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314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314B1
KR101228314B1 KR1020070090744A KR20070090744A KR101228314B1 KR 101228314 B1 KR101228314 B1 KR 101228314B1 KR 1020070090744 A KR1020070090744 A KR 1020070090744A KR 20070090744 A KR20070090744 A KR 20070090744A KR 101228314 B1 KR101228314 B1 KR 10122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water
exchange fins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698A (ko
Inventor
서국정
조경래
윤인철
김형철
송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3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28F19/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of rubber; of plastics material; of varni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6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plastic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5/00Coatings; Surface treatments
    • F28F2245/02Coatings; Surface treatments hydrophilic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열교환 핀과, 냉매를 안내하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매관과, 물 공급을 위하여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살수관과,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열교환 핀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친수성 부재를 포함하여, 열교환 핀의 하단으로 이동한 물이 열교환 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부재로 곧바로 이동하게 되므로 물이 열교환 핀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열교환 핀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을 수행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나 냉장고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사용하는 기기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장치로써,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열교환 핀과, 냉매를 안내하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매관을 포함하여, 열교환 핀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 핀을 통해 냉매관을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 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근래 이러한 열교환기 중에는 열교환기에 수돗물과 같은 물을 공급하여 열교환 핀을 따라 흐르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핀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가습할 수 있도록 한 열교환기가 있다.
가습을 위해 종래의 열교환기는 물 공급을 위한 살수관이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살수관에서 배출된 물이 열교환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며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열교환기의 하측에는 증발되지 않고 남은 물을 받아 모으는 드레인팬이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열교환기는 열교환 핀의 하단에 물이 물방울 형태로 맺혀져 있다가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져 무게가 일정 이상이 된 후에야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드레인팬에 의해 수집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물은 열교환기의 하단에서 오랫동안 머물게 된다. 따라서 수돗물과 같이 미네랄 등의 물질이 미량이나마 포함되어 있는 물을 가습을 위하여 열교환기에 공급할 경우 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 등의 물질이 열교환 핀의 하단에 흡착되어 열교환 핀의 하부에 스케일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을 위하여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에 열교환 핀의 하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을 줄일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열교환 핀과, 냉매를 안내하며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매관과, 물 공급을 위하여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살수관과, 친수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친수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친수성 부재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친수성이 높은 재질로 친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친수성 부재는 탄성변형 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의 실리콘 관으로 형성되어 그 표면에 상기 친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수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살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은 각각 상하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살수관은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 핀의 하단에 친수성 부재가 접촉되어 있으므로, 열교환 핀의 하단으로 이동한 물은 곧바로 친수성 부재로 이동하게 되므로 열교환 핀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열교환 핀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열교환 핀(11)과, 냉매를 안내하며 다수의 열교환 핀(11)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냉매관(12)을 포함한 것으로, 열교환 핀(11)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 핀(11)과 열교환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핀(11)들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열교환 핀(11)은 상하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냉매관(12)은 다수의 열교환 핀(11)들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는 열교환 핀(11)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기 위한 살수관(13)을 포함한다.
살수관(13)은 다수의 열교환 핀(11)들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수돗물과 같은 물을 공급받아 열교환기(10)의 열교환 핀(11)에 전달함으로써 물이 열교환 핀(11)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여기서 살수관(13)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이 배출되어 열교환 핀(1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살수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살수공(13a)을 통해 살수관(13)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열교환 핀들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증발하여 열교환 핀(11)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어 이동하므로 가습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살수관(13)은 가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교환 핀(11)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살수관(13)에서 배출된 물의 증발이 충분한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열교환기(10)의 하측에는 열교환 핀(11)에서 증발되지 않고 남은 물을 받아 모으기 위한 드레인팬(20)이 배치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는 열교환 핀(11)의 하단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을 줄일 수 있도록 친수성 부재(30)가 구비되어 있 다. 친수성 부재(30)는 열교환 핀(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친수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열교환 핀(11)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친수성 부재(30)를 열교환 핀(11)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하면 중력에 의해 열교환 핀(11)의 하단으로 이동한 물이 열교환 핀(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친수성을 갖는 친수성 부재(30)로 곧바로 이동하게 되므로 물이 열교환 핀(11)에 머무는 시간은 짧아진다. 따라서 물이 열교환 핀(11)에 장기간 머무는 과정에서 열교환 핀(11)의 하부에 발생할 수 있는 스케일은 줄어든다.
친수성 부재(30)는 열교환기(10)를 드레인팬(20)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기(10)와 드레인팬(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그에 따른 손상을 발생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재질로 친수층(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친수성 부재(30)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 할 수 있도록 원형단면의 실리콘 관(31)으로 형성되어 그 표면에 친수층(32)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열교환기 11: 열교환 핀
12: 냉매관 13: 살수관
13a: 살수공 20: 드레인팬
30: 친수성 부재 31: 실리콘 관
32: 친수층

Claims (5)

  1. 서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열교환 핀과, 냉매를 안내하며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냉매관과, 물 공급을 위하여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살수관과,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상기 열교환 핀보다 친수성이 높은 재질로 친수층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친수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재는 탄성변형 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의 실리콘 관으로 형성되어 그 표면에 상기 친수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에는 물 배출을 위한 살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은 각각 상하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살수관은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70090744A 2007-09-07 2007-09-07 열교환기 KR10122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744A KR101228314B1 (ko) 2007-09-07 2007-09-07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744A KR101228314B1 (ko) 2007-09-07 2007-09-07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698A KR20090025698A (ko) 2009-03-11
KR101228314B1 true KR101228314B1 (ko) 2013-01-31

Family

ID=4069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744A KR101228314B1 (ko) 2007-09-07 2007-09-0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926U (ja) * 1999-12-24 2000-07-04 揚帆興業股▲ふん▼有限公司 ク―ラ―の不滴水構造
KR20010090939A (ko) * 2000-04-08 2001-10-22 구자홍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JP2002005468A (ja) * 2000-06-21 2002-01-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20070026835A (ko) * 2004-07-30 2007-03-0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926U (ja) * 1999-12-24 2000-07-04 揚帆興業股▲ふん▼有限公司 ク―ラ―の不滴水構造
KR20010090939A (ko) * 2000-04-08 2001-10-22 구자홍 분리형 에어컨 실내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JP2002005468A (ja) * 2000-06-21 2002-01-09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20070026835A (ko) * 2004-07-30 2007-03-0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냉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698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7176B2 (en) Cooling tower water distribution system
US6748759B2 (en) High efficiency heat exchanger
US8561675B2 (en) Spray type heat-exchanging unit
EP0961092A1 (en) Complex condenser
US20130081414A1 (en) Evaporative cooler
JP2007271121A (ja) 暑熱環境低減装置
KR101228314B1 (ko) 열교환기
US20100212346A1 (en) Wicking condensate evaporato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CN111912028B (zh) 换热器组件及具有其的空调系统
JP2008209070A (ja) 熱交換器および密閉式冷却塔
US20110232315A1 (en) Regenerative evaporative cooler, cooling system and core module thereof
CN209085119U (zh) 换热器及具有其的空调器
US20090188650A1 (en) Liquid distribution in an evaporative heat rejection system
JP2017062073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KR20180116679A (ko) 공기조화기
KR101400001B1 (ko) 습도 조절 장치
JP2008128595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CN110779197B (zh) 防干燥空调换热器
KR101589541B1 (ko) 증발냉각열교환기
CN114383216B (zh) 散热组件、发热装置及空调器
KR101964736B1 (ko) 잠열 냉각기
JP6587587B2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
KR101402106B1 (ko) 냉각칠러를 이용한 냉기 및 냉풍장치
CN204063703U (zh) 制冷剂分配器和具有该制冷剂分配器的降膜式蒸发器
CN201463651U (zh) 一种高效的蒸发空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