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456A -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456A
KR20060135456A KR1020050055423A KR20050055423A KR20060135456A KR 20060135456 A KR20060135456 A KR 20060135456A KR 1020050055423 A KR1020050055423 A KR 1020050055423A KR 20050055423 A KR20050055423 A KR 20050055423A KR 20060135456 A KR20060135456 A KR 20060135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ixing roller
connection electrode
electrod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131B1 (ko
Inventor
장재혁
김환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131B1/ko
Priority to US11/417,042 priority patent/US7565089B2/en
Priority to CNA2006100908587A priority patent/CN1885204A/zh
Publication of KR2006013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95Heating devices in the form of ro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4Tools, e.g. nozzles, rollers, calenders
    • H05B6/145Heated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Abstract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는 외부전원과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것으로서,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정착롤러, 정착장치, 밀착부재

Description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단부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단부에서 밀착부재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정착롤러 코일 단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정착롤러 코일 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정착롤러 114: 코일
117: 리드부재 120: 접속구조
121: 엔드캡 123: 접속전극
124: 밀착부재 125: 볼트
130: 가압롤러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및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롤러에 권선되고 그 단부를 통해 외부전원에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컴퓨터 혹은 스캐너 등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을 용지에 가시화상으로 옮기는 장치를 말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출력하고자 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소정 패턴으로 노광하여 감광체 외주면에 목적하는 형상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분말상의 토너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다음, 이를 직접 또는 전사매체를 경유하여 용지에 전사(transfer)하고 정착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를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장치를 포함한다. 정착장치는 서로 대면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일반적으로 할로겐 램프 또는 저항발열 코일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용지에 열을 가하는 히트롤러(heat roller)와 상기 히트롤러와 대면한 상태로 가압 및 밀착되는 가압롤러(pressure roller)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외부전원에 접속된 코일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정착롤러의 경우, 롤러의 단부에는 롤러의 회전 중에 코일의 단부가 외부전원에 접속되도록 하는 소정의 접속구 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접속구조는 일반적으로 정착롤러가 화상형성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엔드캡과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 단자와의 접속을 유지하는 접속전극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코일의 단부와 상기 접속전극의 물리적 접촉이 충분한 체결력에 의해 담보되지 못하면, 코일의 단부와 접속전극 사이에서 단락(short) 또는 아크(Arc)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의 단부와 접속전극의 물리적 접촉이 충분한 체결력으로 유지되어,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정착롤러 및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일에 교류를 인가하여 저항발열과 동시에 유도발열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의 단부와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이 상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정착롤러 및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는,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것으로, 외부전원과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정착롤러로서,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드캡은 정착롤러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롤러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양 단의 엔드캡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정착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나 풀리 등의 동력전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엔드캡에는 접속전극이 안착될 수용부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전극은 상기 엔드캡의 수용부에 안착되어 정착롤러의 회전 중에도 화상형성장치 본체 측의 전원단자와 상기 코일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전극부재로서, 주로 금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 측 전원단자와의 접촉저항이 작고, 전기 전도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에 의한 발열 방식은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코일의 전기저항에 의한 저항발열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고, 코일에 교류를 인가하여 유도전류에 의한 유도발열을 이용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들을 동시에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코일의 단부는 정착롤러 내부의 코일의 양 말단부로서 권선된 코일부로부터 연장된 코일 그 자체일 수 있고, 권선된 코일부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접합된 리드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코일의 단부에서 특히 상기 접속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그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에 대하여 체결되는 것으로, 재료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주로 스테인레스강(SUS)이나, 알루미늄 합금, 기타 합금강 등 강성이 우수한 판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코일의 단부를 접속전극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코일 단부와 접속전 극의 접촉 및 전기적 접속이 유지되도록 한다. 밀착부재와 접속전극의 체결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체결력과 조립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나사 결합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주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접속전극에 암나사 구멍을 마련하고 밀착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배치시키고 체결함으로써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의 축방향 외측에 체결되는 것이 용이한 조립을 위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착롤러는,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롤러로서,
소정의 접속구조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를 인가 받아 교번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유도발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조는,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유도발열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저항열의 전달을 원활히 하고, 유도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도발열부 측으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정착롤러뿐만 아니라,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정착장치는 서로 대면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롤러를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는 히트롤러로서 채용하고,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탄성바이어스 된 가압롤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정착롤러(110)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구조(120)를 살펴본다. 정착롤러(110)의 양 단부에는 엔드캡(end cap)(121)이 장착된다. 상기 엔드캡(121)의 축방향 외측에 형성된 수용부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접속전극(123)이 안착된다. 정착롤러(110) 내부에 권선된 코일부(114)의 말단에는 리드부재(117)가 접합되고, 상기 리드부재(117)는 상기 엔드캡(121) 및 접속전극(123)의 일측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리드부재(117)는 상기 접속전극(123)의 외측단에 이르러 그 접촉부분(1173)이 넓어지도록 절곡되고, 볼트(125)로 체결된 밀착부재(124)에 의해 상기 접속전극(123) 측으로 가압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124)와 접속전극(123)의 체결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한 체결력 및 조립 용이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나사 결합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 결합은 접속전극(123)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과 상기 밀착부재(124) 외측으로부터 체결된 볼트(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속전극(123)은 금속재료(예를들면 Cu-Sn 소결체)로 형성되므로 볼트(125)를 강하게 조이 더라도 암나사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충분한 체결력이 활보될 수 있다. 상기 접속전극(123)이 안착된 엔드캡(121)에는 상기 접속전극(123)의 암나사 구멍과 연통되는 나사 구멍을 마련하여 동일한 볼트(125)로 접속전극(123)을 엔드캡(121)에 결속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밀착부재(124)는 상기 리드부재(117)의 접촉부분(1173)에 충분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성이 우수한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공성과 내부식성 등을 더 고려하면 스테인레스강(SUS), 알루미늄 합금, 또는 기타 합금강 등의 판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의 발열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대략 200℃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요구되며, 전술한 종류의 금속판재를 소재로 한 경우 충분한 내열성이 확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124)에 의해 코일의 단부(본 실시예에서는 리드부재(117))와 상기 접속전극(121)의 물리적 접촉이 담보되고, 따라서 접점의 분리로 인한 단락(short)이나 아크(arc) 발생의 위험 없이 전기적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에서 상기와 같은 접속구조는 코일을 이용한 발열방식이 저항발열이든, 유도발열이든, 이들이 병합된 방식이든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저항발열과 유도발열이 병합된 발열방식의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는 정착롤러(110)와 상기 정착롤러에 대면하여 회전하는 가압롤러(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롤러(130)는 그 축이 상기 정착롤러(110) 측으로 탄성바이어스(미도시) 된다.
상기 정착롤러(110)는 유도발열부(112), 코일부(114) 및 밀착부(1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도발열부(112)는 속이 빈 관상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 표면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trafluoruethylene)등으로 코팅되어 토너화상과의 이형성을 좋게 하는 코팅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발열부(112)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도체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철(Fe) 합금, 구리(C)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니켈(Ni) 합금, 크롬(Cr) 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부(114)는 상기 유도발열부(112)의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입력된 교류에 상응하여 변화하는 교번자속(alternating magnetic flux)을 발생한다. 상기 코일부(114)는 구리(Cu)재질의 리본(ribbon)코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부(114)와 상기 유도발열부(112)사이에는 제1절연층(1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부(114)와 밀착부(118)사이에는 제2절연층(115)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코일부(114)에 입력되는 교류전류에 의하여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며 누설전류가 상기 유도발열부(112) 또는 상기 밀착부(116)로 흐르지 않도록 상기 코일부(114)를 절연시킨다.
상기 제1절연층(113) 및 제2절연층(115)은 소정의 내전압 특성과 내절연 파괴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내전압 특성은 소정 외부전원이 걸려도 이를 견뎌낼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내절연 파괴특성은 최대 내전압 하에 서 1분 동안 누설전류가 10㎃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절연파괴가 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1절연층(113) 및 제2절연층(115)은 마이카(Mica), 폴리이미드(Polyimide), 세라믹(Ceramic),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유리(Glass) 또는 PTFE(PolyTetraFluoruEthylene)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6)는 관상으로 상기 유도발열부 내측에 설치되어 확관되면서 상기 코일부(114)를 상기 유도발열부(112)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밀착부(115)는 확관되면서 소성변형되므로 상기 코일부(114), 제1절연층(113), 제2절연층(115) 및 상기 유도발열부(112)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밀착부(116)는 상기 코일부(114)를 상기 유도발열부(112)에 밀착시키는 결합계수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상기 코일부(114)로부터 발생되는 교번자속의 손실 없이 유도전류를 발생하는데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115)는 폴리머(Polymer) 또는 고무와 같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코일부(114)로부터 발생되는 교번자속에 의하여 상기 밀착부(115)에는 불필요한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유도발열부(112)에만 유도전류가 발생하도록 하여 유도발열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단부의 접속구조를 도시한 조립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상기 도1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조립 시에, 코일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된 리드부재(117)를 소정의 관통 구멍을 통해 엔드캡(121) 및 접속전극(123)의 외측으로 인출하고, 접속전극(123)을 엔 드캡(121)의 수용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리드부재(117)의 접촉부분(1173)을 접어 상기 접속전극(123)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한다. 상기 접속전극(123) 위에 밀착부재(124)를 볼트(125)로 체결하여 그 사이에 배치된 상기 리드부재의 접촉부분(1173)을 상기 접속전극(123) 표면에 가압 밀착시킨다. 볼트(125) 체결 시에는 충분한 힘으로 조여 상기 리드부재(117)와 접속전극(123)의 물리적 접촉을 담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단부에서 밀착부재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밀착부재(124), 접속전극(123) 및 엔드캡(121)에는 일련의 연통된 나사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접속전극(123) 및 엔드캡(121)의 나사 구멍에는 암나사가 마련된다. 볼트(125)에는 그 몸체의 선단부(1251)에 나사산이 마련되고, 그 머리쪽의 후단부(1252)에는 소정 길이만큼 나사산이 없는 영역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길이란 적어도 상기 밀착부재(124)의 두께와 같거나 큰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볼트(125)를 조이면, 상기와 같은 나사산에 의해 접속전극(123)에 대해서 전진하면서 그 머리가 상기 밀착부재(124) 및 리드부재의 접촉부분(1173)을 상기 접속전극(123) 측으로 가압한다.
도4는 정착롤러 코일 단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코일(114)의 단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드부재(117)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리드부재(117)는 그 일단이 상기 코일(114)의 말단에 용접 또는 납땜 등에 의해 전기가 통하도록 접합된다. 타단에는 접속전극(미도시)과 접촉하는 부분에 저항저감부(1173)가 마련되어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리드부재(117)는 도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들면 인청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저감부(1173)는 상기 리드부재(117)에 금(Au), 은(Ag), 백금(Pt), 및 납(Pb)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부식이나 산화막으로 인한 접촉저항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드부재(117)의 일측에는 좌우로 연장된 날개부(1172)가 마련하고, 상기 날개부(1172)가 상기 정착롤러의 밀착부(미도시)를 감쌈으로써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정착롤러 코일 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5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저항저감부가 코일부(114)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리드부(117)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코일부(114)를 연장시키고 그 말단에 금(Au), 은(Ag), 백금(Pt) 및 납(Pb)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되어 있는 저항저감부(1141)를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는, 전술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코일의 단부와 접속전극의 물리적 접촉이 밀착부재에 의해 담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코일에 교류를 인가하여 저항발열과 동시에 유도발열을 수행하는 정착롤러의 코일에 상기와 같이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것으로, 외부전원과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정착롤러로서,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전극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상기 엔드캡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 접속전극 및 엔드캡은 서로 연통된 나사 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엔드캡의 나사 구멍 내벽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는 머리 부분에 적어도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일단이 상기 코일과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전극 과 접촉되는 리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리드부재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8.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정착롤러로서,
    소정의 접속구조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를 인가 받아 교번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유도발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조는,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전극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상기 엔드캡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 접속전극 및 엔드캡은 서로 연통된 나사 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엔드캡의 나사 구멍 내벽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는 머리 부분에 적어도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일단이 상기 코일과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전극과 접촉되는 리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리드부재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롤러.
  15.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것으로, 외부전원과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와 대면하여 회전하며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 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정착장치로서,
    상기 정착롤러는,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 착장치.
  16. 토너화상에 열을 가하여 용지에 융착시키는 것으로, 외부전원과 접속된 코일에 의해 발열하는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와 대면하여 회전하며 용지를 상기 정착롤러 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정착장치로서,
    상기 정착롤러는,
    소정의 접속구조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교류를 인가 받아 교번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 외측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교번자속에 의해 유도된 유도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유도발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조는,
    양 단부에 마련된 엔드캡(end cap);
    상기 엔드캡에 안착되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전극; 및
    상기 접속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의 단부를 두고 체결되어 상기 코일과 접속전극의 전기적 접속을 담보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전극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접속전극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상기 엔드캡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 접속전극 및 엔드캡은 서로 연통된 나사 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접속전극 및 엔드캡의 나사 구멍 내벽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는 머리 부분에 적어도 상기 밀착부재의 두께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에는 일단이 상기 코일과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전극과 접촉되는 리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리드부재에는 상기 접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는 저항저감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KR1020050055423A 2005-06-25 2005-06-25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69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23A KR100694131B1 (ko) 2005-06-25 2005-06-25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US11/417,042 US7565089B2 (en) 2005-06-25 2006-05-04 Fusing roller and fusing device using the same
CNA2006100908587A CN1885204A (zh) 2005-06-25 2006-06-26 定影辊及具有其的定影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23A KR100694131B1 (ko) 2005-06-25 2005-06-25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56A true KR20060135456A (ko) 2006-12-29
KR100694131B1 KR100694131B1 (ko) 2007-03-12

Family

ID=3756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23A KR100694131B1 (ko) 2005-06-25 2005-06-25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65089B2 (ko)
KR (1) KR100694131B1 (ko)
CN (1) CN18852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52B1 (ko) * 2005-06-27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상 정착 장치
JP6008721B2 (ja) * 2012-12-03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232996B2 (ja) * 2013-12-17 2017-11-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荷供給装置、シート状発熱体への電荷供給方法、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7540C2 (de) * 1976-10-21 1978-10-12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30 Remscheid Induktiv-beheizbare Galette
US4724305A (en) * 1986-03-07 1988-02-09 Hitachi Metals, Ltd. Directly-heating roller for fuse-fixing toner images
JP3412968B2 (ja) 1995-07-12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US5932125A (en) * 1995-11-16 1999-08-03 Fuji Electric Co., Ltd. Roller for fixing t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10319756A (ja) 1997-05-15 1998-12-04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1115317A (ja) 1997-06-25 1999-01-22 Ricoh Co Ltd 定着装置
JPH11202662A (ja) 1998-01-16 1999-07-30 Brother Ind Ltd 定着装置
JP3762100B2 (ja) 1998-05-29 2006-03-29 京セラ株式会社 管状発熱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定着用ヒートローラ
JP2001148278A (ja) 1999-11-22 2001-05-29 Hosiden Corp 加熱ローラ及びトナー定着装置
JP2001160476A (ja) 1999-12-01 2001-06-12 Hosiden Corp 加熱ローラ及びトナー定着装置
JP3635062B2 (ja) * 1999-12-28 2005-03-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写真定着装置
JP2002043038A (ja) 2000-07-27 2002-02-0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管状ヒータ、およびトナー定着装置
KR100385997B1 (ko) 2001-09-0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JP2003091191A (ja) 2001-09-19 2003-03-28 Ricoh Co Ltd 定着装置
KR100382658B1 (ko) * 2001-09-27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JP2003241556A (ja) * 2002-02-15 2003-08-29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3302851A (ja) 2002-04-09 2003-10-24 Ricoh Co Ltd 定着装置
KR100497483B1 (ko) * 2002-09-06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JP2004109649A (ja)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定着装置
KR100476975B1 (ko) * 2002-12-20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KR100599167B1 (ko) * 2003-06-14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및 그 제조방법
JP3819904B2 (ja) 2004-02-16 2006-09-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94063B1 (ko) * 2004-11-02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65089B2 (en) 2009-07-21
CN1885204A (zh) 2006-12-27
US20060291892A1 (en) 2006-12-28
KR100694131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8339B2 (ja) 定着ローラ、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74007A (ja) 定着装置
JP2011253055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94131B1 (ko)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686739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US7340207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US7349661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189749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87192A (ja) 加熱定着装置および棒状発熱体
JPH1074001A (ja) 定着装置
JPH09237671A (ja) 加熱ローラ
KR20070119266A (ko) 전자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
JP3191672B2 (ja) 加熱ローラ
JPH0836319A (ja) 加熱定着装置
JPH09305049A (ja) 定着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56332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2208A (ja) 定着装置
JP2000194221A (ja) 加熱定着装置
JP2001134124A (ja) 発熱型定着ローラ
KR101043388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JP2001022212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50266A (ja) 棒状発熱体
JPH11296011A (ja) 加熱定着ローラ及び加熱定着装置
JPH1145020A (ja) 定着装置
JPH10268684A (ja) ヒートローラおよびヒートローラを用いた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