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367A -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367A
KR20040106367A KR10-2004-7016983A KR20047016983A KR20040106367A KR 20040106367 A KR20040106367 A KR 20040106367A KR 20047016983 A KR20047016983 A KR 20047016983A KR 20040106367 A KR20040106367 A KR 20040106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alcium
dfa
food
difructose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032B1 (ko
Inventor
시오미다쿠야
오쿠하라야스히데
다무라아키코
도미타교코
시게마쯔노리히로
기쿠치히로토
아리쯔카쯔토무
도미타후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니혼 텐사이 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60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30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2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64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14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30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62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616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79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8498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니혼 텐사이 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환케루
Publication of KR2004010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2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프룩토오스 무수물(DF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FA란 2개의 프룩토오스의 환원말단이 서로 한쪽 환원말단 이외의 수산기에 결합한 고리형상 이당이다.
본 발명에 의해 DFA는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흡수 촉진작용, 골형성 촉진작용, 이뇨 촉진작용, 변통 개선작용 및 우식 억제용도를 갖는 것이 명확해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및 음식품(동물용 사료를 포함한다)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 음식품으로서는 조제분유, 경장 영양제, 건강 음식품, 사료 첨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경구투여 가능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용도{Difructose anhydride-contai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식생활이 개선되었다고는 해도, 특히 일본인의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의 섭취량은 영양 필요량을 밑돌고 있어(Journal of Nutritional Science and Vitaminalogy 45권 519-532페이지), 그 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의 식생활 습관에서는 이들 무기성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 현재 상황이다.
최근 들어, 난소화성(難消化性) 이당류인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III(이하, DFAIII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의 공업적 제법이 개발되어, 안정 공급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DFAIII가 생리활성으로서 비피더스균 증식작용을 갖는 것과(일본국 특허공고 제(평)3-5788), DFAIII가 칼슘흡수 항진(亢進)작용을 갖는 것(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43438)은 명확해졌다. 그러나,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의 흡수 촉진작용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기술의 현재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자는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의 필요량을 통상 일본인의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고, 특히 유아, 노령자, 병중 또는 예후(豫後)의 환자와 같이 충분한 식사량을 취할 수 없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매우 곤란한 점에 새로이 착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식사 중의 이들 성분을 증량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 중의 성분은 종래와 같이 해 두고, 다만 식사 중의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의 체내에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술, 바꿔 말하자면 섭취한 마그네슘, 아연 및 구리를 체내에서 유효하게 이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식생활에 있어서 섭취되는 칼슘은 소위 골칼슘으로서의 주요성분인 동시에 혈액 중 등에서는 생리·대사에 불가결한 전해질 이온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일본인은 칼슘부족 민족이라고 일컬어진다. 일본인에게 있어서의 1일 칼슘의 필요섭취량은 약 600 mg로 되어 있지만, 일본은 다우(多雨)한 기후 때문에 토양 중의 칼슘은 누탈(漏脫)되기 쉬어, 농작물로부터 칼슘을 확보하는 것에는 많은 기대를 할 수 없어, 현재 상태에서의 평균 칼슘섭취량은 이 값을 밑도는 것이다. 「일본 식품성분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슘은 한정된 식품에만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의식해서 식사의 메뉴를 짜지 않으면 칼슘의 적량 섭취는 불가능하다. 세계 각국의 칼슘섭취량은 유제품의 섭취량에 지배되고 있어, 예를 들면 유제품 섭취가 많은 핀란드에서는 칼슘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골절사고율이 적은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유제품의 섭취가 비교적 적은 일본인은 즉 칼슘의섭취량이 적어 골절률이 높다.
칼슘의 부족은 골밀도나 골다공증, 치주병의 진행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골다공증은 약간의 예외는 있다고 해도, 세계의 거의 모든 민족에게 보이는 심각한 뼈의 노화병이다. 이와 같은 칼슘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골다공증 등의 예방, 치료로서는 칼슘이 부족하기 쉬운 섭취량을 보충하기 위해, 골분(骨粉)이나 젖 유래의 칼슘 등 칼슘원의 투여, 칼슘을 강화, 개질(改質)하여 포함하는 소위 건강식품, 기능식품이나 여러 영양보충식품(supplement)을 섭취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칼슘의 섭취량에 대한 생체내로의 흡수율은 20~30%로 영유아나 성장기에서는 흡수율도 높지만, 성인 후는 저하되어 간다. 특히 여성에서는 폐경기 후에는 흡수율이 크게 저하되어 뼈의 노화가 진행되기 쉽다.
이들 사실로부터, 칼슘부족에 의한 골밀도 저하나 골다공증 예방, 치료법으로서 골형성을 촉진하는 비타민 K나 비타민 D의 투여, 골흡수를 억제하는 칼시토닌, 에스트로겐,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의 투여 등도 행해지고 있다. 일상의 식생활에 있어서 칼슘의 섭취를 강화할 뿐 아니라, 섭취한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칼슘 흡수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초래하는 식품·의약품용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칼슘 섭취량을 더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다공증 등에 유효한 골칼슘의 필요량을 통상 일본인의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고, 특히 유아, 노령자, 병중 또는 예후의 환자와 같이 충분한 식사량을 섭취할 수 없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러한 현재 상태에 비추어, 칼슘부족에 대한 조치로서 칼슘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골형성의 촉진을 초래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뇨는 인간의 건강유지, 질병의 완화에 중요한 것이다. 현재는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종(浮腫)의 치료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부종은 여러 요인으로 수분이 몸에 차 「부어오름」이 생기는 것으로, 다리, 얼굴의 부어오름, 복부에 물이 차는 「복수(腹水)」, 폐에 물이 차는 「폐수종(肺水腫)」등이 있다.
「복수」는 간경변(肝硬變) 등 심각한 간장질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폐수종」은 심부전(心不全) 등에서, 심장의 움직임이 저하되어 혈액순환이 악화되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신장질환에 있어서는 신증(nephrosis)에 의한 얼굴, 눈꺼풀의 부어오름, 부기라고 하는 증상으로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치료약은 「루프 이뇨제」, 「티아지드(thiazide)계 강압(降壓) 이뇨제」, 「칼륨유지성 이뇨제」를 들 수 있다.
「루프 이뇨제」는 푸로세미드(furosemide)로 대표되는 것으로, 뇨세관(尿細管)의 염분과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티아지드계 강압 이뇨제」도 동일한 작용이지만, 이뇨효과를 높이는 것에 의한 혈압 강하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칼륨유지성 이뇨제」는 칼륨농도를 유지한 채 이뇨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저칼륨혈증」을 억제하는 기능도 기대된다. 이 중, 스피로노락톤(spironolactone)은 항이뇨 호르몬의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져, 이뇨효과는 강하지 않지만 간경변, 신증, 심부전 등에 동반되는 이차성 알도스테론증에 의한 부종 개선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뇨제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서 「전해질 이상(異常)」이 지적되고 있다. 「루프 이뇨제」나 「티아지드계 강압제」는 저칼륨혈증이 문제가 된다. 또한, 반대로 「칼륨유지성 이뇨제」의 경우는 고칼륨혈증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미네랄 밸런스의 균형이 붕괴되는 것은 이뇨제의 숙명으로 되어 있다. 저미네랄상태의 경우, 권태감, 근력저하, 변비, 부정맥(不整脈)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고미네랄상태의 경우, 권태감, 부정맥, 심계항진(palpitation), 숨참, 손발 저림, 불안감, 이상언동(異常言動) 등이라고 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이와 같이 이뇨제에 있어서 보이는 미네랄 밸런스를 붕괴시키지 않고, 이뇨를 촉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편으로, 올리고당, 식물섬유 섭취에 의한 변통 개선효과는 주지이다. 그들은 장내 세균을 활성화시켜 증식시키거나, 보수(保水)시킴으로써 장내의 pH를 조정하여, 변에 적절한 수분을 부여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올리고당은 장내 발효에 의해 생산되는 저급 단쇄(短鎖) 지방산에 의한 장의 연동운동(peristalsis)을 촉진하여, 대변의 적절한 경도(硬度), 수분 유지, 배설을 초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소재는 변통 개선소재로서 실용화되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장제(整腸劑)(일본국 특허공개 제(평)02-286058), 정장증진 건강식품(일본국 특허공개 제(소)63-63366)에서 올리고당의 정장작용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널리 변통 개선효과가 알려져 있는 올리고당은 장내 세균에 의해 자화(utilization)됨으로써 장내 환경을 정돈하여, 변성(便性)에 영향을 주어 배변에 기여하는 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내 세균에 자화되기 어려운 난자화성 당류의 변통 개선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이러한 난자화성 올리고당인 DFA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변통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우식은 산생산균(酸生産菌)이라 불리는 우식 유발작용을 갖는 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세균감염증의 일종이라고 되어 있다. 이 설을 토대로 하는 우식 발생의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다.
먼저, 우식 유발작용을 갖는 원인균인 구강 연쇄구균(連鎖球菌),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및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가 생산하는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라고 하는 효소가, 입안의 수크로오스를 기질로 하여 불수용성 글루칸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및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의 균체는, 생성된 글루칸에 의해 균 표면에 부착되어 균괴(菌塊)(치구(齒垢))를 형성한다. 이 치구 중에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및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를 비롯하여 여러 미생물이 공생, 번식하고 있지만, 이들 미생물의 수크로오스의 대사에 의해 유기산이 생산되고, 이 유기산의 작용으로 치아 표면의 pH가 저하되어 에나멜질 표면에 탈회(脫灰)가 생겨 우식이 발생하고 진행된다. 또한, 치구 형성은 우식 외에 치주병이나 구취의 원인으로도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우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우식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으로는 이하의 대책을 취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1) 우식 유발세균에 의한 유기산의 생산을 방지한다.
(2) 치구형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것 중에서 수크로오스로 바뀌는 당류로서 우식유발 억제작용을 갖는 감미료(甘味料)로서, 크실리톨(xylitol)(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2875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53549), 파라티니트(palatinit)(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281550) 등의 개발이 행해져, 우식 유발세균에 의한 유기산의 생산이나 치구형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명확해졌다. 당알코올은 고농도에서만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량 섭취에 의해 연변(軟便)을 유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항우식제로서 차(茶)성분인 폴리페놀이 보고되어 이용되고 있지만(S. Sakanaka 등, Fragnance Journal, 11권, 42-49페이지, 1990), 폴리페놀의 이용도 또한 미각의 문제가 있어, 용도는 제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우식 유발세균의 유기산의 생산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 DFA는 저농도로 칼슘흡수를 항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43438). 그러나, 구강내의 우식 유발세균에 이용되어 유기산의 발생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해져 있지 않다. 또한, 우식유발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는 개시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디프룩토오스 무수물(DFA)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DFA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흡수 촉진용도, 골형성 촉진용도, 이뇨(利尿) 촉진용도, 변통(便通) 개선용도 및 우식(decay)의 억제용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제1 목적은 이하 제1군의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1.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 흡수촉진 조성물.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제2 목적은 이하 제2군의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4.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성 촉진용 경구 조성물.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추가로 칼슘, 마그네슘, 인, 이소플라본, 비타민 K 및 비타민 D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상기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조성물.
7. 상기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인 조성물.
8.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의 골형성 촉진용 경구 조성물로서의 사용.
상기 제3 목적은 이하 제3군의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9.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뇨효과를 갖는 경구용 조성물.
10.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뇨제.
상기 제4 목적은 이하 제4군의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11.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및/또는 멜리비오스(melibios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통개선 조성물.
12. 상기 제11항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에 의한 변통개선 방법.
상기 제5 목적은 이하 제5군의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13.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식유발 억제작용 조성물.
14. 상기 제13항에 있어서, 추가로 크실리톨(xylitol), 말티톨(maltitol), 파라티니트(palatinit),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파라티노오스(palatinose), 파노오스올리고당(panose oligosaccharide), 락티톨(lact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커플링 슈가(coupling sugar) 및 이소말토올리고당(isomalto-oligosaccharide)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상기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구강용 조성물인 조성물.
16. 상기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조성물.
17. 상기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 또는 사료인 조성물.
18.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의 우식유발 억제작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제1군의 발명에 의하면, DFA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Mg, Zn 또는 Cu 흡수 촉진효과가 나타나, 이들 미네랄의 체내로의 흡수를 안전하고 또한 대폭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군의 발명에 의하면 골형성을 대폭으로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군의 발명에 의하면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이뇨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제4군의 발명에 의하면 변성이 개선되어 배설에 동반되는 건강악화를 개선할 수 있다.
제5군의 발명에 의하면 우식을 대폭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공장(空腸), 회장(回腸), 맹장(盲腸) 및 결장(結腸)에 있어서의 DFAIII의 마그네슘 흡수촉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공장, 회장, 맹장 및 결장에 있어서의 DFAIII의 아연 흡수촉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도는 공장, 회장, 맹장 및 결장에 있어서의 DFAIII의 구리 흡수촉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도는 DFAIII 3 g과 젖산칼슘 0.77 g, 플라세보(placebo)(젖산칼슘) 0.77 g을 1일 3회, 1주일 섭취시킨 전후의 혈청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DFAIII 1 g과 탄산칼슘 0.25 g, 플라세보(탄산칼슘) 0.25 g을 1일 3회, 2주일 섭취시킨 전후의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는 배양한 우식원인 세균에 DFAIII, 소르비톨, 파라티노오스, 크실리톨, 수크로오스를 각각 가하여 경시적으로 반응액의 pH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는 배양한 우식원인 세균에 DFAIII 또는 파라티노오스만을 가한 경우와, DFAIII와 파라티노오스 양쪽을 가한 경우의 경시적인 반응액의 pH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말하는 DFA란 2개의 프룩토오스의 환원말단(還元末端)이, 서로 한쪽의 환원말단 이외의 수산기에 결합한 고리형상 이당(disaccharide)이다. 종래, 캐러멜, 봉밀(蜂蜜) 등에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었지만, 공업적으로는 이눌린(inulin)을 이눌린 분해효소, 예를 들면 이눌리나아제(EC 3.2.1.7), 이눌라아제(EC 2.4.1.93)나, 프룩토오스 6~8 분자를 절단하여 고리형상으로 하는 CFT 아제 등을 생산하는 미생물, 예를 들면 Arthrobacter sp. H65-7주, Arthrobacter sp. AHU1753주에 의해 이눌린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두개의 프룩토오스 결합양식의 차이에 의해 유도체가 5종류 존재하여, 각각 DFAI, DFAII, DFAIII, DFAIV, DFAV로 칭하여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DFA란 그들 모두를 말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DFAIII, DFAIV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DFAIII이다. 이유는 공업적 생산의 효율, 정제한 후의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DFAI, DFAII, DFAIV는 이당류로서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사실과 흡습(吸濕)·조해(潮解)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이 있어, 실용화할 때에 핸들링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DFA는 상기한 제조방법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DFA에 멜리비오스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멜리비오스 단독으로 투여해도 된다.
멜리비오스란 α갈락토실 결합을 갖는 천연당류의 일종으로, 결합양식은 α1-6 결합에 의해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이당류이다. 천연계에는 대두(大豆), 근채(根菜) 중에 포함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제비꽃, 연꽃 등의 봉밀 중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업적인 제조방법의 대표예는 사탕무(beet)로부터의 설탕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당밀(廢糖蜜)을 냉각하여 라피노오스(raffinose)를 석출(析出) 분리한 후, 빵효모로 발효시켜 라피노오스의 구성당류인 프룩토오스를 자화시키는 방법이다. 그것 이외에 봉밀 등 천연물로부터 추출 단리(單離)하는 방법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DFA 및 멜리비오스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 및 음식품(동물용 사료를 포함한다)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 음식품으로서는 조제분유, 경장 영양제(enteral feeding products), 건강 음식품, 사료 첨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경구투여 가능한 형태라면 제한은 없다. DF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조성물 중에 0.1~99 중량%이다.
또한,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 흡수촉진 조성물에 있어서는, 다른 미네랄 흡수촉진 작용을 갖는 소재, 예를 들면 말티톨, 락토오스, 프룩토올리고당, 카세인포스포펩티드(casein phosphopeptide;CPP), 맥주효모 세포벽과 병용해도 된다.
골형성 촉진용 경구 조성물에 있어서는, 추가로 골형성 촉진작용을 갖는다는 칼슘, 마그네슘, 인, 이소플라본, 비타민 K 및 비타민 D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음식품 유형의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DFA 또는 그 가공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식품 내지 식품성분과 병용하여 적절히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가공품이란 해당 식품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으로, 명백한 식품(협의의 식품)으로부터 정제(錠劑) 등까지 넓게 의미한다. 또한, 가공시에는 열안정성, 산(酸)안정성 모두 높기 때문에, 통상의 식품 가공방법을 아무런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상, 페이스트상, 액상, 현탁상 등 특단의 한정은 받지 않아,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酸味料), 비타민제, 기타 드링크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사용하여 건강 드링크로 제제화하는 것도 예시할 수 있다.
의약품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유효성분은 여러 형태로 투여된다. 그 투여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등에 의한 경구투여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제제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주약(主藥)에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교취제(矯味矯臭劑), 용해 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의 의약의 제제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기지의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증상, 연령, 체중, 투여방법 및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흡수 촉진용 또는 골형성 촉진용인 경우는, 통상은 성인에 대해 1일당 정맥투여의 경우는 체중 1 kg당 0.01 mg~1000 mg을 투여할 수 있고, 근육투여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0.01 mg~1000 mg을 투여할 수 있으며, 또한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0.5 mg~2000 mg, 바람직하게는 1 mg~1000 mg 범위에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이뇨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1일당 1 g~10 g이다. 1 g 이하이면 효과가 보이지 않고, 10 g 이상이면 연변화(軟便化) 등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다만, 연변화는 개인에 따라 체질적인 영향, 보통의 식생활 등의 영향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10 g 이상의 섭취가 엄금(嚴禁)은 아니고, 그 개인의 상황을 보면서 가감(加減)하는 것이 필요하다. 어느 경우에도, DFA는 안전한 당질(糖質)식품이기 때문에 독성에 관한 문제는 없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뇨제와 같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알레르기, 의식장애, 재생불량성 빈혈, 피하 출혈 등의 심각한 부작용 및 간장애, 발진 등의 주의를 요하는 부작용 등도 발생하는 경우는 없어 안전하게 이뇨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변통 개선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 DFA를 직접 음용(飮用), 또는 함유시킨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인간에게 있어서 배변을 개선할 수 있다. 섭취량은 3당류의 일반적인 올리고당과 동일한 정도, 1 g~10 g, 바람직하게는 3 g~5 g 정도를 기준으로 섭취하면 된다. 또한, 섭취형태는 특별히 한정 없이 그대로 물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식품으로 가공하여 섭취하면 된다. DFA는 청량(淸凉)한 단맛을 갖는 것이 특징으로, 그대로 음용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 없이 실행 가능하다. 또 식품에배합하는 경우도 열안정성, 산안정성은 높아 아무런 문제 없이 통상의 식품 가공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이당류는 음용한 경우, 장내 세균, 특히 비피더스균에 의해 일부 자화되거나, 대부분이 자화되지 않고 혈중으로 이행(移行)하여 간장에서 분해 대사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런데, 오스테오칼신은 분화된 골아세포(骨芽細胞)에 의해 생산·분비되는 기질단백(基質蛋白)으로, 골형성의 촉진에 동반하여 그 혈중 농도는 상승하는 것은 공지라서 골형성을 특이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임상의 현장에 있어서는 골다공증의 골대사 동태, 골량감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혈중 및 뇨중의 골형성 마커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체내에 섭취된 칼슘은 장관(腸管)으로부터 혈중으로 이행된 후, 골칼슘으로서 확실히 흡수·고정되어 최종적으로 골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DFA 함유 경구 조성물을 칼슘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골형성 마커의 하나인 혈중 오스테오칼신 농도가 상승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 사실은, DFA가 칼슘 흡수를 눈에 띄게 촉진하여 칼슘의 생체내 이용률을 향상시켜, 우수한 골형성 촉진작용을 갖는 경구 조성물이 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DFA만을 섭취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오스테오칼신 농도 상승이 인정되어 골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결과는 DFA 함유 조성물이 칼슘흡수 촉진작용을 초래하는 것에 더하여, 골형성 촉진에 관여하는 유용한 조성물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DFA는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이당류이지만, 현단계에서 알려져 있는 최대 특징은 미네랄 흡수기능을 갖는 것이다. DFA는 칼슘, 칼륨 등에 대해 흡수 촉진효과를 갖는다. 또한, 그 흡수 촉진효과는 통상 당류의 경우, 장내 세균을 활성화시켜, 장내의 pH를 저하시킴으로써 미네랄을 용해시켜, 흡수하기 쉽게 하는 작용 메커니즘이지만, DFA는 그러한 작용 메커니즘 이외에 장관의 폐쇄소대(tight junction)을 경유하여 체내에 미네랄을 삽입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이 작용은 미네랄이 결핍되어 있는 상태일 때, 보다 생체의 흡수기능을 높이고, 더욱이 미네랄이 과잉일 때는 생체의 흡수기능이 억제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자는 이러한 미네랄 흡수기능을 갖는 DFA가 이뇨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한 이유에 의해 기존의 이뇨제가 갖는 저미네랄 상태, 또는 고미네랄 상태를 유발시키지 않고 이뇨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DFA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뇨효과를 기대하는 사람에게 경구 또는 비경구로 섭취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섭취할 수 있는 것이라면 최종 형태의 제한은 없다.
DFA가 대변 배설을 개선하는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장내 상층부에 있어서의 비피더스균 증식, 장세포 간극(間隙)으로의 영향, 이온구배(勾配)의 영향에 의한 수분흡수로의 영향 등이 상정(想定)된다. 또한, 매우 조기에 대변의 배설 개선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장내 세균에 의한 자화에 의한 영향 뿐 아니라, 장내 세포, 폐쇄소대를 경유한 세포 형태변화에 기인하는 작용도 상정된다. 더욱이, 특정 장내 세균에 의한 자화성도 기능하고 있는 것이 상정된다.
다음으로, 우식 억제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는 치아로의 강한 부착능과 산생산능을 갖기 때문에초기 우식의 원인균으로 되어 있는 것은 공지이다. 통상 이들 원인균에 의한 우식은 수크로오스의 존재가 우식유발의 열쇠가 된다. 즉, 수크로오스로부터 다량의 유기산을 생성하여 구강내의 pH를 저하시켜, 그 결과 에나멜질 표면에 탈회가 발생하여 우식이 발생하거나 또는 진행한다. 이들 원인균의 수크로오스로부터의 산생산능을 억제하는 것은 우식 예방의 하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DFA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균을 배양한 바, 산의 생성이 감소하고 pH의 저하가 억제되었다. 더욱이 우식을 예방하는 효과는 인정되지만, 다량 섭취하면 설사가 발생하는 것이 지적되어 있는 당알코올을 DFA와 함께 소량 병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사실은, 본 발명의 DFA 함유 조성물이 우식 원인균의 산생산을 억제하여, 우수한 우식 억제작용을 갖는 조성물로 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DFA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강용 조성물, 의약품 및 음식품(동물용 사료를 포함한다)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인간 또는 동물의 구강용 조성물로서는 가루 치약제(tooth powder), 윤성 치약제(moist tooth-cleansing agent), 반죽 치약제(toothpaste), 액상 치약제(fluid tooth-cleansing agent), 액체 치약제(liquid tooth-cleansing agent), 세구제(mouthwash), 구강 청량제(mouth-refreshing rins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 음식품으로서는 조제분유, 경장 영양제, 건강 음식품, 사료 첨가물, 과자류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경구투여 가능한 형태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DF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조성물 중에 0.1~99% 함유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우식유발 억제작용을 갖는다고 하는 크실리톨, 말티톨, 파라티니트, 만니톨, 소르비톨, 파라티노오스, 파노오스올리고당, 락티톨, 에리스리톨, 커플링 슈거 및 이소말토올리고당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구강용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성분을 제형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마제(硏磨劑), 습윤제(濕潤劑), 증점제(增粘劑), 계면활성제, 향료, 감미료, 착색료, 방부제, pH 조정제 및 각종 약효성분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규산지르코늄, 무수규산, 침강성 실리카, 실리카겔, 탄산칼슘, 피로린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인산칼슘, 인산삼칼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플루오로아파타이트, 할로겐화아파타이트, 탄산마그네슘, 인산마그네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불용성 메타인산칼슘, 산화티탄, 제올라이트, 합성 수지계 연마제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소르비톨, 말티톨, 크실리톨, 락티톨과 같은 당알코올,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다가(多價)알코올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caragenan), 알긴산나트륨 등의 알길산 알칼리금속염, 듀란검(duran gum), 산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카라야검(karaya gum), 비검(bee gum), 아라비아검 등의 고무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카겔, 알루미늄실리카겔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킬 황산염, 알킬 벤젠설폰산염,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락토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라우로일 사르코신염(lauroyl sarcosinate), N-아실글루타민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2-알킬-N-카르복시-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륨 베타인, N-아실타우린염, 알킬롤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硬化) 피마자유 또는 그의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멘톨, 페퍼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리 오일(eucalyptus oil), 박하 오일, 아카시아 오일, 회향 오일(fennel oil), 비터 아몬드 오일(bitter almond oil), 칼라무스 오일(calamus oil), 캠퍼 오일(camphor oil), 계피나무 오일, 계피 오일, 계피잎 오일, 장미 오일, 백단 오일(sandal wood oil), 정향 오일(clove oil), 허브 오일, 바나나 오일, 사과 오일, 살리실산 메틸, 카르본(carvone), 아네톨(anethol), 리모넨(limonene) 등의 테르펜류, 조합항료 등을 들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크실리톨,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아추출물, 레바우디오사이드(rebaudioside), 파라메톡시 신나믹 알데히드, 네오헤스페리딜 디히드록시칼콘(neohesperidyl dihydroxychalcone), 페릴라틴(perillartine), 타우마틴(thaumatin), 글리시진,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모노글루코시드, 헤르난둘신(hernandulcin), 트레할로오스, 아스파르탐(aspartame), 소르비트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청색 1호, 황색 4호 등의 법정 색소, 이산화티탄, 캐러멜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안식향산염,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구연산, 사과산, 인산, 초산 등의 유기산 및 그의 염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슘, 탄산수소칼슘,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칼륨나트륨, 탄산리튬, 요소, 아미노산올리고머,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칼슘, 황산칼슘, 글리세로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등의 무기성 칼슘, 젖산칼슘, 초산칼슘, 말론산칼슘, 구연산칼슘, 글리콘산칼슘, 글리세린산칼슘, 타르타르산칼슘, 피트산(phytic acid)칼슘 등의 유기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약효성분으로서는 알란토인, 초산 토코페롤, 이소프로필메틸페놀, 글리시리진산류, 글리틸 레틴산류(glytyl retinoates), 덱스트라아제(dextrase), 클로로필,구리 클로로필나트륨, 후라보노이드,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뮤타나아제(mutanase), 리소자임,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용균(溶菌)효소,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 엡실론아미노카프론산, 알루미늄 알란토인(allantoine), 알루미늄클로로히드록시 알란토인, 디히드로콜레스타놀(dihydrocholestanol), 비사보롤(bisabolol),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수용성 무기인산화합물, 플루오르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플루오르화주석, 플루오르화칼륨,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플루오르화알루미늄, 플루오르화은, 플루오르화수소산헥실아민, 플루오르화수소산데카놀아민, 플루오르화수소산옥타데세닐아민 등의 플루오르화물, 에데트산(edetic acid), 구연산아연, 염화아연, 글루콘산구리,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염화구리, 폴리인산염, 피로린산염, 비타민 A, C, E, B6, 판토텐산염 등의 비타민류, 글리신, 리신, 히스티딘 등의 아미노산류, 염화나트륨, 중조(重曹), 젖산알루미늄, 질산칼륨, 사코시네이트(sarcosinate), 카테킨류 등의 폴리페놀화합물류, 생약 등을 들 수 있다.
기타로서 에탄올, 물, 실리콘성 물질, 당알코올, 천연추출물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에탄올의 배합량은 5~1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과 함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배합하여 각종 제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음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DFA 또는 그의 가공품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식품 내지 식품성분과 병용하여 적절히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배합해서사용할 수 있다. 가공품이란 해당 식품을 포함하는 가공식품으로, 명백한 식품(협의의 식품)으로부터 정제 등까지를 넓게 의미한다. 또한, 가공에 있어서는 열안정성, 산안정성 모두 높기 때문에 통상의 식품가공방법을 아무런 문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상, 페이스트상, 액상, 현탁상 등 특단의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제, 기타 드링크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사용한 건강 드링크나 정과(錠菓) 유사 조성물로 제제화하는 것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과 유사 조성물은 추잉검, 캔디, 정과, 젤리, 구미 등의 과자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정과 유사 조성물은 DFA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원료성분을 교반기(kneader)를 사용하여 교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맥아당, 환원 물엿과 같은 당감미료, 라한과(羅漢果) 추출물, 아스파르탐이나 스테비아사이드와 같은 고감미도 감미료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약품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유효성분은 여러 형태로 투여된다. 그 투여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등에 의한 경구투여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제제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주약에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교취제, 용해 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의 의약의 제제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기지의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증상, 연령, 체중, 투여방법 및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성인에 대해 1일당 정맥투여의 경우는 체중 1 kg당 0.01 mg~1000 mg을 투여할 수 있고, 근육투여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0.01 mg~1000 mg을 투여할 수 있으며, 또한경구투여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0.5 mg~2000 mg, 바람직하게는 1 mg~1000 mg 범위에서 투여하는 것이 좋다.
DFA가 구강내 세균에 의해 대사되지 않고, 그 결과 유기산을 생산하지 않는 것은 지금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아,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신규한 사실이다.
또 본 유효성분인 DFA는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없다. DFAIII의 마우스를 사용한 10일간의 급성 독성시험의 결과, 1000 mg/kg의 경구투여에서도 사망예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1
Ussing chamber에 의한 DFAIII의 마그네슘흡수 촉진작용을 이하에 의해 확인하였다.
시험에는 7~8주령(週齡)의 Sprague-Dawley계 수컷 랫트(평균체중 약 260 g)를 사용하였다. 랫트는 6주령에 구입하여(일본 SLC주식회사), 실험일까지 시판의 고형(固形) 사료(CE-2, 일본 클리어주식회사)로 사육하였다.
실험 당일,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을 랫트의 복강 내에 투여하여, 마취하에서 소장(공장과 회장) 및 대장(맹장과 결장)을 적출하였다. 각각 장관의 내용물을 제거하여 전개(展開) 후, 장막(漿膜)과 평활근층을 박리하여 점막과 점막하 조직으로 된 표본을 제작하여 Ussing chamber(실효면적 0.67 ㎠)에 장착하였다.
한편, 점막측 완충액 및 장막측 완충액을 각각 준비하였다. 점막측 완충액으로서는 다음의 조성을 기본으로 하여, Mg 흡수속도의 측정시에 이온농도를 0.625mM으로 하고, 여기에 DFAIII를 각각 0, 1, 10, 100 mM 첨가한 완충액을 작성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DFAIII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0 mM)를 대조로 하였다.
점막측 완충액:
(30 mM HEPES 완충액, pH 7.4)
NaCl 125 mM
KCl 14 mM
L-Glutamine 6 mM
MgCl2·6H2O 0.625 mM
HEPES 30 mM
DFAIII 0~100 mM
장막측 완충액으로서는 다음의 조성을 기본으로 하여, Mg 흡수속도의 측정시에 이온농도를 1 mM으로 하였다.
장막측 완충액:
(30 mM HEPES 완충액, pH 7.4)
NaCl 125 mM
KCl 14 mM
L-Glutamine 6 mM
MgCl2·6H2O 1 mM
HEPES 30 mM
챔버 시스템 전체를 37℃로 가온(加溫)하여, 점막측 및 장막측의 용액에 100% O2를 통기(通氣)하면서 30분간의 인큐베이션을 행하였다.
인큐베이션 종료 후에 장막측의 용액을 회수하여 용액 중의 Mg 농도를 시판의 키트(kit)(와코쥰야쿠)로 측정하였다. Mg 농도의 증가량으로부터 점막측으로부터 장막측으로의 매분당 정미(正味)의 미네랄 흡수속도를 구하여, 장관의 단위면적당 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각 군 모두 6마리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낸다. DFAIII 농도의 증가와 함께 명확하게 Mg 흡수가 높아져 있다.
실시예 2
점막측 완충액에 있어서 MgCl2·6H2O 1 mM 대신에 ZnSO4·7H2O 0.0125 mM을 사용하여, Zn 흡수속도의 측정시에 이온농도를 0.0125 mM으로 한 것 및 장막측 완충액으로서 ZnSO4·7H2O 1 mM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아연 흡수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제2도에 나타낸다. DFAIII 농도의 증가와 함께 명확히 Zn 흡수가 높아져 있다.
실시예 3
점막측 완충액에 있어서 MgCl2·6H2O 1 mM 대신에 CuCl2·2H2O 0.0125 mM을 사용하여, Cu 흡수속도의 측정시에 이온농도를 0.0125 mM으로 한 것 및 장막측 완충액으로서 CuCl2·2H2O 1 mM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Cu 흡수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제3도에 나타낸다. DFAIII 농도의 증가와 함께 명확히 Cu 흡수가 높아져 있다.
실시예 4
DFA의 인간 골형성에 관한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건강한 성인남성 6명에게 DFAIII 3 g과 젖산칼슘 0.77 g, 플라세보(젖산칼슘) 0.77 g을 1일 3회, 1주일 섭취시켜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추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제4도에 나타낸다. 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DFA를 칼슘과 함께 섭취한 쪽이 칼슘만의 섭취 보다도 골형성의 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DFA의 인간 골형성에 관한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건강한 성인남성 14명에게 DFAIII 1 g과 탄산칼슘 0.25 g, 플라세보(탄산칼슘) 0.25 g을 1일 3회, 2주일 섭취시켜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추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제5도에 나타낸다. 그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DFA를 칼슘과 함께 섭취한 쪽이 칼슘만의 섭취 보다도 골형성의 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인간의 골형성에 관한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통상의 식사를 하는 건강한 성인남녀 23명에게 DFAIII 3 g을 1일 3회, 2주일 섭취시켜 혈청 오스테오칼신 농도의 추이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DFA를 섭취함으로써 골형성의 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DFAIII를 사용한 이뇨시험]
DFAIII를 조립(造粒)하여 입자형상의 식품으로 하였다. 부형제 없이 조립 가능하였기 때문에 DFA 함유량은 100%이다. 건강한 정상인 남성 6명에게 시험 제1기로서 이 입자형상 식품을 1 g/1일, 물과 함께 섭취시키는 것을 1주일 계속하였다. 이어서, 1주일의 휴약기간(washout period)을 마련한 후, 시험 제2기로서 동일 건강한 정상인 6명에게 설탕을 1 g/1일, 물과 함께 1주일 계속해서 섭취시켰다.
시험기간 중에는 전원 동일 환경에서 생활하게 하여 운동강도를 똑같이 하고, 또한 동일한 식사, 음수(飮水)량으로 하였다. 시험기간 중의 배뇨를 전량 회수해서 그 양을 측정하여 1일당 배뇨량의 평균을 구해 양 시험기간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 제1기의 뇨량/일의 평균값은, 설탕을 섭취한 시험 제2기의 뇨량/일의 평균값 보다도 동일 피험자 사이에서 명확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함께 행한 혈액 생화학적 검사결과, 즉 간기능 검사값, 신장기능 검사값, 혈압값, 혈구수값, 총 Chol(콜레스테롤값), TG(트리글리세리드값)는 시험 제1기, 제2기 모두 변동은 없고, 자각 소견에 있어서도 아무런 이상은 보고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인간의 배변에 관한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건강하지만 배변이 적거나 또는 변비 경향이 있다고 자각하고 있는 성인 50명에게 DFAIII 3 g, 멜리비오스 3 g, 플라세보(전분) 3 g을 1일 1회, 1개월 섭취시켰다. 배변상황을 기록하여 변성, 배설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4에 나타낸다.
주) 표 중의 변비란, 섭취전에 변비의 자각이 있었던 자가 섭취후에 그 상태가 더 악화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9
[DFA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에 의한 산생산의 억제효과]
이화학연구소 미생물계 총보존시설로부터 입수한 우식원인 세균(Streptococcus mutans) MT8148 및 6715주는 각각 Brain Heart Infusion broth 배지에서 하룻밤 배양 후, 원심분리에 의해 균체를 모았다. 5 mM의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H 7.0)로 두번 세정한 후, 동일 생리식염수로 부유(浮游)시켰다. 이 농후(濃厚) 균액 2 mL에 5%의 DFAIII, 소르비톨, 파라티노오스, 크실리톨, 수크로오스용액을 각각 10 mL를 가하였다. 바로 37℃ 온도하에서 반응시켜 경시적으로 반응액 pH의 추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크로오스가 경시적으로 명료한 pH의 저하를 나타낸 것에 대해, DFAIII는 비우식작용을 갖는 크실리톨, 소르비톨, 파라티노오스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산의 생산을 나타내지 않았다. MT6715주도 동일한 결과였다. 제6도에 MT8148주를 사용한 경시적인 pH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DFA와 당알코올에 의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에 의한 산생산의 억제효과]
이화학연구소 미생물계 총보존시설로부터 입수한 우식원인 세균(Streptococcus mutans) MT8148주 및 6715주는 각각 Brain Heart Infusion broth 배지에서 하룻밤 배양 후, 원심분리에 의해 균체를 모았다. 5 mM의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H 7.0)로 두번 세정한 후, 동 생리식염수로 부유시켰다. 이 농후 균액 2 mL에 1% 파라티노오스용액, 1% DFAIII, 1% 파라티노오스에 1% DFAIII를 가한 용액을 각각 10 mL를 가하였다. 바로 37℃ 온도하에서 반응시켜 경시적으로 반응액 pH의 추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파라티노오스는 산의 생산을 나타내었지만, 1% DFAIII, 1% 파라티노오스에 1% DFAIII를 가한 용액에서는 산을 대부분 생산하지 않았다. MT6715주도 동일한 결과였다. 제7도에 MT8148주를 사용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이하에 조성물을 조정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1) 반죽 치약제
탄산칼슘 30.00 질량%
글리세린 30.00
무수 규산 10.00
DFAIII 2.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0
향료 0.01
정제수 나머지
합계 100.00 질량%
[제법] 상기 조성을 토대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반죽 치약제를 조정하였다.
(2) 세구제
소르비톨 30.00 질량%
에탄올 8.00
DFAIII 0.10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1.00
정제수 나머지
합계 100.00 질량%
[제법] 상기 조성을 토대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세구제를 조정하였다.
(3) 정과
DFAII 20.00 질량%
크실리톨 5.00
파라티노오스 5.00
에리스리톨 5.00
락토오스 60.00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20
정제수 나머지
합계 100.00 질량%
[제법] 일반적인 방법에 준한다.
(4) 추잉검
껌베이스 20.00 질량%
크실리톨 40.00
파라티노오스 20.00
에리스리톨 9.00
DFAIII 10.00
연화제 1.00
합계 100.00 질량%
[제법] 일반적인 방법에 준한다.
기탁된 생물재료로의 언급
Arthrobacter sp.AHU1753주는 다음의 기관에 기탁되어 있다.
일본국 이바라키현 쓰쿠바시 히가시 1-1 중앙 제6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타번호 FERM BP-8296
기탁일 2003년 2월 18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흡수 촉진용도, 골형성 촉진용도, 이뇨 촉진용도, 변통 개선용도 및 우식 억제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18)

  1.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아연 또는 구리 흡수촉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형성 촉진용 경구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추가로 칼슘, 마그네슘, 인, 이소플라본, 비타민 K 및 비타민 D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조성물.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인 조성물.
  8.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의 골형성 촉진용 경구 조성물로서의 사용.
  9.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뇨효과를 갖는 경구용 조성물.
  10.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뇨제.
  11. 디프룩토오스 무수물 및/또는 멜리비오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통개선 조성물.
  12. 제11항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것에 의한 변통개선 방법.
  13.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식 억제작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추가로 크실리톨, 말티톨, 파라티니트, 만니톨, 소르비톨, 파라티노오스, 파노오스올리고당, 락티톨, 에리스리톨, 커플링 슈가 및 이소말토올리고당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구강용 조성물인 조성물.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의약품인 조성물.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인간 또는 동물용 음식품 또는 사료인 조성물.
  18. 디프룩토오스 무수물의 우식 억제작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KR1020047016983A 2002-04-26 2003-04-24 마그네슘, 아연, 구리 흡수 촉진제 KR10099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6021 2002-04-26
JP2002126021A JP4183060B2 (ja) 2002-04-26 2002-04-26 利尿剤
JP2002302983A JP4236441B2 (ja) 2002-10-17 2002-10-17 便通改善剤
JPJP-P-2002-00302983 2002-10-17
JP2002314001A JP4183066B2 (ja) 2002-10-29 2002-10-29 マグネシウム、亜鉛、銅吸収亢進剤
JPJP-P-2002-00314001 2002-10-29
JPJP-P-2002-00326212 2002-11-11
JP2002326212A JP2004161619A (ja) 2002-11-11 2002-11-11 骨形成促進組成物
JPJP-P-2003-00079129 2003-03-20
JP2003079129A JP2004284985A (ja) 2003-03-20 2003-03-20 う蝕誘発抑制作用組成物
PCT/JP2003/005245 WO2003090759A1 (fr) 2002-04-26 2003-04-24 Composition contenant du difructose anhydride et utilisation de celle-ci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449A Division KR100993963B1 (ko) 2002-04-26 2003-04-24 우식억제제
KR1020107009447A Division KR100993978B1 (ko) 2002-04-26 2003-04-24 변통개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367A true KR20040106367A (ko) 2004-12-17
KR100994032B1 KR100994032B1 (ko) 2010-11-11

Family

ID=2927385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449A KR100993963B1 (ko) 2002-04-26 2003-04-24 우식억제제
KR1020107009447A KR100993978B1 (ko) 2002-04-26 2003-04-24 변통개선제
KR1020047016983A KR100994032B1 (ko) 2002-04-26 2003-04-24 마그네슘, 아연, 구리 흡수 촉진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449A KR100993963B1 (ko) 2002-04-26 2003-04-24 우식억제제
KR1020107009447A KR100993978B1 (ko) 2002-04-26 2003-04-24 변통개선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754701B2 (ko)
EP (3) EP2446889A1 (ko)
KR (3) KR100993963B1 (ko)
CN (1) CN100534438C (ko)
AU (1) AU2003231486A1 (ko)
WO (1) WO2003090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017B2 (ja) * 2004-02-16 2011-01-1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ダイフラクトースアンハイドライド含有経口組成物
CN101027063B (zh) * 2004-08-13 2014-03-05 日本甜菜制糖株式会社 二果糖酐在制备药物中的新用途
JP4723849B2 (ja) * 2004-11-17 2011-07-1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ダイフラクトースアンハイドライド含有経口組成物
JP2006193459A (ja) * 2005-01-12 2006-07-27 Fancl Corp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下用経口組成物
JP4759289B2 (ja) * 2005-03-02 2011-08-31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5008910B2 (ja) * 2005-08-01 2012-08-2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JP5285852B2 (ja) * 2006-12-28 2013-09-1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Dfaiiiの製造方法及びdfaiii高含有植物エキス
EA019794B1 (ru) 2008-07-09 2014-06-30 Мелальюка, Инк. Комплекс для доставки млекопитающему минерала
JP5133373B2 (ja) * 2010-07-05 2013-01-30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ベータグルコシダーゼ活性増強剤及び生理活性配糖体の吸収促進剤
JP5957678B2 (ja) * 2012-02-07 2016-07-27 株式会社サンギ リン酸カルシウム分散組成物
JP2016204323A (ja) * 2015-04-27 2016-12-08 フジ日本精糖株式会社 骨形成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4434A (en) * 1969-08-22 1975-10-21 Hoffmann La Roche Non-cariogenic foods and delicacies containing xylitol as a sugar substitute
JPS6363366A (ja) 1986-09-03 1988-03-19 Iwatani & Co 整腸増進健康食品
JPS63269962A (ja) 1987-04-28 1988-11-08 Natl Food Res Inst 食品素材
JPH01225492A (ja) * 1988-03-07 1989-09-08 Mitsubishi Kasei Corp ジフルクトース・ジアンヒドリド3の製造法
JPH066064B2 (ja) * 1988-05-13 1994-01-26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ジフルクトース・ジアンヒドリドの製造方法
JPH02286058A (ja) 1989-04-28 1990-11-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整腸剤
JPH035788A (ja) 1989-06-01 1991-01-11 Sharp Corp 表示装置駆動用lsi
JP2750767B2 (ja) * 1990-02-21 1998-05-13 雪印乳業株式会社 新規糖アルコール
BE1003826A3 (fr) 1990-02-23 1992-06-23 Raffinerie Tirlemontoise Sa Fructo-oligosaccharides ramifies, procede pour leur obtention et utilisation des produits les contenant.
JPH04218362A (ja) 1990-12-17 1992-08-07 Tamanoisu Kk ガラクトオリゴ糖含有食酢及びその製造法
JPH05168419A (ja) * 1991-06-05 1993-07-02 Mitsubishi Kasei Corp 動物の脂肪低減剤及びこれを用いる動物の飼育方法
US5296244A (en) * 1991-06-19 1994-03-22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aspartame and palatinose oligosaccharide
JP2952439B2 (ja) 1991-11-26 1999-09-27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新規飲食品素材
JP3028258B2 (ja) * 1991-11-26 2000-04-04 株式会社ホーネンコーポレーション α−ガラクトオリゴ糖組成物
JPH05279377A (ja) * 1992-03-31 1993-10-26 Mitsubishi Kasei Corp 新規二糖類化合物及びその製造法
TW271400B (ko) * 1992-07-30 1996-03-01 Pfizer
US6264999B1 (en) * 1993-09-30 2001-07-24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erythritol and method of making
US5700832A (en) 1994-10-19 1997-12-23 Daewon Pharm. Co., Ltd. Antianemic agent containing iron and difructose
JP3678452B2 (ja) 1995-02-10 2005-08-0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剤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681193B2 (ja) 1995-02-10 2005-08-10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イソマルトシル α−イソマルトシド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925190A (en) * 1995-06-06 1999-07-20 The University Of Montana Production of fructose dianhydride products from inulin
US5827526A (en) * 1995-07-11 1998-10-27 Abbott Laboratories Use of indigestible oligosaccharides to prevent gastrointestinal infections and reduce duration of diarrhea in humans
JP3514955B2 (ja) 1997-07-29 2004-04-05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カルシウム吸収亢進組成物
JPH11155520A (ja) * 1997-09-29 1999-06-15 Showa Sangyo Co Ltd 甘味剤等もしくは甘味付与等のための使用、および甘味付与等した飲食品もしくは薬品
JPH11155564A (ja) * 1997-09-29 1999-06-15 Showa Sangyo Co Ltd β−DFA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酵素
JP3689802B2 (ja) 1998-08-06 2005-08-31 株式会社ロッテ 歯牙エナメル質の再石灰化促進剤及び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物
JP2000060541A (ja) 1998-08-27 2000-02-29 Fuyuki Mitsuyama ビフィズス菌増殖促進物質と整腸物質とビフィズス菌製剤
JP3689803B2 (ja) 1998-10-20 2005-08-31 株式会社ロッテ 歯牙エナメル質の再石灰化促進剤及び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物
JP4601091B2 (ja) * 1999-01-13 2010-12-22 日本甜菜製糖株式会社 環状オリゴ糖
JP2000281550A (ja) 1999-03-31 2000-10-10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JP4422819B2 (ja) * 1999-06-21 2010-02-24 株式会社ロッテ 消臭剤、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口腔用組成物並びにトイレタリー製品
JP2002068970A (ja) * 2000-08-25 2002-03-08 Ajinomoto Co Inc 新規な抗う蝕剤及び非う蝕性素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64581B2 (en) 2011-06-21
AU2003231486A8 (en) 2003-11-10
US20100234317A1 (en) 2010-09-16
EP2450044A1 (en) 2012-05-09
EP1504761A4 (en) 2005-08-17
US8492363B2 (en) 2013-07-23
US20060069062A1 (en) 2006-03-30
EP1504761B1 (en) 2013-04-24
KR100993978B1 (ko) 2010-11-11
KR20100049708A (ko) 2010-05-12
EP2446889A1 (en) 2012-05-02
EP1504761A1 (en) 2005-02-09
KR100994032B1 (ko) 2010-11-11
CN1649601A (zh) 2005-08-03
US7754701B2 (en) 2010-07-13
AU2003231486A1 (en) 2003-11-10
WO2003090759A1 (fr) 2003-11-06
CN100534438C (zh) 2009-09-02
KR20100049709A (ko) 2010-05-12
KR100993963B1 (ko) 2010-11-11
US20100233290A1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08B1 (ko) 희소당을 포함하는 비우식성 소재 및 항우식제
US7964581B2 (en) Use of difructose anhydride-containing composition
EP2139466B1 (en) Magnesium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5705898B2 (ja) 肝機能改善剤
JP3749978B2 (ja) 抗骨粗鬆症作用を発揮する骨形成増進組成物
KR20130097537A (ko) 강황, 석창포, 원지의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및 기억력 향상용 조성물
JP4601091B2 (ja) 環状オリゴ糖
CN101468029B (zh) 含双果糖酐的组合物及其用途
Kenny et al. Clinical zinc deficiency during adequate enteral nutrition.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JP4435882B2 (ja) アルコール吸収抑制組成物
KR100520985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JP5305577B2 (ja) 糖尿病性疾患の予防・治療用組成物及び糖尿病性疾患の予防・改善用機能性食品
KR100505764B1 (ko)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N114794469A (zh) 用于抑制黑色素的组合物及其应用和方法
KR20220121946A (ko)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KR101856800B1 (ko) 타액 분비 촉진제
KR20040030361A (ko) 반도 심층수 또는 그 농축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