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132A - 차량용 루프 몰딩 - Google Patents

차량용 루프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132A
KR20050009132A KR1020040048822A KR20040048822A KR20050009132A KR 20050009132 A KR20050009132 A KR 20050009132A KR 1020040048822 A KR1020040048822 A KR 1020040048822A KR 20040048822 A KR20040048822 A KR 20040048822A KR 20050009132 A KR20050009132 A KR 2005000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opening
molding
upper wal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4383B1 (ko
Inventor
미카이치도시키
요시다도시야
Original Assignee
하시모또 포오밍 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또 포오밍 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하시모또 포오밍 고오교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Abstract

몰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개구부의 크기가 작아도 되는 차량용 루프 몰딩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몰딩 본체(10)는 상벽(11)의 뒷면(11b)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폭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 선반부(14a, 14b)를 가지며, 상기 선반부(14a, 14b)의 개구부(1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상기 몰딩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상기 선반부(14a, 14b)를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선반부(14a, 14b)에서 반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몰딩 본체(10)의 상벽(11)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25)를 가지는 차량용 루프 몰딩(1)이 제공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개구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몰딩{Vehicle roof molding}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차량용 루프 몰딩(roof molding)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등 차량의 루프에 부착되는 루프 몰딩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상기 개구부에 루프 레일(roof rail)이나 루프 랙(roof rack), 루프 캐리어(roof carrier) 등의 지붕위 부품들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품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개구부는 지붕위 부품을 루프에 부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당한 커버(캡) 등에 의해 폐쇄된다.
루프 몰딩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커버로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는 윈도우부와 상기 윈도우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커버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커버에 의하면, 상기 커버를 벗기지 않고도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상기 윈도우부를 개방함으로써 지붕위 부품의 부착 등을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31804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 7-329654호 공보 참조).
상기한 슬라이드 개폐식 커버의 경우, 윈도우부를 가지는 커버(커버 본체)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2부품으로 구성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몰딩 개구부의 주연부(周緣部)와 커버 본체 사이에 단차가 생김과 동시에, 플레이트 본체와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단차가 생기고, 두 곳의 단차로 인해 외관이 나쁘다.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커버 본체의 폭 방향 양쪽에 안쪽으로 개구하는 갈고리형상(홈 형상)의 가이드를 마련하고 있는데, 커버 본체를 사출성형 등으로 성형할 때, 가이드의 홈부가 언더컷(undercut)이므로, 이것을 형성하는 성형금형에는 슬라이드코어가 필요하므로 금형의 비용이 상승한다.
상기 가이드는 윈도우부의 폭 방향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윈도우부의 개구폭을 넓히기 어려워서 윈도우부에 볼트 등을 삽입할 때 상기 볼트 등이 개구 끝테두리에 닿거나 하여 몰딩이나 차체 등에 흠집을 내는 일이 있다.
윈도우부의 길이 방향의 일단 부근에 마련된 이탈방지판은 커버 본체와의 사이에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삽통가능한 틈을 가지며 있으며, 이 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가이드가 방해가 되므로 이탈방지판과 커버 본체를 일체로 성형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별도로 형성한 이탈방지판을 커버 본체에 부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든다.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윈도우부를 개방하였을 때 커버 본체의 뒷쪽에 숨겨지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루프 몰딩의 개구부의 크기는 지붕위 부품(예를 들어, 루프 레일)의 부착 등에 필요한 윈도우부의 크기와 비교하여 두 배 이상의 크기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루프 몰딩에 큰 개구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강성이 부족하여 루프 몰딩의 조립시에 개구부 부근에서 구부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커버 본체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길이 방향의 열수축에 의해 개구부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7-329654호 공보에 기재된 커버는 커버 본체의 일단을 몰딩에 용착하고, 타단을 개구부의 끝테두리에 걸어서 부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구조 및 제조공정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몰딩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부품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개구부의 크기가 작아도 되는 차량용 루프 몰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루프 몰딩이 부착된 자동차(차량)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지붕위 부품의 부착부 부근을 나타내며, 도 1의 SA-S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몰딩 본체의 개구부 부근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는 SB-S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는 SC-SC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루프 몰딩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루프 몰딩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루프 몰딩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루프 몰딩의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4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5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6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4b는 각각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제7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9는 루프 몰딩의 변형예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루프 몰딩의 변형예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30, 40, 50 : 차량용 루프 몰딩(루프 몰딩)
2 : 차체 패널(루프 아웃터 패널)
3 : 차체 패널(필라 아웃터 패널)
4 : 오목홈 4b : 오목홈의 바닥벽
10 : 몰딩 본체 11 : 상벽
11a : 상벽의 외표면 11b: 상벽의 뒷면
12 : 개구부 12a: 개구부의 끝테두리(개구 끝테두리)
13a, 13b : 되접어꺾음부 14a, 14b : 선반부
18, 19 : 측벽 18c, 19c : 절제부
18d, 19d : 절제부의 끝테두리 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22 : 끼워맞춤부 25 : 탄성부
26, 27 : 돌출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벽을 가지는 긴 몰딩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차량용 루프 몰딩으로서, 상기 몰딩 본체는 상기 상벽의 뒷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폭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 선반부를 가지며, 상기 선반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몰딩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선반부를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선반부로부터 반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상벽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을 제공한다.
이 차량용 루프 몰딩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상벽으로부터 상기 상벽의 폭 방향의 안쪽으로 되접어꺾어진 되접어꺾음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개구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표면쪽에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완전폐쇄위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끝테두리에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상벽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몰딩 본체에는 양쪽의 상기 선반부에서 연장되어 나온 측벽이 몰딩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은 상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오목홈의 바닥벽에 접촉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몰딩 본체가 상기 측벽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개구부 부근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절제부(切除部)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절제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끝테두리 또는 뒷면쪽에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 형태를 근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 몰딩(이하, 단순히 루프 몰딩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이 부착된 자동차(차량)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 몰딩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자동차(차량)(9)의 루프(7)의 양측부에는 차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4)이 형성되어 있다. 루프 몰딩(1)은 이 오목홈(4)을 따라 바깥쪽에서 덮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4)은 차량(9)의 차체 패널(상세하게는 루프 아웃터 패널(roof outer panel; 2)과 필라 아웃터 패널(pillar outer panel; 3)의 접합부(5))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몰딩(1)은 긴 몰딩 본체(10)와 상기 몰딩 본체(10)의 상벽(11)에 형성된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구비한다.
몰딩 본체(10)는 띠 모양의 상벽(11)과 상기 상벽(11)으로부터 그 상벽(11)의 폭방향의 안쪽으로 되접어꺾어진 되접어꺾음부(13a, 13b)에 의해 상벽(11)의 뒷면(11b)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벽(11)의 폭방향의 양쪽(도 2의 좌우 방향)에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 선반부(14a, 14b)와, 이들 양쪽의 상기 선반부(14a, 14b)에서 연장되어 나온 측벽(18, 19)을 포함하여 뒷쪽에 수납공간(15)을 형성하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18, 19)은 몰딩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18b, 19b)에서 상기 오목홈(4)의 바닥벽(4b)에 접촉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딩 본체(10)의 상벽(11)의 외표면(11a)은오목홈(4)의 개구쪽(도 2의 위쪽)으로 향해 있으며, 의장면(意匠面)으로서 기능한다(이하, 상벽의 외표면(11a)을 단순하게 의장면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몰딩 본체(10)로는, 예를 들어, (a)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박판을 냉간(冷間) 롤 성형한 것에 합성수지를 피복형성한 것, (b) 경질 합성수지로만 형성한 것, (c) 경질 합성수지 중에 내신축성이 풍부한 심재(芯材)(예를 들어, 유리섬유 등)를 매립한 것 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판 등의 금속부(10a)를 성형하여 심재로 하고, 금속부(10a)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복합압출성형하여 수지부(10b)의 피복을 형성한 성형품(상기 (a)에 속한다)이 채용되어 있다.
몰딩 본체(10)의 측부 바깥쪽에는 오목홈(4)의 외측벽(4a) 및 내측벽(4c)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입술부(16, 17)가 마련되어 있다. 입술부(16, 17)는 합성수지에 의해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지부(10b)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몰딩 본체(10)의 상벽(11)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되접어꺾음부(13a, 13b)에 의해 상벽(11)과 간격을 두고 상기 상벽(11)의 뒷면(11b)와 대향하는 선반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지만, 선반부(14a, 14b)에는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몰딩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9)의 차폭 방향의 양쪽의 각 루프 몰딩(1)은 루프 레일(8)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a)(도 1 참조)에 대응하여 각각 몰딩 본체(10)의 앞뒤 두 곳에 개구부(12)를 가진다. 개구부(12)는 도 3에도시한 바와 같이 몰딩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좁고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몰딩 본체(10)는 개구부(12)를 피한 위치에서, 예를 들어, 상벽(11)의 뒷면(11b)에 부착된 클립(미도시)과, 오목홈(4) 쪽에 고정된 걸림부재(미도시)를 걸어맞춤하여 차체에 부착되어 있다.
개구부(12)에 대응하는 오목홈(4)의 바닥벽(4b)에는 용접 너트(6a)를 가지는 브래킷(bracket)(6)이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몰딩 본체(10)의 양측벽(18, 19)은 오목홈(4)의 바닥벽(4b)에 접촉할 수 있는 하단부(18b, 19b) 쪽이 폭방향의 안쪽으로 굴곡된 플랜지부(18a, 19a)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18a, 19a)에는 브래킷(6)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개구부(12)의 아래쪽 부근에서 부분적으로 잘려서 제거된 절제부(切除部; 18c, 19c)가 형성되어 있다.
루프 레일(8)은 개구부(12)를 개구한 상태에서 용접 너트(6a)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삽입통과 브래킷(6)과 루프 레일(8)의 부착부(8a)를 고착함으로써 루프 레일(8)을 차량의 루프(7)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5a, 도 5b에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본체(21)와 플레이트 본체(21)의 끝테두리(24)의 네 귀퉁이(24c) 부근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탄성부(25)를 가진다. 플레이트 본체(21)의 표면쪽(21a)에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21)의 끝테두리(24)에 인접하는 주연부(21c)를 남기고개구부(12)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주연부(21c)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끼워맞춤부(22)와, 끼워맞춤부(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끼워맞춤부(22)의 상면(돌출단)(22a)보다 돌출된 돌출부(26)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도 4, 도 5a, 도 5b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끼워맞춤부(22)는 외면(22b)이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개구 끝테두리)를 따르도록 사각 끝테두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22)의 안쪽은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에서 움푹 패인 오목함몰부(凹部)(23)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때, 개구 끝테두리(12a)는 끼워맞춤부(22)에 접촉하긴 하지만, 오목함몰부(23)에는 접촉하지 않게 되며, 그 접촉으로 인한 흠집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6 등에서는 오목함몰부(23)가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에서 움푹 패여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오목함몰부(23)의 깊이(d)를 과장해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 깊이(d)는 눈으로는 구분하기 힘든 정도라도 좋다. 오목함몰부(23)의 깊이(d)의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5mm 정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끼워맞춤부(22)의 높이(플레이트 본체(21)의 주연부(21c)에서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까지의 높이)는 몰딩 본체(10)의 개구 끝테두리(12a) 부근에서의 상벽(11)의 두께(금속판(10a)과 수지부(10b)를 합친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개구부(1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이 의장면(11a)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으로 되며, 면이 일치하는(단차가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끼워맞춤부(22)가 개구 끝테두리(12a)에 끼워맞춤되어 개구 끝테두리(12a)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12)에 노출된 금속부(10a)의 끝테두리가 보이지 않게 되어 몰딩 본체(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이 형성되어 보기에도 좋다.
개구부를 개폐할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끼워맞춤부(22)가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끼워맞춤부(22)의 흠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의 버어(burr)를 줄이나 사포 등으로 제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어의 제거는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의 전둘레에 수행할 필요 없이, 적어도 끼워맞춤부(22)가 접촉할 수 있는 부위만으로도 충분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이 접촉할 수 있는 부위로서 적어도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개방방향(도 3, 도 8의 위쪽)에 있는 변부(12b)의 양측 단부(12c)의 버어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플레이트 본체(21)의 표면(21a)의 대부분은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함몰부(23)로 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이 접촉할 수 있는 부위의 버어를 제거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표면부(21a)의 흠집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개구 방향에 있는 개구 끝테두리(12a)의 상기변부(12b)를 전체 폭에 걸쳐 버어 제거를 행할 경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22)에 오목함몰부(23)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22)의 상면(22a)이 하나의 면상에 위치하는 경우, 끼워맞춤부(22)의 표면 전체와 몰딩 본체(10)의 의장면(11a)을 단차가 없는 디자인으로 할 수 있어서, 의장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2, 도 5a,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25)는 플레이트 본체(21)의 끝테두리(24)의 단변측(24a)에서 플레이트 본체(21)의 뒷쪽(21b) 및 폭방향의 바깥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몰딩 본체(10)의 상벽(11)과 선반부(14a, 14b)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탄성부(25)가 선반부(14a, 14b) 위에 얹힌 상태로 되접어꺾음부(13a, 13b) 내에 수용되며, 몰딩 본체(10)의 길이 방향(도 7이나 도 9의 좌우방향)의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탄성부(25)는 선반부(14a, 14b)를 향해 플레이트 본체(21)로부터 돌출되고, 그 탄성부(25)의 선단부(25a)가 적어도 선반부(14a, 14b)에 접촉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25)는 선반부(14a, 14b)에서 반력을 받음으로써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의 위치(도 7에 2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비교하여 선단부(25a)가 더 위쪽을 향하도록 탄성변형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25)의 탄성력에 의해 플레이트 본체(21)가 의장면(11a)을 향해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개구부(12)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개방하였을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상벽(11)에 눌러붙여지며, 마찰력에 의해 정지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조작하지 않는 한, 개구부(1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돌아가기 어렵고, 지붕위 부품(8)의 부착작업을 수행하기 쉽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이동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상벽(11)에서 떨어지도록 눌러넣음으로써 상벽(11)과의 마찰력을 경감시켜 가볍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개구부(12)를 폐쇄할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개구부(12)의 바로 밑에 위치하였을 때 탄성부(2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저절로 개구부(12)에 끼워져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12)를 아주 단순한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조작감이 뛰어나다.
또한 탄성부(2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폭방향의 바깥쪽으로의 돌출 선단인 외측변부(25b)가 되접어꺾음부(13a, 13b)의 내면을 향해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플레이트 본체(21)로부터 폭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몰딩 본체(10)의 폭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어긋나도록 변위하면, 탄성부(25)가 되접어꺾음부(13a, 13b)의 내면에 접촉하여 그 되접어꺾음부(13a, 13b)로부터의 반력을 받게 되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폭 방향의 중앙으로 되돌리는 작용을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폭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즉, 되접어꺾음부(13a, 13b)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몰딩 본체(10)의개구부(12)를 폐쇄하고 있을 때(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완전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는 플레이트 본체(21)가 의장면(11a)을 향해 바이어스됨으로써 끼워맞춤부(22)가 개구부(12)에 끼워져 들어가고, 끼워맞춤부(22)의 외면(22b)이 개구 끝테두리(12a)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끼워맞춤부(22)보다 바깥쪽인 주연부(21)가 몰딩 본체(10)의 상벽(11)의 뒷면(11b)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6)는 의장면(11a)보다 돌출되어 있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딩 본체(10)의 개구부(12)를 개방하였을 때(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완전개방위치에 있는 상태)에는 개구부(12)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비해 플레이트 본체(21)가 잠겨 들어간 상태가 되며, 탄성부(2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이 상벽(11)의 뒷면(11b)에 접촉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와 몰딩 본체(10)가 접촉하는 곳은 탄성부(25)의 선단부(25a)와 선반부(14a, 14b) 및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과 상벽(11)의 뒷면(11b)으로서, 아주 좁은 면적에서의 접촉이므로 마찰력이 작고, 가벼운 힘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돌출부(26)가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개구 끝테두리(12a)에 접촉하였을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돌출부(26)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개구부(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몰딩 본체(10)의 상벽(11)의 뒷쪽으로 잠입하여 끌려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몰딩 본체(10)의 개구부(12)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될 때에는 예를 들어, 돌출부(26)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냄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하여 폐쇄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개구부(12)의 바로 밑에 위치하였을 때 탄성부(25)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저절로 개구부(12)에 끼워져들어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루프 몰딩(1)에 의하면, 개구부(12)를 아주 단순한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몰딩 본체의 개구부 부근에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제작하여 몰딩 본체에 부착할 필요가 없다. 종래의 발명에서의 커버 본체가 불필요해진다. 커버 본체를 몰딩 본체에 열용착하는 공정도 생략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몰딩의 개구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종래의 몰딩에서는 커버 본체를 부착하기 위해 루프 몰딩의 개구부는 지붕위 부품의 부착 등에 필요한 윈도우부 크기의 2배 이상의 크기가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붕위 부품(루프 레일 등)의 부착 등에 필요한 크기만을 적어도 확보하면 된다. 따라서, 개구부(12)의 크기를 종래 부품의 절반 이하로 할 수 있으므로 몰딩 본체(10)의 개구부(12) 주변에서의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열수축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열수축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이 설명은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ABS수지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길이(L)를 10cm로 하였을 경우, ABS수지의 선열팽창계수는 α=85×10-6/℃이므로, 온도차 Δt가 40℃인 경우의 신장량 ΔL는 0.34mm가 된다. 개구부(12)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클리어런스(간극)로서는 상기한 정도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신장량 ΔL를 허용하도록 설계하면 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본체(21)의 단변측의 양쪽 끝테두리(24a)가 동시에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에 닿아서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21)의 단변측의 끝테두리(24a)와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간의 간극(한 쪽당 평균)은 신장량 ΔL의 절반(ΔL/2), 즉 약 0.17mm가 되므로, 이 정도의 간극은 눈으로는 거의 확인할 수 없고 양호한 외관이 형성된다.
이어, 본 발명의 루프 몰딩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와 동일한 부호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인 것을 나타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루프 몰딩(30)에 있어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 본체(21)의 끝테두리(24)의 단변측(24a)의 한쪽에서 연장되는 연장부(27a)와, 상기 연장부(27a)의 선단(27b)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세로막대부(27c)로 이루어지는 돌출부(27)를 가진다.
도 10a, 도 10b,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27a)는, 여기서는 탄성부(25)와의 간섭을 피해 거의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막대부(27c)는 차폭 방향의 바깥쪽(필라 아웃터 패널(3)쪽; 도 12의 우측) 측벽(18)의 플랜지부(18a)에 형성된 절제부(18c)의 끝테두리(18d)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부(27a)를 통해 차폭 방향의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막대부(27c)가 접촉할 수 있는 절제부(18c)의 끝테두리(18d)와 개구부의 위치관계는, 플레이트 본체(21)의 일부가 개구부(12)에서 노출되어 있는 동안에 세로막대부(27c)가 상기 절제부의 끝테두리(18d)에 접촉하여 플레이트 본체(21)의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몰딩 본체(10)의 상벽(11)의 뒷쪽으로 잠입하여 끌어낼 수 없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돌출부(27)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요는 측벽(18, 19)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된 절제부(18c, 19c)의 끝테두리(18d, 19d)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개구부(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우러,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범위내의 전역에서 그 돌출부(27)가 탄성부(25)나 브래킷(6) 등과의 간섭을 피하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루프 몰딩(30)에서의 개구부(12)의 개폐는 제1 실시형태의 루프 몰딩(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몰딩 본체(10)의 선반부(14a, 14b)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개구부(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가 되는 돌출부(27)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뒷면(21b)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개구부(12)에서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개구부(12)를 폐쇄한 상태라도 개구부(12)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없앨 수 있어서 보기가 좋다. 또한 돌출부가 개구부(12)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 루프의 청소중 등에 실수로 돌출부에 닿아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개방시킬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루프 몰딩(30)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들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상기 설명에서 이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가 되는 돌출부(26) 대신에 플레이트 본체(21)의 표면쪽에 도 14a,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웅덩이부(28a)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롤렛 모양의 홈(28b) 등을 마련해도 된다. 손가락의 바닥 등을 플레이트 본체(21)의 표면쪽에 대었을 때 잘 미끄러지지 않아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움직이기 쉬워진다. 끼워맞춤부(22)를 개구부(12)에 끼워넣었을 때 의장면(11a)보다 돌출되는 손잡이(26)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로서 몰딩 본체의 개구 끝테두리 또는 절제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로서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몰딩 본체의 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닿음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루프 몰딩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오목함몰부(23)는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으로부터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함몰부(23)가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에서 서서히 낮아지는 만곡형상의 곡면이라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몰딩의 개구부(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부(22)의 돌출단(22a)과 오목함몰부(23) 사이의 경계부근에 단차가 두드러지지 않고, 평탄한 것처럼 보이는 외관을 갖게 하면서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와 오목함몰부(23)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플레이트 본체(21)의 표면쪽의 흠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함몰부(23)에 먼지가 쌓이기 어려우며 청소하기 쉽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22)에 오목함몰부(23)을 형성하지 않고 끼워맞춤부(22)의 상면(22a)을 단차가 없는 평탄한 면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끼워맞춤부(22)의 표면 전체와 몰딩 본체(10)의 의장면(11a)을 평탄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끼워맞춤부(22)는 개구 끝테두리(12a)의 전둘레를 따라 끼워맞춤되도록 끝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였는데, 본 발명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 또는 복수의 돌기(29)(점 모양의 돌기부)라도 좋고, 또한 돌조(한 방향으로 뻗은 돌기부) 등이라도 좋다. 이런 경우에서도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개구부(12)의 끝테두리(12a)에 위치결정하여 끼워맞춤시켜서, 개구부(12)가 폐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래킷과의 간섭 방지를 위해 절제부(18c, 19c)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몰딩(1)을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부착수단으로 차체에 부착함으로써 측벽(18, 19)을 되접어꺾음부(13a, 13b)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모양으로 형성가능한 경우에는 이 절제부(18c, 19c)는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반부(14a, 14b)로부터 오목홈(4)의 바닥벽(4b)을 향해 측벽(18, 1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측벽(18, 19)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몰딩 본체(10)의 차체에의 부착에 다른 공지의 부착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도 19에 예시한 루프 몰딩(40)과 같이 측벽(18, 19)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공지의 부착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선반부(14a, 14b)의 한쪽에 클립의 한 쪽을 걸어맞춤시키고, 선반부(14a, 14b)의 다른 쪽을 차체 패널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시키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20에 예시한 루프 몰딩(50)처럼 몰딩 본체(10)의 외표면(11a)을 형성하는 상벽(11)이 오목홈(4)의 개구 폭을 초과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선반부(14a, 14b)는 상벽(11)의 폭방향의 양쪽 끝테두리(11c, 11d)로부터 중앙쪽으로 변위한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벽(11)의 폭방향의 안쪽으로 굴곡되는 굴곡부(13c, 13d)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굴곡부(13c, 13d)는 상벽(11)의 양쪽 테두리(11c, 11d)에서 돌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면, 되접어꺾음부(13a, 13d)와 마찬가지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루프 몰딩에 의하면, 상벽과 선반부 사이에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여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안내부를 마련한 커버 본체가 불필요해지며, 몰딩 본체의 개구부 부근에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적게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언더컷(undercut)부를 갖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금형 비용 등을 싸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부에서 탄성부로의 반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몰딩 본체의 상벽을 향해 바이어스되므로,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벽에 눌러붙여지고 마찰력에 의해 정지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벽에서 떨어지도록 밀어넣음으로써 상벽과의 마찰력을 경감하여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 개구부를 폐쇄할 때,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개구부 바로 밑에 위치하였을 때 탄성부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저절로 개구부로 끼워져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아주 단순한 조작으로 개폐할 수 있다.
몰딩 본체의 개구부 부근에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직접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개구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몰딩 본체의 개구부 부근에서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열수축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구성이 몰딩 본체에 형성된 선반부에 의하므로, 개구부의 개구폭을 넓히기 쉽고, 볼트 등의 부착부재 등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용이해지며, 차체나 몰딩 등의 흠집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가 상기 상벽으로부터 상기 상벽의 폭방향의 안쪽으로 되접어꺾어진 되접어꺾음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벽과 선반부를 되접어꺾음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심재로서 금속부를 넣은 몰딩의 경우, 금속부를 상벽에서 선반부까지 연속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강도나 내구성이 우수하다.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완전개방위치에 있을 때 개구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표면쪽에 가지는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개방하였을 때 돌출부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체가 몰딩 본체의 뒤쪽에 숨어버릴 우려가 없다.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의 완전폐쇄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의 개구 끝테두리에 끼워맞춤됨과 아울러 상기 상벽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끼워맞춤부에 의해 몰딩의 개구부의 끝테두리를 감출수 있으므로, 보기에 좋다. 또한 개구부의 끝테두리가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몰딩 청소시 등에 손가락 등이 잘리는 일이 없도록 개구부 끝테두리의 버어 제거를 할 필요가 있는데, 끼워맞춤부에 의해 개구부의 끝테두리가 감춰짐으로써 개구부 끝테두리의 버어 제거를 생략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차체 패널에 형성된 오목홈의 바닥벽에 접촉되는 측벽이 몰딩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개폐시에 몰딩이 오목홈에 잠겨들어가 선반부 등이 변형할 우려가 없고 작업성이 좋다.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완전개방위치에 있을 때 몰딩 본체의 절제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끝테두리 또는 뒷면쪽에 가지는 경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개방하였을 때 돌출부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뒷면쪽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개구부에서 노출될 수 있는 표면쪽의 요철이 적어져서 보기에 좋다.

Claims (6)

  1. 외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상벽을 가지는 긴 몰딩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차량용 루프 몰딩으로서,
    상기 몰딩 본체는 상기 상벽의 뒷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폭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 선반부를 가지며, 상기 선반부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몰딩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선반부를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선반부로부터 반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상벽을 향해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상기 상벽으로부터 그 상벽의 폭 방향의 안쪽으로 되접어꺾어진 되접어꺾음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개구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표면쪽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부의 완전폐쇄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의 개구 끝테두리에 끼워맞춤됨과 아울러 상기 상벽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형성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본체에는, 양쪽의 상기 선반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측벽이 몰딩 본체의 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은 상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오목홈의 바닥벽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본체는 상기 측벽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개구부 부근에서 부분적으로 잘려서 제거된 절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방하였을 때 상기 절제부의 끝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돌출부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끝테두리 또는 뒷면쪽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몰딩.
KR1020040048822A 2003-07-14 2004-06-28 차량용 루프 몰딩 KR100984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6520 2003-07-14
JP2003196520A JP4233940B2 (ja) 2003-07-14 2003-07-14 車両用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132A true KR20050009132A (ko) 2005-01-24
KR100984383B1 KR100984383B1 (ko) 2010-09-30

Family

ID=3347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822A KR100984383B1 (ko) 2003-07-14 2004-06-28 차량용 루프 몰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74181B2 (ko)
EP (1) EP1498318B1 (ko)
JP (1) JP4233940B2 (ko)
KR (1) KR100984383B1 (ko)
CN (1) CN100379636C (ko)
CA (1) CA2473622A1 (ko)
DE (1) DE602004021534D1 (ko)
ES (1) ES2327042T3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855B1 (ko) * 2005-01-20 2006-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 장착장치
KR100786889B1 (ko) * 2006-10-31 2007-12-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몰딩의 커버구조
KR100793992B1 (ko) * 2005-12-08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 가니쉬 구조
KR101124953B1 (ko) * 2009-12-01 2012-03-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몰딩
KR101135526B1 (ko) * 2005-01-20 2012-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랙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9258A1 (de) 2005-12-13 2007-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Dach für ein Kraftfahrzeug
CN100434333C (zh) * 2005-12-16 2008-11-19 黄道靖 迎亲车轿
WO2007107968A1 (en) * 2006-03-22 2007-09-27 Sportrack Llc Vehicle roof ditch cover attachment clip
DE102006034015B3 (de) * 2006-07-22 2007-12-06 Dura Automotive Body & Glass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Abdeckung einer dachseitigen Schweißrille an einer Fahrzeugkarosserie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Dichtlippe an einem Zierstab
KR101232521B1 (ko) * 2006-12-08 2013-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몰딩
US7641250B2 (en) * 2007-04-27 2010-01-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ody molding with integral lock for a vehicle
US7621574B2 (en) * 2007-08-24 2009-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ditch molding
DE102008011939B3 (de) * 2008-02-29 2009-08-27 A. Raymond Et Cie Schiebedeckelanordnung für eine Abdeckleiste eines Dachkanals eines Kraftfahrzeugs
US8141941B2 (en) 2010-07-23 2012-03-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lidable window assembly with retractable sunshade
US8641118B2 (en) * 2012-03-07 2014-02-04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8567838B2 (en) * 2012-03-07 2013-10-29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10179435B2 (en) 2012-07-10 2019-01-15 U.S. Farathane Corporation Roof ditch molding assembly and process with heated air assist
US10071522B2 (en) 2012-07-10 2018-09-11 U.S. Farathane Corporation Roof ditch molding process incorporating conformed shaping features in a molding fixture
US8783751B2 (en) * 2012-07-10 2014-07-22 U.S. Farathane Corporation Coextruded root ditch molding with hard and soft components including associated fastener system
US8955896B2 (en) 2012-07-10 2015-02-17 U.S. Farathane Corporation Tri-extruded roof ditch molding with hard and soft components including associated fastener system and method for heat forming the roof ditch molding
US8979181B2 (en) 2012-10-29 2015-03-1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174591B2 (en) 2014-01-29 2015-11-03 Honda Motor Co., Ltd. Roof molding
CA2948333C (en) * 2014-05-06 2023-06-13 Stephen R. Roddy Roof attachment method for an applied composition roof
GB2533383A (en) * 2014-12-18 2016-06-22 Bentley Motors Ltd Roof rail
JP6434823B2 (ja) 2015-02-27 2018-12-05 片山工業株式会社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のキャップ取付構造及び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
US9771108B2 (en) * 2015-08-03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ody assembly and method of joining vehicle body components
US20180105211A1 (en) * 2016-10-13 2018-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cover for a ditch mounted liftgate assembly
DE102018201649A1 (de) * 2018-02-02 2019-08-08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Fahrzeugzierstab und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fahrzeugzierstab
US11155214B2 (en) * 2019-05-27 2021-10-26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30B2 (en) * 2019-05-27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623587B2 (en) * 2019-08-08 2023-04-11 Jac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shot injection molded roof ditch molding with multiple complex curvatur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141A (en) * 1974-07-08 1984-01-24 Bott John Anthony Article carrier for automotive vehicles
US4222508A (en) * 1978-08-11 1980-09-16 Bott John Anthony Vehicle article carrier
CA1183819A (en) * 1980-07-23 1985-03-12 John A. Bott Cross rail for vehicle luggage carrier
DE3313327A1 (de) * 1983-04-13 1984-10-25 Fa. Wilhelm Schade, 5970 Plettenberg Abdeckleiste fuer eine in ein fahrzeugdach eingelassene rinne zur aufnahme und halterung der stuetzfuesse eines dachlastentraegers
JP3217406B2 (ja) 1991-11-11 2001-10-09 グレンツェル スパイサー 複合材料で作られている伝動軸を製造する方法
DE4202495C2 (de) * 1992-01-30 1997-03-20 Schade Gmbh & Co Kg Abdeckleiste für eine in ein Fahrzeugdach eingelassene Rinne
FR2687964B1 (fr) * 1992-03-02 1997-06-13 Profil Enjoliveur de pavillon de vehicule automobile.
JP3318046B2 (ja) 1993-06-03 2002-08-26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モール用カバー
JPH07329654A (ja) 1994-06-07 1995-12-19 Inoac Corp モール用キャップの取付構造
EP0708001B1 (de) * 1994-10-21 1998-07-15 Dr.Ing.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Zier- bzw. Abdeckleiste
EP0730998B1 (de) * 1995-03-10 1997-07-23 Schade GmbH &amp; Co. KG Abdeckleiste für eine in ein Fahrzeugdach eingelassene Rinne
DE29514216U1 (de) * 1995-09-05 1996-04-25 Erbsloeh Ag Federanordnung für einen Schieber, der eine Öffnung einer die Rinne eines Fahrzeugdaches abschließenden Abdeckleiste verschließt
FR2752794B1 (fr) * 1996-09-05 1998-12-04 Peugeot Enjoliveur de recouvrement pour gouttiere de pavillon de vehicule
US5948508A (en) * 1997-08-15 1999-09-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n-line paintable insert
DE19840295B4 (de) * 1998-09-04 2004-02-19 S.A.M. Silvatrim Abdeckleiste für eine in einem Fahrzeugdach ausgebildete Ausnehmung
DE19924498A1 (de) * 1999-05-28 2000-08-31 Daimler Chrysler Ag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Abdeckleiste in einem Dachkanal eines Kraftfahrzeuges
ES2225347T3 (es) * 2000-05-19 2005-03-16 DURA AUTOMOTIVE BODY &amp; GLASS SYSTEMS GMBH &amp; CO. KG Corredera para el cierre de un agujero de fijacion en una moldura de cubierta para un canal de techo de un automovil.
JP3719109B2 (ja) * 2000-06-19 2005-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モール構造
JP3354552B2 (ja) * 2000-07-19 2002-1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JP2002283930A (ja) * 2001-03-28 2002-10-03 Nifco Inc モール取付用クリップおよびモール取付用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3907968B2 (ja) * 2001-06-01 2007-04-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モール取付構造
KR100448404B1 (ko) * 2001-08-22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랙 고정장치
JP3715235B2 (ja) * 2001-12-14 2005-11-09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モール
JP2004106731A (ja) * 2002-09-19 2004-04-08 Hashimoto Forming Ind Co Ltd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855B1 (ko) * 2005-01-20 2006-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 장착장치
KR101135526B1 (ko) * 2005-01-20 2012-04-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랙 고정장치
KR100793992B1 (ko) * 2005-12-08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루프 가니쉬 구조
KR100786889B1 (ko) * 2006-10-31 2007-12-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몰딩의 커버구조
KR101124953B1 (ko) * 2009-12-01 2012-03-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27042T3 (es) 2009-10-23
JP4233940B2 (ja) 2009-03-04
CA2473622A1 (en) 2005-01-14
DE602004021534D1 (de) 2009-07-30
EP1498318A3 (en) 2005-04-13
JP2005029010A (ja) 2005-02-03
KR100984383B1 (ko) 2010-09-30
CN1576144A (zh) 2005-02-09
EP1498318A2 (en) 2005-01-19
US6974181B2 (en) 2005-12-13
CN100379636C (zh) 2008-04-09
EP1498318B1 (en) 2009-06-17
US20050011158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383B1 (ko) 차량용 루프 몰딩
KR100439159B1 (ko) 몰딩 부착용 클립 및 몰딩 부착구조
JP4806495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US6412226B1 (en) Car door glass run
JP4489631B2 (ja) 車両用長尺トリム材とその装着方法
US20050198908A1 (en) Belt mold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s
JP2006017300A (ja) クリップ
JP2008105474A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JP4885638B2 (ja) プロテクタ
JP2009190639A (ja) 車両ドア用ガラスガイド構造
MX2013011861A (es) Tapa extrema de moldura.
JP4897412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4135948B2 (ja) ルーフモール装着構造及びルーフモール装着具
JP2007296898A (ja) ガラスラン
KR0156294B1 (ko) 차량용 도어의 유리 가이드 취부구조
JP4026776B2 (ja) 車両用の飾り縁部材
JP4569052B2 (ja) 車体外装品の保持クリップ
JP5399448B2 (ja) ルーフモールのキャップ取付構造
JP2009234433A (ja)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の取付構造及び窓枠
JP2005343403A (ja) フロアマット用フック
JP4574553B2 (ja)
JP2023068017A (ja) ルーフモール
JP2022112131A (ja) グラスランの取付構造及びグラスラン取付け用クリップ
JP6357868B2 (ja) ベルトラインモールの取り付け部材
JP4261549B2 (ja) 車両用の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