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202A -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이용한 편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이용한 편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202A
KR20050121202A KR1020057016581A KR20057016581A KR20050121202A KR 20050121202 A KR20050121202 A KR 20050121202A KR 1020057016581 A KR1020057016581 A KR 1020057016581A KR 20057016581 A KR20057016581 A KR 20057016581A KR 20050121202 A KR20050121202 A KR 2005012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ylinder
knitting
cloth
inner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야마하라
타카히로 야마자키
타카시 마루오카
카츠노리 마츠시타
코지 키무라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0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이너웨어에 있어서, 몸 옷감과 옷단부가 무봉제로 연결된 구조로 한 후에, 제품으로서의 차별화 및 사용자로서의 개성 발휘에 획기적인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한다.
바디 사이즈의 통형을 나타낸 더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몸 옷감(2)과, 이 몸 옷감(2)의 끝부에 질감을 명확하게 다르게 해서 설치된 옷단부(3)를 가지고, 상기 몸 옷감(2)과 옷단부(3)가 무봉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몸 옷감(2)에는,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편성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기능, 외관, 질감 등을 다르게 한 이질편성부(5)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INNER WEAR, HIGH GAUGE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USING HIGH GAUGE 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丸編幾)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톰웨어, 속바지, 스패츠, 부인용 짧은 하의 속옷 등 하의 이너웨어나, 캐미솔, 셔츠 등의 상의 이너웨어에 있어서, 옷단부의 처리는 몸 옷감측의 옷감을 뒤집어 접어서 봉제하거나, 옷단 테이프를 꿰매 붙이거나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31708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6-8120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95805호 공보 등 참조).
이러한 옷단부의 처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몸 옷감측의 옷감의 풀림을 막는 것에 있다. 그 밖에도, 외관적인 테두리로서의 존재감이나 액센트를 갖게 하거나 착용자로의 밀착력을 갖게 하거나 하는 것도 있었다.
또한, 아우터웨어 중에는, 몸 옷감측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옷단부도 일체적으로 마무리해 버려, 그 후, 일일이 옷단부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있었다. 이렇게 마무리된 옷단부는, 몸 옷감측과의 사이에 봉제부가 없기 때문에 요철이 없고, 깔끔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아우터웨어와 비교하여, 사용되는 실이 가늘고(30번수 이상) 또한 편성 조직이 치밀하게 되는(커버팩터에서 0.58 이상) 이너웨어에서는, 이러한 편성 과정에서의 옷단부의 일체 마무리는, 원칙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되어 있었다. 다만 예외는 있었다.
그 예외란, 이너웨어에서도, 원편기를 이용한 피스편에 의해 연속 옷감을 편성하고, 피스 상호간에 용융실을 이용한 분리띠를 형성하고, 이 분리띠를 후공정에서 용융시킴으로써 피스마다 분리하고, 각각의 피스를 이너웨어로서 완성하는 제작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이다. 이 예외의 제작 방법을 채용하면, 옷단부로서 그 후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얻을 수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8361호 공보 참조).
이 예외의 제작 방법에서 분리띠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던 용융실은, 3~5 데니어의 필라멘트를 10~30개 정도, 합연사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즉, 1개의 용융실의 굵기는 30~150 데니어이었다.
그런데 종래, 이너웨어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 그 근원이 되는 옷감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우, 원편기가 이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에 따라 편성되는 옷감은 통형상 옷감이다.
이 원편기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 상에 설치되는 원판형의 다이얼을 가지는 것으로, 실린더 주변에는 다수개의 실린더 바늘이 그들의 길이 방향을 상하를 향해서 설치되고, 또 다이얼 상면에는 다수개의 다이얼 바늘이 그들의 길이 방향을 지름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2-38359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4-1105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6-33349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5-25757호 공보 등 참조).
그리고, 실린더 및 다이얼의 회전과 함께, 실린더 바늘이나 다이얼 바늘이 회전하고, 각각의 실린더 바늘의 상하 이동과 다이얼 바늘의 전후 이동으로 이들 사이에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표리가 같은 편성 조직으로 된 옷감)이 편성된다는 것이었다.
또 편성된 통형상 옷감은, 실린더의 내방을 통해 하방으로 드리워지고, 이 실린더 하방에 설치된 권취장치에서, 일정 토크 하 권취하는 것을 목표로, 롤 형상으로 권취되도록 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1-44819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1-59373호 공보 등 참조).
이러한 원편기 중, 이너웨어용으로 되는 것은, 가는 실을 다루고 또한 치밀한 편성 조직을 뜨기 위해서 하이게이지 원편기로 불리고 있다. 하이게이지란 일반적으로 17게이지 이상을 말한다. 이 17게이지란, 1인치 중에 포함되는 실린더 바늘이 17개 이상이라는 것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17게이지 미만의 것을 로우게이지 원편기라고 부르고 있다. 이 로우게이지 원편기는, 많은 경우, 아우터웨어를 편성하는데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너웨어에서는, 옷단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몸 옷감측의 옷감을 뒤집어 접어서 봉제하거나 옷단 테이프를 꿰매 붙이거나 하는 것이 일반적인 수법이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몸 옷감측과 옷단부의 사이에, 합쳐 꿰매기에 따르는 볼록 라인이 생기거나, 옷감 중첩에 따르는 단차가 생기거나, 혹은 이음매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형태로 드러나거나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이너웨어를 착용하면, 몸 옷감측과 옷단부와의 경계 부분이 아우터웨어측에까지 비쳐 나오고, 외측에서 보고 알 수 있게 되어버려, 외관이 나쁘다는 점이 있었다. 또, 이너웨어이기 때문에, 상기 볼록 라인이나 단차, 이음매 등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해서 촉감, 나아가서는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점도 있었다.
물론, 옷단부를 마무리하기 위한 수고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이, 이너웨어로서의 생산성을 높이거나 저코스트화를 도모하거나 하는 것에 있어서 중대한 보틀넥이 된다는 점도 있었다.
또한, 이너웨어 중에서, 상기와 같이 예외적인 제작 방법을 거치는 것으로서, 용융실에 의한 분리띠를 채용하고 여기에서 분리시키도록 한 것에서는, 옷단부를 마무리하는 것에 관한 수고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음 문제가 있었다.
즉, 분리띠에 이용하고 있던 용융실에는 30~150 데니어라는 비교적 굵은 것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는 사정이 있다. 그것은, 이 정도의 굵기가 아니면 강도부족이 되고, 종래의 하이게이지 원편기에서는 실 끊어짐을 일으켜서 편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분리띠는, 용융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는 해도, 분리를 위해 용융한 후에도 조금이지만 옷단부 측에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굵은 용융실을 사용했을 경우에서는, 옷단부 측에서 잔류한 용융실의 실끝이, 까칠까칠한 촉감을 생기게 해 버린다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이너웨어로서의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너웨어에서는 그 대부분의 것이 몸 옷감 전체를 단일편성 조직으로 정리되어 있고, 예를 들면, 보온성이나 체형보정 등의 각종 기능을 비롯하여, 모양이나 무늬 등의 외관, 질감 등을 몸 옷감 중의 일부분만에서 바꾼 것은 제품으로서는 존재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판매자 측에서는 제품의 차별화를 하기 어렵고, 사용자 측에서도 개성을 낼 수 없다는 불만이 있었다.
이것은, 이너웨어를 편성하는데에 이용되는 종래의 하이게이지 원형 편성기에 대하여, 급사 전환 장치를 장비시킬 수 없는 것에 기인하고 있었다. 또한 가령, 종래의 하이게이지 원편기에 급사 전환 장치를 장비시켰다고 해도, 권취장치에 의한 인장작용을 옷감에 부여시킨 시점에서 편성 작업이 전혀 진행하지 않는다는(즉, 뜰 수 없다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던 것이다. 종래, 이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조금도 해명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외관, 촉감, 착용감 등이 우수한 이너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몸 옷감 중의 일부에, 각종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부분 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차별화 및 사용자로서의 개성 발휘에 획기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이너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외관, 촉감, 착용감 등이 우수한 이너웨어나, 몸 옷감 중의 일부에, 각종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차별화 및 사용자로서의 개성 발휘에 획기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이너웨어에 대해, 이들을 간단하게, 확실하게, 또한 고 생산성 하, 편성할 수 있도록 한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의 제3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의 제4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의 1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하부 캠 블록에 대해서 실린더 캠 및 선침 캠이 나타나는 위치에서 단면하여 도시하는 동시에 실린더 바늘 및 잭의 장전 상황을 나란히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화살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9는 실린더 바늘과 다이얼 바늘의 동작 관계를 도해한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7의 D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실 끝 처리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바디 사이즈의 통형을 나타낸 더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몸 옷감과, 이 몸 옷감의 끝부에 질감을 명확하게 다르게 하여 설치된 옷단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 중 몸 옷감과 옷단부가, 무봉제(심리스)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옷단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몸 옷감측의 옷감을 뒤집어 접어 봉제하는 것도 옷단 테이프를 꿰매 붙이는 것도 아니고, 그러므로, 몸 옷감측과 옷단부의 사이에는, 합쳐 꿰매기에 따르는 볼록 라인이나, 옷감 중첩에 따르는 단차, 또는 이음매가 드러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 이너웨어를 착용했을 경우에, 몸 옷감측과 옷단부의 경계 부분은 아우터웨어측에 조금도 악영향을 끼치는 않고, 외관을 악화시킬 우려가 없다. 물론, 상기 볼록 라인이나 단차, 이음매 등이 없으므로, 이들을 원인으로 하여 착용감이 저하하는 경우도 없다. 또, 옷단부를 마무리하기 위한 수고도 필요 없으므로, 이너웨어로서의 생산성을 높이거나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에도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몸 옷감에 대하여,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편성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기능, 외관, 질감 등을 다르게 한 이질 편성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너웨어는, 종래, 제품화된 적 없던 획기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몸 옷감에 대하여,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실종류를 다르게 함으로써 기능, 외관, 질감 등을 다르게 한 이질편성부가 부분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너웨어는, 종래, 제품화된 적 없던 획기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몸 옷감에 대하여,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자카드(Jacquard) 무늬가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너웨어는, 종래, 제품화된 적 없던 획기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에 있어서, 몸 옷감은, 40번수 이상의 실에 의해 커버팩터가 0.60 이상이 되도록 편성된 것이다. 이러한 수치적인 스펙은, 이너웨어인 것의 전제(즉, 아우터웨어가 아닌 것)로서 필요한 조건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에 있어서, 옷단부는, 피스편에 의해 연속 옷감으로 된 편성 단계에 있어서 30데니어 미만의 용융실로 형성된 분리띠를 후공정에서 분리함으로써 형성된 분리단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분리띠를 가지는 것으로 하면, 이 분리띠를 후공정에서 분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옷단부 측의 분리단에서는, 가령 용융실의 실 끝이 잔류한다고 해도, 이 용융실이 30데니어 미만의 것인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옷단부 측에서 잔류한 용융실의 실 끝이, 까칠까칠한 촉감을 생기게 하지 않고, 따라서 이너웨어로서의 착용감이 저하하는 경우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외관, 촉감, 착용감 등이 우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는, 몸 옷감 중의 일부에, 각종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차별화 및 사용자로서의 개성 발휘에 획기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는, 실린더 주변에서 그 상측 둘레부로부터 출몰하는 상태로 상하 이동 자유롭게 구비된 실린더 바늘과, 실린더 상의 다이얼 상면에서 그 외주부로부터 출입하는 상태로 전후 이동 자유롭게 구비된 다이얼 바늘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을 편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 바늘과 다이얼 바늘의 사이의 편성 위치를 향해서 공급되는 실을 편성 중에 변경 가능하게 하는 급사 전환 장치가 장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전제로 하여, 본 발명에서는, 바늘 동작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바늘 동작 제어 수단은, 다이얼 바늘이 후진에 의해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를 해방하고 다음에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그때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실린더 바늘을 부상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이 부상 상태로 대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바늘 동작 제어 수단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편성 중의 통형상 옷감에는 하방으로의 끌어 넣기 부분이 주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통형상 옷감 자체에, 동적인 여유(다이얼 바늘의 움직임에 지배되지 않는 릴렉스 상태)가 생긴다.
따라서, 이 편성된 통형상 옷감에 대하여 실린더 하방을 향한 인장 작용을 주면, 확실한 편성이 속행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황은, 급사 전환 장치를 구비시키고, 또 그것을 실제로 작동시킬 경우에 유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급사 전환 장치로서 용융실의 세트가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에 있어서는, 용융실로 형성하는 분리띠를 통해 피스 편을 하고, 그 연속 옷감을 편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용융실에 의한 분리띠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이너웨어로서, 몸 옷감과 옷단부의 사이에 합쳐 꿰매기에 따르는 볼록 라인이나, 옷감 중첩에 따르는 단차, 또는 이음매가 드러나지 않는 무봉제(심리스) 상태의 것을 편성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이너웨어는, 몸 옷감측과 옷단부의 경계 부분이 아우터웨어측에 조금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외관, 촉감, 착용감 등이 우수한 것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늘 동작 제어 수단의 구체예로서는, 실린더 바늘의 상하 이동을 담당하기 위한 실린더 캠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 실린더 캠은 실린더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이 실린더 캠은, 실린더 바늘이 부상 상태에서의 대기를 가능하게 하는 캠 형상을 채용한 것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침(選針) 시스템이 장비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이 선침 시스템은, 실린더 바늘에 대하여 그 바늘하단을 향하는 배치로 잭이 부수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이 잭의 상하 거동을 변경시킴으로써 실린더 바늘의 상승의 유무나 상승 도달점의 고저를 전환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늘 동작 제어 수단은, 실린더 바늘을 부상 상태로 대기시킨 후, 다음 사이클에서의 상승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에 앞서 일단 하강시키고, 이 실린더 바늘의 하강으로 상기 잭을 소정 위치에 확실하게 복귀시키는 구조로 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실린더 바늘을 부상 상태로 대기시키는 것에 따라, 만일, 잭에 흔들림 등에 의한 위치 어긋남(내려가기 부족 등)이 일어나는 것을 상정한 대책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권취장치가 장비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이 권취장치는, 상기한 선침 시스템에 더해서, 실린더 바늘과 다이얼 바늘의 사이의 편성 위치에서 편성된 통형상 옷감을 실린더 하방을 향해 끌어 내려서 권취하는 것이다. 이 경우, 권취장치에는, 선침 시스템의 동작 상황에 적응시켜서 권취 토크에 강약을 주는 토크 제어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토크 제어장치는, 선침 시스템에 의해, 편성 동작되는 실린더 바늘의 개수가 적게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권취 토크를 약하게 하고, 반대로 실린더 바늘의 개수가 많이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권취 토크를 강하게 하는 상태의 제어를 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특히 실린더 바늘의 개수가 적게 설정되었을 경우의 실의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토크 제어장치에서는, 급사 전환 장치의 동작에 의해, 가는 실이나 강도적으로 끊어지기 쉬운 실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도, 권취 토크를 약하게 하도록 제어해서 실 끊어짐을 방지하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은,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 바늘과 이 실린더 바늘의 상단부에 교차가능한 레벨에서 전후 이동하는 다이얼 바늘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을 편성해 가는 속에서, 필요에 따라 이 편성 위치를 향해서 공급하는 실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다이얼 바늘이 후진에 의해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를 해방하고 다음에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그 시점의 상황에 맞춰 다음과 같이 한다. 즉, 실린더 바늘이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면 이것을 부상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러나, 실린더 바늘이 부상 상태에 있으면 이 부상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성 중의 통형상 옷감에 대하여, 그 하방으로의 끌어넣기 부분을 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형상 옷감 자체에, 동적인 여유(다이얼 바늘의 움직임에 지배되지 않는 릴렉스 상태)가 생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은, 외관, 촉감, 착용감 등이 우수한 이너웨어나, 몸 옷감 중의 일부에, 각종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부분을 설치함으로써 제품으로서의 차별화 및 사용자로서의 개성 발휘에 획기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이너웨어에 대하여, 이들을 간단하게, 확실하게, 또한 고 생산성 하, 편성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제1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1실시형태의 이너웨어(1)는 보톰웨어이다.
이 이너웨어(1)는, 본체가 되는 몸 옷감(2)에 대하여, 그 단부 처리의 하나로서의 옷단부(3)가 설치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는 보톰웨어이기 때문에, 옷단부(3)는 양다리 부분의 끝부에 해당한다.
또한, 요부의 개구 주변에는 고무띠(4)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고무띠(4)도 옷단부(3)의 개념에 포함시켜도 좋다.
몸 옷감(2)은, 통형상 옷감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형의 사이즈는, 바디 사이즈로 되어 있고, 폭 줄이기나 합쳐 꿰매기 등 하지 않고, 일반적인 체형(성인 남녀용이나 아이용 등마다 기본이 되는 사이즈가 각종 있다)의 몸통 둘레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통형상 옷감 자체는 더블 소재(표리가 같은 편성 조직으로 된 옷감)이다.
이 몸 옷감(2)은, 이너웨어로서의 착용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40번수 이상의 실을 이용하여 편성되어 있다. 이 번수 수는, 수치가 커질수록 실이 가늘어 지므로, 여기에서는 40번수(대략 133데니어 상당)를 포함해서 그것보다 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이것에 더해, 몸 옷감(2)은 그 커버팩터가 0.60 이상이 되도록 편성되어 있다. 커버팩터는, 편성물의 조밀을 의미하는 지수로서 K=1/(L×√영국식 면번수)으로 구해질 때의 K의 값이다. 다만, L은 루프길이로서 단위는 (㎝)이다.
따라서, 이 커버팩터는 수치가 커질수록 편성물이 치밀해지므로, 여기에서는 0.60을 포함해서 그것보다 치밀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옷단부(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몸 옷감(2)의 단부에 설치된 것으로, 몸 옷감(2)과는 질감을 명확하게 다르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이너웨어(1)를 언뜻 보는 것으로 몸 옷감(2)과 옷단부(3)를 분별할 수 있다.
이렇게 옷단부(3)의 질감을 몸 옷감(2)과 다르게 하기 위한 수법은, 편성 조직이나 사용 실(굵기, 재질, 색 등)을 몸 옷감(2)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 옷감(2)이 치밀한 격자형상의 편성 조직으로 되는 것에 대하여, 옷단부(3)는, 세로줄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가로방향으로의 신축이 풍부하게 되는 편성 조직으로 한 상태다.
그리고, 이렇게 몸 옷감(2)과 옷단부(3)를 가지는 이너웨어(1)에 있어서, 이들 몸 옷감(2)과 옷단부(3)는, 일관된 편성 과정의 속에서 몸 옷감(2)에 필요로 하는 편성 방법과 옷단부(3)에 필요로 하는 편성 방법을 소정 시점에서 전환함으로써 만들어낸 것이다.
그 때문에, 이들 몸 옷감(2)과 옷단부(3)는 무봉제(심리스)로 연결된 구조가 된다. 즉, 옷단부(3)는, 몸 옷감(2)측의 옷감을 뒤집어 접어서 봉제하는 것도, 혹는 옷단 테이프를 꿰매 붙이는 것도 아니므로, 몸 옷감(2)측과 옷단부(3)의 사이에는, 합쳐 꿰매기에 따르는 볼록 라인이나, 옷감 중첩에 따르는 단차, 혹은 이음매가 드러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 이너웨어(1)를 착용했을 경우에, 몸 옷감(2) 측과 옷단부(3)의 경계 부분은 아우터웨어(도시 생략) 측에 조금도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외관을 악화시킬 우려가 없다.
원래, 상기한 볼록 라인이나 단차, 이음매 등이 없으므로, 이들을 원인으로 하여 착용감이 저하하는 경우도 없고, 또 옷단부(3)가 몸 옷감(2)과 동시에 편성되는 관계 상, 마무리를 위한 수고도 불필요하게 되어, 이너웨어(1)로서의 생산성을 높이거나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에도 대처할 수 있다.
그런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이너웨어(1)의 바탕이 되는 통형상 옷감은 피스편의 연속 옷감(W)으로서 편성된다.
즉, 몸 옷감(2)용에 할당되는 부분과 옷단부(3)용에 할당되는 부분(필요에 따라 고무띠(4)용에 할당되는 부분도 포함한다)을 맞춘 길이 분으로 1벌의 이너웨어(1)의 재봉에 제공되는 것이 되는 피스(P)가, 가는 폭의 분리띠(C)를 통해 서로 연속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분리띠(C)는, 용융실을 이용하여 편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편성된 연속 옷감(W)을 후공정에서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분리띠(C)가 용융하고, 각각의 피스(P)가 분리하게 되므로, 또한 이 이후의 공정에서, 이렇게 분리된 각각의 피스(P)를 개별적으로 이너 웨어(11)로서 재봉해 가게 된다.
이러한 분리띠(C)는, 용융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는 해도, 분리를 위해서 용융한 후에도 조금이지만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분리띠(C)는 반드시 옷단부(3)에 접한 위치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용융실의 잔류는 옷단부(3) 측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그래서, 이 분리띠(C)의 편성에 이용하는 용융실에는, 30데니어 미만의 가는 것이 적합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20데니어의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가는 용융실을 이용한 분리띠(C)라면, 그 분리 시(용융실의 용융 시)에, 옷단부(3)의 구부(口部)단(분리에 의해 생기는 분리단)에서, 잔류한 용융실의 실 끝이 까칠까칠한 촉감을 생기게 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 분리단을 원인으로 하여 이너웨어(1)의 착용감이 저하하는 경우는 없다.
본 제1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에서는, 몸 옷감(2)내의 일부에 이질편성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질편성부(5)는,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과는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이질편성부(5)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몸 옷감(2)을 편성할 때의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해당 부분의 편성 방법을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몸 옷감(2)을 기본적으로는 니트 편성하는 것으로 한 뒤에, 이질편성부(5)만은 턱 편성을 하는, 혹은 미스를 적절하게 밀집 또는 분산시켜서 편입한 상태이다.
본 제1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의 경우, 착용자의 하복부를 덮는 부분에 대응시켜서 넓은 폭의 이질편성부(5)를 위치시키고, 이 이질편성부(5)에서의 보온 성능을 높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질편성부(5)의 위치 부여나 그 광협, 형상, 목적 등은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몸 옷감(2)에 있어서 착용자의 양 대퇴나 둔부 등에 대응시켜서 통기성(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질편성부(5)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또 몸 옷감(2) 중에서, 체형의 보정을 요하는 적소에 대응시켜서 신축성(보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질편성부(5)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실시형태의 이너웨어(1)도 보톰웨어이다.
본 제2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의 경우, 착용자의 양 대퇴에 있어서의 무릎 상부분에 대응시켜서, 각각 V자형으로 이질편성부(6)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 이질편성부(6)도,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과는 기능, 외관, 질감 등이 다른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 이질편성부(6)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몸 옷감(2)을 편성할 때의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해당 부분에 사용하는 실 종류(굵기, 재질, 색 등)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 제1실시형태의 이질편성부(5)와는 다르다.
또한, 이질편성부(6)의 위치 부여나 그 광협, 형상, 목적 등은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제3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제3실시형태의 이너웨어(1)도 보톰웨어이다.
본 제3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의 경우, 일방의 옷단부(3)에 가까운 부분에 자카드 무늬(7)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 자카드 무늬(7)는, 몸 옷감(2)을 편성할 때의 일관된 편성 과정 중에서, 원하는 무늬에 맞춰 편성 방법이나 실 종류를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자카드 무늬(7)의 위치 부여나 그 광협, 형상, 목적 등은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면예에서는 나비무늬로 하고 있지만, 이것이 캐릭터거나, 기하학 모양이거나, 문자나 도형이거나 해도 좋은 것이다. 또 몸 옷감(2)의 전체 면을 자카드 무늬(7)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제4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4실시형태의 이너웨어(1)는 셔츠다.
이 제4실시형태는, 몸 옷감(2)이 셔츠에 맞춘 형체를 하고 있는 점, 옷단부(3)가 착용자의 허리 둘레를 둘러싸게 되는 부분에 상당하고 있는 점, 및 이질편성부(5)가 착용자의 복부 전반을 덮도록 위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제1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와 같다.
이렇게,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는, 보톰웨어, 속바지(남자용 및 여자용), 스패츠, 부인용 짧은 하의 속옷 등 하의든지, 캐미솔, 셔츠 등의 상의든지, 혹은 복대 등이든지 일체 상관없이, 실시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30)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주로 도 6에 의거하여,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의 개요를 설명한다.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서는, 상기한 제1 내지 제4실시형태의 이너웨어(1)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 그 바탕이 되는 연속 옷감(W)(통형상 옷감으로서 피스편된 것)을 편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실시형태의 이너웨어(1)에서는, 몸 옷감(2)이 더블 소재(표리가 같은 편성 조직으로 된 옷감)이기 때문에,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는 원통형을 한 실린더(31)와, 이 실린더(31)의 상부에 설치된 원판형을 한 다이얼(32)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31)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실린더 바늘(33)이 그들의 길이 방향을 상하를 향해서 설치되고, 또 다이얼(32)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다이얼 바늘(34)이 그들의 길이 방향을 지름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의 이너웨어(1)에 있어서 그 몸 옷감(2)은, 40번수 이상이며 또한 커버팩터가 0.60 이상인 것으로부터,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는, 문자 그대로 하이게이지용(즉, 1인치 속에 포함되는 실린더 바늘(33)의 개수가 17개 이상으로 되는 17게이지 이상이라는 것)이다.
실린더(31) 및 다이얼(32)은 축심(F)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실린더(31)의 주변에는 하부 캠 블록(35)이 원주배치로 설치되어 있고, 이 하부 캠 블록(35)의 내주면에, 실린더 바늘(33)에 상하 이동을 일으키기 위한 실린더 캠(도 7 중의 부호(36)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또 다이얼(32)의 상부에는 상부 캠 블록(3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부 캠 블록(37)의 하면에, 다이얼 바늘(34)에 전후 이동을 일으키기 위한 다이얼 캠(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31) 및 다이얼(32)이 회전될 때, 실린더 바늘(33)이나 다이얼 바늘(34)도 함께 축심(F) 주위를 회전하고, 각각의 실린더 바늘(33)이 실린더 캠(36)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상하 이동되는 동시에, 각각의 다이얼 바늘(34)이 다이얼 캠(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 타이밍으로 전후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바늘(33)이 상승하고 또한 다이얼 바늘(34)이 전진했을 때의 재접근 위치를 편성 위치(R)로 하고, 이 편성 위치(R)에 급사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급사되어, 이 편성 위치(R)를 기점으로 연속 옷감(W)이 편성되게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한 편성 위치(R)는 실린더(31)의 상측 둘레부를 따른 원주배치로 복수 개소 있고, 이에 따라, 급사장치도 각각의 편성 위치(R)에 적어도 1대의 할당으로 복수대 설치되어 있게 된다.
편성된 연속 옷감(W)은, 실린더(31)의 내방을 통해 하방으로 드리워진다. 그래서, 이 실린더(31)의 하방에는 매달기 틀(38)을 통해 권취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권취장치(39)는, 2개 1조의 핀치 롤러(40)와 그 하부의 권취 롤러(41)를 가지는 것으로, 이들이 권취 모터(42)에 의해, 체인이나 기어열 등의 전동수단(43)을 통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편성되어 수하되는 상태가 된 연속 옷감(W)이, 권취 롤러(41) 주위로 롤 형상으로 권취되게 된다.
다음에,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 관한 특징적 구성을 설명한다.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는 급사 전환 장치(45)가 장비되어 있다. 이 급사 전환 장치(45)는, 개개의 편성 위치(R)를 향해서 복수개의 실(S1, S2)이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즉, 1개소의 편성 위치(R)에 대하여 복수의 급사장치가 할당되어 있을 때), 이들 실(S1, S2)을 일관된 편성 작업 중에서 변경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는 선침 시스템(46)이 장비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선침 시스템(46)은, 개개의 실린더 바늘(33)에 대하여 1대1 대응으로 설치되는 잭(47)과, 이 잭(47)의 상하 이동을 필요에 따라 온/오프 전환시키는 선침기(48)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선침 시스템(46)은 스윙 캠(49)을 가지고 있다.
잭(47)은, 그 상단부를 실린더 바늘(33)의 바늘 하단을 향하게 한 배치로 되어 있고, 이 잭(47)이 소정량을 넘어 상승했을 때에 실린더 바늘(33)을 밀어 올리고, 이 실린더 바늘(33)도 부수적으로 상승되게 되어 있다. 이 잭(47)은, 하부 캠 블록(35)의 내주면에서 실린더 캠(36)의 하부를 따라 설치된 선침 캠(50)에 지배되어, 상하 이동한다. 그러나, 선침기(48)를 작동시켰을 때, 이 잭(47)은 선침 캠(50)으로부터 상하 거동을 받지 않는 위치(실린더(31)에 대한 지름방향 외방)로 끌어 내지고, 따라서 선침 캠(50)의 캠 형상이 어떻든 상하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선침기(48)는, 유체압 실린더나 솔레노이드 등으로 하면 되지만, 주변기재로의 대자(帶磁)적 영향 등을 불식한다는 면에서는 유체압 실린더를 채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렇게, 잭(47)이 선침 캠(50)에 의해 상하 이동하거나, 혹은 선침기(48)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동하지 않거나 함으로써, 실린더 바늘(33)이 밀어 올려지거나 밀어 올려지지 않거나 하게 된다.
한편, 스윙 캠(49)은, 실린더 바늘(33)을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 캠(36)에 대하여, 그 둘레 방향 중도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벌어진 스페이스(51)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축(52)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스윙 캠(49)은 그 등측(상부) 형상을 캠으로 하는 것으로서, 요동의 유무에 의해, 등측 형상의 기울기를 다르게 하고, 따라서 실린더 바늘(33)의 상승 도달점을 높게 하거나 중간높이로 하거나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스윙 캠(49)의 하부측에는 빈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이 선침 시스템(46)에서는, 잭(47)이 선침 캠(50)에 의해 상승되면 실린더 바늘(33)이 밀어 올려지고, 결과, 이 실린더 바늘(33)은, 스윙 캠(49)의 기울기에 따라 상승 도달점을 높게 하거나 또는 중간높이로 하거나 하는 것이 되고, 또 선침기(48)에 의해 잭(47)이 선침 캠(50)으로부터 빠져서 상승하지 않으면 실린더 바늘(33)도 밀어 올려지지 않기 때문에, 이 실린더 바늘(33)은 빈통로(53)를 그냥 지나치게 되어 스윙 캠(49)의 작용을 받지 않게 되고, 결과, 이 실린더 바늘(33)도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바늘(33)은 높은 위치로의 상승으로 니트 편성 위치가 되고, 중간 높이로의 상승으로 턱 편성 위치가 되고, 상승하지 않을 때에 웰트(미스 발생) 위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침기(48)는, 실린더(31) 및 하부 캠 블록(35)을 둘러싸는 원주배치로 복수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는,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은, 실린더 캠(36)의 캠 형상으로서 실시하였다. 즉, 이 실린더 캠(36)은, 실린더 바늘(33)이 소정의 타이밍으로 부상 상태가 되고, 이 부상 상태에서 잠시 대기하는 캠 형상을 채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실린더 캠(36)의 캠 형상을 설명하는 것에 임해서는, 도 9에 도시한 실린더 바늘(33) 및 다이얼 바늘(34)의 동작부터 먼저 설명한다. 도 9(A)에 있어서, 실린더 바늘(33)은, 편성 중 최신의 실린더측 루프(60)를 유지하고, 그대로 실린더(3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이얼 바늘(34)은,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61a)를 1개 해방하고, 편성 중 최신이 되는 다이얼측 루프(61)를 보유한 채 후진하는 상황으로 되어 있다. 도 9(B)에 있어서, 다이얼 바늘(34)은 후진을 끝내고 전진으로 바뀌고 있다. 이때에도 실린더 바늘(33)은, 실린더(31)의 상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도 9(C)에 있어서, 다이얼 바늘(34)은 전진을 계속하고, 래치(34a)가 열리고 편성 중 최신의 다이얼측 루프(61)를 해방을 향해서 준비하는(래치(34a)의 후측으로 빠지게 하는) 상황에 있다.
그리고, 여기부터가 특징적인 움직임으로서, 상기와 같이 다이얼 바늘(34)이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실린더 바늘(33)은 상승을 개시하고, 실린더측 루프(60)가 실린더(31)의 상단에서 노출하게 되는 부상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실린더 바늘(33)이 실린더(31)에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양(h)은 약 1㎜정도이다. 그리고, 이 부상 위치에 달한 시점부터, 이 부상 상태를 잠시 대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밍에서 실린더 바늘(33)이 부상함으로써, 실린더 바늘(33)에 유지된 실린더측 루프(60) 및 다이얼 바늘(34)에 유지된 다이얼측 루프(61)에는 모두 릴렉스 상태가 주어지고, 그 결과, 연속 옷감(W) 자체에, 동적인 여유가 생기게 된다. 즉, 다이얼측 루프(61)가 다이얼 바늘(34)의 움직임에 지배되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억지로 끌어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릴렉스 상태가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편성 중의 연속 옷감(W)에는 그 전체로서 하방으로의 끌어넣기 부분이 주어진다.
그래서 이 연속 옷감(W)에 대하여, 상기한 권취장치(39)(도 6 참조)에 의해 실린더(31)의 하방을 향한 인장 작용(G)을 주면, 이후, 확실한 편성이 계속되게 된다.
이들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은, 실린더 바늘(33)에 상기 상세한 설명의 부상 내지 부상 대기 동작을 주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것을 실린더 캠(36)의 캠 형상으로서 실현시키기 위해서, 도 7 중의 D부, 즉 도 10에 확대해서 도시한 캠 형상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도 10에 있어서, 실린더 캠(3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63)은, 종래의 캠 형상이며, 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63)에 대하여 상측에 오목하게 되어 있는 부분(64)에서, 실린더 바늘(33)을 부상 대기위치를 향해서 상승시키기 위해 가이드 한다.
또한, 실린더 바늘(33)은, 부상 상태로 소정 시간 대기된 후, 다음 사이클을 향해서 상승 동작에 들어가는데(도 10 중에 부호(65)를 첨부한 경사 부분이 이 상승 동작을 가이드 하는 부분이다), 이 때, 이 상승을 개시시키는데에 앞서, 일단 실린더 바늘(33)을 하강시키는 것이 적합하게 된다.
도 10 중에 부호(66)를 부여한 아래 방향의 사다리꼴 형상 돌출 부분이, 이 실린더 바늘(33)을 하강시키기 위한 가이드이다. 이렇게 실린더 바늘(33)을 하강시키는 이유는, 잭(47)을 소정의 하강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키는 것에 있다. 왜냐하면, 실린더 바늘(33)을 부상 내지 부상 대기시키고 있을 때, 이 실린더 바늘(33)이 잭(47)에 의한 밀어 올리기를 받지 않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양자 간에 갭(g)이 생기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갭(g)이 생기는 것은 하부 캠 블록(35)에 있어서의 실린더 캠(36)과 선침 캠(50)과의 형상 내지 치수적인 사정에 의한 것이며,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갭(g)이 생김으로써 실린더 바늘(33)과 잭(47)이 서로 상관이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주행 진동 등에 의해 잭(47)에 흔들림 등이 생기고, 이에 따라 잭(47)에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같이 아래 방향의 사다리꼴 형상 돌출 부분(66)으로 실린더 바늘(33)을 일단 하강시키면, 이 실린더 바늘(33)에 의해 잭(47)을 강제적으로 밀어 내릴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잭(47)을 소정의 하강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잭(47)의 이후의 움직임이 정확해진다.
이러한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을 구비한 하이게이지 원편기(30)라면, 실 끊어짐을 일으키기 쉽다고 여겨지는 실(가는 실이나 강도적으로 끊어지기 쉬운 실 등)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 급사 전환 장치(45)를 장비시키고, 또 선침 시스템(46)을 장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용융실의 사용이 가능하며, 이 용융실로 형성하는 분리띠(C)를 통해 피스편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이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바탕이 되는 연속 옷감(W)을 편성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가는 실이나 강도적으로 끊어지기 쉬운 실을 사용할 경우, 특히, 용융실에 의해 분리띠(C)를 형성시킬 때와 같이, 실 자체의 재질에 더해서 실의 편성 중의 실 사용 개수가 적을 때에는, 상기한 권취장치(39)에 대하여,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한층, 적합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장치(39)에 대하여 토크 제어장치(7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토크 제어장치(70)는, 주로 선침 시스템(46)의 동작 상황에 적응시켜서 권취 토크에 강약을 주기 위해 제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권취 토크를 일정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던 종래의 사고방식과는, 그 근간을 달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침 시스템(46)이, 편성 동작시키는 실린더 바늘(33)의 개수를 적게 설정했을 경우에 권취 토크를 약하게 하고, 반대로 편성 동작시키는 실린더 바늘(33)의 개수를 많이 설정했을 경우에는 권취 토크를 강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어함으로써, 특히 편성 동작시키는 실린더 바늘(33)의 개수가 적을 경우의 실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토크 제어장치(70)에서는, 급사 전환 장치(45)의 동작에 의해, 가는 실이나 강도적으로 끊어지기 쉬운 실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도, 권취 토크를 약하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토크 제어장치(70)는, 권취 모터(42)에 서브모터를 이용하거나, 혹은 전동수단(43) 중에 파우더 클러치 등의 클러치(도시 생략)를 편입하거나 해서, 권취 롤러(41)의 회전 토크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한 후에, 선침 시스템(46)의 각각의 선침기(48)로부터의 동작 정보를 제어부(71)에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권취 모터(42)나 전동수단(43) 등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침 시스템(46)에 대하여. 어느 선침기(48)에 어떤 동작을 시킬 것인가(실린더 바늘(33)을 몇 개 편성 동작시킬 것인가)와 같은 지시는, 하이게이지 원편기(30)에 대한 당초의 운전 계획에 근거한 것이기 때문에, 이 운전 계획에 따라 토크 제어장치(70)를 패턴 제어시키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실제로 선침 시스템(46)(각각의 선침기(48))의 동작 상황이나, 편성되어 있는 연속 옷감(W)의 상태, 혹은 급사 상태에 있는 각각의 실(S1, S2)의 장력 등을 센서류로 검출하여, 그것을 제어부(71)에서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로 피드백 제어 등의 리얼타임 제어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은, 실린더 바늘(33)에 따라 설치가 추장되는 실 끝 처리장치(75)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 끝 처리장치(75)는, 급사장치(도시 생략) 측에서의 실이 없어졌을 때, 급사 전환 장치(45)에 의해 실(S1, S2)의 전환이 행하여졌을 때, 혹은 만일, 실이 도중에 절단되었을 때 등에, 발생하는 실 끝을 편성 중의 옷감내에 눈에 뜨이지 않도록 짜 넣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을 위한 구조로서, 실린더 바늘(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에어를 뿜어 올리는 에어 분출 구멍(76)이 실린더 바늘(33)의 병설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설치된 에어 노즐(77)을, 실린더(31)의 상단 둘레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설치해 두고, 이 에어 노즐(77)에 대하여, 하이게이지 원편기(30)의 작동 중에 에어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하이게이지 원편기(30)를 이용한 편성 방법은,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 바늘(33)과 이 실린더 바늘(33)의 상단부에 교차가능한 레벨에서 전후 이동하는 다이얼 바늘(34)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을 편성해 가는 중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이 편성 위치(R)를 향해서 공급하는 실(S1, S2)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리고, 다이얼 바늘(34)이 후진에 의해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61a)를 해방하고, 다음에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이 시점에서 만약, 실린더 바늘(33)이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면 이것을 부상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혹은 이 시점에서 실린더 바늘(33)이 부상 상태에 있으면 이 부상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성 중의 통형상 옷감에 하방으로의 끌어 넣기 부분을 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형상 옷감 자체에, 동적인 여유(다이얼 바늘(34)의 움직임에 지배되지 않는 릴렉스 상태)가 생기고, 상처 없는 통형상 옷감을 확실하게 또한 고능률로 편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가는 실이나 강도적으로 끊어지기 쉬운 실의 사용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관한 이너웨어(1)의 바탕이 되는 연속 옷감(W)을 편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형태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은, 보톰웨어, 속바지, 스패츠, 부인용 짧은 하의 속옷 등 하의 이너웨어나, 캐미솔, 셔츠 등의 상의 이너웨어로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이너웨어를 편성할 수 있는 하이게이지 원편기로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아우터웨어의 편성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바디 사이즈의 통형을 나타낸 더블 소재로 이루어지는 몸 옷감(2)과, 이 몸 옷감(2)의 끝부에 질감을 명확하게 다르게 해서 설치된 옷단부(3)를 가지고, 상기 몸 옷감(2)과 옷단부(3)가 무봉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옷감(2)에는, 일관된 편성 과정의 중에서 편성 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기능, 외관, 질감 등을 다르게 한 이질편성부(5)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옷감(2)에는, 일관된 편성 과정의 속에서 실 종류를 다르게 함으로써 기능, 외관, 질감 등을 다르게 한 이질편성부(6)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옷감(2)에는, 일관된 편성 과정의 중에서 자카드 무늬(7)가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옷감(2)은, 40번수 이상의 실에 의해 커버팩터가 0.60 이상이 되도록 편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옷단부(3)는, 피스편에 의해 연속 옷감(W)으로 된 편성 단계에 있어서 30데니어 미만의 용융실로 형성된 분리띠(C)를 후공정에서 분리함으로써 형성된 분리단을 가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7. 실린더(31) 주변에서 그 상측 둘레부로부터 출몰하는 상태로 상하 이동 자유롭게 구비된 실린더 바늘(33)과, 실린더(31) 상의 다이얼(32) 상면에서 그 외주부로부터 출입하는 상태로 전후 이동 자유롭게 구비된 다이얼 바늘(34)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을 편성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에 있어서,
    실린더 바늘(33)과 다이얼 바늘(34)의 사이의 편성 위치(R)를 향해서 공급되는 실(S1, S2)을 편성 중에 변경 가능하게 하는 급사 전환 장치(45)가 장비되어 있고,
    다이얼 바늘(34)이 후진에 의해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61a)를 해방하고 다음에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실린더 바늘(33)을 부상 위치로 대기시키기 위한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은, 실린더 바늘(33)의 상하 이동을 담당하기 위해서 실린더(31)에 설치되는 실린더 캠(36)에 대하여 실린더 바늘(33)에 부상 상태로의 대기를 가능하게 하는 캠 형상을 채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늘(33)에 대하여 그 바늘 하단을 향하는 배치로 잭(47)이 부수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이 잭(47)의 상하 거동을 변경시킴으로써 실린더 바늘(33)의 상승의 유무나 상승 도달점의 고저를 전환 가능하게 하는 선침 시스템(46)이 장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바늘 동작 제어 수단(56)은, 실린더 바늘(33)을 부상 상태로 대기시킨 후, 다음 사이클에서의 상승 동작을 개시시키는데에 앞서 일단 하강시키고, 이 실린더 바늘(33)의 하강으로 상기 잭(47)을 소정위치로 확실하게 복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바늘(33)에 대하여 그 바늘 하단을 향하는 배치로 잭(47)이 부수적으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이 잭(47)의 상하 거동을 변경시킴으로써 실린더 바늘(33)의 상승의 유무나 상승 도달점의 고저를 전환 가능하게 하는 선침 시스템(46)이 장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실린더 바늘(33)과 다이얼 바늘(34)과의 사이의 편성 위치(R)에서 편성된 통형상 옷감을 실린더(31) 하방을 향해서 끌어내려 권취하는 권취장치(39)가 장비되어 있고,
    이 권취장치(39)에는, 상기 선침 시스템(46)의 동작 상황에 적응시켜서 권취 토크에 강약을 주는 토크 제어장치(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
  11. 상하 이동하는 실린더 바늘(33)과 이 실린더 바늘(33)의 상단부에 교차 가능한 레벨에서 전후 이동하는 다이얼 바늘(34)로 더블 소재의 통형상 옷감을 편성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 편성 위치(R)를 향해 공급하는 실(S1, S2)을 변경 가능하게 한 하이게이지 원편기(30)를 이용한 편성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 바늘(34)이 후진에 의해 형성 완성된 다이얼측 루프(61a)를 해방하고 다음에 전진해 가는 과정에서, 그때 실린더 바늘(33)이 하강 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면 이것을 부상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또는 실린더 바늘(33)이 부상 상태에 있으면 이 부상 상태를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편성 중의 통형상 옷감에 하방으로의 끌어넣기 부분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 방법.
KR1020057016581A 2003-03-28 2004-03-01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이용한 편성 방법 KR20050121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2341 2003-03-28
JPJP-P-2003-00092341 2003-03-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055A Division KR100886005B1 (ko) 2003-03-28 2004-03-01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02A true KR20050121202A (ko) 2005-12-26

Family

ID=33127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581A KR20050121202A (ko) 2003-03-28 2004-03-01 이너웨어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이용한 편성 방법
KR1020087011055A KR100886005B1 (ko) 2003-03-28 2004-03-01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055A KR100886005B1 (ko) 2003-03-28 2004-03-01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31520B2 (ko)
EP (1) EP1609378A4 (ko)
JP (1) JPWO2004086889A1 (ko)
KR (2) KR20050121202A (ko)
CN (1) CN100477931C (ko)
TW (1) TWI340025B (ko)
WO (1) WO2004086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4912B2 (ja) * 2007-12-17 2012-11-14 グンゼ株式会社 立体編み部付き衣類
JP2010133060A (ja) * 2008-12-05 2010-06-17 Gunze Ltd ダブル編用丸編機
JP5225131B2 (ja) * 2009-02-06 2013-07-03 グンゼ株式会社 ダブル編用丸編機
KR101346940B1 (ko) 2012-09-21 2014-01-03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파인 게이지를 갖는 원형 편물기
CN103911761A (zh) * 2013-01-03 2014-07-09 嘉兴思纳歌针织有限公司 一种无缝防寒内衣面料的编织方法
US9998434B2 (en) * 2015-01-26 2018-06-12 Listat Ltd. Secure dynamic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tocol
ITUB20155508A1 (it) * 2015-11-12 2017-05-12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di tipo ?open?, per la produzione in aperto e a larghezza variabile del telo con gruppo di tiraggio e/o raccolta del tessuto
JP7226703B2 (ja) * 2018-06-07 2023-02-21 グンゼ株式会社 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10618A (en) * 1913-05-07 1914-09-03 Robert Walter Scot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Ribbed Knitted Fabric.
US3222889A (en) * 1963-05-06 1965-12-14 Singer Co Dial drive for knitting machines
JPS4330141Y1 (ko) 1965-12-28 1968-12-09
JPS4616123Y1 (ko) 1966-10-21 1971-06-04
US3456460A (en) * 1967-04-11 1969-07-22 Singer Co Cylinder and dial knitting machine
DE1760955C3 (de) * 1968-07-24 1974-03-21 Franz Morat Gmbh, 7000 Stuttgartvaihingen Rundränderstrickmaschine
US3975927A (en) * 1970-05-19 1976-08-24 Firma Fouquet-Werke Frauz & Planck Strip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DE2119530A1 (de) * 1971-04-22 1972-11-02 Fouquet-Werk Frauz & Planck, 7407 Rottenburg Rundstrickmaschine
DE2236066A1 (de) 1972-07-22 1974-02-07 Schubert & Salzer Maschinen Strickverfahren fuer rundstrickmaschin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DE2313651C3 (de) * 1973-03-19 1978-03-23 Burlington Ag, Basel (Schweiz) Verfahren zur Einarbeitung rauhfähiger Fäden in eine Rechts-Rechtsstrickware
JPS55124486U (ko) * 1979-02-23 1980-09-03
DE2909943A1 (de) 1979-03-14 1980-10-02 Hauni Werke Koerber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beschicken mehrerer verarbeitungsmaschinen, insbesondere zigarettenstrangmaschinen, mit geschnittenem tabak
JPS6044414B2 (ja) 1980-04-02 1985-10-03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編機における編地引下げ張力調整方法
IE50773B1 (en) 1980-04-03 1986-07-09 Peck H T H Holdings Ltd Production of knitted garments
JPS5988955A (ja) 1982-11-04 1984-05-23 グンゼ株式会社 丸編機における生地の取外し搬送装置
IT1195456B (it) * 1983-11-29 1988-10-19 Sangiacomo Off Mec Procedimento per la costruzione di mutande partendo da un elemento tubolare di maglia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per l'esecuzione dell'elemento tubolare di partenza ed indumento ottenuto
JPH081021B2 (ja) 1984-06-06 1996-01-10 株式会社三星製作所 編機の編地張力調整装置
JPH0121988Y2 (ko) 1987-03-26 1989-06-29
JPS6440647A (en) 1987-08-04 1989-02-10 Gunze Kk Cloth take-up apparatus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198182A (ja) 1987-10-12 1989-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Ram周辺回路
JPH0198182U (ko) * 1987-12-17 1989-06-30
JP2690596B2 (ja) 1990-04-27 1997-12-10 オ−クマ株式会社 丸編機の制御装置
JP2781293B2 (ja) 1991-07-10 1998-07-30 オークマ株式会社 丸編機の制御装置
JPH0633349A (ja) 1992-07-08 1994-02-08 Okuma Mach Works Ltd 丸編機における選針タイミング可変装置
JPH0681201A (ja) 1992-08-31 1994-03-22 Azu:Kk トランクス
JP3462226B2 (ja) * 1992-10-09 2003-11-0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両面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JP3178751B2 (ja) * 1993-01-21 2001-06-2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ダブルニット編地、およびそ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H0931708A (ja) 1995-07-19 1997-02-04 O I Kogyo Kk スパッツタイプのタイツ
JP3038140B2 (ja) 1995-09-28 2000-05-08 株式会社ワコール 衣 類
JP2896647B2 (ja) * 1995-10-24 1999-05-31 株式会社レナウン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H108361A (ja) 1996-06-18 1998-01-13 Gunze Ltd 低融点ナイロン糸を使用したニット衣服の熱分離方法
US5730005A (en) * 1996-09-05 1998-03-24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rolling-up device and control circuit assembly
JP3037440U (ja) 1996-11-05 1997-05-16 株式会社ワコール ボトム下着
JP3046785U (ja) 1997-09-02 1998-03-17 株式会社ワコール ブラジャー
JPH11302952A (ja) 1998-04-21 1999-11-02 Yamato Corporation:Kk 円形編機及び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3055424U (ja) 1998-06-30 1999-01-12 ヨークス株式会社 腹部サポータ付き保温パンツ
JP2001200401A (ja) 2000-01-17 2001-07-27 Unitika Ltd ブリーフ及びタイツ
JP2002038359A (ja) 2000-07-21 2002-02-06 Okuma Corp 丸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86889A1 (ja) 2006-06-29
CN100477931C (zh) 2009-04-15
CN1750768A (zh) 2006-03-22
KR100886005B1 (ko) 2009-02-26
KR20080049143A (ko) 2008-06-03
TWI340025B (en) 2011-04-11
US20060169001A1 (en) 2006-08-03
TW200507773A (en) 2005-03-01
WO2004086889A1 (ja) 2004-10-14
EP1609378A1 (en) 2005-12-28
US7631520B2 (en) 2009-12-15
EP1609378A4 (en)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7070B2 (ja) プラッシュまたはパイル編み布地およびその生産のための丸編み機械
EP217114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ocks with needles on the dial
EP1270782B1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US4722202A (en) Knitted brief and method making same
KR101232701B1 (ko) 몸통 통모양부에 트임부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및 그편성방법
KR100886005B1 (ko) 하이게이지 원편기 및 하이게이지 원편기를 이용한 편성방법
KR20010101471A (ko) 3차원 니트웨어 및 양품류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과이에 의해 얻은 물품
EP1367162B1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US4150554A (en) Panty hose with elastic waist band
JP2001115365A (ja) 丸編による編物及び丸編による編物からの布製品の形成方法
US6415632B1 (en) Method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with a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cylinder and dial, particularly for producing footlets or the like
JP4087392B2 (ja) 丸編生地とインナー製品及び丸編生地の編成方法
GB1574736A (en) Method of machine knitting of a clothing blank
JPH11269702A (ja) 丸編機により衣服を製造する方法と、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衣服
JP5242195B2 (ja) 二重平編部を有する筒状生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08269802A (ja) 編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0133060A (ja) ダブル編用丸編機
JPH02277861A (ja) 複数供給部を有する円形編機を用いた特にアンダーシャツ、ワンピースボディガーメント、ブリーフ等を製造するための半加工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JP5242456B2 (ja) 筒状生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生地
CZ18934U1 (cs) Maloprumerový pletací stroj
CN113073418B (zh) 一种控制筒状织物边缘线圈大小均匀的编织方法
JP2011144479A (ja) 連続生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4916193B2 (ja) 衣類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3407632A (en) Knitted sweate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883572B1 (ko) 다공성 무봉제 니트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니트 의류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