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234A -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234A
KR20050067234A KR1020057008620A KR20057008620A KR20050067234A KR 20050067234 A KR20050067234 A KR 20050067234A KR 1020057008620 A KR1020057008620 A KR 1020057008620A KR 20057008620 A KR20057008620 A KR 20057008620A KR 20050067234 A KR20050067234 A KR 20050067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mass
shampoo composition
liquid crystal
crysta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419B1 (ko
Inventor
마사츠구 오노
에이지 니시무라
가츠노리 오우누마
나루미 다가키
유키 시모야
야스오 나가하라
유미 이소다
마사히로 구스노세
유이치 니시다
고이치 우치코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A)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 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B')/[(A) +(B')](질량비)(단, (B')은, (B)성분중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하는 오일성분)이, 0.35∼0.90이고,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2질량%를 초과하고, 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5질량% 미만이고, (A)성분과 (B)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조성물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이다. 샴푸를 헹구었을 때 발생하는 모발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특히 뻑뻑한 느낌이 발생하기 쉬운 염색한 모발에 있어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샴프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샴푸 조성물{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샴푸를 헹구었을 때에 발생하는 모발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뻑뻑한 느낌이 발생하기 쉬운 염색한 모발에 있어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는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겉모습을 밝게 보이거나, 가벼운 모발의 인상을 창출할 목적으로, 모발을 컬러링 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컬러링은, 통상, 알칼리나 과산화수소 등에 의해 화학적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모발이 손상을 받는다. 이 손상에 의해 모발의 표면에 친수성 부분이 노출됨으로써 샴푸를 헹구었을 때에 뻑뻑한 느낌이 강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뻑뻑한 느낌의 개선을 위해서는, 종래부터, 아미드 카르복실산형 계면활성제 및/또는 디카르복실산이미드형 계면활성제를, 다른 계면활성제와 조합하는 수법(일본 특개평 10-121090호 공보), 양이온성의 고분자 화합물을 샴푸속에 배합하는 수법(일본 특개평 11-236320호 공보), 아미노산 화합물을 사용하는 수법(일본 특개평 7-310100호 공보),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수법(일본 특개 2001-207191호 공보)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컬러링한 모발에 있어서는 효과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액정을 형성하는 조성물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고급 알콜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액정 분산 세제조성물(일본 특개 2001-311099호 공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비히클에 자외선 흡수제, 수용성 물질을 내포시킨 모발 화장료(일본 특개평 9-87147호 공보) 등이 있지만, 뻑뻑함 개선에는 효과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부분급랭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전형적인 조성의 샴푸조성물을 DSC 측정했을 때의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A)성분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샴푸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알킬 4차암모늄염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식중, R1, R2, R3, 및 R4는, 각각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알케닐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R1, R2, R3, 및 R4 중 1개 또는 2개는 탄소수 10∼24, 바람직하게는 16∼22의 직쇄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나머지는 메틸기, 에틸기, 벤질기, 또는 -(C2H4O)q-H, -(C3H6O)r-H(단, q 및 r은 각각 1∼5의 정수)로 표시되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기이고, 이것들은 서로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 Z-는 음이온을 나타낸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통상, 염의 형태로 배합되고,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숙신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 지방산염, 피로글루탐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A)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16∼22의 직쇄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이들중, 염산염, 브롬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그 염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5는 탄소수 1∼21의 직쇄상 혹은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A는 탄소수 1∼10의 직쇄상 혹은 분기쇄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이고, t는 1∼5의 정수이며, t가 2 이상인 경우, 각 블록중의 A는 서로 상이해도 좋다.)
상기 일반식 (2)중의 R5는 탄소수 1∼21, 바람직하게는 11∼19의 직쇄상 혹은 분기쇄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예를 들면, C11H23-, C12H25-, C13H27-, C14H29-, C15H31-, C16H33-, C17H35-, (C8H17)2CH-, 4-C2H5C15H30- 등의 기가 바람직하다.
치환기 A는, 탄소수 1∼10, 바람직하게는 2∼6의 직쇄상 혹은 분기쇄상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이고,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이소프로필렌기, 2-펜티닐기, 2-에틸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구아니딘 유도체는, 통상, 염의 형태로 배합되고,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숙신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 지방산염, 피로글루탐산염, p-톨루엔 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염산염, 브롬산염, 아세트산염, 글리콜산염, 시트르산 및 산성 아미노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노산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산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모노-N-장쇄 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저급 알킬 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을 구성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르니틴, 리신 및 아르기닌 등의 천연 아미노산을 들 수 있다. 또, α,γ-디아미노부티르산과 같은 합성 아미노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들은 광학활성체이어도 라세미체이어도 좋다.
또, 그 아실기는 탄소수가 8∼22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고급 지방산 잔기이다. 이것들은 천연의 것이어도 합성된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및 스테아로일기 등의 단일 고급 지방산 잔기, 및 야자유지 지방산 잔기 및 우지 고급 지방산 잔기 등의 천연의 혼합 고급 지방산 잔기를 채용할 수 있다.
저급 알킬 에스테르 성분으로서는, 메틸 에스테르, 에틸 에스테르,프로필 에스테르, 부틸 에스테르, 펜틸 에스테르, 헥실 에스테르, 헵틸 에스테르 및 옥틸 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저급 알킬 에스테르 성분은, 통상, 염의 형태로 배합되고,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숙신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 지방산염, L- 또는 DL-피롤리돈 카르복실산염, 피로글루탐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염산염, L- 또는 DL-피롤리돈 카르복실산염 및 산성 아미노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6는 탄소수 7∼23, 바람직하게는 9∼22의 지방산 잔기, 더 바람직하게는 13∼22이고, R7은 탄소수 1∼4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m은 2∼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트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야자유지 지방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트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트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트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헨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헨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트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트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트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헨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헨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통상, 염의 형태로 배합되고, 구체적으로는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염류, 글리콜산염,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숙신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고급 지방산염, 피로글루탐산염, p-톨루엔 술폰산염 등의 유기산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 산성 아미노산염, 시트르산염, 염산염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화에 사용되는 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중에서도, 스테아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야자유지 지방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 (A)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액정구조체의 경시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사슬 길이) 분포에 있어서, 탄소수 22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성분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중의 하한은 0.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하이다.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헹굼시에 모발에 충분한 매끈함, 유연성을 부여할 수 없고, 반면, 지나치게 많으면 모발에 끈적거리는 것과 같은 무게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A)성분으로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특히,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알킬 4차암모늄염, 및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구아니딘 유도체 또는 그 염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량은, 샴푸 조성물중의 하한은 0.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6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다.
모노-N-장쇄 아실 염기성 아미노산 저급 알킬 에스테르염과 같은 아미노산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량은, 샴푸 조성물중의 하한은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다.
아미드아민형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량은, 샴푸 조성물중의 하한은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B)성분은 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이다. 여기에서, (B)성분중의 (A)성분과 조성중에 있어서,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오일성분은, 샴푸를 했을 때의 헹굼시의 뻑뻑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이번의 샴푸 조성물에서 필수적인 것이다. (B)성분으로서는, 이하 (1)∼(5)의 단체 혹은 축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B)성분으로서는 이것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일반식 R12-OH로 표시되는 알콜 I
(2) 일반식 R13-COOH로 표시되는 지방산 II
(3) I과 다가 알콜 III의 축합물 IV
(4) II와 III의 축합물 V
(5) I 또는 IV와, II, V 또는 다염기산 VI과의 축합물
일반식 R12-OH로 표시되는 알콜 I은, R12=탄소수 1∼40의 포화, 불포화 혹은 분기의 알콜 또는 히드록시알콜이고, 구체적으로는, 메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n-부틸 알콜, 이소부틸 알콜, n-옥틸 알콜, 2-에틸헥실 알콜, 이소노닐 알콜, n-데실 알콜, 이소데실 알콜, 운데실 알콜, 도데실 알콜, 라우릴 알콜, 이소트리데실 알콜, 미리스틸 알콜, 세틸 알콜, 2-헥실데실 알콜, 세토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옥틸도데실 알콜, 아랄킬 알콜, 베헤닐 알콜, 올레일 알콜, 엘라이딜 알콜, 리놀레일 알콜, 카르나우빌 알콜, 세릴 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경시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직쇄(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등) 및 분기쇄(2-헥실데실 알콜, 2-에틸헥실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등)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직쇄의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쇄의 것이라면, 분기가 선단에 가까운 것일 수록 양호하다. 또, 사슬 길이로는, 탄소수 8∼22인 알콜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경시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직쇄의 탄소수 16∼22의 알콜(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등)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베헤닐알콜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알콜은 1종(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병용해도 좋지만,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탄소수 22의 것을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R13-COOH로 표시되는 지방산 II는, R13=탄소수 4∼40의 포화, 불포화 혹은 분기의 지방산 또는 히드록시지방산이고, 구체적으로는, 부티르산, 카프릴산, 이소노난산, 테트라메틸노난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2-헥실데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베헤닌산, 2-헵틸운데칸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틴산, 몬탄산, 멜리스산, 라우로레인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에룩산, 에이코산산, 3,5,5-트리메틸헥산산, 리놀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리놀렌산, 리시놀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피마자 경화지방산, 야자 유지산, 라놀린 지방산, 메타크릴산, 옥틸산(2에틸 헥산산), 네오데칸산(2,2-디메틸 옥탄), 시트로넬산, 아비에트산, 디히드로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파라스트린산, 피마르산, 이소피마르산, 락트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오일성분으로서 단량체로 사용할 때는 탄소수 8∼24의 지방산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경시안정성의 점에서 탄소수 16∼22의 지방산(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가 알콜 III으로서는,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다가 알콜을 들 수 있다.
(식중,a, b, c 및 d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a=c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a, c는 2∼10, b, d=1∼150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다가 알콜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데카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수크로스, 푸룩토스, 말토스, 말티톨, 크실리톨, 이노시톨, 소르비탄, 소르비톨 등이나 이들 다가 알콜의 EO부가물을 들 수 있다.
다염기산 VI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세박산 등의 카르복실산이나 인산, 황산 등의 무기산을 들 수 있다.
(3) I과 다가 알콜 III의 축합물 IV, (4) II와 III의 축합물 V, (5) I 또는 IV와, II, V 또는 다염기산 VI과의 축합물로서는, 고급 알콜의 EO, PO 부가물, 지방산의 EO, PO 부가물을 비롯하여,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디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 디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디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트리스테아르산 펜타글리세린, 트리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트리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테트라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테트라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펜타스테아르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펜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헥사스테아르산 펜타글리세린, 헥사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옥타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데카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펜타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펜타이소스테아르산 테트라글리세린, 펜타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펜타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헥사이소스테아르산 펜타글리세린, 헥사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옥타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데카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모노올레산 디글리세릴, 디올레산 글리세릴, 옥시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린 헵타베헨산 데카글리세린, 트리올레산 펜타글리세린, 트리베헨산 펜타글리세린, 테트라베헨산 펜타글리세린, 펜타베헨산 펜타글리세린, 디베헨산 트리글리세린, 트리베헨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베헨산 트리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카프릴, 카프르산)글리세린 등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트리옥탄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스테아르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트리틸, 헥사옥시스테아르산 디펜타에리트릴, 디펜타에리트리트 지방산 에스테르, 디카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 프로필렌글리콜,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락트산 옥틸도데실, 라우르산 헥실, 옥탄산 미리스틸, 옥탄산 팔미틸, 옥탄산 스테아릴, 이소옥탄산 세틸,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트리데실,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부틸,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스테아르산2-헥실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팔미트산 이소스테아릴, 팔미트산 옥틸,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 세틸, 스테아르산 메틸, 스테아르산 부틸, 스테아르산 헥실, 스테아르산 옥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프로필,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옥틸, 올레산 에틸, 올레산 올레일, 올레산 옥틸도데실, 에이코산산 옥틸,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놀린 지방산 옥틸도데실, 리놀산 에틸, 리놀산 이소프로필, 숙신산 디옥틸, 숙신산 디에톡시에틸,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다이머산 디이소프로필, 세박산 디에틸, 세박산 디이소프로필,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시트르산 트리2-에틸헥실, 아디프산2-헵틸운데실, 숙신산 디에톡시에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아디프산 축합물, 디글리세린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 세박산 축합물,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 피토스테릴 등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오일성분으로서, 알킬에테르 인산 또는 그 염과 알킬에테르 인산의 POE(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알킬아민과 그 POE 유도체, 지방산 아미드와 그 POE 유도체, 피마자유 또는 경화 피마자유와, 그 POE 유도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목랍 등의 식물랍, 밀랍, 경랍, 양모랍 등의 동물랍,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등의 석유랍, 몬탄 왁스,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등의 광물랍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는, 시간 경과시의 보존안정성의 점에서, 융점이 45℃ 이상인 고급(탄소수 16∼22) 알콜(세토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릴 알콜, 아라킬 알콜, 베헤닐 알콜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액정을 형성하기 쉽다는 점에서, (B')으로서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하는 오일성분(상기 (1) 및 (2), 및 (3) 및 (4)의 HLB4 미만의 것)을, 후술하는 (A)성분과의 비율로 조성물중에 배합할 필요가 있다. 또한, (B')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B)성분으로서는,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을 형성하지 않는 그 밖의 규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성분(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지방산 에스테르, 디스테아르산 글리콜 등과 같은 펄 부여제, POE 경화 피마자유, POE 디올레산 메틸글리코시드, 알킬 지방산아미드 등의 감점, 증점 및 안정화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샴푸 조성물중의 (A)와 (B')의 질량비는, (B')/[(A)+(B')]이 0.35∼0.90이고, 하한은 0.50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0.80이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35 미만 또는 0.90을 초과하면, 헹굼시의 뻑뻑함 개선이 약해지게 된다.
(A)와 (B)성분의 가장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i) (A) 탄소수 16∼22의 모노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22의 알콜의 조합에서, (B')/[(A)+(B')]=0.6∼0.8
(ii) (A) 탄소수 16∼22의 디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22의 알콜 조합에서, (B')/[(A)+(B')]=0.5∼0.7
(B')성분 및 (B')성분 이외의 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 전체의 배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샴푸 조성물중의 하한은 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이다. 배합량이 0.5질량% 미만에서는 사용감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반면, 10질량%를 초과하면 경시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C)성분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이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베타인계 활성제, 아미드베타인계 활성제, 술포베타인계 활성제,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활성제, 아미도술포베타인계 활성제, 포스포베타인계 활성제, 이미다졸리늄 베타인계 활성제, 아미노프로피온산계 활성제, 아미노산계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야자유지방산 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라우릴 히드록시술포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이미노디프로피온산, N-[3-알킬(12,14)옥시-2-히드록시프로필]-L-아르기닌 염산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 술폰산염, 알킬 황산염, 아실화 아미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벤젠 술폰산염, N-아실-N-메틸타우린염, α-올레핀 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알킬에테르 아세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아세트산염, 지방산 비누, 알킬 인산에스테르염, N-라우로일 글루탐산염, N-팔미토일 글루탐산염, N-라우로일-N-에틸글리신염, N-라우로일사르코신염, N-미리스토일-β-알라닌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야자유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수크로스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글리코시드, 알킬글리세릴글리코시드, 메틸글루코시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모노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 베헨산 모노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60) 폴리옥시프로필렌(30)글리콜, 알킬 글루코시드 등이 바람직하다.
(C)성분의 배합량의 하한은, 샴푸 조성물중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며, 상한은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는, 거품생성의 점에서 이온성을 나타내는 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2질량%를 초과할 필요가 있고, 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온성을 나타내는 활성제의 배합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30질량%이다. 또, 분산안정성의 관점에서, 음이온성을 나타내는 활성제(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질량% 미만이고, 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음이온성을 나타내는 활성제의 배합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질량% 이다. 또한, 헹굼시의 뻑뻑함 방지 지속성의 점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D)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D)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배합함으로써 분산 안정성이 현격하게 양호해진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 스멕타이트 점토, 점토 광물을 4차암모늄염형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유기변성 점토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활성제 공존하에서 분산성이 좋은 점토 광물이 바람직하고, 그 예로서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사우코나이트, 스테벤사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팽윤성의 운모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는,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D)성분으로서는 이것들을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수팽윤성 점토 광물, 특히 천연으로부터 채취한 것은, 칼사이트, 트리디마이트, 크리스토발라이트, 석영, 각종 무기물 등의 비팽윤성 협잡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점토 광물이 갖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점토 광물의 순도가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배합량은, 분산안정성의 관점에서, 샴푸 조성물중 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하한은 0.0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의 상한은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E)아민옥사이드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아민옥사이드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거품생성이 크림처럼 부드럽게 된다. (E)성분인 아민옥사이드로서는, 하기 일반식 (5)로 표시되는 아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식중, R8은 탄소수 8∼24, 바람직하게는 8∼18의 1가 탄화수소기이고, 특히 탄소수 8∼18의 직쇄상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9, R10은 각각 탄소수 1∼3의 알킬기 혹은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하기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치환기이며, 메틸기, 히드록시에틸기가 바람직하다. n은 0 또는 1∼5의 정수이고, n은 0이 바람직하다.)
(식중, R1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p는 1∼5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민옥사이드로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라우릴디히드록시에틸아민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산화 에틸렌의 평균부가수: 3몰)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상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아민옥사이드가 1종 또는 2종 이상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아민옥사이드를 상품명으로 나타내면, 도호카가쿠고교(주)제 소프타민 L, 교에카가쿠고교(주)제 옥사민 ALS, 라이온아크조(주)제 아로목스 C/12, 아로목스 C/12W, 아로목스 DMC-W, 아로목스 CM12D-W(C) 등을 들 수 있다.
(E)성분인 아민옥사이드의 배합량의 하한은, 크림같은 거품생성을 발현하는 점에서, 샴푸 조성물중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필수성분, 임의성분 및 정제수 등의 물 이외에,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샴푸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들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각종 첨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유도체, 음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 폴리올류, 식염, 망초 등의 무기염류, 유기염류,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토닉제, 가용화제, BHT나 α-토코페롤 등의 산화방지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카르반 등의 살균제, 고분자 화합물,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점도조정제, 자외선 흡수제,산화방지제, 단백 유도체, 동식물 추출액, 피록톤올라민, 징크 피리티온 등의 비듬방지제,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등의 항염증제, 벤조산 및 그 염, 파라벤류, 캐톤CG 등의 방부제, 시트르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pH 조정제, 에틸렌글리콜 디지방산에스테르 등의 펄화제, 유탁제, 하이드로트로프, 저급 알콜, 비타민류, 휘발성 오일성분, 소수성 용매, 희석성 용매, 색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성분은 1종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배합해도 되는데,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실리콘 유도체로서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샴푸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실리콘고무를 포함함), 메틸페닐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폴리아미노변성 실리콘, 베타인변성 실리콘, 알콜변성 실리콘, 불소변성 실리콘, 에폭시변성 실리콘, 메르캅토변성 실리콘, 카르복시변성 실리콘, 지방산변성 실리콘, 실리콘그라프트 폴리머, 환상 실리콘, 알킬변성 실리콘, 트리메틸실릴기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 실라놀기말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중에서도,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폴리아미노변성 실리콘이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실리콘 유도체중에서도, 마무리의 매끄러움이 향상되는 점에서, 굴절율이 1.46 미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1.42미만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굴절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39 이상이 바람직하다.
(F) 굴절율이 1.46 미만인 실리콘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레오플로우 DMS-55(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제), SM8704C(토레이·다우코팅 가부시키가이샤 제), SH3775M(토레이·다우코닝 가부시키가이샤 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굴절율은 화장품원료기준 일반 시험법(아베 굴절계)에 의해, 25℃에서 측정하여 얻어진 것이다.
또한, 이들 실리콘 유도체는, 그 점도 등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온도 25℃에서의 점도가 1∼20000000cSt(센티미터스톡스, 10-6m2/s,), 바람직하게는 30∼1000000cSt의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리콘 유도체로서는, 상기 실리콘 유도체를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화하고, 에멀션화 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에멀션화 한 것은, 유화제나 유화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여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유도체를 배합하는 경우, 분산안정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의 제품점도는 500∼15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0∼10000mPa·s가 바람직하다. 500mPa·s 미만에서는, 실리콘의 분산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15000mPa·s를 초과하면, 용기로부터의 배출성이 나빠,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비이온성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펙틴, 카라기난,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젤라틴, 크산탄 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긴산염, 전분,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메타크릴산염, 폴리메틸아크릴산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트라가란트 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성부여제로서, (G)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고, 메톡시기 25∼35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5∼15질량%(단, 수산기, 메톡시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다.)이고, 2질량% 수용액의 20℃에서의 점도가 2100∼35000mPa·s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특히 샴푸 조성물의 용해성이 양호하고, 헹굼시의 뻑뻑한 느낌이 없고, 거품생성시에 보다 미세한 거품질의 것을 얻을 수 있다.
(식중, 분자말단 및 R은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폭시기를 나타낸다.)
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는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1부가 메톡시기 혹은 히드록시프로폭시기로 치환된 것이다. 수산기, 메톡시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 경우, 메톡시기의 함유율은 25∼35질량%, 바람직하게는 28∼30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함유율은 5∼15질량%, 바람직하게는 7∼12질량%이다. 각각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내가 아니면 거품의 부드러움성 향상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점도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의 2질량% 수용액을, BM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30회전/분으로 측정한다. 점도가 2100mPa·s 미만의 것에서는 충분한 거품 개질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35000mPa·s를 초과하면 용해성 불량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는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고, 또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다.
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배합하는 경우, 양호한 거품질의 점에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중의 배합량의 하한은, 0.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상이고, 상한은 2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하이다.
양이온성 폴리머로서는 관능기가 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인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호모폴리머,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양이온화 셀룰로스, 양이온화 구아검, 양이온화 덱스트란, 양이온화 풀룰란, 4차화 비닐피롤리돈-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축합물, 아디프산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디에틸트리아민 공중합체, 4차 질소함유 스타치 등 외에,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실크,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소맥, 양이온화 가수분해 케라틴, 양이온화 가수분해 실크, 양이온화 가수분해 콜라겐, 양이온화 가수분해밀, 실리콘화 가수분해 콜라겐, 실리콘화 가수분해 실크의 단백 가수분해에 양이온 기를 도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향료로서는, 구체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 테르펜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콜, 테르펜 알콜, 방향족 알콜 등의 알콜류, 지방족 에테르, 방향족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지방족 옥사이드, 테르펜류의 옥사이드 등의 옥사이드류, 지방족 알데히드, 테르펜계 알데히드, 지방족 환상 알데히드, 티오 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방족 케톤, 테르펜 케톤, 지방족 환상 케톤, 비벤젠계 방향족 케톤, 방향족 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탈류, 케탈류, 페놀류, 페놀 에테르류, 지방산, 테르펜계 카르복실산,지방족 환상 카르복실산, 방향족 카르복실산 등의 산류, 산 아미드류, 지방족 락톤, 대환상 락톤, 테르펜계 락톤, 지방족 환상 락톤, 방향족 락톤 등의 락톤류, 지방족 에스테르, 푸란계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환상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시클로헥실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테르펜계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니트로머스크류, 니트릴, 아민, 피리딘류, 퀴놀린류, 피롤, 인돌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등의 합성 향료 및 동물, 식물로부터의 천연향료, 천연향료 및/또는 합성향료를 포함하는 조합 향료를 들 수 있고, 이들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향료로서는, 1996년 화학공업일보사 간행 인도 모토카즈 저술 「합성 향료화학과 상품지식」, 1969년 MONTCLAIR, N.J. 간행, 스테펜 아크텐더(STEFFEN ARCTANDER) 저술 「퍼퓸 앤드 플래버 케미칼즈」(Perfume and Flavor Chemicals)」 등에 기재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천연향료로서는, 「향기의 백과」(일본향료협회편)에 기재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주요 향료명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면, 알데히드 C6∼C12, 아니스알데히드, 아세탈R, 아세토페논, 아세틸세드렌, 아독살, 알릴아밀 글리콜레이트,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암브록산, 아밀신나믹 알데히드, 아밀신나믹 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 아밀발레리아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이소아밀아세테이트, 이소아밀살리실레이트, 오란티올, 아데틸 오이게놀, 바크다놀,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살리실레이트, 베르가밀 아세테이트, 보르닐 아세테이트, 부틸 부티레이트, p-t-부틸시클로헥사놀, p-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사놀,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벤즈알데히드, 벤질포르메이트, 카리오필렌, 카슈메란, 카르본, 세드로앰버, 세드릴아세테이트, 세드롤, 셀레스톨리드, 신나믹 알콜, 신나믹 알데히드, 시스자스몬, 시트랄, 시트랄디메틸아세탈, 시트라살,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포르메이트, 시트로넬릴 니트릴, 시클라셋, 시클라멘 알데히드, 시클라프로프, 카론, 쿠마린, 신나밀 아세테이트, δ-C6∼C13 락톤, 디메틸벤질카르비놀, 디히드로자스몬, 디히드로리날룰, 디히드로미르세놀, 디미톨, 디미르세톨, 디페닐옥사이드, 에틸바닐린, 오이게놀, 프루이테이트, 펜칠알콜, 페닐에틸 페닐아세테이트, 갈락솔리드, γ-C6∼C13 락톤,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미르센, β-카리오필론, 게라니올, 게라닐 아세테이트, 게라닐 포르메이트, 게라닐 니트릴, 헤디온, 헬리오날, 헬리오트로핀, cis-3-헥세놀, cis-3-헥세닐 아세테이트, cis-3-헥세닐 살리실레이트, 헥실신나믹 알데히드, 헥실살리실레이트, 히야신트디메틸아세탈, 하이드로트로픽 알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인돌, 이오논, 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이소시클로시트랄, 이소E수퍼, 이소 오이게놀, 이소노닐아세테이트, 이소부틸퀴놀린, 자스말, 자스몰아세톤, 쟈스모필란, 코르반, 리구스토랄, 릴리알, 라임 옥사이드, 리날룰, 리날룰 옥사이드, 리날릴 아세테이트, 리랄, 만자네이트, 미올, 멘타닐 아세테이트, 멘토네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메틸 오이게놀, 멘톨, α-메틸 이오논, β-메틸 이오논, γ-메틸 이오논, 메틸 이소오이게놀, 메틸라벤더케톤, 메틸살리실레이트, 뮤게 알데히드, 무골, 머스크 TM-II, 머스크 781, 머스크 C14, 머스콘, 시베톤, 시클로펜타데카논, 시클로헥사데세논,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암브레톨리드, 시클로헥사데카놀리드, 10-옥사헥사데카놀리드, 11-옥사헥사데카놀리드, 12-옥사헥사데카놀리드,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에틸렌도데칸디오에이트, 옥사헥사데센-2-온, 14-메틸헥사데세놀리드, 14-메틸-헥사데카놀리드, 머스크 케톤, 머스크 티베틴, 노필 알콜, 노필 아세테이트, 네릴 아세테이트, 네롤, 메틸페닐 아세테이트, 미락 알데히드, 네오베르가메이트, 오크 모스 No.1, 오르본, 옥시페닐론, p-크레졸 메틸에테르, 펜타리드, 페닐에틸 알콜,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루바푸란, 다마세논, 래즈베리 케톤,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자스마시클렌, 메틸나트틸케톤, 로즈페논, 로즈 옥사이드, 산달로아, 산델라, 산달렉스, 스티테랄 아세테이트, 스티랄릴 푸로피오네이트, 테르피네올,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롤리날룰, 테트라히드롤리날릴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게라니올, 테트라히드로게라닐 아세테이트, 토날리드, 트라세올리드, 트리프랄, 티몰, 바닐린, 베르독스, 야라야라, 아니스 오일, 베이 오일, 보아데스 오일, 카난가 오일, 카르다몬 오일, 카시아 오일, 히말라야삼목 오일, 오렌지 오일, 만다린 오일, 탄게린 오일, 바실 오일, 육두구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클로브 오일, 코리앤더 오일, 엘레미 오일, 유카립투스 오일, 회향 오일, 갈바넘 오일, 제라늄 오일, 히바 오일, 노송 오일, 자스민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레몬 오일, 레몬글래스 오일, 라임 오일, 네놀리 오일, 오크모스 오일, 오코티아 오일, 파출리 오일, 페퍼민트 오일, 페릴라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 파인 오일, 로즈 오일, 로즈메리 오일, 장뇌 오일, 호 리프 오일, 클라리 세이지 오일, 산달우드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 스타 아이스 오일, 타임 오일, 통카 빈 팅크, 테레빈 오일, 바닐라 빈 팅크, 베티버 오일, 일랑일랑 오일, 그레이프후르츠 오일, 유자나무 오일, 벤조인, 페루 발삼, 톨루 발삼, 튜베로스 오일, 앱솔루트 오크모스, 퍼 발삼, 머스크 팅크, 카스트리움 팅크, 시벳 팅크, 앰버그리스 팅크 등이다.
또, 향료의 용제 또는 보유제로서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벤질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하콜린, 이소펜탄, 오렌지 테르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조성물중에 분산된 것이다. 액정구조체가, 조성물중에 분산함으로써, 샴푸 헹굼시의 뻑뻑함, 특히 컬러링한 모발의 심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액정구조체는, 상기 (A)성분과 (B)성분으로 형성되는데, 이 2성분의 이외에 다른 성분이 미량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액정구조는 X선 회절,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등에 의해 확인 할 수 있다. 분산상태란 액정구조체가 가용화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샴푸 조성물에 분산되어 있는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의 상한은, 20㎛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하한은 0.0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이 20㎛ 이상에서는, 헹굼시의 뻑뻑함 방지 효과나 마무리의 매끄러움이 저하되어,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동시에, 분산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 0.05㎛ 미만에서는, 거품생성이 저하되고, 또한 유화제의 영향에 의해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코스트적으로도 불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은, 광학현미경으로 포착한 입자의 상을 임의로 100개소 컴퓨터에 집어넣고, 동배율로 한 뒤에, 화상처리(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twinROOF)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상법 또는 일본 특개 2001-31109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제조방법으로서는,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을, 상기 (A) 및 (B)성분의 결정화온도 이상에서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뽑아내고, 이것을 급랭하는 동시에, 이 급랭한 것을 혼합물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냉각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D)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배합하는 경우는, 물에 분산 또는 팽윤시킨 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해, 복수의 제조 뱃치를 연속으로 생산할 때, 뱃치간의 조내 세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효율을 비약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혼합할 때의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을 첨가해도 좋고, 그 반대이어도 좋다. 액정구조체는 온도가 낮으면 고화되기 쉬우므로, 균일하게 분산된다는 점에서,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가온 교반하면서 액정구조체를 가온 용해시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하는 온도는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결정화온도 이상이다. 이러한 온도에서 혼합함으로써, 액정구조체는 세정성 계면활성제중에 균일하게 혼합 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결정화온도(T℃로 약칭함)는, 단순하게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을 혼합, 가온 용해한 것의 결정화온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중에서 결정화하는 온도이다. T℃는 샴푸 조성물을 시료로 하고 시차주사형 열량분석계(DSC)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측정조건으로서는, 시료량 5∼50mg, 온도상승 속도는 0.5∼2.0℃/min으로 측정함으로써, 가장 T℃를 정밀도 좋게 알 수 있다.
전형적인 하기 조성의 샴푸 조성물을 DSC 측정한 차트를 도 2에 도시한다. 샴푸 조성물 33mg을 온도상승 속도 1℃/min로 측정했다. 도 2의 가장 좌측의 큰 흡열 피크는 액정구조체의 전이 피크인데, 그것보다 고온측에 작은 흡열 피크를 볼 수 있다. 그 흡열 피크의 흡열이 종료하는 온도가 T℃이고, 이 시료의 경우 73℃이다.
조성 질량%
세정성 계면활성제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14.0
액정구조체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2.0
베헤닐알콜 4.8
기타 성분 7.0
물 잔부
합계 100.0
T℃를 측정하는 샴푸 조성물은, 우선, 조성물중의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혼합물을 제작하고, 가온하여 용해온도를 조사한다. 다음에, 세정성 계면활성제 성분과 액정구조체를 그 용해온도보다도 1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충분히 혼합한 후, 30℃ 이하로 냉각한다(냉각방법은 일반적인 재킷 냉각법을 사용할 수 있다. 냉각속도는 0.5∼2.0℃/min). 조제후, 3일 이상 방치한 것을 시료로 하여 DSC에 의해 T℃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에 얻어진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것이다. 냉각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혼합조의 외측의 재킷에 냉각수를 흘리는 냉각법이어도 좋고, 혼합물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뽑아 내고, 이것을 급랭하는 동시에, 이 급랭한 것을 혼합물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방법(이하, 연속 부분급랭법으로 약칭함)이어도 좋다. 특히 냉각시간 단축의 점에서, 연속 부분급랭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급랭이란, 가온상태에 있는 혼합물을 순간적으로 10∼35℃으로 냉각하는 것을 말한다.
연속 부분급랭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냉각을 개시하기 직전의 상태는, 온도가 T℃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와 액정구조체와의 혼합물이다. 연속 부분급랭법이란, 혼합물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뽑아 내고, 이것을 급랭하는 동시에, 이 급랭한 것을 혼합물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혼합물 전체의 온도를 내리는 냉각방법이다. 연속 부분급랭법에 사용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럭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배합조(1)에서 제작한 T℃ 이상의 샴푸 조성물을 순환 라인(2)에서 순환시킨다. 순환 라인(2)의 도중에는 열교환기(4)가 구비되어 있고, 열교환기(4)에는, 냉각수 라인(3)을 통하여 냉수제조기(5)로부터 냉수가 보내져서 배출된다. 순환 라인(2)에서 순환하는 샴푸 조성물은 열교환기(4)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되어, 다시 배합조(1)에 되돌려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조 외측의 재킷에 냉각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서서히 냉각하는 일반적인 방법과 비교하여, 냉각시간을 1/2∼1/5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의 냉각수의 온도는 1∼25℃, 바람직하게는 1∼15℃이다. 1℃ 보다 낮으면 냉각수는 동결하여 냉각이 곤란하게 되고, 25℃ 보다 높으면 냉각 효율이 낮다. 또, 열교환기(4)의 처리능력이 높으면, 샴푸 조성물의 일정시간당의 순환용량을 보다 많게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냉각 종료 온도의 관리의 용이함의 점에서, 열교환기(4)로부터 나오는 부분냉각후의 샴푸 조성물 및 냉각수의 온도가 조성물 전체의 냉각종료 예정온도로부터 -5∼-20℃가 바람직하다.
이 연속 부분급랭법을 실시하려면, 사용하는 냉각수의 온도부근에서의 샴푸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점도가 높아지면, 열교환기내의 냉각부에서 샴푸 조성물이 고화되기 때문에 냉각할 수 없게 된다. 그것을 막으려면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면 되지만, 샴푸 조성물의 냉각속도가 지연되어 경제적 메리트가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5℃에서의 샴푸 조성물의 점도가 2.0Pa·s 이하이면, 높은 냉각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점도는 제조시의 조성물 점도를 나타내고 있고, 냉각을 종료하여 최종조성물로서 완성한 후, 그것을 5℃로 냉각했을 때의 점도와는 크게 다른다. 그 이유는, 조성물로서 완성한 후는 시간과 함께 계가 구조화하여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물에 분산 또는 팽윤시킨 점토 광물을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결정 석출을 대폭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결정 석출이 일어나기 쉬운 연속 부분급랭법에 있어서도, 액정구조체를 안정하게 분산할 수 있다. 또, 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을 직접 첨가하는 방법에서는, 동일한 배합조에서 복수 뱃치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필요가 생겼을 때, 상기 뱃치의 제조에서 조내의 벽면 등에 잔류한 샴푸 조성물이 다음 뱃치의 제조시에 혼입하여, 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의 결정 석출 억제효과를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조내를 세정하고 나서 다음 뱃치의 제조를 행할 필요가 있는데, 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을, 물에 분산 또는 팽윤시킨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함으로써 뱃치간의 조내 세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효율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덧붙여, 1∼5질량%의 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의 수분산 또는 팽윤액을, 필요에 따라서 50∼80℃로 가온함으로써, 안정성이 높고, 저점도에서 이송하기 쉬운 수분산 팽윤액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샴푸의 상용량을 상법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모발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특히 모발의 손상이 심한 컬러링한 모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의 용기로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튜브, EVAL 튜브, 알루미늄 튜브, 유리 증착 플라스틱 튜브 등의 튜브 이외에, 기계적 또는 차압에 의한 디스펜서 용기 및 스퀴즈 용기, 라미네이트 필름 용기, 시린지 용기, 스틱 용기, 보틀 용기 등에 충전할 수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은, 통상 2층 이상의 다층을 갖고, 그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2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합성수지, 종이, 알루미늄 증착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다. 강도, 유연성, 내후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는 2∼5층의 것을 사용한다. 보틀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비닐알콜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ABS수지, 폴리아미드 등 및 유리 등을 단층 또는 2층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샴푸를 헹굼시에 발생하는 모발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특히 뻑뻑한 느낌이 발생하기 쉬운 컬러링한 모발에 있어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샴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샴푸를 헹구었을 때에 발생하는 모발의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특히 뻑뻑한 느낌이 발생하기 쉬운 컬러링한 모발에 있어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 (C)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A)성분과, (B)성분중 (B')로서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오일성분을 특정 질량비로 하고, 또한 조성물중의 (C)성분을 특정 비율로 하고, 상기 액정구조체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샴푸 조성물로 함으로써, 샴푸 헹굼시의 뻑뻑함, 특히 컬러링한 모발의 심한 뻑뻑한 느낌을 개선하고, 또한 거품생성이 우수하고,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샴푸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발명을 제공한다.
[1]. (A)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 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B')/[(A)+(B')](질량비)(단, (B')은, (B)성분중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하는 오일성분)가, 0.35∼0.90이고,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2질량%를 초과하고, 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5질량% 미만이고, (A)성분과 (B)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조성물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2].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이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샴푸 조성물.
[3]. (D)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을 0.01질량% 이상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기재의 샴푸 조성물.
[4]. (E)아민옥사이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샴푸 조성물.
[5]. (F)굴절율 1.46 미만의 실리콘 유도체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샴푸 조성물.
[6]. (G)점성부여제로서, 하기 식
(식중, 분자말단 및 R은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폭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고, 메톡시기 25∼35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5∼15질량%(단, 수산기, 메톡시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다.)이고, 2질량% 수용액의 20℃에서의 점도가 2100∼35000mPa·s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샴푸 조성물.
[7]. 컬러링한 모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샴푸 조성물.
[8].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을 구성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결정화온도 이상에서,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상기 혼합물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뽑아 내고, 이것을 급랭하는 동시에, 이 급랭한 것을 혼합물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제조방법.
[10]. 물에 분산 또는 팽윤시킨 (D)점토광물을,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제조방법.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예에서 조성의 %는 질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12, 비교예 1∼8]
표 1,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하기 제조방법으로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거품생성의 양호함, 헹굼시의 뻑뻑함이 없음 및 분산안정성의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1, 2에 병기한다. 또한, 표중의 (B')은 (B)성분중의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하는 오일성분을 나타낸다.
[제조방법]
i. (A)성분, (B)성분의 유용성 성분 및 기타 유용성 성분을, 45∼80℃로 가온 용해하여 오일상을 조제했다.
ii. 계면활성제 및 기타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에 실온∼80℃에서 용해하여 수상을 조제했다.
iii. ii에서 얻어진 수상에 i에서 얻어진 오일상을 첨가하고, 아지호모믹서로 교반하여, O/W형 에멀션을 형성했다.
iv. 패들 믹서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서랭하고, 필요에 따라서 pH조정하여 샴푸 조성물을 얻었다.
샴푸의 거품생성의 평가
<방법>
갈색계로 염색한, 길이가 쇼트∼세미 롱의 모발의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해, 샴푸 조성물을 10일간 사용했을 때의 샴푸의 거품생성에 대해, 하기 평점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표중에서는 10명의 합계점을 하기 기준으로 나타냈다.
또, 샴푸후에 사용하는 린스·컨디셔너 등의 인 배스 제품이나 스타일링제나 헤어케어제 등의 아웃 배스 제품은, 각 패널리스트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평점>
+2점: 매우 좋다
+1점: 약간 좋다
-1점: 약간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기준>
◎: 합계점이 15점 이상
◎∼○: 14∼10점
○: 합계점이 9∼5점
△: 합계점이 4∼0점
△∼×: 합계점이 -1∼-4점
×: 합계점이 -5점 이하
샴푸를 헹구었을 때의 뻑뻑한 느낌의 평가
<방법>
갈색계로 염색한, 길이가 쇼트∼세미 롱의 모발의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해, 샴푸 조성물을 10일간 사용했을 때의 헹굼시의 뻑뻑한 느낌에 대해, 하기 평점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표중에서는 10명의 합계점을 하기 기준으로 나타냈다.
또, 샴푸후에 사용하는 린스·컨디셔너 등의 인 배스 제품이나 스타일링제나 헤어케어제 등의 아웃 배스 제품은, 각 패널리스트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평점>
+2점: 매우 좋다
+1점: 약간 좋다
-1점: 약간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기준>
◎: 합계점이 15점 이상
◎∼○: 14∼10점
○: 합계점이 9∼5점
△: 합계점이 4∼0점
△∼×: 합계점이 -1∼-4점
×: 합계점이 -5점 이하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의 평가
<방법>
조제한 샴푸 조성물을, 50℃에서 1개월간 저장하고, 그 외관 및 편광현미경에 의한 관찰에 의해,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그 균일 분산성을 평가했다.
<기준>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쁘다
경시 보존에는, 이하의 용기 (1)∼(9) 각각 모두에, 샴푸 조성물을 충전하여 행했다. 또한, 하기중의 PE는 폴리에틸렌, PP는 폴리프로필렌,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는 폴리아미드,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나타낸다.
<보틀 용기>
(1) 보틀부: 재질PP 캡: 재질PP
(2) 보틀부: 재질 HDPE 캡: 재질PP
(3) 보틀부: 재질 PET 캡: 재질PP
(4) 보틀부: 재질PP/HDPE 캡: 재질PP
<펌프 용기>
(5) 보틀부: 재질 PP 디스펜서부: 사용재질 PP 및 PE 및 SUS304
(6) 보틀부: HDPE 디스펜서부: 사용재질 PP 및 PE 및 SUS304
(7) 보틀부: PET 디스펜서부: 사용재질 PP 및 PE 및 SUS304
(8) 보틀부: PP/HDPE 디스펜서부: 사용재질 PP 및 PE 및 SUS304
<파우치 용기>
(9) 재질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틸렌 파우치
[실시예 13∼22, 비교예 9∼14]
표 3,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하기 제조방법으로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평가방법에 기초하여 거품생성의 양호함, 헹굼시의 뻑뻑함이 없음, 마무리의 매끄러움, 마무리의 끈적거림의 없음 및 분산안정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3, 4에 병기한다.
[제조방법]
i. (A)성분, (B)성분의 유용성 성분 및 기타 유용성 성분을, 60∼80℃에서 가온 용해하여 오일상을 조제했다.
ii. 계면활성제 및 기타의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에 투입하고, 60∼80℃에서 용해하여 수상을 조제했다.
iii. ii에서 얻어진 수상에 i에서 얻어진 오일상을 첨가하고, 아지호모믹서로 교반하여, O/W형 에멀션을 형성했다.
iv. 패들 믹서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서랭하고,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하여 샴푸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F)성분은 종류에 따라, i 혹은 ii에 혼합 또는 iv에 실온으로 되고나서 혼합했다.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은, 광학현미경으로 포착한 입자의 상을 임의로 100개소 컴퓨터에 집어넣고, 동배율로 한 뒤에, 화상처리(예를 들면, 컴퓨터 소프트웨어 twinROOF)함으로써 구했다.
샴푸의 거품생성의 평가 및 샴푸를 헹굼시의 뻑뻑한 느낌의 평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했다.
완성된 모발의 매끄러움과 끈적거림 없음의 평가방법 및 기준
<방법>
헤어컬러링을 한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의 두발을 좌우로 2분 하고, 한쪽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을, 또 한쪽에 하기 조성의 대조 샴푸를 각각 3.0mL씩 도포하여 샴푸하고, 완성된 모발의 매끄러움과 끈적거림 없음을 하기 평점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표중에서는, 10명의 합계 평점을 하기 기준으로 나타냈다.
대조 샴푸
조성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 10%
(평균 EO 부가몰수: 3)
야자유지방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5%
염화나트륨 2%
디메틸 실리콘(100000cSt) 1%
양이온화 셀룰로스 0.3%
트리메틸글리신 0.2%
시트르산 0.2%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0.8%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1%
벤조산 나트륨 0.4%
향료 0.5%
정제수 잔부
합계 100%
<평점>
+2점: 대조 샴푸에 비해 좋다
+1점: 대조 샴푸에 비해 약간 좋다
0점: 대조 샴푸에 비해 동등
-1점: 대조 샴푸에 비해 약간 나쁘다
-2점: 대조 샴푸에 비해 나쁘다
<기준>
◎: 합계점이 10점 이상
○: 합계점이 9∼5점
△: 합계점이 4∼-4점
×: 합계점이 -5점 이하
또, 샴푸후에 사용하는 린스·컨디셔너 등의 인 배스 제품이나 스타일링제나 헤어케어제 등의 아웃 배스 제품은, 각 패널리스트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시간 경과시의 분산안정성의 평가
실시예 1로 같은 방법에서 평가했다.
[실시예 23∼26]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하기 제조방법으로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평가방법에 기초하여 액정구조의 분산안정성, 거품생성 및 헹굼시의 뻑뻑한 느낌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병기한다.
[제조방법]
i. (A)성분, (B)성분의 유용성 성분 및 그밖의 오일성분을, 45∼80℃로 가온 용해하고, 오일상을 조제했다.
ii. (D)성분, (G)성분(종류에 따라 오일상에 첨가), 계면활성제 및 그 밖의 수성성분을 정제수에 실온∼80℃에서 교반 용해하여 수상을 조제했다.
iii. ii에서 얻어진 수상에 i에서 얻어진 오일상을 첨가하고, 패들 믹서로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하고, 필요에 따라서 pH 조정하여 샴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7∼37]
하기 조성에 기초하여 샴푸 조성물을 실시예 23과 동일한 상기 방법으로 조제하고, 실시예 27∼30에 대해 용해성, 실시예 31∼37에 대해 용해성 및 거품의 부드러움성에 대해 평가했다. 각각의 예에 사용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의 메톡시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질량%, 2%수용액의 점도 및 평가결과를 표 6, 7에 나타낸다.
샴푸 조성물 조성 질량%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0
베헤닐알콜 5.0
벤토나이트 0.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2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13.0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1.0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실시예 38∼44]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23의 제조방법에서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평가방법에 기초하여, 거품생성의 양호함, 거품의 미끄러짐, 헹굼시의 뻑뻑함이 없음 및 건조후의 촉촉함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8에 병기한다.
실시예 23∼44의 평가방법
샴푸 조성물 점도의 측정방법
화장품원료기준, 일반시험법의 제2법에 따라, 브룩필드형 점토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조건> 사용 로터는 No.3∼4, 로터 회전수는 30rpm
<측정방법> 샴푸 조성물을 25±1℃에 유지하고, 액중에 로터를 조용히 삽입하고 1분간 정치한 후, 로터를 회전시키고 10회전 후의 점도를 측정했다.
액정구조의 장기 분산안정성의 평가
<방법>
조제한 샴푸 조성물을, 액정구조체에 있어서 불안정한 온도(상전이점 부근)인 40℃에서 1개월 및, 1년 이상의 실온 장기보존에 상관된다고 상정한 40℃·3개월간 보존하고, 그 외관(분리 없음) 및 편광현미경에 의한 관찰에 의해, 하기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그 균일 분산성을 평가했다. 경시 보존에는, 상기 용기 (1)∼(9) 각각 모두에, 샴푸 조성물을 충전하여 행했다.
<평가기준>
◎: 매우 양호
○: 양호
△: 보통
×: 나쁘다
샴푸 조성물의 거품생성, 거품의 미끄러짐의 평가
<방법>
갈색계로 염색한 길이가 쇼트∼세미 롱의 모발의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해, 샴푸-조성물을 10일간 사용했을 때의, 샴푸의 거품생성 및 거품의 미끄러짐 대해, 하기 평점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표중에서는 10명의 합계점을 하기 기준으로 나타냈다.
또, 샴푸후에 사용하는 린스·컨디셔너 등의 인 배스 제품이나 스타일링제나 헤어케어제 등의 아웃 배스 제품은 각 패널리스트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평점>
+2점: 매우 좋다
+1점: 약간 좋다
-1점: 약간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기준>
◎: 합계점이 15점 이상
◎∼○: 14∼10점
○: 합계점이 9∼5점
△: 합계점이 4∼0점
△∼×: 합계점이 -1∼-4점
×: 합계점이 -5점 이하
샴푸 헹굼시의 뻑뻑한 느낌의 평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했다.
용해성의 평가
샴푸 조성물을 조제하고, 조제 직후의 액의 상태를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
◎: 균일하고 침전물이나 불용의 겔화물이 없다
○: 균일하고 침전물은 없지만, 약간 작은 겔화물이 있다
△: 침전물은 없지만, 큰 겔화물이 다량 있다
×: 침전물이 있거나, 혹은 상분리가 관찰된다.
거품의 부드러움성
10g의 모발다발을 40℃의 물로 축축하게 하여 5g의 물을 함유하게 했다. 이어서 샴푸 조성물 1g을 사용하여 모발다발을 세정하고, 세정중의 거품의 부드러움성을 대조 샴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와 비교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관능 평가했다.
<평가기준>
○: 대조 샴푸보다 분명하게 우수하다
△: 대조 샴푸보다 약간 우수하다
×: 대조 샴푸와 동일
건조후의 촉촉함
여성 패널리스트 10명의 두발을 좌우로 2분 하고, 한쪽에 샴푸 조성물을, 또 한쪽에 대조 샴푸(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를 각 3mL 도포하여 샴푸하고, 드라이어로 건조한 후의 매끄러움을, 하기 평점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표중에서는 10명의 합계 평점을 하기 기준으로 나타냈다.
<평점>
대조 샴푸와 비교하여
+2점: 좋다
+1점: 약간 좋다
0점: 동등
-1점: 약간 나쁘다
-2점: 나쁘다
<기준>
◎: 대조 샴푸보다 우수하다(합계점이 10점 이상)
○: 대조 샴푸보다 약간 우수하다(합계점이 5∼9점)
△: 대조 샴푸와 동일 레벨(합계점이 4∼-4점)
×: 대조 샴푸보다 뒤떨어진다(합계점이 -5점 이하)
[실시예 45∼50]
하기 조성의 샴푸 조성물을, 표 9의 기재에 기초하여 하기 방법으로 조제하고, 하기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헹굼시의 뻑뻑함이 없음 및 -5℃ 보존안정성에 대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9에 병기한다.
샴푸 조성물의 조성 질량%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
(A)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0
(B)베헤닐알콜 4.8
(C)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15.0
(E)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1.0
액정구조체의 용해향상제
POE(10) 베헤닐에테르 0.5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프로필렌글리콜 2.0
(D)벤토나이트 0.3
그밖의 성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2
디굴코실갈릭산 0.5
가수분해 밀 담백액 1.5
라피노스 0.5
(F)디메틸 실리콘(100000cSt) 1.5
벤조산 나트륨 0.9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액 0.01
황색 203호 0.0005
적색 106호 0.0001
시트르산·1수염 0.46
향료 0.5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제조방법]
정제수(이온교환수)에 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을 분산시키고,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또한, 미리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과 액정구조체의 용해향상제를 가온·혼합한 것을 첨가하여 T1℃로 한다. 그 후, 액 전체가 T2℃로 된 시점에서 냉각을 개시한다. 약 40℃까지 냉각한 후, 그밖의 성분을 첨가하고, 시트르산량을 조정하여 pH=5.5의 샴푸 조성물을 조제했다.
배합조는 용량 20L의 진공유화장치(미즈호고교(주)제 PVT-1-20)를 사용했다. 재킷 냉각법에서는, 15∼20℃의 물을 진공유화장치의 재킷에 흘려서 냉각했다. 외부 열교환기에 의한 연속 부분급랭법에서는, 진공유화장치 최하부의 내용물의 취출구와 외부 열교환기와 이송 펌프를 통하여 배관을 접속하고, 외부 열교환기에서 냉각된 내용물을 유화장치에 되돌리는 배관을 진공유화장치 상부의 원료투입구에 접속함으로써, 진공유화장치의 내용물이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했다. 외부 열교환기로서는 히사카세사쿠쇼제 UX-005(전열면적이 0.612m2)를 사용했다. 5∼7℃의 냉각수가 열교환기내에 들어가고, 내용물 및 냉각수가 20∼35℃로 되어서 열교환기로부터 나오도록, 냉각의 개시부터 종료 사이에 있어서 냉각수량을 조정했다. T2∼38℃까지의 냉각에 소요된 시간은, 재킷 냉각법에서 약 40분, 외부 열교환기에 의한 연속 부분급랭법에서 10∼12분 이었다.
또한, 유화∼냉각 직전의 사이에 온도변화(T1℃→T2℃)가 발생해 있는데, 그 사이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45∼47 및 49에서는, 유화 개시시에 재킷에 의한 스팀 가열을 스톱한 것 만으로, 내용물의 조성변화는 없다(자연방열). 한편, 실시예 48에서는, 재킷 가온을 스톱하고, 첨가할 벤조산 나트륨 전량을 33%수용액으로 한 것(벤조산 나트륨 수용액의 온도는 약 15℃)을 유화후에 첨가·교반했다. 또, 실시예 50에서는, 재킷 가온을 스톱하고, 첨가할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의 1/3을 유화후에 첨가·교반했다(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의 온도는 약 15℃, 나머지 2/3는 유화전에 첨가). 상기 제조법에서 조제한 실시예의 샴푸 조성물의 결정화온도(T℃)를, 시차주사형 열량분석계(DSC)(Seiko Instruments사제, DSC6100)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74℃였다. 측정조건은, 시료량은, 실시예 45 31mg, 실시예 46 29mg, 실시예 47 32mg, 실시예 48 32mg, 실시예 49 33mg, 실시예 50 31mg, 승온속도 1℃/min이었다.
또, 얻어진 샴푸 조성물을 제조중(약 45℃로 냉각한 시점)에 소량 취출하고, 신속하게 5℃로 냉각한 후, 화장품원료기준, 일반시험법의 제2법에 따라, 브룩필드형 점토계를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했다(사용 로터는 No.3, 로터 회전수는 30rpm으로 10회전후의 값). 그 결과, 실시예 46∼48의 샴푸 조성물은 1.2∼1.3Pa·s의 점도를 나타내고, 효율적으로 냉각이 행해진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 사용한 외부 열교환기를 분해·세정할 때, 전열부분을 관찰했는데, 냉각에 의한 고형물의 부착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 얻어진 샴푸 조성물을 24시간 방치하고, 25℃±2℃에 유지한 후, 마찬가지로 점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45: 3.2Pa·s, 실시예 46: 2.4Pa·s, 실시예 47: 2.6Pa·s, 실시예 48: 2.4Pa·s의 점도를 나타냈다.
샴푸 헹굼시의 뻑뻑함이 없음의 평가
20∼40대의 헤어컬러를 실시하고 있는 여성 10명에 의해, 샴푸 조성물을 사용하여 모발을 세정후, 따뜻한 물로 헹구었을 때의 뻑뻑함이 없음을 평가하고, 하기 평가기준으로 나타냈다.
<평가기준>
◎: 9명 이상이 뻑뻑하지 않다고 회답
○: 6∼8명이 뻑뻑하지 않다고 회답
△: 3∼5명이 뻑뻑하지 않다고 회답
×: 뻑뻑하지 않다고 회답한 패널리스트가 2명 미만
-5℃ 보존안정성 평가
샴푸 조성물을, 상기 용기 (1)∼(9) 각각 충전하고, -5±1℃로 온도관리된 항온조내에 1월 보존한 후, 22∼26℃의 환경에 3일간 방치하고, 샴푸 조성물을 전량 샤알레 등의 용기내에 옮겨서 외관을 관찰하고,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기준>
◎: 모든 보존용기에 있어서, 층분리나 고형물의 석출이 관측되지 않았다.
○: 약간 결정 석출에 유래하는 광택감이 관찰되는 일이 있었다.
△: 약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레벨의 고형물의 석출이 관찰되는 것이 있었다.
×: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많은 고형물의 석출이 관찰되거나, 층분리가 관찰되는 것이 있었다.
[실시예 51]
하기 조성의 샴푸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46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했다.
조성 질량%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0
베헤닐알콜 5.0
베헨산모노글리세릴(HLB4.3) 0.3
베헤닐에테르(E010)(HLB9) 0.3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13.0
알킬(8-16) 글루코시드 1.0
벤토나이트 0.3
라우르산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1.0
디메틸 실리콘 1.8
아미노 변성 실리콘 0.2
프로필렌글리콜 5.0
벤조산 나트륨 0.9
아르기닌 0.5
시트르산 0.5
향료 0.5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성상
점도 5Pa·s
비중 1.02(25℃)
pH 5.8
틱소트로피성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의 샴푸 조성물은 X선 회절의 결과, 규칙적인 회절 패턴이 관찰되었다. 이것들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조직 상은 광학이방성을 나타내고, 또, 크라이오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동결 파단한 샘플을 관찰한 바, 박층이 겹쳐 있었던 것으로부터,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실시예의 샴푸 조성물은 액정구조체가 분산된 것이라고 확인되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것을 사용했다.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아콰드 T833(라이온(주)제)
화장품원료기준(이하 「장원기」로 약칭함)에 준거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순분 약 33%의 수용액(나머지, 장원기 무수 에탄올 29%, 장원기 정제수 38%). 표중에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아콰드 22-80(라이온(주)제)
장원기에 준거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순분 약 80%의 고체. 표중에는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화장품원료기준 제2판 추보 참조.
본 제품은, 유채씨 오일 유래의 에룩산을 원료로 하고, 장쇄 아민을 통하여 합성되고 있다. 그 장쇄 아민의 알킬쇄 길이 분포는 이하와 같다.
C16 이하 2% 이하
C18 6% 이하
C20 6% 이하
C22 87∼93%
C24 3% 이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아콰드 218P-75E(라이온(주)제)
장원기에 준거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순분 약 75%의 페이스트. 표중에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또한, 본 제품의 알킬(알케닐)기는 C18F0:C18F1=75:25로 하는 4차암모늄염이다.
※아세트산라우르산아미도부틸구아니딘액: C12A4G(라이온(주)제)
순분 약 32%의 수용액. 표중에는 아세트산 라우르산아미도부틸구아니딘액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세틸 알콜: Lorol C16(코그니스 재팬(주)제)
장원기 기준. 사슬길이 분포는 대체로 이하와 같다.
C14 0∼3%
C16 95% 이상
C18 0∼5%
※스테아릴 알콜: 코놀 30SS(신닛뽄리카(주)제)
장원기 준거
※경화 유채씨 오일 알콜: Stenol 1822SR(코그니스 재팬(주)제)
화장품종별 배합성분 규격(이하 「장배규」로 약칭함)에 준거하고, 사슬장의 분포는 대체로 아래와 같다.
C16 이하 1.5% 이하
C18 40 ∼46%
C20 8∼14%
C22 42 ∼48%
C24 0.5% 이하
※베헤닐알콜: LANETTE22(코그니스 재팬(주)제)
장원기에 준거, 고체.
본 제품은, 야자오일 유래이며, 그 알킬쇄 길이 분포는 이하와 같다.
C16 0.5% 이하
C18 5∼15%
C20 10∼20%
C22 70∼80%
C24 1% 이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100(신닛뽄리카(주)제)
장원기 준거.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릴: 리케말 S-100(리켄비타민(주)제)
장배규 준거, 백색 고체, mp62∼68, HLB 4.3.
※베헨산모노글리세릴: 리케말 B-100(리켄비타민(주)제)
장배규 준거, 백색 고체, mp74∼80, HLB 4.2.
※스테아릴 에테르(EO11): EMALEX 611(니혼에멀젼(주)제)
장배규 준거, 백색 왁스상, HLB 11.
※베헤닐에테르(EO10): EMALEX BHA-10(니혼에멀젼(주)제)
장배규 준거, 백색 왁스상, HLB 9.
※고체 파라핀(EO10): 고체 파라핀(닛뽄세리오(주)제)
장배규 「고융점 파라핀」 준거.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Genapol PMS(클라리안트재팬제)
장배규에 준거한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로, C16과 C18의 혼합비는 6:4.
본 원료의 샴푸에의 배합방법은, 샴푸중에서의 분산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미리 본 원료의 질량비 25%에 대해, POE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 수용액 20%,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25%, 물 30%를 약 80℃에서 혼합하여 분산액을 제작하고, 그 분산액을 샴푸액중에 첨가했다.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CDE-100(가와켄화인케미칼(주)제)을 사용했다.
장원기의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에 준거.
※POE(20) 경화 피마자유: CW-20-90(아오키주시고교(주)제)
장원기에 준거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 순분 약 90%의 수용액. 표중에는 POE(20) 경화 피마자유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Na: POE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라이온(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12, 13)에테르 황산나트륨액(3E.O.)으로, 순분 약 27%의 수용액. 표중에는 POE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테트라데센 술폰산나트륨: 테트라데센 술폰산나트륨(라이온(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테트라데센 술폰산나트륨액으로, 순분 약 35%로 히드록시알칸술폰산나트륨을 포함한 수용액. 표중에는 테트라데센 술폰산나트륨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 에나지콜 N30B(라이온(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액으로, 순분 약 30%의 수용액. 표중에는 라우르산아미도프로필베타인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오바졸린 LB-SF(도호카가쿠고교(주)제)
장원기 준거, 순분 약 35%의 수용액. 표중에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안피톨 20HD(카오(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액으로 순분 약 30%의 수용액. 표중에는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알킬폴리(8-16)글루코시드: PLANTACARE 818UP(코그니스재팬(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알킬폴리(8-16)글루코시드로, 순분 약 52%의 액체. 표중에는 알킬폴리(8-16)글루코시드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본 제품은, 야자유 유래이며, 그 알킬쇄 길이 분포는 이하와 같다.
C8 24 ∼30%
C10 15 ∼22%
C12 37∼42%
C14 12 ∼18%
C16 4% 이하
※벤토나이트: 쿠니피아 F(구니미네고교(주)제)
장원기 준거.
※합성 벤토나이트: 스메크톤 SA(구니미네고교(주)제)
장원기 준거.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아로목스 DM12D-W(라이온(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액으로, 순분 약 33%의 수용액. 표중에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디메틸실리콘(100000cSt): 레오플로우 DMS-55(라이온(주)제), 굴절율1.404
장배규에 준거한 점도 10만cSt, 평균분자량 약 13만의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을, 화장품원료기준(이하 「장원기」로 약칭함)에 준거한 POE(15) 세틸에테르에서 기계력으로 유화 분산한 수분산액으로, 디메틸실리콘의 농도는 약 55%. 수분산액중의 디메틸 실리콘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0.5㎛. 표중에는 디메틸 실리콘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디메틸 실리콘(1000000cSt): BY22-050A(토레이·다우코닝(주)제), 굴절율 1.404
※디메틸 실리콘(10000000cSt): BY22-055(토레이·다우코닝(주)제), 굴절율 1.400
※아미노 변성 실리콘: SM8704C(토레이·다우코닝(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아모디메티콘의 수분산액으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농도는 약 40%. 수분산액중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평균 입자직경은 약 0.1㎛. 표중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굴절율 1.405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폴리옥시에틸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SH3775M(토레이·다우코닝 실리콘(주)제), 굴절율 1.423
장원기에 준거.
※양이온화 셀룰로스: XE-511K(라이온(주)제)
장원기의 염화O-[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에 준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HPC-SL(니혼소다(주)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1): 메토로스 60SH-4000(신에츠카가쿠고교(주)제), 메톡시기 29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10질량%, 20℃, 2%수용액의 점도 4000mPa·s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2): 메토로스 60SH-10000(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톡시기 29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10질량%, 20℃, 2%수용액의 점도 10000mPa·s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3): 메토로스 60SH-1500(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톡시기 29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10질량%, 20℃, 2%수용액의 점도 1500mPa·s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4): 메토로스 65SH-400(신에츠카가쿠고교(주), 메톡시기 29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6질량%, 20℃, 2%수용액의 점도 400mPa·s
※크산탄 검: 모나트 검 DA(켈코(주)제)
※고중합PEG(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스 WSR 60K-CG(유니온 카바이드(주)제)
※디스테아르산 PEG(폴리에틸렌글리콜)(150EO): EMA
LEX 6300 DI-ST(니혼에멀젼(주)제)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카야크릴레진 MN-50(니혼카야쿠(주)제)
장배규에 준거한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액으로, 순분은 약 5.5%의 수용액.
모노머인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아크릴아미드의 투입비는 약 1:1. 표중에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아사히가라스(주)제)
※소르비톨: D-소르비트액(도와카세고교(주)제)
장원기에 준거한 소르비트액으로, 순분 약 60%의 수용액. 표중에는 소르비톨의 순분 상당량을 기재했다.
※가수분해 콜라겐액: 프로모이스 W-52((주)세와카세제)
장배규게 준거.
※가수분해 실크액: 프로모이스 실크 1000((주)세와카세제)
장배규에 준거.
※가수분해 밀단백: 크로펩티드 W(구로다재팬(주)제), GLUADIN WLM(코그니스재팬 (주)제)
장배규에 준거.
※가수분해밀 펩티드 A: GLUADIN WLM(코그니스재팬(주)제), 분자량 500
※가수분해밀 펩티드 B: GLUADIN W20(코그니스재팬(주)제), 분자량 2000∼5000
※황색5호: 황색5호(다이와카세(주)제)
※황색203호: 퀴놀린 옐로-WS-G(츄오고세카가쿠(주)제)
※적색106호: 적색106호(키시가세(주)제)
※갈색201호: 갈색201호(키시카세(주)제>
※녹색3호: 녹색3호(키시카세(주)제)
※녹색201호: 녹색201호(코요카가쿠(주)제)
※메틸파라벤: (요시토미 파인케미컬(주)제)
장원기 준거.
※벤조산 나트륨: 장원기에 준거한 벤조산 소다(BF Goodrich Kalama Inc.사제)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액
장원기에 준거한 KATHON CG(롬·앤드·하스·재팬(주)제). 표중에는 본 액의 배합량을 기재했다.
※글리신: (아지노모또(주)제)
장원기 준거.
※아르기닌: (아지노모또(주)제)
장원기 준거.
※글루탐산: (아지노모또(주)제)
식첨 준거.
※시트르산: 장원기 시트르산·1수염에 준거한 켓쇼쿠엔산 L(후소카가쿠고교(주)제)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아지노모또(주)제)
장원기 준거.
※인산: (준세카가쿠(주)제)
※트리이소푸로파놀아민:(미츠이카가쿠파인(주)제)
※향료
하기 조성의 향료를 사용했다.
질량%
레몬오일 5%
스위트 오렌지 오일 10%
제라늄 오일 3%
라벤더유 6%
산달우드 오일 1%
릴리알 5%
노필 아세테이트 1%
리날룰 2%
벤질벤조에이트 2%
벤질살리실레이트 3%
β-이오논 2%
메틸이오논 3%
헬리오날 2%
헤디온 8%
이소 E 수퍼 3%
cis-3-헥세놀 0.3%
리간드랄 0.3%
트리플랄 0.4%
시클라멘 알데히드 1.5%
헥실신나믹 알데히드 6%
벨트 픽스 3%
갈락솔리도 5%
토날리드 6%
벤달리드 1%
바크다놀 0.5%
캐시메란 2%
머스크T 1%
후루츠 베이스 3%
로즈 베이스 3%
자스민 베이스 1%
뮤게 베이스 3%
앰버 베이스 1%
노나날 10% 디프로필렌글리콜 용액 2%
데카날 10% 디프로필렌글리콜 용액 1%
메틸노닐알데히드 10% 디프로필렌글리콜 용액 2%
디프로필렌글리콜 잔부
합계 100%

Claims (10)

  1. (A)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B) 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B')/[(A)+(B')](질량비)(단, (B')은, (B)성분중 (A)성분과 단독으로 액정구조체를 형성하는 오일성분)이, 0.35∼0.90이고,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2질량%를 초과하고, 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5질량% 미만이고, (A)성분과 (B)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조성물중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구조체의 평균입경이 2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수팽윤성의 점토 광물을 0.01질량% 이상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아민 옥사이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굴절율 1.46 미만의 실리콘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G)점성부여제로서, 하기 식
    (식중, 분자말단 및 R은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히드록시프로폭시기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갖고, 메톡시기 25∼35질량%, 히드록시프로폭시기 5∼15질량%(단, 수산기, 메톡시기 및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합계를 100질량%로 한다)이고, 2질량% 수용액의 20℃에서의 점도가 2100∼35000mPa·s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컬러링한 모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8.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에, (A)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규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오일성분을 구성성분으로 형성된 액정구조체가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의 결정화온도 이상에서,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액정구조체의 구성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뽑아 내고, 이것을 급랭하는 동시에, 이 급랭한 것을 혼합물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혼합물을 결정화온도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물에 분산 또는 팽윤시킨 (D)점토 광물을, (C)세정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57008620A 2002-11-15 2003-11-14 샴푸 조성물 KR101092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2680 2002-11-15
JPJP-P-2002-00332680 200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234A true KR20050067234A (ko) 2005-06-30
KR101092419B1 KR101092419B1 (ko) 2011-12-09

Family

ID=3232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620A KR101092419B1 (ko) 2002-11-15 2003-11-14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46176B2 (ko)
KR (1) KR101092419B1 (ko)
CN (1) CN100435772C (ko)
AU (1) AU2003280797A1 (ko)
WO (1) WO200404556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79B1 (ko) * 2005-11-10 2006-11-14 (주)아모레퍼시픽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50693A (ko) 2014-10-30 2016-05-11 (주)아모레퍼시픽 세정제 조성물
KR20170002616A (ko) * 2014-06-13 2017-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각질 표면 상의 처리 조성물의 침착을 위한 카트리지
WO2018070706A1 (ko) * 2016-10-13 2018-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1152B1 (en) * 2004-07-27 2008-05-28 Unilever Plc Hair care compositions
JP4129645B2 (ja) * 2004-08-30 2008-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6104142A (ja) * 2004-10-07 2006-04-20 Pola Chem Ind Inc 毛髪用の化粧料
JP4707474B2 (ja) * 2005-06-17 2011-06-22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洗浄剤
CN101534789B (zh) * 2006-09-26 2012-08-29 狮王株式会社 香波组合物
CA2667555A1 (en) * 2006-11-08 2008-05-15 Unilever Plc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CN101578089A (zh) * 2006-11-08 2009-11-11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调理香波组合物
CN101288631B (zh) * 2007-04-20 2013-01-02 花王株式会社 皮肤洗净剂组合物
JP5178100B2 (ja) * 2007-09-06 2013-04-10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外用剤
US8153572B2 (en) 2008-03-14 2012-04-10 Conopco, Inc.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JP2010006744A (ja) * 2008-06-26 2010-01-14 Shiseido Co Ltd 頭髪用洗浄剤
WO2012005319A1 (ja) * 2010-07-07 2012-01-12 ライオン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WO2013048780A1 (en) * 2011-09-29 2013-04-0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Cationic conditioner replacements
JP6113461B2 (ja) * 2012-11-14 2017-04-12 株式会社ミルボン シャンプー組成物
JP6085454B2 (ja) * 2012-11-29 2017-02-22 株式会社ミルボン 洗浄剤
CN103301040B (zh) * 2013-06-29 2015-01-21 安徽省林锦记食品工业有限公司 小麦蛋白护发素
US20190008750A1 (en) * 2015-08-14 2019-01-10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 surfactant, a fatty alcohol, an amphoteric surfactant, a starch derivative, and a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
US20170079892A1 (en) * 2015-09-18 2017-03-2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Foaming sunscreen composition containing an ultraviolet radiation-absorbing compound and a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
JP6727781B2 (ja) * 2015-09-28 2020-07-22 小林製薬株式会社 乳化組成物
GB201813099D0 (en) * 2018-08-10 2018-09-26 Theunse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use and method
JP7361485B2 (ja) * 2019-03-29 2023-10-16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強化剤
FR3098721B1 (fr) * 2019-07-17 2021-06-11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des tensioactifs anionique et amphotère, des polysaccharides cationiques et des alcools gras insaturés, et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CN114617778B (zh) * 2021-09-22 2023-11-14 中山中研化妆品有限公司 一种液晶结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52471A (zh) * 2022-08-01 2022-11-01 广州嘉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护作用的小麦低聚肽护发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813789A (zh) * 2023-01-03 2023-03-21 上海家化联合股份有限公司 具有改善的泡沫持久性的泡沫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311A (ja) * 1984-12-28 1986-07-15 Lion Corp シヤンプ−組成物
JP2825586B2 (ja) * 1990-02-01 1998-11-18 旭電化工業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JP3082386B2 (ja) * 1991-12-27 2000-08-28 新日本理化株式会社 シャンプー組成物
IL104233A0 (en) * 1992-01-30 1993-05-13 Curtis Helene Ind Inc Stable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fatty acid/fatty alcohol blend
JPH06116123A (ja) * 1992-03-04 1994-04-26 New Japan Chem Co Ltd シャンプー組成物
JPH061712A (ja) * 1992-06-16 1994-01-11 Toho Chem Ind Co Ltd リンス効果を有するシャンプー組成物
DE69431646T2 (de) * 1993-08-30 2003-07-17 Unilever Nv Haarwasch- und Konditionierungsmittel
ATE204738T1 (de) * 1995-10-16 2001-09-15 Procter & Gamble Haarpflegeshampoo
CN1204248A (zh) * 1995-10-16 1999-01-06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调理香波组合物
US5980877A (en) * 1996-10-25 1999-1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JPH10175821A (ja) * 1996-12-18 1998-06-30 Lion Corp 液体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JP3620764B2 (ja) * 1997-03-29 2005-02-16 株式会社資生堂 毛髪洗浄料
JP2000044440A (ja) * 1998-07-24 2000-02-15 Sansho Kk 経時的に泡安定性に優れた毛髪用及び身体用シャンプー
JP2000178117A (ja) * 1998-12-17 2000-06-27 Kao Corp パール光沢剤
JP3963626B2 (ja) * 1999-08-31 2007-08-22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及び水膨潤性粘土鉱物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乳化組成物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4016238B2 (ja) * 2000-04-28 2007-12-05 ライオン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及び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79B1 (ko) * 2005-11-10 2006-11-14 (주)아모레퍼시픽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02616A (ko) * 2014-06-13 2017-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각질 표면 상의 처리 조성물의 침착을 위한 카트리지
KR20160050693A (ko) 2014-10-30 2016-05-11 (주)아모레퍼시픽 세정제 조성물
US10201485B2 (en) 2014-10-30 2019-02-12 Amorepacific Corporation Washing composition
WO2018070706A1 (ko) * 2016-10-13 2018-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45568A1 (ja) 2006-03-16
JP4446176B2 (ja) 2010-04-07
AU2003280797A1 (en) 2004-06-15
KR101092419B1 (ko) 2011-12-09
CN100435772C (zh) 2008-11-26
WO2004045568A1 (ja) 2004-06-03
CN1711070A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419B1 (ko) 샴푸 조성물
KR101561177B1 (ko) 유성 모발 화장료
JP2004307463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4292387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3912546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5022983A (ja) シャンプ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4262805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CN101155575A (zh) 毛发化妆品
JP2005187342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7169192A (ja) 毛髪化粧料
JP2008290987A (ja) Cmc修復剤、毛髪化粧料およびcmc修復方法
WO2001017492A1 (en) A process for forming a hair care composition and a composition formed by same
JP2004292390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5552742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7084482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6298916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5537069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2006219449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03526645A (ja) 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n)アルキルアミンを含有するヘアケア組成物
JP2020094035A (ja) 固形整髪剤組成物
JP4777609B2 (ja) 毛髪化粧料
JP4937537B2 (ja) 毛髪化粧料
JP2007161668A (ja) 毛髪化粧料
JP2012116755A (ja) 水性毛髪化粧料
JP2006124352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