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80B1 - 화상형성기기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80B1
KR101428480B1 KR1020070067044A KR20070067044A KR101428480B1 KR 101428480 B1 KR101428480 B1 KR 101428480B1 KR 1020070067044 A KR1020070067044 A KR 1020070067044A KR 20070067044 A KR20070067044 A KR 20070067044A KR 101428480 B1 KR101428480 B1 KR 101428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ction
pickup roller
roll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793A (ko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80B1/ko
Priority to EP08156494.0A priority patent/EP2011752B1/en
Priority to US12/125,719 priority patent/US7758039B2/en
Priority to CN2008101778467A priority patent/CN101430521B/zh
Priority to JP2008160901A priority patent/JP5213540B2/ja
Publication of KR2009000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2D-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갖춘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급지트레이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포함한 것으로, 픽업롤러에는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구간과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용지에 전달하는 피드구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드롤러에 해당하는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화상형성기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갖춘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기기는 입력된 화상 신호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써, 이러한 화상형성기기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투입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한다.
종래의 화상형성기기는 한국특허공개 10-2005-11022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인쇄매체인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유닛과,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닛과,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과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유닛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화상형성기기 중에는 급지유닛의 구성으로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급지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들 중 하나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한 한 쌍의 레지롤러와, 한 쌍의 레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급지압 이상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며 용지가 두 레지롤러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지셔터를 포함한 화상형성기기가 있다.
그런데 픽업롤러는 그 급지압이 일정 이상일 경우 한번에 다수의 용지가 픽업될 우려가 있어 급지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일 수 없는데 반해, 레지셔터는 일정 수준 이상 급지압이 용지에 작용할 경우에만 회전하여 용지가 레지롤러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기기에는 픽업롤러와 레지롤러 사이에 레지셔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급지압을 발생시켜 용지에 전달함으로써 용지가 레지셔터를 회전시키며 두 레지롤러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기기는 픽업롤러와 레지롤러의 사이에 피드롤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피드롤러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화상형성기기의 전체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드롤러를 삭제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화상형성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기 급지트레이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에는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구간과 상기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용지에 전달하는 피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픽업구간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방향 전방측에 마련되며 상기 피드구간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방향 후방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구간은 상기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도록 상기 픽업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피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용지와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부는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용지와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구간과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형성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전달받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통해 일정 이상의 급지압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지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기 급지트레이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전달받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통해 일정 이상의 급지압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지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에는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구간과, 용지가 상기 레지셔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발생시키는 피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에 접촉하는 외면을 포함하여 인쇄매체를 인쇄매체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는 픽업롤러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 외면의 제 1 구간에 마련되며 인쇄매체가 이송경로를 향하여 진행하기에 충분한 제 1 급지압을 인쇄매체에 전달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구간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픽업롤러 외면의 제 2 구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급지압에 비하여 큰 제 2 급지압을 전달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픽업롤러에 용지의 픽업이 이루어지는 픽업구간과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발생시키는 피드구간이 마련되어 피드롤러에 해당하는 구성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기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인 용지(S)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유닛(20)과, 용지(S)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닛(30)과, 용지(S)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S)에 고착시키는 정착유닛(40)과 인쇄를 마친 용지(S)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유닛(50)을 구비한다.
급지유닛(20)은 다수의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2)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사이를 통해 용지(S)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레지롤러(23)와, 한 쌍의 레지롤러(23)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S)의 선단을 통해 일정 이상의 급지압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며 용지(S)가 한 쌍의 레지롤러(23)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지셔터(24)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 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레지셔터(24)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용지(S)의 선단을 통해 일정 이상의 급지압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현상유닛(30)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노광유닛(31)과, 노광유닛(31)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32)과 감광드럼(32)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33)와, 감광드럼(32)에 현상된 정전잠상을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통해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 카트리지(34)와, 중간전사벨트(35)와, 제 1 전사롤러(36) 및 제 2 전사롤러(37)를 구비한다.
노광유닛(31)은 내부에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와,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레이저빔을 분산시키는 폴리곤 미러(미도시)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폴리곤 미러에 의해 분산된 레이저빔이 상측의 감광드럼(32)으로 전달되어 감광드럼(32)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정착유닛(40)은 용지(S)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시화상을 용지(S)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현상제가 전사된 용지(S)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41)을 포함한 가열롤러(42)와, 가열롤러(4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24)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43)를 포함한다.
배지유닛(50)은 정착유닛(40)을 통과한 용지(S)를 본체(10)의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배지롤러(51)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에 적용된 픽업롤러(2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급지트레 이(21)에 적재된 용지(S)를 픽업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픽업롤러(22)의 형태를 형성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힌지공(22b)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재(22a)와, 프레임부재(22a)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용지(S)와 접촉하며 용지(S)가 픽업 또는 이송되도록 하는 마찰부재(22c)를 포함한다. 이때, 마찰부재(22c)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용지(S)에 급지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픽업롤러(22)에 의해 급지트레이(21)로부터의 용지(S) 픽업과, 일정 급지압 이상으로의 용지(S) 이송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픽업롤러(22)에는 용지(S)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구간과,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갖도록 형성되어 용지(S)를 일정 급지압 이상으로 이송하는 피드구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용지(S)의 픽업이 이루어진 후 일정 급지압 이상의 용지(S) 이송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픽업구간은 픽업롤러(22)의 회전방향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피드구간은 픽업롤러(22)의 회전방향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피드구간은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부재(22c)의 외주면으로부터 피드부(22d)가 돌출 형성되어 피드부(22d)에 의해 피드구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 명한다.
픽업롤러(22)의 회전에 따라, 픽업롤러(22)의 회전방향 전방측에 위치한 픽업롤러(22)의 픽업구간이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S)에 접촉하며 용지(S)가 픽업되어 픽업롤러(22)에 의해 이송된다. 용지(S)가 이송되어 용지(S)의 선단이 레지셔터(24)에 도달하면 픽업구간에 의해 이송되고 있는 상태인 용지(S)는 급지압이 레지셔터(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급지압에 못 미치므로, 픽업구간과 용지(S) 사이에서 슬림현상이 발생하여 용지(S)의 이송은 일시적으로 중지되며 용지(S)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픽업롤러(22)의 회전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22)의 회전방향 후방측에 위치한 피드구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상태인 용지(S)에 접촉하여 용지(S)에 픽압구간에 의해 전달되던 급지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전달하면, 피드구간에 의해 전달되는 급지압은 레지셔터(24)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급지압이므로, 용지(S)의 선단에 의해 레지셔터(24)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용지(S)는 두 레지롤러(23) 사이로 진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에 적용된 픽업롤러(22)는 서로 다른 급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지(S)의 픽업 뿐만 아니라 일정 급지압 이상의 용지(S) 이송이 모두 수행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업롤러(22)의 외주면에 피드부(22d)를 돌출 형성시켜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픽업구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 바와 같이 피드구간과 대응하는 프레임부재(22a)의 외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 형성된 오목부(22e)를 마련하여 오 목부(22e)에 의해 픽업구간의 급지압이 줄어들게 함으로써 피드구간이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에 적용된 픽업롤러의 동작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에 적용된 픽업롤러를 보인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0a: 개구
20: 급지유닛 21: 급지트레이
22: 픽업롤러 22a: 프레임부재
22b: 힌지공 22c: 마찰부재
22d: 피드부 22e: 오목부
23: 레지롤러 24: 레지셔터
30: 현상유닛 40: 정착유닛
50: 배지유닛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와, 상기 급지트레이로부터 용지를 픽업하기 위 한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된 용지를 전달받는 한 쌍의 레지롤러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지를 통해 일정 이상의 급지압이 전달될 경우에만 회전하며 용지가 상기 한 쌍의 레지롤러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레지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롤러에는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구간과, 용지가 상기 레지셔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지압을 발생시키는 피드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픽업구간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방향 전방측에 마련되며 상기 피드구간은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방향 후방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구간은 상기 픽업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도록 상기 픽업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피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용지와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부는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힌지공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용지와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픽업구간과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형성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2.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에 접촉하는 외면을 포함하여, 인쇄매체를 인쇄매체 이송경로로 이송시키는 픽업롤러는,
    상기 픽업롤러 외면의 제 1 구간에 마련되며 인쇄매체가 이송경로를 향하여 진행하기에 충분한 제 1 급지압을 인쇄매체에 전달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구간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픽업롤러 외면의 제 2 구간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급지압에 비하여 큰 제 2 급지압을 전달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롤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제 1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제 2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반경은 상기 제 2 반경에 비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롤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픽업롤러의 일반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외주면을 갖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픽업롤러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부재 상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마찰부재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외면이 상기 제 2 접촉부를 형성하는 피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롤러.
KR1020070067044A 2007-07-04 2007-07-04 화상형성기기 KR101428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044A KR101428480B1 (ko) 2007-07-04 2007-07-04 화상형성기기
EP08156494.0A EP2011752B1 (en) 2007-07-04 2008-05-19 Image Forming Apparatus
US12/125,719 US7758039B2 (en) 2007-07-04 2008-05-22 Image forming apparatus
CN2008101778467A CN101430521B (zh) 2007-07-04 2008-05-30 图像形成装置
JP2008160901A JP5213540B2 (ja) 2007-07-04 2008-06-19 画像形成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044A KR101428480B1 (ko) 2007-07-04 2007-07-04 화상형성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93A KR20090002793A (ko) 2009-01-09
KR101428480B1 true KR101428480B1 (ko) 2014-08-11

Family

ID=3992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044A KR101428480B1 (ko) 2007-07-04 2007-07-04 화상형성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8039B2 (ko)
EP (1) EP2011752B1 (ko)
JP (1) JP5213540B2 (ko)
KR (1) KR101428480B1 (ko)
CN (1) CN1014305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9129B2 (ja) * 2011-09-14 2014-01-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給紙ローラ
ES2831602T3 (es) * 2012-07-10 2021-06-09 Becton Dickinson France Sas Sistema de inyección integrado y dispositivo de comunicaciones
US20210276818A1 (en) * 2018-11-20 2021-09-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ck-up rollers with a flat s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0649A (ja) * 1988-02-26 1989-09-04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2002316733A (ja) * 2001-04-24 2002-10-3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6386A (en) * 1927-04-26 Paper-feeding roll
US1291074A (en) * 1914-05-13 1919-01-14 F B Redington Company Blank-feeding device.
US1919238A (en) * 1928-10-17 1933-07-25 Mccarthy Business Machines Co Sheet feeder
JPS5942867B2 (ja) * 1978-08-29 1984-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ト給送装置
US4443006A (en) * 1980-07-21 1984-04-17 Billcon Corporation Of America Document and currency counter
US4394009A (en) * 1980-11-06 1983-07-19 Standard Duplicating Machines Corporation Sheet feeder with buckle restraint and feed roll slippage
JPH0412036Y2 (ko) * 1985-12-19 1992-03-25
JPS63218443A (ja) * 1987-03-03 1988-09-12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葉類の繰出し装置
JP2596040B2 (ja) * 1988-02-13 1997-04-02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の繰出し装置
JPH054397A (ja) * 1991-06-28 1993-01-14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前記シート給送装置を有する記録装置
JP3490213B2 (ja) * 1996-04-11 2004-01-2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KR100461590B1 (ko) * 2002-08-12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용지이송장치
KR101014666B1 (ko) 2004-05-18 2011-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92573B1 (ko) * 2005-08-31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0649A (ja) * 1988-02-26 1989-09-04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2002316733A (ja) * 2001-04-24 2002-10-3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13540B2 (ja) 2013-06-19
EP2011752A3 (en) 2010-11-10
JP2009012980A (ja) 2009-01-22
EP2011752A2 (en) 2009-01-07
KR20090002793A (ko) 2009-01-09
EP2011752B1 (en) 2014-11-05
CN101430521B (zh) 2012-04-18
US7758039B2 (en) 2010-07-20
CN101430521A (zh) 2009-05-13
US20090008866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441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910692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이동 부재
US20100247186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125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eal members
US9388013B2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KR20070075662A (ko) 용지 걸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급지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428480B1 (ko) 화상형성기기
US8538291B2 (en) Developing cartridge
JP2001034021A (ja) 画像形成装置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US9152082B2 (en) Cartridge having contact member to mitigate damage to cartridge frame
JP200919270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3973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8644724B2 (en) Image forming device
US787647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KR100788709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3195593A (ja) 画像形成装置
US87813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vibration reducing member
JP4413110B2 (ja) 光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57095A (ko) 화상형성장치
JP2003263064A (ja) 定着装置
KR20070035842A (ko) 화상형성장치
JP200326306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82796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