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022B1 -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022B1
KR101289022B1 KR1020120060587A KR20120060587A KR101289022B1 KR 101289022 B1 KR101289022 B1 KR 101289022B1 KR 1020120060587 A KR1020120060587 A KR 1020120060587A KR 20120060587 A KR20120060587 A KR 20120060587A KR 101289022 B1 KR101289022 B1 KR 10128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actice
support rod
moistur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봉
손진현
박병춘
Original Assignee
남명봉
박병춘
손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봉, 박병춘, 손진현 filed Critical 남명봉
Priority to KR102012006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 저부의 베이스부재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와; 상기 연습시트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과, 연습시트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측지지봉과 타측지봉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장치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지지봉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판상(플레이트)이 아닌 두루마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며, 일측에 방수시트를 설치함으로써 글짜를 써 나가면서 쓴 글짜의 위에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수분의 증발에 의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여러 개의 글짜를 써나간 후에 그 내용을 파악하고, 교사의 지도를 받거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예 실력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게 되고, 타측지지봉을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보조수분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연습이 끝난 후 급하게 연습장치를 수습하여 장소를 옮길 때 수분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지며,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수분 흡수성 재질의 보조시트를 더 설치하여 연습 과정에서 빠르게 글씨를 지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Roll type's practice apparatus for handwriting}
본 발명은 서화를 즐기거나 연습 시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연 수를 사용하여 글씨나 그림 등을 본 장치에 시행하면 마치 먹물이나 잉크 등을 사용한 것과 같이 시행되는 서화부분을 따라 순간적으로 검게 나타났다가 물기가 건조되면서 검게 나타났던 부분이 지워지도록 고안되었으며, 따라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서화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부리거나 접을 수 없는 종래의 고정된 판상(플레이트)이 아니고, 감고 펼칠 수 있도록 천이나 필름, 지류 등에 시술한 두루마리형상으로서 휴대 및 보관 등에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고, 또한 기능성 시트(필름)를 설치하여 이미 시행된 부분이 빨리 지워지는 현상을 지연, 방지하여 시행 작품의 감상이나 서예지도 시 편리성의 극대화 및 시행된 부분의 물기가 시행자의 실수 등으로 본 장치의 다른 여백에 이완되어 시행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이완된 물기에 의해 검게 나타날 수 있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두루마리형상의 서화(書畵)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예는 우리조상들의 전통 예술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근래에 와서는 학교의 정규 미술수업, 특별활동 및 성인들의 작품 활동, 취미생활, 정서순화 등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부문이다.
일반적으로 서예 하기 위해서는 먹과 벼루 및 붓과 종이를 필요로 하며, 종이에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벼루에 물을 담근 후 먹을 갈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붓글씨를 쓰기 위한 준비 과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넓은 작업 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현대인의 생활습관에 부합되지 않는 측면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붓글씨 연습판"(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84-0001737호, 특허문헌 1) 및 "붓글씨 습자판의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19913호, 특허문헌 2) 등이 공개된 바 있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2는 판지, 목판 또는 합성수지판에 검정색 유성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폴리비닐알코올 100g에 물을 약 1,160-1,220㎖ 가량 섞어 80˚-10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시키고 이 용액과 동량의 아크릴에멀션(중합도 10-50만)을 혼합하여 따로 마련한다음 실온에서 이산화규소1㎏에 물을 약 3,400-3,700㎖가량 가하여 충분히 교반혼합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과 아크릴에멀션의 혼합용액을 약 2,000-2,200㎖가량 취하여 상기 이산화규소 용액에 잘 혼합하고 이 최종 혼합용액을 도료가 도포된 판에 실크스크린 인쇄방법으로 도포하는 기술로, 검은 표면의 습자판은 미세한 요철의 이산화규소 분말이 고루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연한 회색의 판이 형성되게 되며, 이렇게 도포된 상태의 이산화규소는 난반사 효과가 있으나 물로 글씨를 쓰게 되면 글씨를 쓴 부분의 표면이 물로 인하여 빛에 대하여 평평한 유리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빛이 난반사되지 않고 투과되어 투명성을 갖게되고, 그 밑에 도포된 흑색이 나타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별도로 벼루나 먹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화선지 역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게 습자판과, 붓, 물만 있으면 되므로 준비 작업이 짧아지고 화선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교과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미술 수업이나 서예 특별활동에 이러한 교구의 사용이 전혀 없는 형편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서화 연습에 소요되는 공간은 학생들의 책상 크기 즉, 최소 30cm 이상의 가로 크기가 필요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학생들의 가방 등에 넣고 다니기 불편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에 서예 연습을 위해서는 화선지를 둘둘 말고, 벼루, 먹, 붓을 준비하면 되므로 실제 연습을 위해 펼치기 전에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면, 특허문헌 1,2와 같은 기술은 실제 연습시에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휴대에는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기술은 습자판에 몇 글짜 정도 쓰다보면 이미 쓴 글씨가 증발되어 날아가게 되므로 학생들을 지도하는 선생님이 학생이 쓴 글씨를 확인할 수 없는 바, 실제 연습을 했는지, 글씨를 잘 썼는지를 아예 확인할 수 없어 서예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단순히 연습장 정도의 기능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까지 있는 것이다.
KR 20-1984-0001737 (1984. 05. 17) KR 10-0019913 (1985.09.02)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플레이트)이 아닌 두루마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일측에 방수시트를 설치함으로써 글짜를 써 나가면서 쓴 글짜의 위에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수분의 증발에 의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여러 개의 글짜를 써나간 후에 그 내용을 파악하고, 교사의 지도를 받거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예 실력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타측지지봉을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보조수분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연습이 끝난 후 급하게 연습장치를 수습하여 장소를 옮길 때 수분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한,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수분 흡수성 재질의 보조시트를 더 설치하여 연습 과정에서 빠르게 글씨를 지워 사용할 수도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이 위하여,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 저부의 베이스부재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와; 상기 연습시트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과, 연습시트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측지지봉과 타측지봉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장치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지지봉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측지지봉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와 방수시트가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시트는 고정장치에 의해 타측지지봉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판상(플레이트)이 아닌 두루마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해진다.
특히, 일측에 방수시트를 설치함으로써 글짜를 써 나가면서 쓴 글짜의 위에 방수시트를 도포하여 수분의 증발에 의해 글씨가 지워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여러 개의 글짜를 써나간 후에 그 내용을 파악하고, 교사의 지도를 받거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예 실력을 실질적으로 키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타측지지봉을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을 형성하거나, 케이스에 보조수분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연습이 끝난 후 급하게 연습장치를 수습하여 장소를 옮길 때 수분의 배출이 원할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습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수분 흡수성 재질의 보조시트를 더 설치하여 연습 과정에서 빠르게 글씨를 지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 구부리거나 접을 수 없는 종래의 고정된 판상(플레이트)이 아니고, 감고 펼칠 수 있도록 천이나 필름, 지류 등에 시술한 두루마리형상으로서 휴대 및 보관 등에 편리성을 극대화 하였고, 또한 기능성 시트(필름)를 설치하여 이미 시행된 부분이 빨리 지워지는 현상을 지연, 방지하여 시행 작품의 감상이나 서예지도 시 편리성의 극대화 및 시행된 부분의 물기가 시행자의 실수 등으로 본 장치의 다른 여백에 이완되어 시행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이완된 물기에 의해 검게 나타날 수 있는 폐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습 장치 사용시 방수시트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서 케이스가 추가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보조시트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크게 연습시트(10), 권취장치(20) 및 방수시트(30)로 구성되어 있다.
연습시트(10)는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1)와, 상기 베이스부재(1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11)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12) 저부의 베이스부재(11)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연습시트(10)의 베이스부재(11) 및 난반사부재(12)의 구성은 상기 특허문헌 2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부에 어두운 검은 색 계통의 부재와, 그 상부에 수분이 묻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며, 단지 베이스부재(11) 및 난반사부재(12)가 종래와 같이 경질의 판상(플레이트)가 아닌 유연성을 갖는 천이나, 지류, 시트 등이 적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시트(10)에는 다수 개의 칸 및 보조선으로 구획된 부분이 형성되어 연습 과정에서 글씨를 써 나갈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권취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습시트(1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21)과, 연습시트(10)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일측지지봉(21)과 타측지지봉(22)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10)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사용시 두 지지봉을 모두 감을 수도 있으나, 선택적으로 하나의 지지봉만을 감아 사용할 수도 있다.
방수시트(30)는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지지봉(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0)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수성 재질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비닐, 폴리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타측지지봉(22)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22a)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타측지지봉(22)에 수분배출홀(22a)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연습 장치를 사용 중 급하게 도구를 정리하고 자리를 이탈하게 될 경우 방수시트(30)가 연습시트(10)를 덮은 상태로 정리될 경우 방수시트(30)에 의해 수분의 배출이 원할해지지 않고 이에 연습시트(10)에 붓에 묻어 있던 수분이 묻어 있는 상태가 되고, 자리를 옮겨 서화 연습을 하려 할 때 전에 쓰던 글씨가 남아 있어 남아 있던 글씨가 증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측지지봉(21)을 내버려둔 채 수분배출홀(22a)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지지봉(22)을 일측지지봉(21) 측으로 굴리게 되면 타측지지봉(22)에 연습시트(10)가 감겨진 상태로 권취되게 되며, 이때 연습시트(10)에 묻어 있는 수분은 수분배출홀(2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바, 자리를 옮겨 연습시트(10)를 펼쳤을 때 깨끗한 상태로 바로 서화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습장치가 수용되는 케이스(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40)의 구성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10)와 방수시트(30)가 권취장치(20)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40)의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41)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41)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수분배출홀(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조수분배출홀(41)을 나선형으로 배치한 것은 케이스(40)를 일반 탁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온도에 따른 공기의 흐름 즉, 따뜻한 공기는 위로, 찬 공기는 아래로 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분이 공기의 흐름을 따라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수분배출홀(22a) 및 보조수분배출홀(41)의 구성은 권취장치(20)로 연습시트(10)를 감싼 상태에서의 수분 배출을 촉진시킨 것이다.
한편, 연습 과정에서 방수시트(30)에 의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것과 반대로,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켜야 할 때도 있다.
이는 글씨를 쓴 다음 이를 빨리 지우고 다시 글씨를 쓸 때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22)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10)와 방수시트(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시트(50)의 예로는 화선지나 신문지 등과 같은 재질의 흡수성 지류나, 면 종류와 같이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는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보조시트(50)는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타측지지봉(22)에 고정장치(51)를 설치하고, 보조시트(50)는 고정장치(51)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51)의 예로는 일반 클립 종류나 클램프, 가이드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권취장치(20)인 양측의 지지봉을 펼쳐놓고, 방수시트(30)를 연습시트(10) 위에서 일측으로 제친 다음 붓에 물을 묻혀 연습시트(10)에 글씨를 쓰게 되면 도 2와 같이 수분이 투과되면서 연습시트(10)의 저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재(11)의 검은 색상이 드러나 글씨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내버려두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1 ~ 2 분 사이에 수분이 증발되어 글씨가 사라지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글씨를 연이어 쓰거나, 글씨를 쓴 다음 이 내용을 사진으로 찍거나, 선생님의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글씨를 써 나가면서 방수시트(30)로 연습시트(10) 위를 덮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면 된다.
도면을 살펴보면, 방수시트(30)에 의해 보호된 글씨(1)는 남아 있는 반면, 방수시트(30)가 덮지 않은 글씨(1)는 증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는 비단 서화 연습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수첩과 같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종이의 낭비 없이, 그리고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느낌을 받아 다양한 글씨나 그림의 연습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글씨 10 : 연습시트
11 : 베이스부재 12 : 난반사부재
20 : 권취장치 21 : 일측지지봉
22 : 타측지지봉 22a : 수분배출홀
30 : 방수시트 40 : 케이스
41 : 보조수분배출홀 42 : 뚜껑
50 : 보조시트 51 : 고정장치

Claims (5)

  1. 서화 연습 장치에 있어서,
    천, 지류, 시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분에 대하여 비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11)와, 상기 베이스부재(1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분과 접촉하면 빛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베이스부재(11)와 색상이 서로 다른 난반사부재(1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붓에 물을 적셔 필기하면 난반사부재(12) 저부의 베이스부재(11)가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글씨의 확인이 가능하고,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글씨가 사라지도록 구성된 연습시트(10)와;
    상기 연습시트(10)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일측지지봉(21)과, 연습시트(10)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타측지지봉(22)으로 구성되어 있어 일측지지봉(21)과 타측지지봉(22)을 중앙측으로 감아 연습시트(10)를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하도록 구성된 권취장치(20)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지지봉(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습시트(10) 상부에 펼쳐져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방수시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지지봉(22)은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분배출홀(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뚜껑(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습시트(10)와 방수시트(30)가 권취장치(20)에 의해 권취된 상태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보조수분배출홀(41)이 다수 형성되어 있되, 보조수분배출홀(41)이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케이스(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타측지지봉(22)에 연결되어 있고, 연습시트(10)와 방수시트(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수분 흡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보조시트(5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50)는 고정장치(51)에 의해 타측지지봉(22)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KR1020120060587A 2012-06-05 2012-06-05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KR10128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87A KR101289022B1 (ko) 2012-06-05 2012-06-05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587A KR101289022B1 (ko) 2012-06-05 2012-06-05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022B1 true KR101289022B1 (ko) 2013-08-07

Family

ID=4921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587A KR101289022B1 (ko) 2012-06-05 2012-06-05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67U (ko) * 1990-01-19 1991-10-01
KR20010050824A (ko) * 1999-10-05 2001-06-25 유키오 우에스기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KR20040048795A (ko) * 2003-04-25 2004-06-10 이수진 글씨연습기
KR200402693Y1 (ko) 2005-07-08 2005-12-06 김수동 반복사용이 가능한 글씨 연습용 습자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67U (ko) * 1990-01-19 1991-10-01
KR20010050824A (ko) * 1999-10-05 2001-06-25 유키오 우에스기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KR20040048795A (ko) * 2003-04-25 2004-06-10 이수진 글씨연습기
KR200402693Y1 (ko) 2005-07-08 2005-12-06 김수동 반복사용이 가능한 글씨 연습용 습자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0217A (en) Tactile image enhancer
CN206086179U (zh) 一种美术教学用临摹投影画板
CN103680249A (zh) 电脑描摹习字板
KR101364173B1 (ko) 서화 연습 시스템
KR101289022B1 (ko)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CN208228611U (zh) 一种用于语文教学的多媒体讲课平台
KR20080091316A (ko) 음악 교육용 교재
CN108294469A (zh) 一种教学用书法摹写采光收纳桌
TWI757683B (zh) 外語學習用黏性筆記本套組以及其製造裝置
CN207725139U (zh) 一种用于美术设计的多功能画板
KR200462735Y1 (ko) 서예 연습 문구
CN206293016U (zh) 练习用书写装置
JP3096167U (ja) 水変色性シートとテンプレートを組合せた知育玩具
KR200393161Y1 (ko) 카트리지 장치
KR200413802Y1 (ko) 화이트보드가구비된스케치북
KR101455455B1 (ko) 아이디어 발상 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스핀북
CN212966633U (zh) 一种新型长卷书法台
KR102197794B1 (ko) 다목적 점착성 인쇄용지
KR200392924Y1 (ko) 화이트보드가 구비된 스케치북
JP3123910U (ja) 文房具等が写った(描かれた)音読練習用・穴埋め問題対策用学習透明シート
KR200187861Y1 (ko) 카드 퍼즐책
KR200422174Y1 (ko) 지움성 및 필기성을 향상시킨 필기용 보드 키트
TR2022002894A2 (tr) Çi̇zi̇m, resi̇m ve benzeri̇ tabaka formunda kâğitlarin topluca saklanmasi ve gösteri̇mi̇ i̇çi̇n kullanilan kutu formunda çerçeve
KR20130007085U (ko) 학습용 보드
KR870003468Y1 (ko) 개량된 스케치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