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599A - 블로 성형품 - Google Patents

블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599A
KR20050032599A KR1020057002152A KR20057002152A KR20050032599A KR 20050032599 A KR20050032599 A KR 20050032599A KR 1020057002152 A KR1020057002152 A KR 1020057002152A KR 20057002152 A KR20057002152 A KR 20057002152A KR 20050032599 A KR20050032599 A KR 2005003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pinch
blow molded
lay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830B1 (ko
Inventor
요시오 아키야마
히로아키 도쿠다
가즈히사 인나미
슈이치 고시오
마사아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5003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18Means for supporting the extruded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with means for closing off parison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 B29C2949/072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wall thickness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 B29C2949/073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 B29C2949/0732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 B29C2949/0733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variable diamet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at least one internal separating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2Closure retaining means
    • B29C2949/0773Threads
    • B29C2949/0774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7Tamper-evident band retaining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29C2949/0822Diameter of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29C2949/0826Diameter of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Diameter
    • B29C2949/0827Diameter of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81Specified dimensions, e.g. values or ranges
    • B29C2949/0829Height,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2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2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3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more than thre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18Polymers of nitriles
    • B29K2033/20PAN, i.e. polyacrylonit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2Bright, glossy or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direct-blow molding process)에 의해 획득되고, 저부(4)와, 상기 저부의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본체부(3)와, 상기 본체부(3)의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입구부(2)를 포함하는 블로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분할된 저면 금형의 금형편(15)에 의해 초래되는 3개의 핀치오프(pinch-off) 라인(7)은 성형품의 저면(5)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블로 성형품{BLOW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블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 특히 다이렉트 블로 공정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은 압출기에 의해 용융 수지를 압출하여 원통형의 중공 패리슨(parison)을 성형하고, 이 패리슨을 블로 성형용으로 2 분할 금형의 금형편 사이에 끼워 분할 금형을 고정하거나 폐쇄하여 분할 금형 내의 캐비티 저부(bottom)에 배치된 블레이드부(blade portion)를 포함하는 저부 핀치오프(pinch-off)부에 의해서 패리슨의 용융 수지의 하부를 절단하고 열융합(thermal weld)하여 밀봉하고, 그리고 나서 분할 금형의 상부에서 패리슨 커터(cutter)로 원통형 패리슨의 용융 수지의 상부를 절단하고, 이어서 상기 원통형 중공 패리슨을 저부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후에 분할 금형의 상부로부터 에어 노즐(air nozzle)을 상기 패리슨 내로 삽입하고, 그리고 나서 상기 에어 노즐로부터 상기 패리슨 내로 에어(air)를 불어 넣는(blow) 방법에 의해서 성형품을 제조한다.
상술한 일련의 단계에 의해서 성형품을 제조하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은 사출 성형법 및 사출 성형된 예비 성형품(preform)을 사용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법과 비교하였을 때 더욱 저렴한 방식으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이 패리슨을 다층 성형하는 것에 의한 적층 구조를 더욱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층(monolayer) 구조의 경우에서 곤란하였던 다양한 요구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01-17094 공보에는 예비 성형품으로서 다이렉트 블로 성형품을 사용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비 성형품을 성형할 때, 코어 금형(core mold)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예비 성형품의 언더컷(undercut)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예비 성형품을 성형하며, 따라서 용기 저부 등에서 벽 두께 및 연신 불균일성이 작은 용기를 얻게 된다. 또한 패리슨을 다층으로 성형하면, 적층 형태의 2축 연신 블로 성형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중간층으로서 가스 차단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이하 "PET"로 약칭함)로 이루어지는 2축 연신 용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에서는 블로 성형 이전의 패리슨의 저부(bottom portion)가 상술한 핀치오프부에 의해서 분할 금형의 파팅-라인(parting line) 방향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대향 방향으로부터 평평하게 붕괴하는 이방성 형상을 가지는 경향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블로 성형 이후 특히 용기의 저부에서는 명백하게도 용기가 파팅-라인 방향으로 용기의 벽 두께가 증가하고 연신율(stretch ratio)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파팅-라인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벽 두께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하는 불균일한 특성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전체 용기의 벽 두께가 감소(중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초래되거나 용기 저부에서의 바닥 접촉면이 왜곡되어 우수한 자립성(自立性)을 확보하는데 실패할 수도 있다.
또한 용기의 핀치오프부에 2개의 동선형(co-linear) 핀치오프 라인이 형성되며, 이들 핀치오프 라인은 전형적인 원통형 패리슨을 평평한 형태로 붕괴시키거나 접어서 형성된 접힌 폭을 갖고 있으며, 상기 폭은 (패리슨의 외경(Dp))×π/2(여기서 π는 원주율), 즉 약 1.6Dp이다. 따라서 마스카라(mascara), 아이라이너(eye-liner)용으로 사용되는 소형 용기와, 직경이 본체부보다 더 큰 입구부를 가진 입이 넓은 용기 또는 연신성(stretching ability)이 낮은 재료로 형성된 용기와 같이 블로비(blow-up rate)를 크게 할 수 없는 용기에서는 용기의 핀치오프부에서 뿐만 아니라 분할 금형의 파팅-라인에 대응하는 용기의 본체부에서도 밀려 나온 수지에 의한 버(burr)가 형성되며, 따라서 블로 성형된 용기의 본체까지 2개의 동선형 핀치오프 라인이 연장되고 노출되기 때문에 용기의 외형에 잠재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1/2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용기의 저면도.
도 3의 (a), (b), (c)는 도 1에 나타낸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분할 금형에 의한 핀치오프 단계를 타나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저면도.
도 5의 (a) 및 (b)는 도 4에 나타낸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분할 금형에 의한 핀치오프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에서의 금형 고정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종래예로서의 블로 성형품의 비교예 1의 저면도.
도 8의 (a) 및 (b)는 도 7에 나타낸 용기의 성형시 분할 금형에 의한 핀치오프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종래의 블로 성형품으로서의 비교예 2의 측면도 및 저면도.
도 11은 제 3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용기의 벽 두께 분포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
도 12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3의 (a) 및 (b)는 각각 종래 블로 성형품으로서 비교예 3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4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일부 파단 확대 정면도.
도 16 은 도 15 의 성형품으로부터 2축 연신 블로 성형에서 얻어진 용기의 일부 파단 확대 종단면도.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행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저부 부근의 벽 두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고 연신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고, 분할 금형에 의해서 초래되는 용기의 핀치오프 라인의 형성을 용기 저부의 중심 부근의 영역 내로 한정시킨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에 의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수적인 목적은 벽 두께 균일성과, 자립성 및 외관이 우수한 신규한 블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저부와 상기 저부의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본체부를 구비하는 블로 성형품을 제공하며,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저부 저면(bottom face)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할된 저부 금형의 금형편에 의해 생긴 적어도 3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블로 성형 용기가 용기의 저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할된 저부 금형의 금형편에 의해서 초래되는 적어도 3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의 경우에, 상기 금형은 본체부와 입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2 분할 주금형(main mold)과 저부를 형성하기 위한 3 분할 저부 금형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3분할 저부 금형은 각각 3 방향으로부터 패리슨의 중심축을 향해서 이동하며, 상기 패리슨은 최종적으로 분할된 저부 금형의 인접한 금형편의 세 쌍의 대향면 사이에서 핀치오프(pinch off)되고, 따라서 핀치오프 라인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저부 금형의 금형편의 갯수를 증가시켜서 4개 또는 그 이상의 핀치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방사상 방식으로 적어도 3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형성하면, 둘레 방향으로 보았을 때 블로(blow)하기 전의 패리슨의 저부 형상을 현저하게 등방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두 방향으로만 2개의 핀치오프 라인이 동선형으로 형성되는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블로 성형품의 저부, 특히 저부의 둘레 방향으로 벽 두께의 균일성과 연신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 성형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부 근처, 특히 그 둘레 방향으로 벽 두께가 균일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연신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두께를 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성형 이후에 용기의 바닥 접촉면 등에서의 시간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어 우수한 자립성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핀치오프 라인 형성 영역을 살펴보면, 종래의 분할 금형은 2 분할 금형이므로 패리슨은 파팅-라인 방향에 대해서 직각인 두 방향으로부터 패리슨의 저부 핀치오프부에서 고정되어 평평하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블로 성형품의 저면(bottom face)에는 접힌 폭이 πDp/2(여기서 π는 원주율이고, Dp는 패리슨의 외경을 나타냄)이고 파팅-라인 방향으로 저면 중심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2개의 동선형 핀치오프 라인이 형성되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적어도 3개의 핀치오프 라인 형성 영역이 방사상 방식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접힌 폭이 3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가진 종래 경우의 접힌 폭의 2/3 배가 되는데, 이는 상기 형성 영역이 직경 πDp/3의 원 내부로 제한되기 때문이며, 또한 4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가진 종래 경우의 접힌 폭의 1/2 배가 되는데, 이는 상기 형성 영역이 직경 πDp/4의 원 내부로 제한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두 경우 모두에서 저면의 중앙부 근처 영역 내에 핀치오프 라인 형성 영역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로 성형품은, 종래의 2 분할 금형에 의한 블로 성형 하에서와 같이 핀치오프 라인이 본체까지 노출되기 때문에 성형품의 블로비(blow-up rate)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핀치오프 라인의 갯수는 용기의 형상 및, 예를 들면 저부 벽 두께의 달성 가능한 균일성, 핀치오프 라인 형성 영역의 감소, 분할 금형의 제조 비용 및 그와 같은 분할 금형을 사용한 성형 효율과 같은 개선된 효과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핀치오프 라인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각(central angle)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더욱 더 등방적인 형상의 패리슨 저부를 얻을 수 있고, 핀치오프를 보다 매끄럽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부의 균일성이 더욱 높은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4개의 핀치오프 라인의 경우에, 4개의 핀치오프 라인은 십자 형상, 즉 90°의 동일한 중심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특히 금형 고정시에 분할 주금형 및 분할 저부 금형 사이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최소한 원통형 본체를 갖는 용기 내의 저부가 충분한 균일성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핀치오프 라인의 형성 영역이 직경 πDp/4의(대략 0.8Dp)의 원 내로 제한되고, 패리슨의 직경보다 충분히 작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핀치오프 라인은 저면과 동심이고 직경이 πDp/2 이하의 원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다이렉트 블로 성형 용기에 있어서, 핀치오프 라인의 접힌 폭은 πDp/2(≒1.6Dp)가 되며, 이 접힌 폭은 상기 값보다는 더 작을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가진 용기는 신규한 블로 성형품으로서, 각각 핀치오프 라인이 3개 및 4개인 경우 πDp/3(≒1.0Dp) 및 πDp/4(≒0.8Dp)의 직경을 가진 영역 내에 핀치오프 라인 형성 영역이 제한되며, 따라서 본체와 비교하였을 때 직경이 더 작은 저부에 의해 블로비가 특히 작고 우수한 외관을 가진 소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2분할 금형에서 저부 핀치오프부가 πDp/2 이하의 접힌 폭을 가지도록 핀치오프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과잉 수지가 분할 금형의 측면부로부터 버(burr)로서 밀려 나오며, 따라서 핀치오프 라인이 성형품의 저부 근처의 본체부까지 노출되어 외관이 나빠지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 용기는 2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인 것인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예비 성형품으로서 다이렉트 블로 성형품을 채택한 2축 연신 성형법에 의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예비 성형품은 코어 금형(core mold)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예비 성형품의 언더컷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도 사출 성형한 예비 성형품에 의해서는 절대로 얻을 수 없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형태가 다양하고 벽 두께가 균일하면서 연신(stretch)도 균일한 2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패리슨을 다층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적층 형태의 2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블로 성형품의 벽을 적층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을 적층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소정의 물성 및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용기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적층 구조는 블로 성형품이 다이렉트 블로 성형되었기 때문에 사출 성형보다는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적층 구조의 벽을 가진 블로 성형품의 실시예로서는 후술하는 다양한 구성을 제안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층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계 수지를 사용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PEN계 수지층과 PET계 수지층을 조합하면 내열성, 내약품성 및 자외선 커트성 등과 같은 물성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특성들은 PET계 수지에서는 불충분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외층과 내층 및 가스 차단 수지를 사용한 중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가스 차단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6, 나일론-66과 크실렌기 함유 폴리이미드와 같은 나일론계 수지, 에틸렌-비닐알콜 코폴리머(copolymer)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와 같은 공지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산소 및 이산화탄소 가스 등에 대해서 개선된 차단 특성을 가진 보틀 본체(bottle body)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단 능력은 PET계 수지 자체에서는 불충분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외층과, 에틸렌-비닐알콜 코폴리머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보틀 본체 내에 수용되는 유효 성분 중에서 리모넨(limonene) 및 비타민(vitamine) 등의 흡착이 방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외층과 가스 차단 수지를 사용하는 중간층 및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산소에 대해서 개선된 차단 특성을 가진 보틀 본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버진 수지(virgin resin) 재료를 사용한 외층과 내층 및 재생 수지 재료를 사용한 중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걱정없이 재생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층 구조는 적어도 외층과, 이 외층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에 대해서 친화성이 낮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고정된 형태의 외부 셸(outer shell)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외층과 상기 외층에 대해서 박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층된 내부 백(inner bag)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내층을 포함하는 용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용기를 소위 "박리 가능한 적층 용기(laminated peelable container)"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을 나타낸다. 이 블로 성형품은 저부(4), 저부(4) 위에 배치된 본체부(3), 본체부(3)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입구부(2)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용기(1)이며, 저부(4)는 자립 자세에서 접지부로서 역할을 하는 각부(foot portion)(6)를 형성하기 위해 오목 형상의 중심부를 갖는 저면(5)을 포함한다. 용기(1)의 입구부(2)의 최소 외경은 24㎜, 본체부(3)의 직경은 65㎜ 및 높이는 210㎜이다. 또한, 저면(5)은 분할된 저부 금형(split bottom-mold)에 의해 십자형의 핀치오프 라인(pinch-off line)(7)을 형성하며, 또한 형성 범위는 저면(5)의 중심으로부터 약 18㎜의 직경을 갖는 원내로 제한된다.
용기(1)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도 6은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에서 종래의 2분할 금형에 의한 금형 고정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즉,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은 압출기(21)에 의해 다이를 통한 패리슨의 압출 성형 및 금형편(mold-piece)을 고정하여 2분할 금형의 분할 금형(12)사이의 패리슨(11)을 고정함으로써, 저부가 있는 원통형으로 패리슨(11)을 형성하고, 2분할 금형 내 캐비티의 저부에 배치된 블레이드부로 이루어진 핀치오프부(13)로 패리슨의 용융 수지의 저부를 절단하고 열 융합 및 밀봉하고, 분할 금형의 상부에서 패리슨 절단기(14)로 원통형 패리슨의 용융 수지의 상부를 절단하는 것이다. 그런 후, 2분할 금형의 윗부분부터 패리슨(11)으로 에어 노즐을 삽입하고, 에어 노즐로부터 패리슨(11)으로 에어를 불어 넣어 블로 성형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용기(1)의 저부(4)를 형성하는 부분을 4분할 금형을 사용하여 제 1 실시예에서의 십자 형상으로 핀치오프 라인(7)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용기(1)의 저부(4)이외의 부분, 즉 본체부(3) 및 입구부(2)에 대응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2분할 주금형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3의 (a), (b) 및 (c)는 각기 4분할 저부 금형의 블레이드부로 이루어진 핀치오프부(13)를 갖는 4개 저부 금형편(15)에 의해 패리슨의 핀치오프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러한 경우에, 4분할 저부 금형의 저부 금형편(15)의 각 코너부는 패리슨(11)에 먼저 접촉하고(도 3의 (a)), 패리슨(1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각기 이동되고(도 3의 (b)), 그 후 패리슨(11)이 십자 형상으로 핀치오프되어(도 3의 (c)), 결국 패리슨(11)의 저부(4)의 저면에 십자 형상의 핀치오프 라인(7)을 형성한다. 패리슨(11)의 외경은 제 1 실시예에서 22㎜이며, 또한 십자 형상의 핀치오프 라인(7)의 외경은 패리슨(11)의 외경보다 작은 원 내에 형성된다. 도 3의 (a) 및 (b)는 상술한 분할 주금형의 파팅-라인(parting line) 방향(8)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며, 이는 이후의 도면에서도 동일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의 저면도이며, 이 블로 성형품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전체 형상을 가지고 등 중심각에 방사상으로 3개의 핀치오프 라인(7)이 형성된 저면(5)을 갖는 용기(1)로서, 핀치오프 라인의 형성 범위는 저면(5)의 중심으로부터 약 24㎜의 직경을 갖는 원내로 제한된다. 도 5의 (a) 및 (b)는 패리슨의 저부측으로부터 3분할 저부 금형의 3개의 저부 금형편(15)에 의한 패리슨(11)의 핀치오프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종래의 2분할 금형의 금형편(12)에 의한 핀치오프 단계에서 패리슨(11)을 고정할 경우에 파팅-라인(parting-line) 방향(8)으로 고정밀도로 패리슨(11)의 중심을 맞추기 어려웠고, 이 어려움은 여기서 앞서 지적된 불균일성의 주요한 원인이다. 이와 반대로, 도 3의 (a), (b), (c), 및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금형편(15)을 구성하는 분할된 저부 금형이 3분할 이상인 경우, 금형편은 다이로부터 연직선 모양으로 수직 하강하도록 설정된 패리슨(11)의 중심축을 향해서 이동하여, 동시에 고정밀도로 패리슨(11)의 중심축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가 동일한 중심각으로 형성된 핀치-오프 라인(7)을 채택했지만, 본원에서의 "방사상(diverging manner)"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중심각을 갖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각 핀치-오프 라인이 중앙점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의미된다. 예를 들면, 저면도에서 편평도가 높은 타원형의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4분할된 저부 금형의 4개의 저부 금형편(15)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금형편의 중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벽두께 분포를 균일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즉, 중심각은 의도한 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단지, 패리슨(11)의 저부 형상을 가능한 한 등방적으로 형성하고, 또한 분할된 저부 금형의 저부 금형편(15)에 의한 핀치-오프를 스무드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뿐만 아니라 분할된 저부 금형의 저부 금형편(15)에 의한 중심 맞추기 기능을 나타내는 관점으로부터도, 인접하는 핀치-오프 라인(7)에 의해 한정된 중심각을 180°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블로 성형품의 종래 예로서 비교예 1에 따른 용기(1)의 저면을 나타낸다. 비교예 1의 용기(1)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전체 모양을 갖지만, 이 예는 용기의 저면(5)에 위치하고 파팅-라인(parting-line) 방향(8)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동선형 핀치-오프 라인(7)을 갖고, 이 핀치-오프 라인(7)은 저면(5)의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약 35mm인 원 영역 내로 제한된다.
도 8의 (a) 및 (b)는 2분할 금형의 금형편(12)에 의한 패리슨(11)의 핀치-오프 단계를 패리슨의 저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설명도다. 이 경우에는, 패리슨(11)은 πDP/2(DP는 패리슨의 외경을 나타냄)의 접힌 폭, 예컨대 패리슨(11)의 외경에 약 1.6배인 접힌 폭으로 금형편(12) 사이에 접힌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을 나타낸다. 이 경우, 블로 성형품은 넥 링(neck ring; 10)을 부설한 시험관 모양의 성형품(9)이고, 입구부(2)에서의 최소 외경 24mm, 상단의 24mm로부터 거의 중앙 높이 위치의 22mm까지 변화하는 본체부(3)의 직경, 및 높이 105mm를 갖는다. 성형품(9)은 반구 셸 모양의 저부(4)를 갖는다. 성형품은 또한 저부(4) 영역 내에 십자형의 핀치오프 라인(7)과 함께 형성된 저면(5)을 갖는다. 이 성형품(9)은 외경 18mm의 패리슨으로 형성된다.
도 10의 (a) 및 (b)는 상기의 제 3 실시예와 종래 방법에 의해 얻어진 동일한 모양의 성형품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2를 나타낸다. 비교예 2는 파팅-라인 방향(8)으로 형성된 2개의 동선형 핀치오프 라인(7)을 갖고, 이 2개의 핀치오프 라인(7)은 수지가 성형품의 핀치오프부로부터 크게 밀려나와 있기 때문에 저부(4)의 영역을 넘어 본체부(3)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1은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 비교예 2에 따른 성형품(9)의 높이 12mm에서 저부(4)의 주변부의 두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비교예 2에서, 벽 두께가 파팅-라인 방향(8)으로 비교적 크고 그 수직한 방향으로 작은 경향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고, 1.82mm의 최대 벽 두께 편차가 인정된다. 또한, 파팅-라인 방향(8)의 좌우간의 상당한 벽 두께 차가 인정되어, 핀치오프 시에 패리슨의 중심 맞추기 정밀도가 저하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의 벽 두께 분포는 실용적으로 거의 등방적으로, 최대 벽 두께 편차가 0.33mm이고, 제 2 비교예의 1/5 미만의 값이다.
제 3 실시예의 성형품(9)이 블로비가 작은 소형 용기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성형품(9)은 벽 두께가 크고 벽 두께 편차가 상당히 작기 때문에 2축 연신(biaxial-stretch) 블로 성형품의 예비 성형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을 나타낸다. 이 블로 성형품은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해 얻어진 소형 용기(1)이고, 이 용기(1)는 저부(4) 위에 원통형 본체부(3)를 포함하고 본체부(3)의 위에 원통형 입구부(2)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입구부(2)에 축 브러시(shafted brush)를 갖는 캡이 나사를 체결하여 마스카라(mascara) 또는 아이라이너(syeliner)용의 용기 본체로서 사용된다. 용기(1)는 입구부(2)에서 최소 외경이 10.5mm, 본체부(3)에서 직경이 15mm, 높이가 75mm이다. 용기는 약 9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내에 형성된 영역을 갖는 십자형의 핀치오프 라인과 함께 형성된 저면(5)을 포함한다. 후술될 비교예 3과의 대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12의 (a) 및 (b)와 도 13의 (a) 및 (b)는 핀치오프부 근방에서 밀려나온 과잉의 수지인 버 발생부(burred portion; 17)를 절단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 4 실시예의 용기(1)가 입구부(2)의 최소 외경보다 약간 작은 10mm의 외경을 갖는 패리슨을 이용하여 블로 성형되는 동안, 핀치오프 라인은 4분할된 저부 금형의 저부 금형편(15)에 의해 패리슨을 핀치오프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약 9mm의 영역 내로 한정되어, 핀치오프 라인의 영역은 직경이 15mm인 저면 내에 충분히 한정된다. 본체부(3)로부터 저부(4)에 걸친 블로비가 1.5(15mm/10mm)로 작지만, 핀치오프 라인은 버 발생부(17)의 형상에 의해서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3)까지 노출되지 않는다. 즉, 제 4 실시예의 용기(1)는 소형이고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에 의해 이제까지 제공되지 않았던 뛰어난 외관성과 작은 블로비를 갖는다.
도 13의 (a) 및 (b)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종래의 2분할 금형의 금형편(12)에 의해 얻어진 용기(1)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 3을 나타낸다. 비교예 3은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용기 모양을 갖는다. 그렇지만, 1.5의 작은 블로비를 갖는 용기(1)가 비교예 3에서와 같은 종래의 분할 금형의 금형편(12)에 의해 성형되면, 버 발생부(17)의 형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burr)는 핀치오프부뿐만 아니라 본체부(3)의 파팅-라인에서도 발생하여, 그 결과 본체부(3)에도 핀치오프 라인이 형성된다. 블로비가 작아지면 이 경향은 보다 현저해진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블로 성형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 4 실시예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이다. 그렇지만, 이 블로 성형품은 본체부(3)의 상단으로부터 저부(4)까지 점차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형상이고, 입구부(2)에서 최소 외경이 10mm, 저부 4에서 직경이 최소 외경보다 약간 작은 9.5mm, 본체부(3)에서 최대 직경이 15mm, 높이가 60mm이고, 뿐만 아니라 저면(5)에서 십자형이고 약 7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내에 형성된 영역을 갖는 핀치오프 라인(7)을 갖는다.
이 용기(1)를 블로 성형하기 위한 패리슨은 외경이 8mm이며, 저부(4) 근방의 블로비는 약 1.2(9.5mm/8mm)로 매우 작다. 그렇지만, 핀치오프 라인(7)의 형성은 저면에 한정되어, 블로비가 작고 끝이 가는 모양의 저부(4)를 갖는 모양에서도 우수한 외관을 갖고 종래에는 제공되지 않았던 블로 성형된 용기를 제공하게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성형품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9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며, 적층 구조의 벽을 갖는다. 또한, 도 16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고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제 6 실시예의 성형품(9)으로 이루어진 예비 성형체를 2축 연신 블로 성형하여 얻어진 용기(1)를 나타낸다.
다이렉트 블로 성형품용 패리슨을 다층 성형함으로써, 적층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벽 두께비 등의 적층 구조를 정밀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성형품을 예비성형체로서 사용함으로써 적층 타입의 2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서 에에 블로 시 패리슨의 상측으로부터 패리슨 내로 코어 가이드가 삽입되고, 이 때 내층에 의해 패리슨의 입구부의 상단면을 밀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다이렉트 블로 성형의 예비 성형체를 사용함으로써, 중간층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나일론 등의 흡수성(吸水性)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입구부 상단면을 통해 수분의 침투를 막는 것이 가능해져, 2축 연신 블로 성형 전의 예비 성형체의 보존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에 이러한 적층 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1은 PET를 사용한 층과 PEN을 사용한 층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1은 [A] PET제 외측층(1a)과 PEN제 내측층(1c)의 결합, [B] PET제 외측층(1a)과 PEN제 내측층(1b)과 PET제 내측층(1c)의 결합, [C] PEN제 외측층(1a)과 PET제 내측층(1c)의 결합, [D] PEN제 외측층(1a), PET제 중간층(1b) 및 PEN제 내측층(1c)의 결합을 포함한다. 어느 결합에서도, 층간에 접착층(1d)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성 [A] 및 [D]는 내측층(1c)으로서 PEN을 사용하여, 내약품성(내알칼리성)이 높은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의 어느 결합도 PEN의 두께를 1 내지 20%로 함으로써 370nm 이하의 파장에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나타낸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2는 PET를 사용한 외측층(1a) 및 내측층(1c)과, 가스-배리어 수지를 사용한 중간층(1b)과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간층(1b)을 포함하는 결합, [F] 크실렌기 함유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중간층(1b)을 포함하는 결합, 및 [G]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중간층(1b)을 포함하는 결합을 포함한다. 각 층간에 접착층(1d)이 형성되기 때문에, 층간 박리가 없는 용기(1)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F]의 결합은 배리어성이 PET의 경우에만 불충분한 산소, 탄산 가스 등의 배리어성을 갖는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3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외측층(1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PET계 수지를 사용한 내측층(1c), 및 이들 층을 접합하는 접착층(1d)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용기(1)에 수용 및 유지된 내용물의 활성 성분을 흡수하지 않는 용기(1)가 얻어진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4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외측층(1a), 가스-배리어 수지로서 크실렌기 함유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중간층(1b),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내측층(1c), 및 이들 층을 접합하는 접착층(1d)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높은 산소 배리어성을 나타내는 용기(1)가 제공된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5는 나일론-6을 사용한 외측층(1a),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내측층(1c), 및 이들을 접합하는 접착층(1d)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높은 관통 강도와 높은 표면 광택성을 갖은 두께가 감소된 용기(1)를 제공할 수 있다.
적층 성형품(9)의 실시예 6은 PET의 버진 수지(virgin resin) 재료를 사용한 외측층(1a)과 내측층(1c), 및 PET의 재생 수지 재료를 사용한 중간층(1b)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구성한 것으로, 층 두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재생 수지 재료를 안전하게 이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별 회수 시에 PET의 단일체로서 성형품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층 성형품(9)의 제 7 실시예는 대전 방지제와 혼합된 PET로 이루어진 외측층(1a), 자외선 흡수제와 혼합된 PET로 이루어진 중간층(1b), 및 PET의 버진 수지 재료를 사용한 내부층(1c)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구성되어, 유효한 대전 효과 및 첨가제의 첨가에 관계없이 또한 자외선 흡수제가 중간층에 첨가되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제의 유출에 기인한 손실없이 내용물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수지는 PET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효과는 다른 수지에 의하더라도 나타날 수 있다.
적층 성형품(9)의 제 8 실시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PET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자기 형상을 유지하는 소정의 능력을 갖는 외부 셀로 성형되는 외부층(1a)과,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외부층(1a)과 상용성(相溶性)이 낮은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져 휨 변형이 가능한 가방(bag) 형상으로 성형되는 내부층(1c)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구성되어, 적층 박리 가능한 용기를 제공한다.
적층 성형품(9)의 제 9 실시예는 외부층(1a)에 광택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선택적으로 무광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품의 외관을 용이하게 광택 또는 무광택 상태로 한다.
적층 성형품(9)의 제 10 실시예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PET로 이루어진 외부층(1a)과,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층(1c)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구성되어, 성형품의 외면을 광택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은 다이렉트 블로 성형 공정에 의해, 용기의 저부 근처에서 연신율의 균일성을 높게 하고 벽 두께의 균일성을 높게 하는 용기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분할 금형에 의한 핀치오프 라인의 형성 범위가 용기 저면의 중심부 근처 영역내로 제한된다는 것이 상술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로 성형품은 균일한 벽 두께, 자립 능력 및 외관의 면에서 우수한 신규 제품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술한 것 이외의 다른 각종 구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2)

  1. 다이렉트 블로 성형법(direct-blow molding process)에 의해 만들어지고, 저부(4)와, 상기 저부의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본체부(3)와, 상기 본체부(3)의 상측에 배치된 원통형 입구부(2)를 포함하는 블로 성형품으로서, 상기 저부(4)의 저면(bottom face; 5)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할된 저부 금형(split bottom-mold)의 금형편(15)에 의해 생긴 적어도 3개의 핀치오프(pinch-off) 라인(7)을 포함하는 블로 성형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오프 라인(7)은 거의 동일한 중심각으로 배치되는 블로 성형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오프 라인(7)은 십자형으로 배치된 4개의 핀치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블로 성형품.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오프 라인(7)은 상기 저면(5)과 동심을 이루고 πDP/2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형 내에 형성되고, 여기서 π는 원주율(circular constant)을 나타내고 DP는 패리슨(parison)의 외경을 나타내는 블로 성형품.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 성형품은 2축 연신(biaxial-stretching) 블로 성형에 의해 용기로 성형되는 블로 성형품.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 성형품은 적층 구조의 벽을 갖는 블로 성형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층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외측층(1a)과 내측층(1c), 및 가스-배리어성 수지(gas-barrier resin)를 사용한 중간층(1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외측층(1a),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한 내측층(1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외측층(1a), 가스-배리어성 수지를 사용한 중간층(1b), 및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내측층(1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버진 수지(virgin resin) 재료를 사용한 외측층(1a)과 내측층(1b), 및 재생 수지 재료를 사용한 중간층(1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적어도 외측층(1a)과, 상기 외측층(1a)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와의 상용성(相溶性)이 낮은 합성 수지로 형성된 내측층(1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블로 성형품.
KR20057002152A 2002-08-06 2003-08-05 블로 성형품 KR100708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9270A JP2004067171A (ja) 2002-08-06 2002-08-06 ブロー成形品
JPJP-P-2002-00229270 2002-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599A true KR20050032599A (ko) 2005-04-07
KR100708830B1 KR100708830B1 (ko) 2007-04-18

Family

ID=3188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2152A KR100708830B1 (ko) 2002-08-06 2003-08-05 블로 성형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60105127A1 (ko)
EP (1) EP1541475A4 (ko)
JP (1) JP2004067171A (ko)
KR (1) KR100708830B1 (ko)
CN (1) CN100402383C (ko)
AU (1) AU2003252406A1 (ko)
CA (1) CA2494178A1 (ko)
TW (1) TWI268894B (ko)
WO (1) WO2004016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360A (ja) * 2005-02-04 2006-08-17 Toppan Printing Co Ltd Te機能付の口栓キャップ
US10457437B2 (en) 2006-03-06 2019-10-29 Plastipak Packaging, Inc.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and preform
US8857637B2 (en) 2006-03-06 2014-10-14 Plastipak Packaging, Inc. Lightweight plastic container and preform
JP5246480B2 (ja) * 2008-05-29 2013-07-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と成形方法
JP2009286437A (ja) * 2008-05-29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5413764B2 (ja) * 2008-02-29 2014-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AU2009218025B2 (en) * 2008-02-29 2013-08-29 Yoshino Kogyosho Co., Ltd. Blow molded container and process for molding the same
JP2009286462A (ja) * 2008-05-30 2009-12-10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5602601B2 (ja) * 2010-11-30 2014-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ブロー成形用の金型
JP5999545B2 (ja) * 2012-03-30 2016-09-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容器
JP6052578B2 (ja) * 2012-05-31 2016-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及びブロー成型容器の製造方法
JP6011929B2 (ja) * 2012-10-31 2016-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008502B2 (ja) 2014-08-01 2022-01-25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 高められた貯蔵寿命特性を有する小型炭酸飲料パッケージング
JP6494984B2 (ja) * 2014-11-28 2019-04-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軸延伸ブロー成形用の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
JP6530270B2 (ja) * 2015-07-31 2019-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の製造方法
EP3225379B1 (en) * 2014-11-28 2021-01-27 Yoshino Kogyosho Co., Ltd. Preform for biaxial stretching blow molding, container, process for producing preform for biaxial stretching blow mol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container
JP7278707B2 (ja) * 2017-11-30 2023-05-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螺着用の広口容器の製造方法
TWI658970B (zh) * 2018-08-07 2019-05-11 臺三榮實業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及其製法
JP7115515B2 (ja) * 2020-06-19 2022-08-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リフォーム及びボト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04573B1 (de) * 1966-07-12 1972-05-31 Interstabella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oerpern nach dem blasverfahren
US3430290A (en) * 1966-08-01 1969-03-04 Phillips Petroleum Co Apparatus for sealing and severing parisons
US3478388A (en) * 1966-11-21 1969-11-18 Phillips Petroleum Co Apparatus for blow molding,cutting and sealing
US3663522A (en) * 1967-11-14 1972-05-16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for multiple direction pinch-off
US3699201A (en) * 1969-06-27 1972-10-17 Phillips Petroleum Co Cutting and sealing plastic tubes
US3756108A (en) * 1971-12-13 1973-09-04 Western Electric Co Tube cutter
US3861845A (en) * 1972-11-21 1975-01-21 Phillips Petroleum Co Four bar linkage for inserts for blow molding molds
US4067944A (en) * 1974-11-01 1978-01-10 Valyi Emery I Method for obtaining multilayered hollow plastic article
JPS51125454A (en) * 1975-04-24 1976-11-01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producing double layer container
US4568261A (en) * 1979-07-20 1986-02-04 American Can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multi-layer injection blow molded container
JPS6071207A (ja) * 1983-09-29 1985-04-23 Toyo Seikan Kaisha Ltd 延伸ブロー成形用多層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659714B2 (ja) * 1987-07-21 1997-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01254539A (ja) * 1988-03-30 1989-10-11 Toyo Seikan Kaisha Ltd 耐熱圧性多層容器及びその製法
EP0355437A1 (en) * 1988-08-15 1990-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Improved pinch-off for extrusion blow molded articles
NL9002084A (nl) * 1990-09-24 1992-04-16 Leer Koninklijke Emballage Matrij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ouder alsmede een volgens deze werkwijze vervaardigde houder.
US5443766A (en) * 1993-09-10 1995-08-22 Plastipak Packaging, Inc. Method of making multi-layer preform used for plastic blow molding
JP3401519B2 (ja) * 1995-02-16 2003-04-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JPH08253222A (ja) * 1995-03-14 1996-10-01 Dainippon Printing Co Ltd 食品用多層容器
US5804016A (en) * 1996-03-07 1998-09-08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container resistant to elevated temperatures and press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772056A (en) * 1996-05-24 1998-06-30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US5927525A (en) * 1997-04-28 1999-07-27 Plastipak Packaging, Inc. Multi-layer containers and preforms
US5939153A (en) * 1997-11-13 1999-08-17 The Elizabeth And Sandor Valyi Foundation, Inc. Multilayered plastic container
JP3464405B2 (ja) * 1999-02-18 2003-11-10 阪神化成工業株式会社 多層薄肉容器
JP2001199421A (ja) * 1999-11-10 2001-07-24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1475A4 (en) 2007-12-26
WO2004016510A1 (ja) 2004-02-26
CA2494178A1 (en) 2004-02-26
TW200404711A (en) 2004-04-01
KR100708830B1 (ko) 2007-04-18
CN100402383C (zh) 2008-07-16
US20060105127A1 (en) 2006-05-18
EP1541475A1 (en) 2005-06-15
CN1675105A (zh) 2005-09-28
TWI268894B (en) 2006-12-21
JP2004067171A (ja) 2004-03-04
AU2003252406A1 (en)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830B1 (ko) 블로 성형품
EP1344618B1 (en) Synthetic resin biaxial oriented blow formed preform for forming bottle body
US6244454B1 (en) Multilayer thin wall container
KR102590903B1 (ko) 적층박리용기
US4989738A (en) Plastic bottle with reinforced concave bottom
WO2004039560A1 (ja) ブロー成形容器及びブロー成形用金型
JP4061619B2 (ja) ブロー成形容器
CN214058196U (zh) 具有高阻隔层的吹塑容器
JPH033460Y2 (ko)
JP4678664B2 (ja) ツイストオフ口部付き少容量容器
WO2022091997A1 (ja) 二重容器
JP2523020Y2 (ja) ブロー成型容器
CN114502475A (zh) 收容容器及其制造方法、双层容器及其制造方法
JP2000344253A (ja) チューブ容器及びその製法
JP2697101B2 (ja) 多層容器
JP2000128195A (ja) 変形チューブ容器とその成形方法
JP2021127164A (ja) 二重容器
JP2002302112A (ja) チューブ状薄肉ブロー成形ボトル
JP2001260214A (ja) 押出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