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835A -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835A
KR20070026835A KR1020077001512A KR20077001512A KR20070026835A KR 20070026835 A KR20070026835 A KR 20070026835A KR 1020077001512 A KR1020077001512 A KR 1020077001512A KR 20077001512 A KR20077001512 A KR 20077001512A KR 20070026835 A KR20070026835 A KR 20070026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drain pan
heat
refriger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미츠 가마다
šœ 요시오카
하루오 나카타
신이치로우 고바야시
데루오 기도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4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tinuous films of condensate on heat-exchange surfaces, e.g. by promoting droplet 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는, 표면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치된 플레이트 핀을 갖는 실외 열 교환기와, 이 실외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한다. 실외 열 교환기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의 상면의 사이에는, 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실외 열 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응축하는 물방울은, 플레이트 핀의 하단부에서 드레인 팬으로 낙하한다. 플레이트 핀과 드레인 팬이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촉 부분에 얼음이 부착되는 일이 없고, 접촉 부분에 부착된 얼음에서 서리가 성장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냉동 장치{REFRIGERATION UNIT}
본 발명은, 열 교환면을 구비하는 열 교환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 교환기를 증발기로서 동작시키는 냉동 장치에서는, 열 교환기와 열 교환을 행하는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또는 증발기에서의 증발 온도가 낮은 경우, 열 교환기의 열 교환면 상에 서리가 발생한다. 서리의 발생에 의해 열 교환기의 열 교환 능력이 저하하고, 그 결과, 냉동 장치의 냉동 능력도 저하한다.
예를 들면, 냉동 장치의 일종인 히트 펌프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그 난방 운전시에 외기 온도가 저하하면,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는 실외 열 교환기에 있어서의 증발 온도가 저하하여, 이 실외 열 교환기에 착상(着霜)한다. 이 착상에 의해 실외 열 교환기의 증발 능력이 저하하여, 그 결과, 공기 조화 장치의 난방 능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에 부착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 운전이 적절히 행해진다. 그러나, 제상 운전이 행해지면, 그 제상 운전의 방식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지만, 공기 조화 장치의 난방 운전이 휴지되거나, 공기 조화 장치의 난방 능력이 저하하거나 하기 때문에, 난방 쾌감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열 교환기에 있어서의 착상을 늦추어 냉 동 운전(냉동 장치의 대표예인 히트 펌프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의 경우는 특히 난방 운전)의 연장을 도모하는 것, 및 제상 운전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과제에 응하는 것으로서, 착상 방지층이 열 교환면에 설치됨으로써,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는 열 교환기의 착상량을 저감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착상 방지층이 설치되는 방법은, 열 교환면의 활수성 및 발수성을 크게 하여 착상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착상 방지층이 설치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특정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100중량부에 대해서, 실라놀기를 가지는 특정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3∼7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열 교환면에 도포되어 경화함으로써 도막이 형성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상 방지층이 설치되면, 열 교환면의 활수성 및 발수성이 커진다. 이 상태로 열 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할 때에는, 응축한 물방울이 열 교환면 상을 급속히 흘러 떨어지기 때문에, 열 교환면에 있어서의 착상량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5는, 열 교환기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열 교환기(42)는, 이른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로, 다수의 플레이트 핀(43)과, 열 교환 파이프(45)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레이트 핀(43)은 열 교환면을 형성하고, 서로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공기의 유통 방향(4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각 플레이트 핀(43)은, 그러한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핀열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핀열은 유통 방향 (44)을 따라 2열 배열되어 있다. 종래, 열 교환 파이프(45)는, 사행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각 플레이트 핀(43)을 관통하고 있고, 열 교환 파이프(45)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통되어 있다. 열 교환 파이프(45)는, 공기의 유통 방향(4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늘어나는 복수의 개소를 갖는다. 상기 각 개소는, 플레이트 핀(43)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플레이트 핀(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 핀(43)의 표면에는 예를 들면 상술한 착상 방지층이 설치되어 있고, 플레이트 핀(43)의 활수성 및 발수성이 커지고 있다.
열 교환기(42)의 아래쪽에는, 열 교환기(42)에서 유하하는 물방울을 받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팬(46)이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46)의 상면(46a)은, 물을 배출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상면(46a)이 경사진 드레인 팬(46)에 대해서 열 교환기(42)는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열 교환기(42)의 하단부, 즉 플레이트 핀(43)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46)의 상면(46a)은,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열 교환기(42)에서는, 열 교환기(42)가 증발기로서 동작할 때, 플레이트 핀(43) 상에서 응축하는 물방울(48)은, 화살표 4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하한다. 이 때, 플레이트 핀(43)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46)의 상면(46a)의 접촉 부분에서는, 유하한 물방울(48)이 쌓여 어는 경우가 있다. 플레이트 핀(43)의 하단부에 얼음(49)이 생겨 버리면, 얼음(49) 상에 유하한 물방울(48)이 어는 것에 의해, 화살표 5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리(51)가 플레이트 핀(43)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성장한다. 이와 같이, 열 교환기(42)의 하단부에 생긴 얼음(49)에서 서리(51)가 성장하기 때문에, 종래의 열 교환기(42)를 이용한 냉동 장치에는, 플레이 트 핀(43)의 표면의 활수성 및 발수성을 크게 한 것에 의한 착상량의 저감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323298호 공보
본 발명은, 열 교환기를 증발기로서 동작시킬 때의 착상량을 저감할 수 있는 냉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는, 열 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의 사이에는, 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는, 열 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그 하단부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의 부분적인 접촉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열 교환기의 하부에는, 이 열 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했을 때에, 상기 열 교환면 상에서 응축하여 유하하는 물방울의 온도를 0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고온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열 교환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핀과, 내부를 상기 열 매체가 유통하는 열 교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다. 상기 복수의 핀 중의 일부의 핀의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잔여의 핀의 하단부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는, 열 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는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는, 열 교환기와,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열 교환기는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한다. 상기 드레인 팬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는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이용되는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외 열 교환기를 공기의 유통 방향의 하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a)는, 실외 열 교환기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b) 및 (c)는, 실외 열 교환기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유통 방향의 하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외 열 교환기에 구비되는 고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고온부의 제1 변경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고온부의 제2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고온부의 제3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를 공기의 유통 방향의 하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열 교환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냉동 장치의 일종인 히트 펌프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로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에 이용되는 실외 열 교환기(2)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열 교환기(2), 팽창밸브(9), 실내 열 교환기(10), 4웨이 절환밸브(11), 및 압축기(12)가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냉매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시에는, 4웨이 절환밸브(11)는, 도 2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이 상태로, 압축기(12)에서 토출된 열 매체로서의 냉매는, 4웨이 절환밸브(11), 실외 열 교환기(2), 팽창밸브(9), 실내 열 교환기(10), 및 4웨이 절환밸브(11)의 순서로 순환하여 압축기(12)에 흡입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실 외 열 교환기(2)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실내 열 교환기(10)는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실외 열 교환기(2)에서는, 가스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액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냉매는 실외 공기에 대해서 방열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 열 교환기(10)에서는, 액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증발해 가스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가 냉매에 의해 흡열되어 냉각된다.
한편,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시에는, 4웨이 절환밸브(11)는, 도 2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이 상태로, 압축기(12)에서 토출된 냉매는, 4웨이 절환밸브(11), 실내 열 교환기(10), 팽창밸브(9), 실외 열 교환기(2), 및 4웨이 절환밸브(11)의 순서로 순환하여 압축기(12)에 흡입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실내 열 교환기(10)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실내 열 교환기(10)에서는,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응축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는 냉매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외 열 교환기(2)에서는, 액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증발해 가스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냉매는 실외 공기에서 흡열된다.
실외 열 교환기(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른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로, 다수의 플레이트 핀(3)과, 1개의 열 교환 파이프(5)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레이트 핀(3)은 열 교환면을 형성하고, 서로 간격이 벌어진 상태로, 공기의 유통 방향(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다. 열 교환 파이 프(5)는, 사행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각 플레이트 핀(3)을 관통하고 있고, 열 교환 파이프(5)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통되고 있다.
실외 열 교환기(2)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 핀(3)은, 그러한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라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핀열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핀열은 유통 방향(4)을 따라 2열 배열되어 있지만, 핀열의 수는, 1열이어도 되고, 3열 이상이어도 된다. 열 교환 파이프(5)는, 공기의 유통 방향(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늘어나는 복수의 개소를 갖는다. 상기 각 개소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플레이트 핀(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 핀(3)의 표면에는, 활수성 및 발수성을 갖는 도막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 핀(3)의 표면의 활수성 및 발수성이 커지고 있다. 플레이트 핀(3)은, 예를 들면 플랫 핀, 슬릿 핀, 및 와플 핀과 같은 판 형상의 핀을 모두 포함한다.
실외 열 교환기(2)의 아래쪽에는,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하는 물방울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팬(6)이 배치되어 있다. 드레인 팬(6)의 상면(6a)은,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한 물(7)을 배출하기 위해 경사져 있다. 상면(6a)이 경사진 드레인 팬(6)에 대해서, 실외 열 교환기(2)는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 즉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3a)와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사이에는, 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할 때에 응축한 물방울(8)은, 플레이트 핀(3)의 표면 상을 유하하여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3a)에서 드레인 팬(6)의 상면(6a) 상으로 낙하한다. 이와 같이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이 없기 때문에, 유하한 물방울(8)이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에 쌓이는 일이 없고, 따라서 물방울에 의한 서리가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3a)에서 위쪽으로 성장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이 없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3)의 표면 상을 유하한 물방울(8)이 상기 접촉 부분에 쌓이는 일이 없고, 따라서 물방울에 의한 서리가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3a)에서 위쪽으로 성장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실외 열 교환기(2)의 착상량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사이의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극을 공기가 유통함으로써 실외 열 교환기(2)의 열 교환 효율이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을 유통하는 공기량을 저감하기 위해, 드레인 팬(6)의 상면에 차폐 부재가 설치되어도 된다. 차폐 부재는, 플레이트 핀(3)에 접촉하지 않도록, 플레이트 핀(3)의 바깥쪽에 설치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3∼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은, 실외 열 교환기(2)의 형상과, 실외 열 교환기(2) 및 드레인 팬(6)의 위치 관계를 변경한 것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2)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외 열 교환기(2)를 공기의 유통 방향(4)의 하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2)는, 그 하단부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는, 드레인 팬(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드레인 팬(6)의 상면(6a)은 경사져 있고, 이 상면(6a)의 상부에 실외 열 교환기(2)가 접촉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그 왼쪽의 영역 R의 부분에서,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 즉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부분적인 접촉은,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로서의 경사부(3b)의 선단이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드레인 팬(6)의 상면(6a)은 물을 배출하기 위해 경사지는 동시에, 실외 열 교환기(2)가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는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경사부(3b)는, 공기의 유통 방향(4)을 따라 경사져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열의 플레이트 핀(3)의 경사부(3b)는, 외측에서 중앙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 지고, 우측 열의 플레이트 핀(3)의 경사부(3b)는, 중앙에서 외측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부(3b)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가 비스듬히 절단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실외 열 교환기(2)에서는, 공기류의 상류측, 즉 좌측의 플레이트 핀(3)의 형상과, 공기류의 하류측, 즉 우측의 플레이트 핀(3)의 형상이 같고, 상류의 경사부(3b)와 하류의 경사부(3b)는, 경사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의 경사부(3b)가 그 선단에서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핀(3)의 평탄한 하단부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플레이트 핀(3)과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그리고,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할 때에 응축한 물방울(8)은, 도 3에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하한 후, 그대로 드레인 팬(6)에 낙하하거나,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3b)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그 도중에 드레인 팬(6)에 낙하하거나, 또는 경사부(3b)의 선단까지 이동하여 드레인 팬(6)에 도달한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에 쌓이는 물의 양이 감소하여, 이에 따라 접촉 부분의 얼음의 양도 감소한다.
도 5(a)∼(c)는, 실외 열 교환기(2)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되는 돌출부는, 유통 방향(4)의 상류측의 플레이트 핀(3)의 경사부(3c)와, 하류측의 플레이트 핀(3)의 경사부(3c)가 1개의 연결된 경사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상류측의 경사부(3c)의 경사면과, 하류측의 경사부(3c)의 경사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2개의 경사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 예로는, 하류 방향의 플레이트 핀(3)의 경사부(3c)의 선단이,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되는 돌출부(3d)는, 각 플레이트 핀(3)에 있어서 유통 방향(4)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3d)는, 각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서 이 플레이트 핀(3)의 일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잘라내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3d)의 경우,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에 있어서의 유통 방향(4)을 따른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플레이트 핀(3)과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되는 돌출부(3e)는, 각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면 반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경사부(3b, 3c) 및 돌출부(3d, 3e)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가 그 전체에 걸쳐 평탄하고, 또한 이 하단부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플레이트 핀(3)과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접촉 부분에 생기는 얼음의 양이 감소하여, 이 접촉 부분에서 위쪽으로 성장하는 서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돌출부로서의 경사부(3b, 3c)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를 비스듬히 절단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은, 실외 열 교환기(2)의 형상을 변경한 것 이외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2)의 일부분을, 공기의 유통 방향(4)의 하류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의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에, 잔여의 플레이트 핀(3S)의 하단부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른 2종류의 플레이트 핀(3L, 3S)(2종류의 플레이트 핀을 총칭할 때는, 참조 부호「3」을 이용한다)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매수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은 플레이트 핀(3S)마다, 1장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플레이트 핀(3L)이 배열된다. 도 6에서는, 플레이트 핀(3S)과 플레이트 핀(3L)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의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선단, 요컨대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의 선단이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함으로써,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부분적인 접촉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촉 영역 R 내의 모든 플레이트 핀(3)이 드레인 팬(6)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부분에 쌓이는 물의 양이 감소하여, 이에 따라 이 접촉 부분에 부착되는 얼음(13)의 양도 감소한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 사이에 플레이트 핀(3S)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의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가 커진다. 이에 따라, 통로의 통풍 저항이 작아져 풍속이 올라가고, 그 결과, 플레이트 핀(3)의 표면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플레이트 핀(3)의 하부에서 응축수가 동결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서 응축수가 동결하여 얼음(13)이 플레이트 핀(3)에 부착해도,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가 크기 때문에 통로가 폐색되지 않는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영역 R 내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만이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접촉 영역 R 내의 모든 플레이트 핀이 드레인 팬(6)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와 드레인 팬(6)의 상면(6a)의 접촉 부분에 부착되는 얼음(13)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이 접촉 부분에서 위쪽으로 성장하는 서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른 2종류의 플레이트 핀(3L, 3S)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2)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 사이에 플레이트 핀(3S)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의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가 커져, 이에 따라 통로의 통풍 저항이 작아져서 풍속이 올라가고, 그 결과, 플레이트 핀(3)의 표면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플레이트 핀(3)의 하부에서 응축수가 동결하기 어려워져 서리의 발생이 억제되어, 실외 열 교환기(2)의 착상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의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가 커지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플레이트 핀(3L)의 하단부에서 응축수가 동결하여 얼음(13)이 플레이트 핀(3L)에 부착해도 통로가 폐색되지 않고, 통풍 저항의 증가를 완화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핀 피치가 큰 부분, 즉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플레이트 핀(3L)의 돌출부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플레이트 핀(3L)의 돌출부란, 플레이트 핀(3L)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은 플레이트 핀(3S)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친수 처리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핀(3)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때는 폴리아크릴산 등의 친수 처리제의 플레이트 핀(3)으로의 도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 플레이트 핀(3)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와 친수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 친수 처리가 실시된 후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도 되고, 그 반대여도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 기 때문에, 응축수는 플레이트 핀(3)의 표면에 대해서 얇게 확산된다. 또, 응축수가 동결했을 때에도, 이 동결에 의해 형성되는 얼음은, 플레이트 핀(3)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얼음, 요컨대 인접하는 플레이트 핀(3)을 향해 성장하는 양이 작은 얼음이 된다. 따라서,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가 폐색되지 않고, 통풍 저항의 증가를 완화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가 드레인 팬(6)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어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실외 열 교환기(2)와 드레인 팬(6)의 사이에는, 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 7∼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은, 실외 열 교환기(2)의 구조를 변경한 것 이외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실외 열 교환기(2)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는, 그 하부에 고온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고온부(14)는,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 플레이트 핀(3)의 표면 상을 유하(流下)하는 응축한 물방울(8)의 온도를 0도 이상으로 상승시킨다. 고온부(14)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플레이트 핀(3)의 하부에 열 교환 파이프(5)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러한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는 고온부(14)는, 발관(拔管) 구조, 즉 열 교환 파이프(5)가 플레이트 핀(3)을 관통하기 위해 플레이트 핀(3)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5)에 열 교환 파이프(5)가 삽통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예에서는, 각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서 1번째 및 2번째의 2개의 관통구멍(15)에 열 교환 파이프(5)가 삽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에서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에서, 열 교환 파이프(5)가 삽통되어 있지 않은 관통구멍(15)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관통구멍(15)의 근방까지의 영역 W1이 고온부(14)로서 기능하고, 영역 W1을 제외한 잔여의 영역 W2에서 주로 열 교환이 행해진다. 고온부(14)에는 열 교환 파이프(5)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 열 교환 파이프(5)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영역 W2에 비해 고온부(14)의 온도는 높아진다. 이 때, 적어도 플레이트 핀(3)의 하단부의 온도가 0도 이상이 되도록, 열 교환 파이프(5)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 W1의 크기가 적당히 설정된다.
이와 같이 고온부(14)가 설치됨으로써,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응축한 물방울(8)이 아래쪽으로 유하했을 때, 하부의 고온부(14)에 의해 물방울(8)의 온도는 0도 이상이 된다. 따라서, 유하한 물방울(8)이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 어는 일은 없다.
도 8은, 고온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고온부(14a)에서는, 플레이트 핀(3)에 있어서의 고온부(14a)에 상당하는 영역 W1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온부(14a)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위쪽에서 유하하여 고온부(14a)에 도달한 물방울(8)은 고온부(14a)의 표면에서 얇게 확산되고, 인접하는 물방울(8)끼리가 집합하여 고온부(14a)의 표면에 얇게 확산되어, 물의 박막(7)이 된다. 이에 따라 고온부(14a)의 표면에서 물방울(8)이 성장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통풍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고온부(14a)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고온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고온부(14b)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 교환 파이프(5)의 거리를, 열 교환 파이프(5)의 피치(플레이트 핀(3)의 길이 방향을 따른 파이프(5)의 간격)에 비해 크게 함으로써,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온부(14b)에 있어서, 플레이트 핀(3)의 영역 W1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고온부(14b)는, 도 7에 도시되는 고온부(14)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고온부(14b)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되는 고온부(14a)와 동일하게,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도 10은, 고온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히터(16)가 배치되고, 플레이트 핀(3)의 하부가 그 히터(16)에 의해 가열된다. 히터(16)에 의해 0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영역 W1이 고온부(14c)가 된다. 이 고온부(14c)도, 도 7에 도시하는 고온부(14)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단, 히터(16)에 의해 적극적으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의 고온부(14c)의 온도는 다른 고온부(14, 14a, 14b)보다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온부(14c)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되는 고온부(14a)와 동일하 게,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도 11은, 고온부의 또 다른 구성예에 있어서의 냉매 회로도를 도시하는 회로도이고, 도 12는 실외 열 교환기(2)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외 열 교환기(2)는, 상측 열 교환부(2a)와 하측 열 교환부(2b)로 구분되고, 상측 열 교환부(2a)와 하측 열 교환부(2b)가 팽창밸브(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열 교환부(2b), 팽창밸브(9), 상측 열 교환부(2a)의 순서로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하측 열 교환부(2b)가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상측 열 교환부(2a)가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고온부(14d)는,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하측 열 교환부(2b)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압축기(12), 4웨이 절환밸브(11), 실내 열 교환기(10), 하측 열 교환부(2b), 팽창밸브(9), 및 상측 열 교환부(2a)가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어 냉매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의 난방 운전시에는, 4웨이 절환밸브(11)는 도 11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이 상태로, 압축기(12)에서 토출된 냉매는, 4웨이 절환밸브(11), 실내 열 교환기(10), 하측 열 교환부(2b), 팽창밸브(9), 상측 열 교환부(2a), 4웨이 절환밸브(11)의 순서로 순환하여 압축기(12)에 흡입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실내 열 교환기(10) 및 하측 열 교환부(2b)가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상측 열 교환부(2a)가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실내 열 교환기(10)에서는,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응축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는 냉매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다. 또,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하측 열 교환부(2b)에서 도 냉매가 방열되기 때문에, 하측 열 교환부(2b)는 고온부(14d)로서 기능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상측 열 교환부(2a)에서는, 액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증발해 가스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냉매는 실외 공기에서 흡열한다.
한편,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방 운전시에는, 4웨이 절환밸브(11)는 도 11 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이 상태로, 압축기(12)에서 토출된 냉매는, 4웨이 절환밸브(11), 상측 열 교환부(2a), 팽창밸브(9), 하측 열 교환부(2b), 실내 열 교환기(10), 및 4웨이 절환밸브(11)의 순서로 순환하여 압축기(12)에 흡입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에 의해, 상측 열 교환부(2a)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하측 열 교환부(2b) 및 실내 열 교환기(10)는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상측 열 교환부(2a)에서는, 가스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액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냉매는 실외 공기에 대해서 방열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실내 열 교환기(10)에서는, 액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증발해 가스 냉매가 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는 냉매에 의해 흡열되어 냉각된다.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하측 열 교환부(2b)에서는, 액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 교환을 행하여 증발해 가스 냉매가 되기 때문에, 실외 공기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하측 열 교환부(2b)에서는 쓸모없는 열 교환이 행해지지만, 공기 조화 장치(1)는 냉방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이 고온부(14d)는, 도 7에 도시되는 고온부(14)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이 고온부(14d), 즉 하측 열 교환부(2b)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하는 고온부(14a)와 동일하게,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있을 때에 응축한 물방울(8)이 아래쪽으로 유하했을 때, 고온부(14, 14a, 14b, 14c, 14d)에 의해 물방울(8)은 0도 이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 물방울(8)이 어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서리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착상량을 저감할 수 있다.
(2)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된 고온부(14, 14b)는, 발관 구조, 또는 플레이트 핀(3)의 하단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 교환 파이프(5)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3)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된 고온부(14a)에서는, 고온부(14a)의 표면에서 물방울(8)이 성장하는 것이 억제되고, 통풍 저항의 증대가 억제되기 때문에, 고온부(14a)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고온부(14a)에서의 물방울(8)의 온도 상승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4) 히터(16)로 실외 열 교환기(2)의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형성되는 고온부(14c)는, 실외 열 교환기(2)에 히터(16)가 설치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는 고온부(14, 14a, 14b)에 비해, 고온부(14c)의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급속히 물방울을 0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다.
(5) 실외 열 교환기(2)를 상하로 구분하여 얻어진 하측 열 교환부(2b)에 의 해 구성되는 고온부(14d)는,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는 고온부(14, 14a, 14b)에 비해, 고온부(14d)의 온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급속히 물방울을 0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고온부(14)는 발관 구조에 의해 플레이트 핀(3)만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플레이트 핀(3)에 있어서 고온부로 해야 할 부위에 열 교환 파이프(5)를 관통시킨 상태로, 이 열 교환 파이프(5)에 냉매를 유통시키지 않음으로써 고온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열 교환 파이프(5)가 플레이트 핀(3)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 열 교환기(2)의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은, 드레인 팬(6)의 구성을 변경한 것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는, 활수성 및 발수성을 갖는 도막이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형성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한 물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쌓이는 일 없이, 이 상면(6a) 상을 매끄럽게 흐른다.
도 13에 도시되는 드레인 팬(6)에서는, 실외 열 교환기(2)의 길이 방향의 중 앙부에 배수구(17)가 형성되고, 상면(6a)은 드레인 팬(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 중앙부의 배수구(17)를 향해 경사져 있다. 중앙부에 배수구(17)가 형성됨으로써, 드레인 팬(6)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경사져 있는 상면(6a)의 최상부에서 배수구(17)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매끄럽게 배수할 수 있다. 이 상면(6a)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보다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또, 도 14에 도시되는 드레인 팬(6)의 상면(6a)은, 공기의 유통 방향(4)의 하류측이 낮아지도록, 상류에서 하류를 향해 경사져 있다. 상면(6a)이 유통 방향(4)을 따라 경사짐으로써, 상면(6a)이 유통 방향(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경우에 비해, 경사져 있는 상면(6a)의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매끄럽게 배수할 수 있다. 이 상면(6a)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보다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한 물은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쌓이는 일 없이 매끄럽게 흐르기 때문에,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또,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되는 동시에, 상면(6a)의 최상부로부터 최하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보다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의 구성은, 드 레인 팬(6)의 구성을 변경한 것 이외는 제5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친수 처리는, 예를 들면 드레인 팬(6)이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폴리아크릴산 등의 친수 처리제의 상면(6a)으로의 도포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한 물은 드레인 팬(6)의 상면(6a) 상을 매끄럽게 흐른다.
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친수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실외 열 교환기(2)에서 유하한 물은 드레인 팬(6)의 상면(6a) 상을 매끄럽게 흐르기 때문에,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또, 드레인 팬(6)의 상면(6a)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는 동시에, 상면(6a)의 최상부에서 최하부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보다 급속히 배수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냉동 장치의 일종인 히트 펌프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 적용되어도 된다.

Claims (15)

  1.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의 사이에는, 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2.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고,
    상기 열 교환기는, 그 하단부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부와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의 부분적인 접촉은, 상기 돌출부의 선단이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열 교환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핀과, 내부를 상기 열 매체가 유통하는 열 교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각 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공기의 유통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열 교환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핀과, 내부를 상기 열 매체가 유통하는 열 교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핀 중의 일부의 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또한 잔여의 핀의 하단부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6.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의 하부에는, 이 열 교환기가 증발기로서 동작했을 때, 상기 열 교환면 상에서 응축하여 유하(流下)하는 물방울의 온도를 0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고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열 교환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핀과, 내부를 상기 열 매체가 유통하는 열 교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고,
    상기 고온부는, 상기 핀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히터를 구비하고, 이 히터는, 상기 열 교환기의 하단면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히터가 상기 열 교환기의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고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측 열 교환부와 하측 열 교환부로 구분되는 동시에,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열 교환부와 상기 하측 열 교환부가 상기 팽창밸브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하측 열 교환부,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상측 열 교환부의 순서로 열 매체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하측 열 교환부가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상측 열 교환부가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상기 고온부는, 응축기로서 동작하는 상기 하측 열 교환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부의 표면에 친 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1.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는, 상기 열 교환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핀과, 내부를 상기 열 매체가 유통하는 열 교환 파이프를 구비하는 크로스 핀 앤드 튜브형 열 교환기이고,
    상기 복수의 핀 중의 일부의 핀의 하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는, 잔여의 핀의 하단부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의 하부의 표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3.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활수성 및 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냉동 장치.
  14. 열 교환면을 구비하고, 이 열 교환면 상을 유통하는 공기, 및 내부를 유통하는 열 매체의 사이에서 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열 교환기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냉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상면에 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면이 활수성 및 발수성을 갖는 냉동 장치.
KR1020077001512A 2004-07-30 2005-07-29 냉동 장치 KR200700268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898A JP2006046694A (ja) 2004-07-30 2004-07-30 冷凍装置
JPJP-P-2004-00224898 2004-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835A true KR20070026835A (ko) 2007-03-08

Family

ID=3599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512A KR20070026835A (ko) 2004-07-30 2005-07-29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35318A1 (ko)
EP (1) EP1780492B1 (ko)
JP (1) JP2006046694A (ko)
KR (1) KR20070026835A (ko)
CN (1) CN1989388A (ko)
AT (1) ATE534878T1 (ko)
AU (4) AU2005278722B2 (ko)
WO (1) WO20060251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14B1 (ko) * 2007-09-07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7103B2 (en) 2013-11-04 2018-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FR2901015A1 (fr) * 2006-05-12 2007-11-16 Goff Michel Paul Marcel Le Batterie a air surchauffe dans le cadre d'un groupe frigorifique, pompe a chaleur.
JP4888025B2 (ja) * 2006-10-05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装置
JP4376276B2 (ja) 2007-06-06 2009-12-02 木村工機株式会社 熱交換コイル
JP2010038486A (ja) * 2008-08-07 2010-02-18 Daikin Ind Ltd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5401685B2 (ja) * 2008-12-25 2014-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230304A (ja) * 2009-03-04 2010-10-14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空気調和機用フィン・アンド・チューブ式熱交換器
JP2010236826A (ja) * 2009-03-31 2010-10-21 Kuken Kogyo Co Ltd フィンコイル装置
JP5592233B2 (ja) * 2010-10-27 2014-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R2966914B1 (fr) * 2010-10-29 2015-02-20 Electricite De France Systeme d'echange thermique entre de l'air situe a l'interieur d'un espace et de l'air situe a l'exterieur de l'espace
KR20120054321A (ko) * 2010-11-19 2012-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KR101257087B1 (ko) * 2011-01-11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시스템의 실외기 원격 제어 방법
CN102692099A (zh) * 2011-03-21 2012-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器
KR101260455B1 (ko) * 2011-07-21 2013-05-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소수성 표면 가공 방법 및 극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증발기
WO2013051177A1 (ja) * 2011-10-03 2013-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その室外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及び給湯機
WO2013051166A1 (ja) * 2011-10-03 2013-04-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30092249A (ko) * 2012-02-10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ITBO20120131A1 (it) * 2012-03-14 2013-09-15 Valmex S P A Scambiatore di calore particolarmente adatto all'uso come evaporatore
US9534827B2 (en) * 2012-06-07 2017-01-03 Johnson Controls-Hitachi Air Conditioning Technology (Hong Kong) Limited Air heat exchanger
JP5772748B2 (ja) * 2012-07-23 2015-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器
CN103234308A (zh) * 2013-04-03 2013-08-07 陆亚洲 翅片换热器
CN103225977A (zh) * 2013-04-03 2013-07-31 顾香 高效换热器
EP3006842B1 (en) * 2013-06-04 2018-03-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3292617A (zh) * 2013-06-08 2013-09-11 张家港市江南利玛特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翅片式换热器
US9746226B2 (en) 2013-11-04 2017-08-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174385B1 (ko) * 2014-01-27 202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241667B2 (ja) * 2014-07-03 2017-1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CN104266286B (zh) * 2014-09-11 2017-05-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桌面空调
WO2016056076A1 (ja) * 2014-10-08 2016-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4501478B (zh) * 2014-12-29 2016-09-28 苏州苏试试验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环境试验箱用蒸发器
WO2017017789A1 (ja) * 2015-07-28 2017-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7017813A1 (ja) * 2015-07-29 2017-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CN108351189A (zh) * 2015-10-23 2018-07-31 开利公司 疏水性换热器
CN105783575A (zh) * 2016-05-17 2016-07-20 李国胜 换热片以及室内温度调节系统
DE102016111543A1 (de) * 2016-06-23 2017-12-28 Keuro Besitz Gmbh & Co. Edv-Dienstleistungs Kg Sägeblatt für eine Kreissäg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ägeblatts und Kreissägemaschine
CN106123424A (zh) * 2016-08-11 2016-11-16 成都中装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蓄冰装置
JP6722549B2 (ja) * 2016-08-30 2020-07-15 株式会社ケーヒン・サーマル・テクノロジー 蓄冷機能付きエバポレータ
PL3594603T3 (pl) * 2017-03-31 2022-04-04 Daikin Industries, Ltd. Wymiennik ciepła oraz urządzenie klimatyzacyjne
CN106949752A (zh) * 2017-04-14 2017-07-14 南京师范大学 一种管壳式冷凝换热器
JP6939088B2 (ja) * 2017-05-24 2021-09-22 株式会社デンソーエアクール 熱交換器
JP2021105454A (ja) * 2018-04-16 2021-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及び空気調和装置
JP2020012629A (ja) * 2019-07-05 2020-01-23 サムスン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結氷防止気化装置
WO2021095131A1 (ja) * 2019-11-12 2021-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13558437B (zh) * 2021-07-30 2022-04-15 郑州轻工业大学 一种无温度波动的冷藏陈列柜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6631A (en) * 1956-05-24 1959-03-10 Pierce John B Foundation Fin structure
JPS4883436A (ko) * 1972-02-09 1973-11-07
JPS5430137B2 (ko) * 1973-11-20 1979-09-28
JPS5899667A (ja) * 1981-12-10 1983-06-14 松下精工株式会社 熱交換器
JPS6068365U (ja) * 1983-10-14 1985-05-15 富士電機株式会社 フインチユ−ブ形蒸発器
CN1003053B (zh) * 1985-05-24 1989-01-11 三菱电机株式会社 热交换器
JPH0718564B2 (ja) * 1986-10-17 1995-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H0519715Y2 (ko) * 1987-06-23 1993-05-24
JPH04309794A (ja) * 1991-04-04 1992-11-02 Kubota Corp 熱交換器
JP2501931Y2 (ja) * 1991-12-05 1996-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冷蔵装置
JPH06257893A (ja) * 1993-03-03 1994-09-16 Showa Alum Corp 熱交換器
JP3287100B2 (ja) * 1993-05-19 2002-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排水ケース
JPH0861691A (ja) * 1994-08-24 1996-03-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US5842355A (en) * 1995-03-22 1998-12-01 Rowe International, Inc. Defrost control system for a refrigerator
JP3177428B2 (ja) * 1995-10-11 2001-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ショーケース
JPH09159313A (ja) * 1995-12-08 1997-06-20 Fujitsu General Ltd 熱交換器
US6276443B1 (en) * 1999-11-29 2001-08-21 Lendell Martin, Sr. Air conditioning coil
JP2002323298A (ja) * 2001-04-26 2002-11-08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難着霜性の機能性装置
CN1250926C (zh) * 2001-07-02 2006-04-12 三洋电机株式会社 热泵装置
JP2003120952A (ja) * 2001-10-11 2003-04-23 Hitachi Ltd ドレンパン付き空気調和機
US6729152B2 (en) * 2001-10-24 2004-05-04 Carrier Corporation Thermal shield for evaporator with plastic outer covering
JP3876706B2 (ja) * 2001-12-19 2007-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634001B2 (ja) * 2002-11-26 2011-0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装置及び冷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14B1 (ko) * 2007-09-07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07451A1 (en) 2008-09-11
EP1780492A1 (en) 2007-05-02
WO2006025169A1 (ja) 2006-03-09
AU2005278722B2 (en) 2008-10-02
JP2006046694A (ja) 2006-02-16
CN1989388A (zh) 2007-06-27
EP1780492A4 (en) 2010-07-21
AU2005278722A1 (en) 2006-03-09
US20080035318A1 (en) 2008-02-14
ATE534878T1 (de) 2011-12-15
AU2008207452A1 (en) 2008-09-11
EP1780492B1 (en) 2011-11-23
AU2008207453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6835A (ko) 냉동 장치
KR101313347B1 (ko) 열교환기 및 공기 조화기
US10082344B2 (en) Fin-and-tub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80100659A1 (en)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557652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102200365A (zh) 冰箱
JP2013245884A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CN110398163B (zh) 热交换器
JP2014163633A (ja) 冷却器、および冷蔵庫
JP2006046695A (ja) 冷凍装置
JPWO2018207321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0038486A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6046698A (ja) 冷凍装置
KR101987699B1 (ko) 열교환기
JP7112053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0121517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6046697A (ja) 冷凍装置
US20210332986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WO2023100859A1 (ja) 熱交換器
KR101906206B1 (ko) 열교환기
JPH06117788A (ja) 熱交換器
KR100596580B1 (ko) 냉동장치의 증발기
JP2004108671A (ja) 蒸発器
JP6924954B2 (ja) 熱交換器
KR200352514Y1 (ko) 열교환기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