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824A -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824A
KR20010050824A KR1020000058110A KR20000058110A KR20010050824A KR 20010050824 A KR20010050824 A KR 20010050824A KR 1020000058110 A KR1020000058110 A KR 1020000058110A KR 20000058110 A KR20000058110 A KR 20000058110A KR 20010050824 A KR20010050824 A KR 2001005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hydrochromic
nib
water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964B1 (ko
Inventor
나카시마아키오
가니다카오
Original Assignee
유키오 우에스기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오 우에스기,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오 우에스기
Publication of KR2001005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1/00Filling devices
    • B43K11/005Filling devices for refilling capillary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1/00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chem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2/00Special techniques in artistic painting or drawing, e.g. oil painting, water painting, pastel painting, relief painting
    • B44D2/002Kits for drawing or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4Dyeing with phototropic dyes; Obtaining camouflage eff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4Substances with reactive groups together with crosslink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변색성 직물 시트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표면위에 제공되고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되게 고정되는 결합제 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고, 물 흡수 상태와 물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사이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30 g/m2내지 1,00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직물이고,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1 g/m2내지 30 g/m2의 양으로 상기 다공성 층에 유지되며, 상기 미세한 규산입자는 결합제의 1 중량 파트를 기초로 하여서 0.5 중량 파트 내지 2 중량 파트의 범위 양으로 합체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된 수변색성 직물 시트를 포함하는 수변색체용으로 적합한 필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 수변색체용 필기구{Water-metachromatic cloth sheet, toy set using the same, and writing instrument for water-metachromatic members}
본 발명은 수변색성 직물 시트(water-metachromatic cloth sheet)와, 이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 수변색체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물이 마르게 있는지 아니면 젖어 있는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장할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이러한 시트를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 물에 의하여 어떠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이미지를 형성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흰색 또는 색깔이 있는 불투명한 시트는 이것이 젖어 있는지 또는 마르게 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색깔이 없게 되거나 투명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또한 색깔의 변화 즉, 색채 전이로 언급된다.
지지체와,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색소를 포함하는 다공성 층을 구비하고, 물이 부착되는 상기 다공성층이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되는 시트는 일본 특허공개소 50-5097호와, 헤이5-15389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가 주로 사용되는 분야로서, 서예, 이미지가 나타나고 사라지는 완구 등에 적용되고, 특히 낮은 내구성을 가지는 지지체 또는 기판으로서 종이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163,846 호는 이러한 형태의 물에 반응하는 시트와, 이 시트에 기록할 수 있는 수성펜을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수성펜의 구성이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기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단위 면적당 특정의 중량을 가지는 직물이 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고, 특정의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색소와, 결합제 수지를 특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구성되는 다공성 층이 상기 지지체의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뚜렷한 관통 관찰 이미지가 나타나며, 또한 종래 기술에서의 내구성이 없는 단점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변형 강도와, 내(耐)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방수성(water resistanc) 등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목적으로 수변색성 기록 시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수변색성 이미지가 바람직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사람이 그 위를 걸어다니거나 또는 유아들에게 충분히 큰 영역을 제공하는 수변색성 시트를 제공하며, 또한 인형의 옷과 완구의 피부가 재료와 같은 완구 분야, 그리고 수영복 분야 및 인공꽃, 우산, 레인코트, 방수 신발 등의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변색성 시트에 수변색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필기구의 형태 또는 스탬프의 형태를 가지는 물이 제공되는 수단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완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기록 속도에 따라서 적절한 양으로 흐를수 있는 동안에 뚜렷한 물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펜의 촉이 상향 또는 측방향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기록될지라도 적절한 양의 물이 흐르는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필기구로서, 물이 쉽게 공급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유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변색체용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의 예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7a는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b는 도 6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c는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필기구의 펜 촉 유닛(pen point unit) (즉, 펜 촉과 펜-촉 유지 부재의 조립)의 정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필기구의 주 몸체의 전방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필기구의 주 몸체의 후방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필기구로 기록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3a는 도 12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3b는 도 12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3c는 도 12의 C-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5a는 도 14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5b는 도 14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5c는 도 14의 C-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D-D선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E-E선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F-F선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G-G선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21은 도 16의 H-H선을 따라서 취한 확대 단면도.
도 22는 필기구의 홀더가 용기로부터 분리될 때에 도 6에 도시된 필기구가 어떻게 서 있는지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수변색성 직물 시트 2: 지지체
3: 다공성 층 4: 착색층
71: 필기구 72: 주 몸체
73: 펜 촉 74: 물 흡수기
상술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제공되며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하게 고정되는 결합제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며,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 비흡수 상태 사이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를 제공하며,
여기에서, 상기 지지체는 30 g/m2내지 1,00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직물을 가지며,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1g/m2내지 30g/m2의 양으로 상기 다공성 층에 유지되며,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결합제의 1 중량 파트(part)를 기초로 하여서 0.5 중량 파트 내지 2 중량 파트의 범위 양으로 합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기구로써 바람직한 어떠한 기록 이미지도 물에 의하여 수변색체에 형성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를 제공하며, 상기 수변색체는 지지체와, 지지체의 표면에 제공되며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되게 고정되는 결합제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며,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 비흡수 상태 사이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필기구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는 펜 촉 및, 상기 주 몸체의 내부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수기의 전방 단부는 물 흡수기가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펜 촉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주 몸체는 물 흡수기의 후방 단부가 외부와 소통될 수 있는 소통 구멍을 가지는 후방 단부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수변색성 직물 시트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도 1 내지 도 5).
수변색성 직물 시트(1)는 기본적으로 지지체 또는 기판(2)과, 그 표면위에 제공되며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되게 고정되는 결합제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3)을 포함하며,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 비흡수 상태 사이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시트이고, 상기 지지체(2)는 30g/m2내지 1,000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직물이고,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1g/m2내지 30g/m2의 양으로 상기 다공성층(3)에서 유지되며,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결합제의 1 중량 파트를 기초로 하여서 0.5 중량 파트 내지 2 중량 파트의 범위양으로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한 규산입자는 습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며 2차원 구조를 가지는 0.03㎛ 내지 10㎛의 입자직경을 가지는 규산이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될 수 있다. 착색층(4)이 상기 다공성 층의 근처 또는 그 상부층 또는 하부층에 부가로 제공될 수 있다(도 2). 방수성 시트 재료(5)가 연성의 열가소성 수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되고,1㎛ 내지 3 mm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적어도 50 cm 이상의 측부를 가지는 사변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미세한 규산입자는 건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습식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한 규산 입자(이후에는,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입자"로 언급함)가 특히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유용성을 만족시킨다.
이러한 미세한 규산입자는 이후에 설명된다.
상기 미세한 규산입자는 비결정성의 무결정(무결정 분말) 규산이다. 이것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이것은 실리콘 테트라크로라이드와 같은 실리콘 할라이드의 열분해와 같은 가스상태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건식 공정 제품(이후에는,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로 언급함)과, 산을 가진 소듐 실리케이트의 분해와 같은 액체상태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로 크게 분류된다. 본 발명에서 의도되는 바와 같이 다공성 층을 물투명하게 하거나 또는 은폐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얻기 위하여, 상기 습식 공정 미세한 규산입자가 가장 양호하다. 이러한 점은 상기 습식공정의 미세한 규산입자와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입자는 구조에서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입자는 아래의 화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산 입자의 분자가 근접되게 결합된다.
반면에, 습식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는 아래의 화학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분자간 정렬을 형성하는 2차원 구조의 모이티(moiety)로 불려진다.
그래서, 상기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는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보다 더 조잡한 분자간 구조를 가지고, 그래서, 다공성 층에 사용될 때, 상기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는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서 보다 우수한 불규칙적인 광 반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보다 큰 은폐 성능을 제공한다.
물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다공성 층(3)에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가 또한 양호하게 사용되는데, 왜냐 하면 이것은 건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보다 시라놀 그룹(silanol group)으로서 입자 표면에 더 많은 수산기 그룹을 갖기 때문이고, 보다 큰 친수성을 갖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은폐 성능과, 다공성 층의 액체 흡수 상태에서 투명성을 조정하기 위하여,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다른 일반적인 목적의 색소가 상기 습식의 미세한 규산 입자와 조합하여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은폐성능과, 액체 흡수상태에서 투명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층(3)에서 습식 공정의 미세한 규산 입자는 1g/m2내지 30g/m2의 코팅 중량으로 있는 것이 양호할 수 있고, 보다 양호하게는 5 g/m2내지 20 g/m2, 이것은 입자 직경, 특정의 표면 영역 및 오일 흡수와 같은 물리적인 성질에 의존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1g/m2보다 작다면, 일반적인 상태에서 충분한 은폐 성능을 얻기가 어렵다. 반대로 30g/m2보다 작다면, 액체 흡수상태에서 충분한 투명성을 얻기가 어렵다.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의 입자 직경에는 특정한 제한이 없다. 0.03 내지 10.0㎛의 입자 직경이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결합제로서 결합 수지를 포함하는 차량에 분산되고, 상기 얻어진 분산은 다공성 층(3)을 형성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되어 지지체(2)에 코팅된다.
상기 결합제 수지는 우레탄 수지, 나일론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폴리올 수지, 비닐 크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말레산(maleic acid)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스틸렌 수지, 스틸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부타디엔 수지, 크로로프렌 수지, 메라민 수지 및, 카세인, 전분, 셀루로즈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 우레아 수지 및 페놀 수지는 물론 상기 수지의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와 상기 결합제 수지의 어떠한 것도 상기 결합제 수지가 0.5 내지 2 중량 파트의 고체 성분으로 있고, 미세한 규산 입자의 형태와 성질에 따라서 미세한 규산 입자의 1 중량 파트를 기초로 하여서 0.8 내지 1.5 중량 파트가 보다 양호하다. 상기 결합제수지의 고체 성분이 미세한 규산 입자의 1 중량 파트를 기초로 하여서 0.5 중량 파트보다 작다면, 다공성 층의 실질적인 막의 강도를 얻기가 어렵다. 만약 2 중량 파트보다 크게 된다면, 상기 다공성 층은 물에 대한 침투성이 나빠지게 된다.
상기 다공성 층(3)은 종래의 공지된 통상으로 이용되는 코팅막보다 착색제에 결합제를 혼합하는 비율이 작게 됨으로써, 충분한 막의 강도를 얻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안티-스크래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술된 결합제 수지중에서, 나일론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수지와 상기 수지중의 하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터형 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형 우레탄 수지 및, 폴리에테르형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중의 2개 이상의 형이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물에 상술된 수지의 어떠한 것도 분산시키고 에멀젼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레탄형 에멀젼 수지와, 이온 성질을 가지는 우레탄 수지 그 자체[우레탄 이오노머(ionomer)]의 이온 그룹을 고려하여서 어떠한 유화제도 요구하지 않고 자체 에멀젼화에 의하여 물에 용해되거나 분사되는 콜로이드 분산형(이오노머 형) 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우레탄형 수지에서와 같이, 수용성 우레탄 수지와 기름에 녹는 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호하게는 수용성 우레탄 수지, 특히 우레탄형 에멀젼 수지와 콜로이드 분산형 우레탄 수지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결합제 수지가 막에서 요구되는 성능과 지지체의 형태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와 다른 결합제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우레탄 수지는 고체의 중량비로서 30%이상의 양에서 상기 다공성 층의 결합제 수지에 합체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술된 결합제 수지에서, 어떠한 바람직한 가교 결합제를 부가시킴으로써 가교 결합되는 가교 결합 수지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막의 강도는 부가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 수지는 물의 친화력 정도에서 다르다. 이렇게 다른 물의 친화력을 가지는 것이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시간과, 침투이후에 건조율 또는 다공성 층내로 물을 침투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분산제를 첨가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층(3)에서, 이산화 티타늄으로 코팅된 마이카(mica), 산화철/이산화 티타늄으로 코팅된 마이카, 산화철로 코팅된 마이카, 구아닌(guanine), 세리사이트(sericite), 베이직 리드 카보네이트, 에시드 리드 아르제네이트 또는 비스무스 산염화물과 같은 종래에 공지된 금속성 색소가 부가되거나, 형광성 염료 또는 형광성 색소, 또는 통상의 염료 또는 색소가 혼합될 수 있음으로, 색깔의 변화는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온도 변화시에 색깔을 변화시키는 종래에 공지된 환원가능한 금속성 색소가 혼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색깔은 주위 온도 또는 제공되는 물의 온도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색층(4)이 다공성(3)의 근처 및/또는 그 하부층 또는 상부층에 부가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특징의 변화가 풍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3)과 착색층(4)은 고체로 프린트된 층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한되지 않고, 글자, 심벌 및 디자인과 같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층(3)과 착색층(4)은 스크린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gravure printing), 패드 프린팅, 전사와 같은 프린팅 수단과, 브러쉬 코팅, 스프레이 코팅, 정전기적인 코팅, 전기침착 코팅, 캐스트 코팅, 롤러 코팅 및 침지 코팅과 같은 코팅 수단에 의하여 실행되는 종래에 공지된 수단에 의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로서는 직조된 천, 니트 또는 비직조 천과 같은 직물을 사용되는 것이 요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30g/m2내지 1,000g/m2범위, 더욱 양호하게는 30g/m2내지 500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30g/m2보다 작게되는 시스템에서는, 물은 불균일하고 불충분하게 흡수되어, 뚜렷한 시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한편, 1,000g/m2보다 더 큰 시스템에서는, 상기 직물은 매우 큰 단면 두께를 가짐으로써, 치울 때에 접기가 힘들거나 상기 시트가 큰 영역을 차지하는 시스템에서는 더 이상 경량이 아니고, 또한 상기 직물은 경제적으로 이점을 가질 수 없게 된다.
상기 직물중에서, 다공성 층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의 견지에서 볼 때에 양호한 평면도를 가지는 직조된 천이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은 보다 큰 물의 흡수성을 보장하고, 지지체로서 종이를 사용한 종래의 시스템보다 보다 뚜렷한 시야의 이미지(Q)(도 5)를 보다 빠르고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물이 흡수될 때 강도가 낮아지는 것이 없게된다. 보다 큰 영역으로 구성된 시트가 있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직물은 치울 때에 쉽게 접혀질 수있다.
상기 직물 시트(1)의 뒤쪽에는, 약 1㎛ 내지 약 3mm의 두께를 가지는 방수성의 시트 재료(5)가 접합되거나, 꿰메어지거나, 또는 적층의 형태로 될 수 있기 위하여 접착되는 어떠한 다른 수단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재료(5)는 예를 들면, 폴리오레핀 수지 또는 가소제를 혼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비닐 크로라이드 수지의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스틸렌 형, 우레탄 형, 폴리에스테르 형, 폴리아미드 형, 폴리부타디엔 형 또는 플루오르 형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방수성의 시트 재료는 불충분한 내구성을 가진다. 한편, 3mm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시트 재료는 접기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상기 방수성 시트 재료(5)가 직물의 뒤쪽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시트의 뒤쪽을 통하여 물이 누설됨으로써, 물이 사고로 시트 표면에 떨어지거나, 물이 과도하게 흡수될 때 어떠한 오염도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미끄럼 방지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완구 목적의 수변색성 직물 시트(1)는 유아들이나 그외 어떠한 사람도 그 곳위에서 놀기에 충분히 큰 공간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50 cm이상의 측부를 가지는 사변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유아들이나 또는 그외 어떠한 사람도 다양성을 가진 물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내구성이 만족스러우며, 물로 인한 오염의 성가심을 피하면서 걱정없이 놀 수가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변색성 직물 시트(1)와, 세트를 이루는 물을 공급하는 수단(P)을 포함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를 특징으로 한다(도 5참조).
상기 물을 공급하는 수단(P)의 예로서는, 물 흡수 요소로서 작용하는 개방된 셀 또는 섬유 작용 부재를 가지고, 그리고 스탬프 표면에 디자인, 문자, 심벌과 같은 이미지를 가지는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탬프 형(P-1)과, 펜 촉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기 합성수지 다공성 부재 또는 섬유작용 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형(P-2)가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필기구형(P-2)의 경우에, 필기구(71)는 주 몸체(72)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기록 단부로서 상기 펜 촉(73)을 가지는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펜 촉(73)의 후방 단부는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는 물 흡수기(74)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 몸체(72)는 이것의 적절한 부분에서 물 흡수기(74)가 외부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75 또는 76)을 구비한다.
상기 필기구(71)에서, 상기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가 안에서 유지하는 물은 섬유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모세관 공극내에서 유지된다. 적절한 양의 물은 상기 펜 촉(73)을 통하여 기록 단부로 나갈 수 있고, 상기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보다 더 큰 모세관 힘을 가진다. 상기 소통 구멍(75 또는 76)은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가 교환되도록 하는 작용함으로써, 많지도 작지도 않는 적절한 양의 물이 물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록 속도에 따라서 기록 표면에 도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통 구멍(75)이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는 시스템에서, 이것은 물 공급 구멍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11를 참조).
상기 필기구(71)에 형성된 시스템에서, 상기 펜 촉(73)과 물 흡수기(74)사이의 접촉은 상기 펜 촉이 상향으로 또는 측방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기록을 할 때라도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적절한 양의 물이 둘사이에서 모세관 힘의 적절한 균형을 고려하여서 기록면으로 흐를 수 있다. 그래서, 뚜렷한 물의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기구형(P-2)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6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필기구(81)가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펜 촉(82)을 유지하기 위한 홀더(83)와, 물을 내부에서 직접 유지할 수 있는 용기(86)를 포함한다. 물이 용기(63)내로 흐르는 유출 개구(861)는 용기(86)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홀더(86)는 유출 개구(86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86)는 유출 개구(86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내부는 밀봉가능하게 폐쇄된다.
상기 필기구(81))에서, 홀더(83)는 상기 펜 촉(82)을 이것의 외부면을 따라서 유지시키는 원통형 펜 촉 홀더(85)를 구비하고, 상기 펜 촉 홀더(85)는 유출 개구(861)로부터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곳에 배치된다. 상기 펜 촉(82)의 외부면과, 상기 펜 촉 홀더(85)의 내부면 사이에서, 상기 용기(86)의 내부면이 용기(86)의 외부와 소통되고 물이 모세관 힘에 의하여 유지되는 갭(88)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기구(81)에 형성된 시스템에서, 물(87)이 용기(86)내로 흘러 들어갈 때, 상기 홀더는 유출 개구(861)가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출 개구(861)에서 용기(86)로부터 분리되고, 여기에서 물(87)은 유출 개구(861)로부터 유출된다. 그 다음, 상기 펜 촉(82)을 가지는 홀더(83)는 유출 개구(861)에 결합되고, 그래서 상기 유출 개구(861)는 폐쇄되고, 상기 용기(86)의 내부는 밀봉되게 폐쇄된다. 그래서, 물(87)이 용기내로 흘러들어 가는 과정에서는 물(87)이 외부로 누설될 가능성은 없게 된다. 또한, 펜 촉(82)을 가지는 홀더(83)는 용기(86)의 커버로서 작용하고, 그래서 전체의 필기구 부분의 수는 작게 될 수 있으므로, 단순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펜 촉(73)은 이것의 외부면을 따라서 유지시키는 원통형 펜 촉 홀더(85)를 가지는 홀더(83)의 구조에서는, 상기 펜 촉 홀더(85)는 유출 개구(861)로부터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 곳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86)에서 물(87)을 유지시키는 부분과 상기 펜 촉(82)사이의 거리는 상기 펜 촉 홀더(85)가 용기(86) 외부에 결합되는 구조(본 발명의 구성과는 다른 구성)에서 보다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물(87)은 펜 촉(82)에 빠르고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전체적인 필기구는 컴팩트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용기(86)의 내부가 용기(86)의 외부와 소통되며 물이 모세관 힘에 의하여 유지되는 갭이 상기 펜 촉(82)의 외부면과 펜 촉 홀더(85)의 내부면사이에 제공되는 구성에서는, 용기(86)의 내부 압력이 온도변화등에 의하여 증가될 때 상기 갭(88)은 물이 용기(86)의 외부로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일시적으로 유지시킨다. 동시에, 이것은 물(87)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공기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흐르도록 유지시키며, 물(87)이 소모될 때에 용기(86)의 내부 압력에서의 감소될 때에 발생되는 부피에 대응되는 범위로 상기 용기(86)내로 공기가 흐르도록 한다.
특히, 상기 용기(86)의 내부 압력이 온도 변화의 결과로서 증가될 때에라도, 상기 갭(88)은 물(87)이 펜 촉(82)을 통하여 누설되는 가능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물(87)이 소모될 때 용기(86)의 내부 압력(86)이 감소되는 경우에서도, 공기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흐르게 되고, 그래서 펜 촉(82)로 물(87)이 과도하게 흐르거나 또는 모자라는 것이 없이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피복될 수 있다. 따라서, 물(87)의 외부로의 흐름과 공기의 내부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어떠한 밸브 기구용의 복잡한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상기 필기구의 전체가 구성면에서 심플하게 되고 제조 가격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갭(88)은 직경방향에서 이것의 폭 크기(S)(도 19 및 20)가 후방으로 연장될 때 더 작아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점은 갭이 후방으로 연장될 때 갭(88)에서의 모세관 힘이 점차적으로 크게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용기(86)의 내부 압력이 증가되고, 용기(86) 외부로 흐르는 물(87)은 전방으로 향하는 후방 단부로부터 갭에서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용기(86)의 내부 압력이 감소될 때, 갭(88)에 일시적으로 유지되는 물(87)은 방해되지 않고 용기(86)로 원활하게 연속적으로 복귀되며, 갭(88)의 단부 부분에서 물(87)로써 시작하게 된다.
또한, 갭(88)에서의 모세관 힘이 이것의 전방 부분에서보다 후방 부분에서 더 크게될 수 있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액체 밀봉 영역은 물(87)이 항상 유지되고 용기(86)내로 흐르는 공기 흐름이 제어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특히, 갭(88)의 직경방향에서 폭(S)은 이것이 후방으로 연장될 때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압력 제어 기구(즉, 용기(86)내로 흐르는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작용과 물(87)을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작용)는 효과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필기구(71)를 부가로 실현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목적으로 제조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필기구로써 어떠한 바람직한 기록 이미지도 수변색체에 형성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고, 상기 수변색체는 직물에 제한되지 않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표면위에 제공되며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사되게 고정된 결합제 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고,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 비흡수 상태사이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필기구는 주 몸체(72)와, 상기 주 몸체(72)의전방 단부에 부착된 펜 촉(73) 및, 상기 주 몸체(72)의 내부에서 유지되는 물 흡수기(74)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수기(74)의 전방 단부는 물 흡수기가 흡수함으로써 물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펜 촉(73)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주 몸체(72)는 상기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가 외부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75)를 가지는 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흡수기(74)는 펜 촉(73)으로부터 흡수함으로써 물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기구는 물 흡수기(74)가 주 몸체(72)의 후방에서 소통 구멍(75)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몸체(75)의 후방에서 있는 소통 구멍(75)이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에 대하여 후방으로 있는 위치에서 외부로 개방되어 제조되며; 상기 물 흡수기(74)의 전방 단부가 외부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76)은 주 몸체(72)의 전방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펜 촉(73)과 물 흡수기(74)는 각각 다공성 작용 부재 또는 합성수지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펜 촉(73)은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모세관 힘을 가지며; 상기 테일 스톱퍼(tail stopper)(78)는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 개구에 고정되며, 상기 소통 구멍(75)는 테일 스톱퍼(78)에 제공되는(도 6 내지 도 22 참조)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작동
주 몸체(72)의 전방부에서 펜 촉(73)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9참조), 상기 펜 촉(73)은 물이 침투되고, 따라서 상기 물 흡수기(74)는 펜 촉(73)와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으로 흡수함으로써 공급된다. 이러한 도중에,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에서 소통 구멍(75)은 물 흡수기(74)가 외부 공기와 소통되는 관통 구멍으로써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물 흡수기(74)가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에, 상기 물 흡수기(74)에 존재하는 공기는 소통 구멍(75)로부터 주 몸체(72)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래서, 상기 공기 및 물은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 내부와, 주 몸체(72)의 외부사이에서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고, 상기 물 흡수기(74)의 내부와 외부 공기사이에서 압력 균형이 유지될 동안에 물 흡수기(74)는 물이 원활하게 내부로 공급된다.
그래서, 상기 물 흡수기(74)가 펜 촉(73) 그 자체와, 물 흡수기(74) 그 자체의 모세관 힘을 이용함으로써 흡수에 의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 흡수기(74)는 물을 외부로 누설시키는 상태양 이상으로 초과하여 물이 공급될 가능성이 없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물 흡수기(74)가 주 몸체(72)의 후방에서 소통 구멍(75)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10 참조),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부는 물이 침투되고, 따라서 물은 주 몸체(72)의 후방에서 소통 구멍(75)을 통하여 물 흡수기(74)의 후방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물 흡수기(74)는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된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에서 소통 구멍(75)은 물 흐름 관통 구멍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기 펜 촉(73)은 공기 흐름 관통 구멍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물 흡수기(74)가 소통 구멍(75)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에,상기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에 존재하는 공기는 펜 촉(73)(즉, 펜 촉(73)의 모세관 갭을 통하여)로부터 상기 주 몸체(72)의 외부로 방출된다. 그래서, 상기 공기와 물은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의 내부와, 상기 주 몸체(72)의 외부사이에서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으며, 상기 물 흡수기(74)의 내부와 외부 공기 사이에 압력 평형이 유지될 동안에 물 흡수기(74)는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이러한 전체 주 몸체(72)는 물이 침투될 수 있으며, 상기 물 흡수기(74)는 펜 촉(73)과 소통 구멍(75)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물 흡수기(74)가 흡수함으로써 물이 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가 그 곳을 통하여 방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에 있는 소통 구멍(75)은 이것이 주 몸체(72)의 후방에서 개방되는 만큼 긴 어떠한 위치에서도 외부로 개방되게 제조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에 있는 소통 구멍(75)이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에 대한 후방의 위치에서 외부로 개방되게 제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작동
그래서, 물 흡수기(74)이 주 몸체(72)의 후방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10 참조),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부는 물이 침투되고, 물 흡수기(74)는 소통 구멍(75)을 통한 후방에서 물이 빠르게 공급될 수 있으며, 흡수에 의한 물 공급용으로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물 흡수기(74)의 전방 단부가 외부로 소통되는 소통 구멍(76)을 상기 주 몸체(72)의 전방부에서 또한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다.
작동
물이 주 몸체(72)의 전방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우에(도 9 참조),상기 주 몸체(72)의 전방부(즉, 펜 촉(73)과 소통 구멍(75))는 물이 침투되고, 상기 물 흡수기(74)는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되고, 동시에 물은 주 몸체(72)의 전방부에서 소통 구멍(76)을 통하여 주 몸체(72)로 들어가고, 상기 물 흡수기(74)의 전방부는 주 몸체(72)의 전방부가 침투되는 곳까지 물이 즉시 침투된다. 따라서, 상기 물 흡수기(74)의 전방부는 물이 직접 공급될 수 있으며, 흡수에 의한 물 공급이 걸리는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소통 구멍(76)은 물 흡수기(74)의 전방부에 대한 전방 위치에서 외부로 개방되게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래서, 물 흡수기(74)는 소통 구멍(7)을 통하여 물 흡수기(74)의 전방단부에서 물이 보다 빠르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 흡수기(74)가 주 몸체(72)의 후방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10 참조), 펜 촉(73)이 물로 젖게 될 때, 공기는 외부로부터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내에 있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물 흡수기(74)는 주 몸체(72)의 후방을 통하여 물이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소통 구멍(76)이 주 몸체(72)의 전방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펜 촉(73)이 물로 젖게될 때라도, 공기는 소통 구멍(76)을 통하여 주 몸체(72)의 내부와 주 몸체(72)의 외부를 가로질러서 흐를 수 있다. 그래서, 공기와 물은 주 몸체(72)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74)의 내부와, 주 몸체(72)의 외부사이에서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으므로, 물 흡수기(74)는 주 몸체(72)의 후방을 통하여 물이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펜 촉(73)과 물 흡수기(74)는 각각 섬유 작업 부재 또는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펜 촉(73)은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모세관 힘을 가진다.
작동
상기 펜 촉(73)은 물 흡수기(74)의 모세관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모세관 힘을 갖기 때문에, 필기구가 사용될 때 물은 물 흡수기(74)로부터 펜 촉(73)의 전방 단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수변색체의 원활한 기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흡수기(74)가 펜 촉(73)의 측부로부터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될 때, 물은 펜 촉(73)의 모세관 힘에 의한 물 흡수기(74)의 내부로 공급되고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 촉(73)과 물 흡수기(74)는 각각 섬유성 작업 부재 또는 합성 수지의 다공성 부재를 각각 포함하기 때문에, 적절한 모세관 힘을 갖기 위하여 펜 촉(73)과 물 흡수기(74)에 필요한 모세관 갭은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스탬프형 및 필기구형에서, 상기 플라스틱 다공성 부재는 폴리오레핀형, 폴리우레탄형 또는 일반적인 목적을 위하여 종래에 사용된 다른 다양한 형태의 어떠한 플라스틱으로도 형성되는 30 내지 85%의 공극을 가지는 개방 셀 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섬유 작업 부재는 수지를 가진 섬유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 또는 열 용융에 의한 작업섬유 및, 펠트 또는 비직조 섬유 형태를 가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은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며 "파트(들)"은 중량 파트를 나타내는 말이다.
실시예 1
9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진 핑크색 폴리에스터 새틴(satin) 직물이 지지체(2)로 사용된다. 습식 공정의 미세한 분말 실리카( 니폰 실리카 인더스터리얼 캄파니 리미티드에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 NIPSIL E-200)의 15파트와, 유레탄 에멀젼(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 인코포레이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 HYDRAN HW-930의 30 파트; 고체 성분이 50%)의 30파트와, 물의 50파트, 실리콘 형태의 안티-포밍제(anti-foaming agent)의 0.5파트, 물을 기초로 하는 잉크 농후제의 3파트와, 에틸렌 글리콜의 1파트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형의 가교 결합제의 3파트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하여서 얻어지는 흰색 스크린 프린팅 잉크가 80메시 스크린 판을 사용하여서 고체 프린트되고, 그 다음 다공성 층(3)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되도록 5분동안에 130℃에서 건조되고, 그래서 1m ×1.5m의 직사각형 수변색성 직물이 얻어진다(도 1참조).
상기 물 -색채 전이 직물 시트(1)에서, 지지체(2)의 핑크색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은폐되게 되며, 흰색 다공성층(3)이 전체 표면에 걸쳐서 있을 때에 시각적으로 감지된다.
물로 젖게 되는 손바닥이 수변색성 직물(1)에 대하여 가압되고, 상기 다공성 층(3)은 이러한 부분에서 투명하게 변화게 되고, 상기 손바닥에 대응되는 핑크 이미지(Q)는 시각적으로 감지가능하게 된다.
상기 다공성 층(3)이 건조될 때 핑크 이미지는 원래의 흰색으로 복귀되고, 상기 이미지는 볼 수 없게 된다.
실시예 2
45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흰색의 나이론 태피터(taffeta) 직물이 지지체(2)로 사용된다. 이것의 전체 표면위에는, 녹색 색소(산요 컬러 워크 리미티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SANDYE SUPER GREEN LxB)의 5파트와, 아크릴레이트 에멀젼(호에츠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MOVINYL 763; 고체 성분 48%)의 50파트와, 물이 기초로된 잉크 농후제의 3파트와, 레벨링 에이전트 0.5파트와, 안티-포밍제의 0.3파트 및, 에폭시형 가교 결합제 5파트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고 교반하여서 준비된 그린 스크린 프린팅 잉크가 180메시 스크린판을 사용하여서 고체 프린트되고, 그 다음 착색층(4)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되도록 3분동안 100℃에서 건조된다.
다음, 착색층(4)의 전체 표면에서, 습식 미세 규산 분말(니폰 실리카 인더스터리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NIPSIL E-200)의 15파트와, 엘로우 색소(산요 칼러 워크스 리미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SANDYE SUPER YELLOW 10GS)의 1파트와, 우레탄 에멀젼(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컬스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HYDRAN AP-20; 고체 함량 30%)의 15파트와, 물 40파트와, 실리콘형 안티-포밍제의 0.5파트와, 물을 기초로 하는 잉크 농후제의 3파트와, 에틸렌 글리콜 1파트 및, 블록 이소사이네이트형 가교결합제의 3파트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준비되는 엘로우 스크린 프린팅 잉크가 100메시 스크린 판을 사용하여서 고체 프린트되고, 그 다음 다공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5분동안 130℃에서 경화되도록 건조되고, 그래서 1m ×1.5m의 직사각형 수변색성 직물 시크가 얻어진다(도 5참조).
상기 수변색성 직물 시트(1)에서, 상기 엘로우 다공성 층(3)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감지된다. 문자는 그 시트위에 기록되고, 상기 다공성 층(3)은 상기 부분에서 투명하게 변화고, 그린 문자는 시각적으로 감지되게 된다.
상기 다공성 층(3)이 건조될 때 상기 그린 문자는 볼 수 없게 되고, 상기 시트는 원래의 엘로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실시예 3
3㎛ 두께의 우레탄 엘라스토머 시트가 접착되는 후방에 13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흰색 코턴(cotton) 사틴 직물이 지지체(2)로 사용된다. 이것의 표면에서, 미세 분말의 형광성 핑크 색소(니폰 쇼구바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EPOCOLOR FP-112)의 5파트와, 아크릴레이트 에멀젼(호에츠스트 고세이 가부시끼 가이샤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MOVINYL 763; 고체 함량이 48%)의 50파트와, 물을 기초로 하는 잉크 농후제의 3파트, 레벨링 에이전트 0.5 파트와, 안티-포밍제의 0.3 및, 에폭시형 가교 결합제의 5파트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하여서 준비되는 형광성 핑크 잉크가 180 메시 스크린 판을 사용하여서 고체 프린트되고, 그 다음 착색층(4)을 형성하기 위하여 3분동안 100℃에서 경화하도록 건조된다. 그 다음, 상기 착색층(4)에서, 습식 공정의 미세 규산 분말(니폰 실리카 인더스트리얼 캄파니 리미티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NIPSIL E-200)의 15파트와, 우레탄 에멀젼(다이니폰 잉크 앤드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명이 HYDRAN HW-930; 고체 함량 50%)의 30파트와, 물 50파트와, 실리콘형 안티-포밍제의 0.5파트와, 물을 기초로 하는 잉크 농후제의 3파트와, 에틸렌 글리콜의 1파트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형 가교 결합제의 3파트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교반하여서 준비된 화이트 스크린 프린팅 잉크가 80메시 스크린 판을 사용하여서 고체 프린트되고, 그 다음 화이트에서 상기 다공성 층(3)을 형성하기 위하여 5분동안 130℃에서 고형화되도록 건조되고, 그래서 수변색성 직물 시트(1)가 얻어진다(도 3참조).
상기 시트의 다공성 층(3)의 근처에서, 문자, 메시지 및 디자인과 같은 통상적인 프린팅 잉크에 의한 표시부가 통상적인 유틸리티와 디자인 장식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수변색성 직물 시트(1)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희게 되어 있다. 바람직한 핑크 관찰 이미지가 섬유 작업 펜 부재과 결합되는 마커(펜)에 의하여, 또는 완구 코끼리에서 스폰지 절단과 같은 물-공급 수단을 공급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감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화이트 코턴 사틴 직물의 후방에 3㎛ 두께의 우레탄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준비되는 지지체(2)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층(4)은 실시예 3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형광성 핑크 잉크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되고, 또한 다른 착색층(4)이 수변색성 직물 시트(1)를 얻기 위하여 통상적인 프린팅 잉크를 사용하는 패턴에 제공된다(도 1참조).
물이 사고로 시트에 떨어지거나 또는 직물이 물로 포화상태로 될 때라도, 상기 시트(1)는 시트의 후방을 통한 물의 배출 또는 물의 누설로 인한 어떠한 오염도 방지된다.
필기구의 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실시예 5
상기 필기구(71)의 제 1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된다(도 6 내지 도 11참조).
상기 필기구(71)는 주 몸체(72)와, 주 몸체(72)의 전방 단부에 고정되는 펜 촉(73)과, 상기 펜 촉(73)의 후방 단부와 전방 단부에서 연결되고 주 몸체(72)의 내부에서 유지되는 물 흡수기(74)와, 상기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고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는 테일 스톱퍼(78)로 구성된다.
상기 주 몸체(72)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원통형 몸체이다. 상기 주 몸체(72)의 전방 단부에서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펜 촉(73)이 가압 끼워맞춤되고, 펜 촉의 유지 부재(77)를 거쳐서 고정된다.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에서의 개구에 대하여, 상기 테일 스톱퍼(78)가 가압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물 흡수기(74)는 주 몸체(72)의 내부에서 유지된다.
펜 촉(73)으로서는, 합성 수지 섬유(아크릴 섬유의 로드형 수지 작업 부재는 그 전방 단부가 뽀족형상 또는 돔형상으로 절단된다)의 수지 작업 부재가 사용된다. 또한, 물 흡수기(74)로서는, 섬유 다발 작업 부재(예를 들면, 원주가 합성 수지막으로 피복되는 폴리에스터 섬유 다발과 같은 합성 수지 섬유다발)가 사용된다.
상기 펜 촉(73)과 물 흡수기(74)는 또한, 섬유 작업 재료 또는 합성 수지 다공성 재료의 단일 부재, 또는 섬유 작업 재료 또는 합성 수지 다공성 재료의 다수의 재료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주 몸체(72)의 내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길이방향 리브(721)(특히, 4개의 리브)를 가지고 전방부에서 일체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길이방향 리브(721)는 상기 물 흡수기(74)가 주 몸체(72)의 내부에서 유지되고 전방부 원주에서 직경방향에서 내향으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물 흡수기(74)가 직경방향에서 유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길이방향 리브(721)의 부분에 대하여 전방 방향에서, 상기 물 흡수기(74)의 전방 단부가 축방향에서 테라스(terrace)(721a)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테라스(721a)가 형성된다.
상기 테일 스톱퍼(78)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로 사출성형되어 얻어지는 원통형 몸체이다. 상기 테일 스톱퍼(78)는 축방향에서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 부분(781)과, 상기 접촉 부분(782)에 인접되게 제공되며 또한 가압 끼워맞춤되며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 개구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가압 끼워맞춤 고정 부분(782)와, 상기 가압 끼워맞춤 부분(782)에 인접되게 후방방향으로 제공되고 또한 축방향에서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되는 칼러(783) 및, 상기 칼러(784)에 인접되게 후방방향으로 제공되고 또한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실린더(784)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부분(781)은 원통형 축 돌출부(781a)와, 상기 원통형 축 돌출부(781a)에 인접되게 제공되는 반경방향 돌출부(781b)로 구성된다(도 7a). 상기 축 돌출부(781a)와 반경방향 돌출부(781b)는 물 흡수기(74)의 후방 단부가 축방향에서 지지체와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 흡수기(74)가 외부 공기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75)(내경이 2mm 내지 5mm)이 축방향에서 축 돌출부(781a)를 통하여 제공된다.
상기 소통 구멍(75)이 테일 스톱퍼(78)를 통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 개구로부터 상기 테일러 스톱퍼(78)에 부착되고, 사고에 의하여 상기 테일 스톱퍼(78)를 부풀리게 된다면, 상기 소통 구멍(75)은 어떠한 질식 사고도 피하기 위하여 목구멍 내부에서 공기 흐름 통로를 형성하도록 작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소통 구멍(75)이 주 몸체(72)의 축(즉, 상기 물 흡수기(74)의 축)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 흡수기(74)의 후방 부분은 상기 물 흡수기(74)가 이것의 후방으로부터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될 때 물을 균이랗게 흡수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테일 스톱퍼(78)의 내부에서, 상기 소통 구멍(75)과 소통되고 또한 후방으로 개방되는 리세스(785)가 형성된다. 그래서, 물이 주 몸체(72)의 후방으로부터 공급될 때,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부는 물로 침투되고, 물은 리세스(785)를 통하여 소통 구멍(75)에 빠르게 안내된다. 그래서, 흡수함으로써 물이 공급되는 물 흡수기(74)에 필요한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상기 펜 촉 홀딩 부재(77)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세탈)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원통형 부재이다. 펜 촉 부착 구멍(771)은 펜 촉 홀딩 부재(77)의 내부를 통하여 제공되고, 상기 펜 촉(73)은 펜 촉 부착 구멍(771)에 가압 끼워맞춤되고 그 곳에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펜 촉 홀딩 부재(77)는 주 몸체(72)의 전방 단부 개구에 가압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홀딩 부재의 외면은 주 몸체의 전방 단부 개구에 고정된다. 상기 펜 촉 홀딩 부재(77)의 외면에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길이방향 홈(772)이 서로에 대하여 대향된 위치에 제공되고, 이것에 의하여 소통 구멍(76)은 상기 펜 촉 홀딩 부재(77)가 주 몸체(72)의 전방 단부 개구의 내부면에 가압 끼워맞춤된 이후에 상기 주 몸체(72)의 전방 개구 단부의 내부면과, 상기 펜 촉 홀딩 부재(77)의 외부면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주 몸체(72)의 전방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예를 도시한다. 물(712)은 주 몸체(72)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저부 케이싱으로 형성된 용기(711)에 유지된다. 상기 펜 촉(73)을 가지는 주 몸체(72)의 전방부(즉, 펜 촉(73)과 소통 구멍(76)이 있는)는 물(712)로 적시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부(즉, 상기 소통 구멍(75))는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경우에, 물은 주 몸체(72)의 전방부에서 펜 촉(73)과 소통 구멍(76)로부터 주 몸체(7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주 몸체(72)(즉, 물 흡수기(74)에서)에 존재하는 공기는 주 몸체(72)의 후방부에서 소통 구멍(75)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물 흡수기(74)의 전방부는 주 몸체(72)의 전방부가 물로 젖혀지는 깊이의 정도까지 즉시 물로 적셔진다. 따라서, 상기 물 흡수기(74)는 짧은 시간과 기록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주 몸체(72)의 후방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동시에, 물(712)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용기(711)에 유지된다. 주 몸체(72)의 후방부(즉, 소통 구멍(75))는 물(712)로 적셔지고, 동시에 상기 주 몸체(72)의 전방부(즉, 펜 촉(73)과 소통 구멍(76))는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물은 테일 스톱퍼(78)에 제공되는 소통 구멍(75)로부터 주 몸체(7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주 몸체(72)(즉, 물 흡수기(74))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주 몸체(72)의 전방부에서 펜 촉(73)(즉, 펜 촉(73)의 모세관 갭)와, 소통 구멍(76)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그래서, 상기 물 흡수기(74)의 후방부는 주 몸체(72)의 후방부가 물로 적셔지는 깊이의 범위까지 물로 즉시 적셔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물 흡수기(74)에는 짧은 시간에 기록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물이 내부에 공급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수변색체용 필기구가 기록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 몸체(72)에서 물이 공급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71)에서, 이미지는 수변색체(10)(예를 들면, 수변색성 직물 시트)의 표면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에 사용되는 동안에, 상기 소통 구멍 75 및 76은 물이 기록으로 소모될 때 상기 주 몸체(72)의 내부 압력이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흐름 관통 구멍으로서 작용하고, 이것은 펜 촉(73)으로부터 물이 원활하게 흐르는 것을 보장한다.
실시예 6
상기 필기구(71)의 제 2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된다(도 12 및 도 13a 내지 도 13c 참조).
이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테일 스톱퍼(78)를 변경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테일 스톱퍼(78)의 축에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떠한 소통 구멍(75)도 제공하지 않고, 상기 주 몸체(72)의 후방 단부 개구의 내부면과, 상기 테일 스톱퍼(78)의 외부면사이에서 소통 구멍(75)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압 끼워맞춤 고정 부분(782)과 칼러(783)의 전방면에 길이방향 홈(786)이 제공되고,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떠한 실린더(784)도 테일 스톱퍼(78)의 칼러(783)의 후방에 제공되지 않는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함으로써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7
다음, 상기 필기구(71)의 제 3 실시예가 설명된다(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참조).
이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테일 스톱퍼(78)의 변경예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펜 촉(73)이 전방 단부에 제공되고, 또한 다른 펜 촉(79)가 테일 스톱퍼(78)에 가압 끼워맞춤되며(즉, 이중 단부형 필기구가 주 몸체(72)의 양쪽 단부에서 특별하게 언급되는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상기 펜 촉 73 및 79를 가지는 펜 촉로 구성되는 점과, 상기 길이방향 홈(786)이 테일 스톱퍼(78)의 리세스(785)의 내부면과 펜 촉(79)의 외부면사이에서 소통 구멍(75)을 형성하기 위하여 리세스(785)(즉, 펜 촉 부착 구멍)의 내부면에 제공된다.
상기 테일 스톱퍼(78)에 제공되는 펜 촉(79)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섬유 수지 작업 부재이며, 이것의 전방 단부는 끌형상 모서리로 절단된다.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8
상기 필기구(81)의 예가 다음 설명된다(도 16 내지 도 22 참조).
상기 필기구(81)는 기본적으로, 펜 촉(82)과, 상기 펜 촉(82)이 고정되는 홀더(83) 및, 상기 홀더(8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86)로 구성된다.
상기 펜 촉(82)은 섬유 다발(즉,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의 수지 작업 부재)의 로드형 수지 작업 부재이다. 이것은 단부로 테이퍼진 팁을 가지며, 상기 팁과 상기 팁 촉(82)의 후방방향으로 놓여 있는 외부면사이에 견부(shoulder)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86)는 유출 개구(861)가 개방되는 전방 단부와, 폐쇄되는 후방 단부에서 저부로 있는 케이싱이다. 이것은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블로워 성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용기(86)의 전방 단부에서, 제한부(862)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견부(863)는 상기 제한부(862)와 용기(86)의 후방방향으로 놓여 있는 외부면의 경계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 나사부(862a)가 상기 용기(86)의 제한부(862)의 외부면에 제공된다. 물은 용기(86)내로 직접 유지되게 된다.
상기 홀더(83)는 전방 방향의 작은 직경부(841)와 후방의 큰 직경부(842)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84)와, 내부 실린더(85)로 구성된 이중벽의 원통형 몸체이고, 상기 내부 실린더의 전방 단부에서의 외부면은 외부 실린더(84)의 내부면에 가압 끼워맞춤되거나 접착된다(즉, 상기 작은 직경부(841)의 내부면). 상기 외부 실린더(84)와 내부 실린더(85)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ABS 수지)가 사출 성형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실린더(84)의 큰 직경부(842)의 내부면에서, 용기(86)의 전방 단부의 외부면에 제공되는 외부 나사부(862a)와 결합가능한 내부 나사(842a)가 제공되고, 또한 원형 테라스(842b)가 외부 실린더(84)의 큰 직경부(842)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 나사(842a)의 전방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 실린더(85)가 이것의 후방 단부에서 저부를 가지는 저부 실린더이고, 상기 후방부는 외부 실린더(84)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홀더(83)는 용기(86)의 유출 개구(861)에 결합되고, 여기에서 외부 실린더(84)의 내부면(내부 나사(842a))은 용기(86)의 제한부(862)(외부 나사부(862a))의 외부면과 결합되고, 또한 상기 외부 실린더(84)의 후방 단부는 용기(86)의 견부(863)과 접촉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내부 실린더(85)는 유출 개구(861)로부터 용기(86)의 내부로 느슨하게 삽입되고, 상기 외부 실린더(84)의 내부면에서의 원형 테라스(842b)와, 상기 유출 개구(861)의 개방 단부는 서로에 대하여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물(87)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물(87)이 용기(86)내로 공급되거나(유출되거나), 또한 물이 용기(86)로부터 방출될 때, 홀더(83)는 용기(86)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상기 외부 실린더(84)의 원형 테라스(842b)와 상기 유출 개구(861)의 개방 단부사이의 밀접한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83)의 내부 실린더(85)의 내부면(즉, 상기 펜 촉 홀더의 내부면)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851)(여기에서는 6개의 리브)가 동일한 간격으로 제공된다. 상기 리브(851)는 펜 촉(82)을 이것의 외부면에서 가압 결합되게 유지하고, 이러한 점은 안정된 코팅 또는 기록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펜 촉(82)이 직경방향에서 흔들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브(851)는 펜 촉(82)이 이것의 외부면에서 가압 결합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모세관 힘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갭(88)이 상기 펜 촉(82)의 외부면과, 서로에 대하여 인접된 리브(851)의 상화 공간에서 내부 실린더(85)의 내부면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 실린더(85)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851)는 후방으로 향하여 보다 작게되는 범위에서 직경방향에서 돌출하도록 설정된다. 그래서, 상기 직경방향에서 갭(88)의 폭(S)은 후방으로 항햐여 점차적으로 작게 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갭(88)의 모세관 힘은 후방으로 향하여 점차적으로 크게 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특별하게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갭(88)의 직경방향에서의 폭(S)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0.3 mm로,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5 mm로 설정된다.
또한, 내부 실린더(85)는 제한된 후방 단부를 구비한다. 다수의 소통 구멍(852)(여기에서 3개의 구멍)은 상기 용기(86)의 내부가 소통 구멍(852)을 거쳐서 내부 실린더(85)의 내부(즉, 갭(88)과 소통되는 펜 촉(82)의 후방 단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후방 단부(도 21)에서 측벽에 제조된다. 상기 내부 실린더(85)의 후방 단부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있는 위치의 내부면에서, 스톱퍼 리브(853)가 후방 단부에서 내부 실린더(85)의 측벽에 대하여 인접되게 제공된다. 상기 스톱퍼 리브(853)는 펜 촉(82)의 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홀더(83)의 작은 직경부(841)의 전방 단부에서, 전방 단부 개구(841a)이 제공되고, 펜 촉(82)의 전방 단부가 이것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또한, 전방 단부의 개구(841a)의 내부면과, 상기 펜 촉(82)의 전방 단부의 외부면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펜 촉(82)은 전방 단부의 후방 외부면에서, 상기 펜 촉(82)이 홀더(83)로부터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외경은 전방 단부 개구(841a)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크다. 또한, 전방 단부의 후방 방향 외면에서 상기 펜 촉(82)은 작은 직경부(841)의 내부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리브(843)(여기에서 6개의 리브)로 유지됨으로써, 이것과 상기 작은 직경부(841)의 내부면사이에는 공기 흐름 경로가 형성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펜 촉(82)의 외부면과, 상기 펜 촉 홀딩 부재의 내부면사이에 형성된 갭(88)은 홀더(83)의 펜 촉 홀딩 부재의 내부면에 제공되는 리브(851)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다른 방법, 즉 펜 촉(82)의 외부면에 제공되는 리브(또는 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변형 강도와, 내(耐)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방수성(water resistanc) 등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목적으로 수변색성 기록 시트에 사용될 수 있으며, 수변색성 이미지가 바람직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사람이 그 위를 걸어다니거나 또는 유아들에게 충분히 큰 영역을 제공하는 수변색성 시트를 제공하며, 또한 인형의 옷과 완구의 피부가 재료와 같은 완구 분야, 그리고 수영복 분야 및 인공꽃, 우산, 레인코트, 방수 신발 등의 다른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제공되고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하여 고정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고,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 비흡수 상태 사이에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30 g/m2내지 1,00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지는 직물이며,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1 g/m2내지 30 g/m2의 양으로 상기 다공성 층에 유지되며,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결합제 수지의 1 중량 파트를 기초로 하여서 0.5 중량 파트 내지 2 중량 파트의 범위의 양으로 합체되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규산 입자는 습식 공정에 의하여 발생되는 0.03㎛ 내지 10㎛의 입자 직경을 가지며 2차원 구조를 가지는 규산이며, 상기 결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인 수변색성 직물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층의 근처에서 또는, 상부층 또는 하부층으로 착색층이 또한 제공되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후방에는 방수성 시트 재료가 제공되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성 시트 재료는 1 ㎛ 내지 3 mm의 두께를 가지는 시트이고, 연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되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적어도 50 cm 이상의 측부를 가지는 사변형으로 절단되는 수변색성 직물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 수단은 개방된 셀 또는 섬유성 작업 부재를 구비하는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탬프형 및, 펜 촉 재료로 사용되는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 또는 섬유성 작업 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형중에서 선택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주 몸체와,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 또는 섬유성 작업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주 몸체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펜 촉을 포함하고,
    상기 펜 촉의 전방 단부는 섬유 다발로 형성되는 물 흡수기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주 몸체에서 유지되며, 상기 물 흡수기가 외부와 소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 몸체의 적절한 부분에 소통 구멍이 제공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펜 촉을 유지시키는 홀더와, 물을 내부에서 직접 보관할 수 있는 용기를 포함하고,
    물이 용기내로 배출되는 유출 개구가 상기 용기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홀더는 유출 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는 홀더가 유출 개구에 결합될 때에 밀봉가능하게 폐쇄되는 수변색성 완구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이것의 외부면에서 펜 촉을 유지할 수 있는 원통형 펜 촉 홀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펜 촉의 홀딩 부재는 유출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용기내에 배치되며,
    상기 펜 촉의 외부면과 펜 촉 홀딩 부재의 내부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고, 상기 갭은 용기의 내부가 용기의 외부와 소통되며 모세관 힘에 의하여 물이 유지되는 갭인 수변색성 완구 세트.
  12. 어떠한 바람직한 기록 이미지가 필기구에 의하여 수변색체의 물에 의해 형성되며,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제공되며 미세한 규산 입자가 분산하여 고정되는 결합제 수지로 형성되는 다공성 층을 포함하고, 액체 흡수 상태와 액체를 흡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다른 투명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변색체용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주 몸체와, 상기 주 몸체의 전방 단부에 부착되는 펜 촉 및, 상기 주 몸체의 내부에 유지되는 물 흡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 흡수기의 전방 단부는 물 흡수기가 흡수함으로써 물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펜 촉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주 몸체는 물 흡수기의 후방 단부가 외부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을 가지고 후방 단부에 제공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수기는 펜 촉으로부터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수기는 주 몸체의 후방에서 소통 구멍을 통하여 흡수함으로써 물이 내부로 공급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의 후방에서의 소통 구멍은 물 흡수기의 후방 단부에 대한 후방 위치에서 외부로 개방되게 제조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수기의 전방 단부가 외부와 소통되는 소통 구멍이 주 몸체의 전방부에 제공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촉과 물 흡수기는 섬유성 작업 부재 또는 합성 수지 다공성 부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펜 촉은 물 흡수기의 모세관 힘보다 더 크게 설정된 모세관 힘을 구비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의 후방 단부 개구에는 테일 스톱퍼가 고정되고, 상기 소통 구멍은 테일 스톱퍼에 제공되는 수변색체용 필기구.
KR1020000058110A 1999-10-05 2000-10-04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KR100697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400599A JP3801819B2 (ja) 1999-10-05 1999-10-05 水変色性玩具セット
JP99-284005 1999-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24A true KR20010050824A (ko) 2001-06-25
KR100697964B1 KR100697964B1 (ko) 2007-03-23

Family

ID=1767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110A KR100697964B1 (ko) 1999-10-05 2000-10-04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953345B1 (ko)
EP (3) EP1091039B1 (ko)
JP (1) JP3801819B2 (ko)
KR (1) KR100697964B1 (ko)
CN (2) CN1184373C (ko)
CA (1) CA2322120C (ko)
DE (3) DE60040767D1 (ko)
ES (3) ES2354486T3 (ko)
HK (4) HK1110843A1 (ko)
TW (1) TW5169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22B1 (ko) * 2012-06-05 2013-08-07 남명봉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4807B2 (en) 2000-10-30 2005-11-15 The Pilot Ink Co., Ltd. Water-metachromatic laminat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4532019B2 (ja) * 2001-06-01 2010-08-2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発音玩具
JP4859297B2 (ja) * 2001-07-26 2012-01-2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性シートの製造方法
US7186206B2 (en) * 2002-01-28 2007-03-06 Gordon R Wren Therapeutic method and device therefor
FR2843914A1 (fr) * 2002-08-29 2004-03-05 Bisson Stephanie Inserra Support multicouche permettant un apprentissage efficace et ludique de la proprete chez l'enfant
JP4460908B2 (ja) * 2003-03-07 2010-05-12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可逆変色性玩具
US20050208109A1 (en) * 2004-01-29 2005-09-22 Mina Houtan Non-glue based moisturizing device
JP2006043971A (ja) * 2004-08-03 2006-02-16 Pilot Ink Co Ltd 変色性積層体
JP2006346442A (ja) * 2005-05-18 2006-12-28 Pilot Ink Co Ltd 水変色性パ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パズルセット
US20100248585A1 (en) * 2006-01-30 2010-09-30 The Pilot Ink Co., Ltd. Drawing toy and drawing toy set using the same
EP1820664B1 (en) 2006-02-15 2016-01-06 The Pilot Ink Co., Ltd. Water-discoloring drawing toy set
US7727319B2 (en) * 2006-04-19 2010-06-01 Crayola Llc Water-based ink system
US7815723B2 (en) * 2006-04-19 2010-10-19 Crayola Llc Water-based ink system
EP1878566B1 (en) * 2006-07-12 2017-02-22 The Pilot Ink Co., Ltd. Water-discoloring wall adhering material and water-discoloring wall adhering material set using the same
US20080078334A1 (en) * 2006-10-03 2008-04-03 Tammy Zaiko Kit and method for creating pet-related artwork
US20090026749A1 (en) * 2007-07-27 2009-01-29 Sandvik Innovations, Llc Interactive book having electronic circuits triggered by levels of illumination
WO2009082442A1 (en) 2007-12-20 2009-07-02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Structural materials with nearly zero carbon emissions
WO2009087789A1 (ja) * 2008-01-04 2009-07-16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水変色性布帛シート
JP4976338B2 (ja) * 2008-05-26 2012-07-1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性玩具セット
US9573403B1 (en) 2009-05-18 2017-02-21 Nucoat, Inc. Mess free coloring system
CN101665046B (zh) * 2009-09-24 2011-08-03 章泽宏 注液笔
JP5437153B2 (ja) * 2010-04-30 2014-03-12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性描画玩具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玩具セット
JP5156796B2 (ja) * 2010-06-11 2013-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耐熱性の樹脂プリント用組成物
JP4996716B2 (ja) * 2010-06-11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耐熱性の樹脂プリント処理布帛
JP2012247769A (ja) * 2011-05-02 2012-12-13 Ricoh Co Ltd 画像形成媒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8652996B2 (en) 2011-12-31 2014-02-18 Sanford, L.P. Irreversible thermochromic pigment capsules
US8709973B2 (en) 2011-12-31 2014-04-29 Sanford, L.P. Irreversible thermochromic ink compositions
US8664156B2 (en) 2011-12-31 2014-03-04 Sanford, L.P. Irreversible thermochromic ink compositions
JP6147724B2 (ja) * 2012-02-22 2017-06-1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水変色性積層体の製造方法
US8865621B2 (en) 2012-08-06 2014-10-21 Sanford, L.P. Irreversible color changing ink compositions
US10309901B2 (en) * 2017-02-17 2019-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ter-sensitive fluorophores for moisture content evaluation in hygroscopic polymers
CN108501569A (zh) * 2017-02-28 2018-09-07 莫里斯公司 可伸缩型书写工具
CN107227571B (zh) * 2017-05-15 2019-11-29 日信纺织有限公司 一种炫目迷人视觉效果涂层亲水织物
EP3727069B1 (en) * 2017-12-20 2023-08-09 Zephyros, Inc. Breathable, wicking nonwoven material
GB201801711D0 (en) * 2018-02-02 2018-03-21 Theunseen Encapsulated colour-change composition, coloured fabric and garment
JP7341739B2 (ja) * 2019-06-11 2023-09-11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変色体、変色体セット
KR102137964B1 (ko) 2019-12-24 2020-07-27 홍은지 색변환 학습 교구 세트 및 그 제조방법
US20220072443A1 (en) * 2020-09-04 2022-03-10 Kyle Slig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hosphorescent liquid writing surface
CN112643841A (zh) * 2020-12-25 2021-04-13 云南正邦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的竹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0979A (en) * 1951-03-07 1956-04-10 Henry J Bridy Container and moisture applicator
US3421823A (en) * 1965-02-23 1969-01-14 Dainihon Bungu Co Ltd Writing implement
US3481677A (en) * 1967-03-01 1969-12-02 Gen Mills Inc Marking device
GB1167632A (en) * 1967-04-04 1969-10-15 Dai Nihon Bungu Kabushiki Kais Writing Instruments
US4028118A (en) * 1972-05-30 1977-06-07 Pilot Ink Co., Ltd. Thermochromic materials
JPS505097B2 (ko) 1972-06-09 1975-02-28
US3993409A (en) * 1974-05-20 1976-11-23 Hart Una L Coloring pen assembly
US4022211A (en) * 1974-08-14 1977-05-10 Kimberly-Clark Corporation Wetness indicator for absorbent pads
JPS5835508Y2 (ja) * 1975-01-14 1983-08-10 帝帽 (株) 合成樹脂製ペン先
US4362645A (en) * 1978-09-28 1982-12-07 Akzona, Inc. Temperature indicating compositions of matter
US4212393A (en) * 1978-12-29 1980-07-15 Lenkoff Leon G Magic pictures
CA1240883A (en) * 1985-01-30 1988-08-23 Norikazu Nakasuji Thermochromic textile material
JPS63260476A (ja) 1986-12-16 1988-10-27 Mishima Seishi Kk 水像シート
US4810562A (en) * 1986-12-16 1989-03-07 Mishima Paper Co., Ltd. Image changeable sheet with water
JPH0274688A (ja) * 1988-09-05 1990-03-14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水変色材料
JPH0736718Y2 (ja) * 1989-02-09 1995-08-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色彩記憶玩具用品セット
US5163846A (en) 1990-11-26 1992-11-17 C. J. Associated, Ltd. Toy using water reactive paper
US5219625A (en) * 1991-07-09 1993-06-15 The Pilot Ink Co., Ltd. Thermochromic laminate member and toy utilizing the same
JPH05305794A (ja) * 1992-03-02 1993-11-19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及びそのキャップ
US5362168A (en) * 1992-10-21 1994-11-08 Zebra Co., Ltd. Writing device with spaced walls and sliding valve
DE4237616A1 (de) * 1992-11-06 1994-05-11 Merz & Krell Kapillar-Schreibstoff-Speichersystem
DE4323458B4 (de) * 1993-07-13 2006-01-05 Dataprint R. Kaufmann Kg (Gmbh & Co.) Vorrichtung zum Füllen von Schreib-, Zeichen-, Druck- oder Malgeräten
DE4343880C2 (de) * 1993-12-22 1998-01-29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Schreibgerät
NO306815B1 (no) 1994-06-06 1999-12-27 Norton As Fremgangsmåte ved fremstilling av siliciumkarbid
JPH0910013A (ja) * 1995-06-23 1997-01-14 Pilot Ink Co Ltd 感温変色性色彩記憶性履物及び任意像形成のための変色具を備えた履物用品
JP3310842B2 (ja) 1995-11-29 2002-08-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FR2751919B1 (fr) * 1996-08-02 1998-10-30 Conte Article d'ecriture a encre liquide dont le reservoir est equipe d'un systeme anti-desamorcage
US5814579A (en) * 1996-08-06 1998-09-29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Multicolor printing system
US5906446A (en) * 1996-10-22 1999-05-25 Bic Corporation Fillerless writing instrument
WO1998021052A2 (en) * 1996-11-12 1998-05-22 Avery Dennison Corporation Fluid dispensing utensil
US5897265A (en) * 1997-05-06 1999-04-27 Wilson; Caroline Ink Eraser
US5964226A (en) * 1997-09-12 1999-10-12 Sobel; Joan Lasker Hair product application system
CA2253160A1 (en) * 1997-10-31 1999-04-30 The Pilot Ink Co., Ltd. Color-change materials
US5958525A (en) * 1997-12-23 1999-09-28 Polaroid Corporation Device and kit
US6416853B1 (en) 1998-01-09 2002-07-09 The Pilot Ink Co., Ltd. Color-change laminates and toy sets with the use thereof
WO1999050079A1 (fr) * 1998-03-26 1999-10-07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Instrument d'ecriture muni d'un reservoir a encre
US6263602B1 (en) * 1998-10-30 2001-07-24 Steelcase Inc. Display board system
JP4454061B2 (ja) * 1999-05-17 2010-04-21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US6364993B1 (en) * 1999-09-01 2002-04-02 Bryan A. Netsch Material containing a water activatable coating
JP4368986B2 (ja) * 1999-10-06 2009-11-1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22B1 (ko) * 2012-06-05 2013-08-07 남명봉 두루마리형상 서화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5900A (zh) 2001-08-01
CN1565859A (zh) 2005-01-19
EP1091039B1 (en) 2008-04-16
DE60040767D1 (de) 2008-12-18
DE60045298D1 (de) 2011-01-05
ES2354486T3 (es) 2011-03-15
CN1184373C (zh) 2005-01-12
DE60038596D1 (de) 2008-05-29
ES2314957T3 (es) 2009-03-16
ES2302681T3 (es) 2008-08-01
EP1091039A3 (en) 2003-03-19
DE60038596T2 (de) 2009-06-10
EP1946940A1 (en) 2008-07-23
EP1867492B1 (en) 2008-11-05
CN1272188C (zh) 2006-08-30
CA2322120C (en) 2009-11-03
CA2322120A1 (en) 2001-04-05
HK1037391A1 (en) 2002-02-08
HK1072920A1 (en) 2005-09-16
EP1867492A1 (en) 2007-12-19
US7168876B2 (en) 2007-01-30
US6953345B1 (en) 2005-10-11
TW516971B (en) 2003-01-11
US20070086832A1 (en) 2007-04-19
JP3801819B2 (ja) 2006-07-26
KR100697964B1 (ko) 2007-03-23
HK1120008A1 (en) 2009-03-20
HK1110843A1 (en) 2008-07-25
EP1946940B1 (en) 2010-11-24
US20060008315A1 (en) 2006-01-12
EP1091039A2 (en) 2001-04-11
JP2001104661A (ja) 2001-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64B1 (ko)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US4681471A (en) Kit comprising multicolored fluid dispenser markers together with eradicating fluid dispenser, stamps and stamp pad
MXPA06003051A (es) Marcadores destellantes de accion capilar y composiciones de tinta para ellos.
EP1820664B1 (en) Water-discoloring drawing toy set
EP1990079A1 (en) Drawing toy and drawing toy set employing it
JP2005271580A (ja) 水変色性布帛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玩具セット
JP2004175101A (ja) 水変色性被筆記体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筆記セット
JP2005271580A5 (ko)
JP4859297B2 (ja) 水変色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9230623A1 (ja) 水変色体用水付着具及び水変色体セット
JP3156570U (ja) 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セット
JP2005326870A (ja) 変色性塗り絵及びそれを用いた変色性塗り絵セット
JP3122318U (ja) 可逆変色性衣類及びそれを用いた変色セット
KR200362336Y1 (ko)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JP6412792B2 (ja) 光輝性変色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輝性変色体セット
JP2007050694A (ja) 可逆変色体及びそれを用いた可逆変色体セット
JP2023063022A (ja) 水変色性シート用筆記体セット
JP2007076052A (ja) 可逆変色性筆記板及びそれを用いた可逆変色性筆記セット
JP3729389B2 (ja) 変色性塗り絵セット
KR200285238Y1 (ko) 승화성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를 사용하는전사펜
JP2002254547A (ja) 水変色材セット及び水変色像消失遅延方法
JP2008149593A (ja) 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セット
JP2005125123A (ja) 水変色性布帛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玩具セット
JP2010094971A (ja) 水変色性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玩具セット
JP2019107890A (ja) 変色体及びそれを用いた変色体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