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36Y1 -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 Google Patents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36Y1
KR200362336Y1 KR20-2004-0017090U KR20040017090U KR200362336Y1 KR 200362336 Y1 KR200362336 Y1 KR 200362336Y1 KR 20040017090 U KR20040017090 U KR 20040017090U KR 200362336 Y1 KR200362336 Y1 KR 200362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ink
sublimable
pen
disp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완
Original Assignee
김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완 filed Critical 김종완
Priority to KR20-2004-0017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에 관한 것으로, 승화성 전사 잉크가 내장되어 있고, 펜촉이 수용되도록 홈을 구비하고 있는 잉크 수용체;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와 접촉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의 말단부에 끼워져 있으며, 필기를 위하여 외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펜촉;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말단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용체를 밀봉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펜촉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가 승화성 염료 케이크 2 내지 10 %, 분산제 15 내지 25 %, 용제 10 내지 15 %, 암모니아 2 내지 10 %, 소포제 0.1 내지 5 %, 및 H2O 40 내지 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을 제공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시 간편하게 전사특성을 낼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TRANSFFERING PEN USING SUBLIMATABLE TRANSFERRING INK}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승화성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화성이 있는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의류, 천 등의 다양한 재질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과 컬러를 가지는 문양이 표현된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문양 표현은 단순한 스크린 인쇄로 이루어져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인쇄에 있어서는 표현되는 색상 수에 따라여러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린 인쇄에 의한 문양은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므로 촉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스크린 인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전사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열전사를 이용한 방법으로 보다 간단히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전사란 기본적으로 열을 매체로 사용하여 전사잉크로 제작하고자 하는 이미지나 글자 등을 전사지에 형성한 뒤, 상기 전사지를 섬유원단 또는 전사대상물에 위치시킨 뒤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사잉크가 전사대상물에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사인쇄는 상술한 스크린 인쇄와는 달리 단 한번의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고, 또한 전사잉크가 섬유지의 각 분자와 결합되어 형성되므로 섬유지의 표면에 별도 층을 이루는 요철구조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최근에는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전사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장비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가정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 개인의 취향에 적합한 별도의 일회성 작품을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열전사 작업을 위해서는 승화성 염료로 이루어지는 전사잉크가 내장되어 전사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이미지생성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이미지 생성기로는 주로 인쇄판 또는 컴퓨터출력기가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이미지 생성기에서 형성된 이미지가 새겨져 있는 전사지를 전사대상물에 전사시키기 위한 열과 압력을 가하는 전사기 본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이나 각 개인은 이러한 장비를 구비할 수 없으므로간단하게 원하는 모양이나 그림 또는 글씨 등을 필요로 하는 옷 또는 천등에 전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볼펜, 매직 등을 포함하는 범용적인 필기구는 종이 등에 필기를 위한 도구일 뿐이며, 섬유나 옷등에 필요로 하는 일정한 그림 및 글씨 등을 새겨넣기 위한 도구는 아니다. 따라서, 필기구를 이용하여 개인이 원하는 다양한 무늬 등을 간단한 그림 또는 글씨로 셔츠의 표면에 새겨넣었다 할 지라도 시간 경과에 따라 쉽게 색이 변색될 뿐 아니라 세탁에 의해 번지게 되어 셔츠 등의 옷감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번호 20-208258호에서는 승화성 염료로 이루어진 전사잉크가 내부에 내장되고 단부에 필기를 위한 필기촉이 부착되어 있는 잉크 수용체를 포함하는 승화성 염료가 내장된 전사 필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나, 잉크 수용체와 필기촉에 일체로 붙어 있고 승화성 분산 염료의 입도가 큰 경우 필기촉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앞선 발명인 등록실용신안 번호 20-285238호에서는 역시 승화성 염료를 사용하는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전사 잉크의 조성에 따라 필기구 촉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화성 분산 염료를 전사용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전사가용이하고 펜의 구성이 간편하며 사용이 편리한 승화성 분산 염료를 전사용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사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사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의 전사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화성 전사 잉크가 내장되어 있고, 펜촉이 수용되도록 홈을 구비하고 있는 잉크 수용체;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와 접촉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의 말단부에 끼워져 있으며, 필기를 위하여 외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펜촉;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말단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용체를 밀봉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펜촉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가 승화성 염료 케이크 2 내지 10 %, 분산제 15 내지 25 %, 용제 10 내지 15 %, 암모니아 2 내지 10 %, 소포제 0.1 내지 5 %, 및 H2O 40 내지 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전사펜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사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사펜의 분해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사펜(10)은 승화성 전사 잉크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 수용체(20), 상기 잉크 수용체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외부 케이스(40)의 일말단부에 삽입되도록 실장되는 펜촉(30), 외부 케이스(40) 및 상기 잉크 수용체(20)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뚜껑(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사용 잉크 수용체(20) 내부에는 전사용 잉크(22)가 내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승화성 전사 잉크란 분산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승화성이 있어 전사특성이 있는 염료를 말하며, 케이크 형태이고 수분 함유량이 거의 없어야 공정 중 압력에 의한 수분 증발에 의한 폭발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 및 염을 98 % 이상 건조한 승화성 분산 염료를 분산제 등과 혼합하여 잉크의 형태로 제조한 염료를 말하는 것으로 잉크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승화성 분산 염료는 저온에서 염색되는 것과 고온에서 염색되는 염료 중에서 마제타 성분(red 성분)인 경우 디스퍼스 레드 11, 60, 4, 옐로우 성분인 경우 디스퍼스 옐로우(disperse yellow) 54, 64, 119, 시안(blue) 성분인 경우 디스퍼스 블루(disperse blue) 56, 183, 359, 바이올렛 성분인 경우(violet) 디스퍼스 바이올렛(disperse violet) 26, 28, 29, 31, 오렌지(orange) 성분인 경우 디스퍼스 오렌지 25, 레드 성분인 경우에는 디스퍼스 레드 60, 62, 9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화성 염료 케이크는 2 내지 10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에는 상기 승화성 염료 케이크를 일정하게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분산제(solsperse)를 사용한다.
상기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옷감에 사용되는 안료 및 염료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산제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분산제는 15 % 이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화성 염료들이 뭉쳐져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25 %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산 후 염료들이 침전을 일으키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15 내지 25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화성 염료 케이크를 녹이기 위해 용제를 사용하고,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할 때 융점을 강하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용제는 일반적인 염료를 녹이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면 무방하다. 상기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중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10 내지 15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는 염료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은 2 내지 10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화성 잉크는 거품을 방지하고, 제조시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상기 승화성 염료 케이크가 잘 분산할 수 있도록 분산 효과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포제는 0.1 내지 5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물은 불순물을 제거한 증류수 또는 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광 견뢰도 등 본 발명의 승화성전사 잉크 조성물의 특성이 저하되므로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40 내지 70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 %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 사용시 건조속도를 느리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본 고안의 경우 잉크가 일정한 흐름성을 가져야만 필기가 가능하므로 승화성 전사 잉크의 평균 입도는 0.05 내지 1 ㎛이 바람직하다.
1 ㎛ 이상이면 흐름성이 나빠 잉크 수용체로부터 잉크가 나오질 않아 필기가 안되고, 0.05 ㎛ 이하이면 잉크가 잉크 수용체에 위치하지 않고 잉크 수용체로부터 흘러나오기 때문에 필기구로는 적당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고안의 전사펜은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므로 종이, 천 등에 먼저 그림등을 그린 후 매개체에 의해 다른 종이나 천 등에 전사가 가능하다.
전사가 가능한 매체로는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 및 종이 등이 있으며, 매개체로는 열 매체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승화성 전사 잉크(22)는 열 매체에 의해 전사가 될 수 있는 열전사 방식의 잉크를 사용한다.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22)는 스폰지 등과 같은 다공성 재질의 전사용 잉크 수용체(20)에 적셔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상기 펜촉(30)과 잉크 수용체(2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잉크 수용체(20)에 스며들어 있는 잉크(22)가 펜촉(30)에 단순히 접촉함으로써 펜촉으로 잉크가 흘러 내려와 종이, 섬유 등에 필기 등이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단순히 펜촉(30)을 잉크 수용체(20)에 꽂는 등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의 전사펜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전사펜의 경우 펜촉이 전사펜과 결합되는 앞부분의 경우 전사펜의 내부에 다수개의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어 펜촉(30)이 전사펜의 앞부분에 꽉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펜촉(30)과 잉크 수용체(30)가 결합되어 고정이 되므로 필기시 펜촉의 흔들림이 없고, 또한 다른 고정 수단이 필요없이 단순히 펜촉(30)을 잉크 수용체(20)에 꽂는 것만으로도 펜촉(30)이 잉크 수용체(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잉크를 다 사용한 경우에는 잉크 수용체(20)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40)는 잉크 수용체(20)를 보호하고, 사용자가 필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상기 뚜껑(50)은 본 고안의 경우 펜촉(30)과 잉크 수용체(20)가 일체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뚜껑(50)이 없는 경우에는 잉크 수용체(20)가 외부로 빠져나갈 위험성이 있으므로 외부 케이스(40)의 일말단부에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은 승화성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 전사펜에 관한 것이므로 전사펜의 모양과 구성은 본 고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사펜은 그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시 간편하게 전사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제작 비용등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승화성 전사 잉크가 내장되어 있고, 펜촉이 수용되도록 홈을 구비하고 있는 잉크 수용체;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와 접촉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의 말단부에 끼워져 있으며, 필기를 위하여 외부케이스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펜촉; 및
    상기 외부케이스 일말단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용체를 밀봉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펜촉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가 승화성 염료 케이크 2 내지 10 %, 분산제 15 내지 25 %, 용제 10 내지 15 %, 암모니아 2 내지 10 %, 소포제 0.1 내지 5 %, 및 H2O 40 내지 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 염료 케이크는 옐로우인 경우 디스퍼스 옐로우 54. 64. 119, 블루인 경우 디스퍼스 블루 56. 183. 359, 바이올렛인 경우 디스퍼스 바이올렛 26. 28. 29. 31, 오렌지인 경우 디스퍼스 오렌지 25, 레드 성분인 경우에는 디스퍼스 레드 60, 62, 92인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의 평균 입도는 0.05 내지 1 ㎛인 승화성 전사 잉크를 사용하는 전사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 전사 잉크는 승화성 분산 염료 중에서 저온 염료와 고온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펜.
KR20-2004-0017090U 2004-06-17 2004-06-17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KR200362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90U KR200362336Y1 (ko) 2004-06-17 2004-06-17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90U KR200362336Y1 (ko) 2004-06-17 2004-06-17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36Y1 true KR200362336Y1 (ko) 2004-09-16

Family

ID=4943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90U KR200362336Y1 (ko) 2004-06-17 2004-06-17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64B1 (ko) 수변색성 직물 시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완구 세트 및수변색체용 필기구
US4725462A (en) Heat activated indica on textiles
US8282299B2 (en) Friction body, writing instrument and writing instrument set
US4284456A (en) Method for transferring creative artwork onto fabric
ES2564421T3 (es) Sistema de formación de imágenes por transferencia de calor selectiva y procedimiento de utilización del mismo
US20120060283A1 (en) Bed Sheet with Indicia and Method
US10709185B2 (en) Garment with rewritable areas
EP1820664B1 (en) Water-discoloring drawing toy set
US10156043B2 (en) Reusable water writing paper,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nkless printing device used for same
KR200362336Y1 (ko) 승화성 전사 잉크 사용하는 전사펜
CN109880437A (zh) 一种基于金属-多酚网络结构的可循环利用的显色方法
KR200285238Y1 (ko) 승화성 분산 염료를 포함하는 전사용 잉크를 사용하는전사펜
KR100461659B1 (ko) 인쇄무늬가가역적으로변하는효과를갖는pvc바닥재
JP2005326870A (ja) 変色性塗り絵及びそれを用いた変色性塗り絵セット
KR200208258Y1 (ko) 승화성 염료가 내장된 전사 필기구
GB2429631A (en) Article of clothing and writing implement
JPS6138227B2 (ko)
JP2008149593A (ja) 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水変色性描画用バッグセット
JPS62199884A (ja) 布帛のインクジエツト染色方法
WO2019230623A1 (ja) 水変色体用水付着具及び水変色体セット
JPH03213393A (ja) 多色衣料用布ラベルの作成方法
JPH01110989A (ja) 転写原画形成方法
JPH0754283A (ja) 布帛の捺染方法
JP2012236332A (ja) 水変色性積層体
KR200294998Y1 (ko) 타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