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739B1 -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739B1
KR100686739B1 KR1020050054806A KR20050054806A KR100686739B1 KR 100686739 B1 KR100686739 B1 KR 100686739B1 KR 1020050054806 A KR1020050054806 A KR 1020050054806A KR 20050054806 A KR20050054806 A KR 20050054806A KR 100686739 B1 KR100686739 B1 KR 10068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roller body
cap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128A (ko
Inventor
장재혁
김환겸
송규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739B1/ko
Priority to US11/385,846 priority patent/US7505727B2/en
Priority to CNA2006100932707A priority patent/CN1885206A/zh
Publication of KR2006013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Abstract

파이프형의 롤러 몸체와; 롤러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외측이 절연체에 의해 감싸여진 유도코일을 가지는 코일 조립체와; 롤러 몸체에 설치되며, 코일 조립체를 롤러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며, 가압파이프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 정착롤러, 히팅코일, 절연체, 가압파이프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FUSING ROLL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착롤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착롤러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파이프의 횡단면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내측캡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배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착롤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롤러 몸체 20..코일 조립체
21..구동코일 23..내측 절연체
25..외측 절연체 30..가압파이프
31..절개부 40..키부재
50..체결유닛 51..내측캡
52..외측캡 53..엔드캡
54..기어캡 61..볼트
62..너트 63,65..부싱부재
64,66..베어링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스캐닝유닛에서 발생된 레이저광이 감광드럼과 같은 상담지체에 조사되면, 그 상담지체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잠상 영역에는 현상장치에 의해 이동된 토너와 같은 현상제가 부착되어 가시화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토너화상은 상담지체와 전사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전사되고, 인쇄용지가 정착롤러와 이 정착롤러에 접하여 회전되는 백업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열과 압력을 받아 인쇄용지 상에 융착된다.
상기 정착롤러의 일예로서, 유도가열방식을 적용한 정착롤러가 최근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도가열방식 정착롤러의 경우, 자성체인 피가열롤러 내부에 유도코일을 배치하고, 그 유도코일과 피가열롤러 사이에 절연층을 마련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가열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품이므로, 유도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피가열롤러에 최대한 쇄교(鎖交)되도록 하여 유도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유도코일을 피가열롤러에 밀착시켜서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종래의 경우에는 피가열롤러의 내부에 확압용 코일 스프링을 개재시켜서, 유도코일을 피가열롤러의 내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확압력에 의해 유도코일이 피가열롤러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있다. 물론, 상기 유도코일과 코일 스프링 사이에는 절연체가 개재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프린터의 인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정착롤러의 회전속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정착롤러의 회전속도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슬립(slip) 또는 헛돔 현상이 발생하여 유도코일이 단선되거나,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도코일을 롤러 몸체의 내부에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는, 파이프형의 롤러 몸체와; 상기 롤러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외측이 절연체에 의해 감싸여진 유도코일을 가지는 코일 조립체와; 상기 롤러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 조립체를 상기 롤러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파이프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파이프는 원주방향으로의 단면이 C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의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파이프가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의 절개부에는 상기 키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외주면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키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장착부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로킹홈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는 비자성 금속제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를 상기 롤러 몸체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가압파이프의 단부에 로킹결합되는 내측캡과; 상기 롤러 몸체의 단부에 압입결합되며, 상기 내측캡과 결합되는 외측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내측캡의 내측에 지지되는 너트와; 상기 앤드캡과 상기 외측캡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의 단부에는 로킹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는 상기 로킹홀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캡은 상기 가압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내측캡을 포함하며, 상기 앤드캡은, 상기 제1내측캡에 체결되어 상기 롤러 몸체의 일단에 압입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제2내측캡에 체결되어 상기 롤러 몸체의 타단에 압입결합되며 외주에 기어부가 마련된 기어캡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100)는, 롤러 몸체(10)와, 상기 롤러 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일조립체(20)와, 코일조립체(20)를 롤러 몸체(10)의 내측에 밀착시키는 가압파이프(30)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 몸체(10)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이 롤러 몸체(10)는 인쇄용지와 같은 인쇄매체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회전되면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롤러 몸체(10)는 열전도성이 우수하며 자성체인 스틸(Steel), 알루미늄(Aluminum) 및 쿠퍼(Copp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롤러 몸체(10)의 양단부는 개방되며, 외주면에는 합성수지로 코팅 형성된 코팅층(11)이 소정 두께로 적층된다. 이 코팅층(11)은 인쇄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열성이 좋은 테프론(teflon), 페르플루오트 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과 같은 불소계 수지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롤러 몸체(10)의 양단부의 외주에는 후술할 부싱부재(63,65)가 압입결합되는 결합부(12)가 마련된다. 이 결합부(12)는 다른 부위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조립체(20)는 구동코일(21)과, 구동코일(21)의 내측 및 외측 각각에 마련되는 내측 절연체(23)와, 외측 절연체(25)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절연체(25)가 롤러 몸체(10)의 내주면에 소정 두께로 적층되며, 이후에 상기 구동코일(21)과 내측 절연체(25)가 차례로 적층된다.
또한, 내측 밀 외측 절연체(23,25)는 구동코일(21)을 사이에 두고 코팅형성하여 코일 조립체(20)를 마련한 뒤, 그 코일 조립체(20)를 롤러 몸체(10)의 내주에 끼워넣어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구동코일(21)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비원형이 가능하다. 이 구동코일(21)은 외부로부터 전원인가시, 롤러 몸체(10)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자기장에 따라 자성체인 롤러 몸체(10)에는 역기전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유도전류에 의한 줄(joule)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코일(21)은 유도발열 뿐만 아니라, 코일 자체의 저항부하에 따른 저항열이 발생하여 롤러 몸체(10)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도발열과, 저항발열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구동코일(21)은 쿠퍼(copper)합금, 알루미늄 합금, 스틸(Steel)합금, 니켈(Nickel)합금, 크롬(Chrome)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코일(21)은 대략 100Ω 이하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내측 절연체(23)는 상기 구동코일(21)과 가압파이프(30) 사이를 절연하 도록 소정 두께로 마련된다. 이 내측 절연체(23)는 에나멜(enamel), 글라스(glass), Al203와 같은 세라믹 재질,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 마이카 시트(Mica thin sheet), 폴리마이드(Poly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같은 절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절연체(25)는 구동코일(21)과 롤러 몸체(1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내측 절연체(23)와 같이 상술한 절연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내측 및 외측 절연체(23,25)는 구동코일(21)과 함께 하나의 조립체(20)로 미리 구성된 뒤, 롤러 몸체(10)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측 절연체(25), 구동코일(21) 및 내측 절연체(23) 순으로 롤러 몸체(10)의 내주면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파이프(30)는 롤러 몸체(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측 절연체(23)의 내측에 압입결합된다. 이 가압파이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1)를 가진다. 상기 절개부(31)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폭(W)을 가진다. 따라서, 가압파이프(30)는 상기 절개부(31)의 폭(W)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가압파이프(30)는 단면형상이 'C'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압파이프(30)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비자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파이프(30)는 내측 절연체(23)의 내측에 압입결합시, 상기 코일 조립체(20)를 롤러 몸체(10)의 내주면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코일 조립체(20)가 미끄러지거나 헛돌 기 않고 롤러 몸체(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압파이프(30)가 코일 조립체(2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절개부(31)의 폭(W)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절개부(31)에는 키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키부재(31)는 절개부(31)에 결합되어 폭(W)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개부(31)에는 키부재(40)가 장착되는 장착부(31a)가 마련된다. 상기 장착부(31a)은 가압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략 중앙부위를 벤딩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키부재(40)에 의한 절개부(31)의 축소 억제기능을 가압파이프(30)의 길이방향에 대해 균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31a)는 벤딩된 만큼 가압파이프(3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변형되어 형성된다.
상기 키부재(40)는 장착부(31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키부재(40)의 외측면의 곡률은 상기 가압파이프(30)의 외주면의 곡율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키부재(40)가 장착부(31a)에 안착되게 되며, 키부재(40)의 외주면과 가압파이프(30)의 외주면이 동일 높이에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 조립체(20)에 대한 밀착계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키부재(40)는 상기 절개부(31)의 테두리,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착부(31a)에 걸리는 로킹홈(41)을 가진다. 상기 로킹홈(41)이 장착부(31a)에 탄력적으로 소위 원터치식으로 끼워짐으로써, 키부재(40)는 장착부(31a)에서 분리되지 안 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파이프(30)의 양단 각각에는 로킹홀(33)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로킹홀(33)은 가압파이프(3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 바람직하게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킹홀(33)은 후술할 내측캡(51)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가지는 가압파이프(30)를 롤러 몸체(10)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유닛(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체결유닛(50)은 한 쌍의 내측캡(51)과, 외측갭(52)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캡(51)은 한 쌍이 마련되며, 그 각각은 가압파이프(30)의 양단 각각에 압입되어 결합된다. 이 내측캡(51)의 외주에는 상기 로킹홀(33)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5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캡(51)의 중앙에는 체결공(51b)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캡(51)의 안쪽면에는 체결공(51b)보다 확장된 비원형의 너트 장착홈(51c)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 장착홈(51c)에는 비원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는 너트(62)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외측캡(52)은 내측캡(51) 각각을 롤러 몸체(10)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엔드캡(53)과 기어캡(5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엔드캡(5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1)와 너트(62)에 의해서 내측캡(51)과 결합된다. 이러한 엔드캡(53)은 롤러 몸체(10)의 단부의 내측에 압입결합된다. 이러한 엔드캡(53)은 고온에서도 열변형이 적은 유리섬유(Glass Fiber) 등의 충전재를 넣은 PPS(Polyphenylene sulfide), PBT(poly 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등의 레진으로 사출성형된다. 엔드캡(53)과 롤러 몸체(10)의 사이에는 미도시된 스프링키가 개재되어 엔드캡(53)이 롤러 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엔드캡(53)의 외측에는 부싱부재(63)와 베어링(64)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볼트(61)와 너트(62)에 의해서 엔드캡(53)과 내측캡(51)을 결합하고, 엔드캡(53)을 롤러 몸체(10)에 압입결합하게 되면, 가압파이프(30)가 롤러 몸체(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파이프(30)에 의해 가압된 코일 조립체(20)가 슬립되거나 헛돌지 않고 가압파이프(30) 및 롤러 몸체(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캡(54)은 엔드캡(53)의 반대쪽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 기어캡(54)도 엔드캡(53)과 마찬가지로 내측캡(51)과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며, 롤러 몸체(10)의 내측에 압입 결합된다.
상기 기어캡(54)의 외주에는 소정의 동력원으로부터 기어연결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이(54a)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캡(54)도 엔드캡(53)과 마찬가지로 유리섬유 등의 충전재를 넣은 PPS, PBT, 나일론 등의 레진으로 사출성형된다. 그리고 기어캡(54)의 외측에도 부싱부재(65)와 베어링(66)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엔드캡(53)과 기어캡(54)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구동코일(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가 마련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구동코일(21)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단자의 구성 등은 공지의 기술구성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이나 도면상의 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롤러 몸체(10)의 내주면에 외측 절연층(25)을 적층시킨다. 이어서 구동코일(21)을 외측 절연체(25)의 내주면 전체에 걸쳐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감는다.
그런 다음, 구동코일(21)의 내측에 내측 절연체(23)를 적층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압파이프(30)에 키부재(40)를 결합한 상태로, 가압파이프(30)를 내측 절연체(23)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압입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파이프(30)는 키부재(40)에 의해 그 반경방향으로 축소되는 것이 억제된 상태이므로, 가압파이프(30)가 내측 절연체(23)의 내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아부재(30)는 상기와 같이 적층된 코일 조립체(20)를 롤러 몸체(10)의 내주면 쪽으로 밀착되게 가압한다.
이어서, 상기 내측캡(51)의 볼트(61)와 너트(62)를 이용하여 내측캡(51)과 엔드캡(53)을 결합한다. 그리고 결합된 내측캡(51)은 가압파이프(30)의 내측에 결합시키고, 동시에 엔드캡(53)은 롤러 몸체(10)의 단부에 압입결합한다. 물론, 상기 엔드캡(53)을 결합하기 전에 롤러 몸체(10)의 단부에 부싱부재(63)와 베어링(64)을 롤러 몸체(10)의 단부와 엔드캡(54)의 외주에 개재시켜서 동시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쪽 기어캡(54)의 경우에도 상기 엔드갭(53)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측캡(51)과 결합한뒤 롤러 몸체(10)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정착롤러(100)에 있어서, 코일 조립체(20)는 가압파이프(30)에 의해 롤러 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롤러 몸체(10)의 회전시 코일 조립체(20)가 롤러 몸체(10)에 대해서 슬립되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압파이프(30)는 키부재(40)의해서 그 확장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코일 조립체(20)에 대한 가압파이프(30)의 가압력은 일정하게 된다. 또한, 가압파이프(30)의 외주면 전체가 내측 절연체(2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압함으로써, 밀착계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조립체(20)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때보다 크기 때문에, 코일 조립체(20)의 헛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캡(51)과 외측캡(52)에 의해서 가압파이프(30)와 롤러 몸체(1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롤러 몸체(10)의 회전시, 상기 가압파이프(30)와 롤러몸체(10) 및 코일 조립체(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코일(21)의 손상이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부를 가지는 파이프형의 가압파이프에 의해서 구동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를 롤러 몸체의 내주에 밀착/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C'자형의 가압파이프에 의해서 코일 조립체의 결합계수를 극대화함으로써, 구동코일에 의한 자속의 손실을 억제하여 유도발열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파이프와 롤러 몸체가 코일 조립체와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가압 파이프 및 구동코일의 슬립이나 헛돔으로 인한 구동코일의 단락, 꼬임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파이프형의 롤러 몸체와;
    상기 롤러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외측이 절연체에 의해 감싸여진 유도코일을 가지는 코일 조립체와;
    상기 롤러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 조립체를 상기 롤러 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가압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파이프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반경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는 원주방향으로의 단면이 C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의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가압파이프가 반경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의 절개부에는 상기 키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외주면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키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장착부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로킹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는 비자성 금속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를 상기 롤러 몸체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가압파이프의 단부에 로킹결합되는 내측캡과;
    상기 롤러 몸체의 단부에 압입결합되며, 상기 내측캡과 결합되는 외측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내측캡의 내측에 지지되는 너트와;
    상기 앤드캡과 상기 외측캡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이프의 단부에는 로킹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캡의 외측에는 상기 로킹홀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캡은 상기 가압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내측캡을 포함하며,
    상기 앤드캡은, 상기 제1내측캡에 체결되어 상기 롤러 몸체의 일단에 압입결합되는 엔드캡과, 상기 제2내측캡에 체결되어 상기 롤러 몸체의 타단에 압입결합되며 외주에 기어부가 마련된 기어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KR1020050054806A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KR10068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06A KR100686739B1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US11/385,846 US7505727B2 (en) 2005-06-24 2006-03-22 Fixing roller including a pressing pipe having a cut away portion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6100932707A CN1885206A (zh) 2005-06-24 2006-06-23 用于成像装置的定影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806A KR100686739B1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128A KR20060135128A (ko) 2006-12-29
KR100686739B1 true KR100686739B1 (ko) 2007-02-26

Family

ID=375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806A KR100686739B1 (ko) 2005-06-24 2005-06-24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05727B2 (ko)
KR (1) KR100686739B1 (ko)
CN (1) CN18852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1789B2 (en) * 2005-06-07 2008-07-22 Trw Automotive U.S. Llc Rack bushing for rack and pinion steering assembly
KR100705324B1 (ko) * 2005-11-02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의 히트롤러
KR20120023875A (ko) * 2010-09-02 201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니켈 합금 재질의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한 가열 롤러, 그를 구비한 정착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US8818241B2 (en) * 2011-09-12 2014-08-26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Universal part for use in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CN106915593B (zh) * 2017-02-21 2022-11-25 青岛正泰物流器械有限公司 托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9774A (ja) * 1988-06-22 1989-12-26 Hisayoshi Totsuka 定着装置
JPH0934300A (ja) * 1995-07-25 1997-02-07 Fujitsu Ltd 定着装置
JPH1083127A (ja) * 1997-09-26 1998-03-31 Ricoh Co Ltd ヒートローラ定着装置
JP2002280158A (ja) * 2001-03-21 2002-09-27 Ricoh Co Ltd 誘導加熱ローラ
KR100374618B1 (ko) * 2001-05-04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635A (ja) 1997-12-26 1999-07-21 Brother Ind Ltd 定着用加熱ローラ
JP2001159857A (ja) * 1999-09-21 2001-06-12 Ricoh Co Ltd 誘導加熱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35955A (ja) 2000-02-24 2001-08-31 Ricoh Co Ltd 定着装置の加熱ローラ
JP3926535B2 (ja) 2000-04-04 2007-06-0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
JPWO2003102699A1 (ja) * 2002-06-03 2005-09-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ヒートローラ
KR100452551B1 (ko) * 2002-06-29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장치
KR100476975B1 (ko) * 2002-12-20 2005-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JP2004226464A (ja) 2003-01-20 2004-08-1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誘導加熱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9774A (ja) * 1988-06-22 1989-12-26 Hisayoshi Totsuka 定着装置
JPH0934300A (ja) * 1995-07-25 1997-02-07 Fujitsu Ltd 定着装置
JPH1083127A (ja) * 1997-09-26 1998-03-31 Ricoh Co Ltd ヒートローラ定着装置
JP2002280158A (ja) * 2001-03-21 2002-09-27 Ricoh Co Ltd 誘導加熱ローラ
KR100374618B1 (ko) * 2001-05-04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05727B2 (en) 2009-03-17
US20060291923A1 (en) 2006-12-28
CN1885206A (zh) 2006-12-27
KR20060135128A (ko)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49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819507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0686739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JP4998597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10286775A1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eat generation belt
JP2011248264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63474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5532807A (en) Heating roller having electrodes for supplying power to a heating element
US7263324B2 (en) Heat roller, fixing apparatus
KR100599167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및 그 제조방법
US7565089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device using the same
US7340207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3317154B2 (ja) 定着装置
US7349661B2 (en) Fusing roller and fu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008721B2 (ja) 定着装置及び定着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353572B2 (ja) 誘導加熱定着装置
US8380100B2 (en) Fusing device
JPH10123861A (ja) 誘導加熱定着装置
JP3621214B2 (ja) 加熱ローラ及びローラ加熱装置
JPH10319751A (ja) 誘導加熱定着装置
JP5891998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74005A (ja) 定着装置
JP2014010391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156899A (ja) 定着装置
JP2002072722A (ja) 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