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534B1 -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534B1
KR101319534B1 KR1020130045223A KR20130045223A KR101319534B1 KR 101319534 B1 KR101319534 B1 KR 101319534B1 KR 1020130045223 A KR1020130045223 A KR 1020130045223A KR 20130045223 A KR20130045223 A KR 20130045223A KR 101319534 B1 KR101319534 B1 KR 10131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w
drawer
shock absor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천
Original Assignee
김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387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195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천 filed Critical 김종천
Priority to KR102013004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0Combinations of elements
    • E05Y2800/23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 E05Y2800/24Combinations of elements of elements of different categories of springs and brake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와 같은 개폐구의 닫힘 또는 열림 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 댐퍼와 스프링 및 견인구가 결합된 완충장치에 있어 상기 견인구에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를 각기 돌출 형성하여 이들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의 사이에 계지핀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유동걸림구는 내부의 탄지스프링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인 도어 및 서랍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으로 완충장치 내의 견인구에 대한 초기 이동 및 고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 및 서랍 등의 개폐구에 대한 초기 설치 및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목적 및 작용과 효과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함에 따라 상기 완충장치에 대한 사용 수명의 연장은 물론 이와 같은 완충장치가 적용된 서랍이나 도어 등의 개폐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Shock absorber for opening/shutting device}
본 발명은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와 같은 개폐구의 닫힘 또는 열림 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 댐퍼와 스프링 및 견인구가 결합 형성된 완충장치에 있어, 상기 견인구에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걸림구에 의해 서랍이나 도어에 장착되는 계지구의 위치와 관계없이 서랍이나 도어 등을 손쉽게 장착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이나 각종 미닫이 도어는, 서랍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서랍과 문틀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는 사람의 인위적인 힘에 의존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되거나 밀폐되는 것인데, 서랍 본체에 내장된 레일이나 문틀프레임에 장착된 레일홈 또는 미닫이 도어 자체의 롤러부재를 통해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레일 및 롤러부재의 경우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의 부드러운 개폐 및 저소음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 등은 부드러운 개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레일 및 롤러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실제로도 개선된 상태의 레일 및 롤러가 적용됨에 따라 근자의 서랍 및 미닫이 도어는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열고 닫힘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종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 등은 레일 및 롤러체가 부드럽게 작동되도록 개선됨에 따라 이들 서랍이나 도어 등의 개폐구에 대한 열고 닫음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 자중 및 인위적인 힘에 의한 관성으로 인해 개폐구의 닫힘 시 또는 열림 시 이들 개폐구는 서랍 본체 및 도어 프레임과 충돌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랍 본체 및 도어 프레임과의 충돌시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충돌에 의해 서랍이나 서랍 본체 또는 미닫이 도어나 도어 프레임에 대한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파손이나 손상은 서랍장이나 도어에 대한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랍이나 미닫이 도어 등을 영아 및 소아가 이를 사용하는 경우 빠르게 닫히거나 열릴 때 손가락이 끼여 다치거나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고, 성인의 경우에도 안전사고에 늘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별도의 완충장치가 안출되어 개방된 상태의 서랍이나 도어 등을 열거나 닫고자 하는 경우 개폐 초기에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서랍이나 도어가 슬라이딩 되게 되고 상기의 서랍이나 도어가 완충장치에 이르러서는 완충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서서히 닫히거나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개폐구용 완충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개폐구용 완충장치는 2011년 특허출원 제065994호 및 도 1과 도 2의 도시와 같은 것으로, 내부에 댐퍼(110)와 스프링(120) 및 견인구(130)가 결합 형성된 본체(100)를 구비하고 상기의 본체(100) 내부에는 견인구(130)가 일정 경로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안내홈(101)을 형성하며, 상기의 견인구(130)에는 끼움홈부(131)를 형성함에 따라 서랍 또는 도어에 결합되는 계지핀(140)이 상기의 끼움홈부(131)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완충장치는, 서랍 또는 도어의 계지핀(140)이 끼움홈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컨대 상기의 서랍 또는 도어(이하, 개폐구라 함)를 개방시키는 경우 계지핀(140)과 끼움홈부(131)의 간섭으로 인해 견인구(130)가 함께 유동하는 것이고 견인구(130)의 유동에 의해 스프링(120)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견인구(130)는 본체(100)에 형성된 안내홈(101)의 형상으로 인해 일정 폭을 유동하다가 회전 고정되면서 상기와 같은 계지핀(140)과 이탈되므로 이때부터는 상기의 개폐구는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개방 또는 닫힘 상태의 개폐구를 닫힘 또는 개방시키고자 인위적인 힘을 가하면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다가 상기의 계지핀(140)이 견인구(130)의 끼움홈부(131)에 삽입되면서 회전 고정상태인 견인구(130)가 수평 유동상태로 전환되면서 이때부터는 늘어났던 스프링(120)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의 개폐구가 자동으로 닫힘 또는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는 서랍이나 도어에 대한 급작스런 개방이나 닫힘 작동시 서랍이나 도어의 작동력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늘어났던 상태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서랍이나 도어가 자동으로 서서히 닫힘 또는 개방되게 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개폐 작동시에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를 갖는 대상물에 서랍 또는 도어를 초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설치자가 미리 견인구를 끌어당겨 안내홈 끝단의 굴절부를 통해 견인구를 회전시켜 놓은 상태에서 서랍 또는 도어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완충장치는 예컨데 서랍이나 도어를 여는 과정에서 이들 서랍이나 도어에 결합된 계지핀이 견인구를 끌어당기다가 견인구가 안내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계지핀과 견인구가 이탈되며 서랍이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고, 상기 개폐구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랍이나 도어 등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회전 상태인 견인구에 계지핀이 삽입되면서 인위적인 힘에 의해 고정상태인 견인구를 역회전시켜 안내홈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늘어났던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의 개폐구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서랍 또는 도어를 초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상기의 견인구를 인위적인 힘으로 끌어당겨 회전 및 고정된 상태로 만들고 이와 같은 견인구의 회전 상태에서 서랍 또는 도어를 장착한 후 이를 닫힘 방향으로 유동시켜 견인구와 계지구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견인구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서랍이나 도어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견인구를 끌어당기는 경우에는 큰 힘이 소용되지 않을 것이나 이들 개폐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견인구만 끌어당겨 회전 및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큰 힘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견인구에 대한 사전 작업과정에서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이며, 문틀이나 도어 또는 완충장치에 대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완충장치는 합성수지에 의한 분할 본체 내에 댐퍼 및 스프링과 견인구를 내장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는 비교적 고중량체인 서랍이나 도어 등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완충장치에 작용하는 충격 역시 매우 큰 것인데, 이와 같은 충격이 분할 조립된 본체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의 분할 본체가 서로 벌어지거나 결합력이 약화되면서 댐퍼 또는 스프링 간의 결합부와 견인구 및 안내홈 간의 계지력이 상실되면서 완충장치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면서 본래의 목적과 작용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몸체에 댐퍼와 스프링 및 견인구가 결합된 완충장치에 있어 상기 견인구에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를 각기 돌출 형성하여 이들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의 사이에 계지핀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유동걸림구는 내부의 탄지스프링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랍이나 도어 등을 초기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완충장치의 견인구에 대한 이동 및 고정 없이 그대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댐퍼와 견인구에 대한 결합구조의 개선 및 분할 형성된 몸체가 벌어지는 것을 개선한 특징의 유동걸림구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대향의 안내홈을 갖고 분할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댐퍼와 스프링 및 견인구가 내장되어, 상기 댐퍼의 댐퍼축과 견인구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견인구는 안내홈을 따라 유동되게 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몸체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타단은 견인구에 고정되게 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계지핀이 상기 견인구에 구속되게 한 개폐구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에는 고정걸림구와 유동걸림구를 각기 돌출 형성하되, 상기의 유동걸림구는 견인구로부터 출몰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인 도어 및 서랍의 초기 설치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으로 완충장치 내의 견인구에 대한 초기 이동 및 고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도어 및 서랍 등의 개폐구에 대한 초기 설치 및 장착 작업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목적 및 작용과 효과를 그대로 연출할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완충장치가 갖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함에 따라 상기 완충장치에 대한 사용 수명의 연장은 물론 이와 같은 완충장치가 적용된 서랍이나 도어 등의 개폐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기존 완충장치의 적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기존 완충장치에 대한 단면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견인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견인구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견인구에 대한 또 다른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견인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는, 서랍을 여닫고자 하는 경우 또는 각종 미닫이 형태의 도어를 여닫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와 별도의 계지구를 가구본체 및 서랍 또는 문틀과 도어에 각기 고정 설치하여 이들로부터 상기의 서랍 또는 도어와 같은 개폐구가 열림 또는 닫힘 과정에서 급격한 이동 속도를 완충시키는 동시에 서서히 이들이 닫힘 또는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격에 의한 소음 및 파손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상호 대향면에 서로 대응하는 안내홈(11)을 갖는 장방형의 몸체(10)를 구비하되, 상기의 안내홈(11)은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다가 끝단에 이르러서는 하향 곡선의 굴절부(11')를 갖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10)의 내부에는 댐퍼(20)와 스프링(30) 및 견인구(40)가 각기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댐퍼(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의 유압 댐퍼인 것으로, 댐퍼(20)의 내부에 오일은 상기의 댐퍼축(21)이 빠르고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돌출 상태의 댐퍼축(21)은 오일의 압력 및 유동으로 인해 서서히 삽입되는 작동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댐퍼(20)는 상기와 같은 몸체(10) 내에 구속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댐퍼축(20)으로부터 출몰되는 댐퍼축(21)은 상기와 같은 몸체(10) 내에서 자유롭게 출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스프링(30)은 일단이 상기의 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스프링(30)의 타측 끝단은 상기의 견인구(4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견인구(40)는 전기한 댐퍼축(21)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11)을 따라 유동되도록 결합된 견인구(40)는 일측으로 유동하는 경우 스프링(30)을 늘어트리는 동시에 댐퍼축(21)이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고, 타측으로 견인구(4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늘어난 상태의 스프링(30)이 복원되는 동시에 돌출 상태인 댐퍼축(21)이 다시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견인구(40)를 강제의 힘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 후 이와 같은 강제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으로 인해 본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복원 과정에서 댐퍼(20)의 특성으로 인해 상기의 견인구(40)는 서서히 느린 속도를 갖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견인구(40)는 외측 방향으로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유동걸림구(42)는 선단부에 경사면(43)이 형성되어 있고, 견인구(4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탄지스프링(44)의 상부에 올려져 있어 상기와 같은 탄지스프링(44)을 압축하면서 견인구(40)로부터 출몰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유동걸림구(42)의 일측에는 유동홈(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홈(45)의 내측으로는 견인구(4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고정핀(46)의 끝단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유동걸림구(42)는 탄지스프링(44)을 압축하며 하강되다가 하향 압력이 제거되면 탄지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 돌출되는 것이고, 상향 돌출 과정에서 유동홈(45)의 바닥부가 고정핀(46)과 간섭하면서 더 이상 상승될 수 없게 되므로 상기의 고정핀(46)은 유동걸림구(42)가 견인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댐퍼(20)로부터 출몰하는 댐퍼축(21)의 끝단에는 나사부(22)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22)에는 별도의 연결구(23)를 나사 결합하며, 상기 댐퍼축(21)과 힌지 결합되는 견인구(40)에는 상기 연결구(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끼움홈(47)을 형성한 후, 이들 연결구(23)와 견인구(40)를 별도의 힌지핀(24)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하면 상기의 견인구(40)는 연결구(23)의 힌지핀(24)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호 힌지 결합구조는 안내홈(11)을 따라 유동하는 견인구(40)가 안내홈(11) 끝단의 굴절부(11')에 이르러 굴절부(11')의 형상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가구 본체 혹은 문틀 등에 장착하고 별도의 계지구(60)는 서랍 또는 도어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서랍 또는 도어를 개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의 계지구(60)는 견인구(40)의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 내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서랍 또는 도어와 함께 상기의 견인구(40)가 몸체(10)의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이동하던 견인구(40)는 안내홈(11)의 끝단 굴절부(11')에 이르러 굴절부(11')의 형상을 따라 하향 회전되면서 상기와 같은 계지구(60)는 유동걸림구(42)와의 계지력이 상실되면서 견인구(40)로부터 이탈되어 이때부터는 서랍 및 도어 단독으로 개방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견인구(40)는 굴절부(11')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방된 서랍이나 도어를 닫고자 할 때,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서랍 또는 도어에 고정되어 있던 계지구(60)는 회전 및 고정 상태인 견인구(40)의 고정걸림구(41)와 간섭하면서 회전 상태의 견인구(40)를 강제로 후퇴시키면서 수평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안내홈(11)을 따라 수평 상태가 이루어진 견인구(40)는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본래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계지구(60)를 끌어당기며 개방된 상태의 서랍이나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견인구(40)는 댐퍼축(2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댐퍼(20)로 인해 상기의 견인구(40)를 포함한 서랍이나 도어는 급속하게 이동되지 못하고 서서히 느린 속도로 닫히게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틈새에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급격한 닫힘으로 인한 충격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완충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본 작동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최초 설치되는(또는 닫힘 상태의) 서랍이나 도어의 계지구(60)는 반드시 견인구(40)의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할 필요성을 갖고 있게 된다.
이에 기존의 경우 상기와 같은 견인구(40)를 몸체(10)의 안내홈(11)을 따라 강제로 이동시켜 끝단의 굴절부(11')에 의해 회전 및 고정되게 하여 상기 견인구(40)의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의 사이로 계지구(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서랍이나 도어를 최초 설치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견인구(40)에 대한 사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서랍이나 도어를 그대로 장착할 수 있는 효율성을 갖는 것이다.
즉, 견인구(40)가 굴절부(11')가 아닌 안내홈(11)에 수평 상태로 위치한 초기 상태에서 서랍이나 도어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서랍이나 도어를 열림 위치에 설치한 후 이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서랍이나 도어에 장착되어 있던 계지구(6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견인구(40)의 돌출된 유동걸림구(42)와 간섭을 일으키게 될 것이고, 이와 같은 간섭력으로 인해 상기의 계지구(60)는 유동걸림구(42)의 경사면(43)에 의해 유동걸림구(42)가 하강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유동걸림구(42)에 작용하는 하향 가압력으로 인해 탄지스프링(44)이 압축되면서 상기의 계지구(60)는 유동걸림구(42)를 지나치게 된다.
이에 상기의 계지구(60)가 유동걸림구(42)를 지나치게 되면 하강되어 있던 유동걸림구(42)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탄지스프링(44)의 반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의 계지구(60)는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서랍 및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의 계지구(60)와 견인구(40)는 서로 계지 결합된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랍이나 도어 등을 개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계지구(60)와 함께 견인구(40)가 이동을 하여 스프링(30)이 늘어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의 견인구(40)가 안내홈(11) 끝단의 굴절부(11')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의 계지구(60)는 견인구(40)로부터 벗어나면서 서랍 및 도어는 완충장치와 관계없이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방 상태의 서랍이나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기존의 완충장치와 마찬가지로 계지구(60)가 견인구(40)의 고정걸림구(41)와 간섭하면서 굴절부(11')에 의해 회전되어 있던 견인구(40)를 역회전시키면서 상기의 계지구(60)가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늘어났던 스프링(30)이 복원되면서 이와 같은 복원력으로 인해 견인구(40)는 계지구(60)를 포함하고 있는 서랍이나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서서히 자동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완충장치는 서랍이나 도어의 최초 설치시 완충장치의 설치 위치 또는 완충장치의 견인구(40)에 대한 사전 작업 없이 그대로 서랍 또는 도어 등의 개폐구를 설치한 후 이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들 서랍 또는 도어에 결합되어 있던 계지구(60)가 완충장치의 견인구(40)와 결합된 상태를 연출하게 되므로 각종 도어 및 서랍 등의 설치와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완충장치는 몸체(10)가 장방형 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 댐퍼(20) 및 스프링(30)과 견인구(40)가 삽입되어 있는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와 같은 몸체(10)는 완충장치의 사용과정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지속적으로 벌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몸체(10)의 외면을 감싸는 별도의 절곡커버(50)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 형성함에 따라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절곡커버(50)의 강성에 의해 상기와 같은 분할 조립된 몸체(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절곡커버(50)는 금속판재를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이를 몸체(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결합 형성하되,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몸체(10) 외면에는 경사상 걸림턱(1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2)과 대응하는 걸림공(5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절곡커버(50)를 몸체(10)의 외면에 밀착하여 가압하게 되면 절곡커버(50)의 걸림공(51)으로 몸체(10)의 걸림턱(12)이 삽입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견고한 고정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분할 상의 몸체(10)는 상기 절곡커버(50)의 강성으로 인해 벌어지지 않게 되어 더욱 견고하고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몸체 11 : 안내홈
11' : 굴절부 12 : 걸림턱
20 : 댐퍼 21 : 댐퍼축
22 : 나사부 23 : 연결구
24 : 힌지핀
30 : 스프링
40 : 견인구 41 : 고정걸림구
42 : 유동걸림구 43 : 경사면
44 : 탄지스프링 45 : 유동홈
46 : 고정핀 47 : 끼움홈
50 : 절곡커버 51 : 걸림공
60 : 계지구

Claims (5)

  1. 상호 대향의 안내홈(11)을 갖고 분할 형성된 몸체(10)의 내부에 댐퍼(20)와 스프링(30) 및 견인구(40)가 내장되어, 상기 댐퍼(20)의 댐퍼축(21)과 견인구(40)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견인구(40)는 안내홈(11)을 따라 유동되어지되 고정걸림구(41)와 유동걸림구(42)를 각기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30)의 일단은 몸체(10)에 고정되고 스프링(30)의 타단은 견인구(40)에 고정되게 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계지핀(90)이 상기 견인구(40)에 구속되게 한 개폐구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걸림구(42)는 견인구(40)로부터 출몰되게 구성되어지되, 견인구(4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지스프링(44) 상에 위치되게 하고, 유동걸림구(42)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동홈(45)으로는 견인구(4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고정핀(46)이 위치되게 하여,
    상기 탄지스프링(44)을 압축하며 유동걸림구(42)가 견인구(40)로부터 상,하 출몰되게 하고, 상기 고정핀(46)에 의해서는 유동걸림구(42)가 견인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걸림구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45223A 2013-04-24 2013-04-24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31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23A KR101319534B1 (ko) 2013-04-24 2013-04-24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23A KR101319534B1 (ko) 2013-04-24 2013-04-24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534B1 true KR101319534B1 (ko) 2013-10-21

Family

ID=4963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223A KR101319534B1 (ko) 2013-04-24 2013-04-24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534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54B1 (ko) 2014-04-03 2014-08-13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KR101559676B1 (ko) 2014-07-30 2015-10-13 여길봉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20150142370A (ko) 2014-06-11 2015-12-22 비엠리빙코리아(주) 미닫이식 도어 개폐용 완충장치
KR101642410B1 (ko)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668355B1 (ko)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JP2016194213A (ja) * 2015-03-31 2016-11-17 磯川産業株式会社 引戸用ランナー
KR20170019624A (ko) 2015-08-12 2017-02-22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20170026083A (ko) 2015-08-28 2017-03-08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제조방법
KR101717479B1 (ko) * 2016-01-08 2017-03-27 김용갑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1개의 동일한 이동 통로를 갖는 개폐도어의 구동방법
KR20170039546A (ko) 2015-10-01 2017-04-11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745545B1 (ko) * 2016-10-11 2017-06-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JP2017160722A (ja) *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ダイケン 引戸装置
KR20180105911A (ko) 2017-03-16 2018-10-01 김용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수평 개별 멀티 롤러형 슬라이드 개폐부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KR20210149345A (ko) * 2020-06-02 2021-12-09 (주)삼우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조절장치
KR20220030594A (ko) * 2020-09-03 2022-03-11 황정연 슬라이딩도어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8B1 (ko) 2004-08-30 2008-0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200450976Y1 (ko) 2010-01-08 2010-11-15 신정철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KR20110010818A (ko) * 2008-06-06 2011-02-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슬라이딩 보조기구
KR101180141B1 (ko) * 2011-05-13 2012-09-05 신정철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8B1 (ko) 2004-08-30 2008-02-14 가부시키가이샤 시모다이라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KR20110010818A (ko) * 2008-06-06 2011-02-0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슬라이딩 보조기구
KR200450976Y1 (ko) 2010-01-08 2010-11-15 신정철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KR101180141B1 (ko) * 2011-05-13 2012-09-05 신정철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754B1 (ko) 2014-04-03 2014-08-13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KR20150142370A (ko) 2014-06-11 2015-12-22 비엠리빙코리아(주) 미닫이식 도어 개폐용 완충장치
KR101559676B1 (ko) 2014-07-30 2015-10-13 여길봉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JP2016194213A (ja) * 2015-03-31 2016-11-17 磯川産業株式会社 引戸用ランナー
KR20170019624A (ko) 2015-08-12 2017-02-22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101642410B1 (ko)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KR20170026083A (ko) 2015-08-28 2017-03-08 김용갑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의 제조방법
KR20170039546A (ko) 2015-10-01 2017-04-11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668355B1 (ko) 2015-11-24 2016-10-21 김용갑 가이드 양방향 기울기형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101717479B1 (ko) * 2016-01-08 2017-03-27 김용갑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1개의 동일한 이동 통로를 갖는 개폐도어의 구동방법
JP2017160722A (ja) *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ダイケン 引戸装置
KR101745545B1 (ko) * 2016-10-11 2017-06-1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WO2018070656A1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미닫이 개폐구조용 댐퍼조립체
KR20180105911A (ko) 2017-03-16 2018-10-01 김용갑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며, 수평 개별 멀티 롤러형 슬라이드 개폐부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도어용 연동장치
KR20210149345A (ko) * 2020-06-02 2021-12-09 (주)삼우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조절장치
KR102346886B1 (ko) * 2020-06-02 2022-01-04 (주)삼우 슬라이딩 도어용 개폐조절장치
KR20220030594A (ko) * 2020-09-03 2022-03-11 황정연 슬라이딩도어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KR102431204B1 (ko) * 2020-09-03 2022-08-09 황정연 슬라이딩도어용 댐퍼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도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534B1 (ko)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KR101430754B1 (ko)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CN102162325B (zh) 引入装置
CN108884696B (zh) 具有多个止动位置的门挡装置
JP4313764B2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4847209B2 (ja) 開き戸の緩衝装置
JP4313763B2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RU2658278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для створок, дверей, входных дверей, откидывающихся вверх дверей, окон, фрамуг
TWI721197B (zh) 阻尼器裝置、其相關之用於保持側翼活門的設備以及應用此裝置的櫥櫃
KR101524829B1 (ko) 가구용 도어 댐핑장치
KR101659845B1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1232283B1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110030258A (ko) 안전문
KR102045798B1 (ko) 도어용 손가락 끼임 부상 방지구
CN215347833U (zh) 开闭锁定的滑轨
JP2006200300A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DE102013220335A1 (de) Gepäckkoffer
KR101075034B1 (ko)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JP4786944B2 (ja) 引戸の引き込み装置
KR101447728B1 (ko) 미닫이문의 개폐방법
KR200465743Y1 (ko) 미닫이 창문용 다목적 잠금 스토퍼
KR101459217B1 (ko) 도어클로저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10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91004

Effective date: 2021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