海道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中医舌面象数据采集装置
JP5287706B2 (ja) * 2009-12-25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196070B (zh) * 2010-03-15 2014-12-31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
JP6156021B2 (ja) * 2013-09-27 2017-07-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回動部材の回動状態検出機構、及び電子機器
DE102016124125A1 (de) * 2016-12-13 2018-06-14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Kraft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JP6642527B2 (ja) * 2017-07-20 2020-0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944B2 (ja) 1992-07-20 2000-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807616B2 (ja) * 1992-07-30 1998-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DE69513224T2 (de) * 1994-05-12 2000-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kamera
JP3183056B2 (ja) * 1994-08-26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H10285440A (ja) 1997-04-10 1998-10-23 Minolta Co Ltd 電子カメラ
JP3239296B2 (ja) 1998-06-30 2001-12-17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等の引起装置
FI104042B (fi) * 1998-09-29 1999-11-15 Aaro Kiuru Menetelmä keuhkojen perfuusion mittaamiseksi
JP2001169156A (ja) 1999-12-09 2001-06-22 Aiwa Co Ltd 撮影装置
US6552720B1 (en) * 2000-06-09 2003-04-22 Nokia Mobile Phones Ltd.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and entertainment having a barrel user-interface
US6912006B2 (en) * 2001-04-16 2005-06-28 Sony Corporation Exposure controller for camera attached to electronic equipment
KR20020069244A (ko) 2000-11-09 2002-08-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네트워크 컴플리언트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노드들을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2223403A (ja) 2001-01-29 2002-08-09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
WO2003046705A2 (en) * 2001-11-27 2003-06-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portable device
JP3615195B2 (ja) * 2002-03-19 2005-01-26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JP4131805B2 (ja)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3675430B2 (ja) * 2002-09-20 2005-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
JP4374610B2 (ja) * 2003-04-18 2009-1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データ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9040B2 (en) 2011-04-19
US20060045485A1 (en) 2006-03-02
GB0516545D0 (en) 2005-09-21
GB2417633B (en) 2007-05-30
GB2417633A (en) 2006-03-01
CN100417195C (zh) 2008-09-03
CN1758716A (zh) 2006-04-12
JP2006074264A (ja) 2006-03-16
JP4628045B2 (ja)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0705A (ko) 기록 재생장치
US796949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movable display screen
KR101170163B1 (ko) 기록재생장치
JP2007158799A5 (ko)
JP2007174584A (ja) 電子機器
JP4397950B2 (ja) 撮像装置
JP5056713B2 (ja) 記録再生装置
JP4449662B2 (ja) 記録再生装置
KR20050066305A (ko)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JP2007174365A (ja) 電子機器
JPH0918159A (ja) 電子機器
JP2006071848A (ja) 記録再生装置
JP2006071847A (ja) 記録再生装置
JP2007325009A (ja) 撮像装置
JP4891170B2 (ja) 撮像装置
JP5153355B2 (ja) ロック機構
JP4521198B2 (ja) カメラ
JPH035030Y2 (ko)
JP201010994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21157024A (ja) 電子機器及び蓋ユニット
JP2021047326A (ja) 電子機器
JP2009253863A (ja) 記憶媒体用カバー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7220161A (ja) 電子機器
JP2006303677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