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418A - 전식기 - Google Patents

전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418A
KR20060127418A KR1020067023817A KR20067023817A KR20060127418A KR 20060127418 A KR20060127418 A KR 20060127418A KR 1020067023817 A KR1020067023817 A KR 1020067023817A KR 20067023817 A KR20067023817 A KR 20067023817A KR 20060127418 A KR20060127418 A KR 2006012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peed
fan
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040B1 (ko
Inventor
마코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7/00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or motor by resistance of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2)에 부설된 엔진 냉각팬(67)을 팬케이스(66)에 의해 덮고, 상기 엔진(2)의 상방을 덮는 커버(74)에 의해 형성되는 클리너실(77)내에 에어클리너(75)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실(77)을 상기 팬케이스(66)에 의해 형성되는 팬실(76)에 연통시켜서, 상기 냉각팬(67)에 의한 냉각풍이 상기 클리너실(77)을 유통한 후에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식기{RICE TRANSPLANTER}
도1은 전식기의 전체측면도,
도2는 전식기의 전체평면도,
도3은 전식기의 전체정면도,
도4는 차체의 측면도,
도5는 차체의 평면도,
도6은 엔진부의 사시도,
도7은 엔진부의 측면도,
도8은 엔진부의 평면도,
도9는 엔진부의 정면도,
도10은 엔진부의 사시설명도,
도11은 엔진부의 사시설명도,
도12는 보닛부의 단면설명도,
도13은 보닛부의 평면설명도,
도14는 엔진 냉각부의 설명도,
도15는 보닛부의 정면설명도,
도16은 엔진 스로틀부의 설명도,
도17은 변속페달부의 설명도,
도18은 2갈래 와이어부의 설명도,
도19는 와이어 조인트부의 설명도,
도20은 고정 프레임부의 사시도,
도21은 고정 프레임부의 사시도,
도22는 2갈래 와이어부의 다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묘재대 및 묘식부(苗植付) 클로를 구비해서 연속적으로 묘식작업을 행하는 전식기 또는 트랙터 또는 콤바인 등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식기의 주행변속장치로서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와 유압모터에 의해 구성되는 유압식 무단변속기구(HST)를 사용한 기술이 있고, 이 변속장치를 조작하는 레버는 변속기구의 사판각도만을 변경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2979580호 공보)
통상 전식기에 있어서는, 작업시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는 액셀레이터 레버의 고속위치에서, 변속레버를 변속조작함으로써 차속을 변경시키고 있지만, 모판 셋팅시에 변속레버를 중립위치로 조작해서 기체를 정지시켜도, 액셀레이터 레버를 고속에서 저속위치로 되돌리지 않는 한 엔진 회전수는 고속상태를 유지해서 보다 조용한 작업을 할 수 없다. 또한 무단변속기구의 고속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저속상태 일 때 엔진이 출력 부족상태로 되거나, 무단변속기구 및 엔진 회전수가 모두 고속상태에서 클러치를 접속시켰을 때 기체가 급발진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엔진에 부설된 엔진 냉각팬을 팬케이스에 의해 덮고, 상기 엔진의 상방을 덮는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클리너실내에 에어클리너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실을 상기 팬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팬실에 연통시켜서,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풍이 상기 클리너실을 유통한 후에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클리너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클리너실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카뷰레터에 차가운 공기를 보내줌으로써 엔진의 출력상승이나 연료소비량의 향상을 꾀한다.
또, 상기 엔진 냉각팬 및 상기 팬케이스는 상기 엔진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엔진의 후측 상방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의 전측 상방에는 후방측이 상기 클리너실에 연통되고 또한 전방측이 바깥쪽으로 개구된 배풍로를 형성하는 배풍 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리너실 유통후의 냉각풍이 상기 배풍로를 통해 보닛 앞면에 개구되는 배풍구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팬실로부터 클리너실, 배풍로 및 배풍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냉각풍의 흐름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상승이나 연료소비량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풍구는 차체 커버의 스텝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배풍구로부터의 배풍이 모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모의 손상 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전체 측면도, 도2는 동평면도, 도3은 동정면도, 도4는 차체의 측면도, 도5는 동평면도를 나타내고, 도면중 부호 1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주행차이며, 공냉식 엔진(2)을 차체 프레임(3)에 탑재시키고, 미션 케이스(4) 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5)를 통해 수전주행용 전륜(6)을 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미션 케이스(4) 후방의 리어 액슬 케이스(7)에 수전주행용 후륜(8)을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엔진(2) 등을 덮는 보닛(9) 양측에 예비 묘재대(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탑승하는 차체 커버(11)에 의해 상기 미션 케이스(4) 등을 덮고, 상기 차체 커버(11) 후측상방에 시트 프레임(12)을 통해 운전석(13)을 설치하고, 그 운전석(13)의 전방이며 상기 보닛(9) 후부에 조향핸들(14)을 설치한다.
또한 도면중 15는 8조 심기용 묘재대(16) 및 복수의 묘식부 클로(17) 등을 구비하는 식부부이며, 전고후저의 합성수지제의 전경식 묘재대(16)를 하부 레일(18) 및 상부 레일(19)을 통해 식부 케이스(20)에 좌우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일방향으로 등속회전시키는 로터리 케이스(21)를 상기 식부 케이스(20)에 지지시켜서, 상기 케이스(21)의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한쌍의 클로 케이스(22,22)를 설치하고, 그 클로 케이스(22,22) 선단에 묘식부 클로(17,17)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식부 케이스(20) 앞측의 히치 브래킷(23)을 톱 링크(24) 및 로우 링크(25)를 포함하는 승강 링크기구(26)를 통해 주행차(1) 후측에 연결시키고, 상기 링크기구(26)를 통해 식부부(15)를 승강시키는 유압 승강 실린더(27)를 로우 링크(25)에 연결시켜, 상기 전후 륜(6,8)을 주행구동시켜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로 왕복 슬라이딩시키는 묘재대(16)로부터 1포기분의 모종을 식부 클로(17)에 의해 꺼내어, 연속적으로 모종을 심는 모내기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면중 28은 주 변속레버, 29는 식부부(15)의 승강·식부 클러치의 접속/차단·마커조작을 행하는 식부 조작레버, 30은 변속페달, 31은 액셀레이터 레버, 32는 유닛 클러치 레버이다.
또한, 도면중 33은 중앙 2조 균평용 센터 플로트, 34는 좌우 2조 균평용 사이드 플로트, 35는 좌우 최외측 1조 균평용 보조 플로트, 36은 비료 호퍼(37)내의 비료를 송풍기(38)의 송풍력으로 각 플로트(33,34,35)의 측조 작구기(도시생략)로 배출시키는 8조용 측조 시비기이다.
도4 내지 도5에 나타내듯이, 상기 차체 프레임(3)은 전부 프레임(39)과 중간 프레임(40)과 후부 프레임(41)으로 3분할시키고, 좌우 한쌍의 전부 프레임(39)에 엔진(2)을, 좌우 한쌍의 중간 프레임(40)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5)를, 좌우 한쌍의 후부 프레임(41)에 리어 액슬 케이스(7) 및 엔진(2)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42) 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전부 프레임(39) 전측과 중간에 앞프레임(43)과 베이스 프레임(44)을 연결시켜서 평면에서 볼 때 4각 프레임상으로 형성하고, 전부 프레임(39)의 고정 브래킷(45)과 베이스 프레임(44)에 방진 고무(46)를 통해 엔진(2)을 탑재시킨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4)의 전면좌측에 파워 스티어링 케이스(47)를 설치하고, 또한 케이스(4)의 우측에 무단 유압변속기(HST)(48)를 설치하고, 유압변속기(48)의 변속 입력용 펌프축(49)을 차체 전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엔진(2)의 우하측이며 전후방향의 전달축(50)에 펌프축(49)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엔진(2)의 출력축(51)에 전달벨트(52)를 통해 상기 전달축(50)을 연결시켜, 엔진(2) 출력을 유압 변속기(48)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4)와 리어 액슬 케이스(7)를 차체의 전후방향의 중심라인상에서 파이프상의 연결 프레임(53)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고, 미션 케이스(4) 후방으로 주행출력축(54) 및 PTO출력축(55)을 돌출시키고, 리어 액슬 케이스(7)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기어 입력축(56)에 리어 전달축(57)을 통해 상기 주행출력축(54)을 연결시켜, 주행출력축(54)으로부터 좌우의 후륜(8)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 리어 액슬 케이스(7) 상부의 베어링(58)에 설치하는 중개축(59)에 유니버설 조인트축(60)을 통해 상기 PTO출력축(55)을 연결시키고, 상기 식부 케이스(20)의 입력축에 유니버설 조인트축을 통해 중개축(59)을 연결시켜, PTO출력축(55)으로부터 식부부(15)에 동력을 전달한다.
도6 내지 도14에 나타내듯이, 전부 프레임(39) 좌외측의 스텝대(61) 하측에 엔진(2)의 머플러(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전부 프레임(39) 우외측의 스텝대(63)에 엔진(2)을 시동시키는 배터리(64)의 배터리대(6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엔진(2) 후측의 팬 케이스(66)내에 엔진 냉각팬(67)을 설치하고, 팬 케이스(66) 후면 대략 중앙에 냉각풍 도입구(68)를 개방시켜서 상기 도입구(68) 에 방진망(69)을 설치하고, 도입구(68)의 후방위치에 엔진오일·미션오일·변속기(HST)오일 등의 오일 쿨러(70)를 종형으로 가로로 길게 설치하고, 오일 쿨러(70)를 설치대(71) 및 부착판(72)을 통해 조향핸들(14)의 핸들 컬럼(73)에 연결지지시키고, 별도로 오일 쿨러(70) 전용의 냉각용 팬을 설치하지 않고 엔진 냉각 팬(67)을 이용해서 오일 쿨러(70)를 강제냉각시켜, 오일 쿨러(70)의 냉각효과의 향상과, 오일 쿨러(70)의 소형 콤팩트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엔진(2)의 후측상방을 4각 상자형상의 커버(74)로 덮어서 엔진(2)의 에어 클리너(75)를 커버(74)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팬 케이스(66)내의 팬실(76)에 커버(74)내의 클리너실(77)을 연통시킴과 아울러, 엔진(2)의 전측상방을 정면에서 볼 때 문(門)형의 배풍 커버(78)로 덮고, 클리너실(77)에 연통하는 냉각 배풍로(79)를 커버(78)내측에 형성하고, 도15에도 나타내듯이, 클리너실(77) 유통후의 냉각풍을 배풍로(79)를 통해 보닛(9)전면에 개구하는 배풍구(80)로부터 외측으로 배출시켜, 클리너실(77)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카브레터에 차가운 공기를 보내줌으로써 엔진(2)의 출력상승이나 연료소비량의 향상을 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배풍구(80)는 차체 커버(11)의 스텝(11a)보다 상방에 설치되어서, 배풍구(80)로부터의 배풍은 두렁의 모에도 접촉하지 않아 모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10에도 나타내듯이, 상기 엔진(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전방향으로 유통배출되는 열풍(엔진 냉각풍)을 합류시켜 하방으로 안내하는 단일의 도풍판(81)을 엔진(2) 전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도풍판(81)은, 좌우로부터의 바람을 합류시키는 합류부(81a)와, 합류한 바람을 좌측에 모아서 하방으로 배출안내하는 하방 배출부(81b)를 정면에서 볼 때 L형상으로 갖고, 합류부(81a)의 상측 코너부(3)(상·좌우·전방향)의 형상을 각각 둔각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면(81c)으로 형성하고, 엔진(2) 유통후의 열풍을 합류부(81a)에서 원활하게 합류시킴과 아울러, 배출부(81b) 하측의 배출구(82)로부터 양호하게 하방으로 배출시켜서, 열풍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합류부(81a)와 배출부(81b)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83)에 상기 출력축(51)이나 전달벨트(52)계를 콤팩트하게 설치하여, 기체의 소형화를 쉽게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74,78) 상방에 엔진(2) 관계의 릴레이 등 전장(電裝)부품(84)을 설치하는 것으로, 앞프레임(43)과 핸들 컬럼(73) 등과 연결하는 프레임(85)에 전장대(86)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전장부품(84)을 설치하고, 엔진(2)의 상방근접위치에 전장부품(84)을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도, 엔진(2)의 열이 직접적으로 전장부품(84)에 전달되는 등의 악영향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전장부품(84)에서 발생하는 열이 에어 클리너(75)에 전달되는 문제도 저감시켜 전장부품(84)과 에어 클리너(75) 양쪽의 성능(품질)의 안정유지를 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16 내지 도18에 나타내듯이, 상기 배풍커버(78) 하측위치에 엔진(2)의 스로틀 레버(87)를 설치하고, 조향핸들(14) 우측에 설치하는 액셀레이터 레버(31)와 액셀레이터 레버(31)의 하방위치에 설치하는 변속 페달(30)에 2갈래상의 액셀레이터 와이어(88)를 통해 스로틀 레버(87)를 연동연결시키는 것으로, 액셀레이터 와이어(88)의 2갈래 와이어부(88a,88b) 선단을 변속페달(30)과 액셀레이터 레버(31)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단일 와이어부(88c) 선단을 스로틀 레버(87)에 연결시켜서 변속페달(30) 및 액셀레이터 레버(31)의 어느 조작에서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변속페달(30)은 페달축(89)에 페달암(90)을 통해 요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페달축(89)에 변속조작캠(91)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유압 변속기(48)(유압펌프)의 사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축(92)에 변속 로드(93)를 통해 조작캠(91)을 연결시키고, 조작캠(91)의 노치(94)에 노치 클로(95)를 결합시키는 속도유지용 캠(96)을 갖고, 변속페달(30)의 밟기조작시에는 제어축(92)을 회동시켜 차속을 변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페달암(90)에는 외측 수용부(97)를 통해 와이어부(88a)의 외측 튜브(98)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와이어부(88a) 선단에 탄성체인 스프링(99)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변속페달(30)의 기단 회동축(100)을 설치하는 고정 프레임(101)에 스프링(99)의 타단측을 연결시켜서, 변속페달(30)의 밟기조작시에는 와이어부(88a)(내측 와이어)에 대하여 외측 튜브(98)를 이동시켜서 스로틀 레버(87)를 조작해서, 차속의 변속과 엔진 회전수의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도19에 나타내듯이, 액셀레이터 레버(31)에 연결시키는 와이어부(88b)는 레버(31)와 일체의 암(102)에 걸림부재(103)를 연결시키고, 변속페달(30)과 액셀레이터 레버(31)의 2개의 와이어부(88a,88b)의 타단측을 단일의 연결체(104)에 연결시키고, 각 와이어부(88a,88b)의 외측 튜브(98,105)에 연결시키는 조인트(106)에 상기 연결체(10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내측 삽입시키고, 상기 변속페달(30)과 액 셀레이터 레버(31)의 비조작시(0위치)에 각 와이어부(88a,88b)를 느슨하게 해서 도19의 가상선위치에 연결체(104)를 유지함과 아울러, 변속페달(30) 또는 액셀레이터 레버(31)의 조작으로 어느 한쪽의 와이어부(88a) 또는 와이어부(88b)를 인장상태로 할 때 동도면 실선상태로 나타내듯이, 일정 스트로크(L)만큼 조인트(105)내에서 연결체(104)를 이동시켜서 단일 와이어부(88c)를 인장 스로틀 레버(87)를 고속(H)측으로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스로틀 레버(87)를 조작하는 엔진회전 변속조작부재인 액셀레이터 레버(31)의 0 또는 저속 조작시에는 와이어부(88b)를 느슨하게 하여 변속페달(30)을 우선조작시킴과 아울러, 액셀레이터 레버(31)의 고속(H)조작시에는 연결체(104)를 스트로크(L)만큼 고속측으로 이동시켜서 변속페달(30)보다 우선시키는 것으로, 저속 고토크를 필요로 하는 습전탈출시 등 각종 작업상황에 따라 최적의 작업속도(주행) 모드로 정확하게 변경시켜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0, 도21에 나타내듯이, 상기 고정 프레임(101)은 전부 프레임(39) 후단의 고정 브래킷(107)과 후부 프레임(41) 전단의 부착부재(108) 사이에 전후단을 고정시키고, 고정 프레임(101)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는 페달대(109)에 회동축(100)을 통해 변속페달(30)의 기단을 요동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또 도22에 나타내듯이, 상기 조작캠(91)이나 페달암(90)에 스프링(99)을 통해 와이어(88a)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엔진(2) 출력으로 구동해서 차속 등 작업속도를 변속시키는 유압변속기(HST)(48)를 구비하고, 변속기(48)를 변속조작하는 작업변속 조작부재인 변속페달(30)과,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는 엔진회전 변경부재인 스로틀 레버(87)를 연결부재인 액셀레이터 와이어(88)를 통해 연동연결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주행의 저속 또는 정지시에는 반드시 엔진 회전수도 저속상태로 해서, 엔진을 조용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구동해서 양호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모판 셋팅 작업시 등에는 자동적으로 조용한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 변속기(48)가 고속(H)이고 엔진회전이 저속일 때 엔진(2)이 출력부족상태로 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발진시나 정지시에는 주행과 함께 엔진 회전수도 저속상태로 한 원활한 발진이나 정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레버(87)에 액셀레이터 레버(31)와 변속페달(30)을 2갈래 와이어(88)를 통해 연결시킴과 아울러, 변속페달(30)과 와이어(88) 사이에 탄성체인 편차방지 스프링(99)을 설치함으로써, 와이어(88) 및 스프링(99)을 이용한 간단한 수단으로 변속페달(30)측의 조작 스트로크를 액셀레이터 레버(31)측의 조작 스트로크보다 크게 해서 조작의 편차를 방지해서, 항상 안정된 엔진 회전수로 작업 속도의 변속을 가능하게 해서 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완전하게 변속페달(30)도 액셀레이터 레버(31)도 고속위치로 한 양호한 고속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리너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클리너실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카뷰레터에 차가운 공기를 보내줌으로써 엔진의 출력상승이나 연료소비량의 향상을 꾀한다.
또, 팬실로부터 클리너실, 배풍로 및 배풍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냉 각풍의 흐름을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출력상승이나 연료소비량의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꾀할 수 있다.
또한, 배풍구로부터의 배풍이 모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모의 손상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엔진(2)에 부설된 엔진 냉각팬(67)을 팬케이스(66)에 의해 덮고, 상기 엔진(2)의 상방을 덮는 커버(74)에 의해 형성되는 클리너실(77)내에 에어클리너(75)를 설치하고, 상기 클리너실(77)을 상기 팬케이스(66)에 의해 형성되는 팬실(76)에 연통시켜서, 상기 냉각팬(67)에 의한 냉각풍이 상기 클리너실(77)을 유통한 후에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냉각팬(67) 및 상기 팬케이스(66)는 상기 엔진(2)의 후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커버(74)는 상기 엔진(2)의 후측 상방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2)의 전측 상방에는 후방측이 상기 클리너실(77)에 연통되고 또한 전방측이 바깥쪽으로 개구된 배풍로(79)를 형성하는 배풍 커버(7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리너실(77) 유통후의 냉각풍이 상기 배풍로(79)를 통해 보닛(9) 앞면에 개구되는 배풍구(80)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풍구(80)는 차체 커버(11)의 스텝(11a)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식기.
KR1020067023817A 2002-12-19 2003-12-19 전식기 KR10077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7935 2002-12-19
JP2002367935A JP4088920B2 (ja) 2002-12-19 2002-12-19 田植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196A Division KR101050371B1 (ko) 2002-12-19 2003-12-19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18A true KR20060127418A (ko) 2006-12-12
KR100773040B1 KR100773040B1 (ko) 2007-11-02

Family

ID=32677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817A KR100773040B1 (ko) 2002-12-19 2003-12-19 전식기
KR1020057009196A KR101050371B1 (ko) 2002-12-19 2003-12-19 작업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196A KR101050371B1 (ko) 2002-12-19 2003-12-19 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88920B2 (ko)
KR (2) KR100773040B1 (ko)
CN (2) CN1328940C (ko)
WO (1) WO2004056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4754B2 (ja) * 2005-01-26 2010-12-0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4766594B2 (ja) 2005-09-07 2011-09-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4779958B2 (ja) * 2006-12-18 2011-09-28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用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8223514A (ja) * 2007-03-09 2008-09-25 Kayaba Ind Co Ltd スロットル装置
JP5117844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4989501B2 (ja) * 2008-02-07 2012-08-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KR101137595B1 (ko) * 2009-03-25 2012-04-1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앙기
CN102498010B (zh) * 2009-09-17 2014-09-24 洋马株式会社 乘用型作业机械
KR101348845B1 (ko) * 2011-12-23 2014-01-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변속 및 조속 링크 장치
JP5844190B2 (ja) * 2012-03-27 2016-01-13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IN2014DN07465A (ko) * 2012-03-27 2015-04-24 Yanmar Co Ltd
JP2016222070A (ja) * 2015-05-28 2016-12-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CN113043296A (zh) * 2021-04-13 2021-06-29 内蒙古中航民富科技有限公司 一种半环绕式农业搭载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8293A1 (de) * 1977-08-25 1979-03-01 Motoren Turbinen Union Luftfiltereinrichtung
US4233043A (en) * 1978-08-30 1980-11-11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34558U (ja) * 1983-08-12 1985-03-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ナ
JPH0678051B2 (ja) * 1988-08-31 1994-10-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速度制御装置
JP2979580B2 (ja) * 1990-05-02 1999-11-15 井関農機株式会社 農用走行車体
JPH0542830A (ja) * 1991-08-14 1993-02-23 Kubota Corp 作業車の原動部
CN2130931Y (zh) * 1992-06-30 1993-04-28 徐茂生 发动机进气升温增压装置
JPH08338327A (ja) * 1995-06-15 1996-12-24 Shindaiwa Kogyo Kk 小型エンジンのエアクリーナー装置
TW344643B (en) * 1995-10-03 1998-11-11 Yanmar Agric Equip Co Ltd Rice transplanter
KR100308062B1 (ko) * 1999-02-09 2001-09-13 이계안 디젤엔진용 과급장치
DE19941981A1 (de) * 1999-09-03 2001-03-08 Stihl Maschf Andreas Arbeitsgerät mit Drehzahlbegrenzung
CN2515098Y (zh) * 2001-08-26 2002-10-09 赵义章 含有强制风冷发动机的摩托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8940C (zh) 2007-08-01
WO2004056603A1 (ja) 2004-07-08
CN1931623A (zh) 2007-03-21
KR101050371B1 (ko) 2011-07-20
CN1714009A (zh) 2005-12-28
JP4088920B2 (ja) 2008-05-21
JP2004199447A (ja) 2004-07-15
KR100773040B1 (ko) 2007-11-02
CN100532149C (zh) 2009-08-26
KR20050085097A (ko)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040B1 (ko) 전식기
US7222485B2 (en) Hydrost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7559295B2 (en) Cooling structure for a work vehicle
US20090025997A1 (en) Hydraulic Drive Vehicle with Cooling System
JP3862674B2 (ja) 乗用型移植機
US20080210482A1 (en) Hydraulic Drive Vehicle with Cooling System
JP2015223870A (ja) 作業機
JP4988888B2 (ja) 田植機
JP5765817B2 (ja) 田植機
KR0177896B1 (ko) 승용형 이식기
JP3602003B2 (ja) 水田作業機の原動部
JP5889147B2 (ja) 作業機
JP2018172083A (ja) 水田作業機
JP4897455B2 (ja) 草刈機
JP3599479B2 (ja) 乗用型移植機
JP3377362B2 (ja) 乗用型移植機
JP5008109B2 (ja) 田植機
JP2008068866A (ja) 田植機
JP5513363B2 (ja) 作業機
JP3805473B2 (ja) 田植機
JP2003237395A (ja) 移動農機
JP6612175B2 (ja) 作業機及び田植機
JP3720526B2 (ja) 田植機
CN113400925A (zh) 作业车辆
JP2000257704A (ja) 移動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