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2557A -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2557A
KR20070042557A KR1020077004135A KR20077004135A KR20070042557A KR 20070042557 A KR20070042557 A KR 20070042557A KR 1020077004135 A KR1020077004135 A KR 1020077004135A KR 20077004135 A KR20077004135 A KR 20077004135A KR 20070042557 A KR20070042557 A KR 20070042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guide
door closing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818B1 (ko
Inventor
마사히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Publication of KR2007004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consisting of two or more independent parts movable each in its own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piston rod protruding from the closer housing; Telescoping clo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4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 E05Y2201/41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 E05Y2201/412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가구 등의 미닫이문을 문닫힘쪽 단부에 있어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의 미닫이문의 속도를 적정하게 감속하여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폐 시작시에서의 미닫이문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A)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1)에 회동가능하게 후크부재(2)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가 코일 스프링(3)을 통하여 문닫힘쪽으로 밀어 붙여지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B)는 상기 후크부재(2)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왕복형 액압댐퍼(4)는 상기 실린더 틀체부(4a)와 피스톤 로드(4b)와 액체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킨다.
가구, 미닫이문, 슬라이딩 도어, 액압댐퍼, 탄성, 충돌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의 수납가구에서의 미닫이문에 있어서, 특히, 미닫이문의 문닫힘쪽 단부(端部) 부근으로 근접시킴으로써, 그 미닫이문을 문닫힘쪽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 당겨지게 함과 아울러,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개폐 시작시에서의 미닫이문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문헌1 등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미닫이문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의 수납가구에는, 유리창을 구비한 미닫이문이 장착되는 일이 많다. 이 미닫이문은 작은 폭의 수납가구이면 폭 부위의 상하에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고, 유리판의 상하단부가 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극히 간단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그러나, 고급 가구나 고급 캐비넷(cabinet)에서는, 미닫이문의 열기 및 닫기의 동작에도 중후하면서도 고상한 것이 요구된다. 특히, 대형의 가구에서는, 미닫이문도 대형으로 되어, 미닫이문 자체의 중량도 극히 커지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특개2002-13873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러한 대형의 미닫이문은 그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미닫이문이 일단 이동하기 시작하면, 그 기세에 의해, 문닫힘 단부에 큰 충격을 주어서 충돌상태로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태는 가구의 품질을 저하시켜, 고급 가구나 캐비넷에 상응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미닫이문 문닫힘쪽 단부에서의 문닫힘의 충돌상태를 방지하려고 하면, 결국, 미닫이문 문닫힘 동작의 기세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야 하는데, 그에 따라 미닫이문 문닫힘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되기 쉽다.
이러한 것도 가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미닫이문 문닫힘 동작에서의 완충 기능을 갖는 것으로는, 그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이 많고, 그에 따라 문닫힘 장치가 미닫이문 장치의 외부로 노출하여버리고,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 외관도 손상하게 된다. 또한, 미닫이문을 열 때에,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서는 미닫이문에는 이동방향으로 모멘트가 걸리고, 미닫이문이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경사하여 버리는 일이 있어, 개폐 동작이 안정하기 어려운 일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고급 가구 및 캐비넷에서의 미닫이문 문닫힘쪽 단부 부근으로 근접시킴으로써, 그 미닫이문을 문닫힘쪽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되고, 또한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의 가이드 레일에 직접 조립하여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하고, 또한 미닫이문 개폐시에서의 동작을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청구항 1의 발명을, 가이드 레일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casing)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슬라이딩(sliding)하는 슬라이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후크(hook)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통하여 문닫힘쪽으로 밀어 붙여지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走行體)가 상기 후크부재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실린더(cylinder) 틀체부와 피스톤 로드(piston rod)와 액체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왕복형 액압댐퍼(液壓damper)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다음에, 청구항 2의 발명을, 슬라이딩부재와, 그 슬라이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回動基部)와 피(被)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문닫힘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코일 스프링과, 실린더 틀체부와, 그 실린더 틀체부내를 왕복가능하게 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틀체부에 밀봉형상으로 충전(充塡)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저항력을 주는 액체로 이루어지는 왕복형 액압댐퍼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후크부재, 코일 스프링, 왕복형 액압댐퍼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主)안내부와 그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뻗는 아암(arm)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문열림쪽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가능하게 되고,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함과 아울러, 그 슬라이딩부재의 코일 스프링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켜서 이루어지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을,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대략 병렬로 배치하거나, 또는 청구항 4의 발명을, 상기 코일 스프링 내부측에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의 피스톤 로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미닫이문의 개폐에서는, 초기 동작에서 덜거덕거리거나 진동하는 일 없이,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고, 특히 고급 가구나 캐비넷 등의 미닫이문 장치로서 사용한 경우에 미닫이문의 동작이 극히 양호하고, 또한 문닫힘 완료시는 극히 조용하다. 또한 미닫이문을 문닫힘쪽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되고, 또한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 가이드 레일에 직접 조립하여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틀체부와 피스톤 로드와 액체로 구성된 왕복형 액압댐퍼를 사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며, 미닫이문의 이동속도의 감속이 양호하게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미닫이문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왕복형 액압댐퍼를 사용함으로써,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그 동작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이며, 그 슬라이딩부재 문닫힘 방향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거의 낭비 함이 없이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과 왕복형 액압댐퍼를 병렬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코일 스프링 또는 왕복형 액압댐퍼의 교체, 교환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과 왕복형 액압댐퍼를 병렬로 배치함으로써,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내에의 왕복형 액압댐퍼 및 코일 스프링의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문닫힘장치를 더욱 컴팩트(compact)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미닫이문에 장착된 상태의 일부 단면으로 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B는 문닫힘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C는 문닫힘장치의 후크부재가 케이싱내로 끌어들여진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슬라이딩부재와 후크부재와 실린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후크부재 부위의 일부 단면으로 한 확대도이다.
도 3A는 문닫힘장치의 주요부를 제1 케이싱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B는 문닫힘장치의 주요부를 제2 케이싱부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A는 슬라이딩부재와 후크부재와 왕복형 액압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슬라이딩부재와 후크부재와 왕복형 액압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슬라이딩부재와 경사한 상태의 후크부재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B는 슬라이딩부재와 후크부재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제1 케이싱부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후크부재가 주안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7B는 후크부재가 피결합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8A는 후크부재가 주안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확대 작용도이다.
도 8B는 후크부재가 피결합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확대 작용도이다.
도 9A는 가이드 주행체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장착된 미닫이문 장치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근접하는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10B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의 피접촉편에 접촉한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10C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걸린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11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걸려서 후크부재의 가(假)정지상태를 해제한 작용도이다.
도 11B는 문닫힘이 완료한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12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내의 후크부재에 걸리고 있는 문열림 시작의 작용도이다.
도 12B는 미닫이문을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부재를 문열림 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작용도이다.
도 12C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후크부재를 가정지상태로 한 작용도이다.
도 13A는 왕복형 액압댐퍼의 제2타입(type)의 장착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후크부재가 케이싱내로 끌어들여진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미닫이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부호의 설명
A … 케이싱
B … 가이드 주행체
1 … 슬라이딩부재
2 … 후크부재
2c … 결합부
3 … 코일 스프링
4 … 왕복형 액압댐퍼
4a … 실린더 틀체부,
4b … 피스톤 로드
7 … 피결합면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로 상하의 가이드 레일측에 고정하는 슬라이딩부재(1), 후크부재(2), 코일 스프링(3), 왕복형 액압댐퍼(4) 및 케이싱(A) 등으로 이루어지는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와, 미닫이문(18)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주행체(B)와, 상하의 가이드 레일 및 이것들이 장착되는 캐비넷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는 도 2, 도 4, 도 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각축(角軸)형상의 슬라이딩본체부(1a)를 갖고 있다. 그 슬라이딩본체부(1a)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方形狀)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측이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딩본체부(1a)의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도 2A,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지지연결부(1c)가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가능한 지지연결 부(1c)에는 연결축편(連結軸片, 1c1)이 형성되고, 그 연결축편(1c1)을 통하여,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후에 설명하는 후크부재(2)와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본체부(1a)의 길이방향 단면(端面)에서 상기 회전가능한 지지연결부(1c)의 부근에는 피안내돌기편(被案內突起片, 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안내돌기편(1d)은 도 2,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본체부(1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부위이며, 또한 그 상면은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후에 설명하는 케이싱(A)의 주안내부(6)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부위로 된다. 또한 피안내돌기편(1d) 부위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하여 슬라이딩부재 조작편(1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 조작편(1f)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코일 스프링(3)의 단부가 걸려지는 코일 스프링 연결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본체부(1a)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케이싱(A)측에 형성된 슬라이딩규제부(11)에 결합하는 슬라이딩규제돌기(1g)가 형성된다[도 4A참조]. 이 슬라이딩규제돌기(1g)는 그 슬라이딩부재(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문닫힘쪽 근방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슬라이딩부재(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의 문열림쪽 단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h)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h)의 선단이 이후에 설명하는 후크부재(2)에 접촉하여, 후크부재(2)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한편, 여기에 서, 문닫힘쪽 및 문열림쪽에 대하여 설명하면, 그 문닫힘쪽이란, 미닫이문(18)을 닫는 경우에 이동하는 방향이며, 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 문열림쪽이란, 도 1A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케이싱(A)내에 있어서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근방이 문닫힘쪽이며, 좌측 근방이 문열림쪽이다.
다음에, 후크부재(2)는 회동기부(2a)와, 후크부(2b)와, 상기 회동기부(2a)의 요동동작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2c)로 구성된다. 그 후크부(2b)는,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으로 구성되고, 그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은 대략 평행상태로 되어 있다. 그 피걸림편(2b1)은,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접촉편(2b2)보다 그 높이방향의 치수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의 형상은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凹部, 2b3)로 되어 있고, 그 오목부(2b3)에 이후에 설명하는 가이드 주행체(B)의 안내부재(15)가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회동기부(2a)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에 회전가능한 지지연결부(1c)에 형성된 연결축편(1c1)이 삽입되는 회전가능한 지지구멍(2a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편(1c1)이 회전가능한 지지구멍(2a1)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1)와 후크부재(2)가 연결되고, 그 후크부재(2)는 슬라이딩부재(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4, 도 5, 도 7A, 도 8 등 참조). 상기 결합부(2c)는, 상기 회동기부(2a)의 회전가능한 지지구멍(2a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결합부(2c)는, 회동기부(2a)의 외주측면으로서 형성된 부위이다. 그 결합부(2c)는, 이후에 설명하는 케이싱(A)내에 형성된 피결합면부(7)와 원호형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근접 또는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2)와 슬라이딩부재(1)의 회전가능한 지지연결부(1c)의 연결축편(1c1)이 회전가능한 지지구멍(2a1)에 의해, 요동할 때의 중심을, 상기 결합부(2c)의 원호의 중심으로 한 것이다.
또한, 후크부재(2)의 후크부(2b)에는, 가이드돌기(2d)가 형성되는 것도 있다. 그 가이드돌기(2d)는, 이후에 설명하는 케이싱(A)에 형성된 보조안내부(12)에 삽입됨으로써 후크부재(2)를 케이싱(A)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호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그 후크부재(2)의 회동동작도 양호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기부(2a)에는, 도 4B,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후크 조작편(2e)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크 조작편(2e)은 오동작에 의해, 케이싱(A)내에 수납되어 버린 경우에, 후크 조작편(2e)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케이싱(A)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크 조작편(2e)은, 상기 슬라이딩부재 조작편(1f)과 함께 케이싱(A)의 외부로 돌출하여, 케이싱(A)의 외부로부터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의 강제이동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회동기부(2a)의 상단부(頂部) 부위에서, 또한 후크부(2b)의 폭방향으로부터 직각으로 되도록 걸림용 돌기편(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용 돌기편(2f)은, 후크부재(2)가 슬라이딩부재(1)와 함께 이후에 설명하는 주안내부(6)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걸림용 돌기편(2f)이 주안내부(6)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에, 케이싱(A)은, 2개로 분할된 것이며, 제1 케이싱부(A1) 및 제2 케이싱부(A2)로 구성된다. 도 6은, 제1 케이싱부(A1)의 내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 제1 케이싱부(A1)의 제1 본체(5)의 내부측에는, 주안내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 주안내부(6)는, 제1 케이싱부(A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며, 또한 그 하면측이 평탄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주안내부(6)는, 제1 본체(5)의 표면보다 안쪽측으로 팽출(膨出)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안내부(6)는, 상기 제1 본체(5)의 길이방향의 문열림쪽의 대략절반의 영역에 형성된 것이다. 주안내부(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면측이 평탄형상으로 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의 상단면(上端面)이 접촉하고, 또한 상기 후크부재(2)의 걸림용 돌기편(2f)도 주안내부(6)에 접촉한다. 이 주안내부(6)의 열림측 방향 단부 부위에는, 피결합면부(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결합면부(7)는, 도 6 내지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부재(2)가 돌기(凸)형상의 원호형상면, 즉, 원호형상 돌기면부이며, 상기 피결합면부(7)가 오목(凹)형상의 원호형상면, 즉, 원호형상 오목면부이다. 상기 결합부(2c)와 피결합면부(7)의 곡률의 반경은 대략 같고, 상기 결합부(2c)는 피결합면부(7)를 따라 부드럽게 회동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크부재(2)는, 주안내부(6)를 따라 이동하여 피결합면부(7)의 부위에 도달하면,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이동하여 후크부재(2)의 요동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2)의 결합부(2c)가 상기 피결합면부(7)에 결합함으로써, 후크부재(2)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정지 상태로 된다. 이 가정지 상태란, 다소의 진동 등에서는 동작하지 않지만,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접촉하였을 때에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정지 유지가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때 후크부재(2)는, 피걸림편(2b1)의 상단이 피접촉편(2b2)의 상단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주행체(B)의 안내부재(15)는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에 출입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케이싱부(A1)내에는 왕복형 액압댐퍼(4)가 장착된다. 그 주안내부(6)의 아래쪽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이 접촉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은, 왕복형 액압댐퍼(4)가 발생시키는 저항력(T)보다 큰 것이 조건이지만, 그 탄성력(F)과 저항력(T)과의 차이는 적절히 설정된다.
다음에, 제2 케이싱부(A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제2 케이싱부(A2)내부를 바라본 도면으로, 슬라이딩부재(1), 후크부재(2), 코일 스프링(3) 및 왕복형 액압댐퍼(4)가 장착된 것이다. 도 3B는 제2 케이싱부(A2)을 외부에서 바라본 도면 이다. 또한, 도 3A는 제2 케이싱부(A2)와 제1 케이싱부(A1)를 조합시킨 도면이며, 제1 케이싱부(A1)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 제2 본체(10)에, 슬라이딩규제부(11) 및 보조안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딩규제부(11)는 직선형상이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규제돌기(1g)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1)의 케이싱(A)내에서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즉, 슬라이딩부재(1)가 케이싱(A)내를 적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가 케이싱(A)의 외부로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슬라이딩부재(1)의 적정한 이동이란,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에 의해 문열림 방향으로 인출된 후크부재(2)가 피결합면부(7) 부위에서 가정지할 수 있는 범위의 이동을 말한다. 상기 슬라이딩규제부(11)는 슬릿(slit)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규제돌기(1g)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홈폭을 갖고 있다.
다음에, 상기 보조안내부(12)는,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후크부재(2)의 가이드돌기(2d)가 삽입됨으로써 후크부재(2)를 안정한 상태에서 케이싱(A)의 길이방향의 이동 및 요동의 동작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그 보조안내부(12)는 직선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슬라이딩 안내부(12a)와, 또한 후크부재(2)가 요동하는 요동 안내부(1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선슬라이딩 안내부(12a)는, 후크부재(2)가 슬라이딩부재(1)와 함께 케이싱(A)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후크부재(2)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요동 안내 부(12b)는, 후크부재(2)가 요동동작을 할 때에 안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보조안내부(12)는, 상기 제1 케이싱부(A1)의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에 의한 슬라이딩부재(1)와 후크부재(2)의 동작을 더욱 확실하게 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조안내부(12)는 형성되지 않은 것도 있다. 또한, 상기 주안내부(6)와 피결합면부(7)가 형성되지 않고, 보조안내부(12) 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슬라이딩부재(1)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다른 가이드부가 필요하게 된다.
그 제2 케이싱부(A2)에는, 이후에 설명하는 가이드 레일(17)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용 돌출부(13)는 가이드 레일(17)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케이싱(A)을 가이드 레일(17)에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안내부(12)의 요동 안내부(12b)는 장착용 돌출부(13)에 형성됨으로써, 후크부재(2)의 일부가 케이싱(A)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안정한 요동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케이싱부(A2)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케이싱부(A1)와의 접합 부위에, 힘줄형상으로,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 조작편(1f) 및 후크 조작편(2e)이 케이싱(A)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용 슬릿이 형성가능한, 절제부(切除部, 10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코일 스프링(3)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3a)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연결부(3b, 3b)가 형성되고, 그 한쪽의 연결부(3b)가 제2 케이싱부(A2)의 탄성부재 연결부(14)에 연결되고, 또 다른 한쪽의 연결부(3b)가 슬라이딩부재(1)의 탄성부재 연결부(14)에 연결된다. 제2 케이싱부(A2)내에는, 그 탄성부(3a)가 신축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 왕복형 액압댐퍼(4)는 도 2,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실린더 틀체부(4a)와 피스톤 로드(4b)로 구성된다. 그 실린더 틀체부(4a)내에는 액체가 충전되어 있는데, 특히 점성이 있는 액체가 바람직하다. 그 액체는 구체적으로는 오일이나 그리스(grease) 등이다. 또한, 점성이 있는 액체이면, 상기 재질,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실린더 틀체부(4a)는 이들의 액체가 새는 일이 없도록 밀봉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 틀체부(4a)내에는 복귀용 스프링이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4b)가 실린더 틀체부(4a)로부터 항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적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4b)가 실린더 틀체부(4a)내로 일단 끌어들여도, 상기 복귀용 스프링을 통하여, 즉시 원래의 돌출상태로 돌아가서 복귀할 수 있다. 이 왕복형 액압댐퍼(4)는 피스톤 로드(4b)가 통상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한 상태이며, 이 피스톤 로드(4b)가 실린더 틀체부(4a)로 끌어들이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충전된 액체나 복귀용 스프링 등이 저항력으로 되어,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을 감쇠시켜 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형 액압댐퍼(4)는 케이싱(A)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그 장착 구성에는 2개의 타입이 존재한다. 제1 타입의 장착 구성은 코일 스프링(3)과 왕복형 액압댐퍼(4)가 케이싱(A)내에 병렬로 배치되는 것이다. 먼저, 그 제1 케이싱(A1) 또는 제2 케이싱(A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케이싱(A)에 왕복형 액압댐퍼(4)를 수납하는 댐퍼수납실(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수납실(9)내에서 왕복형 액압댐퍼(4)가 부동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댐퍼수납실(9)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벽(9a)에 의해 구성된 것이며,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4)은 상기 구획벽(9a)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하여 케이싱(A)에 장착되어 있다.
이 왕복형 액압댐퍼(4)는 그 피스톤 로드(4b)가 상기 케이싱(A)내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3)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병렬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케이싱(A)내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3)과 왕복형 액압댐퍼(4)를 별개로 배치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3) 또는 왕복형 액압댐퍼(4)에 열화(劣化)가 나타났을 때에, 비교적 간단히 이것들을 교체,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일 스프링(3)의 다른 쪽측의 연결부가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4)의 댐퍼수납실(9)의 구획벽(9a)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 연결부(14)에 걸려진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왕복형 액압댐퍼(4)의 피스톤 로드(4b)가 실린더 틀체부(4a)내로 들어간다. 또한, 코일 스프링(3)과 왕복형 액압댐퍼(4)와의 제2타입의 장착 구성으로서는, 도 13A,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의 내주측에 왕복형 액압댐퍼(4)가 수납되는 상태로 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왕복형 액압댐퍼(4)의 축방향 후단부(後端部)가 케이싱(A)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 스프링(3)은 왕복형 액압댐퍼(4)의 피스톤 로드(4b) 및 실린더 틀체부(4a)를 내주부에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3)내에 왕복형 액압댐퍼(4)를 수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3) 및 왕복형 액압댐퍼(4)의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문닫힘장치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 왕복형 액압댐퍼(4)는 상기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에 의한 슬라이딩부재(1)의 문닫힘 방향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4)에 있어서는, 도 1, 도 2B, 도 4B, 도 5B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를 문닫힘쪽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F)에 대한 저항력(T)이 생기고, 탄성력(F)으로부터 저항력(T)을 뺀 문닫힘력(P)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를 문닫힘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미닫이문(18)을 지지하는 가이드 주행체(B)는, F - T = P 에 의한 힘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18)의 초속(Vn)을,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후크부재(2)와 걸려진 상태로부터 문닫힘이 완료할때 까지의 문닫힘력(P)에 의해, 저속의 속도(Vm)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안내부재(15)는,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되고, 이 가이드 주행체(B)의 이동방향을 따라 뻗는 아암형상부(15a)와, 그 아암형상부(15a)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걸림부(15b)로 구성되어 있고, 그 걸림부(15b)는 상기 아암형상부(15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갈고리 모양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닫힘 동작에서는, 상기 피결합면부(7)에 가정지 상태로 되어 있는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과 접촉하고, 후크부재(2)를 피결합면부(7)로부터 주안내부(6)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걸림부(15b)가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에 수납되어, 상기 후크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안내부재(15)는, 가이드 주행체(B)와의 연결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주행체(B)의 주요 부위인 주행부(16)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주행체(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18)을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가이드 레일(17)에는, 미닫이문(18)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과, 미닫이문(1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있다. 어느 쪽의 가이드 레일(17)도, 1개 또는 복수개의 레일부(17a, 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 레일(17)의 레일부(17a, 17a)는 모두 아래쪽에 가이드용 개구(17a1)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용 개구(17a1)의 한쪽 또는 양쪽에 레일부(17a2, 17a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주행체(B)는,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행 롤러 타입(hang roller type)이며, 주행부(16)는, 주행본체부(16a)와 롤러부(16b, 16b)로 구성되어 있다. 그 주행본체부(16a)에는, 미닫이문(18)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축부(16c)가 구비되고, 그 지지축부(16c)의 하부에는 미닫이문(18)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1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주행체(B)와 미닫이문(18)의 접속은 접속구(19)를 통하여 접속이 행하여진다.
또한, 미닫이문(18)의 하부측에도 가이드 주행체(B)가 장착되어 있다. 이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는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 장착되어 있고, 상부측의 가이드 레일(17)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주행체(B)와 거의 동등한 것이 장착되는 것이며, 하부의 가이드 주행체(B)는 상기 가이드 레일(17)내를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부측의 가이드 레일(17)에도, 문닫힘구가 장착되고, 또한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에는 안내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를 장착하는 구조는 상부의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를 장착하는 경우와 대략 같다.
한편,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문닫힘구가 장착되고,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는, 특히 문닫힘구를 장착하지 않은 것도 있다. 또한,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장착된 미닫이문 장치를 갖는 가구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문닫힘장치에 의한 미닫이문(18)의 문닫힘 및 문열림의 각각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미닫이문의 문닫힘 동작을 도 10,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1)와 후크부재(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되어 있고, 그 초기 상태에서 후크부재(2)의 결합부(2c)가 케이싱(A)(제1 케이싱부(A1))의 피결합면부(7)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정지 상태로 있다. 그리고, 열림상태의 미닫이문(18)이 문닫힘 방향(도 10A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후크부재(2)로 점차적으로 근접하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15)의 걸림부(15b) 선단이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에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 주행체(B)가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부(15b)가 피접촉편(2b2)을 압착하도록 작용하고, 후크부재(2)의 회동기부(2a)가 슬라이딩부재(1)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결합부(2c)가 케이싱(A)의 피결합면부(7)로부터 이탈하여, 후크부재(2)의 가정지 상태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 및 도 8B에 있어서 회동기부(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로부터 이탈한다. 이때,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는 도 10C 및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고,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과 접촉하면서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의 대략 ∪자 형상의 오목부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걸림부(15b)와 후크부재(2)의 걸림동작과 함께, 그 후크부재(2)의 가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거의 동시에 그 후크부재(2)의 평탄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2d)가 주안내부(6)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되고, 그 후크부재(2)의 슬라이딩면부(2d)가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과 함께 상기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에 의해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코일 스프링(3)에 의한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 동작시에는, 저항력(T)이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에 의한 탄성의 밀어붙이는 방향에 대하여 작동한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에서 왕복형 액압댐퍼(4)의 저항력(T) 를 뺀 힘, 즉 F - T 로 되는 힘이 실질적인 문닫힘력(P)으로 된다. 그리고, 이 문닫힘력(P)에 의해, 미닫이문(18)은, 문닫힘작업에 의한 초기문닫힘 속도(Vn)로부터 상기와 같이 감속되어서, 그 문닫힘력(P)에 의해 완만한 속도(Vm)로 되고, 문닫힘 동작이 행하여지고, 문닫힘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문닫힘 방향 단부에 도달하여 문닫힘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도 11B, 도 14 등 참조).
다음에, 미닫이문(18)의 문열림 동작을 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크부재(2)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문닫힘쪽 근방(도 12A에 있어서 우측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된 안내부재(15)는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과 걸림상태로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8)을 문열림 방향(도 12B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된 안내부재(15)가 걸림상태에 있는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을 잡아 당기도록 하고, 주안내부(6)를 따라 문열림쪽으로 후크부재(2) 및 슬라이딩부재(1)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미닫이문(18)을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후크부재(2)가 피결합면부(7)부위에 도달하면, 슬라이딩규제돌기(1g)가 슬라이딩규제부의 문열림쪽 단부에 접촉하고,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동작에서의 스톱퍼(Stopper)의 역할을 하여고,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이 정지된다. 이때에는, 후크부재(2)의 결합부(2c)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미닫이문(18)의 문열림 동작이 속행됨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에 의해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이 인출되도록 하여 후크부재(2)가 회동기부(2a)를 통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 도 8B,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2)는 회동기부(2a)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후크부재(2)는, 슬라이딩부재(1)와 그 슬라이딩부재(1)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2c)와 피결합면부(7)가 적당한 압력에 의해 결합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의해, 후크부재(2)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서 가정지 상태로 된다.
이 후크부재(2)는, 문열림쪽에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피걸림편(2b1)의 상단부 부위가 낮아짐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는, 피걸림편(2b1)으로부터 이탈하고, 걸림부(15b)과 후크부재(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미닫이문(18)은 더 열림측으로 이동하여,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는 제1 케이싱부(A1)측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는 상상선(想像線)으로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넷 등에서의 문닫힘쪽 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서, 케이싱(A)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1)에 회동가능하게 후크부재(2)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가 코일 스프링(3)을 통하여 문닫힘쪽으로 밀어 붙여지고,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를 감소시키는 왕복형 액압댐퍼(4)에 의한 저항력(T)으로, 상하의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 드 주행체(B)가 상기 후크부재(2)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1)의 슬라이딩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완만한 미닫이문(18)의 문닫힘 동작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문닫힘 및 문열림의 초기 동작을 덜거덕거림이 없는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1)와 후크부재(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되어 후크부재(2)를 요동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그 슬라이딩부재(1)가 케이싱(A)내를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은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에 따르지만, 그 탄성력(F)를 감소시키는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4)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주행체(B)는 코일 스프링(3)의 탄성력(F)으로부터 왕복형 액압댐퍼(4)의 저항력(T)을 뺀 힘으로부터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극히 완만하고 안정하며 극히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가이드 레일(17)에는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가 장착되어, 가이드 주행체(B)는 각각의 안내부재(15, 15)에 의해, 덜거덕거림이 없는 안정한 문닫힘, 문열림 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닫이문(18)의 문닫힘쪽 단부 부근에 근접시킴으로써, 그 미닫이문(18)을 문닫힘쪽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김과 아울러,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18)의 속도가 완만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18)의 가이드 레일(17)에 직접 조립하여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문닫힘 및 문열림의 초기 동작에 있어서 미닫이문(18)이 기울어지거나 하는 일 없어 덜거덕거림이 없는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 다.
즉,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이 형성된 후크부재(2)는 슬라이딩부재(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기부(2a)의 회동동작으로 결합부(2c)가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재(2)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가 문열림쪽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2c)가 상기 피결합면부(7)에 결합가능하다. 따라서, 문닫힘 동작의 경우에는, 초기 상태에서 후크부재(2)가 문열림쪽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가정지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후크부재(2)는 요동 동작을 행할 때에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이 적고, 따라서 고장도 극히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후크부재(2)에 걸리도록 할 때에는, 부드럽게 걸려지고, 또한 코일 스프링(3)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와 후크부재(2)가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때 코일 스프링(3)에 탄성력(F)을 감소시키도록 왕복형 액압댐퍼(4)의 저항력(T)이 작용하여, 가이드 주행체(B)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는 케이싱(A)내에서 적정하게 완만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A)내의 슬라이딩부재(1) 및 후크부재(2)는 케이싱(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그 이동방향은 가이드 레일(17)내의 가이드 주행체(B)의 이동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케이싱(A)은 가이드 주행체(B)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이드 레일(17)과 대략 일체화되어, 본 발명의 장치의 장착 용이성과 장착 부위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7)은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가 장착되어 있어, 미닫이문(18)의 문닫힘 및 문열림에서는 가이드 레일(17)에 장착한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와 가이드 주행체(B)는 안내부재(15)를 통하여 밸런스 양호하게 동작할 수 있고, 문닫힘 및 문열림의 초기 동작에 있어서, 미닫이문(18)이 기울어지거나 하는 일 없어 덜거덕거림이 없는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A)은 가이드 레일(17)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설치됨으로써, 문닫힘장치의 전체 구성을 컴팩트하게 한데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A)은 캐비넷의 상판 이면(裏面)측 및 바닥판 상면측에서, 또한 상하의 가이드 레일(17)에 평행상태로 인접하게 설치하고, 문닫힘장치 구성부(문닫힘구)의 케이싱(A)은 캐비넷측에 장착함으로써, 비교적 강고한 설치 구조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결합부(2c)와 피결합면부(7)는 회전가능한 지지연결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돌기면부와 원호형상 오목면부에 형성함으로써, 후크부재(2)가 주안내부(6)로부터 피결합면부(7) 부위로 이동하여, 결합부(2c)와 상기 피결합면부(7)에 결합할 때에, 후크부재(2)의 회동동작을 극히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가이드 레일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슬라이딩(sliding)하는 슬라이딩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후크(hook)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문닫힘쪽으로 밀어 붙여지고,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가 상기 후크부재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실린더 틀체부와 피스톤 로드와 액체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왕복형 액압댐퍼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2. 슬라이딩부재와, 이 슬라이딩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回動基部)와 피(被)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위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문닫힘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코일 스프링과, 실린더 틀체부와, 이 실린더 틀체부내를 왕복가능하게 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틀체부에 밀봉형상으로 충전(充塡)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에 저항력을 주는 액체로 이루어지는 왕복형 액압댐퍼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후크부재, 코일 스프링, 왕복형 액압댐퍼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主)안내부와 이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뻗는 아암(arm)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문열림쪽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가능하게 되고,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함과 아울러, 이 슬라이딩부재의 코일 스프링에 의한 이동속도를 저감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대략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내부측에 상기 왕복형 액압댐퍼의 피스톤 로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1020077004135A 2004-08-30 2005-06-30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100803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1153 2004-08-30
JP2004251153A JP2006063767A (ja) 2004-08-30 2004-08-30 引戸の戸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557A true KR20070042557A (ko) 2007-04-23
KR100803818B1 KR100803818B1 (ko) 2008-02-14

Family

ID=3599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135A KR100803818B1 (ko) 2004-08-30 2005-06-30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063767A (ko)
KR (1) KR100803818B1 (ko)
CN (1) CN101018923A (ko)
WO (1) WO200602514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34B1 (ko) * 2009-07-06 2012-02-15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KR101116148B1 (ko) * 2010-11-26 2012-02-24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철도차량의 화장실 출입구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CN102918223A (zh) * 2010-05-31 2013-02-06 株式会社利富高 移动辅助装置
KR20130130486A (ko) * 2012-05-22 2013-12-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폐지 장치
KR101493947B1 (ko) * 2013-07-15 2015-02-17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KR101661081B1 (ko) * 2016-01-11 2016-09-28 신정철 다방향 회동가능한 슬라이딩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200064509A (ko) * 2018-11-29 2020-06-08 이동성 미닫이문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0681B2 (ja) * 2006-03-14 2012-12-05 株式会社明工 引戸の引込み装置
JP2007252743A (ja) * 2006-03-24 2007-10-04 Hitachi Housetec Co Ltd 昇降式キャビネット
JP5093881B2 (ja) * 2006-11-13 2012-12-12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4970117B2 (ja) * 2006-11-30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自走往動機構
JP5173222B2 (ja) * 2007-03-26 2013-04-03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戸用クローザ装置
DK200700695A (da) * 2007-05-09 2008-11-10 Inter Ikea Sys Bv Indretning til sikring af en blöd afslutning af en skuffes åbningsbevægelse
JP5102540B2 (ja) * 2007-06-04 2012-12-19 有限会社 石井商事 引き戸の走行制御装置
JP4912998B2 (ja) * 2007-09-26 2012-04-11 株式会社ヨコヅナ 引戸の自動閉止装置
JP4319687B2 (ja) 2007-11-22 2009-08-26 株式会社シモダイラ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4895991B2 (ja) * 2007-12-21 2012-03-14 日東工器株式会社 引き戸用閉扉装置
KR101075034B1 (ko) 2008-06-27 2011-10-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CN102317560B (zh) * 2009-02-16 2014-07-02 株式会社利富高 弹簧锁装置
JP5376441B2 (ja) * 2009-04-07 2013-12-25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戸用クローザ装置
CN101649706B (zh) * 2009-09-08 2013-02-20 伍志勇 缓冲装置配件
KR101156640B1 (ko) * 2009-10-08 2012-06-14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JP5606799B2 (ja) * 2009-11-20 2014-10-15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及び戸首付き引戸
ITMI20090399U1 (it) * 2009-12-04 2011-06-05 Terno Scorrevoli Srl Guida scorrevole per porte provvista di fermo ammortizzato
KR200450976Y1 (ko) * 2010-01-08 2010-11-15 신정철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KR100988495B1 (ko) 2010-02-25 2010-10-20 신정철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용 도어
KR101055107B1 (ko) * 2010-03-10 2011-08-08 신정철 포켓 도어
JP2011196015A (ja) * 2010-03-17 2011-10-06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2012036625A (ja) * 2010-08-06 2012-02-23 Kawajun Co Ltd 引戸の閉止装置
KR200463753Y1 (ko) 2010-09-09 2012-11-23 이준재 자동 닫힘 기능이 구비된 미닫이문
JP5285679B2 (ja) * 2010-11-16 2013-09-11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KR101262765B1 (ko) 2010-12-22 2013-05-10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DE102011010778B4 (de) * 2011-02-09 2017-03-23 Günther Zimmer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Mitnahmeelement-Schwenkgelenk sowie ein System mit zwei ein Zug- und Abbremsvorrichtungspaar bildende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en
JP5746885B2 (ja) * 2011-03-14 2015-07-08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及びハウジング
KR101314148B1 (ko) * 2011-12-29 2013-10-04 (주)문주하드웨어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KR101178316B1 (ko) 2012-03-15 2012-08-29 장귀재 미닫이 문의 닫힘 충격 완충장치
KR101391247B1 (ko) * 2012-07-12 2014-05-02 박윤식 자동 폐쇄 장치
KR101319534B1 (ko) 2013-04-24 2013-10-21 김종천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PL223707B1 (pl) * 2014-01-30 2016-10-31 Komandor Spółka Akcyjna Domykacz do drzwi przesuwnych
DE102015200570B4 (de) * 2015-01-15 2018-10-18 Geze Gmbh Einzugsvorrichtung
CN104879013B (zh) * 2015-06-17 2016-06-15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移门缓冲器
KR101752693B1 (ko) 2015-08-12 2017-06-30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642410B1 (ko)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805732B1 (ko) 2015-08-28 2017-12-06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제조방법
CN105089444B (zh) * 2015-08-31 2017-03-29 许姜德 一种便于安装阻尼器的导滑装置
KR101784985B1 (ko) 2015-10-01 2017-10-12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668355B1 (ko)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CN107198375B (zh) * 2016-03-16 2020-11-10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缩回装置及拉出导引装置
US10512328B2 (en) * 2016-03-16 2019-12-24 Paul Hettich Gmbh & Co. Kg Retraction device and pull-out guide
CN105888425B (zh) * 2016-05-27 2017-08-25 伍志勇 一种家具阻尼缓冲结构
EP3326904B1 (en) 2016-11-28 2021-01-27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rotary wing aircraft with a sliding element, in particular a sliding door or a sliding window
KR101945954B1 (ko) 2017-03-16 2019-04-17 김용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수평 개별 멀티 롤러형 슬라이드 개폐부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DE102017113862B3 (de) * 2017-06-22 2018-09-20 Hahn-Gasfedern Gmbh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und Anordnung mit einer Endlagedämpfungsvorrichtung
JP7026913B2 (ja) * 2017-10-27 2022-03-01 株式会社明工 引戸の引込み装置
KR101822533B1 (ko) * 2017-10-30 2018-03-08 이광재 미닫이문용 홀딩댐퍼장치
CN114809846A (zh) 2018-04-02 2022-07-29 赛峰客舱公司 软式自关闭门用阻尼器
DE102018219571A1 (de) * 2018-11-15 2020-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ließ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CN112302460B (zh) * 2020-10-29 2022-03-25 宁波腾宇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借惯性力移门缓冲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3981U (ja) * 1982-08-27 1984-03-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戸当り
AT393948B (de) * 1989-04-03 1992-01-10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uer schubladen
JP2712135B2 (ja) * 1992-05-15 1998-02-1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自動引き込み装置
JPH0838281A (ja) * 1994-08-01 1996-02-13 Nifco Inc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H08177305A (ja) * 1994-12-21 1996-07-09 Sanwa Shutter Corp 自閉式吊戸における衝撃緩衝装置
JP3645628B2 (ja) * 1995-09-05 2005-05-11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扉等の緩衝装置
JP3929163B2 (ja) * 1997-12-11 2007-06-13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4291427B2 (ja) * 1998-03-17 2009-07-08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4544778B2 (ja) * 2001-05-11 2010-09-15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戸の戸締装置
JP2003056245A (ja) * 2001-08-17 2003-02-26 Takubo Industrial Corp 扉の牽引装置
JP2003214023A (ja) * 2002-01-22 2003-07-30 Enomoto Co Ltd アウトセット型の引戸
JP2004176262A (ja) * 2002-11-22 2004-06-24 Shimodaira:Kk 引戸の戸締装置
JP3996584B2 (ja) * 2003-03-31 2007-10-24 Thk株式会社 引込み装置、引出し装置及び引き戸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34B1 (ko) * 2009-07-06 2012-02-15 (주)삼우 도어 개폐구조
CN102918223A (zh) * 2010-05-31 2013-02-06 株式会社利富高 移动辅助装置
CN102918223B (zh) * 2010-05-31 2015-09-02 株式会社利富高 移动辅助装置
KR101116148B1 (ko) * 2010-11-26 2012-02-24 주식회사 대철이엔지 철도차량의 화장실 출입구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20130130486A (ko) * 2012-05-22 2013-12-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폐지 장치
KR101493947B1 (ko) * 2013-07-15 2015-02-17 김야현 미닫이도어의 완충장치
KR101661081B1 (ko) * 2016-01-11 2016-09-28 신정철 다방향 회동가능한 슬라이딩도어 자동닫힘장치
KR20200064509A (ko) * 2018-11-29 2020-06-08 이동성 미닫이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8923A (zh) 2007-08-15
JP2006063767A (ja) 2006-03-09
WO2006025149A1 (ja) 2006-03-09
KR100803818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818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100695771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RU2495989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бельной дверцы
JP5102540B2 (ja) 引き戸の走行制御装置
US20110254292A1 (en) Assisting mechanism of movable body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EP1640537B1 (en) Device for stopping with shock absorption and stabilizing sliding doors and shutters
JP2006045803A (ja) 引戸の戸閉装置。
JP2008057259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JP2007092386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7315715B2 (ja) 家具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JP4808200B2 (ja) 戸の緩衝装置および戸構造
JP2007023554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5171482A (ja) 室内における間仕切り用引戸装置
JP2008008104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7291695A (ja) 間仕切り引戸の緩衝具及びその間仕切り引戸装置
JPH1171957A (ja) 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装置
JP3307845B2 (ja) 引き戸のストッパー構造
JP4152867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戸の戸閉装置。
JP2007146433A (ja) 折戸システム
CN114059873A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家具
CN219220105U (zh) 铰链及冷柜
JP3058402B2 (ja) 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