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71B1 -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71B1
KR100695771B1 KR1020057006222A KR20057006222A KR100695771B1 KR 100695771 B1 KR100695771 B1 KR 100695771B1 KR 1020057006222 A KR1020057006222 A KR 1020057006222A KR 20057006222 A KR20057006222 A KR 20057006222A KR 100695771 B1 KR100695771 B1 KR 10069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liding member
guide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689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Publication of KR2005005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4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1Mechanical power-locks, e.g. for holding the wing open or for free-moving z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의 수납가구에 있어서의 미닫이문에 있어서, 특히 미닫이문의 문닫힘측 단부 부근으로 미닫이문을 근접시킴으로써, 그 미닫이문을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김과 함께,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서, 가이드 레일(17)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A)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접동(摺動)하는 접동부재(1)에 회동이 자유롭게 후크부재(2)가 장착되어, 상기 접동부재(1)가 탄성부재(3)를통하여 문닫힘측으로 밀어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탄성부재(3)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4)에 의한 저항력(T)으로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B)가 상기 후크부재(2)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접동부재(1)의 접동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구, 미닫이문, 슬라이딩 도어, 접동, 탄성, 레일, 후크,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DOOR CLOS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의 수납가구에서의 미닫이문에 있어서, 특히, 미닫이문의 문닫힘측 단부 부근으로 미닫이문을 근접시키면, 그 미닫이문이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짐과 함께,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할 수가 있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본국특개 2002-138739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미닫이문 장치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식기장, 책장, 진열장 등의 각종의 수납가구에는, 유리 문을 구비한 미닫이문이 장착되는 일이 많다. 이 미닫이문은, 작은 폭의 수납가구이면, 폭 부위의 상하에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고, 유리판의 상하단부가 그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극히 간단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그런데, 고급 가구에서는, 미닫이문의 열기 및 닫기의 동작을 중후하고, 또한 고상하게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의 가구는 미닫이문도 대형으로 되고, 미닫이문 자체의 중량도 극히 커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미닫이문에서는, 미닫이문의 열기 및 닫기의 동작을 중후하고, 또한 고상하게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이러한 대형의 미닫이문은, 그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미닫이문이 일 단 이동하기 시작하면, 그 기세에 의해 문닫힘 단부(端部)에 큰 충격을 주어서 충돌상태로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태는, 가구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고급 가구에 상응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미닫이문의 문닫힘측 단부에 있어서의 문닫힘의 충돌상태를 방지하려고 하면, 결국, 미닫이문의 문닫힘 동작의 기세를 가능한 한 작게 하게 된다. 그러면, 미닫이문의 문닫힘 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되기 쉽다.
이러한 것도 가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욱이, 미닫이문의 문닫힘 동작에 있어서의 완충기능을 갖는 문닫힘장치를 구비한 미닫이문도 있지만, 그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이 많고, 그 때문에 문닫힘장치가 미닫이문 장치의 외부로 노출하여 버려서,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 외관도 손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미닫이문의 문닫힘측 단부 부근으로 미닫이문을 근접시키면, 그 미닫이문이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으로 되고, 더욱이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의 가이드 레일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문닫힘장치를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가이드 레일의 단부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Casing)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접동(摺動)하는 접동부재에 회동이 자유롭게 후크(Hook)부재가 장착 되고, 상기 접동부재가 탄성부재를 통하여 문닫힘측으로 밀어붙여지고, 또한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에 의한 저항력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走行體)가 상기 후크부재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접동부재의 접동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그 미닫이문이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되는 것으로 양호한 문닫힘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더욱이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의 가이드 레일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문닫힘장치를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게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완만한 미닫이문의 문닫힘 동작을 얻을 수가 있다. 이는, 접동부재와 후크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됨으로써 후크부재가 요동이 자유롭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 접동부재가 케이싱내를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지만, 이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주행체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부터 완충부재의 저항력을 뺀 힘으로 문닫힘 방향으로 미닫이문을 이동시킬 수가 있어, 극히 완만하게 안정하고,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동부재와, 그 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回動基部)와 피(被)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접동부재를 문닫힘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접동부재, 후크부재, 탄성부재 및 완충부재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접동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主)안내부와 그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팔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접동부재가 문열림측 단부의 위치에 있어서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이 자유롭게 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한 것에 의해, 미닫이문의 문닫힘측 단부 부근으로 미닫이문을 근접시킴으로써 그 미닫이문이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짐과 함께,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완만하게 감속되어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의 가이드 레일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문닫힘장치를 미닫이문 장치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를 작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 효과를 상술하면, 피걸림편과 피접촉편이 형성된 후크부재는, 접동부재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롭고, 또한,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결합부가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접동부재가 문열림측 단부의 위치에 있어서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문닫힘 동작의 경우에는, 초기 상태에서 후크부재가 문열림측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가정지(假停止)상태로 할 수가 있다. 즉, 후크부재는, 요동동작을 할 때에 좌우방향으로의 진동이 적고, 이로써 고장도 극히 적은 것으로 할 수 가 있다.
더욱이,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후크부재에 걸리고자 할 때에는, 부드럽게 걸려지고,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접동부재와 후크부재가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때 탄성부재에 탄성력을 감소시키도록 완충부재의 저항력이 작용하고, 가이드 주행체를 이동시키는 접동부재 및 후크부재는 케이싱내에서 적정하게 완만한 속도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내의 접동부재 및 후크부재는,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그 이동방향은, 가이드 레일내의 가이드 주행체의 이동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케이싱은 가이드 주행체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장착할 수가 있고,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과 대략 일체화되어, 본 발명의 장치의 장착 용이, 또한 장착 부위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면부는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철면부(凸面部)와 원호형상 요면부(凹面部)에 형성되어서 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후크부재가 주안내부에서 피결합면부 부위로 이동하여, 결합부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할 때에, 후크부재의 회동동작을 극히 부드럽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에는 래크(Rack)부가 형성되고, 완충부재에는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접동부재의 문닫힘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그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치차부(齒車部)가 완충부재에 구비되어서 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미닫이문의 감속을 극히 간단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 및 후크부재에는 케이싱의 외부에 돌출하는 접동부재 조작편 및 후크 조작편이 각각 형성되어서 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로 함으로써, 예컨대, 오동작에 의해,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후크부재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후크부재만이 케이싱내에 들어 가버려도, 그 접동부재 조작편 및 후크 조작편에 의해 케이싱의 외부로 후크부재를 돌출시킬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미닫이문에 장착된 상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요부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1C는, 접동부재와 후크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D는, 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2A는, 문닫힘장치의 요부를 제1 케이싱부측에서 바라 본 측면도.
도 2B는, 문닫힘장치의 요부를 제2 케이싱부측에서 바라 본 측면도.
도 3A는, 도 2A의 X1-X1화살표에서 바라 본 단면도.
도 3B는 도 2A의 X2-X2화살표에서 바라 본 단면도.
도 4A는, 접동부재와 후크부재의 측면도.
도 4B는, 접동부재와 후크부재의 사시도.
도 5A는, 접동부재와 경사진 상태의 후크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5B는, 접동부재와 후크부재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제1 케이싱부의 측면도.
도 7A는, 후크부재가 주안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작용도.
도 7B는, 후크부재가 피결합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작용도.
도 8A는, 후크부재가 주안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확대 작용도.
도 8B는, 후크부재가 피결합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확대 작용도.
도 9A는, 가이드 주행체의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장착된 미닫이문 장치의 종단측면도.
도 10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근접하는 상태의 작용도.
도 10B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의 피접촉편에 접촉한 상태의 작용도.
도 10C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걸려진 상태의 작용도.
도 11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에 걸려서 후크부재의 가정지 상태를 해제한 작용도.
도 11B는, 문닫힘이 완료한 상태의 작용도.
도 12A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내의 후크부재에 걸리고 있는 문열림 개시의 작용도.
도 12B는, 미닫이문을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후크부재를 문열림 단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작용도.
도 12C는, 가이드 주행체의 걸림부가 케이싱의 후크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후크부재를 가정지 상태로 한 작용도.
도 13은, 접동부재의 래크부와 완충부재의 치차부가 맞물린 상태의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닫이문의 동작을 나타내는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가이드 레일측에 고정하는 접동부재(1), 후크부재(2), 탄성부재(3), 완충부재(4), 케이싱(A) 등으로 되는 문닫힘장치 구성부와, 미닫이문(18)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주행체(B)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접동부재(1)는, 도 1C, 도 4A, 도 4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각축(角軸)형상의 접동본체부(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래크부(1b)가 형성되어 있다. 그 래크부(1b)는, 다수의 톱니편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완충부재(4)의 저항 치차(齒車)와 맞물리는 부위가 된다.
그 접동본체부(1a)의 길이방향 일단측에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1c)가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1c)에는, 연결축편(1c1)이 형성되어, 그 연결축편(1c1)을 통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크부재(2)와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접동본체부(1a)의 길이방향 단면으로 상기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1c)의 부근에는 피안내돌기편(被案內突起片, 1d)이 형성되어 있다. 그 피안내돌기편(1d)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동본체부(1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부위이고, 또한 그 상면은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피안내돌기편(1d)은, 후술하는 케이싱(A)의 주안내부(6)를 따라 접동하는 부위가 된다. 더욱이, 상기 피안내돌기편(1d)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의 단부가 고착되는 탄성부재연결부(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안내돌기편(1d) 부위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하여 접동부재 조작편(1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동본체부(1a)에는, 후술하는 케이싱(A)측에 형성된 접동규제부에 결합하는 접동규제돌기(1g)가 형성된다. 그 접동규제돌기(1g)는, 그 접동부재(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문닫힘측 근방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접동부재(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또한, 접동부재(1)의 문열림측 단부에는,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h)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h)의 선단이 후술하는 후크부재(2)에 접촉하고, 후크부재(2)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문닫힘측 및 문열림측에 대하여 설명하면, 그 문닫힘측이란, 미닫이문(18)을 닫을 경우에 이동하는 방향이며, 도 1A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문닫힘측이란, 도 1A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더욱이, 케이싱(A)내에 있어서는, 도 1B에 도시하는, 우측근방이 문닫힘측이며, 좌측근방이 문열림측이다.
다음에, 후크부재(2)는, 회동기부(2a)와, 후크부(2b)와, 상기 회동기부(2a)의 요동동작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2c)로 구성된다. 그 후크부(2b)는, 피 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으로 구성되고, 그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은 거의 평행상태로 되어 있다. 그 피걸림편(2b1)은,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접촉편(2b2)보다 그 높이방향의 치수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의 형상은 거의 U자 형상의 요부(凹部, 2b3)로 되어 있고, 그 요부(2b3)에 후술하는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회동기부(2a)에는, 상기 접동부재(1)에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1c)에 형성된 연결축편(1c1)이 삽입되는 회전가능한 지지공(2a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편(1c1)이 회전가능한 지지공(2a1)에 삽입됨으로써 접동부재(1)와 후크부재(2)가 연결되고, 그 후크부재(2)는 접동부재(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도 1B, 도 4A, 도 5 등 참조). 상기 결합부(2c)는, 상기 회동기부(2a)의 회전가능한 지지공(2a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결합부(2c)는, 회동기부(2a)의 외주측면으로서 형성된 부위이다. 그 결합부(2c)는, 후술하는 케이싱(A)내에 형성된 피결합면부(7)와 원호형상으로 회동가능하게 근접 또는 접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2)와 접동부재(1)의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1c)의 연결축편(1c1)이 회전가능한 지지공(2a1)에 의해, 요동할 때의 중심을, 상기 결합부(2c)의 원호의 중심으로 한 것이다.
또한, 후크부재(2)의 후크부(2b)에는, 가이드돌기(2d)가 형성되는 것도 있다. 그 가이드돌기(2d)는, 후술하는 케이싱(A)에 형성된 보조안내부(12)에 삽입됨으로써 후크부재(2)를 케이싱(A)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호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함께, 그 후크부재(2)의 회동동작도 양호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게 하려고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동기부(2a)에는, 도 1C, 도 4A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 쪽을 향하여 후크 조작편(2e)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크 조작편(2e)은 오동작에 의해, 케이싱(A)내에 수납되어 버린 경우에, 후크 조작편(2e)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케이싱(A)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크 조작편(2e)은, 상기 접동부재 조작편(1f)과 함께 케이싱(A)의 외부로 돌출하고, 케이싱(A)의 외부로부터 접동부재(1) 및 후크부재(2)의 강제이동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도 1A 참조). 더욱이, 상기 회동기부(2a)의 상단부 부위에서, 또한 후크부(2b)의 폭방향으로부터 직각으로 되도록 걸림용 돌기편(2f)이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용 돌기편(2f)은, 후크부재(2)가 접동부재(1)와 함께 후술하는 주안내부(6)를 따라 이동할 때에, 상기 걸림용 돌기편(2f)이 주안내부(6)에 접촉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다음에, 케이싱(A)은, 2개로 분할된 것이며, 제1 케이싱부(A1) 및 제2 케이싱부(A2)로 구성된다. 도 6은, 제1 케이싱부(A1)의 내부측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그 제1 케이싱부(A1)의 제1 본체(5)의 내부측에는, 주안내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 주안내부(6)는, 제1 케이싱부(A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부위 이며, 또한 그 하면측이 평탄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그 주안내부(6)는, 제1 본체(5)의 표면보다 내부측에 팽출(膨出)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안내부(6)는, 상기 제1 본체(5)의 길이방향의 문열림측의 대략절반의 영역에 형성된 것이다. 주안내부(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면측이 평탄형상으로 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접동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의 상단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후크부재(2)의 걸림용 돌기편(2f)도 주안내부(6)에 접촉한다. 그 주안내부(6)의 열림측 방향 단부 부위에는, 피결합면부(7)가 형성되어 있다. 그 피결합면부(7)는, 도 6,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부재(2)가 철(凸)형상의 원호형상면, 즉, 원호형상 철면부이며, 상기 피결합면부(7)이 요(凹)형상의 원호형상면, 즉, 원호형상 요면부이다. 상기 결합부(2c)와 피결합면부(7)의 곡률의 반경은 대략 같고, 상기 결합부(2c)는 피결합면부(7)를 따라 부드럽게 회동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후크부재(2)는, 주안내부(6)를 따라 이동하여 피결합면부(7)의 부위에 도달하면,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를 따라 접동하도록 하여 이동하여 후크부재(2)의 요동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2)의 결합부(2c)가 상기 피결합면부(7)에 결합함으로써, 후크부재(2)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가정지 상태로 된다. 이 가정지 상태란, 다소의 진동 등에서는 동작하지 않지만,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접촉하였을 때에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정지 유지가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이 때 후크부재(2)는, 피걸림편(2b1)의 상단이 피접촉편(2b2)의 상단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주행체(B)의 걸림부(15b)는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에 출입이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더욱이, 제1 케이싱부(A1)내에는 완충부재(4)가 장착되는 완충부재 부착부(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완충부재 부착부(8)를 통하여 완충부재(4)가 케이싱(A)내에 장착된다. 그 주안내부(6)의 아래쪽측에 상기 접동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이 접촉된다. 상기 탄성부재(3)의 탄성력(F)은, 완충부재(4)가 발생시키는 저항력(T)보다 큰 것이 조건이지만, 그 탄성력(F)과 저항력(T)와의 차이는 적절히 설정된다.
다음에, 제2 케이싱부(A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제2 케이싱부(A2)내부를 바라 본 도면으로, 접동부재(1), 후크부재(2), 탄성부재(3) 및 완충부재(4)가 장착된 것이다. 도 2B는, 제2 케이싱부(A2)을 외부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또한, 도 2A는, 제2 케이싱부(A2)와 제1 케이싱부(A1)를 조합시킨 도면이며, 제1 케이싱부(A1)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그 제2 본체(10)에, 접동규제부(11) 및 보조안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동규제부(11)는, 직선형상이고, 상기 접동부재(1)의 접동규제돌기(1g)가 삽입되어, 접동부재(1)의 케이싱(A)내에서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것이다. 즉, 접동부재(1)가 케이싱(A)내를 적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접동부재(1) 및 후크부재(2)가 케이싱(A)의 외부로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접동부재(1)의 적정한 이동이란,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에 의해 문열림 방향으로 인출된 후크부재(2)가 피결합면부(7) 부위에서 가정지할 수 있는 범위의 이동을 말한다. 상기 접동규제부(11)는, 슬릿(Slit)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동부재(1)의 접동규제돌기(1g)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홈폭을 갖고 있다.
다음에, 상기 보조안내부(12)는, 상기 후크부재(2)의 가이드돌기(2d)가 삽입됨으로써 후크부재(2)를 안정한 상태에서 케이싱(A)의 길이방향의 이동 및 요동의 동작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위이다. 그 보조안내부(12)는, 직선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직선접동 안내부(12a)와, 후크부재(2)가 요동하는 요동 안내부(1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선접동 안내부(12a)는, 후크부재(2)가 접동부재(1)와 함께 케이싱(A)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후크부재(2)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요동 안내부(12b)는, 후크부재(2)가 요동동작을 할 때에 안정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보조안내부(12)는, 상기 제1 케이싱부(A1)의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에 의한 접동부재(1)와 후크부재(2)의 동작을 일층 확실하게 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조안내부(12)는, 형성되지 않은 것도 있다. 또한, 상기 주안내부(6)와 피결합면부(7)가 형성되지 않고, 보조안내부(12) 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접동부재(1)를 접동시키기 위한 다른 가이드부가 필요하게 된다.
그 제2 케이싱부(A2)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17)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 장착용 돌출부(13)는, 가이드 레일(17)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케이싱(A)을 가이드 레일(17)에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안내부(12)의 요동 안내부(12b)는 장착용 돌출부(13)에 형성됨으로써, 후크부재(2)의 일부가 케이싱(A)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안정한 요동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케이싱부(A2)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케이싱부(A1)와의 접합 부위에, 일직선 형상으로, 또한 상기 접동부재 조작편(1f) 및 후크 조작편(2e)이 케이싱(A)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용 슬릿이 형성가능한, 절제부(切除部, 10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탄성부재(3)는, 탄성부(3a)와 그 탄성부(3a)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3b, 3b)로 되고, 그 한쪽의 연결부(3b)가 제2 케이싱부(A2)의 탄성부재 연결부(14)에 연결되고, 또다른 한쪽의 연결부(3b)가 접동부재(1)의 탄성부재 연결부(14)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3a)는, 코일스프링이다. 제2 케이싱부(A2)내에는, 그 탄성부(3a)가 신축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스프링 수납부(25)가 형성되어 있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탄성부(3a)가 거의 횡(橫) ∪자 형상으로 되도록 절첩형성되어서 수납된다.
다음에, 완충부재(4)는, 상기 탄성부재(3)의 탄성력(F)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차부(4a)가 완충용기(4b)에 장착되고, 그 완충용기(4b)에는 플랜지(4c, 4c)가 형성되어 있다. 그 플랜 지(4c, 4c)를 통하여 완충용기(4b)가 제1 케이싱부(A1)에 장착되는 것이다. 완충용기(4b)에는, 상기 치차부(4a)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력(T)을 발생시키는 기구로 되어 있고, 예를들면, 내부에 그리스(Grease) 등의 고점도의 재질이 있고, 치차부(4a)의 축으로 뒤섞기 전용의 판편(板片)이 장착되어, 치차부(4a)에 의해 전달된 외력에 대한 저항력(T)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이 완충부재(4)는, 도 1B, 도 1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차부(4a)가 상기 접동부재(1)의 래크부(1b)와 맞물림으로써, 접동부재(1)를 문닫힘측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F)에 대한 저항력(T)을 발생시키고, 탄성력(F)으로부터 저항력(T)을 뺀 문닫힘력(P)에 의해, 접동부재(1) 및 후크부재(2)를 문닫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미닫이문(18)을 지지하는 가이드 주행체(B)는, F - T = P 에 의한 힘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18)의 초속(Vn)을,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가 후크부재(2)와 걸려진 상태로부터 문닫힘이 완료할때 까지의 문닫힘력(P)에 의해, 저속의 속도(Vm)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완충부재(4)는, 도 1D와 같이 치차부(4a)를 통하여 저항력(T)를 발생시키는 타입(Type)이라고 하였으나, 실린더(Cylinder) 타입의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다음에, 안내부재(15)는,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되고, 그 가이드 주행체(B)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팔형상부(15a)와, 그 팔형상부(15a)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15b)로 구성되어 있고, 그 걸림부(15b)는, 상기 팔형상부(15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갈고리 모양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닫힘 동작에서는 상기 피결합면부(7)에 가정지 상태로 되어 있는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과 접촉하고, 후크부재(2)를 피결합면부(7)로부터 주안내부(6)로 이동시킴과 함께, 걸림부(15b)가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에 수납되어, 상기 후크부재(2)에 결합된다.
상기 안내부재(15)는, 가이드 주행체(B)와의 연결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주행체(B)의 주요 부위인 주행부(16)에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주행체(B)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닫이문(18)을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가이드 레일(17)에는, 미닫이문(18)의 윗쪽에 위치하는 것과, 미닫이문(1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있다. 어느쪽의 가이드 레일(17)도, 1개 또는 복수개의 레일부(17a, 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 레일(17)의 레일부(17a, 17a)는, 모두 아래쪽에 가이드용 개구(17a1)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용 개구(17a1)의 한쪽 또는 양쪽에 레일부(17a2, 17a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주행체(B)는,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행 롤러 타입(Hang Roller Type)이며, 주행부(16)는, 주행본체부(16a)와 롤러부(16b, 16b)로 구성되어 있다. 그 주행본체부(16a)에는, 미닫이문(18)에 대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축부(16c)가 구비되고, 그 지지축부(16c)의 하부에는 미닫이문(18)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19)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주행체(B)와 미닫이문(18)의 접속은 접속구(19)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미닫이문(18)의 하부측에도 가이드 주행체(B)가 장착되어 있다. 그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는,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 장착되어 있고, 상부측의 가이드 레일(17)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주행체(B)와 거의 동등한 것이 장착되는 것이며, 하부의 가이드 주행체(B)는, 상기 가이드 레일(17)내를 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부측의 가이드 레일(17)에도, 문닫힘구가 장착되고, 또한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에는 안내부재(15)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의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를 장착하는 구조는 상부의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를 장착하는 경우와 거의 같다.
또,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문닫힘구가 장착되고, 가이드 주행체(B)에 안내부재(15)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는, 특히 문닫힘구를 장착하지 않은 것도 있다. 또한, 상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하부의 가이드 레일(17)에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를 장착하는 것도 있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문닫힘장치가 장착된 미닫이문 장치를 갖는 가구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문닫힘장치에 의한 미닫이문(18)의 문닫힘 및 문열림의 각각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미닫이문의 문닫힘 동작을 도 10,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동부재(1)와 후크부재(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되어 있고, 그 초기 상태에서 후크부재(2)의 결합부(2c)가 케이싱(A)(제1 케이싱부(A1))의 피결합면부(7)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정지 상태로 있다. 그리고, 열림상태의 미닫이문(18)이 문닫힘 방향(도 10A에 있어서 좌측으로부 터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후크부재(2)로 점차적으로 근접하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재(15)의 걸림부(15b) 선단이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에 접촉한다.
더욱이, 가이드 주행체(B)가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면, 걸림부(15b)가 피접촉편(2b2)을 압착하도록 작용하고, 후크부재(2)의 회동기부(2a)가 접동부재(1)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결합부(2c)가 케이싱(A)의 피결합면부(7)로부터 이탈하여, 후크부재(2)의 가정지 상태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 및 도 8B에 있어서 회동기부(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는, 도 10C 및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고, 후크부재(2)의 피접촉편(2b2)과 접촉하면서 피걸림편(2b1)과 피접촉편(2b2) 사이의 거의 ∪자 형상의 요부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걸림부(15b)와 후크부재(2)의 걸림동작과 함께, 그 후크부재(2)의 가정지(假停止) 상태가 해제되어, 거의 동시에 그 후크부재(2)의 평탄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2d)가 주안내부(6)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되고, 그 후크부재(2)가 상기 접동부재(1)의 피안내돌기편(1d)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3)의 탄성력(F)에 의해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탄성부재(3)에 의한 접동부재(1) 및 후크부재(2)의 문닫힘 방향으로의 이동동작시에는, 접동부재(1)에 형성된 래크부(1b)와 완충부재(4)의 치차부(4a)의 맞물림에 의한 저항력(T)이 탄성부재(3)의 탄성력(F)에 의한 탄성의 밀어붙이는 방향에 대하여 작동한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3)의 탄성력(F)에서 완충부재(4)의 저항력(T)를 뺀 힘, 즉 F - T 로 되는 힘이 실질적인 문닫힘력(P)으로 된다. 그리고, 이 문닫힘력(P)에 의해, 미닫이문(18)은, 문닫힘작업에 의한 초기문닫힘 속도(Vn)로부터 상기와 같이 감속되어서, 그 문닫힘력(P)에 의해 완만한 속도(Vm)로 되고, 문닫힘 동작이 행하여지고, 문닫힘측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어, 문닫힘 방향 단부에 도달하여 문닫힘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도 11B 참조).
다음에, 미닫이문(18)의 문열림 동작을 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후크부재(2)는,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문닫힘측 근방(도 12A에 있어서 우측근방)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된 안내부재(15)는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과 걸림상태로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닫이문(18)을 문열림 방향(도 12B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에 장착된 안내부재(15)가 걸림상태에 있는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을 잡아 당기도록 하고, 주안내부(6)를 따라 문열림측으로 후크부재(2) 및 접동부재(1)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더욱이, 미닫이문(18)을 문열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후크부재(2)가 피결합면부(7)부위에 도달하면, 접동규제돌기(1g)가 접동규제부의 문열림측 단부에 접촉하고, 접동부재(1)의 접동동작에서의 스톱퍼(Stopper)의 역할을 하고, 접동부재(1)의 접동이 정지된다. 이 때에는, 후크부재(2)의 결합부(2c)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 도달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미닫이문(18)의 문열림 동작이 속행됨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에 의해 후크부재(2)의 피걸림편(2b1)이 인출되도록 하여 후크부재(2)가 회동기부(2a)를 통하여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B, 도 8B,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재(2)는 회동기부(2a)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부(2c)가 피결합면부(7)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후크부재(2)는, 접동부재(1)와 그 접동부재(1)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2c)와 피결합면부(7)가 적당한 압력에 의해 결합접촉한 상태가 유지되고, 이에 의해, 후크부재(2)는 피결합면부(7) 부위에서 가정지 상태로 된다.
그 후크부재(2)는, 문열림측에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피걸림편(2b1)의 상단부 부위가 낮아짐으로써, 가이드 주행체(B)의 걸림부(15b)는, 피걸림편(2b1)으로부터 이탈하고, 걸림부(15b)과 후크부재(2)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미닫이문(18)은 더 열림측으로 이동하여, 열림동작을 완료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는, 제1 케이싱부(A1)측에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주안내부(6) 및 피결합면부(7)는, 상상선(想像線)으로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는, 그 미닫이문을 문닫힘측 단부로 강제적으로 가까이 끌어당기고, 그 문닫힘 종료 직전에서의 미닫이문의 속도가 적정하게 감속하고, 이것에 의해 양호한 문닫힘 동작을 시키는데도 이용할 수가 있고, 특히, 그 문닫힘장치를 소형의 것으로 하여 미닫이문의 가이드 레일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문닫힘장치를 미닫이문에 조립하기 위한 공간를 작은 것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즉, 본 발명의 장치의 장착 용이, 또한 장착 부위의 공간절약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Claims (7)

  1. 가이드 레일(Guide Rail)의 단부(端部) 부위에 장착된 케이싱(Casing)내에 있어서 적당한 영역을 접동(摺動)하는 접동부재에 회동이 자유롭게 후크(Hook)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접동부재가 탄성부재를 통하여 문닫힘측으로 밀어붙이고, 또한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완충부재에 의한 저항력으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走行體)가 상기 후크부재에 걸려진 상태로부터 상기 접동부재의 접동영역을 문닫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동부재에는 래크(Rack)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접동부재의 문닫힘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그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치차부(齒車部)가 완충부재에 구비되며, 또한 상기 접동부재에는 접동규제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접동규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접동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는 접동규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2. 접동부재와, 그 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와 피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접동부재를 문닫힘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접동부재, 후크부재, 탄성부재 및 완충부재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접동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안내부와 그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팔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접동부재가 문열림측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접동부재에는 래크(Rack)부가 형성되고, 완충부재에는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접동부재의 문닫힘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그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치차부(齒車部)가 완충부재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접동부재에는 접동규제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접동규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접동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는 접동규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3. 접동부재와, 그 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와 피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접동부재를 문닫힘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접동부재, 후크부재, 탄성부재 및 완충부재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접동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안내부와 그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팔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접동부재가 문열림측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접동부재 및 후크부재에는 케이싱의 외부에 돌출하는 접동부재 조작편 및 후크 조작편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접동부재에는 래크(Rack)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접동부재의 문닫힘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그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치차부(齒車部)가 완충부재에 구비되며, 또한 상기 접동부재에는 접동규제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접동규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접동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는 접동규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4. 접동부재와, 그 접동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연결하는 회동기부와 피걸림편과 피접촉편과 상기 회동기부의 회동동작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재와, 상기 접동부재를 문닫힘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어붙이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완충부재와, 상기 접동부재, 후크부재, 탄성부재 및 완충부재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접동부재가 수평방향을 따라 안내되는 주안내부와 그 주안내부의 문열림 근방 부위에 피결합면부가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가이드 주행체에 설치되고,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팔형상부의 선단에 상기 피걸림편에 걸리고, 또한 피접촉편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부재는, 상기 접동부재가 문열림측 단부의 위치만 요동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피결합면부에 결합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면부는 회전가능한 지지 연결부를 회동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 철면부와 원호형상 요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동부재에는 래크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완충부재에는 상기 래크부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접동부재의 문닫힘측 방향 이동에 대하여 그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치차부(齒車部)가 완충부재에 구비되며, 또한 상기 접동부재에는 접동규제돌기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접동규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접동부재의 이동이 규제되는 접동규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57006222A 2003-06-30 2004-04-28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100695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9082A JP3930459B2 (ja) 2003-06-30 2003-06-30 引戸の戸閉装置
JPJP-P-2003-00189082 200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89A KR20050051689A (ko) 2005-06-01
KR100695771B1 true KR100695771B1 (ko) 2007-03-16

Family

ID=3354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222A KR100695771B1 (ko) 2003-06-30 2004-04-28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40540A4 (ko)
JP (1) JP3930459B2 (ko)
KR (1) KR100695771B1 (ko)
CN (1) CN100526588C (ko)
HK (1) HK1092512A1 (ko)
WO (1) WO20050012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2B1 (ko) 2009-04-08 2010-02-02 김야현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101746737B1 (ko) * 2015-10-06 2017-06-14 안중식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9578A (ja) * 2005-04-19 2006-11-02 Meiko:Kk 引戸又は引出しの引込み装置
JP4577121B2 (ja) * 2005-06-30 2010-11-10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引戸用自動閉止装置
JP4601503B2 (ja) * 2005-07-08 2010-12-22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緩衝装置、開閉装置
DE202005012954U1 (de) * 2005-08-15 2006-07-20 Cabinet Schranksysteme Ag Schiebetür
JP5093881B2 (ja) 2006-11-13 2012-12-12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DE102007009076A1 (de) 2007-02-23 2008-08-28 Weber & Co. Gmbh Kg Dämpfungs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KR100882419B1 (ko) * 2007-09-05 2009-02-05 이병노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ITMI20070337U1 (it) 2007-10-10 2009-04-11 Terno Scorrevoli Srl Dispositivo di arresto ammortizzato per ante e porte scorrevoli
DE202008008006U1 (de) * 2008-06-14 2009-10-29 Gebr. Willach Gmbh Schiebetür
DE202009000616U1 (de) * 2009-01-15 2010-05-27 Hettich-Heinze Gmbh & Co. Kg Schiebetürbeschlag für zweiflügelige Schiebetür
CN102317561B (zh) * 2009-02-16 2014-10-01 株式会社利富高 移动体的移动装置
JP2011006872A (ja)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4895318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JP4895317B2 (ja) * 2010-02-24 2012-03-14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EP2372064A1 (en) * 2010-04-01 2011-10-05 Elfa International AB Sliding door arrangement
PL2372066T3 (pl) * 2010-04-01 2017-06-30 Elfa International Ab Układ drzwi przesuwnych
JP5307769B2 (ja) * 2010-07-06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自走往動させる機構
JP5285679B2 (ja) * 2010-11-16 2013-09-11 株式会社中尾製作所 引込装置
DE102010061160B4 (de) * 2010-12-10 2023-10-26 Hettich-Heinze Gmbh & Co. Kg Schließ- und Dämpfun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JP5923298B2 (ja) * 2011-03-14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当受体及び当受体を備える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JP5907693B2 (ja) * 2011-03-14 2016-04-26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DE102011107961B4 (de) * 2011-07-20 2021-05-20 Gebr. Willach Gmbh Tragsystem für eine Schiebetür
DE102011052756B4 (de) * 2011-08-16 2024-06-13 Hettich-Heinz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inzieh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in eine Mittelstellung
US9388622B1 (en) 2015-02-05 2016-07-12 K.N. Crowder Mfg.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sliding door
CN104675250B (zh) * 2015-03-18 2017-06-13 伍志勇 用于滑动门的阻尼装置
CN105275294B (zh) * 2015-10-23 2017-04-05 伍志勇 家具移动部件的防脱保持机构
KR101636224B1 (ko) * 2016-01-11 2016-07-04 박덕교 슬라이드 방식의 댐핑 장치
CN110185342A (zh) * 2018-07-12 2019-08-30 张秦鸣 一种隐藏式门吸结构
US20200355004A1 (en) * 2019-05-06 2020-11-12 Schlage Lock Company Llc Sliding door systems
CN112832612A (zh) * 2019-11-16 2021-05-25 李建标 一种门控天弹簧的工作方法
CN112302460B (zh) * 2020-10-29 2022-03-25 宁波腾宇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借惯性力移门缓冲器
CN113397403B (zh) * 2021-07-29 2022-12-2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门锁装置及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427B2 (ja) * 1998-03-17 2009-07-08 株式会社西製作所 引戸の構造及び引戸閉塞装置
JP2001182425A (ja) * 1999-12-24 2001-07-06 Comany Inc 半自動式吊戸装置及び該吊戸の初期開力補助装置
JP2003056245A (ja) * 2001-08-17 2003-02-26 Takubo Industrial Corp 扉の牽引装置
DE20218067U1 (de) * 2002-11-19 2003-01-30 Julius Blum Ges.m.b.H., Höchst Schließ-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DE20218927U1 (de) * 2002-12-05 2003-02-13 Hettich-Heinze GmbH & Co. KG, 32139 Spenge Dämpfungs- und Einzugsvorrichtung für Schiebetüren
DE20306195U1 (de) * 2003-04-17 2004-08-26 Arturo Salice S.P.A., Novedrate Dämpfun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2B1 (ko) 2009-04-08 2010-02-02 김야현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101746737B1 (ko) * 2015-10-06 2017-06-14 안중식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1227A1 (ja) 2005-01-06
JP3930459B2 (ja) 2007-06-13
JP2005023615A (ja) 2005-01-27
KR20050051689A (ko) 2005-06-01
CN100526588C (zh) 2009-08-12
EP1640540A4 (en) 2013-05-15
HK1092512A1 (en) 2007-02-09
CN1780968A (zh) 2006-05-31
EP1640540A1 (en)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71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100803818B1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WO2006011294A1 (ja) 引戸の戸閉装置
KR20210069304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 방지 구조
JP2008057259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5290538B2 (ja) 引戸の引込み装置及び引戸装置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JP4718898B2 (ja) 可動体の動作機構、および、自動車用収納装置
CN209769638U (zh) 一种转盘及储物柜
JP2008008104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7023554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JP2005171482A (ja) 室内における間仕切り用引戸装置
JP4152867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引戸の戸閉装置。
JP6198262B2 (ja) 引戸用ランナー構造
JP2005113546A (ja) 引戸用鎌錠
JP2007231524A (ja) 戸閉具
JP5010968B2 (ja) 軸受装置
JP2008303652A (ja) 戸閉具
JP2003020848A (ja) 扉位置決め装置
JP5288582B2 (ja) 引き違い戸装置
JP2672517B2 (ja) 折戸用ランナー部材
JPH076449Y2 (ja) キャビネット等の扉開放機構
JP2580520Y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0085544A (ja) 平行払拭式ワイパ装置
JP3214269B2 (ja) 上下開閉式扉のストッ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