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73B1 - 서화 연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화 연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73B1
KR101364173B1 KR1020120060586A KR20120060586A KR101364173B1 KR 101364173 B1 KR101364173 B1 KR 101364173B1 KR 1020120060586 A KR1020120060586 A KR 1020120060586A KR 20120060586 A KR20120060586 A KR 20120060586A KR 101364173 B1 KR101364173 B1 KR 10136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sheet
moisture
calligraphy
calli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857A (ko
Inventor
남명봉
손진현
박병춘
Original Assignee
남명봉
박병춘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봉, 박병춘, 손진현 filed Critical 남명봉
Priority to KR102012006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6Devices involving the us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tracing material, e.g. copy boo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화 연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은,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 저부의 베이스부재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습장치와; 상기 연습장치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를 향해 영상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화상출력장치와; 상기 화상출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붓글씨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붓글씨데이터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붓글씨데이터저장부와 연결되어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붓글씨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출력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중앙제어부로 구성된 컨트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분의 증발 여부에 따라 글씨가 표현되거나 사라지도록 한 연습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 연습장치의 표면에 영상으로 글씨가 표현되도록 하는 프로젝터나 영사기와 같은 화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화상출력장치를 통해 서화 연습을 위한 데이터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의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하고, 실제 붓글씨를 하는 것과 유사한 마찰감을 느끼고, 연습시트 상에 화상이 표현되어 붓글씨 자세 및 시선을 올바르게 연습할 수 있고, 연습장치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연습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액자화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서화 연습 시스템{Practice system for handwriting}
본 발명은 물을 사용하여 연습시트 위에 붓글씨를 쓰면 마치 먹으로 쓴 것과 같이 검은 글씨가 나타났다가 물기가 건조되면 다시 본래대로 지워져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화 연습장치를 구비하고, 이 연습장치를 구성하는 시트에 프로젝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해 영상으로 글씨 데이터를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화면 등을 통해 서화 연습을 하는 것이 아닌, 시트 자체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붓글씨를 연습하도록 하여 서화 연습시 시선 및 자세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자세까지 정확히 연습할 수 있도록 하고, 화면 등에 연습하지 않고 시트에 연습함으로써 실제 붓글씨와 유사한 마찰을 느껴 실제 서화 연습하는 것과 최대한 유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 감각에 맞는 영상을 통한 집단 수업 방법이 용이해지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개인별 작품의 감상 및 지도가 편리해지는 한편, 개인별 수업 내용의 포트폴리오(Portfolio)를 구비하고, 이를 영구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서화 연습(書畵 練習)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서예는 초등학교의 미술수업, 특별활동 및 성인의 정서순화 등 전통적으로 오래전부터 취미생활로 자리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예 즉, 붓글씨를 하기 위해서는 먹과 벼루 및 종이를 필요로 하며, 종이에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벼루에 물을 담근 후 먹을 갈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붓글씨를 쓰기 위한 준비 과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넓은 작업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현대인의 생활습관에 부합되지 않는 측면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붓글씨 연습판"(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84-0001737호, 특허문헌 1) 및 "붓글씨 습자판의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19913호, 특허문헌 2) 등이 공개된 바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2는 판지, 목판 또는 합성수지판에 검정색 유성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폴리비닐알코올 100g에 물을 약 1,160-1,220㎖ 가량 섞어 80˚-10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키고 이 용액과 동량의 아크릴에멀션(중합도 10-50만)을 혼합하여 따로 마련한다음 실온에서 이산화규소1㎏에 물을 약 3,400-3,700㎖가량 가하여 충분히 교반혼합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과 아크릴에멀션의 혼합용액을 약 2,000-2,200㎖가량 취하여 상기 이산화규소 용액에 잘 혼합하고 이 최종 혼합용액을 도료가 도포된 판에 실크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는 기술로, 검은 표면의 습자판은 미세한 요철의 이산화규소 분말이 고루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연한 회색의 판이 형성되게 되며, 이렇게 도포된 상태의 이산화규소는 난반사 효과가 있으나 물로 글씨를 쓰게 되면 글씨를 쓴 부분의 표면이 물로 인하여 빛에 대하여 평평한 유리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빛이 난반사되지 않고 투과되어 투명성을 갖게되고, 그 밑에 도포된 흑색이 나타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별도로 벼루나 먹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화선지 역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습자판과, 붓, 물만 있으면 되므로 준비 작업이 짧아지고 화선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교과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미술 수업이나 서예 특별활동에 이러한 교구의 사용이 전혀 없는 형편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서화 연습에 소요되는 공간은 학생들의 책상 크기 즉, 최소 30cm 이상의 가로 크기가 필요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학생들의 가방 등에 넣고 다니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에 서예 연습을 위해서는 화선지를 둘둘 말고, 벼루, 먹, 붓을 준비하면 되므로 실제 연습을 위해 펼치기 전에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면, 특허문헌 1,2와 같은 기술은 실제 연습시에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휴대에는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술은 습자판에 몇 글짜 정도 쓰다보면 이미 쓴 글씨가 증발되어 날아가게 되므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선생님이 학생이 쓴 글씨를 확인할 수 없는 바, 실제 연습을 했는지, 글씨를 잘 썼는지를 아예 확인할 수 없어 서예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단순히 연습장 정도의 기능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까지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붓글씨 연습기"(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9787호, 특허문헌 3)가 공개되기도 하였다.
상기 기술은 터치스크린에 글씨가 나타나면 붓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종이의 낭비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붓이 지류 등에 닿는 것이 아니라 표면이 매끄러운 스크린에 닿게 되는 바 붓이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인해 원할한 연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20-1984-0001737 (1984. 05. 17) KR 10-0019913 (1985.09.02) KR 10-2007-0119787 (2007.12.21)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의 증발 여부에 따라 글씨가 표현되거나 사라지도록 한 연습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 연습장치의 표면에 영상으로 글씨가 표현되도록 하는 프로젝터나 영사기와 같은 화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화상출력장치를 통해 서화 연습을 위한 데이터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의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하고, 실제 붓글씨를 하는 것과 유사한 마찰감을 느끼고, 연습시트 상에 화상이 표현되어 붓글씨 자세 및 시선을 올바르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연습장치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연습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액자화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연습장치는 판상(플레이트)이 아닌 두루마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도록 하고, 일측에 방수시트를 설치함으로써 글짜를 써 나가면서 쓴 글짜의 위에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수분의 증발에 의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여러 개의 글짜를 써나간 후에 그 내용을 파악하고, 교사의 지도를 받거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예 실력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타측지지봉을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보조수분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연습이 끝난 후 급하게 연습장치를 수습하여 장소를 옮길 때 수분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수분 흡수성 재질의 보조시트를 더 설치하여 연습 과정에서 빠르게 글씨를 지워 사용할 수도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이 위하여,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 저부의 베이스부재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습장치와; 상기 연습장치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를 향해 영상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화상출력장치와; 상기 화상출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붓글씨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붓글씨데이터저장부,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붓글씨데이터저장부와 연결되어 입력부의 신호에 따라 붓글씨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출력장치에 보내도록 구성된 중앙제어부로 구성된 컨트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에는 연습시트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장치의 중앙제어부는 상기 촬영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데이터저장부와,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습장치는 베이스부재와 난반사부재가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과, 연습시트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측지지봉과 타측지봉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장치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지지봉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시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지지봉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와 방수시트가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분의 증발 여부에 따라 글씨가 표현되거나 사라지도록 한 연습장치를 구비하는 한편, 이 연습장치의 표면에 영상으로 글씨가 표현되도록 하는 프로젝터나 영사기와 같은 화상출력장치를 구비하고, 화상출력장치를 통해 서화 연습을 위한 데이터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종이의 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방지하고, 실제 붓글씨를 하는 것과 유사한 마찰감을 느끼고, 연습시트 상에 화상이 표현되어 붓글씨 자세 및 시선을 올바르게 연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습장치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구비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연습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액자화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판상(플레이트)이 아닌 두루마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고, 일측에 방수시트를 설치함으로써 글짜를 써 나가면서 쓴 글짜의 위에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수분의 증발에 의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여러 개의 글짜를 써나간 후에 그 내용을 파악하고, 교사의 지도를 받거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예 실력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타측지지봉을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보조수분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연습이 끝난 후 급하게 연습장치를 수습하여 장소를 옮길 때 수분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수분 흡수성 재질의 보조시트를 더 설치하여 연습 과정에서 빠르게 글씨를 지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 감각에 맞는 영상을 통한 집단 수업 방법이 용이해지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개인별 작품의 감상 및 지도가 편리해지는 한편, 개인별 수업 내용의 포트폴리오(Portfolio)를 구비하고, 이를 영구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촬영장치가 추가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연습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방수시트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케이스가 추가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보조시트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화 연습 시스템은 크게 연습장치(100), 거치대(300), 화상출력장치(200), 컨트롤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연습장치(100)는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11)와, 상기 베이스부재(11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111)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11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112) 저부의 베이스부재(111)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거치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습장치(10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스탠드, 삼각대 등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거치대(300)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화상출력장치(200)는 상기 거치대(3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10)를 향해 영상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출력장치(200)의 예로는 영사기, 프로젝터 등이 해당되며, 이때의 연습시트(110)는 표면의 색상이 물이 묻지 않은 상태에서 흰색이나 회색 등과 같은 색으로 형성되어 화상출력장치(200)에 의해 조사된 영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트롤장치(4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화상출력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붓글씨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420),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와 연결되어 입력부(420)의 신호에 따라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출력장치(200)에 보내도록 구성된 중앙제어부(4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부(420)는 키보드나 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 등에 저장된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순수 그림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화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프로그램을 따라 화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중앙제어부(410)가 입력부(420)의 신호에 따라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화상출력장치(200)에 보내고, 화상출력장치(200)는 이 데이터를 연습장치(100)를 구성하는 연습시트(110) 표면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즉, 화상출력장치(200)는 프린트물과 같은 출력물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연습시트(110)에 화상으로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연습시트(110)에 표현되는 영상물은 획순, 뜻 정보, 글짜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일방향성으로, 사용자는 단순히 연습시트(110)에 출력된 영상에 따라 붓글씨를 연습하게 된다.
이를 보다 발전시킨 개념으로 연습시트(110)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여 이를 데이터화한 다음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300)에는 연습시트(110)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50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장치(400)의 중앙제어부(410)는 상기 촬영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촬영장치(5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데이터저장부(440)와,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450)가 더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영장치(500)는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나 각종 디지털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며, 촬영데이터저장부(440)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가 적용된다 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연습시트(110)에 씌여진 글짜가 증발되기 전에 촬영하여 이를 교습하는 선생님께 보여드리거나,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여 액자를 만들거나 인터넷 게시판에 올리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먹과 벼루 없이도 실제에 가까운 저작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최신 스마트폰에 프로젝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컨트롤장치(400), 화상출력장치(200)를 별도의 컴퓨터나 영사기 대신 스마트폰과 프로젝터로 활용할 수 있고, 앱이나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아 다양한 서화 연습을 실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습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습장치(100)는 크게 연습시트(110), 권취장치(120) 및 방수시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연습시트(110)는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11)와, 상기 베이스부재(11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111)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1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112) 저부의 베이스부재(111)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연습시트(110)의 베이스부재(111) 및 난반사부재(112)의 구성은 상기 특허문헌 2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부에 어두운 검은 색 계통의 부재와, 그 상부에 수분이 묻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며, 단지 베이스부재(111) 및 난반사부재(112)가 종래와 같이 경질의 판재(플레이트)가 아닌 유연성을 갖는 천이나, 지류, 시트 등이 적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시트(110)에는 다수 개의 칸 및 보조선으로 구획된 부분이 형성되어 연습 과정에서 글씨를 써 나갈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권취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습시트(11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121)과, 연습시트(110)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일측지지봉(121)과 타측지지봉(122)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110)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사용시 두 지지봉을 모두 감을 수도 있으나, 선택적으로 하나의 지지봉만을 감아 사용할 수도 있다.
방수시트(130)는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지지봉(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10)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수성 재질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비닐, 폴리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타측지지봉(122)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12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타측지지봉(122)에 수분배출홀(122a)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연습장치(100)를 사용 중 급하게 도구를 정리하고 자리를 이탈하게 될 경우 방수시트(130)가 연습시트(110)를 덮은 상태로 정리될 경우 방수시트(130)에 의해 수분의 배출이 원할해지지 않고 이에 연습시트(110)에 붓에 묻어 있던 수분이 묻어 있는 상태가 되고, 자리를 옮겨 서화 연습을 하려 할 때 전에 쓰던 글씨가 남아 있어 남아 있던 글씨가 증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측지지봉(121)을 내버려둔 채 수분배출홀(122a)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지지봉(122)을 일측지지봉(121) 측으로 굴리게 되면 타측지지봉(122)에 연습시트(110)가 감겨진 상태로 권취되게 되며, 이때 연습시트(110)에 묻어 있는 수분은 수분배출홀(1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바, 자리를 옮겨 연습시트(110)를 펼쳤을 때 깨끗한 상태로 바로 서화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습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40)의 구성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110)와 방수시트(130)가 권취장치(120)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40)의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141)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141)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수분배출홀(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4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조수분배출홀(141)을 나선형으로 배치한 것은 케이스(140)를 일반 탁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공기의 흐름 즉, 따뜻한 공기는 위로, 찬 공기는 아래로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분이 공기의 흐름을 따라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수분배출홀(122a) 및 보조수분배출홀(141)의 구성은 권취장치(120)로 연습시트(110)를 감싼 상태에서의 수분 배출을 촉진시킨 것이다.
한편, 연습 과정에서 방수시트(130)에 의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것과 반대로,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켜야 할 때도 있다.
이는 글씨를 쓴 다음 이를 빨리 지우고 다시 글씨를 쓸 때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122)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110)와 방수시트(1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150)의 예로는 화선지나 신문지 등과 같은 재질의 흡수성 지류나, 면 종류와 같이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는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보조시트(150)는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타측지지봉(122)에 고정장치(151)를 설치하고, 보조시트(150)는 고정장치(151)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151)의 예로는 일반 클립 종류나 클램프, 가이드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연습장치(100)는 권취장치(120)인 양측의 지지봉을 펼쳐놓고, 방수시트(130)를 연습시트(110) 위에서 일측으로 제친 다음 붓에 물을 묻혀 연습시트(110)에 글씨를 쓰게 되면 도 2와 같이 수분이 투과되면서 연습시트(110)의 저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111)의 검은 색상이 드러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내버려두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1 ~ 2 분 사이에 수분이 증발되어 글씨가 사라지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글씨를 연이어 쓰거나, 글씨를 쓴 다음 이 내용을 사진으로 찍거나, 선생님의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글씨를 써 나가면서 방수시트(130)로 연습시트(110) 위를 덮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면 된다.
도면을 살펴보면, 방수시트(130)에 의해 보호된 글씨(1)는 남아 있는 반면, 방수시트(130)가 덮지 않은 글씨(1)는 증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 서화 연습장치(100)는 비단 서화 연습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수첩과 같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종이의 낭비 없이, 그리고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느낌을 받아 다양한 글씨나 그림의 연습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글씨
100 : 연습장치 110 : 연습시트
111 : 베이스부재 112 : 난반사부재
120 : 권취장치 121 : 일측지지봉
122 : 타측지지봉 122a : 수분배출홀
130 : 방수시트 140 : 케이스
141 : 보조수분배출홀 142 : 뚜껑
150 : 보조시트 151 : 고정장치
200 : 화상출력장치 300 : 거치대
400 : 컨트롤장치 410 : 중앙제어부
420 : 입력부 430 : 붓글씨데이터저장부
440 : 촬영데이터저장부 450 : 출력부
500 : 촬영장치

Claims (5)

  1. 서화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11)와, 상기 베이스부재(11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111)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11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112) 저부의 베이스부재(111)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연습장치(100)와;
    상기 연습장치(10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300)와;
    상기 거치대(3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10)를 향해 영상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화상출력장치(200)와;
    상기 화상출력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붓글씨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420),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와 연결되어 입력부(420)의 신호에 따라 붓글씨데이터저장부(4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출력장치(200)에 보내도록 구성된 중앙제어부(410)로 구성된 컨트롤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습장치(100)는 베이스부재(111)와 난반사부재(112)가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1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121)과, 연습시트(110)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122)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측지지봉(121)과 타측지봉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110)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장치(120)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지지봉(1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10)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시트(130);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측지지봉(122)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1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110)와 방수시트(130)가 권취장치(120)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141)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141)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1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 연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0)에는 연습시트(110)에 씌여진 글씨를 촬영하는 촬영장치(50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장치(400)의 중앙제어부(410)는 상기 촬영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촬영장치(5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데이터저장부(440)와, 촬영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부(45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 연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122)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110)와 방수시트(1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15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화 연습 시스템.
KR1020120060586A 2012-06-05 2012-06-05 서화 연습 시스템 KR10136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86A KR101364173B1 (ko) 2012-06-05 2012-06-05 서화 연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86A KR101364173B1 (ko) 2012-06-05 2012-06-05 서화 연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57A KR20130136857A (ko) 2013-12-13
KR101364173B1 true KR101364173B1 (ko) 2014-02-17

Family

ID=4998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86A KR101364173B1 (ko) 2012-06-05 2012-06-05 서화 연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2577A (zh) * 2020-03-09 2020-06-16 吕梁学院 一种汉字书法训练系统
KR102580858B1 (ko) * 2021-07-02 2023-09-19 제갈선희 핸드라이팅 연습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시스템
CN114758538A (zh) * 2022-04-15 2022-07-15 深圳市超像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书法练习互动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22Y1 (en) * 1982-09-14 1984-07-30 Yang Jong Sok Teaching hand-writing
KR100587862B1 (ko) 2003-10-14 2006-06-1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KR101038565B1 (ko) * 2009-06-29 2011-06-02 광주과학기술원 글씨 쓰기 훈련을 위한 촉감책 시스템과 햅틱 렌더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매체
KR20130002393U (ko) * 2011-10-12 2013-04-22 한영수 족자형태의 서예 연습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322Y1 (en) * 1982-09-14 1984-07-30 Yang Jong Sok Teaching hand-writing
KR100587862B1 (ko) 2003-10-14 2006-06-1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서화카메라 및 서화카메라시스템
KR101038565B1 (ko) * 2009-06-29 2011-06-02 광주과학기술원 글씨 쓰기 훈련을 위한 촉감책 시스템과 햅틱 렌더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매체
KR20130002393U (ko) * 2011-10-12 2013-04-22 한영수 족자형태의 서예 연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857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86179U (zh) 一种美术教学用临摹投影画板
CN106371593A (zh) 一种投影交互式书法练习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364173B1 (ko) 서화 연습 시스템
CN103680249A (zh) 电脑描摹习字板
CN206773985U (zh) 一种初级英语教学用具
JP3817627B2 (ja) 書道用学習教材と書道用下敷と書道用半紙
Ormsbee et al. Modifying science activities and materials to enhance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and behavioral problems
CN207742811U (zh) 一种新型英语翻译教学板
KR20170023545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용 시트지 및 시스템
KR101289022B1 (ko)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CN206353395U (zh) 一种盲童触觉盲教装置
KR101257817B1 (ko) 천과 화선지 및 영상을 이용한 그림기법의 영상 촬영저장장치와 상기 그림기법이 저장된 영상저장장치와 그림기법의 원격 저장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RU163600U1 (ru) Планшет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рафических действий в ходе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нарушенных психических функций
CN201122226Y (zh) 投影装置的连接结构
CN108806352A (zh) 一种适于多种尺寸书画稿的书画临摹机构
JP2006053312A5 (ko)
Callow Viewing and doing visual literacy using picture books
CN103754024B (zh) 用于观察毛笔笔法机理的装置
JP3238682U (ja) 落書き用シート及び落書き用シートセット
KR200405845Y1 (ko) 칠판을 구비한 스탠드형 프로젝터 스크린
JP3096167U (ja) 水変色性シートとテンプレートを組合せた知育玩具
Kalkstein Today is Their Creator: Keith Smith’s No-Picture Books as Photographic Works
VS PROJECTED AIDS
KR20180002339A (ko) 교수 학습판
Lane Tracing behind the image: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of visual liter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