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946A -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946A
KR20220121946A KR1020210025524A KR20210025524A KR20220121946A KR 20220121946 A KR20220121946 A KR 20220121946A KR 1020210025524 A KR1020210025524 A KR 1020210025524A KR 20210025524 A KR20210025524 A KR 20210025524A KR 20220121946 A KR20220121946 A KR 2022012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eight
xylitol
hyper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정하
장윤희
김지형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02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946A/ko
Priority to CN202210172143.5A priority patent/CN115040546A/zh
Publication of KR2022012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구강 내 염증 억제, 출혈 억제 및 상아세관을 봉쇄하여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현저히 상승된 효과를 가지며, 천연물로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의약품, 의약외품 또는 식품 등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HEALTH OF ORAL ENVIRONMENT COMPRISING GALLNUT EXTRACT AND OR XYLITOL}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시린이 증상은 외부의 자극(온도 변화, 물리적 접촉, 치아의 건조, 젓가락과 같은 물질과 접촉, 달거나 신 음식을 통한 삼투압 자극 등)에 대하여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느껴지는 증상으로, 질환으로서는 대표적으로 지각과민증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각과민증은 충치나 다른 병적인 원인과 별개로 외부 자극에 대해 예리하고, 일시적인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많은 이론들이 치아의 지각과민증을 설명하고 있으나, 확실하게 정립된 단일이론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론은 1964년 Brannstrom의 유체역학 이론이다. 어떤 이유로든 치경부의 법랑질이나 백악질이 소실되면 그 아래 상아질이 노출되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노출된 상아질은 외부로부터 모든 자극을 그대로 치수 내 신경으로 전달하여 똑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평소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며,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지각과민증의 발생 기전은 상아질의 구조와 관계가 깊다. 상아세관이 구강 내 환경과 바로 개통된 상태에서 물리, 화학적 자극 및 열자극 등이 가해지면, 상아세관 내에 있는 액체가 안팎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속도는 상당히 빠르고 액체가 이동하면서 생기는 압력이 치수 내에 있는 세포에 영향을 주어, 세포가 늘어나거나 압축되면서, 세포에 접촉하고 있는 신경이 변화를 감지하여 자극을 뇌로 전달하여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지각과민증은 성인의 8-57%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지만, 현재 지각과민증을 바로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제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치아는 특성상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진통제나 소염제 등의 복용은 시린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현재 시행 중인 치료는 작용원리에 따라 총 두 가지로 신경차단제를 이용해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의 신호전달을 방해하는 방법과 노출된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다양한 형태의 치과재료를 이용해 폐쇄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신경차단제는 통증차단의 효과가 낮을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반복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아세관 폐쇄 방법은 노출된 상아세관을 레진 등으로 메우거나 불소 도포 등으로 손실된 법랑질을 다시 회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치는 시간 지남에 따라 폐쇄한 치과재료가 벗겨지거나, 폐쇄한 치과재료 주변 경계부위에 발생한 틈으로 증상이 재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문 치료법에 의하여 치과에서 시술을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개인 위생 관리 측면에서 안전하게 지각과민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인체 내 사용하는 것으로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성분 중에서 충분한 효과를 갖는 소재의 개발은 여전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개인 위생 관리 측면에서 안전하게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지각과민 증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을 위해 장기간 연구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 지각과민에 따른 시린이 증상,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을 완화,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며, 천연유래 성분으로 별도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구강 질환을 완화, 치료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대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 양태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양태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양태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 인, 의약외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각과민에 따른 시린이 증상,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을 완화,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며, 천연유래 성분으로 별도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의약품, 의약외품 또는 식품 등의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 자일리톨 또는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각 처리한 경우, PGE2 억제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 자일리톨 또는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각 처리한 경우, 잇몸 내 출혈을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일리톨 또는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를 함유한 치약 또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치약으로 각각 처리한 경우, 상아세관 봉쇄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구강용 소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경우,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및 치통의 완화 또는 치료에 있어, 단독 성분의 사용 대비 현저히 현저히 우수한 상승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또는 구강 위생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식품 및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오배자(학명: Gallnut)는 매미목[同翅目]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오배자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을 의미한다. 속이 비어 있고, 맛이 매우 시며, 한방에서는 수렴(收斂), 지혈, 해독, 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도한, 유정(遺精), 혈변, 혈뇨 등에 처방한다. 상기 오배자는 탄닌 성분을 50∼60% 정도 함유하고 있어 탄닌제를 비롯하여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가 된다.
본 발명에서 자일리톨은 다음의 구조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치아에서 당을 분해할 때 상기는 산에 의하여 에나멜질이 녹는 것을 억제하여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감미제로 사용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포함하여 지각과민증, 치통 또는 잇몸 내 출혈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데 특징이 있다. 특히,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현저한 상승적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의 조합에 따른 상승적 효과가 더욱 우수하여, 현저한 지각과민증, 치통 또는 잇몸 내 출혈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은 1 : 0.1 내지 10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해당 범위 조성물은 치통의 억제, 잇몸 내 출현 개선, 그리고 상아세관 봉쇄력에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지각과민증'은 외부의 자극(온도 변화, 물리적 접촉, 치아의 건조, 젓가락과 같은 물질과 접촉, 달거나 신 음식을 통한 삼투압 자극 등)에 대하여 치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시린이 증상을 동반한다. 지각과민증은 이는 종래의 충치나 다른 치주질환의 병적인 원인과 별개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근본적으로 상아질이 외부에 노출되어 민감부위가 자극게 과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노출된 상아질에 의하여 시린이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본 발명은 시린이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도 함께 포함한다.
지각과민증의 치료 또는 완화를 위해서는 신경차단제를 이용해 신경 신호전달을 차단/방해 하거나, 상아세관을 봉쇄하여 민감부위를 외부자극으로부터 차단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신경차단제에 의한 통증 차단 효과가 낮고, 일시적으로 작용하므로 완화 또는 치료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조성물은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동시에 포함하여, 상아세관을 봉쇄하는데 현저한 상승적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우수한 지각과민증 개선 또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 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어떤 물질을 용매에 녹여 그 활성성분 또는 특성 성분을 분리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 및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극성용매, 비극성 용매, 극성 및 비극성 혼합용매 또는 물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에탄올 추출물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30 내지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일 수 있다. 이 경우 자일리톨과 조합하여 지각과민증, 치통 또는 잇몸 내 출혈의 완화에 있어 현저한 상승적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추출법에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배자 추출물은 오배자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이에 다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한 분획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배자에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과 자일리톨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치통과 관련된 PGE2의 억제, 잇몸 내 출혈, 시린이 개선 그리고 상아세관 봉쇄에 있어 현저한 상승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는바,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순물을 제거한 상기 추출 대상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가압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물,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구체적으로 조추출액에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한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일 수 있다. 상기 분획과정은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액에 분획용매를 가해 분획을 수행하여 층 분리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에 다시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층 분리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분획은 용매 분획,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라피(silica gel chromatography), prep-HPLC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이 농축된 특정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은 질병 또는 병증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증 발생, 어떤 원인에 의한 잇몸 내 충혈 또는 출혈의 발생, 또는 상아질의 노출에 따른 민감증이 유발되는 증상의 발현 시기를 지연 시키거나, 발병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선'은 질병 또는 병증 상태를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증 발생, 어떤 원인에 의한 잇몸 내 충혈 또는 출혈의 발생, 또는 상아질의 노출에 따른 민감증이 유발되는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질병 또는 병증의 진행을 지연, 중단 또는 역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증 발생, 어떤 원인에 의한 잇몸 내 충혈 또는 출혈의 발생, 또는 상아질의 노출에 따른 민감증이 유발되는 증상을 중단, 경감, 완화 또는 없애거나, 역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배자 추출물을 처리하여 염증 발생을 억제하고, 잇몸 내 충혈 또는 출혈의 발생을 줄이거나 억제, 또한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봉쇄하여 치통, 잇몸 내 출혈 또는 지각민감증을 예방 또는 치료 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용 조성물, 지각과민증 또는 상아질지각과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하는 것 외에,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까지 포함하며,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동물의약품, 의약중간체 및 의약외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1 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안정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이상 내지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001 중량% 이상 내지 1 중량% 이하, 0.0001중량% 이상 내지 0.1중량% 이하, 0.0001 중량% 이상 내지 0.001 중량% 이하, 0.001중량% 이상 내지 10중량% 이하, 0.001중량% 이상 내지 1중량% 이하, 0.001 중량% 이상 내지 0.1중량% 이하, 0.01 중량% 이상 내지 10중량% 이하, 0.01중량% 이상 내지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안전성,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드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등),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오배자 추출물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배자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오배자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오배자 추출물을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일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 또는 구강 내에 직접 적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제,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약외품은 치약, 양치액 및 마우스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구강관리 제품, 연고제, 마스크, 습포제, 첩부제 및 경피흡수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처리하는 경우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이 완화되고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민감증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구강관리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증상 및 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구강 위생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의 내용이 준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측면에서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하는 식품 외에도,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식품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대상으로하는 식품에는 일 예로 사료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동물사료, 동물사료(식품)첨가제, 동물보조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처리한 경우 염증 억제, 출혈 억제 그리고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치통, 잇몸 내 출혈 또는 시린이 증상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상기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추가의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은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개선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2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과 함께 추가의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
오배자 추출물은 분쇄 또는 절단한 오배자 건조시료에 50% 에탄올을 1:10(시료:용매)의 비율로 넣고 60도씨로 가온하여 3시간 정도 추출한 후 추출한 용액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오배자 추출물은 실험에 이용하기 위해 정제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통증 및 염증 마커인 PGE2 억제 효과
오배자 추출물 또는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통 예방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증 및 염증 마커인 PGE2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대식세포(THP-1)를 10% FBS를 포함하는 RPMI 배지에서 1.5x105 cells/ml의 농도로 24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00ppm의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료; 500ppm의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시료; 또는 250ppm의 오배자 추출물과 250ppm의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혼합시료(오배자 추출물:자일리톨 1:1 중량비)를 각각 처리하고, 한 시간 뒤 염증 자극원인 LPS(lipopolysaccharide)1μg/ml을 처리하여 23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PGE2 ELISA 분석 키트(Thermo Scientific)를 사용하여 세포 배양액 내의 PGE2 양을 확인하여 각 시료의 PGE2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 만을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오배자 추출물 단독 처리군은 약 38%, 자일리톨 단독 처리 군은 약 17%의 PGE2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처리한 군 에서는 약 75%까지 PGE2가 억제되었다. 억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이를 통해, 오배자 추출물만 사용했을 때보다,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혼합하여 사용했을 때, PGE2 억제 효능이 월등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 혼합물의 경우, 치통을 억제하는데 단일 성분 처리군 대비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출혈 억제 효과
상기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 혼합 조성물의 출혈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정란의 융모막요막의 혈관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부화 10일된 유정란을 스탠드 불빛에 비추어 공기주머니가 있는 쪽의 껍질을 깨고, 융모막요막을 제거한 후, 대조군인 물과 각 시료를 선처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1 중량%의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료, 1 중량%의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시료, 0.5 중량%의 오배자 추출물과 0.5중%의 자일리톨을 함께 포함하는 시료 각각을 이용하였다. 30초 후 5%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를 처리하여 혈관에 자극을 가한 후 30초마다 출혈이 일어난 정도를 확인하였다.
(단위: 중량%) SLS 처리 30초 1분
대조군 (물) - + ++
1% 오배자 추출물 - - +
1% 자일리톨 - + ++
0.5% 오배자 + 0.5% 자일리톨 - - -
-: 출혈 없음+: 출혈 발생
++: 출혈 과발생
도 2 와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에서는 30초만 지나도 출혈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1% 오배자 추출물에서는 30초에서는 출혈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1분이 지나도 출혈이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오배자 추출물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자일리톨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 출혈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났다. 따라서,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 혼합물은 잇몸 출혈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있어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시린이 억제 효과
상기 오배자 추출물 또는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시린이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대상자를 선별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이용하여 대조군 치약을 만들었고,
상기 대조군 치약에 치약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 0.01 중량%, 자일리톨 0.01 중량%, 오배자 추출물 0.005 중량%와 자일리톨 0.005 중량%를 각각 함유하도록 하여 실험군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상아질과민증 치아를 가진 사람으로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40명이며, 총 실험 대상 치아는 80개 였다. 또한, 실험 대상자들 중 남자는 20명, 여자는 20명이고, 연령은 20세에서 50세였다. 실험 대상자들이 치약 내용물을 알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총 실험 기간은 2주로 하였다.
실험은 온도 자극을 가한 후 실험 대상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실험 대상자의 상아질과민증 치아의 과민 부위를 체크하고, 치아의 시린 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하기 표 2에 나타난 기준에 따라 평점을 한 후 대조군은 상기 대조군 치약을, 실험군은 상기 실험군 치약을 2주 동안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다시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하였다. 통계처리는 실험 실시 전과 2주 후의 자극 점수를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tudent-t test)로 검정하였으며, 온도 자극에 대한 2주 후의 반응 점수는 하기 표 3(자극 후 실험 대상자의 평점 기준)에 나타내었다.
점수 내용
0 아무런 불편감이 없다.
1 약간 불편하거나 시리다.
2 많이 시리다.
3 아프다.
시간 대조군
(미첨가)
오배자 추출물
(비교예1)
자일리톨
(비교예2)
오배자+자일리톨
(실시예1)
0주 2.25±0.11 2.22±0.12 2.21±0.14 2.24±0.12
2주 2.21±0.17 1.95±0.05* 2.18±0.13 1.59±0.07*
p>0.05 *p<0.05 p>0.05 *p<0.0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오배자 추출물 또는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이 포함된 치약을 사용한 실험군은 2주 경과 후 시린이 현상이 억제되었다. 또한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이 포함된 치약은 오배자 추출물만 단독으로 포함된 치약을 사용했을 때보다 시린이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났다. 따라서, 오배자 추출물 또는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유한 조성물은 시린이를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상아세관 봉쇄력 평가(dentine coverage)
시린이 증상 등을 유발하는 지각과민증은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상아세관을 봉쇄하는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 치약으로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및 착색제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군 치약은 상기 대조군 치약에, 치약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상기 오배자 추출물 0.01 중량%(비교예 1), 자일리톨 0.01 중량%(비교예 2), 오배자 추출물 0.005중량%와 자일리톨 0.005% 중량%(실시예 1)를 각각 함유하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치약 조성물을 인공 타액에 1:3(치약조성물:인공타액) 중량비로 분산시킨 뒤 치약의 상아세관 봉쇄효과를 시차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 촬영 후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치 시편 표면을 그라인딩하여 상아세관을 노출시키고, 시트르산 용액으로 표면을 탈회시킨 시편을 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약, 인공 타액을 20회 반복 처리하였다.
처리한 시편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SEM Image로 관측하였다. SEM Image 결과는 다음과 같이 6점 척도로 평가하여 3점 이상을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평가기준]
6: 표면을 완전히 덮은 후 multi-layer를 형성.
5: 상아세관을 막고 덴틴 표면을 완전히 덮음.
4: 상아세관 내부로 침투하였으며, 표면 일부를 덮음.
3: 상아세관과 덴틴 표면이 50% 이상 덮임.
2: 상아세관과 덴틴 표면에 침전물이 관측되며 50% 이하를 덮음.
1: 상아세관을 막지 못함.
시료명 붕쇄능
대조군 1
실험군 오배자 추출물 3
자일리톨 1
오배자 추출물 + 자일리톨 6
상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배자 추출물과 자일리톨을 함께 포함하는 실험군의 경우, 오배자 추출물 단독 군 대비 현저히 향상된 상아세관 봉쇄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아세관을 봉쇄하여 치아의 과민증을 덜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지각과민증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 인, 의약외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인, 의약외품 조성물.
  6.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 인,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인, 식품 조성물.
  11.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 인, 약학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인, 약학 조성물.
  16.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지각과민증, 잇몸 내 출혈 또는 치통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배자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및 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 인, 구강 위생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아세관 봉쇄에 따른 지각과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배자 추출물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자일리톨 0.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각과민증은 상아질지각과민증인, 구강 위생 조성물.
KR1020210025524A 2021-02-25 2021-02-25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KR20220121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24A KR20220121946A (ko) 2021-02-25 2021-02-25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CN202210172143.5A CN115040546A (zh) 2021-02-25 2022-02-24 五倍子提取物和木糖醇的应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24A KR20220121946A (ko) 2021-02-25 2021-02-25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946A true KR20220121946A (ko) 2022-09-02

Family

ID=8315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24A KR20220121946A (ko) 2021-02-25 2021-02-25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1946A (ko)
CN (1) CN11504054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40546A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894A (ko) 쪽풀 추출물 분말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쪽풀 추출물 분말의 용도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239A (ko)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529400A (ja) マンゴスチン抽出物またはアルファ、ガンママンゴス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090269424A1 (en) Peripheral blood flow-improving composition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118853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53374B1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3717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21946A (ko) 오배자 추출물 및 자일리톨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을 위한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2873B1 (ko) 청대, 오약, 천초 및 파고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4264B1 (ko) 페로스타틴-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0090B1 (ko) 자화지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335B1 (ko)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4123A (ko) 에스트라갈로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2B1 (ko) 가르데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3B1 (ko) 네오만지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082B1 (ko)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1909B1 (ko) 하이드록시겐콰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