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745A -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 Google Patents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745A
KR20050036745A KR1020040081600A KR20040081600A KR20050036745A KR 20050036745 A KR20050036745 A KR 20050036745A KR 1020040081600 A KR1020040081600 A KR 1020040081600A KR 20040081600 A KR20040081600 A KR 20040081600A KR 20050036745 A KR20050036745 A KR 2005003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igital camera
image
uni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862B1 (ko
Inventor
삼본기마사오
요시다준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3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55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37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348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3Particular location of the interface or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 H04N1/1959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using a television camera or a still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8Docking-station, crad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36Scanning a picture-bearing surface lying face up on a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 등을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정보를 프로젝터 등의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화카메라(1)를 카메라스탠드(11)와, 그것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디지털카메라(51)로 구성하고, 장착시에는 양자간에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며, 디지털카메라(51)는 단독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 카메라스탠드(11)내에 충전회로를 설치하며, 장착한 디지털카메라(51)로의 외부전원에 의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디지털카메라(51)로 촬영한 화상 또는 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카메라스탠드(11)를 통하여 PC(2)에 전송하며, 촬영(기록)화상을 프로젝터(3)에 의해 스크린(S)에 투영시키며, 또한 카메라스탠드( 11)에 모드전환키(17c), 셔터키(17d) 등을 설치하고, 디지털카메라(51)에 있어서의 동작모드의 전환조작, 정지화상 촬영조작 등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PC로부터도 카메라스탠드(11) 경유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DOCUMENT CAMERA AND DOCUMENT CAMERA SYSTEM}
본 발명은 원고 등을 촬영하여 취득한 화상정보를 프로젝터 등의 외부장치에 공급하는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프레젠테이션이나 회의 등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이하 PC)에 데이터로서 서로 기억하는 문서(문자나 도표 등)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스크린상에 확대해서 투영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또 프로젝터의 사용에 대해서 상기 문서 이외에도 소지(所持)의 서화원고(신문, 잡지의 기사, 프리젠테이션용지 등)나, 입체자료를 투영하는 경우에는, 이른바 서화카메라에 의해 그들 자료를 촬영하고, 그 화상데이터를 PC에 입력하거나 또는 프로젝터에 직접 입력하는 것이 실행된다.
관련되는 서화카메라는 서면자료 등이 놓여지는 원고대를 구비한 카메라스탠드에 카메라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그 카메라부에 촬영렌즈나 CCD나 MOS형의 촬상소자 및 촬상신호의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전자회로가 편입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서화카메라에 있어서는 원고대에 놓여진 서화원고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로서는 적합했지만, 예를 들면 그것을 갖고 다녀 프레젠테이션용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로 인해 사용 범위가 주로 서화원고 등의 촬영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사용범위가 넓고, 게다가 사용 편리함에 뛰어난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에서는,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카메라스탠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행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메라스탠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또 다른 형태에서는,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는 카메라스탠드와, 상기 카메라스탠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스탠드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외부조작기기를 포함하는 서화카메라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화카메라시스템을 포함하는 촬상투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 촬상투영시스템은 서화원고(A) 등을 촬영하는 서화카메라(1)와, PC(퍼스널컴퓨터, 2), 프로젝터(투영장치, 3)로 구성되어 있다. 서화카메라(1)와 PC(2)는 제 1 USB케이블(4)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PC(2)와 프로젝터(3)는 제 2 USB케이블(5) 및 RGB케이블(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3)에는 떨어진 장소로부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적외선리모트콘트롤유니트(이하 적외리모콘이라고 한다, 7)가 부속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의 서화카메라(1), PC(2), 프로젝터(3)의 각각의 상세를 설명한다.
(서화카메라)
서화카메라(1)는 카메라스탠드(11)와, 그것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디지털카메라(51)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디지털카메라(51)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카메라
디지털카메라(51)는 AE기능이나 AF기능 등을 갖는 일반적인 사양을 갖는 것으로서 단체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동시에, 카메라스탠드(11)에 장착되어 있을 때는 통상의 촬영대기모드(REC스루·모드)로 촬상에 의해 취득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PC카메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도 2a는 카메라스탠드(11)에 대한 디지털카메라(51)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카메라(51)는 박형의 본체(52)를 갖고 있다. 본체(52)의 후면에는 액정모니터(53), 광학파인더(54), 모드선택키(55), 주밍(zooming)키(56)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전원스위치(57)와, 셔터키(58)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52)의 정면에는 전원OFF시에 카메라내로 끌여들여 격납되고, 전원ON시에 카메라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심동식의 줌기능을 갖는 촬상렌즈(59)와, 촬영시에 보조광을 발하는 스트로보가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또 본체(52)의 저면에는 삼각부착용 나사구멍 및 디지털카메라(51)를 퍼스널컴퓨터 등의 외부기기접속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기기접속커넥터(76,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디지털카메라(5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51)는 상기 서화원고(A)를 촬상하는 촬상소자인 CCD(61)와, DSP/CPU(62)를 갖고 있다. CCD(61)는 상기 촬상렌즈(59) 등의 광학계를 통하여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광전 변환하여 피사체의 광학상에 따른 아날로그의 촬상신호를 출력한다.
DSP/CPU(62)는 JPEG방식에 의한 화상데이터의 압축·신장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51)의 각부를 제어하는 원칩마이컴이다. DSP/CPU(62)에는 CCD(61)를 구동하는 TG(Timing Generator, 63)가 접속되고, TG (63)에는 CCD(61)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가 입력되는 유니트회로(64)가 접속되어 있다. 유니트회로(64)는 상관이중샘플링에 의해 CCD(61)의 출력신호 등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CDS회로, 노이즈가 제거된 촬상신호를 증폭하는 게인조정용 앰프(AGC), 증폭 후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AD)로 구성되어 있고, CCD(61)의 출력신호는 유니트회로(64)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DSP/CPU(62)에 보내진다.
또 DSP/CPU(62)에는 렌즈구동부(65), 스트로보회로(66), USB인터페이스(67), 전원제어부(68), 키입력부(69), 상기 액정모니터(53)가 접속되는 동시에, 주소·데이터버스(71)를 통하여 DRAM(72), 내장플래시메모리(73), 카드·인터페이스(74)가 접속되어 있다. 카드·인터페이스(74)에는 본체(52)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카드슬롯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 메모리카드(75)가 접속되어 있다.
DRAM(72)은 CCD(61)에 의해 촬상되어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인 동시에, DSP/CPU(62)의 작업메모리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셔터키가 눌러진 촬영시에는 DRAM(72)에 일시 기억된 화상데이터가 DSP/CPU(62)에 의해 압축되고, 최종적으로는 소정의 포맷의 화상파일로서 본 발명의 화상기록부인 메모리카드(75)에 기록된다.
스트로보회로(66)는 상기한 스트로보를 구성하는 크세논램프 등의 광원이나, 그 급전회로 및 조광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액정모니터(53)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모드에서는 CCD(61)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화상을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며, 또 재생모드(PLAY모드)에는 메모리·카드(75)로부터 판독되어 DSP/CPU(62)에 의해 신장된 기록화상을 표시한다. 또 조작보조용으로서 기능선택시의 처리메뉴표시나 설정용의 도형 또는 아이콘 등의 표시를 실행한다.
렌즈구동부(65)는 상기 촬상렌즈(59)를 구성하는 줌렌즈 및 포커스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스테핑모터 및 그들을 DSP/CPU(62)로부터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드라이버로 구성된다.
USB인터페이스(67)에는 상기한 외부기기접속커넥터(76)가 접속되어 있고, 이것을 통하여 다른 외부기기와 접속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보내지는 조작신호의 수신 및 메모리·카드(75)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의 외부기기로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촬영대기모드에서는 CCD(61)에 의해 촬상되어 디지털화된 피사체의 화상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에 순차로 출력한다.
전원제어부(68)에는 니켈수소 등의 충전지를 포함하는 전원회로(77)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제어부(68)는 외부기기접속커넥터(76)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원회로(77)에 공급한다. 키입력부(69)는 상기한 모드선택키(55) 등의 복수의 조작키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DSP/CPU(62)에 출력한다.
그리고 내장플래시메모리(73)에는 DSP/CPU(62)에 상기 각부를 제어시키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예를 들면 AE·AF제어용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통신용 프로그램 및 그들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카메라스탠드
이하 상기 카메라스탠드(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스탠드(11)는 주로 서화원고(A) 등이 놓여지는 박판상의 원고대(12)와, 원고대(12)에 지지된 스탠드본체(13)와, 그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암(14)과, 지지암(14)의 선단에 설치된 부착부(15)로 구성되고, 그 부착부(15)에 디지털카메라(5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고대(12)는 스탠드본체(13)를 지지하는 일반부에 좌우의 양측부가 접음 가능한 동시에, 상기 각부가 다른 부분과 피벗(pivot)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카메라스탠드(11) 전체를 박형의 패널형상으로 접음으로써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탠드본체(13)의 측면에는 제 1 USB케이블(4)이 접속된 외부측 커넥터(16, 도 4 참조)가 원고대(12)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외부측 커넥터(16)의 위쪽에는 본 발명의 조작부인 전원키(17a), 조명스위치(17b), 모드전환키(17c), 셔터키(17d), 주밍키(17e), 조작기록키(17f)가 위쪽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15)의 단면에는 지지암(14) 및 스탠드본체(13)의 내부에 배색(配索)된 USB케이블(18)을 통하여 상기 외부측 커넥터(16)와 접속된 카메라측 커넥터(19)와, 걸어맞춤구멍(20)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a의 B화살표 도면인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15)의 이면측에는 서면자료(A)를 조명하기 위한 원고조명(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조명(21)은 LED(발광다이오드)와, 그 출사광의 확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착부(15)에 디지털카메라(51)가 카메라고정부재(25)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고정부재(25)에는 상기 부착부(15)를 향하여 돌출하는 걸어맞춤핀(26)과, 디지털카메라(51)의 본체(52)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한 삼각부착용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나사(27)와, 부착부(15)의 상기 카메라측 커넥터(19)에 접속되는 암수 한쌍의 중계커넥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고정부재(25)는 고정나사(27)에 의해 디지털카메라(51)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중계커넥터(28)의 수컷측을 디지털카메라(51)의 본체(52)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기기접속커넥터( 76, 도 3 참조)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51)는 카메라고정부재(25)와 일체화 된 상태에서 카메라고정부재(25)의 걸어맞춤핀(26)이 부착부(15)의 상기 걸어맞춤구멍(20)에 삽입되는 동시에, 부착부(15)의 내부에 있어서, 걸어맞춤핀(26)을 삽입방향으로 탄성지지한 상태에서 빠짐을 저지하는 로크기구와 걸어맞춤으로써 부착부(15)에 덜컹거림없이 강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부착부(15)에는 상기 로크기구와 걸어맞춤핀(26)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중계커넥터(28)의 암컷측이 부착부(15)의 카메라측 커넥터(19)에 접속됨으로써 디지털카메라(51)가 부착부(15)에 장착되는 동시에 카메라스탠드(11)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고 있다.
도 4는 상기 카메라스탠드(11)의 전기회로도이다. 카메라스탠드(11)의 스탠드본체(13)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된 디지털카메라(51)에 충전용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회로(31)와, 부착부(15)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고조명(LED, 2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조명구동회로(32)와, 키입력회로(33)와, 조작기록키(17f)가 조작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조작내용을 기록하는 조작기록부가 설치되어 있다. 충전회로(31) 및 조명구동회로(32)는 카메라스탠드(11)에 설치되어 있는 AC잭(34)에 접속되어 있고, 양쪽의 회로(31, 32)에는 AC잭(34)을 통하여 외부AC전원에 접속된 AC어댑터(35)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또 충전회로(31)는 상기 USB케이블(18) 및 카메라측 커넥터(19)를 통하여 중계커넥터(28)에 접속되고, 조명구동회로(32)는 급전용 배선에 의해 원고조명(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51)와 카메라스탠드(11)의 부착부(15)의 전기적인 접속은 디지털카메라(51)측에 부착된 무선송수신부(59)와 부착부(15)측에 부착된 무선송수신부(24)를 통하여, 예를 들면 IEEE802. 11g나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에 준거한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무선수신부(24)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변환부(37)를 통하여 상기 외부측 커넥터(16)를 통해서 PC(2)와 접속된다.
키입력회로(33)는 상기한 전원키(17a), 조명스위치(17b), 모드전환키(17c), 셔터키(17d), 주밍키(17e), 조작기록키(17f)와, 그들 조작에 따른 소정의 조작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입력회로(33)의 신호출력선은 키입력회로(33)에 접속되고, 또 상기 외부측 커넥터(16)의 신호계 배선 및 충전회로(31)의 충전계 배선과 함께 상기 USB케이블(18)과 카메라측 커넥터(19), 중계커넥터(28)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51)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명스위치(17b)의 조작에 의해 원고조명(21)이 ON, OFF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조작키 등이 조작되면 그에 응한 조작신호를 디지털카메라(51)에 보냄으로써 디지털카메라(51)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PC의 구성)
한편 도 5는 PC(2)와 프로젝터(3)의 전기적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PC(2)의 구성을 설명한다.
PC(2)는 본 발명의 외부조작기기로서 기능하는 범용의 노트형 퍼스컴이고, CPU(81)와, RAM(82), 기억장치(83), 입력장치(84), 비디오어댑터(85), VRAM(86), 표시장치(87)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어댑터(85)는 표시용의 비디오신호(RGB신호)를 생성하여 LCD 및 그 구동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87)에 출력하고, VRAM(86)는 비디오어댑터(85)가 생성한 표시용의 화상데이터를 수시 기억한다. 또 비디오어댑터(85)에는 상기 RGB케이블(6)이 접속된 RBG출력단자(88)가 설치되어 있고, 비디오어댑터(85)는 CPU (81)의 명령에 따라 표시용의 화상데이터를 RGB케이블(6)을 통하여 프로젝터(3)에 출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디오어댑터(85)와 RBG출력단자(88)가 본 발명의 화상출력부이다.
또 PC(2)는 USB포트를 2포트 갖고 있고, CPU(81)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USB인터페이스회로에 제 1 및 제 2 USB접속단자(89, 90)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USB접속단자(89)에는 상기 서화카메라(1)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USB케이블(4)이 접속되고, 여기에서 서화카메라(1)로부터 화상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서화카메라(1)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USB인터페이스회로 및 제 1 USB접속단자(89)가 본 발명의 화상입력부이다. 또 제 2 USB접속단자(90)에는 프로젝터(3)에 접속된 제 2 USB케이블(5)이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84)는 PC(2)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키나, 본체에 접속된 마우스 등이고, 기억장치(83)는 기억용량이 비교적 큰 하드디스크 등이다. 기억장치(83)에는 프레젠테이션용의 문서의 작성·편집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의 프레젠테이션·프로그램이나, 서화카메라(1)와의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프로그램, 비디오어댑터(85)에, 표시장치(87)에 상기 문서나 화상 등을 나타내게 하기 위한 표시용의 화상데이터나, 프로젝터(3)에 출력하는 화상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화상표시프로그램 및 상기 화상데이터에 각종의 가공을 시행하기 위한 화상처리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81)가 전용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입력장치(84)를 본 발명의 조작부으로서 기능시킨다.
(프로젝터의 구성)
한편 프로젝터(3)는 CPU(91), ROM(92), RAM(93), 화상입력부(94), 표시부(95), 키입력부(96), 적외신호수신부(9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입력부(94)에는 상기 RGB케이블(6)이 접속된 RBG신호의 입력단자(98)가 접속되어 있고, PC(2)로부터 입력한 입력화상신호(RGB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해서 표시부(95)에 보낸다. 표시부(95)는 크립튼램프 등의 광원 및 광원의 빛을 입력표시신호에 따른 투영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액정이나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등의 화상변환소자, 그 화상변환소자를 화상입력부(94)로부터 보내진 표시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하는 구동회로, 본체의 투영부(3a, 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는 투영렌즈 등의 광학계를 포함하며, PC(2)로부터 보내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는 표시화상을 스크린(S)에 투영한다.
CPU(91)는 ROM(92)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RAM(93)을 작업용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프로젝터(3) 전체를 제어한다. 키입력부(96)는 사용자가 프로젝터(3)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해 준비된 복수의 조작키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적외신호수신부(97)는 상기한 적외리모콘(7)으로부터 보내진 적외선을 수광하며, 그것에 코드화되어 있는 조작신호를 디코드하여 CPU(91)에 보낸다.
또 CPU(91)에는 도시 생략한 USB인터페이스회로가 접속되어 있고, 그곳에 PC(2)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USB케이블(5)이 접속된 USB단자(9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키입력부(96)의 조작키나 적외리모콘(7)으로부터 CPU(91)에 보내진 조작신호가 필요에 따라 PC(2)에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작설명 등)
그리고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PC(2)에 있어서 상기 전용프로그램이 기동되고, 또한 디지털카메라(51)에 촬영대기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서화카메라(1)는 서화원고(A) 등을 촬영하고,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를 PC (2)에 출력한다. PC(2)에서는 상기 화상처리프로그램에 의해 입력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왜곡보정처리, 회전처리, 스크랩처리 등의 필요한 화상처리를 시행하는 동시에, 처리 후의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에 적절한 해상도의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RGB케이블(6)을 통하여 프로젝터(3)에 출력한다. 프로젝터(3)는 입력한 화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투영렌즈 등의 광학계가 수용된 투영부(3a)로부터 스크린(또는 화이트보드 등, S)에 조사한다. 이에 따라 서화카메라(1)로 촬영된 서화원고(A) 등의 화상이 스크린(S)에 투영된다.
한편 상기 동작중에 있어서 서화카메라(1)는 디지털카메라(51)가 카메라스탠드(11)에 장착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외부로부터 보내지는 조작신호를 받아들이는 상태로 되어 있고, 카메라스탠드(1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한 전원키(17a), 모드전환키(17c), 셔터키(17d), 주밍키(17e)가 조작되면 디지털카메라(51)가 카메라스탠드(11)로부터 보내진 조작신호의 내용에 따라 동작한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스탠드(11)측에서 디지털카메라(51)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키(17a)의 조작에 의한 전원의 ON/OFF, 주밍키(17e)의 조작에 의한 촬상렌즈(59)의 줌비의 변경, 모드전환키(17c)를 계속 누른채로의 주밍키(17e)의 조작에 의한 촬영화상의 콘트라스트조정, 셔터키(17d)의 조작에 의한 정지화상 촬영, 즉 기록용의 화상의 촬상 및 촬상한 화상의 메모리·카드(75)로의 기록, 모드전환키(17c)의 조작에 의한 촬영대기모드로부터 재생모드로의 모드전환이라고 하는 조작이 가능하다.
또 정지화상 촬영에서는 모드전환키(17c)를 계속 누른채로 셔터키(17d)를 조작함으로써 촬영시에는 AE기능에 의한 스트로보발광을 금지시킬 수 있다. 또 재생모드에서는 주밍키(17e)의 조작에 의한 재생화상의 전환조작 및 촬영화상의 콘트라스트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을 OFF조작했을 때에는 카메라스탠드(11)에 상기 AC어댑터(35)에 접속되어 전력공급이 실행되고 있으면 디지털카메라(51)에 있어서는 자동적으로 충전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전용프로그램의 기동중에 있어서, PC(2)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용프로그램에 미리 준비되어 있는 서화카메라(1)의 조작화면을 표시장치(87)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관련되는 조작화면에 따라서 키보드조작이나 마우스조작을 실행하면 그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가 생성되고, 그것이 제 1 USB케이블(4) 및 카메라스탠드(11)를 통하여 디지털카메라(51)에 송신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PC(2)측에 있어서도 디지털카메라(51)에 대한 상기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스탠드(1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한 조작기록키(17f)를 조작함으로써 미리 카메라스탠드(11)내의 조작기록부(36)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카메라(51)에 관한, 예를 들면 매크로촬영전환, 연속촬영을 실행하는 등, 디지털카메라(51) 고유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카메라스탠드(11)에 부착하는 디지털카메라의 종류를 한정하는 일 없이 부착된다.
단 PC(2)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이 지시된 경우에는 PC(2)가 디지털카메라(51)에 대하여 촬영된 화상의 데이터의 전송요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고, 디지털카메라(51)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동시에, 전송되어 온 화상데이터를 기억장치(23)에 기록한다. 또 디지털카메라(51)의 조작은 전용프로그램의 기동중이면 프로젝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유효하다.
또한 PC(2)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화면의 표시는 필수는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전용프로그램을 그것이 기동된 시점에서 키보드의 소정의 키에 상기한 조작을 자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으로 하고, 소정의 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상기한 조작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서화카메라(1)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카메라(51)가 카메라스탠드(11)에 착탈 자유롭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프레젠테이션용의 화상을 촬영한다고 한 바와 같이 서화원고(A) 등의 촬영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카메라(51)를 카메라스탠드(11)로부터 떼어냄으로써 그것을 일반의 디지털카메라와 똑같이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용도가 서화원고(A) 등의 촬영에 한정되는 일 없이 사용범위가 넓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스탠드(11)에 장착되어 있는 디지털카메라(51)는 카메라스탠드(11)측으로부터 여러 가지의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서화카메라(1)로서 양호한 사용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은 서화카메라(1)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51)를 지지하는 카메라스탠드(11)는 취급성을 생각하면 콤팩트한 사이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디지털카메라(51)의 장착위치는 서화원고(A) 등이 놓여지는 원고대(12)의 위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디지털카메라(51)가 불안정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지털카메라(51)를 직접 조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스로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51)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상기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번잡함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카메라스탠드(11)를 비사용시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음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스탠드(11)의 강성 및 그 자중이 스스로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의 안정성의 확보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현저하다. 또한 조작버튼 등의 종류나 배치장소를 연구함으로써 한손에 의한 조작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카메라(51)에 대한 조작의 종류는 상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스탠드(11) 이외에도 카메라스탠드(11)가 접속된 PC(2)에 있어서도 디지털카메라(51)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한층 사용편리함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달리, 예를 들면 서화카메라(1)가 프로젝터(3)에 직접 USB접속되어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프로젝터(3)에 PC(2)와 똑같은 조작기능을 설치하고, 프로젝터(3)가 갖는 조작키나 적외리모콘(7)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카메라(51)의 조작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촬상투영시스템을 나타내는 시스템구성도이다.
도 2a는 카메라스탠드에의 디지털카메라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화살표 도면이다.
도 3은 카메라스탠드의 전기회로도이다.
도 4는 디지털카메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와 PC의 전기적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서화카메라 2: PC
3: 프로젝터 4: 제 1 USB케이블
5: 제 2 USB케이블 6: RGB케이블
7: 적외리모콘 11: 카메라스탠드
12: 원고대 13: 스탠드본체
14: 지지암 15: 부착부
16: 외부측 커넥터 17a: 전원키
17b: 조명스위치 17c: 모드전환키
17d: 셔터키 17e: 주밍키
17f: 조작기록키 18: USB케이블
19: 카메라측 커넥터 20: 걸어맞춤구멍
21: 원고조명 22: 해제버튼
23: 기억장치 24: 무선송수신부
25: 카메라고정부재 26: 걸어맞춤핀
27: 고정나사 28: 중계커넥터
31: 충전회로 32: 조명구동회로
33: 키입력회로 34: AC잭
35: AC어댑터 36: 조작기록부
37: 변환부 51: 디지털카메라
52: 본체 53: 액정모니터
54: 광학파인더 55: 모드선택키
56: 주밍키 57: 전원스위치
58: 셔터키 59: 무선송수신부
61: CCD 62: DSP/CPU
63: TG 64: 유니트회로
65: 렌즈구동부 66: 스트로보회로
67: USB인터페이스 68: 전원제어부
69: 키입력부 71: 주소·데이터버스
72: DRAM 73: 내장플래시메모리
74: 카드·인터페이스 75: 메모리카드
76: 외부기기접속커넥터 77: 전원회로
81: CPU 82: RAM
83: 기억장치 84: 입력장치
85: 비디오어댑터 86: VRAM
87: 표시장치 88: RBG출력단자
89: 제 1 USB접속단자 90: 제 2 USB접속단자
91: CPU 92: ROM
93: RAM 94: 화상입력부
95: 표시부 96: 키입력부
97: 적외신호수신부 98: 입력단자
99: USB단자 A: 서화원고
S; 스크린

Claims (16)

  1.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카메라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이용한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조작은 동작모드의 전환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이용한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조작은 상기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의 표시내용을 변화시키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이용한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조작은 정지화상 촬영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이용한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조작은 조작내용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설정한 내용을 기록하는 조작기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의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의 확보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는 촬상하는 대상에 촬영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LED의 출사광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는 디지털카메라의 충전을 실행하는 충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0.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며,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행하는 접속부를 구비한 카메라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의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의 확보는 무선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는 촬상하는 대상에 촬영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LED의 출사광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스탠드는 디지털카메라의 충전을 실행하는 충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
  15. 투영장치에 투영시키는 화상을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는 서화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기록부를 구비한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디지털카메라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고, 또한 장착된 디지털카메라와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확보하는 카메라스탠드와, 상기 카메라스탠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스탠드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카메라를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외부조작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작기기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상기 카메라스탠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화상입력부와, 상기 화상입력부에 입력된 화상에 의거하는 표시용의 화상을 상기 투영장치에 출력하는 화상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카메라시스템.
KR1020040081600A 2003-10-14 2004-10-13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KR100587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3623 2003-10-14
JPJP-P-2003-00353623 2003-10-14
JP2004283719A JP4635545B2 (ja) 2003-10-14 2004-09-29 カメラ装置、画像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書画カメラ
JPJP-P-2004-00283718 2004-09-29
JP2004283718A JP4513483B2 (ja) 2003-10-14 2004-09-29 書画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並びに書画カメラシステム
JPJP-P-2004-00283719 2004-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45A true KR20050036745A (ko) 2005-04-20
KR100587862B1 KR100587862B1 (ko) 2006-06-12

Family

ID=3438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600A KR100587862B1 (ko) 2003-10-14 2004-10-13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1092B2 (ko)
EP (1) EP1524836B1 (ko)
KR (1) KR100587862B1 (ko)
CN (1) CN1645910B (ko)
TW (1) TWI279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582B1 (ko) * 2004-11-02 2012-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확대/축소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05029293A1 (de) * 2005-06-22 2007-01-11 Thomson Broadcast And Media Solutions Gmbh Vorrichtung zur mechanischen und elektrischen Verbindung
CN100435075C (zh) * 2005-07-14 2008-11-19 李银林 一种触摸式投影屏幕系统及其实现方法
US7929013B2 (en) 2006-02-10 2011-04-19 Freedom Scientific, Inc. Desktop electronic magnifier
US8854442B2 (en) 2006-02-10 2014-10-07 Freedom Scientific, Inc. Retainer for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US8854441B2 (en) 2006-02-10 2014-10-07 Freedom Scientific, Inc.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US8208729B2 (en) * 2006-03-30 2012-06-26 Loquitur, Inc. Capturing and presenting text using video image capture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WO2008004909A1 (fr) * 2006-07-05 2008-01-10 Zakrytoe Aktsionernoe Obchshestvo 'shtrikh-M' Procédé de détection de codes à barres linéaire dans le cadre d'une image vidéo, scanner vidéo et groupe de traitement de paiements
JP5056054B2 (ja) * 2007-02-19 2012-10-2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US8594387B2 (en) * 2007-04-23 2013-11-26 Intel-Ge Care Innovations Llc Text capture and presentation device
DE102007043243A1 (de) * 2007-09-11 2009-03-12 Godziek, Klaudius, Dipl.-Ing. Halbautomatisches Kopierstativ
TWI348311B (en) * 2007-10-09 2011-09-01 Quanta Comp Inc Portable compute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608980B2 (ja) * 2009-01-27 2014-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書画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10177719A (ja) * 2009-01-27 2010-08-12 Elmo Co Ltd 資料提示装置
CN101841584B (zh) * 2009-03-21 2013-11-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5532992B2 (ja) * 2010-02-10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書画カメラ、書画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1159270A1 (en) * 2010-06-18 2011-12-22 Eu3C Company, Limited Digital camera scanner in a desk lamp
US8526079B2 (en) * 2010-10-26 2013-09-03 Jean-Paul Ciardullo High-speed digital scanner and method
JP2012129768A (ja)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書画カメラ、書画カメラ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処理システム
EP2676429A4 (en) * 2011-02-20 2014-09-17 Sunwell Concept Ltd PORTABLE SCANNER
JP5762153B2 (ja) * 2011-06-07 2015-08-12 株式会社Pfu 押さえ板
KR101364173B1 (ko) 2012-06-05 2014-02-17 남명봉 서화 연습 시스템
USD709890S1 (en) * 2012-06-14 2014-07-29 Pfu Limited Scanner
USD740826S1 (en) * 2012-06-14 2015-10-13 Pfu Limited Scanner
KR101391509B1 (ko) * 2012-08-27 2014-05-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셀 카메라를 포함하는 원격 탈부착 장치
WO2014142914A1 (en) * 2013-03-14 2014-09-18 Blackberry Limited Accessory for scanning documents with a mobile device
JP5841587B2 (ja) * 2013-12-25 2016-01-13 株式会社Pfu 撮像システム
JP5756202B1 (ja) * 2014-03-18 2015-07-29 株式会社Pfu 撮像システム
CN105120124A (zh) * 2015-08-25 2015-12-02 北京麦哲科技有限公司 拍摄扫描系统及使用方法
TWM580510U (zh) * 2019-03-08 2019-07-11 崴強科技股份有限公司 移動式裝置支撐架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45A (en) * 1867-07-09 Joseph s
US80537A (en) * 1868-08-04 John h
JPS62163461A (ja) * 1986-01-13 1987-07-2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読取方法
DE68918616T2 (de) * 1988-03-15 1995-05-1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Bilddatenübertragungsgerät.
US4937676A (en) * 1989-02-10 1990-06-26 Polariod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system with detachable printer
US5831667A (en) * 1996-09-27 1998-11-03 Enhanced Vision Systems X-Y viewing table and adapter for low vision enhancement systems
JPH10134163A (ja) * 1996-11-05 1998-05-22 Pfu Ltd スキャナ付き装置
US6545701B2 (en) * 1997-08-13 2003-04-0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anoramic digital camera system and method
JPH11136659A (ja)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中の濃度むら補正方法
JP3978836B2 (ja) * 1997-12-17 2007-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CN1196075C (zh) * 1998-10-05 2005-04-06 佳能株式会社 图象读取装置
US6731326B1 (en) * 1999-04-06 2004-05-04 Innoventions, Inc. Low vision panning and zooming device
EP1323291A1 (en) 2000-09-18 2003-07-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and-alone monitor as photograph slide show projector
AT501662B1 (de) 2001-02-07 2006-12-15 Hoefler Kurt Mag Dipl Ing Dr Vorrichtung zum digitalen abbilden und speichern eines dokumentes
JP2002369067A (ja) 2001-06-06 2002-12-20 Victor Co Of Japan Ltd 資料提供装置用の遠隔操作用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3058877A (ja) 2001-08-20 2003-02-28 Pfu Ltd 歪み補正方法、歪み補正装置および歪み補正プログラム
JP2003101822A (ja) * 2001-09-25 2003-04-04 Ricoh Co Ltd 画像入力装置
JP2003204559A (ja) 2002-01-04 2003-07-18 Canon Inc 書画カメラ装置
JP2003235033A (ja) * 2002-02-08 2003-08-22 Tamron Co Ltd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3283909A (ja) 2002-03-20 2003-10-03 Ricoh Co Ltd 名刺取り込み機能付きカラー画像撮影装置
NZ518092A (en) 2002-03-28 2004-11-26 Pulse Data Internat Ltd Low vision video magnifier viewing apparatus having digital zoom feature
US20040257464A1 (en) * 2003-06-20 2004-12-23 Pandit Amol S. Camera tripold with memory storage and power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9407A (en) 2005-06-16
EP1524836A1 (en) 2005-04-20
EP1524836B1 (en) 2017-11-22
CN1645910A (zh) 2005-07-27
CN1645910B (zh) 2011-08-17
KR100587862B1 (ko) 2006-06-12
US7751092B2 (en) 2010-07-06
US20050088528A1 (en) 2005-04-28
TWI279584B (en) 200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862B1 (ko)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JP3987788B2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4139942B2 (ja) 発光体付きカメラ
US7819530B2 (en) Auxiliary device equipped with projector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system incorporating the auxiliary device
JPH1013779A (ja) 情報処理装置
JP4565265B2 (ja) プロジェクタ付き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5354622A (ja) 接続装置
JP2001045352A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
JP4635545B2 (ja) カメラ装置、画像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書画カメラ
JP4513483B2 (ja) 書画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並びに書画カメラシステム
JPH10229541A (ja) デジタルカメラ用アクセサリー
JP2005345576A (ja) 撮像装置
JP2005318023A (ja) 電子カメラ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6579B2 (ja) クレードル
KR20080041007A (ko) 외장카메라들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JP5181416B2 (ja) 投影装置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4129159B2 (ja) カメラ用アクセサリ
JP2006157398A (ja) 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4515222B2 (ja) 情報処理装置
JPH11225281A (ja) 資料提示装置
JP2002342003A (ja) 操作部材、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001655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84328A (ja) 撮像装置
JPH11341314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