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240A -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240A
KR20060117240A KR1020060042613A KR20060042613A KR20060117240A KR 20060117240 A KR20060117240 A KR 20060117240A KR 1020060042613 A KR1020060042613 A KR 1020060042613A KR 20060042613 A KR20060042613 A KR 20060042613A KR 20060117240 A KR20060117240 A KR 20060117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oupling portion
frame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897B1 (ko
Inventor
히데키 후리하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41J25/308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with print gap adjustment means on the printer frame, e.g. for rotation of an eccentric carriage guid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41J2/16508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connected with the printer frame
    • B41J2/16511Constructions for cap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Abstract

조정 장치를 크게 하지 않고, 캠 또는 편심축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플래튼 갭을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상기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한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플래튼 갭 조정 장치는,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과, 부착 결합부를 갖고 가이드 축을 지지하는 한쌍의 부착 부재와, 부착 부재가 끼워맞춰지는 부착 구멍과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프레임 결합부를 갖고, 부착 부재를 거쳐서 가이드 축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끼워맞춰진 상태의 가이드 축과 한편의 부착 부재를, 한편의 부착 부재에 각각 형성된 부착 결합부와, 프레임이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가 서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인쇄 장치는 상기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PLATEN GAP ADJUST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도 1은 복합 처리 장치의 외관 측면도,
도 2는 인쇄 장치의 주요부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헤드와 캐리지 축과 플래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a는 좌측 부착 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우측 부착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플래튼 갭 조정 기구의 외관 측면도,
도 6a는 좌측 부착 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우측 부착 부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A-A에서 도시한 단면의 단면도,
도 8a는 측판의 평면도,
도 8b는 내측 결합홈의 홈의 연장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도,
도 8c는 외측 결합홈의 홈의 연장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도,
도 9a는 도 7에 B-B에서 도시한 단면의 외측 결합 돌기가 외측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b는 도 7에 B-B에서 도시한 단면의 내측 결합 돌기가 내측 결합홈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플래튼 5 : 케이스
6 : 커버 7 : 삽입 구멍
8 : 배출 구멍 9 : 반송 경로
10 : 복합 처리 장치 11 : 반송 롤러대
20 : 인쇄 장치 21 : 프레임
24 : 캐리지 축 28 : 캐리지 가이드
본 발명은 인쇄 매체의 인쇄 헤드에 대한 위치를 규정하는 플래튼과 인쇄 헤드의 거리인 플래튼 갭을 조정하기 위한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상기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 매체의 인쇄 헤드에 대한 위치를 규정하는 플래튼을, 인쇄 헤드에 대향시켜서, 상기 플래튼과 인쇄 헤드 사이에 인쇄 매체를 삽입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인쇄 매체는, 용도에 따라 그 두께는 다양하다. 또한,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의 적절한 거리는 인쇄 방식에 따라 다르다. 인쇄 매 체의 두께 및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의 적절한 거리로부터, 플래튼 갭의 적절한 값이 정해진다. 사용하는 인쇄 매체의 두께의 범위가 일정한 좁은 범위에 한정될 경우는, 일정값의 플래튼 갭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하는 인쇄 매체의 두께의 범위가 넓을 경우는, 일정값의 플래튼 갭에 고정하면, 인쇄 헤드와 인쇄 매체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일단 플래튼 갭을 일정한 초기값으로 조정한 후, 사용하는 인쇄 매체의 두께에 따라, 자동 또는 손작업으로, 플래튼 갭을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플래튼 갭 조정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6-25721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플래튼을 이동시키는 장치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211748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헤드측을 이동시키는 장치가 있다. 이들 장치에서는, 중심축 주위에 회동가능한 캠이나 편심축을 설치하고, 상기 캠이나 편심축을 회동시켜서, 플래튼 또는 헤드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축지하는 지지축(컨트롤 샤프트, 가이드 로드)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적절한 플래튼 갭이 되는 회동 위치에서, 캠 또는 편심축을 고정하고, 플래튼 갭을 적절한 값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손작업에 의한 캠 또는 편심축의 고정에서는, 캠 또는 편심축에 일체로 형성된 축 결합부를 프레임 등에 형성한 프레임 결합부에 결합시킨다.
플래튼 갭 조정 장치는, 인쇄 헤드의 이동에 따른 진동이나, 도트 임팩트 방식의 인쇄시의 인쇄 헤드의 반력 등에 저항하여 캠 또는 편심축을 고정하기 위해서, 축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의 결합에 큰 고정력을 필요로 한다. 한편, 캠 또는 편심축을 회동시켜서 플래튼 갭의 조정을 실행하는 때에는, 큰 고정력에 저항하 여 상기 결합을 뺄 필요가 있다. 이 고정과 조정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6-25721 호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는, 결합부를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중심축으로부터 결합부까지의 레버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결합을 뺄 수 있다. 더욱이, 레버 선단의 변위량을 크게 하는 것으로, 보다 확실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결합부를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중심축의 축 원주방향의 큰 힘에 저항하여, 캠 또는 편심축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를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면, 캠 또는 편심축과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가 커지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조정 장치가 커지면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도 커지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정 장치를 크게 하지 않고, 캠 또는 편심축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플래튼 갭을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상기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한 인쇄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는, 플래튼과 인쇄 헤드 사이의 인쇄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로서,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1 부착 축과, 위치 결정용 제 1 부착 결합부를 갖는 제 1 부착 부재와,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2 장착축과, 위치 결정용 제 2 부착 결합부와, 가이드 축의 축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축 정지부를 갖는 제 2 부착 부재와, 제 1 또는 제 2 부착 축과 끼워맞춰지는 부착 구멍과,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갖는 프레임과, 제 1 및 제 2 부착 부재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부착 결합부와,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따르면,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제 1 부착 부재의 제 1 부착 결합부가,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면, 상기 결합은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가이드 축에 의해 축 정지부를 가압된 제 2 부착 부재의 제 2 부착 결합부가, 제 2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면, 상기 결합은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부착 결합부와 제 1 또는 제 2 프레임 결합부의 결합을 유지하여 가이드 축의 부착 축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 1 또는 제 2 부착 축과 제 1 또는 제 2 부착 결합부를 결합하는 레버가 변형하는 것에 대한 저항력에 의해해, 부착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힘이 불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제 1 또는 제 2 부착 축과 제 1 또는 제 2 부착 결합부를 결합하는 레버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힘도 불필요하게 되고,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제 1 부착 부재는 제 1 부착 축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부에 제 1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1 결합부 아암을 갖고, 제 2 부착 부재는 제 2 부착 축으로부터 돌축하고, 선단부에 제 2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2 결합부 아암을 갖고, 프레임은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갖고, 하나의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가 제 3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1 결합부 아암이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는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제 3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나의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가 제 4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는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 1 또는 제 2 부착 부재의 축의 원주방향의 면적을 크게 하지 않고, 복수의 제 3 또는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결합부 아암은 다른 제 1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하고, 하나의 제 1 결합부 아암은 다른 제 2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 1 또는 제 2 복수의 결합부 아암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결합부 아암이 형성된 제 1 또는 제 2 부착 결합부를, 축의 직경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 1 또는 제 2 부 착 결합부를 축의 원주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성에 비해, 제 1 또는 제 2 부착 부재의 축의 원주방향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가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는 제 3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가 제 1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1 결합부 아암이 형성된 제 1 부착 결합부는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제 2 결합부 아암이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가 제 2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는 제 4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가 제 2 프레임 결합부의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제 2 부착 결합부는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1 또는 제 3 프레임 결합부를 순차적으로 바꾸고,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또는 제 4 프레임결합부를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제 1 또는 제 2 부착 부재를 고정가능한 각도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크게 하지 않고, 플래튼 갭의 조정을 보다 친밀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축 주위에 압축 코일 스프링을 둘러 감도록 하여, 작은 범위에서 큰 가압력을 발생하는 가압 부재를 실현된다.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형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으로, 인쇄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래튼 갭 조정 장치를 갖는 인쇄 장치를 구비한 복합 처리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복합 처리 장치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복합 처리 장치(10)는 상부측은 프론트 케이스(5)와 커버(6)로 덮여져 있고, 그 전면부에는, 수표나 전표 등의 인쇄 매체를 입력에서 삽입하는 삽입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6)의 상면부에는, 인쇄 매체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8)이 형성되고 있고, 삽입 구멍(7)으로부터 배출 구멍(8)에 도달하는 인쇄 매체의 반송 경로(9)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경로(9)에 따라 2개의 반송 롤러로 구성된 반송 롤러대(11, 1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구멍(7)으로부터 삽입된 인쇄 매체는 반송 롤러대(11) 및 반송 롤러대(12)에서 반송되어 반 송 경로(9)를 통과하고, 상면부에 설치된 배출 구멍(8)으로부터 배출된다.
반송 경로(9)에 따라 인쇄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캐리지(2)에 탑재된 헤드(1)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경로(9)를 끼워 헤드(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헤드(1)와 플래튼 갭을 막고, 플래튼(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1)와 플래튼(3) 사이의 거리를, 플래튼 갭으로 표기한다. 또한, 반송 경로(9)를 통과하는 인쇄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인쇄 정보를 판독 처리하기 위해서, 판독 장치가 반송 경로(9)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판독 장치는, 예컨대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bar code)나 화상을 판독하는 스캐너나, 자기 잉크로 인쇄되어 있는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는 자기 문자 판독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복합 처리 장치(10)는, 그 후부에 영수증 발행용 롤지를 수납하는 롤지 수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롤지 수납부에 수납된 롤지는 인쇄된 후, 장치 상면부의 배출 구멍(8)의 후방에 있는 롤지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복합 처리 장치(10)는 인쇄 장치나 판독 장치 등에 의한 다기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인쇄 장치(20)에 있어서의 헤드(1)를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헤드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주요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프레임(21)의 측판(21a, 21b)에는, 각각 부착 구멍(22a)(도 8 및 도 9 참조)과 부착 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22a)에는 좌측 부착 부재(23a)가, 부착 구멍(22b)에는 우측 부착 부재(23b)가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좌측 부착 부재(23a)와 우측 부착 부재(23b)를 거쳐서, 캐리지 축(24)의 양단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 축(24)의 좌측 부착 부재(23a) 가까이에는, E형 정지 고리(26)가 부착되어 있고, 좌측 부착 부재(23a)와 E형 정지 고리(26) 사이에는 축 스프링(27)이 캐리지 축(24)에 여유 있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부착 부재(23a)가 제 1 부착 부재에 상당하고, 우측 부착 부재(23b)가 제 2 부착 부재에 상당한다. 축 스프링(27)이 가압 부재에 상당하고, 캐리지 축(24)이 가이드 축에 상당한다.
프레임(21)에는, 캐리지 축(24)과 평행하게 캐리지 가이드(28)가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2)에 형성된 가이드 홈(31)(도 3 참조)이 캐리지 가이드(28)와 결합하고 있다. 헤드(1)와, 헤드(1)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FFC(Flexible Flat Cable)(32)의 일단이 헤드(1)에 결합되어 있고, FFC(32)의 헤드(1)의 근방은 캐리지(2)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2)는 캐리지 축(24)과 캐리지 가이드(28)에 따라서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왕복 미끄럼운동한다. 또한, 인쇄 매체는 도 2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플래튼 갭 조정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3은 캐리지 축으로 직각인 방향의 헤드와 캐리지 축과 플래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1)와 플래튼(3)은 반송 경로(9)를 끼어서 대향하고 있다. 도 3에 p로 도시하는 헤드(1)와 플래튼(3)의 간극이 플래튼 갭이다. 캐리지(2)는 그 베어링 구멍이 캐리지 축(24)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고, 가이드 홈(31)이 캐리지 가이드(28)와 결합하고, 캐리지 축(24)의 원주방향의 위치가 규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부착 부재(23a)와 우측 부착 부재(23b)를 거쳐서, 캐리지 축(24)의 양단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고, 좌측 부착 부재(23a)와 우측 부착 부재(23b)는 각각 부착 구멍(22a), 부착 구멍(22b)과 끼워맞춰져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리지 축(24)의 캐리지 축 중심(241)과, 도 3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부착 구멍(22a)의 부착 구멍 중심(221)은 일치하지 않고 있다. 부착 구멍(22b)에 대하여도 동일하다. 이 때문에, 좌측 부착 부재(23a)를 축 주위로 회동시키면, 캐리지 축(24)은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캐리지 축 중심(241)도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캐리지 축(24)의 위치가 이동한다. 캐리지 축(24)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헤드(1)는 도 3의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플래튼 갭(p)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c)와 직각인 화살표(b) 방향은 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b)와 같은 방향이다. 이 방향의 헤드(1)의 어긋남은 인쇄 매체에 대한 인쇄 위치의 어긋남이 되지만, 이 편차량은 거의 문제가 안 되는 크기이다. 이 편차량에 대해서는, 플래튼 갭을 조정한 후, 그 때의 헤드(1)의 위치 인에 따른 인쇄 개시 위치를 조정하고, 편차량을 억제해도 좋다. 또한, 플래튼 갭을 조정한 후에 있어서, 캐리지 축 중심(241)과 부착 구멍 중심(221)의 화살표(c) 방향의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한 위치 관계에 있으면, 캐리지 축(24)의 화살표(c) 방향의 이동은 커지고, 화살표(c)와 직각인 방향의 이동은 작아진다.
다음에, 좌측 부착 부재(23a) 및 우측 부착 부재(23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좌측 부착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우측 부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부착 부재(23a)는 원판 형상의 대략 중앙에 원형의 캐리지 축구멍(34a)이 형성된 부착판(36a)을 갖고 있다. 판형상의 부착 판(36a)의 일면에는, 대략 원주형상의 일부가 캐리지 축 구멍(34a)과 일체로 형성된 노치 형상의 부착판 축(37a)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부착판 축(37a)의 외주에는, 부착판 축(37a)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돌기(38a)가 2개소(1개소는 도시 생략)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 축 구멍(34a)의 외주의 축과, 2개소의 축 돌기(38a)의 정상부에 외접하는 원통의 축과는 평행하며, 위치가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 축 구멍(34a)의 외주가 2개소의 축 돌기(38a)의 정상부에 외접하는 원통에 내접하도록 한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상기 내접 부분의 근방에서, 캐리지 축(24)과 프레임(21)은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판 축(37a)은 원통 형상이 아니라, 원통이 대략 반으로 절결되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캐리지 축(24)과 프레임(21)의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캐리지 축(24)에 발생한 정전기를 프레임(21)에 놓칠 수 있다. 부착판 축(37a)과 축 돌기(38a)가 제 1 부착 축에 상당한다.
부착판(36a)의 부착판 축(37a)이 세워 설치된 면의 반대측의 면에는, 중심에 캐리지 축 구멍(34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착판 돌기(48a)(도 5 및 도 6 참조)가 부착판(36a)과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부착판 돌기(48a)는 캐리지 축 구멍(34a)과 같은 축이다.
부착판(36a)의 외주로부터는,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와, 5개소의 조정 돌기(44a)가 대들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는 대략 U자형 형상의 홈으로, 대략 I자형 형상의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대략 U자형 형상의 외돌기 대들보(41a)로 분리되어 있다.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의 선단에는, 부착판 축(37a)이 돌출되어 있는 면측을 향하고,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개소의 조정 돌기(44a)는 서로 인접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조정 돌기(44a) 사이에, 조정 홈(46a)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가 제 1 부착 결합부에 상당한다.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돌기 대들보(41a)가 제 1 결합부 아암에 상당한다.
우측 부착 부재(23b)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부착 부재(23a)와 면대칭 형상인 것에 추가하여, 축 정지부(47)를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측 부착 부재(23a)와 면대칭 형상의, 캐리지 축구멍(34b), 부착판(36b), 부착판 축(37b), 축 돌기(38b), 내측 돌기 대들보(39b), 외측 돌기 대들보(41b), 내측 결합 돌기(42b), 외측 결합 돌기(43b), 조정 돌기(44b), 조정 홈(46b) 및 축 정지부(47), 부착판 돌기(48b)(도 5 및 도 6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축 정지부(47)는 부착판(36b)의 부착판 돌기(48b)측으로부터 캐리지 축 구멍(34b)에 끼워맞춰진 축이 접촉하여 정지되도록, 부착판 축(37b)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결합 돌기(42b)와 외측 결합 돌기(43b)가 제 2 부착 결합부에 상당하고, 부착판 축(37b)과 축 돌기(38b)가 제 2 부착 축에 상당한다. 내측 돌기 대들보(39b)와 외측 돌기 대들보(41b)가 제 2 결합부 아암에 상당한다.
다음에, 플래튼 갭 조정에 관계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플래튼 갭 조정 기구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프레임(21)의 측판(21a, 21b)에는, 각각 부착 구멍(22a)(도 8 및 도 9 참조)과 부착 구멍(22b)(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22a)에는 축 돌기(38a)를 거쳐서 좌측 부착 부재(23a)의 부착판 축(37a)이, 부착 구멍(22b)에는 축 돌기(38b)를 거쳐서 우측 부착 부재(23b)의 부착판 축(37b)이 각각 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캐리지 축(24)은 양단이 각각 좌측 부착 부재(23a)의 캐리지 축구멍(34a)과 우측 부착 부재(23b)의 캐리지 축구멍(34b)에 끼워맞춰져 있고, 좌측 부착 부재(23a) 및 우측 부착 부재(23b)를 거쳐서 양단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 축(24)의 좌측 부착 부재(23a) 가까이에는, 정지 고리 홈(242)(도 9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E형 정지 고리(26)가 부착되어 있다. 좌측 부착 부재(23a)의 부착판 돌기(48a)와 E형 정지 고리(26)의 사이에는, 캐리지 축(24)에 여유 있게 축 스프링(27)이 배치되어 있다. 축 스프링(2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고, 부착판 돌치(48a)와 E형 정지 고리(26)를 서로 배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부착판 돌기(48a)에 접촉한 축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좌측 부착 부재(23a)는 측판(21a)에 압접되고, 좌측 부착 부재(23a)의 부착판(36a), 내측 결합 돌기(42a), 외측 결합 돌기(43a), 조정 돌기(44a) 등이 측판(21a)에 압접되어 있다. 한편, E형 정지 고리(26)에 접촉한 축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캐리지 축(24)은 우측 부착 부재(23b)의 축 정지부(47)에 압접되고, 우측 부착 부재(23b)는 측판(21b)에 압접되고, 우측 부착 부재(23b)의 부착판(36b), 내측 결합 돌기(42b), 외측 결합 돌기(43b), 조정 돌기(44b) 등이 측판(21b)에 압접되어 있다.
도 6a는 좌측 부착 부재(제 1 부착 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우측 부착 부재(제 2 부착 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A-A에서 도시한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21a)에는, 결합 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홈(51a)의 내측 결합 홈(52a)(제 1 프레임 결합부)이 내측 결합 돌기(42a)(도 4a 참조)와, 외측 결합 홈(53a)(제 3 프레임 결합부)이 외측 결합 돌기(43a)와 각각 결합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판 축(37a)이 축 돌기(38a)를 거쳐서 부착 구멍(22a)과 끼워맞춰지기 위해서, 좌측 부착 부재(23a)는 부착판 축(37a)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측판(21a)에 설치되어 있다. 내측 결합 돌기(42a) 및 외측 결합 돌기(43a)는 측판(21a)에 압접되어 있고, 좌측 부착 부재(23a)가 부착판 축(37a)의 축 주위에 회동하면, 내측 결합 돌기(42a)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가 각각 내측 결합 홈(52a) 또는 외측 결합 홈(53a)과 결합한다. 내측 결합 돌기(42a)와 내측 결합 홈(52a)과,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와 외측 결합 홈(53a)이 결합하면, 좌측 부착 부재(23a)의 부착판 축(37a)의 축 주위의 위치가 고정되고, 캐리지 축(24)의 측판(21a)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이 제 1 프레임 결합부 및 제 3 프레임 결합부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21b)에는, 결합 홈(51b)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홈(51b)의 내측 결합 홈(52b)(제 2 프레임 결합부)이 내측 결합 돌기(42b)와, 외측 결합 홈(53b)(제 4 프레임 결합부)이 외측 결합 돌기(43b)와 각각 결합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착판 축(37b)이 축 돌기(38b)를 거쳐서 부착 구멍(22b)과 끼워맞춰지기 위해서, 우측 부착 부재(23b)는 부착판 축(37b)의 축 주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측판(21b)에 설치되어 있다. 내측 결합 돌기(42b) 및 외측 결합 돌기(43b)는 측판(21b)에 압접되어 있고, 우측 부착 부재(23b)가 부착판 축(37b)의 축 주위에 회동하면, 내측 결합 돌기(42b)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b)가 각각 내측 결합 홈(52b) 또는 외측 결합 홈(53b)과 결합한다. 내측 결합 돌기(42b)와 내측 결합 홈(52b)과,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b)와 외측 결합홈(53b)이 결합하면, 우측 부착 부재(23b)의 부착판 축(37b)의 축 주위의 위치가 고정되고, 캐리지 축(24)의 측판(21b)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내측 결합 홈(52b)과 외측 결합 홈(53b)이 제 2 프레임 결합부 및 제 4 프레임 결합부에 상당한다.
캐리지 축(24)의 양단이 각각 측판(21a, 21b)에 고정됨으로써, 캐리지 축(24)의 프레임(2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써, 캐리지 축(24)에 지지되는 캐리지(2)에 탑재된 헤드(1)와, 프레임(21)상에 고정된 플래튼(3)(도 2 및 도 3 참조)의 거리인 플래튼 갭(p)(도 3 참조)이 일정값으로 고정된다.
다음에, 결합 홈(51a, 51b)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는 도 5에 A-A로 도시한 방향으로부터 본 측판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내측 결합 홈의 홈의 연장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8c는 외측 결합 홈의 홈의 연장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5개소의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이 부착 구멍(22a)의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결합 홈(52a)은 부착 구멍(22a)에 설치된 좌측 부착 부재(23a)가 회동했을 때에, 내측 결합 돌기(42a)가 지나는 원호상에 형성 되어 있고, 외측 결합 홈(53a)은 외측 결합 돌기(43a)가 지나는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은 인접하는 결합 홈 상호간의 간격이 부착 구멍 중심(221)에 대해, 예컨대 3. 4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은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홈 간격만큼 어긋나 있다. 즉,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 상호간의 간격이, 부착 구멍 중심(221)에 대해, 예컨대 1.7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 홈(51a)의 배치에 필요한 범위를 좁게 하여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내측 결합 홈(52a)은 내주측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도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결합 돌기(43a)가 외측 결합 홈(53a)에 결합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측 결합 돌기(43a)와 원주방향의 위치가 동일한 내측 결합 돌기(42a)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결합 홈(52a)과 결합하는 위치에는 없고, 내측 결합 돌기(42a)는 내측 결합 홈(52a)과 결합하지 않는다.
도 9는 도 7에 B-B로 도시한 단면의 단면도이고, 도 9a는 외결합 돌기가 외측 결합 홈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9b는 내측 결합 돌기가 내측 결합 홈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내측 결합 홈(52a) 또는 외측 결합 홈(53a)과 내측 결합 돌기(42a)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의 위치 관계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내측 결합 홈(52a) 또는 외측 결합 홈(53a)과 내측 결합 돌기(42a)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의 위치 관계와 같다. 도 8c에 도시한 외측 결합 홈(53a)에 외부 결합 돌기(43a)가 결합한 상태일 때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결합 돌기(42a)는 내측 결합 홈(52a)과 결합하는 위치에는 없고, 도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돌기 대들보(39a)가 변형하여, 내측 결합 돌기(42a)는 측판(21a)의 면에 올라앉는다. 좌측 부착 부재(23a)가 회동하여,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결합 홈(52a)에 내측 결합 돌기(42a)가 결합한 상태일 때는, 외측 결합 돌기(43a)는 외측 결합 홈(53a)과 결합하는 위치에는 없고, 외측 돌기 대들보(41a)가 변형하여, 외측 결합 돌기(43a)는 측판(21a)의 면에 올라앉는다.
또한, 내측 결합 돌기(42a)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가 측판(21a)의 면에 올라앉아서,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가 측판(21a)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했을 때의 항력은, 축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보다 작아져 있다.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가 측판(21a)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했을 때의 변형 항력은 좌측 부착 부재(23a)를 측판(21a)으로부터 배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축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쪽이 상기 변형 항력보다 크기 때문에, 좌측 부착 부재(23a)가 측판(21a)에 압접된 상태가 유지된다.
외측 결합 홈(53a)에 외측 결합 돌기(43a)가 결합한 상태, 또는 내측 결합 홈(52a)에 내측 결합 돌기(42a)가 결합한 상태에서, 좌측 부착 부재(23a)는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좌측 부착 부재(23a)는 회동 각도 1.7도의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다. 좌측 부착 부재(23a)의 회동 각도 1.7도에 대응하는 플래튼 갭(p)의 변화량이 플래튼 갭(p)의 조정 단위가 된다.
좌측 부착 부재(23a)를 부착판 축(37a)의 원주방향에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정 홈(46a)에 예컨대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을 꽂고, 상기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조작한다.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홈(51a)은 부착판 축(37a)의 원주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이다. 결합 홈(51a)과 외측 결합 돌기(43a) 또는 내측 결합 돌기(42a)는 서로 경사면끼리가 결합함으로써, 좌측 부착 부재(23a)의 부착판 축(37a)의 원주방향의 회동을 고정하고 있다. 조정 홈(46a)에 꽂은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조작에 있어서,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의 측판(21a)의 면에 수직한 방향의 변형 항력보다 큰 힘을 가하여, 내측 결합 돌기(42a)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a)를 결합 홈(51a)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좌측 부착 부재(23a)는 부착판 축(37a)의 원주방향으로 회동한다.
캐리지(2)의 미끄럼운동이나 헤드(1)의 구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헤드(1)를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축 돌기(38a)를 거쳐서의 부착판 축(37a)과 부착 구멍(22a)의 끼워맞춤은 어긋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회동이 가능한 범위에서 어긋나기 어려워지도록, 좌측 부착 부재(23a), 부착 구멍(22a), 캐리지 축(24)의 부품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결합 홈(51b)은 결합 홈(51a)과 면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고, 캐리지 축(24)의 우측 부착 부재(23b)가 지지하는 측은, 상술한 좌측 부착 부재(23a)가 지지하는 측과 마찬가지로, 위치 조정 및 고정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실시 형태의 효과를 기재한다.
(1) 축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좌측 부착 부재(23a)의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가 내측 결합 홈(52a) 또는 외측 결합 홈(53a) [결합 홈(51a)]과 결합하면, 상기 결합은 축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축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캐리지 축(24)에 의해 축 정지부(47)를 가압된 우측 부착 부재(23b)의 내측 결합 돌기(42b) 또는 외측 결합 돌기(43b)가 내측 결합 홈(52b) 또는 외측 결합 홈(53b)[결합 홈(51b)]과 결합하면, 상기 결합은 축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축 스프링(2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와 결합 홈(51a)과, 및 내측 돌기 대들보(39b)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b)와 결합 홈(51b)의 결합을 유지하면서, 캐리지 축(24)의 부착판 축(37a) 및 부착판 축(37b)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부착판 축(37a)과 내측 돌기 대들보(39a)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a) 사이를 결합하는 부분, 또는 부착판 축(37b)과 내측 돌기 대들보(39b) 또는 외측 돌기 대들보(41b) 사이를 결합하는 부분이 변형하는 항력에 의해, 이들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결합하는 부분을 더욱 탄성 변형시키도록 하는 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좌측 부착 부재(23a) 및 우측 부착 부재(23b)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플래튼 갭 조정 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2) 원주방향의 위치가 동일한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 및 각각과 결합가능한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을 설치하고,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은 인접하는 결합 홈 상호간의 간격이 부착 구멍 중심(221)에 대해 3.4도의 각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은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홈 간격만큼 어긋나 있다. 이로써, 1.7도의 각도마다 좌측 부착 부재(23a)를 회동하여 고정할 수 있다.
(3) 캐리지와 캐리지 축과의 끼워맞춤부의 마찰 항력에 의해, 캐리지 축으로도 캐리지가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캐리지 축이 축방향으로 극소 이동하도록 한 구조에서는,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캐리지 축도 이동할 경우와, 캐리지가 캐리지 축에 대하여 미끄럼운동할 경우가 있다. 둘의 경우간에서, 이동하는 질량이나 미끄럼운동 저항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캐리지의 시동할 때의 동작 특성이 다르게 된다. 또한, 캐리지와 함께 움직이던 캐리지 축이 미소 이동 가능범위를 이동한 후에 정지했을 경우는, 그 시점에서 이동하는 질량이나 미끄럼운동 저항의 크기가 변동한다. 그 때문에, 캐리지의 움직임에 생길 가능성이 있다.
축 스프링(27)은 부착판 돌기(48a)와 E형 정지 고리(26) 사이에서 압축되어서, 부착판 돌기(48a)와 E형 정지 고리(26)를 서로 배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E형 정지 고리(26)에 접촉한 축 스프링(27)에 의해 가압된 캐리지 축(24)은 우측 부착 부재(23b)의 축 정지부(47)에 압접됨으로써, 캐리지 축(24)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2)의 이동시에 있어서, 이동하는 질량이나 미끄럼운동 저항의 크기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4) 조정 홈을 설치함으로써, 예컨대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조정 홈에 꽂아서, 용이하게 부착 부재를 회동시켜서 플래튼 갭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 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부착 부재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부착 부재 를 작게 할 수 있다.
(5) 축 스프링(27)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캐리지 축(24)에 여유 있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 스프링(27)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는 캐리지 축(24)의 주위의, 대략 스프링 직경에 대응하는 범위만으로 되고, 축 스프링(27)을 위해 필요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예인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기 각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을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판의 외주로부터 대들보 형상으로 돌출한 돌기 대들보의 선단에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결합 돌기를 부착판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했지만, 결합 돌기를 부착판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부착판면에 직접 결합 돌기를 형성해도 좋다. 돌기와 부착판 사이에서 돌기 대들보가 변형하는 가능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돌기 대들보가 있을 경우보다,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에 대해 복수의 결합 돌기를 각각 독립하여 변위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복수의 결합 돌기가 결합 홈인 동시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는 부착판(36a)의 외주로부터 부착판(36a)의 연장상에 돌출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내측 돌기 대들보(39a)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를 측판(21a)측에 만곡시킨 형상이어도 좋다. 측판(21a)측에 만곡시킨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측 부착 부재(23a)가 측판(21a)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내측 결합 돌기(42a) 및 외측 결합 돌기(43a)가 측판(21a)에 접하기 쉬워져서, 내측 결합 돌기(42a) 및 외측 결합 돌기(43a)와 결합 홈(51a)을 보다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을 이용했지만, 소용돌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소용돌이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가압 부재의 캐리지 축의 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정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조정 홈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조정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부착판 자체에 바로 조정 홈을 형성해도 좋다.
(변형예 5)
상기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를 원주방향의 위치를 동일로 하여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은 부착 구멍 중심(22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홈 간격만큼 어긋나 있는 구성이었다. 내측 결합 홈(52a)과 외측 결합 홈(53a)을 원주방향의 위치를 동일로 하고,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를 홈 간격만큼 어긋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결합부로서 내측 결합 돌기(42a)와 외측 결합 돌기(43a)의 2개소의 결합부를 구성했지만, 부착 결합부는 2개소에 한하지 않는다. 결합 위치를 비키어 놓은 결합부를 늘리는 것으로, 보다 작은 각도마다 부착 부재를 회동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결합부가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1개소의 결합부가 결합하고 있을 경우에 비해, 보다 확실하게 부착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변형예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 홈(51a, 51b) 및 결합 돌기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고, 좌측 또는 우측 부착 부재의 회동 방향에 대해 기운 면끼리로 결합하고 있었지만, 결합 홈 및 결합 돌기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결합 홈 및 결합 돌기의 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으로 하여 부착 부재의 회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면끼리로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 부착 부재의 회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끼리로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이 빠질 가능성이 없고, 보다 확실하게 부착 부재를 고정하고, 플래튼 갭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합이 빠지기 어려워지면 플래튼 갭 조정이 곤란해지는 것이 생각되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부착판 축(37a) 또는 축 정지부(47)를 가압하면, 좌측 부착 부재(23a)측 또는 우측 부착 부재(23b)측의 결합이 용이하게 빠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거의 문제없다.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부착 부재(23a)측과 우측 부착 부재(23b)로 면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었지만, 면대칭 형상인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의 형상 등에 대응한 형상으로도, 본 발명의 효과는 손상되지 않는다.
(변형예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돌기 대들보(39a, 39b)와 외측 돌기 대들보(41a, 41b)의 길이를 바꾸는 것으로, 내측 결합 돌기(42a, 42b)와 외측 결합 돌기(43a, 43b)의 위치를 직경방향으로 비키어 놓아서 복수의 결합 돌기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위치를 원주방향에 비키어 놓는 구성으로도 좋다. 즉, 동일한 길이의 돌기 대들보를 원주방향에서 비키어 놓아서 형성하고, 대략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결합 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따르면, 조정 장치를 크게 하지 않고, 캠 또는 편심축을 확실하게 고정하고, 플래튼 갭을 일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플래튼과 인쇄 헤드 사이에 있는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장치의 플래튼 갭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1 부착 축과, 위치 결정용의 제 1 부착 결합부를 갖는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2 부착 축과, 위치 결정용의 제 2 부착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축의 축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축 정지부를 갖는 제 2 부착 부재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부착 축과 끼워맞춰지는 부착 구멍과,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상기 제 1 부착 축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부에 상 기 제 1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1 결합부 아암을 갖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상기 제 2 부착 축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부에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2 결합부 아암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가지며,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은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은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튼 갭 조정 장치.
  7. 플래튼과 인쇄 헤드 사이에 있는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지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축과,
    상기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1 부착 축과, 위치 결정용의 제 1 부착 결합부를 갖는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가이드 축과 끼워맞춰지는 축 구멍에 대해 편심된 제 2 부착 축과, 위치 결정용의 제 2 부착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 축의 축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축 정지부를 갖는 제 2 부착 부재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부착 축과 끼워맞춰지는 부착 구멍과,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부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부착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방향 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상기 제 1 부착 축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부에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1 결합부 아암을 갖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상기 제 2 부착 축으로부터 돌출하고, 선단부에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를 형성한 복수의 제 2 결합부 아암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가지며,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은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은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과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1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1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1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3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2 프레임 결합부 중 하나와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다른 상기 제 2 결합부 아암에 형성된 상기 제 2 부착 결합부가 상기 제 4 프레임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20060042613A 2005-05-12 2006-05-11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KR100777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9356 2005-05-12
JP2005139356A JP4670466B2 (ja) 2005-05-12 2005-05-12 プラテンギャップ調整装置及び印刷装置、並びに複合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240A true KR20060117240A (ko) 2006-11-16
KR100777897B1 KR100777897B1 (ko) 2007-11-21

Family

ID=3738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613A KR100777897B1 (ko) 2005-05-12 2006-05-11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70072B2 (ko)
JP (1) JP4670466B2 (ko)
KR (1) KR100777897B1 (ko)
CN (1) CN10046958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35A (ko) * 2018-07-04 2021-02-10 카네다 컴퍼니 리미티드 철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552B2 (ja) * 2005-11-28 2011-03-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1264699B (zh) * 2007-03-12 2011-03-1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打印机
US7976231B2 (en) * 2007-12-13 2011-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gap in a printer
JP5171236B2 (ja) * 2007-12-14 2013-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1178144A (ja) * 2010-03-04 2011-09-15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のギャップ制御方法および媒体処理装置
TW201200326A (en) 2010-03-29 2012-01-01 Automation Tooling Syst Mechanism and system for clamping
JP2013119172A (ja) * 2011-12-06 2013-06-17 Seiko Precision Inc 印字装置及び印字ギャップ調整方法
CN104070854B (zh) * 2013-03-27 2016-03-09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打印机
JP6508720B2 (ja) * 2015-08-31 2019-05-08 セイコ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プリンタ
JP6765890B2 (ja) * 2016-07-29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ャリッ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7060U (ja) * 1984-05-22 1985-12-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字手段とプラテンのギヤツプ調整機構
JPS61198051U (ko) * 1985-05-31 1986-12-10
JPS6273978A (ja) * 1985-09-26 1987-04-04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S62246768A (ja) * 1986-04-18 1987-10-27 Nec Corp プリンタ装置
JPH0661983B2 (ja) * 1989-04-03 1994-08-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ギヤツプ調整機構
US5000590A (en) * 1989-06-29 1991-03-19 Itt Corporation Print head adjustment mechanism
JPH0538851A (ja) * 1991-08-07 1993-02-19 Seiko Epson Corp 印字装置
JPH0642192U (ja) * 1992-11-24 1994-06-0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ギャップ調整装置
JP3463948B2 (ja) 1994-02-17 2003-11-0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偏心軸受及びこの偏心軸受を用いたプリンタ
JP2710560B2 (ja) 1994-07-18 1998-02-10 日本電気データ機器株式会社 プラテンギャップ可変機構
US6315468B2 (en) 1997-01-30 2001-11-13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a platen gap regulator
JPH10211748A (ja) 1997-01-30 1998-08-11 Seiko Epson Corp プラテンギャップ調整装置
JP3509844B2 (ja) 1997-11-14 2004-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おける記録ヘッドの位置調整機構
JP3714527B2 (ja) 2000-08-31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テンギャップ調整装置及び記録装置
JP3705103B2 (ja) 2000-09-20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のキャリッジガイド軸支持装置及び記録装置
US6736557B2 (en) * 2002-09-05 2004-05-18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head gap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maging apparatus
JP2004322453A (ja) * 2003-04-24 2004-11-18 Seiko Epson Corp キャリッジガイド軸の支持装置及び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935A (ko) * 2018-07-04 2021-02-10 카네다 컴퍼니 리미티드 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15263A (ja) 2006-11-24
CN100469588C (zh) 2009-03-18
JP4670466B2 (ja) 2011-04-13
US7470072B2 (en) 2008-12-30
KR100777897B1 (ko) 2007-11-21
US20060257185A1 (en) 2006-11-16
CN1861415A (zh)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897B1 (ko) 플래튼 갭 조정 장치 및 인쇄 장치
US6619658B2 (en) Media-conveying apparatus in printer
JP2001219586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および該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を備えたプリンタ
JP457271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6218954A (ja) 印字ヘッド
US7614809B2 (en) Head support structure, printing device, thermally activating device, and printer
JP2001341881A (ja) シート搬送装置
JP4354714B2 (ja) モータ
JPH08332752A (ja) 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
JP2937182B2 (ja) 軸 受
JPH07388B2 (ja) 紙送り装置
JP2000044084A (ja) プロッタの紙送り機構
JPH05220989A (ja) サーマルヘッドの支持構造
JP2557114Y2 (ja) プリンタ
JPH11322119A (ja) 紙押え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3804291B2 (ja) ロールシート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JPH0523340Y2 (ko)
CN110549744A (zh) 印刷头以及印刷装置
JPH0428775Y2 (ko)
JP4465618B2 (ja) サーマルヘッド押圧部に関する組立方法
JPH11314809A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ホルダー
JPH11291571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19870A (ja) 印字装置
JPH0481519B2 (ko)
JPH1148509A (ja) サーマル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