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903B1 - 적층박리용기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903B1
KR102590903B1 KR1020207001898A KR20207001898A KR102590903B1 KR 102590903 B1 KR102590903 B1 KR 102590903B1 KR 1020207001898 A KR1020207001898 A KR 1020207001898A KR 20207001898 A KR20207001898 A KR 20207001898A KR 102590903 B1 KR102590903 B1 KR 10259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shell
mold
pinch
inne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240A (ko
Inventor
타츠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06Rigid containers in preformed flexi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Abstract

저부(3b)로부터 내측주머니(6)가 이탈하지 않는 적층박리용기(3)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7)과 내측주머니(6)를 갖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6)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3)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3h)와, 상기 수용부(3h)의 저면에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3p)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오프부(3p)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외각(7)과 내측주머니(6)가 계합하는 계합부(6e),(7e)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3)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용기
본 발명은 적층박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이러한 적층박리용기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이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 3401519호
이러한 적층박리용기의 저부(底部)에는, 적층 파리손의 일단을 용착했을 때의 핀치 오프부(밀봉부)가 설치되지만, 이 핀치 오프부에 있어서, 저부로부터 내측주머니가 이탈할 경우가 있다. 내측주머니가 저부로부터 이탈하면, 내측주머니의 수축의 방식을 규제할 수 없어 유로가 막혀버리거나, 핀홀(pinhole)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1의 적층박리용기에서는, 핀치 오프부에 있어서의 용착층이 복수의 결함부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유착(癒着)시키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금형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 코스트(cost)가 증가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핀치 오프부에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부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부로부터 내측주머니가 이탈하지 않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가지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해당 수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오프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외각과 내측주머니가 계합하는 계합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실시한 바, 핀치 오프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벽이 두꺼운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내측주머니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각은, 상기 계합부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주머니는, 상기 계합부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의 직경이 상기 수용부의 저면의 직경의 2/π배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치 오프부에,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치 오프부는, 용기외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각을 구성하는 외층과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파리손을 압출하는 다이스 직경이, 상기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적층박리용기를 성형하는 금형의 내경 중 저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의 2/π배 이하인,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형은, 상기 적층박리용기의 핀치 오프부를 성형하는 절단부의 근방에, 몰드 클램핑 전에 상기 적층 파리손을 압축하여 상기 적층 파리손을 용기 내측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컴프레션(compression)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프레션부는, 몰드 클램핑 시에 있어서의 너비가 상기 적층 파리손의 두께의 2배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프레션부는 몰드 클램핑 시에 있어서의 너비가 1mm 이하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수용 용기(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수용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단면과 수직인 단면에 의해 수용 용기(1)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상태로부터 펌프(4) 및 고정 링(5)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5는 펌프(4)의 사시도이다.
도6은 외용기(2)와 고정 링(5)의 사시도이다.
도7은 내용기(3)의 단면사시도이다.
도8 중, 도8A는 내용기(3)를 저부(3b)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8B는 저부(3b) 근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9 중, 도9A는 도2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내용기(3)의 저부(3b)의 확대도이며, 도9B는 도3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내용기(3)의 저부(3b)의 확대도이다.
도10은 도1의 적층박리용기(3)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도11 중, 도11A는 도10의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금형(40)을 분할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11B는 분할 금형(40A)의 분할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 중, 도12A ~ 도12C는,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서서히 닫아 적층 파리손(P)을 몰드 클램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3)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4의 적층박리용기(3)의 입구부(3d) 및 외기도입공(8)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6 중, 도16A는 도1의 적층박리용기(3)의 저부(3b)를 포함하는 영역의 사시도이며, 도16B는 도14의 적층박리용기(3)의 저면도이다.
도17 중, 도17A는 도14의 적층박리용기(3)의 저부(3b)를 포함하는 영역을 도16B 중의 A-A단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17B는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17C는 도14의 적층박리용기(3)의 저부(3b)를 포함하는 영역을 도16B 중의 B-B단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18 중, 도18A는 도10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금형(40)의, 용기 저부(3b) 부근을 형성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18B는 도18A의 금형(40)의, 바닥 밀봉 돌출부(3p)를 형성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9 중, 도19A ~ 도19D는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서서히 닫아 적층 파리손을 몰드 클램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된다.
1. 제 1 실시 형태
도1 ~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수용 용기(1)는 외용기(2)와, 내용기(3)와, 펌프(4)와, 고정 링(5)을 구비한다.
<외용기(2)>
외용기(2)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몸통부(2a)와, 저부(2b)를 구비한다. 몸통부(2a)의 상단의 외면측에는 몸통부(2a)의 외면이 축경(縮徑)된 축경부(2c)가 설치되어 있다. 축경부(2c)에는 수나사부(2f)가 설치되어 있다. 몸통부(2a)의 상단 근방의 내면측에는 내용기(3)의 플랜지부(3c)를 지지하는 지지부(2d)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2d)는 몸통부(2a)의 내경이 상단 근방에서 확경(擴徑)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2d)보다 상측은 지지부(2d)의 하측보다 몸통부(2a)의 내경이 큰 확경부(2g)로 되어 있고, 지지부(2d)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d) 및 확경부(2g)에는, 외기유통로(2e)가 설치되어 있고, 내용기(3)를 외용기(2)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외기유통로(2e)를 통한 외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저부(2b)는 평탄하며 외용기(2)는 자립(自立)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외용기(2)의 제조법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수지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기(3)>
내용기(3)는 외각(7)과 내측주머니(6)를 가지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6)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6)가 외각(7)으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내측주머니(6)가 외각(7)으로부터 박리되어 수축한다.
외각(7)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내측주머니(6)는 용기 외면측에 설치된 EVOH층과, EVOH층의 용기 내면측에 설치된 내면층과, EVOH층과 내면층의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을 구비한다. EVOH층을 설치함으로써 가스 배리어성 및 외각(7)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은 생략해도 된다.
EVOH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에틸렌과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예를 들면 25 ~ 50mol%이며 산소 배리어(barrier)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을수록 EVOH층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내면층은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시클로올레핀폴리머, EVOH 및 그 혼합물 등으로 이루어지고, EVOH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을 EVOH로 형성함으로써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은 EVOH층과 내면층을 접착하는 기능을 갖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 무수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의 일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내용기(3)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며,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3a), 저부(3b) 및 플랜지부(3c)를 갖는 수용부(3h)와, 수용부(3h)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3d)를 구비한다. 입구부(3d)의 외면에는, 수나사부(3e)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내용기(3)는 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P)(도12A 등 참조)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내용기(3)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내용기(3)는 적층 파리손(P)의 하단을 분할 금형(40A)의 절단부(42c)(도12A 참조)로 끼워 짓누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3p)를 저부(3b)에 구비한다. 핀치 오프부(3p)에 있어서, 내측주머니(6)는 외부에 노출된 내측주머니 노출부(6a)를 구비한다. 또한, 내측주머니 노출부(6a)는 외각(7)의 협지부(7a)에 의해 끼워져 있고, 내측주머니 노출부(6a)와 협지부(7a)의 사이에는 외기도입공(8)이 설치되어 있다(도8B, 도9A 참조).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주머니 노출부(6a) 및 협지부(7a)는 저부(3b)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저부(3b)로부터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내용기(3)의 성형 직후에는 내측주머니 노출부(6a)와 협지부(7a)가 달라붙어 있어 외기도입공(8)이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내측주머니 노출부(6a)와 협지부(7a)는 박리되기 쉽기 때문에, 내측주머니 노출부(6a)와 협지부(7a)가 박리되도록 충격이나 비트는 힘 등을 가함으로써, 내측주머니 노출부(6a)와 협지부(7a)를 박리시켜 그 사이에 외기도입공(8)을 형성할 수 있다. 내용기(3)는 외기도입공(8)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외각(7)과 내측주머니(6)의 사이에 외기를 도입하고, 내측주머니(6)만을 수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용기(3)는 도7 및 도9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치 오프부(3p)의 길이 방향 단부에, 외각(7)과 내측주머니(6)가 계합하는 계합부로서의 두께 증가부(3g)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증가부(3g)에 있어서, 외각(7)은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7e)를 구비하고, 내측주머니(6)는 볼록부(7e)와 계합하는 한 쌍의 오목부(凹部)(6e)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내용기(3)는 두께 증가부(3g)에서 이렇게 외각(7)의 볼록부(7e)와 내측주머니(6)의 오목부(6e)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6)가 수축해도, 저부(3b)로부터 내측주머니(6)가 이탈하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핀치 오프부(3p)의 너비d4는 저부(3b)(저면)의 직경d1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도9B 참조). d4/d1의 비는 예를 들면 0.6 ~ 0.9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7 ~ 0.8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70, 0.71, 0.72, 0.73, 0.74, 0.75, 0.76, 0.77, 0.78, 0.79, 0.8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핀치 오프부(3p)의 너비d4에 대한 입구부(3d)의 직경d2의 비d2/d4는 예를 들면 0.40 ~ 0.64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40, 0.41, 0.42, 0.43, 0.44, 0.45, 0.46, 0.47, 0.48, 0.49, 0.50, 0.51, 0.52, 0.53, 0.54, 0.55, 0.56, 0.57, 0.58, 0.59, 0.60, 0.61, 0.62, 0.63, 0.64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내용기(3)는 입구부(3d)의 직경d2가 수용부(3h)의 저부(3b)(저면)의 직경d1의 2/π배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7 참조). d2/d1의 비는 예를 들면 0.28 ~ 0.52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0.41, 0.42, 0.43, 0.44, 0.45, 0.46, 0.47, 0.48, 0.49, 0.50, 0.51, 0.52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플랜지부(3c)는 몸통부(3a)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c)는 몸통부(3a)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3c)의 외경은 확경부(2g)와 거의 일치한다. 내용기(3)를 외용기(2) 내에 삽입하면, 플랜지부(3c)의 하면이 지지부(2d)에 당접함으로써 내용기(3)가 외용기(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즉, 플랜지부(3c)가 외용기(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c)의 외주면이 확경부(2g)의 내주면에 당접함으로써 내용기(3)가 외용기(2)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플랜지부(3c)가 확경부(2g) 및 지지부(2d)에 밀착하면, 외용기(2)와 내용기(3) 사이의 간극에 외기가 도입되기 어려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유통로(2e)(도1 및 도6 참조)를 통한 외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3c)는 중공이며, 플랜지부(3c) 내에도 내용물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내용기(3)의 몸통부(3a)와 외용기(2)의 몸통부(2a)의 사이에는, 몸통부 간극(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의해, 단열성이 일층 향상되어 있다. 외각(7)의 두께를 Ts, 몸통부 간극(10)의 두께를 Tg로 하면, Tg/Ts≥0.3인 것이 바람직하고, Tg/Ts≥0.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각(7)을 두껍게 하지 않고도 단열성을 특히 높일 수 있다. Tg/Ts는 예를 들면 0.3 ~ 5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3, 0.5, 1, 1.5, 2, 2.5, 3, 3.5, 4, 4.5, 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내용기(3)의 저부(3b)와 외용기(2)의 저부(2b)의 사이에는 저부 간극(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주머니 노출부(6a) 및 협지부(7a)의 선단과 외용기(2)의 저부(2b)의 사이에도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내용물의 배출에 따라 내측주머니(6)가 수축할 때에 외기도입공(8)을 통해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외기가 도입된다. 이로 인해, 내측주머니(6)만 수축되고, 외각(7)은 원래의 형상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틈에 의해 수용 용기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어 내용물의 열화가 억제된다.
<펌프(4)>
펌프(4)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기(3) 내에 외기를 도입시키지 않고 내용물을 내용기(3)로부터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펌프(4)는 본체부(4a)와, 피스톤부(4b)와, 노즐(4c)과, 튜브(4d)를 구비한다. 본체부(4a)는 통부(4a1)와, 실린더부(4a2)와, 상벽부(4a3)를 구비한다. 통부(4a1)의 내면에는 수나사부(3e)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4a4)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4a2)는 입구부(3d) 내에 삽입된다. 실린더부(4a2)의 외경은 입구부(3d)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다. 실린더부(4a2)는 통 형상이며, 피스톤부(4b)가 실린더부(4a2) 내에서 접동(摺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부(4a2)의 내부공간은 노즐(4c) 및 튜브(4d)에 연통되어 있다. 실린더부(4a2)의 내부공간에는, 탄성부재와 밸브로 구성되는 펌프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피스톤부(4b)를 접동시켜 펌프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튜브(4d)를 통해 빨아 올린 내용물을 노즐(4c)로부터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링(5)>
고정 링(5)은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부(5a)와, 상벽부(5b)와, 내통부(5d)를 구비한다. 외통부(5a)와 내통부(5d)는 상벽부(5b)로 연결되어 있다. 외통부(5a)의 내면에는 수나사부(2f)와 나사결합 가능한 암나사부(5f)가 설치되어 있다. 상벽부(5b)에는 개구부(5c)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c)의 내경은 실린더부(4a2)의 외경보다 크다. 이 때문에,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4)를 입구부(3d)에 장착하고, 고정 링(5)을 외용기(2)에 장착한 상태에서, 펌프(4)의 통부(4a1)의 외면과 개구부(5c)의 내면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통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내용기(3)를 외용기(2)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 링(5)을 외용기(2)에 장착하면, 내통부(5d)의 선단이 내용기(3)의 상면(3f)에 당접함으로써 내용기(3)가 상하 방향으로 완전히 고정된다. 한편, 내용기(3)의 플랜지부(3c)에 있어서, 내용기(3)가 외용기(2)에 요철(凹凸)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링(5)을 설치하지 않아도, 내용기(3)를 외용기(2)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내통부(5d)가 상면(3f)에 밀착하면, 외용기(2)와 내용기(3)의 사이의 간극에 외기가 도입되기 어렵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부(5d)에 외기 유통로(5e)가 설치되어 있어 외기 유통로(5e)를 통한 외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개구부(5c), 외기 유통로(5e, 2e), 몸통부 간극(10), 저부 간극(11) 및 외기도입공(8)을 통해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의 간극에 외기가 도입된다. 이 때문에, 수용 용기(1)가 급격히 고온환경 하에 노출된 경우에도, 고온의 외기가 내측주머니(6)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내용기(3)의 제조 방법>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내용기(3)(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10의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해야 할 내용기(3)에 대응하는 적층구조(일례는, 도10의 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E층/접착층/EVOH층으로 이루어지는 내층(12) 및 PP층으로 이루어지는 외층(13)의 적층구조)를 구비한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P)을 다이스(dies)(50)(다이 헤드)로부터 압출하고, 이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 금형(40)(도11A, 11B 참조)에 세팅하고,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닫는다. 분할 금형(40A)은 몸통부(3a), 저부(3b), 플랜지부(3c) 등의 내용기(3)의 각종 형상이 블로우 성형품으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캐비티―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도11A, 도11B, 도12A ~ 도12C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 금형(40)에 의한 내용기(3)의 저부(3b) 부근의 형상의 성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1A는 블로우 성형 금형(40)을 분할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잘랐을 때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금형(40)의 분할 금형(40A)은 각각 절단부(42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절단부(42c)의 하방에는 몰드 클램핑 시에 적층 파리손(P)을 압축하는 컴프레션부(42d)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컴프레션부(42d)의 몰드 클램핑 시에 있어서의 너비d3은 적층 파리손(P)의 두께d6(도12A 참조)의 2배 이하로 되어 있다. d3/d6의 비는 예를 들면 0.3 ~ 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 1이다. d3/d6의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50, 0.55, 0.60, 0.65, 0.70, 0.75, 0.80, 0.85, 0.90, 0.95, 1.0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이어서, 도12A ~ 도12C는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서서히 닫아 적층 파리손을 몰드 클램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12A의 몰드 클램핑 전의 상태로부터 분할 금형(40A)를 닫아가면 분할 금형(40A)의 절단부(42c)에 의해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P)이 내측을 향해 가압되고, 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적층 파리손(P)의 내층(12)끼리 당접한다. 이 상태로부터 분할 금형(40A)을 더 닫으면, 절단부(42c) 및 컴프레션부(42d)에 의해 적층 파리손이 압축된다. 그리고, 도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이 완전히 닫겨짐으로써, 적층 파리손(P)은 절단부(42c)에 의해 2개로 분리되고, 용기측에 있어서 핀치 오프부(3p)가 형성된다.
그런데, 도12B ~ 도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40A)을 닫아가면, 외층(13) 및 내층(12)을 갖는 적층 파리손(P)은 서서히 압축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형(40)이 컴프레션부(42d)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적층 파리손(P)은 절단부(42c)의 상방(용기 내측)보다 하방(용기 외측)이 더 압축된다. 따라서, 눌리워 찌부러진 적층 파리손(P)은 공간이 넓은 용기 내측 방향(도12B의 화살표 참조)으로 유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다이스(50)의 직경, 즉 다이스(50)로부터 압출되는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는 도11A 및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40)의 내경 중 내용기(3)의 입구부(3d)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d2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설정된다. d5/d2의 비는 예를 들면 0.6 ~ 0.9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7 ~ 0.8이다. 또한, d5/d2의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70, 0.71, 0.72, 0.73, 0.74, 0.75, 0.76, 0.77, 0.78, 0.79, 0.8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입구부(3d)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d2에 대해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가 너무 크면, 몰드 클램핑 시에 버(burr)의 혼입 등이 발생하는 우려가 생기고, 또한,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가 너무 작으면 성형이 곤란하게 되지만, d5/d2의 비를 상기의 값으로 함으로써, 입구부(3d)를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두께 증가부(3g)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 클램핑에 의해 적층 파리손(P)이 원통형의 상태로부터 고르게 눌리워 찌부러져도, 눌리워 찌부러진 적층 파리손(P)의 너비인 절경(折徑)d7(본 실시 형태에서, 이 너비는 성형 후의 핀치 오프부(3p)의 너비d4와 거의 일치하다)이 내용기(3)의 저부(3b)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d1보다 작게 되어 있는(d7<d1)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눌리워 찌부러진 적층 파리손(P)은 용기 내부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도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 증가부(3g)가 형성되기 쉬워진다. 여기에서, 절경d7은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의 π/2배보다 크게 된다(d5×π/2<d7). 따라서,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다이스(50)의 직경)는 저부(3b)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d1의 2/π배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d5/d1의 비는 예를 들면 0.1 ~ 0.63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9 ~ 0.42이다. d5/d1의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19, 0.20, 0.21, 0.22, 0.23, 0.24, 0.25, 0.26, 0.27, 0.28, 0.29,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0.41, 0.42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닫은 후에는, 도10의 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기(3)의 입구부(3d) 측의 개구부에 블로우 노즐을 삽입하고, 몰드 클램핑을 실시한 상태에서 분할 금형의 캐비티 내에 에어를 불어넣는다. 이어서, 도10의 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을 열어 블로우 성형품을 취출한다. 이 경우, 핀치 오프부(3p)의 하측의 부분에 아래 버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것을 제거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성형된 성형품에 대하여, 이미 알고 있는 내층 예비박리 공정, 상술한 외기도입공(8)의 형성 공정 등을 실시하여 내용기(3)를 완성시킨다.
<수용 용기(1)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용기(1)는 내용기(3) 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펌프(4)를 입구부(3d)에 장착한 것을 외용기(2) 내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 링(5)을 외용기(2)에 장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내용물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이 없는 것 같이 만충(滿充)시켜도 되지만,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이 설치되어 있도록 충전(즉, 부분 충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 내용물의 충전 후, 사용자가 내용물의 토출을 시작하기 전의 상태에서도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이 있어 단열성이 일층 향상된다. 외각(7)의 용적을 Vs, 내측주머니(6)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의 부피를 Vc로 하면, Vc/Vs≤0.95인 것이 바람직하고, Vc/Vs≤0.9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Vc/Vs는 예를 들면 0.5 ~ 0.95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5, 0.55, 0.6, 0.65, 0.7, 0.75, 0.8, 0.85, 0.9, 0.9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내용물을 부분 충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구부(3d)로부터 내측주머니(6) 내의 공기를 흡출함으로써, 내측주머니(6)를 외각(7)으로부터 박리시키는 동시에 내측주머니(6)를 수축시키고 그 후에, 내용물을 부분 충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내측주머니(6)와 외각(7)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면서, 내측주머니(6) 내에 공기가 남지 않도록 내측주머니(6)를 부분 충전시킬 수 있다.
2. 제 2 실시 형태
이어서, 도14 ~ 도1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3)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용기는 스퀴즈식의 보틀이며, 제 1 실시 형태의 외용기(2)에 대응하는 부재는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3)는 밸브부재(20)를 갖고 있는 점 및 핀치 오프부(3p)가 바닥 밀봉 돌출부(3p)를 갖고 있는 점 등에서 제1실시 형태의 내용기(3)와 다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3)는 용기본체(3a)와, 밸브부재(2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3a)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3h)와, 수용부(3h)로부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3d)를 구비한다.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a)는, 수용부(3h) 및 입구부(3d)에 있어서, 외층(13)과 내층(12)을 구비하고 있고, 외층(13)에 의해 외각(7)이 구성되며, 내층(12)에 의해 내측주머니(6)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2)이 외층(13)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내측주머니(6)가 외각(7)으로부터 박리되어 수축한다.
입구부(3d)에는, 체크밸브 부착의 캡(도시하지 않음)과 계합 가능한 계합부(3e)가 설치되어 있다. 캡은 타전식으로 장착하는 것이어도 되고, 나사식으로 장착하는 것이어도 된다.
밸브부재(20)는 도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3h)에 형성된 외기도입공(8)에 삽입되고, 외각(7)과 내측주머니(6) 사이의 중간공간(S1)과 용기본체(3a)의 외부공간(S2)과의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밸브부재(20)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외기도입공(8)의 가장자리와 밸브부재(20) 사이의 간극을 밸브부재(20)의 이동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밸브부재(20)가 외기도입공(8)을 개폐하는 구성이나, 밸브부재(20) 자체에 관통공과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하고, 이 밸브의 작용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공(8)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밸브부재(20)를 설치하지 않고, 외기도입공(8)에 필터를 첩부(貼付)함으로써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구성이나, 단지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 외기도입공(8)을 손가락 등으로 폐쇄시켜 조정을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외기도입공(8)을 입구부(3d)에 설치하고, 외기도입공(8)으로 연통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캡을 사용해도 된다.
밸브부재(20)는, 상기 임의의 구성이어도, 외각(7)을 압축했을 때에는 외기도입공(8)을 폐쇄하여 내측주머니(6)를 압축 가능한 상태로 하고 외각(7)에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중간공간(S1) 내에 외기가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수용부(3h)는 밸브부재(20)를 설치한 후에 수축 필름으로 씌워진다. 이 때, 밸브부재(20)가 수축 필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밸브부재(20)는 수용부(3h)에 설치된 밸브부재 설치 오목부(3j)에 장착된다. 또한, 밸브부재 설치 오목부(3j)가 수축 필름으로 밀폐되어버리지 않도록 밸브부재 설치 오목부(3j)로부터 입구부(3d)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유통홈(3k)이 설치된다(도1 참조).
이어서, 도16A, 도16B, 도17A 및 도17B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용기본체(3a)의 저부(3b) 근방의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도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3h)의 저부(3b)에는 중앙 오목영역(3s)과, 그 주위에 설치되는 주연(周緣)영역(3t)이 설치되고, 중앙 오목영역(3s)에는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바닥 밀봉 돌출부(3p)가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밀봉 돌출부(3p)가 적층 파리손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의 적층 파리손의 핀치 오프부에 상당한다. 바닥 밀봉 돌출부(3p)는 도17B의 확대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30) 및 이보다 두께가 얇은 박육부(薄肉部)(31)를 구비한다. 테이퍼부(30)는 저면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앞이 가늘게 되어 있다. 박육부(31)는 테이퍼부(30)의 선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테이퍼부(30) 및 박육부(31)는 도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길이 방향(도16B의 좌우 방향)에 따라 저부(3b) 전체를 가로 지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주연영역(3t)은 일부가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에서 중앙 오목영역(3s)과 주연 오목영역(3u)이 연결된다. 이들의 중앙 오목영역(3s)과 주연 오목영역(3u)으로부터 특허청구의 범위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박육부(31)의 단면 형상은 저면과 수직인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구형(矩形)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3b)는 중앙부가 바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닥 밀봉 돌출부(3p)는 주연영역(3t)이 규정하는 접지면(F)(도17A 참조)보다 돌출하지 않고, 박육부(31)의 선단은 접지면(F)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용기본체(3a)는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며, 바닥 밀봉 돌출부(3p)에 있어서 외각(7) 및 내측주머니(6)가 밀봉되고, 저부(3b)에 외기도입공은 형성되지 않는다(도17A ~ 도17C 참조). 여기에서, "밀봉된다"는,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이 용착되어 밑바닥이 닫혀지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바닥 밀봉 돌출부(3p)에 있어서의 외층(13)에 대한 내층(12)의 비율은 저부(3b)의 기타 부분이나 용기본체(3a)의 측면 등 다른 장소의 내층(12)의 비율보다 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선단부분에서는, 도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외층(13)끼리 용착하는, 즉 밀봉부를 사이에 둔 좌우의 외층(13)이 내층(12)을 개재하지 않고 용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닥 밀봉 돌출부(3p)에 있어서 외층(13) 전체가 내층(12)을 개재하여 용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도17B와 같은, 내층(12)이 박육부(31)까지 도달하지 않고, 테이퍼부(30) 내에서 중도에서 끊겨 있는 구성인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면 내층(12)이 거시적으로 보면 박육부(31)까지 도달하고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한편, 이러한 저부(3b) 근방의 구성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용기본체(3a)의 저부(3b)의 두께t1에 대한 테이퍼부(30)의 기단부의 두께t2(도17B 참조)의 비는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부(3b)의 두께t1에 대한 테이퍼부(30)의 기단부의 두께t2의 비는 0.5 ~ 1.5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8 ~ 1.2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저부(3b)의 두께t1"은 저부(3b)의 중앙, 즉 밀봉부 근방의 주변보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제외하는 저부(3b)의 두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예를 들면 테이퍼부(30)의 기단부로부터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저부(3b)와 수직인 방향의 길이와 같은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X에 있어서의 저부(3b)의 두께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규정한다(도17B 참조). 또한, 테이퍼부(30)의 기단부의 두께t2에 대한 박육부(31)의 두께t3의 비는 0.01 ~ 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3 ~ 0.07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또한, 테이퍼부(30)의 저부(3b)와 수직한 방향의 길이t4에 대한 박육부(31)의 같은 방향의 길이t5의 비는 0.05 ~ 0.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0.25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0.15 ~ 0.2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비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1, 0.11, 0.12, 0.13, 0.14, 0.15, 0.16, 0.17, 0.18, 0.19, 0.2, 0.21, 0.22, 0.23, 0.24, 0.25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용기본체(3a)도, 도17A 및 도17C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길이 방향 단부에, 외각(7)과 내측주머니(6)가 계합하는 계합부로서의 두께 증가부(3g)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증가부(3g)에 있어서, 외각(7)은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볼록부(7e)를 구비하고, 내측주머니(6)는 볼록부(7e)와 계합하는 한 쌍의 오목부(6e)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내용기(3)는 두께 증가부(3g)에 있어서 이렇게 외각(7)의 볼록부(7e)와 내측주머니(6)의 오목부(6e)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측주머니(6)가 수축해도 저부(3b)로부터 내측주머니(6)가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저부(3b)(저면)의 직경d1, 입구부(3d)의 직경d2, 바닥 밀봉 돌출부(3p)(제1실시 형태의 핀치 오프부(3p)에 상당)의 너비d4각각의 비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범위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3)의 제조 방법은 제 1 실시 형태의 내용기(3)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지만, 적층박리용기(3)의 저부(3b)(바닥 밀봉 돌출부(3p))를 형성하는 금형(40)의 형상이 다르다. 이하, 도18A, 도18B, 도19A ~ 도19D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 금형(40)에 의한 용기본체(3a)의 저부(3b) 근방의 형상의 성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분할 금형(40A)은 밸브부재 설치오목부(3j), 공기 유통홈(3k), 바닥 밀봉 돌출부(3p) 등의 용기본체(3a)의 각종 형상이 블로우 성형품에 형성되는 것 같은 캐비티―형상을 갖는다.
먼저, 도18A는 블로우 성형 금형(40)의 용기 저부(3b) 부근을 성형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40A)은 각각 저부(3b)를 성형하는 저면 성형부(41)와, 바닥 밀봉 돌출부(3p)를 성형하는 돌출 성형부(42)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 성형부(42)는 도18B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테이퍼부(30)를 성형하는 용기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된 테이퍼면(42a)과, 박육부(31)를 성형하는 박육 성형부(42b)와, 절단부(42c)를 구비한다.
이어서, 도19A ~ 도19D는, 한 쌍의 분할 금형(40A)을 서서히 닫아 적층 파리손(P)을 몰드 클램핑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19A의 몰드 클램핑 전의 상태로부터 분할 금형(40A)을 닫아가면, 분할 금형(40A)의 박육 성형부(42b) 및 절단부(42c)에 의해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P)이 내측을 향해 가압되고, 도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적층 파리손(P)의 내층(12)끼리 당접한다. 이 상태로부터 분할 금형(40A)을 더 닫으면, 도1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 성형부(42b)와 절단부(42c), 나아가 테이퍼면(42a)에 의해 적층 파리손(P)이 압축된다. 그리고, 도1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이 완전히 닫혀짐으로써, 테이퍼부(30) 및 박육부(31)가 형성되고, 적층 파리손(P)은 절단부(42c)에 의해 2개로 분리된다.
한편, 적층 파리손(P)의 직경d5는 본 실시 형태에서도, 금형(40)의 내경 중 내용기(3)의 입구부(3d)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d2보다 조금 작은 직경으로 설정되고, 그 비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범위로 한다.
그런데, 도19B ~ 도1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40A)을 닫아 가면, 외층(13) 및 내층(12)을 갖는 적층 파리손(P)은 서서히 압축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할 금형(40A)이 용기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된 테이퍼면(42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적층 파리손(P)이 용기 내측 방향(도19A ~ 도19D의 상방향)을 향해 가압되도록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돌출 성형부(42)의 테이퍼면(42a) 및 박육 성형부(42b)가 몰드 클램핑 시에 적층 파리손(P)을 압축하는 컴프레션부(42d)에 상당한다(도18B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단부(42c)보다도 상방(용기 내부측)에 설치된 컴프레션부(42d)에 의해, 두께 증가부(3g)가 형성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파리손(P)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층(12)은 공간이 넓은 용기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어 있고(도19C 및 도19D의 화살표 참조), 몰드 클램핑 후의 바닥 밀봉 돌출부(3p)(테이퍼부(30) 및 박육부(31))에서는, 외층(13)에 대한 내층(12)이 차지하는 비율이 분할 금형(40A)이 테이퍼면(42a)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게 된다. 그 결과,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외층(13)끼리 압축되어 용착되도록 되고 내층(12)이 선단까지 도달하여 내층(12)끼리 용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고, 충격이 가해져도 바닥 밀봉 돌출부(3p)가 분리되지 않는 적층박리용기(3)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박육부(31)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도, 내층(12)의 용기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촉진되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경d7(눌리워 찌부러진 적층 파리손(P)의 너비)을 바닥 밀봉 돌출부(3p)의 너비d4 이하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4/d7의 비는, 예를 들면 0.8 ~ 1.0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0.80, 0.81, 0.82, 0.83, 0.84, 0.85, 0.86, 0.87, 0.88, 0.89, 0.90, 0.91, 0.92, 0.93, 0.94, 0.95, 0.96, 0.97, 0.98, 0.99, 1.0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임의의 2개 수치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된다. d4/d7이 이러한 값을 취함으로써, 두께 증가부(3g)가 호적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방식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바닥 밀봉 돌출부(3p)는 테이퍼부(30) 및 박육부(31)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박육부(31)는 필수적이지 않다. 박육부(31)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바닥 밀봉 돌출부(3p)가 테이퍼 형상을 이룸으로써, 몰드 클램핑 시에 외층(13)끼리 용착하게 되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수용 용기, 2: 외용기, 2a: 몸통부, 2b: 저부, 2c: 축경부, 2d: 지지부, 2e: 외기유통로, 2f: 수나사부, 2g: 확경부, 3: 내용기/적층박리용기, 3a: 몸통부/용기본체, 3b: 용기 저부, 3c: 플랜지부, 3d: 입구부, 3e: 수나사부/계합부, 3f: 상면, 3g: 두께 증가부, 3h: 수용부, 3j: 밸브부재 설치오목부, 3k: 공기 유통홈, 3p: 핀치 오프부/바닥 밀봉 돌출부, 3s: 중앙 오목영역, 3t: 주연영역, 3u: 주연 오목영역, 4: 펌프, 4a: 본체부, 4a1: 통부, 4a2: 실린더부, 4a3: 상벽부, 4a4: 암나사부, 4b: 피스톤부, 4c: 노즐, 4d: 튜브, 5: 고정 링, 5a: 외통부, 5b: 상벽부, 5c: 개구부, 5d: 내통부, 5e: 외기유통로, 5f: 암나사부, 6: 내측주머니, 6a: 내측주머니 노출부, 6e: 오목부, 7: 외각, 7a: 협지부, 7e: 볼록부, 8: 외기도입공, 10: 몸통부 간극, 11: 저부 간극, 12: 내층, 13: 외층, 20: 밸브부재, 30: 테이퍼부, 31: 박육부, 40: 블로우성형 금형, 40A: 분할 금형, 41: 저면 성형부, 42: 돌출 성형부, 42a: 테이퍼면, 42b: 박육 성형부, 42c: 절단부, 42d: 컴프레션부, 50: 다이스, P: 적층 파리손, S1: 중간공간, S2: 외부공간

Claims (9)

  1.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핀치 오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치 오프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용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주위보다 두께가 두꺼워진 두께 증가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각은 상기 두께 증가부에 있어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주머니는 상기 두께 증가부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계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오프부에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오프부는 용기 외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6.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각을 구성하는 외층과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사용한 블로우 성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파리손을 압출하는 다이스 직경이 상기 블로우 성형 공정에서 상기 적층박리용기를 형성하는 금형의 내경 중 저부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경의 2/π배 이하이고,
    상기 금형은, 상기 적층박리용기의 핀치 오프부를 성형하는 절단부의 근방에 몰드 클램핑 전에 상기 적층 파리손을 압축하여 상기 적층 파리손을 용기 내측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컴프레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컴프레션부는 몰드 클램핑 시에 있어서의 너비가 상기 적층 파리손의 두께의 0.5 내지 1배(0.5배는 제외)인,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7001898A 2017-06-28 2018-06-20 적층박리용기 KR102590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6248A JP6923788B2 (ja) 2017-06-28 2017-06-28 積層剥離容器
JPJP-P-2017-126248 2017-06-28
PCT/JP2018/023486 WO2019004028A1 (ja) 2017-06-28 2018-06-20 積層剥離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240A KR20200024240A (ko) 2020-03-06
KR102590903B1 true KR102590903B1 (ko) 2023-10-17

Family

ID=6474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898A KR102590903B1 (ko) 2017-06-28 2018-06-20 적층박리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23788B2 (ko)
KR (1) KR102590903B1 (ko)
CN (1) CN110740939B (ko)
TW (1) TWI765060B (ko)
WO (1) WO2019004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7075B2 (ja) * 2019-01-21 2022-09-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7385102B2 (ja) * 2019-01-28 2023-11-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収容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2066B2 (ja) * 2019-06-11 2023-09-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WO2020218397A1 (ja) * 2019-04-26 2020-10-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CN114502475A (zh) * 2019-10-31 2022-05-13 京洛株式会社 收容容器及其制造方法、双层容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077A (ja) * 2002-07-30 2004-02-26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成形方法
US20160052661A1 (en) * 2013-03-29 2016-02-25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bott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265A (en) * 1976-07-15 1978-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Impurity diffusion method
US4737670A (en) * 1984-11-09 1988-04-12 Lsi Logic Corporation Delay control circuit
JPH023863Y2 (ko) * 1985-01-16 1990-01-30
JP3124620B2 (ja) * 1992-05-11 2001-0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KR100466228B1 (ko) * 1996-05-30 2005-06-22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원통형몸통부를갖는압출블로우성형용기및그성형용금형
JP3303234B2 (ja) * 1997-09-17 2002-07-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ブロー成形壜体の内容器リーク検査方法
JP2002068229A (ja) * 2000-08-25 2002-03-08 Taisei Kako Co Ltd 積層ボトルの口上面シール構造
JP4535259B2 (ja) * 2004-09-30 2010-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JP6249743B2 (ja) * 2013-04-30 2017-1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2015199512A (ja) * 2014-04-07 2015-11-12 株式会社クレハ 喰い切り支持部を備え、カーボンラベリングされた表面層を備える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多層容器
JP6421458B2 (ja) * 2014-05-29 2018-11-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9077A (ja) * 2002-07-30 2004-02-26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とその成形方法
US20160052661A1 (en) * 2013-03-29 2016-02-25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23788B2 (ja) 2021-08-25
TW201917065A (zh) 2019-05-01
KR20200024240A (ko) 2020-03-06
CN110740939B (zh) 2021-10-22
WO2019004028A1 (ja) 2019-01-03
CN110740939A (zh) 2020-01-31
JP2019006490A (ja) 2019-01-17
TWI765060B (zh) 202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903B1 (ko) 적층박리용기
TWI766934B (zh) 層疊剝離容器
US10822135B2 (en) Delaminatable container
KR101884721B1 (ko) 적층박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599881B1 (ko) 적층박리용기
WO2016027732A1 (ja) 二重容器の製造方法
CN110817053B (zh) 积层剥离容器及其制造方法
JP6780911B2 (ja) 積層剥離容器
KR20050032599A (ko) 블로 성형품
JP4579576B2 (ja)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98731B (zh) 双层容器和其制造方法
JP4678664B2 (ja) ツイストオフ口部付き少容量容器
JP6923786B2 (ja) 収容容器
JP7137075B2 (ja) 積層剥離容器
JP2019099212A (ja) 積層剥離容器
JP4253870B2 (ja) 成形充填容器の製造方法
TW202126541A (zh) 收容容器及其製造方法、雙層容器及其製造方法
JP6850531B2 (ja)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47687A (ja) 二重容器及びその処理方法
JP3801281B2 (ja) ボトルパック容器の成形装置
TW202041430A (zh) 收容容器及其製造方法
JP2022041270A (ja) 積層剥離容器
CN114502475A (zh) 收容容器及其制造方法、双层容器及其制造方法
JP2012245696A6 (ja) チューブ容器の口部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