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5069A -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5069A
KR20070025069A KR1020050080824A KR20050080824A KR20070025069A KR 20070025069 A KR20070025069 A KR 20070025069A KR 1020050080824 A KR1020050080824 A KR 1020050080824A KR 20050080824 A KR20050080824 A KR 20050080824A KR 20070025069 A KR20070025069 A KR 2007002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print medium
rotating
rotating member
p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573B1 (ko
Inventor
이진수
김유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573B1/ko
Priority to US11/384,311 priority patent/US7971869B2/en
Priority to JP2006189584A priority patent/JP4127409B2/ja
Priority to CN2006101280113A priority patent/CN1923647B/zh
Publication of KR2007002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07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cooperating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pile from roller or rotary separator after a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6Elements, e.g. scrapers, fingers, needles, brushes, acting on separated article or on edge of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2D-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2Means for varying cross-section
    • B65H2404/1122Means for varying cross-section for rendering elastically de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급지장치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picking)하는 픽업롤러(pick-up roller);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선단부가 일부 절개된 완충면(buffering surface)을 가진다. 상기 완충면은 상기 픽업부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인쇄매체가 급지카세트에 다량으로 적재되어 있더라도, 픽업롤러는 인쇄매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인쇄매체의 안정된 이송을 할 수 있고, 인쇄매체의 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린터, 급지장치, 픽업롤러, 용지, 급지카세트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Print Media Supply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픽업롤러(pick-up roller)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인쇄매체의 양에 따른 도 1의 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5의 픽업롤러에 대한 상세도로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분해 사시도, 도 6c는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a는 인쇄매체의 양이 적은 경우이고, 도 9b는 인쇄매체의 양이 많은 경우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픽업롤러에 대한 도면으로,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분 해 사시도, 도 11c는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는 인쇄매체의 양이 적은 경우이고, 도 12b는 인쇄매체의 양이 많은 경우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급지장치,
110, 210, 310, 410, 510: 급지카세트,
120, 220, 320.420, 520: 픽업롤러,
121, 221, 321, 421, 521: 픽업부재,
122, 222, 322, 422, 522: 회전부재,
123, 223, 323, 423, 523: 회전축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지카세트에서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여러 장의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중송(multifeeding)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상형성기기는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별도의 픽업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픽킹(picking)한다.
일반적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장치(100)는 다수매의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공간을 갖춘 급지카세트(110) 및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상기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시키는 픽업롤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카세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기기 본체(1)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받침판(111), 받침판(111)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제1탄성부재(112) 및 받침판(111)의 양쪽단에 설치되는 핑거(finger, 113)를 포함한다. 핑거(113)는 받침판(111)과 연동하며, 인쇄매체의 이송을 방해하면서 낱장의 인쇄매체만을 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120)는 급지카세트(110)에 적재된 인쇄매체(P)와 접촉하도록 급지카세트(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픽업롤러(120)는 인쇄매체(P)를 픽업하는 픽업부재(pick up member, 121) 및 픽업부재(121)를 지지하며 회전축(123)과 연결된 회전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22)에는 인쇄매체(P)와 접촉하여 인쇄매체(P)에 압력을 가하는 픽업부재(121)가 마련된다. 상기 픽업부재(121)는 인쇄매체(P)와의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해 탄성력이 큰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픽업부재(121)의 표면에는 통상 톱니 모양의 돌기(121a; 도 3참조)가 형성되어 인쇄매체와의 마찰력을 크게 한다. 이에 따라, 픽업부재(121)는 적재된 인쇄매체(P)와의 접촉으로 발생된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P)를 픽킹하여, 본체(1)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도 3에 상기 픽업롤러에 의한 인쇄매체의 급지과정이 도시된다.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인쇄매체를 픽업하라는 신호가 들어오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120)의 선단부(122b)가 인쇄매체(P)에 먼저 접촉하며, 인쇄매체(P)는 A방향으로 눌러지게 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120)가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인쇄매체(P)가 픽업부재(121)와 접촉하게 된다. 이 인쇄매체(P)와 접촉된 픽업부재(121)는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P)를 낱장으로 C방향으로 이송시켜, 화상형성기기 본체(1)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급지과정에서 인쇄매체의 양에 따라 상기 픽업롤러의 가압력이 달라지게 된다. 도 4는 인쇄매체의 양에 따른 도 1의 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급지카세트(110)에 인쇄매체(P)의 양이 적은 경우(점선으로 표시)보다 많은 경우(실선으로 표시), 인쇄매체의 상부면의 각도가 거의 수평에 가깝게 된다. 이에 따라, 픽업롤러(120)가 인쇄매체(P)와 접촉하는 시점이 인쇄매체가 적은 때보다 많은 때 더 빠르게 되고, 결국 탄성부재(112)의 압축이 증가하여 픽업롤러(120)와 인쇄매체(P) 사이의 압력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급지카세트(110)에 인쇄매체 분리기구인 핑거(113)가 구비되더라도, 인쇄매체의 양이 많은 때에는 픽업롤러(120)와 인쇄매체 사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져 여러 장의 인쇄매체가 이송될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쇄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상기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상기 인쇄매체가 여러 장 공 급되는 중송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선단부가 일부 절개된 완충면(buffering surface)을 가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급지카세트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받침판의 양쪽단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과 연동하며 인쇄매체의 진행을 방해하여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핑거;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외주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픽업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픽업부재는 벨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는 그 선단부의 내주면이 파형을 이루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 선단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픽업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향하여 픽업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회 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의 완충면은 상기 픽업부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픽업롤러의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픽업부재의 측면이 외부로 더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장착된 유동부재(movable member); 및 상기 유동부재의 양쪽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그 후단부에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향하여 회전부재의 후단부에 지지판이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의 지지판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급지장치의 픽업롤러에 대한 상세도로서, 도 6a는 그 정면도, 도 6b는 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6c는 그 픽업롤러의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200)는 급지카세트(210) 및 픽업롤러(220)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220)는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buffer part)를 구비한다.
상기 급지카세트(210)는 화상형성기기 본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기기 본체는 내부에 소정의 부품들이 내장되어, 화상형성부, 정착부 및 배지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화상형성기기 본체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급지카세트(210)는 받침판(211)과, 제1탄성부재(212) 및 핑거(213) 등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판(211)에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며 받침판(211)은 픽업롤러(22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212)는 받침판(211)의 일측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픽업롤러(220)가 회전할 때 받침판(211)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픽업롤러(220)와 접촉하도록 한다. 핑거(213)는 받침판(211)과 연결되어 움직이며, 인쇄매체의 끝단에서 인쇄매체의 진행을 방해하여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공급함으로써, 인쇄매체를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220)는 급지카세트(210)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여, 픽킹된 인쇄매체를 상기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픽업롤러(220)는 픽업부재(221)와 회전부재(222)를 포함하여, 급지카세트(2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픽업부재(221)는 상기 인쇄매체와의 접촉 시,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를 화상형성기기 본체의 내부로 공급시킨다. 이를 위해, 픽업부재(22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외주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221a)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픽업부재(221)는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픽업부재(221)는 회전부재(222)의 지지판(222c)에 힘을 가하여 걸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상기 픽업부재(221)는 회전부재(222)의 지지판(222c)에 지지도록 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2)는 픽업부재(221)의 양측 단부에 픽업부재(2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222)는 픽업부재(221)와 함께 화상형성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부재(222)의 구멍(226)을 통하여 회전축(223)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222)는 회전축(22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두 개의 회전부재(222' 222")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222)는 제1회전부재(222')와 제2회전부재(222")로 구성되며, 제1, 제2회전부재(222', 222")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다. 두 개의 회전부재(222', 222") 중 어느 하나의 회전부재(222")는 픽업부재(221)를 지지하는 지지판(222c)을 가진다.
상기 회전부재(222)는 픽업부재(221)와 인쇄매체의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픽업부재(22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222)는 그 선단부의 일부가 절개된 완충면(222a)을 가진다. 상기 완충면(222a)은, 픽업부재(221)가 인쇄매체를 픽킹하기 위하여 인쇄매체를 누를 때 픽업부재(221)가 인쇄매체의 압력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완충부의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부재(222)의 선단부(222b)에 형성되는 완충면(222a)은 픽업부재(221)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업롤러(220)의 선단부(221c) 쪽으로 갈수록 픽업부재(221)의 측면이 외부로 더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픽업롤러(220)의 경우, 픽업부재(221)가 인쇄매체를 가압할 때 인쇄매체로부터 픽업부재의 선단부(221c)로 전달되는 압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222b)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부재(221)와 회전부재의 완충면(222a) 사이에 소정의 공간(22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간(221b)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의 선단부(222b)에서 회전부재의 지지판(222c)과 픽업부재(221)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다. 이에 따라 픽업부재(221)가 인쇄매체를 가압할 때 인쇄매체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더욱 확실하게 완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업부재(221)는 제1실시예의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에 대한 정면도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320)는 픽업부재(32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픽업롤러(220)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320)에서의 픽업부재(321)는 파형(wave type)의 내주면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22)의 선단부(322b)에서 상기 픽업부재(321)와 회전부재(322)의 완충면(322a) 사이에 일정한 공간(321b) 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픽업부재(321)는 픽업부재(321)의 두께가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혼재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재(221)에 비하여 픽업부재(321)로서의 완충 작용이 보다 더 작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픽업부재(321)를 구비한 픽업롤러(320)는 제1실시예에서의 픽업롤러(220)에 비하여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이 적은 경우 즉, 인쇄매체의 매수가 적은 경우에 적용하면 더욱 유리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에 대한 정면도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420)는 픽업부재(42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픽업롤러(220)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420)에서 상기 픽업부재(421)는 다수개의 공극(hole, 421b)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22)의 선단부(422b)에서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픽업부재(421)와 회전부재(422)의 완충면(422a)이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픽업부재(421)는 회전부재(422)의 완충면(422a)과 밀착되고, 다수개의 공극(4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재(221)에 비하여 픽업부재(421)의 완충 역할이 더 크다. 따라서 상기 픽업부재(421)를 구비한 픽업롤러(420)는 제1실시예에서의 픽업부재(221)에 비하여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이 큰 경우 즉, 인쇄매체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 적용하면 더욱 유리하다.
실제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픽업부재를 장착한 픽업롤러들은, 동일한 형상의 완충면을 가지지만, 인쇄매체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완충작용을 보인다. 예컨대, 제1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재를 장착한 급지장치가 약 250매 정도의 용지를 적재한 경우에 최적이라면,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재를 장착한 급지장치는 각각 100매 및 500매 정도의 용지를 적재한 경우에 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a는 인쇄매체 매수가 적은 경우이고, 도 9b는 인쇄매체 매수가 많은 경우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인쇄매체(P)를 픽업하라는 신호가 들어오면, 픽업롤러(220)는 회전축(2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픽업부재(221)의 선단부(221c)가 인쇄매체(P)의 표면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인쇄매체(P)는 픽업부재(221)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게 된다.
이 경우, 제1탄성부재(212)에 의해 인쇄매체(P)를 들어올리는 압력은, 급지장치의 받침판(211)에 인쇄매체(P)가 많은 경우(도 9b)가 인쇄매체(P)가 적은 경우(도 9a)에 비하여 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220)의 픽업부재(221)는 회전부재(222)의 선단부 일부가 절개된 완충면(222a)를 가지므로, 인쇄매체(P)의 양이 많아도 픽업부재(221)의 선단부(221c)는 상대적으로 충분한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픽업부재(221)는 인쇄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인쇄매체에 거의 일정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 인쇄매체(P)가 안정적으로 낱장 이송될 수 있게 된 다.
픽업롤러(220)가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면, 픽업부재(221)가 인쇄매체(P)를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며, 인쇄매체(P)와 접촉된 픽업부재(121)는 일정한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P)를 우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220)를 장착한 급지장치의 경우 인쇄매체(P)가 급지카세트에 많이 적재되더라도, 인쇄매체(P)를 일정한 압력을 부여하며 이송하므로써, 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픽업롤러들, 즉 제2,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320, 420)를 장착한 급지장치의 경우에도 제1실시예의 픽업부재(220)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픽업롤러에 완충 기능을 부여한다. 도 10 내지 도 11은 그러한 급지장치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픽업롤러에 대한 도면으로, 도 11a는 그 정면도, 도 11b는 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1c는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500)는 급지카세트(510) 및 픽업롤러(520)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520)는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를 구비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서, 급지카세트(510)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급지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4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520)가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픽업롤러(520)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을 완충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520)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부재(521), 유동부재(525) 및 회전부재(522)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부재(521)는 인쇄매체를 픽킹하기 위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픽업부재(521)는 유동부재(525)의 외주면(525a)에 힘을 가하여 걸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유동부재(525)는 픽업부재(521)를 지지하며 회전축(523)에 장착된다. 유동부재(525)는 회전축(523)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픽업롤러(520)가 인쇄매체에 접촉할 때 유동부재(525)는 회전부재(522)와 반대방향으로 약간 유동될 수 있어, 유동부재(525)에 의해 인쇄매체로부터 가압되는 압력이 흡수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는, 회전부재의 선단부에서 완충면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픽업롤러와 동일한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회전부재(522)는 유동부재(525)의 양쪽면에 위치하여 회전축(523)에 장착된다. 회전부재(522)는 제1회전부재(522b)와, 제1회전부재(522b)에 대향하여 제2회전부재(522a)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회전부재(522a)는 그 후단부에 제2탄성부재(524)가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판(522c)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제2탄성 부재(524)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522d)를 가질 수 있다. 회전부재(522)의 후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일부 절개면(522e)을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부재(522)의 중심에는 회전축(523)이 연결되며, 회전축(523)은 유동부재(525)가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부재의 구멍(525b)에 축결합된다.
제2탄성부재(524)는 픽업롤러(520)가 인쇄매체와 접촉할 때 유동부재(525)가 회전축(523)을 중심으로 뒤로 밀리면 유동부재(525)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픽업부재(521)를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4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a는 인쇄매체 매수가 적은 경우이고, 도 12b는 인쇄매체 매수가 많은 경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기기로부터 인쇄매체(P)를 픽업하라는 신호가 들어오면, 픽업롤러(520)는 회전축(5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 픽업롤러(5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픽업부재(521)의 선단부가 인쇄매체(P)의 표면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유동부재(525)는 회전축(52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간 밀리며 인쇄매체(P)는 픽업부재(521)에 의해 하방으로 눌리게 된다.
이 경우, 제1탄성부재(512)에 의해 인쇄매체(P)를 들어올리는 압력은, 도 9에서와 마찬가지로, 급지장치의 받침판(511)에 인쇄매체(P)가 많은 경우(도 12b)가 인쇄매체(P)가 적은 경우(도 12a)에 비하여 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520)의 픽업부재(521)는 유동부재(525)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인쇄매체(P)의 양이 많아도 유동부재(525)가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픽업부재(521)는 충분한 완충 기능을 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픽업부재(521)는 인쇄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인쇄매체에 거의 일정한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 인쇄매체(P)가 안정하게 낱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픽업롤러(520)가 반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면, 픽업부재(521)가 인쇄매체(P)를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며, 인쇄매체(P)와 접촉된 픽업부재(521)는 일정한 마찰력에 의해 인쇄매체(P)를 우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520)는, 다른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픽업롤러(220, 320, 420)와 동일한 완충 작용을 하게 되며, 급지카세트에 많이 적재되더라도, 인쇄매체(P)를 일정한 압력을 부여하며 이송하면서, 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에 의하면, 픽업롤러에 의해 픽킹되어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될 인쇄매체의 양에 상관없이 상기 픽업롤러와 인쇄매체의 압력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급지장치에 인쇄매체가 많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인쇄매체를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낱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매체가 픽업롤러에 의해 구겨짐 없이 픽킹되어 상기 화상 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급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화상형성기기 본체 내부로 공급된 인쇄매체의 향상된 급지효율로 인해, 이 인쇄매체에 현상되는 화상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5)

  1.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선단부가 일부 절개된 완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받침판의 양쪽단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과 연동하며 인쇄매 체의 진행을 방해하여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핑거(fin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외주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벨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그 선단부의 내주면이 파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그 선단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향하여 픽업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이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완충면은 상기 픽업부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면은 상기 픽업롤러의 선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픽업부재의 측면이 외부로 더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3.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장 착된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양쪽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그 후단부에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는,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받침판의 양쪽단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과 연동하며 인쇄매체의 진행을 방해하여 인쇄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외주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벨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유동되도록 장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제1회전부재; 및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향하여 회전부재의 후단부에 지지판이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재의 지지판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1. 소정 매수의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롤러는 인쇄매체를 픽업할 때 인쇄매체로부터의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부 일부가 절개된 완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인쇄매체를 픽킹하는 픽업부재;
    상기 픽업부재를 지지하며 회전축에 장착된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의 양쪽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후단부에 상기 픽업부재를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회전축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유동부재와, 상기 유동부재에 지지된 픽업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1020050080824A 2005-08-31 2005-08-31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10069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24A KR100692573B1 (ko) 2005-08-31 2005-08-31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US11/384,311 US7971869B2 (en) 2005-08-31 2006-03-21 Printing media supply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89584A JP4127409B2 (ja) 2005-08-31 2006-07-10 画像形成機器の給紙装置
CN2006101280113A CN1923647B (zh) 2005-08-31 2006-08-31 用于成像装置的打印介质供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824A KR100692573B1 (ko) 2005-08-31 2005-08-31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69A true KR20070025069A (ko) 2007-03-08
KR100692573B1 KR100692573B1 (ko) 2007-03-13

Family

ID=3780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824A KR100692573B1 (ko) 2005-08-31 2005-08-31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71869B2 (ko)
JP (1) JP4127409B2 (ko)
KR (1) KR100692573B1 (ko)
CN (1) CN1923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96B1 (ko) * 2006-10-20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급지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1428480B1 (ko) 2007-07-04 2014-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
JP2010023956A (ja) * 2008-07-16 2010-02-04 Sharp Corp 給紙装置
JP5526952B2 (ja) * 2010-04-06 2014-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11219203A (ja) * 2010-04-06 2011-11-04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
CN102785952A (zh) * 2012-08-20 2012-11-21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办公设备左侧进纸用纸仓结构
ES2668940T3 (es) * 2015-05-12 2018-05-23 Tranzonic Companies Dispositivo dispensador sin contacto de papel para asiento de inodor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0142U (ko) * 1975-09-12 1977-03-22
JPS5378926A (en) 1977-08-03 1978-07-12 Sumitomo Durez Co Bond for dry hot coat
JPS6072439A (ja) 1983-09-29 1985-04-24 Toshiba Corp 可変周期伝送装置
JPS60151859A (ja) 1984-01-19 1985-08-09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頭出し信号記録回路
JPS6277154A (ja) 1985-09-30 1987-04-09 Nippon Steel Corp 双ロ−ル型連続鋳造における湯もれ防止方法
JPS62103548A (ja) 1985-10-31 1987-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リ−ドフレ−ムの欠陥検査装置
JPS62224719A (ja) 1986-03-27 1987-10-02 Canon Inc 弾性ロ−ラ
JPH0754785B2 (ja) 1987-09-12 1995-06-07 利昌工業株式会社 コンデンサ
JP3045554B2 (ja) 1991-03-13 2000-05-2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搬送装置の給紙コロ
JP2512258B2 (ja) * 1992-03-11 1996-07-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ト給送装置
KR940009641A (ko) * 1992-10-07 1994-05-20 이헌조 냉장고의 정전 보상장치
US5326184A (en) * 1992-10-26 1994-07-05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paper from a stack
JPH06329282A (ja) * 1993-05-18 1994-11-29 Canon Inc ローラ
JPH0899731A (ja) 1994-09-30 1996-04-16 Canon Inc 給紙ロ−ラ、給紙ロ−ラの製造方法、シ−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3268B2 (ja) * 1995-02-01 2002-03-04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3480627B2 (ja) 1995-08-11 2003-12-22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ローラ
JPH10195246A (ja) 1996-12-27 1998-07-28 Bridgestone Corp 低硬度ゴム組成物、給紙部材及び給紙装置
JP2000351465A (ja) 1999-06-08 2000-12-19 Nec Shizuoka Ltd 給紙カ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給紙装置ならびに記録装置
JP2001026327A (ja) * 1999-07-16 2001-01-30 Ricoh Co Ltd 給紙装置
JP4199405B2 (ja) * 2000-03-17 2008-12-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02087622A (ja) 2000-09-18 2002-03-27 Canon Aptex Inc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890261B2 (ja) * 2001-10-29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63098B2 (en) * 2002-04-25 2003-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und kicker in media handling system
KR100476977B1 (ko) * 2002-12-09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급지오류 감지장치 및 방법
JP2004307183A (ja) * 2003-04-09 2004-11-04 Sharp Corp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573B1 (ko) 2007-03-13
CN1923647B (zh) 2010-10-13
JP2007063017A (ja) 2007-03-15
CN1923647A (zh) 2007-03-07
US7971869B2 (en) 2011-07-05
US20070045937A1 (en) 2007-03-01
JP4127409B2 (ja)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573B1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10042653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100461589B1 (ko) 인쇄장치용 급지카세트의 용지분리가이드
JP2005255385A (ja) 給紙装置
KR10049208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카세트
JP2983077B2 (ja) 用紙排出装置
TWI663113B (zh) 分紙機構及自動饋紙電子裝置
KR200188966Y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자동 급지장치(An automatic feeding apparatus of a printer)
KR20030062958A (ko) 인쇄기용 급지카세트의 용지정렬장치
KR100449023B1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KR100426086B1 (ko) 사무용기기의 마찰패드를 갖는 용지분리장치
JP3855622B2 (ja) 給紙装置
KR19990017806U (ko) 프린터의 용지급지장치
KR100514745B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0490424B1 (ko) 인쇄기의 용지 중송 방지 장치
KR101080411B1 (ko) 용지픽업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60085364A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KR20070059502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20060079947A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JPH0281839A (ja) 事務用機器の給紙装置
JPH0881069A (ja) 給紙装置
JPH04169425A (ja) 紙送りローラ
JP2000185835A (ja) 給紙装置
KR20000033035A (ko) 프린터기기의 자동급지장치
KR20000008995U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로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