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818A - 슬라이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818A
KR20110010818A KR1020107029129A KR20107029129A KR20110010818A KR 20110010818 A KR20110010818 A KR 20110010818A KR 1020107029129 A KR1020107029129 A KR 1020107029129A KR 20107029129 A KR20107029129 A KR 20107029129A KR 20110010818 A KR20110010818 A KR 2011001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posture
pushing
cas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158B1 (ko
Inventor
마사카즈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01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7Universally applicable
    • E05Y2800/172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 E05Y2800/174Universally applicable on different wing or frame locations on the left or right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3Multiple fun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체(7) 혹은 이동체(A) 중 한쪽에 장착되는 케이스(1),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 걸리게 한 대기자세와 이 걸림을 해제한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래치(4), 상기 래치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수단(3)과, 본체(7) 혹은 이동체 중 다른쪽에 장착되는 작동부재(8)를 구비하며, 래치(4)가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되면, 밀어붙임 수단(3)에 축적되어 있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이동체를 작동부재(8)를 통해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이다. 주요부는, 래치(4)가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작동부재(8)와 결합하는 통상시의 결합부(42)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작동부재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작동부재(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47)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보조기구에 의하면, 수복구조로서 보다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보조기구{SLIDING ASSIST MECHANISM}
본 발명은 이동체를 본체측의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전환하거나, 혹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하는 조작을 돕는 슬라이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 121은 본체측 지지틀의 상변(上邊)에 장착되는 미닫이 클로저(sliding closer), 부호 103은 이동체인 미닫이측에 설치되는 작동부재(결합핀)이다. 여기서 미닫이 클로저(121)는 케이스(122)와, 갈고리체(136)와, 밀어붙임 수단(biasing means)(135)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22)는 용기 형상을 이루며, 일단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결합홈부(125)와, 슬라이딩홈부(131)(직선 이동홈부(132) 및 이동홈부(132)의 일단측에서 구부려져 있는 회동홈부(133)로 이루어짐)를 형성하고 있다. 갈고리체(136)는 작동부재(103)를 착탈하는 지지오목부(146)와, 슬라이딩홈부(131)에 끼워 맞추는 결합볼록부(144, 145)를 가지고 있다. 밀어붙임 수단(135)은 일단을 갈고리체(136)에 걸고, 타단을 케이스(122)측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갈고리체(136)를 슬라이딩홈부(131)의 타단측으로 밀어붙이고 있으며, 미닫이가 닫힘에서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다. 작동부재(103)는 미닫이의 상단면(上端面)에 대해 자동복귀기구(104)를 통해 돌출된 결합핀이다.
그리고 이 보조기구에서는 미닫이의 닫힘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103)를 본체측의 미닫이 클로저(121)를 향해 이동시킨다. 그러면, 작동부재(103)는 결합홈부(125)에 들어가 슬라이딩한 후, 갈고리체(136)의 지지오목부(146)와 결합하여 지지된다. 즉, 갈고리체(136)는 도 14a의 대기자세(待機姿勢)로부터, 작동부재(103)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 결합볼록부(145)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결합볼록부(144)가 도 14b와 같이 회동홈부(133)로부터 이동홈부(132)에 끼워 맞춰져 인입자세(引入姿勢)로 전환된다. 그러면, 갈고리체(136)는 인입자세, 즉, 작동부재(103)를 구속한 상태로, 밀어붙임 수단(135)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케이스(122)의 후단(後端)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미닫이의 열림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103)가 갈고리체(136)와 함께, 케이스(122)의 전단(前端)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그에 따라 밀어붙임 수단(135)에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다. 또한, 미닫이가 열림 방향으로 움직이면, 다시 도 14a의 상태가 된다.
이상의 보조기구에서는, 갈고리체(136)가 대기자세로부터 진동 등으로 부주의하게 회전하여 지지오목부(146)에 대한 작동부재(103)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될 우려(이하, 이것을 비결합상태의 인입자세라고 칭한다)가 있고, 그 경우, 작동부재(103)를 결합홈부(125)를 따라 슬라이딩해도 지지오목부(146)에 결합할 수 없게 된다. 그 수복(修復)구조(repairing structure)로서는 결합홈부(125)의 후측(後側)에 설치된 안내용의 확폭(擴幅) 홈부(126)와, 작동부재(103)의 지지기구로서의 자동복귀기구(104)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복귀기구(104)는 작동부재(103)가 도시하지 않은 회전반(回轉盤) 등을 통해 플레이트(105)의 슬라이딩구멍(108)을 따라 요동(搖動)가능하며, 또한, 도시하지 않은 코일스프링에 의한 밀어붙이는 힘으로 슬라이딩구멍(108)의 일단측에 눌려져 있다. 이 작동은 갈고리체(136)가 비결합상태의 인입자세에서, 작동부재(103)가 미닫이의 닫힘 조작에 의해 결합홈부(125)에 들어가 갈고리체측 경사면부(傾斜面部)(147)에 접촉한 후, 자동복귀기구(104)를 통해 확폭홈부(126)로 안내되면서 지지오목부(146)와 결합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5-290769호 공보
상기 보조기구에 있어서는, 미닫이가 닫힘 조작될 때, 도중(途中)에서부터 밀어붙임 수단(135)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닫힘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미닫이의 불완전한 닫힘 상태의 발생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복구조는 자동복귀기구(104)가 작동부재(103)를 미닫이의 두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복잡하게 될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4b와 같이 갈고리체(136)가 작동부재(103)와 결합한 인입자세로, 미닫이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 조작되어 미처 회동홈부(133)에 도달하지 않은 단계에서, 상기 미닫이에 두께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면, 작동부재(103)가 자동복귀기구(104) 및 확폭홈부(126)를 통해 지지오목부(146)로부터 결합해제할 우려가 있다. 이것은 미닫이가 본체측 안내부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점, 미닫이가 개폐 조작될 때 문짝 두께방향의 변하중(變荷重)을 받기 쉬운 점, 작동부재(103)의 지름 및 지지오목부(146)의 깊이가 제약되는 점에 기인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좌우의 미닫이(A, B)를 미서기(double sliding)로 개폐하는, 이른바 미서기문에 상기 보조기구를 적용함으로써, 각 미닫이(A, B)를 도중에서부터 닫힘 위치, 및 도중에서부터 열림 위치로, 각각 자동으로 인입하도록 하는 경우, 미닫이 클로저(121)를 본체측의 적어도 4지점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장착공정 수 및 장착비용이 증대한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해, 본 출원인은 장착공정 수 및 장착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면서, 예를 들면 미닫이가 닫힐 때 및 열릴 때의 양쪽에 있어서 미닫이가 자동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는 보조기구를 개발했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8-1445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구, 이하, 이것을 「양방향의 보조기구」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수복구조에 비해, 구조가 더 간이하고, 게다가 상기한 양방향 보조기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수복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더 폭넓은 용도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한 슬라이딩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1형태는, 본체 혹은 이동체 중 한쪽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대응부(對應部)에 걸리게 한 대기자세와 이 걸림을 해제한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수단과, 상기 본체 혹은 이동체 중 다른쪽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를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하거나, 또는,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가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밀어붙임 수단에 축적되어 있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작동부재를 통해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로서, 상기 래치는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하는 통상시의 결합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작동부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제2형태는, 본체 혹은 이동체 중 한쪽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대응부에 걸리게 한 대기자세와 이 걸림을 해제한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한 쌍의 래치, 및 상기 양 래치끼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수단과, 상기 본체 혹은 이동체 중 다른쪽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를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하거나, 또는,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를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의 이동 도중 또는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의 도중까지 이동하면, 한쪽의 상기 래치가 상기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걸림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다른쪽의 상기 래치측으로 상기 밀어붙임 수단의 밀어붙이는 힘을 통한 접근구동(接近驅動)을 따라 제2위치 또는 제1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로서, 상기 래치는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하는 통상시의 결합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상기 작동부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에서, 이동체로서는 미닫이 이외에 서랍 등도 포함된다. 본체로서는 미닫이용의 틀이나 서랍용의 수납부 등도 포함된다. 제1위치는 이동체의 완전한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를 나타내며, 여기에는 이동체를 수납부에 완전히 밀어넣은 닫힘 위치나 끌어낸 열림 위치도 포함된다. 제2위치는 이동체의 완전한 열림 위치나 닫힘 위치를 나타내며, 여기에는 이동체를 수납부로부터 완전히 끌어낸 열림 위치나 밀어넣은 닫힘 위치도 포함된다. 보조결합수단은 래치가 결합부에 작동부재를 결합시키지 않고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작동부재와 결합하여 래치를 다시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조결합수단은 형태예와 같이 래치 가운데, 밀어붙임 수단의 밀어붙이는 방향과 반대측에 설치되며, 래치가 비결합상태의 인입자세로 작동부재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의 각 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에서, 케이스, 래치, 밀어붙임 수단은 형태예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입(引入)유닛으로서 구성된다.
상기의 각 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래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는 구성인 것.
(ⅱ)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본체 내지는 이동체에 대해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돌기체(突起體)이고, 상기 보조결합수단은 상기 래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체를 안내하는 경사면안내부 및 상기 경사면안내부에 이어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
(ⅲ) 상기 보조결합수단은 상기 작동부재를 자력(磁力)에 의해 흡착결합하는 구성인 것.
(ⅳ) 상기 래치는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 이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보다 연질(軟質)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인 것.
상기 제1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에서는, 래치가 오작동으로 비결합상태의 인입자세가 되었다고 해도 작동부재가 래치에 설치된 보조결합수단에 결합하여, 상기 래치를 다시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가능하게 한다. 이 보조결합수단은 수복구조로서, 상기 종래의 수복구조에 비해 케이스측으로의 추가가공이 없고, 게다가 작동부재를 이동체 두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간이하고, 경비를 억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에서는 이동체를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 및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중, 즉, 이동체를 각 도중으로부터 밀어붙임 수단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입하여 제2위치 또는 제1위치로 각각 전환하는 보조기구로서, 상기한 청구항 1의 발명과 동일한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ⅰ)의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래치가 슬라이더(slider)를 통해 이동되거나 슬라이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인입작동 및 수복작동을 더 확실히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ⅱ)의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도 1∼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작동부재가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출몰되는 돌기체, 보조결합수단이 돌기체를 안내하는 경사면안내부 및 상기 경사면안내부에 이어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또한, 상기 (ⅲ)의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도 13b의 변형예와 같이 자력작용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ⅳ)의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래치로서,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보다 경질(硬質)로 형성되어 있으면 작동부재에 대한 충격특성 내지는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반대로,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작동부재의 충돌에 기인한 타음(打音) 발생을 없앨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유닛(6)의 하면도.
도 1b는 인입유닛(6)의 측면도.
도 1c는 인입유닛(6)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인입유닛(6)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인입유닛(6)으로부터 커버(15)를 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더(2A)의 개략 사시도.
도 4b는 슬라이더(2A)를 도 4a와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5a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더(2B)의 개략 사시도.
도 5b는 슬라이더(2B)를 도 5a와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 사시도.
도 6a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래치(4)(슬라이더(2A)측의 래치)의 상면도.
도 6b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래치(4)(슬라이더(2A)측의 래치)의 정면도.
도 6c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래치(4)(슬라이더(2A)측의 래치)의 하면도.
도 6d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래치(4)(슬라이더(2A)측의 래치)의 배면도.
도 7a는 도 6c에 나타내는 B-B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7b는 도 6c에 나타내는 A-A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7c는 도 6d에 나타내는 C-C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8a는 인입유닛(6)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b는 인입유닛(6)에 사용되는 작동부재인 돌기체(8)의 분해도.
도 9a는 본체(7)측의 틀과 인입유닛(6) 및 돌기체(8)(작동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본체(7)측의 틀과 인입유닛(6) 및 돌기체(8)(작동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c는 본체(7)측의 틀과 인입유닛(6) 및 돌기체(8)(작동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는 대기자세에 있는 래치(4)를 상측에서 본 도면.
도 10b는 대기자세에 있는 래치(4)를 하측에서 본 도면.
도 11a는 인입자세에 있는 래치(4)를 상측에서 본 도면.
도 11b는 인입자세에 있는 래치(4)를 하측에서 본 도면.
도 12a는 인입자세(도 9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래치(4)에 대해 돌기체(8)(작동부재)가 결합할 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동작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a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보조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보조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슬라이딩 보조기구의 주요부가 되는 인입유닛(6)의 하면도이다. 또한, 도 1b는 인입유닛(6)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인입유닛(6)의 일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인입유닛(6)의 분해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인입유닛(6)으로부터 커버(15)를 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 우측의 래치(4)는 인입자세이다.
또한, 도 4a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더(2A)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b는 슬라이더(2A)를 도 4a와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더(2B)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b는 슬라이더(2B)를 도 5a와 다른 방향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6a∼도 6d는 인입유닛(6)을 구성하고 있는 래치(4)(슬라이더(2A)측의 래치)의 상면도, 정면도, 하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7a는 도 6c에 나타내는 B-B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b는 도 6c에 나타내는 A-A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7c는 도 6d에 나타내는 C-C단면에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인입유닛(6)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8b는 인입유닛(6)에 사용되는 작동부재인 돌기체(8)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9a∼도 9c는 본체(7)측의 틀과 인입유닛(6) 및 돌기체(8)(작동부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a는 미서기문을 열림 위치로 전환한 완전 열림의 모식도이고, 도 9b는 미서기문을 닫힘 위치로 전환한 완전 닫힘의 모식도이며, 도 9c는 도 9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좌측의 래치(4)가 오작동으로 인입자세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대기자세에 있는 래치(4)를 상측 및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인입자세에 있는 래치(4)를 상측 및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2a는 인입자세(도 9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는 래치(4)에 대해 돌기체(8)(작동부재)가 결합할 때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내는 동작을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2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기구 특징, 인입유닛, 작동부재, 조립, 주(主) 작동, 변형예의 순으로 상술한다.
(기구 특징)
본 발명의 슬라이딩 보조기구는 본체(7) 혹은 이동체로서 미닫이(A(B)) 중 한쪽에 장착되는 인입유닛(6)과, 본체(7) 혹은 미닫이(A(B)) 중 다른쪽에 장착되는 작동부재로서의 돌기체(8)를 구비한다. 이하의 형태예에서는 인입유닛(6)을 본체(7)에 장착하고, 돌기체(8)를 미닫이(A(B))에 장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인입유닛(6)을 미닫이(A(B))에 장착하고, 돌기체(8)를 본체(7)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입유닛(6)은 케이스(1), 슬라이더(2), 래치(4), 밀어붙임 수단(3), 제동수단(5)을 구비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슬라이더(2) 및 제동(制動) 수단(5)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이다.
여기서, 본체(7)는, 예를 들면, 개구부(開口部)를 가진 주방이나 선반 등, 혹은 수납공간을 가진 책상이나 복사기 등이다. 이동체는 미닫이(A, B)에 한정되지 않고, 물건을 넣어두는 상자용의 서랍체 등이어도 좋고, 본체(7)의 개구부나 수납 공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등을 따라 닫힘 위치(완전 닫힘 위치이며, 서랍체에서는 압입(押入) 위치에 상당하다)와 열림 위치(완전 열림 위치이며, 서랍체에서는 인출(引出) 위치에 상당하다)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인입유닛(6) 및 돌기체(8)는 대상인 이동체나 인입작동 설정에 따라 다음의 3종류의 구성으로 대별된다.
제1구성에서는 도 1a∼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유닛(6) 및 2개의 돌기체(8)를 세트로 사용한다. 인입유닛(6)은 서로 접촉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2A, 2B)와, 슬라이더(2A, 2B)끼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밀어붙임 수단(3)과, 각 슬라이더(2A, 2B)의 슬라이딩속도를 제동하는 제동수단(5)과, 각 슬라이더(2A, 2B)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스(1) 내의 대응부에 해제가능하게 걸려짐으로써 슬라이더(2A, 2B)끼리를 떨어진 상태로 지지가능한 한 쌍의 래치(4, 5)를 배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 구성은 이동체로서 도 8a의 미닫이(A, B) 중 한쪽, 예를 들면, 단일 미닫이(A)를 본체(7)의 대응하는 개구부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한 경우이며, 미닫이(A)를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도중, 및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방향으로의 도중까지 이동하면, 그 뒤는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열림 위치나 닫힘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상정(想定)하여 특정한 것이다.
제2구성은 이동체로서 도 8a의 미닫이(A, B)를 본체(7)의 대응하는 개구부에 대해 각각 슬라이딩하도록 한 경우로, 도 8a에서는 2개의 인출유닛(6) 및 합계 4개의 돌기체(8)를 세트로 사용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미닫이(A)에 대응한 인입유닛(6) 및 미닫이(B)에 대응한 인입유닛(6)의 각 케이스(1) 이외의 구성 부재를 공통 케이스에 조립하도록 한다(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8-144567호 공보를 참조). 바꿔 말하면, 이 인입유닛에서는 서로 접촉하고 떨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2A, 2B)와, 슬라이더(2A, 2B)끼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밀어붙임 수단(3)과, 각 슬라이더(2A, 2B)의 슬라이딩속도를 제동하는 제동수단(5)과, 각 슬라이더(2A, 2B)에 각각 피벗팅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1)측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더(2A, 2B)끼리를 떨어진 상태로 지지가능한 한 쌍의 래치(4, 4)를 단위로 하여, 이 2개의 세트를 동일한 케이스에 대해 배치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이하의 구성으로부터 이해하기가 용이한 것이므로 이 자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구성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인입하는 경우이다. 이 인입유닛은, 예를 들면, 도 3에서, 슬라이더(2A, 2B) 중 한쪽을 생략하고, 밀어붙임 수단(3)의 일단을 슬라이더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타단을 케이스측에 걸리게 하며, 제동수단(5)의 일단을 슬라이더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타단을 케이스측에 걸리게 하는 가장 간이한 구성이 된다. 또한, 청구항 1의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을 상정하여 특정한 것이다. 이 구성 및 작동도 이하의 구성으로부터 이해하기가 용이한 것이므로 이 자체의 설명도 생략한다.
(인입유닛)
인입유닛(6)에서, 케이스(1)는 도 1a∼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을 개구(開口)한 공간부(10)와, 공간부(10)의 좌우로 튀어나와 있는 본체측으로의 장착부(1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공간부(10)를 닫는 커버(15)를 가지고 있다. 공간부(10)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용기 형상을 이루며, 하면(11)과 양 측면(12)과 좌우의 단부(端部)(13)로 구획되어 있다. 하면(11)에는 폭 중간에 위치하여 좌우로 뻗어 있는 가이드구멍(11a)과, 단면(斷面)이 대략 오목 형상의 슬라이더용 가이드홈(11b)과, 단면이 대략 ㄴ 형상의 래치용 가이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슬라이더용 가이드홈(11b)과 래치용 가이드부(14)는, 도시하지 않지만, 커버(15)의 하면에도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하면(11)의 가이드구멍(11a)은 상하 관통되어 있어 돌기체(8)를 케이스 내로 이동 안내한다. 가이드홈(11b)은 가이드구멍(11a)의 한쪽측에서 대향한 단부(13)와 단부(13) 사이에 설치된 직선홈이다. 그리고 하면(11)의 가이드홈(11b)과 커버(15)의 가이드홈은 슬라이더(2A, 2B)의 상하면에 설치된 돌기(22 또는 32)와 끼워 맞춰진 상태로 슬라이더(2A, 2B)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가이드부(14)는 가이드구멍(11a)의 다른쪽측에서, 가이드구멍(11a)의 구멍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면(11)의 가이드부(14)와 커버(15)의 가이드부는 각각 가이드구멍(11a)과 평행한 한 쌍의 직선홈(14a)과, 직선홈(14a)의 양측에 설치된 대략 ㄴ 형상의 걸림홈(14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래치(4)가 후술하는 상하면에 설치된 볼록부(52)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52)를 끼워 맞춘 상태로 직선홈(14a)을 따른 래치(4)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고, 또한, 볼록부(52)가 걸림홈(14b)과 결합함으로써 래치(4)(및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정지한다. 또한, 부호 12b는 걸림홈(14)을 구획하고 있는 줄무늬 형상의 벽부(壁部)이며, 걸림홈(14b)을 구획하고 있는 벽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 래치(4)의 볼록부(52)가 결합했을 때 부주의하게 걸림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측의 양 측면(12) 및 커버측의 양측(17)에는 커버(15)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 서로 결합하는 갈고리 형상 걸림부(12a)와 구멍 형상 결합부(17a)가 복수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측의 장착부(10b) 및 커버측의 좌우 단면(18)에는 커버(15)를 공간부(10)에 배치했을 때 서로 결합하는 오목 형상 고정부(10d)와 볼록 형상 결합편(18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커버(15)가 그들의 결합을 통해 케이스(1)에 일체화된다. 또한, 케이스(1) 가운데, 좌우의 장착부(10a)는 폭방향의 단면(斷面)이 거꾸로 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돌기체(8)가 그 거꾸로 된 오목 형상부로부터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2A, 2B)는 케이스측 하면(11)과 커버(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2∼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용 지지부(20, 30)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접속부(20a, 30a)를 통해 일체화된 제동수단용 연결부(21, 31)로 이루어지는 수지제(樹脂製)의 블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동수단(5)으로서는 피스톤식 댐퍼가 사용되고 있다. 이 피스톤식 댐퍼는 공지의 것(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6-2956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면 좋고, 실린더(50) 및 상기 실린더(50)에 대해 천천히 출몰되는 피스톤로드(51)를 가지며, 피스톤로드(51)가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50)에 대해 천천히 구동되거나, 실린더(50)가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로드(51)에 대해 천천히 구동되는 구성이면 좋다. 단, 실린더(50)는 후단외주(後端外周)에 도시하지 않은 목(neck) 형상 걸림홈을 가지며, 피스톤로드(51)는 선단외주(先端外周)에 목 형상 걸림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동수단(5)으로서 피스톤식 댐퍼를 사용한 관계로, 양 슬라이더(2A, 2B)가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제동수단으로서 로터리식 댐퍼를 사용하도록 한 경우는 동일 형상으로 설정가능하다.
슬라이더(2A, 2B)는 연결부(21, 31)가 상하면(2a, 2b 또는 3a, 3 b)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 연결부(21)의 상하면(2a, 2b) 또는 연결부(31)의 상하면(3a, 3b)에 설치되어 좌우로 뻗은 돌기(22 또는 32)를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가 내측 측면에 설치되어 실린더(50)를 가이드하는 단면(斷面) 원호 형상의 가이드부(20b, 30b)를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가 상하면(2a, 2b 또는 3a, 3b)보다 더 낮은 지점에 설치되어 래치(4)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홈(23 또는 33)을 상하면에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가 더 낮은 상면에 돌출설치되어 밀어붙임 수단(3)인 코일스프링의 대응하는 단부를 걸리게 하는 걸이고정부(25 또는 35)를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가 홈(23 또는 33) 부근에 설치되어,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4)를 회전가능하게 피벗팅하는 축부(軸部)(26 또는 36)를 상하면에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의 외측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27, 37)를 가지고 있는 점, 지지부(20, 30)의 하면측에 있어서 축부(26 또는 36)나 홈(23 또는 33) 부근에 설치된 외측의 볼록부(28 또는 38), 및 내측의 작은 볼록부(29)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공통되어 있다.
이 중, 각 돌기(22, 32)는 직선 형상으로 뻗어 있어, 상기한 케이스측 가이드홈(11b) 및 커버(15)측 가이드홈에 끼워 맞춰진다. 각 홈(23, 33)은 대략 ㄴ 형상의 벽부로 구획되어 있고, 축부(26 또는 36)와 대향하는 측을 개구하고 있다. 걸이고정부(25, 35)와 축부(26, 36)는 각 홈(23, 33)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되어 있다. 볼록부(28, 38)는 케이스측 가이드구멍(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작은 볼록부(29)는 케이스측 가이드부(14)의 직선홈(14a)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또한, 슬라이더(2A)의 연결부(21)는 내단면(內端面)에 설치된 삽입구멍(24a) 및 외측으로부터 삽입구멍(24a)을 향해 잘라낸 노치부(24b)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슬라이더(2B)의 연결부(31)는 내단면과의 사이에 간격(34a)을 두고 설치된 대략 ∪ 형상의 클램프부(34a)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슬라이더(2A, 2B)에는 래치(4)가 축부(26, 36)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래치(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A)에 사용하는 래치와, 슬라이더(2B)에 사용하는 래치가 좌우 대칭형이 된다. 도면 중, 도 6a∼도 7c는 슬라이더(2A)측의 래치를 나타내며, 도 10a∼도 11b는 슬라이더(2B)측의 래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 6a∼도 7c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즉, 래치(4)는 수지 성형체이며, 슬라이더측에 피벗팅하는 지지부(40)와, 지지부(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부재인 돌기체(8)와 통상시에 결합하는 결합부(42)와, 래치 하면측에 있어서 결합부(42)보다 선단(45)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결합수단(47)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중, 지지부(40)는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부분 및 결합부(42)측을 빼고 살빼기(40a) 된 대략 오목 형상을 이루며, 오목 형상 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40b)와, 상하 부분에 관통형성된 축구멍(43)과, 상하 부분으로부터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돌기(44, 44)를 가지고 있다. 결합부(42)는 지지부(40)의 일측에 대략 ∪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42)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C)은, 도 6a의 상면측이 더 낮고, 도 6c의 하면측이 지지부(40)의 외면과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보조결합수단(47)은 래치(4)가 오작동으로 비결합상태의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돌기체(8)와 결합하고, 그에 의해 래치(4)를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가능하게 한다. 이 예에서는, 도 12a 및 도 12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4)의 하면의 선단측을 크게 단지게 한 단차(段差) 형상으로 하고, 돌기체(8)를 안내하는 선단측의 경사면안내부(47a) 및 상기 경사면안내부(47a)에 이어서 더 깊어진 오목부(47b)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안내부(47a)는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테이퍼(taper)이다. 사용 형태에서, 돌기체(8)는 경사면안내부(47a)에 대해 위를 향해 접촉하면, 돌출량을 줄이면서 경사면안내부(47a)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오목부(47b)에 들어가면 다시 돌출량을 증대하여 상기 오목부(47b)와의 결합을 유지한다.
또한, 이상의 래치(4)는 결합부(42)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C)이 그 이외의 지점과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결합부(42)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C)이 그 이외의 지점보다 부드러운 연질의 수지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하면, 래치(4)는 2색(色) 성형법으로 성형되고, 래치 골재(骨材)(지점(C)을 뺀 지점)가 1차 성형으로 형성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 등의 경질수지부(硬質樹脂部), 결합부(42)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C)이 2차 성형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수지부(軟質樹脂部)이다. 이것은 돌기체(8)가 결합부(42)의 ∪ 형상 대응부에 충돌했을 때 이상한 소리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 형상 대응부를 연질수지부로 구성함으로써 그와 같은 타음(打音) 발생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소재 구성으로서는 결합부(42)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C)을 그 이외의 지점보다 딱딱한 수지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는 결합부(42)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작동부재)
작동부재인 돌기체(8)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체인 미닫이(A(B))에 대해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즉, 부하(負荷)를 받으면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돌출량을 줄이는 구성이다. 도 8b의 구조에서는 돌기체(8)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지지부(38)와, 밀어붙임 스프링(37)과, 지지부재(36)를 가지고 있다. 이 중, 돌기체(8)는 지지부(38)의 상단면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지지부(38)는 내부가 밀어붙임 스프링(37)을 배치하는 공동(空洞)(38a)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대향 측면에 볼록부(38b)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지지부재(36)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통의 상단 주위에 장착부(36c)를 돌출설치하고 있음과 아울러, 대향 측면에 구멍부(36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38)는 지지부재(36)에 대해, 밀어붙임 스프링(37)을 지지부(38) 내에 배치한 상태로, 지지부재(36)의 구멍부(36a)에 밀어 넣어지며, 또한, 볼록부(38b)를 구멍부(36b)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 처리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돌기체(8)는 지지부(38)와 함께, 지지부재(36)에 대해 밀어붙임 스프링(37)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최대까지 돌출되며, 예를 들면, 아래로 향하는 하중을 받으면, 밀어붙임 스프링(37)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돌출량을 줄인다. 또한, 본 발명의 돌기체(8)는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상하로 출몰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7-1073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가이드축(軸) 구성 또는 그것에 유사한 구성이라도 좋다.
(조립)
이상의 각 부재는, 예를 들면, 각 래치(4)를 슬라이더(2A, 2B)에 피벗팅한 후, 슬라이더(2A, 2B)끼리를 제동수단(5)인 피스톤식 댐퍼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그것들을 케이스(1)에 밀어붙임 수단(3)과 함께 조립하고, 또한, 케이스(1)에 커버(15)를 장착함으로써 인입유닛(6)으로서 완성된다.
우선, 각 래치(4)는 슬라이더(2A, 2B)에 대해, 각 축구멍(43)과 각 축부(26) 또는 각 축부(43)와 각 축부(36)의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후, 슬라이더(2A, 2B)끼리가 제동수단(5)인 피스톤식 댐퍼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피스톤로드(51)는 슬라이더(2A)의 연결부(21)에 대해, 선단을 삽입구멍(24a)에 삽입한 상태로, 도 2에 나타낸 스냅 링(52) 등을 노치부(24b)로부터 상기한 로드 선단외주의 걸림홈에 결합함으로써 연결된다. 실린더(50)는 슬라이더(2B)의 연결부(31)에 대해, 상기한 실린더측 걸림홈을 클램프부(34)에 결합함으로써 연결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래치(4) 장착 슬라이더(2A, 2B), 제동수단(5), 밀어붙임 수단(3)을 조립하여, 케이스(1)에 대해 배치함과 아울러, 커버(15)로 덮는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2, 도 10a 및 도 10b에서, 케이스측 가이드홈(11)에 대해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가 그 대응하는 돌기(22) 또는 돌기(32)를 끼워 맞추고, 케이스측 가이드부(14)에 대해 각 래치(4)가 그 대응하는 볼록부(46)를 끼워 맞추며, 그 상태에서, 밀어붙임 수단(3)인 코일스프링이 슬라이더(2A, 2B)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은 일단이 슬라이더(2A)의 걸이고정부(25)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2B)의 걸이고정부(35)에 고정된다.
이상의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슬라이더(2A)와 슬라이더(2B)를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최대까지 떨어지게 하여, 슬라이더(2A)측의 래치(4)의 볼록부(46)를 한쪽 걸림홈(14b)에 결합하고, 슬라이더(2B)측의 래치(4)의 볼록부(46)를 다른쪽 걸림홈(14b)에 결합해 둔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2A)측의 래치(4)와 슬라이더(2B)측의 래치(4)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4)의 선단측을 해당 슬라이더 측에 접근하는 자세, 즉, 돌기체(8)와 결합하는 인입자세로부터,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26 또는 36)를 지지점으로 하여 래치(4)의 선단측을 해당 슬라이더측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자세, 즉, 돌기체(8)와 결합해제하는 대기자세 내지는 비인입자세로 회동되어 전환된다. 인입자세에서는 래치(4)가 돌기(44)를 슬라이더(2A)의 홈(23), 또는 슬라이더(2B)의 홈(33)과 끼워 맞춘 상태로 그 자세로 유지된다. 최후로, 커버(15)가 케이스(1)에 대해 누름 조작에 의해 장착된다.
(작동)
슬라이딩 보조기구는 상기한 조립상태에서, 각 슬라이더(2A, 2B) 및 각 래치(4) 및 제동수단(5), 밀어붙임 수단(3)이 케이스측 하면(11)과 커버(15)의 하면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각 슬라이더(2A, 2B)는 상하의 돌기(22, 32)가 대응하는 가이드홈(11b)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여 슬라이딩된다. 각 래치(4)는 상하의 볼록부(46)가 대응하는 가이드부(14)에 끼워 맞춰지며, 각 볼록부(46)가 직선홈(14a)에 끼워 맞춰지면 상기한 인입자세가 되고, 각 볼록부(46)가 걸림홈(14b)에 결합하면 상기한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작동을 도 8a와 도 9a∼도 12b를 참조하면서 상술한다. 또한, 도 9a∼도 9c는 상기 슬라이딩 보조기구를 도 8a에 나타내는 미서기문에 적용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부호 70은 본체(7)측의 개구부에 설치된 미닫이용 틀의 상변측 가이드레일을 상정하고 있다. 도 9a는 미닫이(A, B)를 개구부를 완전히 연 상태, 도 9b는 미닫이(A, B)를 개구부를 완전히 닫은 상태이며, 가이드레일(70)측에 장착되는 인입유닛(6)과, 미닫이(A, B)에 설치되는 각 돌기체(8)의 개략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 미닫이(A, B)를 도 9b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9a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개구부를 완전히 여는 경우는 미닫이(A)는 우측으로 이동조작되며, 미닫이(B)는 좌측으로 이동조작된다. 그러면, 미닫이(A)는 도중까지 이동되면, 우측의 슬라이더(2B)가 래치(4)(인입자세가 되어 있다)에 결합하고 있는 돌기체(8)의 이동에 연동하여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래치측 볼록부(46)가 도 11a의 직선홈(14a)으로부터 걸림홈(14b)에 들어간다. 그러면, 슬라이더(2B)의 래치(4)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36)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록부(46)가 걸림홈(14b)에 결합하여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는 밀어붙임 수단(3)에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된다.
그 후, 미닫이(A)의 좌측의 돌기체(8)가 슬라이더(2A)의 래치(4)(대기자세가 되어 있다)의 결합부(42)의 대응부에 접한다. 래치(4)는 그 응력에 의해 축부(26)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각 볼록부(46)가 걸림홈(14b)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직선홈(14a)에 끼워 맞춰져서, 도 11a와 마찬가지로 돌기체(8)를 결합부(42)에 결합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슬라이더(2A)는 래치(4)와 함께,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2B)측으로 인입되어 미닫이(A)를 도 11a의 닫힘 위치로 전환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2A)는 돌기(22)가 가이드홈(11b)을 따라 안내되고, 래치(4)는 볼록부(46)가 직선홈(14a)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미닫이(B)도 미닫이(A)와 마찬가지로 하여 닫힘 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미닫이(A, B)가 상기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이동될 때는 상기 제동수단(5)의 제동을 받아 천천히 슬라이딩된다.
(2) 미닫이(A, B)를 도 9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도 9b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개구부를 완전히 닫는 경우는, 미닫이(A)는 좌측으로 이동조작되고, 미닫이(B)는 우측으로 이동조작된다. 예를 들면, 미닫이(A)는 도중까지 이동되면, 좌측의 슬라이더(2A)가 래치(4)(인입자세가 되어 있다)에 결합하고 있는 돌기체(8)의 이동에 연동하여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래치측 볼록부(46)가 도 11a에 나타내는 직선홈(14a)으로부터 걸림홈(14b)에 들어간다. 그러면, 슬라이더(2A)의 래치(4)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36)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록부(46)가 걸림홈(14b)에 결합하여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는 밀어붙임 수단(3)에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된다.
그 후, 미닫이(A)의 우측의 돌기체(8)가 슬라이더(2B)측의 래치(4)(대기자세가 되어 있다)의 결합부(42)의 대응부에 접한다. 래치(4)는 그 응력에 의해 축부(36)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각 볼록부(46)가 걸림홈(14b)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직선홈(14a)에 끼워 맞춰져, 도 11a와 같이 돌기체(8)를 결합부(42)에 결합한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슬라이더(2B)는 래치(4)와 함께,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2A)측으로 인입되어 미닫이(A)를 도 11b의 닫힘 위치로 전환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2B)는 돌기(32)가 가이드홈(11b)을 따라 안내되고, 래치(4)는 볼록부(46)가 직선홈(14a)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미닫이(B)도 미닫이(A)와 마찬가지로 하여, 닫힘 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미닫이(A, B)가 상기 밀어붙임 수단(3)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이동될 때는 상기 제동수단(5)의 제동을 받아 천천히 슬라이딩된다.
(3) 도 9c는, 예를 들면, 미닫이(A)를 도 9b의 상태로부터 화살표 방향(우측)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 슬라이더(2A)측의 래치(4)가 충격 등에 의해 걸림홈(14a)으로부터 부주의하게 걸림해제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보조결합수단(7)에 의해 간단히 정규상태로 수복할 수 있다.
즉, 이 수복조작은 미닫이(A)를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 즉, 미닫이(A)가 도 9a의 상태가 되는 약간 바로 앞까지 이동조작한다. 이 경우, 슬라이더(2A)측의 래치(4)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자세가 되어 있다. 미닫이(A)가 우측으로 이동조작되면, 미닫이(A)에 설치되어 있는 좌측의 돌기체(8)가 도 12a와 같이 보조결합수단(7)의 경사면안내부(47a)에 들어가서, 상기 경사면안내부(47a)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한 밀어붙임 스프링(37)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약간 돌출량을 줄인 후, 다시 돌출량을 증대하여 더 깊어진 오목부(47b)에 결합한다.
거기서, 이번에는 미닫이(A)를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조작한다. 이 이동에 의해, 래치측 볼록부(46)가 가이드부(14)의 직선홈(14a)으로부터 걸림홈(14b)의 입구에 다다른 후, 돌기체(8)가 밀어붙임 스프링(37)에 의한 출몰작용(일단, 밀어붙임 스프링(37)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돌출량을 줄이고, 다시 밀어붙이는 힘으로 돌출량을 증대하는 것)을 통해 오목부(47b)로부터 결합해제된다. 그러면, 슬라이더(2A)의 래치(4)는 그 결합해제시의 반력(反力)에 의해 축부(26)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볼록부(46)가 걸림홈(14b)에 결합하여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미닫이(A)에 대해, 슬라이더(2A)의 래치(4), 및 슬라이더(2B)의 래치(4)는 도 9a의 상태가 되어 수복된다. 이와 같은 수복구조는 특허문헌 1에 비해 간이하고, 돌기체(8)가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상하로 출몰하기 때문에, 미닫이(A(B))의 두께가 얇은 경우도 적용하기 쉽고, 게다가 문짝의 덜컹거림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이 된다.
(변형예)
도 13a 및 도 13b는 상기 수복구조인 보조결합수단(47)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상기 형태와 동일한 지점에 동일 부호를 붙여 변경된 점만을 분명하게 한다.
(1) 도 13a의 래치(4A)는 선단측에 설치되어 돌기체(8)가 탄성적으로 착탈하는 결합구멍부(48)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라면, 돌기체(8)는 단순한 축이나 핀이 좋지만, 결합구멍부(48)에 대한 돌기체(8)의 결합도(結合度) 내지는 결합강도의 설정이 중요해진다.
(2) 도 13b의 래치(4B)는 선단측에 설치되어 돌기체(8)를 자력으로 착탈하는 자석(49)을 가지고 있다. 이 구조라면, 돌기체(8)는 단순한 금속제의 축이나 핀이 좋지만, 자석(4)과 돌기체(8)의 흡착 정도의 설정이 중요해진다.
(3) 다른 변형예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상의 래치로서, 래치의 선단측을 분할하여 래치 본체 및 분할부(分割部)로 구성한다. 또한, 분할부는 래치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또한, 탄성복귀가능하게 피벗팅한다. 그리고 돌기체(8)가 분할부에 접하면, 상기 분할부가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반전(反轉)함으로써, 돌기체(8)가 상기 결합부(42)에 결합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된 요건을 제외하고, 적당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8년 6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8-149908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케이스
2, 2A, 2B…슬라이더
3…밀어붙임 수단
4, 4A, 4B…래치
5…제동수단
6…인입유닛
7…본체
8…돌기체(작동부재)
14…가이드부
14a…직선홈
14b…걸림홈
15…커버
22, 32…돌기
26, 36…축부
25, 35…걸이고정부
36…지지부재
37…밀어붙임 스프링
38…지지부
40…지지부
42…결합부
47…보조결합수단
47a…경사면안내부
47b…오목부
48…결합구멍부(보조결합수단)
49…자석(보조결합수단)
50…실린더
51…피스톤로드
A, B…미닫이(이동체)

Claims (7)

  1. 본체 혹은 이동체 중 한쪽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대응부(對應部)에 걸리게 한 대기자세와 이 걸림을 해제한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한쪽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수단과,
    상기 본체 혹은 이동체 중 다른쪽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를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하거나, 또는,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가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밀어붙임 수단에 축적되어 있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작동부재를 통해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로서,
    상기 래치는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하는 통상시의 결합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상기 작동부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2. 본체 혹은 이동체 중 한쪽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의 대응부에 걸리게 한 대기자세와 이 걸림을 해제한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한 쌍의 래치, 및 상기 양 래치끼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밀어붙임 수단과,
    상기 본체 혹은 이동체 중 다른쪽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를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하거나, 또는, 인입자세로부터 대기자세로 전환하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를 본체측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의 이동 도중 또는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의 도중까지 이동하면, 한쪽의 상기 래치가 상기 작동부재를 통해 상기 걸림을 해제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와 함께 다른쪽의 상기 래치측으로 상기 밀어붙임 수단의 밀어붙이는 힘을 통한 접근구동(接近驅動)을 따라 제2위치 또는 제1위치까지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로서,
    상기 래치는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의 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작동부재와 결합하는 통상시의 결합부와 함께,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비결합상태로 인입자세가 되었을 때 상기 작동부재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결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래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이동체에 대해 밀어붙이는 힘을 통해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돌기체이며, 상기 보조결합수단은 상기 래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체를 안내하는 경사면안내부 및 상기 경사면안내부에 이어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수단은 상기 작동부재를 자력(磁力)에 의해 흡착결합(吸着結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점이 그 이외의 지점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보조기구.
KR1020107029129A 2008-06-06 2009-06-05 슬라이딩 보조기구 KR101200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9908A JP5294714B2 (ja) 2008-06-06 2008-06-06 摺動補助機構
JPJP-P-2008-149908 2008-06-06
PCT/JP2009/060337 WO2009148151A1 (ja) 2008-06-06 2009-06-05 摺動補助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18A true KR20110010818A (ko) 2011-02-07
KR101200158B1 KR101200158B1 (ko) 2012-11-12

Family

ID=4139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129A KR101200158B1 (ko) 2008-06-06 2009-06-05 슬라이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38579A1 (ko)
EP (1) EP2317056A4 (ko)
JP (1) JP5294714B2 (ko)
KR (1) KR101200158B1 (ko)
CN (1) CN102057121B (ko)
WO (1) WO20091481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34B1 (ko) * 2013-04-24 2013-10-21 김종천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6015A (ja) * 2010-03-17 2011-10-06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5433466B2 (ja) * 2010-03-17 2014-03-05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JP2011247053A (ja) 2010-05-31 2011-12-08 Nifco Inc 移動補助装置
JP2012127139A (ja) * 2010-12-16 2012-07-05 Nifco Inc 摺動補助装置
JP5553780B2 (ja) * 2011-01-11 2014-07-16 株式会社シブタニ 可動体の自走機構
JP5679309B2 (ja) * 2011-03-16 2015-03-04 株式会社Skb 引戸のアシスト装置
DE102015003424B3 (de) * 2015-03-17 2016-07-07 Günther Zimmer Geräuscharme Einzugsvorrichtung und Schiebetüranordnung
DE102015003415B3 (de) * 2015-03-17 2016-02-25 Günther Zimmer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geräuscharmer Bewegung
DE102017123613A1 (de) * 2017-10-11 2019-04-11 Paul Hettich Gmbh & Co. Kg Einzu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81A (en) * 1989-04-03 1993-05-04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Closing device for moving a drawer to a fully inserted position within a furniture body
EP0561113B1 (en) * 1992-03-16 1997-05-21 Kato Hatsujo Kaisha Ltd. Safety latch for a vehicle storage compartment
AT401717B (de) * 1993-06-23 1996-11-25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ür schubladen
US5448797A (en) * 1993-10-15 1995-09-12 Von Duprin, Inc. Selectable friction assisted door holder assembly
AT407602B (de) * 1994-08-31 2001-05-25 Alfit Ag Einzugsvorrichtung für schubladen
DE19835466B4 (de) * 1998-08-06 2004-08-05 Grass Ges.m.b.H., Metallwarenfabrik, Höchst Bremsvorrichtung mit Schließfolgeregler für bewegliche Möbelteile
US6487752B1 (en) * 2000-03-21 2002-12-03 David S. Mathews Sliding door stop
CN2414153Y (zh) * 2000-04-19 2001-01-10 陈鼎凌 自动伸缩门开门机支架锁定机构
CN2437816Y (zh) * 2000-08-11 2001-07-04 卢耀骚 推拉门窗中间自动锁
IT250443Y1 (it) * 2000-09-19 2003-09-10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per la chiusura decelerata di parti di mobile scorrevoli
US6375290B1 (en) * 2001-09-28 2002-04-23 King Slide Works Co., Ltd. Lock snap structure of slide rail
US6848759B2 (en) * 2002-04-03 2005-0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lf-closing slide mechanism with damping
MY131087A (en) * 2002-05-17 2007-07-31 Harn Marketing Sdn Bhd Closing device for drawers
US6910557B2 (en) * 2003-01-29 2005-06-28 Illinois Tool Works Inc. Slide damper with spring assist
AT413187B (de) * 2003-04-25 2005-12-15 Blum Gmbh Julius Einzugsvorrichtung für schubladen
TWM244806U (en) * 2003-05-15 2004-10-01 King Slide Works Co Ltd Automatic return device for sliding rail
DE20311795U1 (de) * 2003-07-31 2004-11-18 Alfit Ag Schubladen-Ausziehführung mit Einzugsautomatik mit integrierter Dämpfung
US6997528B2 (en) * 2003-10-29 2006-02-14 Jun-Long Yang Rail assembly for furniture
US6979066B2 (en) * 2003-10-29 2005-12-27 Jun-Long Yang Rail assembly for furniture
ITMC20030144A1 (it) * 2003-12-05 2005-06-06 Compagnucci Spa Ora Compagnucci Ho Lding Spa Dispositivo per la chiusura automatica ed ammortizzata dei cassetti e delle strutture estraibili per mobili.
TWI231749B (en) * 2003-12-24 2005-05-01 Mau-Chin Shen Restoring/positioning device for slide rail of drawer
JP4685380B2 (ja) 2004-07-21 2011-05-18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衝撃吸収装置
EP1705330A1 (en) * 2004-01-13 2006-09-27 K.K. Murakoshi Seikoh Damping device
US7077487B2 (en) * 2004-02-24 2006-07-18 Jun-Long Yang Drawer rail with auto-returning device
JP4459679B2 (ja) * 2004-03-30 2010-04-28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JP4077421B2 (ja) 2004-03-31 2008-04-16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部材保持装置
AT503045B1 (de) * 2004-06-18 2008-01-15 Blum Gmbh Julius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JP4446825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補助装置
JP4446824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ド補助装置
JP4446823B2 (ja) * 2004-07-21 2010-04-07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装置
KR100600172B1 (ko) * 2004-08-30 2006-07-12 주영전자(주) 슬라이드레일의 자동닫힘 및 열림방지장치
DE202005009860U1 (de) * 2004-12-17 2006-04-20 Alfit Ag Schließ- und Öffnungsvorrichtung für Schubladen
JP4751607B2 (ja) * 2004-12-20 2011-08-17 株式会社ニフコ 自走往動させる機構、引き戸機構、および、引き出し機構
JP4313764B2 (ja) * 2005-01-24 2009-08-12 トステム株式会社 引戸の引き込み装置
JP4601503B2 (ja) * 2005-07-08 2010-12-22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緩衝装置、開閉装置
CN2839510Y (zh) * 2005-08-15 2006-11-22 洪国民 一种自动关门机构
US7533946B2 (en) * 2005-08-25 2009-05-1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JP2007107301A (ja) * 2005-10-14 2007-04-26 Murakoshi Mfg Corp 引戸などのガイド装置
TWM287625U (en) * 2005-11-07 2006-02-21 Nan Juen Int Co Ltd Automatic retracting mechanism for sliding rail of drawer
JP4806609B2 (ja) * 2005-11-21 2011-11-02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引き込みユニット
CN2835491Y (zh) * 2005-11-22 2006-11-08 张冠华 滑动机构的随意停自动关闭装置
TWM299510U (en) * 2006-02-08 2006-10-21 Nan Juen Int Co Ltd Linkage mutual-locking mechanism for slide rail of drawer
EP1817983A1 (de) * 2006-02-13 2007-08-15 Grass GmbH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Bewegung von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Möbelteilen und Schubladenführ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129567B1 (ko) * 2006-03-27 2012-03-28 박윤식 자동폐쇄장치
TWM302606U (en) * 2006-06-02 2006-12-11 Gslide Corp Automatic closing equipment for hidden drawer rail
TWM300487U (en) * 2006-06-08 2006-11-11 Gslide Corp Automatic closing device of drawer rail
US20080061663A1 (en) * 2006-09-08 2008-03-13 Tsung-Che Wu Drawer slide module structure
US7815267B1 (en) * 2006-09-15 2010-10-19 Gus Frousiakis Drawer slide closure apparatus
US20080100190A1 (en) * 2006-11-01 2008-05-01 Jui-Lien Yang Auto-returning track device
US7465000B2 (en) * 2006-11-09 2008-12-16 Nan Juen International Co., Ltd. Automatic drawer slide homing apparatus
JP5093881B2 (ja) * 2006-11-13 2012-12-12 株式会社ニフコ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US7374261B1 (en) * 2006-12-08 2008-05-20 Dynaslide Corporation Push-open type slide structure
DE102006058639B4 (de) * 2006-12-11 2008-08-14 Zimmer, Günther Kombinierte Verzögerungs- und Beschleunigungsvorrichtung
JP4100444B1 (ja) 2006-12-18 2008-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DE102007008363B3 (de) * 2007-02-16 2008-09-18 Zimmer, Günther Zugvorrichtung mit ab- oder umgelenkter Zugfeder
TWI321996B (en) * 2007-02-17 2010-03-21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retractable device
US8052232B1 (en) * 2007-10-03 2011-11-08 KV IP Holdings Ltd. Biaxial flow damper for drawer
US7784890B1 (en) * 2007-10-03 2010-08-31 Gslide Corporation Biaxial flow damper for drawer
US7980640B2 (en) * 2007-11-08 2011-07-19 Jun-Long Yang Auto-return drawer rail
US7600828B2 (en) * 2007-12-20 2009-10-13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assembly having a homing device
DE102008021458A1 (de) * 2008-04-29 2010-01-07 Zimmer, Günther Beschleunigungsvorrichtung mit zwei Energiespeichern
US8060983B2 (en) * 2008-09-25 2011-11-22 Bortoluzzi Mobili S.R.L. Device for cushioning an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of sliding shutters
TWI392465B (zh) * 2008-11-20 2013-04-11 King Slide Works Co Ltd 用於滑軌組件之自動回歸裝置
US8113607B2 (en) * 2009-05-08 2012-02-14 Steelcase Inc. Storage assembly
JP2011006872A (ja) * 2009-06-24 2011-01-13 Nifco Inc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US8307497B2 (en) * 2010-01-14 2012-11-13 Door & Window Hardware Co. Soft-clos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US8459758B2 (en) * 2010-01-21 2013-06-11 Actron Manufacturing, Inc. Drawer slide auto-close dampening system with reset feature
US8240788B2 (en) * 2010-03-04 2012-08-14 Sun Chain Metal Industry Co., Ltd. Hidden self-closing drawer slide assembly
US8256853B2 (en) * 2010-03-29 2012-09-04 King Slide Works Co., Ltd.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534B1 (ko) * 2013-04-24 2013-10-21 김종천 유동걸림부를 갖는 개폐구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8579A1 (en) 2011-06-16
CN102057121A (zh) 2011-05-11
KR101200158B1 (ko) 2012-11-12
WO2009148151A1 (ja) 2009-12-10
JP5294714B2 (ja) 2013-09-18
EP2317056A4 (en) 2014-01-22
EP2317056A1 (en) 2011-05-04
CN102057121B (zh) 2015-04-29
JP2009293323A (ja)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158B1 (ko) 슬라이딩 보조기구
CN205445212U (zh) 车辆用门把手装置
KR102228984B1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5093881B2 (ja)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5433466B2 (ja) 摺動補助装置
JP5823792B2 (ja) ロック装置
US20050093406A1 (en) Rail assembly for furniture
WO2010150863A1 (ja)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US20160339848A1 (en) Console for vehicle interior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CN104228692A (zh) 双向打开扶手组件和具有其的车辆
JP2011196015A (ja) 摺動補助装置
KR20120063707A (ko) 차량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글로브박스 조립체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US6322114B1 (en) Latch unit with disengagement preventing device
JP5497833B2 (ja) 摺動補助機構
CN109475233A (zh) 用于可移动家具部件和家具的推出装置
US11458819B2 (en) Flush glass apparatus
WO2008062716A1 (fr) Mécanisme de rétraction
CN217681126U (zh) 一种推拉式储物盒
KR100372880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JP5628958B2 (ja) 摺動補助機構
CN220319340U (zh) 一种房车门锁的外侧开门结构
CN220562647U (zh) 一种吊轨式储物盒
JP4446251B2 (ja) 車両収納ボックスの開閉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