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483B1 -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483B1
KR100497483B1 KR10-2002-0053766A KR20020053766A KR100497483B1 KR 100497483 B1 KR100497483 B1 KR 100497483B1 KR 20020053766 A KR20020053766 A KR 20020053766A KR 100497483 B1 KR100497483 B1 KR 10049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il
terminal block
electrode
temperatur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967A (ko
Inventor
김환겸
조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483B1/ko
Priority to US10/412,276 priority patent/US6865365B2/en
Priority to JP2003142179A priority patent/JP2004102224A/ja
Publication of KR2004002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롤러가 정착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가열롤러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는, 무산소동 파이프와, 무산소동 파이프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된 발열코일과, 발열코일의 외주를 감싸는 알루미늄 파이프와, 발열코일의 표면을 감싸며 발열코일이 무산소동 파이프 및 알루미늄 파이프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절연재와, 알루미늄 파이프의 양단에 설치되며 발열코일과 접속되고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 단자대를 갖는 전극, 및 전극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전극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발열코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전극의 단자대가 녹아 브러쉬로부터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자대는 전극으로부터 돌설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속된 용융부, 및 용융부에 연속되며 발열코일과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발열코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용융부가 녹아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Heating roller for fi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of the heating roller}
본 발명은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장치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정착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착장치는 가열롤러에서 발생되는 열과 가압롤러에 의한 압력으로 감광매체로부터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킨다. 이때 가열롤러에는 발열원으로 할로겐 램프, 발열코일, 저항발열체 등이 사용된다.
도 1에는 발열코일을 사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를 구비한 정착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롤러(80)는 알루미늄 파이프(10), 절연재(20), 발열코일(30), 무산소동 파이프(50), 전극(40), 브러쉬(45), 써모스타트(Thermostat,60)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파이프(10)는 가열롤러(80)의 외관을 이루며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알루미늄 파이프(10)의 양단은 베어링(15)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에는 토너와의 이형성을 위하여 테프론 코팅(12)이 되어 있다.
절연재(20)는 알루미늄 파이프(10)의 안에 조립되는 발열코일(30)을 알루미늄 파이프(10) 및 무산소동 파이프(50)와 절연시키는 것으로 발열코일(30)과 알루미늄 파이프(10)를 절연시키는 외층절연재(22)와 발열코일(30)과 무산소동 파이프(50)를 절연시키는 내층절연재(24)로 구성된다. 외층절연재(22) 및 내층절연재(24)는 운모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산소동 파이프(50)는 열전도성이 높은 무산소동으로 제조되며 내부에는 작동유체(52)가 담겨 있고 양단은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전극(40)은 알루미늄 파이프(10)의 양단에 설치되며, 발열코일(30)과 연결되어 있다. 전극(40)의 외측면에는 브러쉬(45)가 접촉되어 있어 가열롤러(8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극(40)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브러쉬(45)는 교류전원 제어부(70)에 연결되어 있고, 브러쉬(45)와 교류전원 제어부(70)를 연결하는 전선에는 써모스타트(60)가 연결되어 있다. 써모스타트(60)는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써모스타트(60)는 정착장치를 감싸고 있는 폴리머 사출 프레임에 주로 볼트로 고정된다.
가열롤러(80)의 아래에는 알루미늄 파이프(10)에 대해 가압하면서 회전하는 가압롤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가열롤러(80)에서 가열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 제어부(7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교류전원이 브러쉬(45)로 공급된다. 브러쉬(45)로 전원이 공급되면, 그 전원은 알루미늄 파이프(10)의 양단에 설치된 전극(40)으로 전달되고 전극(40)으로 전달된 전원은 발열코일(3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어 발열코일(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발열코일(30)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는 알루미늄 파이프(10)로 전도되어 표면을 가열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무산소동 파이프(50)로 전도된다. 무산소동 파이프(50)으로 전도된 열은 무산소동 특유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빠른 시간내에 무산소동 파이프(50) 내부의 작동유체(52)를 기화시킨다. 무산소동 파이프(50) 내의 작동유체(52)가 완전히 포화수증기로 바뀐 후에는 발열코일(30)에서 발생된 열은 전부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으로 전도되어 토너의 정착 및 용지 온도상승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무산소동 파이프(50)를 사용하면 초당 온도 상승율이 10℃가 되어 순간 정착이 가능하다. 또한, 무산소동 파이프(50)는 내부의 작동유체(52)의 포화수증기로 인해 열상승의 효율을 급속하게 높일 수 있는 것외에 인쇄 후에는 알루미늄 파이프(10)의 온도가 급속하게 냉각되는 것을 막아, 발열코일(30)에 전원이 인가되는 횟수가 용지 1매당 2~3회로 적다. 따라서, 인쇄동작시의 소비 전력이 할로겐 램프 방식의 가열롤러에 비해 적게 된다.
또한, 교류전원 제어부(70)의 이상 등으로 발열코일(30)에 대한 교류전원의 인가가 정상적으로 제어되지 않으면 발열코일(30)이 계속적으로 가열되어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써모스타트(60)의 바이메탈 스위치(Bimetal switch)가 작동하여 교류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면, 가열롤러(80)의 발열코일(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가열롤러(80)가 서서히 식게된다.
즉, 상기 교류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교류전원 제어부(70)가 중앙처리장치(CPU)가 어떤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하거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의해 가열롤러의 발열코일(30)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ON/OFF하는 포토트라이악(Photo Triac)이 파손되어 제어신호는 Off되어도 발열코일(30)로 계속 On 신호를 인가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빠지게 되면, 오직 써모스타트(60)가 알루미늄 파이프(10)의 표면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발열코일(30)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여야 한다.
그러나, 써모스타트가 설치되는 폴리머 사출 프레임은 치수가 불안정하고 휨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써모스타트와 가열롤러 표면 사이의 거리를 설계치수대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써모스타트와 가열롤러 표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면, 써모스타트가 작동되는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써모스타트가 발열코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온도가 일정하지 않고 제품마다 다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써모스타트와 가열롤러 표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 써모스타트가 늦게 동작하게 되면 가열롤러, 가압롤러, 프레임 등이 녹거나 연기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화재 발생의 불안감을 줄 가능성이 크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접촉식 써모스타트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식 써모스타트는 가열롤러 표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의 이형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테프론 코팅 등의 이형층을 마모, 파괴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써모스타트를 사용하지 않고 발열코일이 설정 온도 이상으로 일정치 상승하면, 발열코일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가열롤러에 사용되는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는 무산소동 파이프와, 무산소동 파이프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된 발열코일과, 발열코일의 외주를 감싸는 알루미늄 파이프와, 발열코일의 표면을 감싸며 발열코일이 무산소동 파이프 및 알루미늄 파이프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절연재와, 알루미늄 파이프의 양단에 설치되며 발열코일과 접속되고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 단자대를 갖는 전극, 및 전극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전극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며, 발열코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전극의 단자대가 녹아 브러쉬로부터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자대는 전극으로부터 돌설된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속된 용융부, 및 용융부에 연속되며 발열코일과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발열코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용융부가 녹아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자대는 얇은 띠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자대가 용융되는 설정온도는 250도 내지 300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의 접속부와 발열코일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롤러의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은, 얇은 띠상의 단자대를 갖는 전극을 성형하는 단계와, 단자대의 중간에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와, 구멍에 단자대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소정 온도에서 녹는 용융재료를 충전하는 단계, 및 용융재료가 충전된 구멍 주위의 단자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자대 구멍은 에칭(Etching) 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용융재료를 충전하는 단계는 단자대 구멍에 용융재료를 단자대와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주형을 제조하는 단계와, 단자대 구멍 주위를 용제로 닦고 주형에 조립하는 단계와, 용융재료를 용해하는 단계와, 용해된 용융재료를 주형에 붓는 단계, 및 단자대가 식으면 주형으로부터 단자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롤러의 전극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단자대를 갖는 전극을 성형하는 단계와, 단자대를 절단하는 단계와, 전극에 남은 단자대와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된 단자대를 온도휴즈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롤러(180)는 무산소동 파이프(100), 절연재(120), 발열코일(110), 알루미늄 파이프(130), 전극(140), 브러쉬(150)를 포함한다.
무산소동 파이프(100)는 열전도성이 높은 무산소동으로 제조되며 내부에는 일정 온도가 되면 기화되는 작동유체(102)가 담겨 있고 양단은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절연재(120)는 무산소동 파이프(100)의 외주에 조립되는 발열코일(110)을 무산소동 파이프(100) 및 알루미늄 파이프(130)와 절연시키는 것으로서, 발열코일(110)과 무산소동 파이프(100)를 절연시키는 내층절연재(124)와 알루미늄 파이프(130)와 발열코일(110)을 절연시키는 외층절연재(122)로 구성된다. 외층절연재(122) 및 내층절연재(124)는 운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코일(110)은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된다. 발열코일(110)의 양단부는 전극의 단자대(142)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파이프(130)는 가열롤러(180)의 외관을 이루며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양단은 베어링(135)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표면에는 토너와의 이형성을 위하여 테프론 코팅이 된 이형층(132)이 있다.
전극(140)은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양단에 설치되며, 발열코일(110)과 연결되는 단자대(142)를 구비한다. 단자대(142)는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코일(110)의 끝부분과 접속이 용이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단자대(142)는 가공의 용이성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띠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대(142)는 전극(140)으로부터 돌설되는 베이스(143)와, 베이스(143)에 연속된 용융부(145), 및 용융부(145)에 연속되는 접속부(147)를 포함한다. 베이스(143)와 접속부(147)는 전극(140)과 유사한 재질로서, 인청동이나 인탈산동으로 만든다. 용융부(145)는 정상적인 정착온도에서는 용융되지 않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발열코일(110)의 온도가 정착온도보다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가열롤러(180)나 주위의 프레임(미도시) 등이 손상되지 않는 적당한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성형된다. 또한, 용융부(145)를 형성하는 재료는 단자대(1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성형성이 좋고, 베이스(143)와 접속부(147)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는 접착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융재료는 가열롤러(180)의 사용한계를 벗어나는 250 ~ 300℃ 사이의 영역에서 용융되는 연납재질이 많이 사용된다. 보통 용융점이 185~220℃인 Sn 53~60%과 Pb의 합금, Cd-Zn 합금, 및 용융점 270~310℃인 고Pb 합금 등이 원하는 온도에서 단자대(142)가 용융되도록 설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단자대(142)를 구비한 전극(140)을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말 소결이나, 주조 등의 방법으로 얇은 띠상의 단자대(142)를 갖는 전극(140)을 성형한다(S100). 단자대(142)를 갖는 전극(140)의 성형이 완료되면, 에칭(Etching)이나 펀칭(Punching) 가공 등으로 도 4의 ①과 같이 단자대(142)의 중간부에 사각의 구멍(144)을 가공한다(S110). 이어서, 구멍(144)에 단자대(142)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소정 온도에서 녹는 용융재료(145)를 충전한다(S120).
단자대의 구멍(144)에 용융재료를 충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를 고려할 수 있으나 주형을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단자대 구멍(144)에 용융재료를 단자대(142)와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주형을 제조한다. 이어서, 단자대 구멍(144) 주위의 용융재료가 융착될 부위를 용제로 닦고 주형에 조립한다. 그 후 용융재료가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가열하여 용해한다. 용해된 용융재료를 일정량 주형에 부어 단자대의 구멍(144)이 용융재료로 채워지도록 한다. 용융재료(145)가 응고되면 주형으로부터 단자대(142)를 분리한다. 그러면 도 4의 ②와 같은 단자대(142)를 갖는 전극(140)이 얻어진다. 구멍(144)에 용융재료(145)가 충전된 단자대(142)를 프레스 등에 올려 놓고 도 4의 ③과 같이 구멍 주위의 단자대 부분(144a)을 절단한다(S130). 그러면, 도 4의 ④와 같이 단자대(142)의 중간부에 용융재료(145)가 삽입된 전극(140)이 만들어 진다. 여기서, 도 4의 ⑤는 ④의 단자대(142)의 정면도이다.
단자대를 갖는 전극(140)을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먼저,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자대를 갖는 전극(140)을 성형한다(S200). 이어서,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단자대(142')를 절단한다(S210). 이때 단자대(142')의 중간부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전극(140)에 남아 있는 단자대의 하부(143')와 절단된 단자대의 상부(147')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휴즈(148)로 연결한다(S220). 이때, 온도휴즈(Thermal fuse,148)의 리드와이어(lead wire,148a)는 용접이나 압착을 이용하여 단자대의 상부 및 하부(143',147')와 접합한다.
전극(140)의 외측면에는 브러쉬(150)가 접촉되어 있어 알루미늄 파이프(13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극(140)으로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브러쉬(150)는 전극(140)에 밀착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14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극(14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양단의 브러쉬(150)는 각각 교류전원 제어부(170)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교류전원 제어부(17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교류전원이 전극(140)의 외측에 설치된 브러쉬(150)로 공급된다. 브러쉬(150)로 전원이 공급되면, 그 전원은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양단에 설치된 전극(140)으로 전달되고 전극(140)으로 전달된 전원은 단자대(142)의 베이스(143), 용융부(145), 접속부(147)를 통해 발열코일(110)로 전원을 인가하게 되어 발열코일(11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발열코일(110)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는 알루미늄 파이프(130)로 전도되어 표면을 가열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무산소동 파이프(100)로 전도된다. 무산소동 파이프(100)으로 전도된 열은 무산소동 특유의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빠른 시간내에 무산소동 파이프(100) 내부의 작동유체(102)를 기화시킨다. 무산소동 파이프(100) 내의 작동유체(102)가 완전히 포화수증기로 바뀐 후에는 발열코일(110)에서 발생된 열은 전부 알루미늄 파이프(130)의 표면으로 전도되어 토너의 정착 및 용지 온도상승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단자대(142)를 구비한 전극(140)에 의해 교류전원이 발열코일(110)에 인가되기 때문에, 발열코일(110)이 가열된다. 그러면, 알루미늄 파이프(130)는 전사된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온도인 185℃까지 표면온도가 상승한다.
그런데, 교류전원 제어부(170)에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어떤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하거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나오는 제어신호에 의해 발열코일(110)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ON/OFF하는 포토 트라이악(Photo Triac)이 파손되어 제어신호는 Off되어도 발열코일(110)로 계속 On 신호를 인가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발열코일(110)로의 교류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교류전원 제어부(170)가 정상적으로 교류전원의 인가를 제어하지 못하면, 발열코일(110)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발열코일(110)의 온도가 단자대 용융부(145)의 용융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단자대 용융부(145)가 녹게 된다. 단자대 용융부(145)가 용융되면 전극(140)과 발열코일(110) 간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지게 된다. 만일, 단자대 용융부(145)를 용융온도가 250℃인 용융재료로 성형한 경우는, 발열코일(110)의 온도가 250℃까지 상승하면 단자대의 용융부(145)가 녹아 발열코일(110)로 인가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단자대(142)와 발열코일(110)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진 가열롤러(180)는 발열코일(110)이 과열되어 단자대(142)가 용융된 경우, 알루미늄 파이프(130)로부터 용융된 전극(140)을 분리하고 새로운 전극(14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에 의하면, 용융부가 개재(介在)된 단자대를 갖는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발열코일이 과열되는 경우는 용융부의 용융온도 범위에서 정밀하게 공급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용융부가 개재된 단자대를 이용한 전원차단 방식은 열전달 속도가 빠른 전도과정을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 용융부가 용융되어 교류전원이 차단되므로 대류과정을 통해 전달된 열에 의해 교류전원이 차단되는 써머스타트 방식보다 신뢰성이 더 높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에 의하면, 교류전원 제어부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발열코일이 과열되는 경우에 전극의 단자대가 용융되어 교류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원을 차단하는 최종 안전장치로 사용되던 써머스타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롤러에 사용되는 단자대를 구비한 전극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착장치의 가열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가열롤러의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전극제조방법에서 전극의 단자대의 단계별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가열롤러의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a,6b,6c는 도 5의 전극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의 단자대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무산소동 파이프 110; 발열코일
120; 절연재 122; 외층절연재
124; 내층절연재 130; 알루미늄 파이프
132; 이형층 135; 베어링
140; 전극 142; 단자대
143; 베이스 144; 구멍
145; 용융부 (용융재료) 147; 접속부
148; 온도휴즈 150; 브러쉬
170; 교류전원 제어부 180; 가열롤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무산소동 파이프;
    상기 무산소동 파이프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된 발열코일;
    상기 발열코일의 외주를 감싸는 알루미늄 파이프;
    상기 발열코일의 표면을 감싸며, 상기 발열코일이 상기 무산소동 파이프 및 상기 알루미늄 파이프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절연재;
    상기 알루미늄 파이프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코일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 단자대를 갖는 전극;
    상기 전극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극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는,
    얇은 띄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으로부터 돌설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속된 용융부, 및 상기 용융부에 연속되며 상기 발열코일과 연결된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코일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용융부가 녹아 상기 브러쉬로부터 상기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4. 무산소동 파이프;
    상기 무산소동 파이프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된 발열코일;
    상기 발열코일의 외주를 감싸는 알루미늄 파이프;
    상기 발열코일의 표면을 감싸며, 상기 발열코일이 상기 무산소동 파이프 및 상기 알루미늄 파이프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절연재;
    상기 알루미늄 파이프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발열코일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소정 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는 단자대를 갖는 전극;
    상기 전극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극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대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돌설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속된 용융부, 및 상기 용융부에 연속되며 상기 발열코일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코일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용융부가 녹아 상기 브러쉬로부터 상기 발열코일로 전달되는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접속부는 인청동, 인탈산동 중의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가 용융되는 설정온도는 250도 내지 300도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7. 얇은 띠상의 단자대를 갖는 전극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자대의 중간에 구멍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구멍에 상기 단자대의 용융온도보다 낮은 소정 온도에서 녹는 용융재료를 충전(充塡)하는 단계; 및
    용융재료가 충전된 상기 구멍 주위의 단자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구멍은 에칭(Etching) 가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재료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단자대 구멍에 용융재료를 단자대와 동일 두께로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주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자대 구멍 주위를 용제로 닦고 상기 주형에 조립하는 단계;
    상기 용융재료를 용해하는 단계;
    용해된 용융재료를 상기 주형에 붓는 단계;
    상기 단자대가 식으면 상기 주형으로부터 단자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10. 단자대를 갖는 전극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자대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전극에 남은 단자대와 상기 단계에서 절단된 단자대를 온도휴즈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휴즈와 단자대는 용접이나 압착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KR10-2002-0053766A 2002-09-06 2002-09-06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KR10049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766A KR100497483B1 (ko) 2002-09-06 2002-09-06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US10/412,276 US6865365B2 (en) 2002-09-06 2003-04-14 Heating roller of a fi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use with the same
JP2003142179A JP2004102224A (ja) 2002-09-06 2003-05-20 定着装置の加熱ローラー,加熱ローラーの電極の製造方法,端子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766A KR100497483B1 (ko) 2002-09-06 2002-09-06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967A KR20040021967A (ko) 2004-03-11
KR100497483B1 true KR100497483B1 (ko) 2005-07-01

Family

ID=3198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766A KR100497483B1 (ko) 2002-09-06 2002-09-06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65365B2 (ko)
JP (1) JP2004102224A (ko)
KR (1) KR100497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4604A1 (en) * 2001-11-06 2003-05-30 Hewlett-Packard Indigo B.V. Fuser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KR100694063B1 (ko) 2004-11-02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장치 및 이를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0694131B1 (ko) * 2005-06-25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롤러 및 상기 정착롤러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715852B1 (ko) * 2005-06-27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상 정착 장치
US20070014919A1 (en) * 2005-07-15 2007-01-18 Jani Hamalainen Atomic layer deposition of noble metal oxides
KR100717013B1 (ko) * 2005-07-2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유닛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JP4708230B2 (ja) * 2006-03-14 2011-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446375Y1 (ko) * 2007-10-16 2009-10-22 신미선 컨베이어
CN108058474A (zh) * 2017-12-24 2018-05-22 苏州派菲特自动化科技有限公司 有两种恒温模式的转印机发热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079A (ja) * 1986-06-04 1987-12-11 Hitachi Metals Ltd ヒ−トロ−ルの異常温度上昇防止方法
JPH04151686A (ja) * 1990-10-16 1992-05-25 Canon Inc 定着装置
JPH08234619A (ja) * 1995-02-27 1996-09-13 Nec Corp 定着装置の異常温度防止装置
JPH10171295A (ja) * 1996-12-12 1998-06-26 Ricoh Co Ltd 加熱ローラ装置
JP2000172113A (ja) * 1998-12-08 2000-06-2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681A (ja) * 1989-10-31 1991-06-20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GB2290259B (en) * 1994-06-17 1997-09-10 Oki Electric Ind Co Ltd Image fixing device for use with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US5765075A (en) * 1995-09-14 1998-06-09 Fuji Xerox Co., Ltd. Temperature sens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fixing apparatus in combination with a temperature sensor
US6615006B2 (en) * 1998-06-30 2003-09-02 Steven Bruce Michlin Electrical contact device for a developer rol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079A (ja) * 1986-06-04 1987-12-11 Hitachi Metals Ltd ヒ−トロ−ルの異常温度上昇防止方法
JPH04151686A (ja) * 1990-10-16 1992-05-25 Canon Inc 定着装置
JPH08234619A (ja) * 1995-02-27 1996-09-13 Nec Corp 定着装置の異常温度防止装置
JPH10171295A (ja) * 1996-12-12 1998-06-26 Ricoh Co Ltd 加熱ローラ装置
JP2000172113A (ja) * 1998-12-08 2000-06-23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65365B2 (en) 2005-03-08
KR20040021967A (ko) 2004-03-11
US20040047660A1 (en) 2004-03-11
JP2004102224A (ja) 200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483B1 (ko) 정착장치의 가열롤러 및 그 가열롤러의 전극제조방법
JPS6135922A (ja) 射出成形用加熱型ノズル及びその製造方法
BRPI0717237B1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máquina elétrica e dispositivo para ligação de um enrolamento de fio com um gancho de comutador".
CZ298182B6 (cs) Polymerní ponorné topné teleso se skeletovou nosnou konstrukcí a zpusob jeho výroby
CN109278303B (zh) 热压接装置
KR20010108494A (ko) 납땜인두 등의 열인두 및 그 제어방법
EP0544891B1 (en) Electric element assembly
CN210471024U (zh) 一种电发热装置及电子烟雾化器
JP4015244B2 (ja) 合金型温度ヒュ−ズの製造方法
JP3733348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熱溶着装置
JP4463713B2 (ja) 合金型温度ヒューズの実装方法
JP3737966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熱溶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4698353B2 (ja) 押湯加熱装置
KR20220054674A (ko) 흡연 장치용 가열 부재
JP3889855B2 (ja) 基板型温度ヒュ−ズ
JPS6258536B2 (ko)
JP2003011232A (ja) 熱かしめ方法
JP2712198B2 (ja) ディーゼル機関予熱栓用抵抗装置
KR20170052915A (ko) 발열 와이어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열 와이어
JP3680822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2017189786A (ja) 半田付け装置
JP2007075855A (ja) 押湯加熱装置
US2749425A (en) Immersion heater
JP3062326U (ja) 熱圧着装置
JP2006088415A (ja) 溶着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