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7910A -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 Google Patents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7910A
KR20040097910A KR1020040032926A KR20040032926A KR20040097910A KR 20040097910 A KR20040097910 A KR 20040097910A KR 1020040032926 A KR1020040032926 A KR 1020040032926A KR 20040032926 A KR20040032926 A KR 20040032926A KR 20040097910 A KR20040097910 A KR 2004009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sulfide
electron beam
srtio
phosph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또시 쯔지
사또시 오까다
히또미 기따무라
Original Assignee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께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께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리타께 이세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01Chalogenides
    • C09K11/7703Chalogenides with alkaline earth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0Luminescent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09K11/562Chalcogenides
    • C09K11/565Chalcogenides with zinc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2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allium, indium or thallium
    • C09K11/621Chalcogenides
    • C09K11/623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01Chalogen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 H01J31/15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with ray or beam selectively directed to luminescent anode seg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2Details, e.g. electrode, gas filling, shape of vessel
    • H01J63/04Vessels provided with luminescent coating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색 형광체를 이용하더라도 발광 휘도 수명 특성이 우수하고, 각종 색조합의 발광색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혼합 발광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는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무기 화합물은 황화물, 특히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이고, 또한 무기 화합물은 황화물계 형광체, 특히 ZnS:Cu, Al 또는 ZnS:Zn을 주성분으로 하는 형광체이다.

Description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Fluorescent Material for Low-Speed Electron Beam and Fluorescent Display Tube}
본 발명은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이를 이용한 2종 이상 형광체 혼합 유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이들 형광체를 이용한 형광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가전 제품, 계측기, 의료 기기 등의 표시부에 소정의 패턴 정보 또는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자발광형의 표시 소자로서 형광 표시관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형광 표시관에 이용되는 형광체 중에서, 종래 유형의 적색 형광체((Zn, Cd)S:Ag, Cl)는 카드뮴(Cd)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환경 보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Cd을 포함하지 않는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최근 많은 형광체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네슘(Mg), 스트론튬(Sr), 칼슘(Ca), 바륨(Ba)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원소와 티탄(Ti)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모체에 3족 원소가 첨가된 형광체의 표면에,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광체를 탄소계 가스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막이 형성된 형광체(일본 특허 제2746186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에 PtO2와 RuOPtO2중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물질을 첨가한 형광체(일본 특허 제2904106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 표면에 도전성 산화물이 피복되고, 이 도전성 산화물 표면에 백금족 산화물을 살포(撒布)상으로 부착시킨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2004-75907호) 또는 제올라이트 입자를 배합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2004-75908호), 알칼리 토류 금속과 Ti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모체에 희토류 원소 및 3족 원소를 첨가시킨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8-85788호), 알칼리 토류 금속과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모체의 표면에 보호막이 형성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8-283709호), 고저항의 형광체와 저저항의 형광체를 혼합하여 2 kv 이하의 양극 전압에서 가속된 전자의 투사에 의해서 발광시키는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9-87618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에 산화 작용이 있는 물질을 첨가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9-255952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의 표면에 다이아몬드형 탄소막을 형성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10-261371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에 4b족 원소를 첨가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10-273658호), SrTiO3을 모체로 하는 형광체에 SiO2를 제거하는 Si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막을 피복한 형광체(일본 특허 공개 (평)10-27993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Cd을 포함하지 않는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로서의 SrTiO3:Pr, Al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휘도의 저하 비율이 크고, 형광체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여기 전압이 15 V를 초과하는 작동 환경하에서는 극단적으로 형광체 수명이 짧아진다.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보호막을 형성하거나 PtO2등을 첨가함으로써 형광체수명은 향상되지만 실용상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적색 형광체로서의 SrTiO3:Pr, Al을 이용한 2종 이상 혼합 유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에서는, SrTiO3:Pr, Al의 형광체 수명이 원인으로 색상 변화를 일으키거나, 발광 불균일의 원인이 되기도 하여 실용적으로 견딜 수 있는 형광체 수명을 얻을 수 없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746186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2904106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4-75907호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4-75908호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8-85788호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8-283709호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평)9-87618호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평)9-255952호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평)10-261371호
<특허 문헌 10> 일본 특허 공개 (평)10-273658호
<특허 문헌 11> 일본 특허 공개 (평)10-279933호
본 발명은 적색 형광체로서 SrTiO3:Pr, Al을 이용하더라도 발광 휘도 수명 특성이 우수하고, 상기 적색 형광체를 배합한 2종 이상 형광체 혼합 유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에 있어서 색도 변화가 작고 안정한 혼합 발광색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혼합 형광체의 CIE 색도 좌표에서의 x-값 및 y-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혼합 형광체의 휘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혼합 형광체의 x-값 및 y-값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형광 표시관의 단면도.
도 5는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을 혼합한 양극 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계와 형광체를 혼합한 양극 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형광 표시관 2: 유리 기판
3: 배선층 4: 절연층
5: 양극 전극 6: 형광체층
7: 양극 기판 8: 그리드
9: 음극 10: 전면 유리
11: 스페이서 유리 12: 황화물
13: 도전성 산화물
본 발명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는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이 황화물 및 황화물계 형광체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화물이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광 표시관은 상기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를 이용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이란 황화물 단체, 산 황화물 단체, 황화물계 형광체 단체,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 단체 및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다른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 무기 화합물을 말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적색 순도가 우수하고, 카드뮴(Cd)을 포함하지 않는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SrTiO3:Pr, Al)의 발광 휘도가 시간 경과와 함께 저하되는 원인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이 연구한 결과, 캐소드 재료의 산화바륨이 형광체 표면에 비산하여 퇴적되고, 또한 전자선 조사에 의해 퇴적된 산화바륨이 분해됨으로써 생성된 바륨 이온이 적색 형광체를 환원ㆍ변질시킨다고 생각되었다. 즉, 캐소드 재료로부터 비산하여 퇴적된 산화바륨이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선에 의해 바륨 이온으로 분해된다.
BaO → Ba2++ O2-
상기 바륨 이온(Ba2+)에 의해, 적색 형광체(SrTiO3:Pr, Al)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ㆍ변질된다.
SrTiO3:Pr, Al + xBa2+→ SrTiO3-x:Pr, Al + xBaO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에 전자선의 조사에 의해 황을 발생시키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ZnS을 혼합시킴으로써,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선 조사에 의해 황이 분해 비산된다.
ZnS → Zn + S ↑
발생된 황이 캐소드 재료의 산화바륨의 일부와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한다.
BaO + S → BaS + 1/2O2, 또는 BaOS
생성된 BaS 또는 BaOS는 BaO에 비교하여 증발되기 어렵기 때문에, 형광체 상에 비산하는 BaO의 총량이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SrTiO3:Pr, Al의 환원, 변질을 크게 저감시켜 휘도 열화를 억제한다.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적색 형광체에 적량 혼합함으로써, 캐소드 재료로부터의 발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적색 형광체의 발광 휘도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적색 형광체와 녹색 또는 청색 형광체를 혼합하여 이들의 혼색을 얻는 경우, 특히 녹색 또는 청색의 황화물계 형광체를 이용함으로써, 적색 형광체로서 SrTiO3:Pr, Al을 이용하더라도 발광 휘도 수명 특성이 우수한 혼합 발광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가 이용되는 형광 표시관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도 4는 형광 표시관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형광 표시관을 구성하는 양극 기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형광 표시관 (1)은 양극 기판 (7)과, 이 양극 기판 (7) 상측에 그리드 (8)과 음극 (9)를 설치하고, 전면 유리 (10) 및 스페이서 유리 (11)을 저융점 플릿 유리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진공으로 배기하여 형성된다. 음극 (9)로부터 발생한 저속 전자선이 양극 기판 (7) 상의 형광체층 (6)에 조사되어 발광한다.
음극 (9)는 텅스텐의 필라멘트선(극세선) 상에 알칼리 토류 금속의 탄산염 (Ba, Sr, Ca)CO3을 결합제와 함께 전착 도포하여 형광 표시관을 조립하고, 최종 단계에 있어서 진공 중에서 약 100O ℃로 통전 가열하여 상기 탄산염을 분해함으로써 (Ba, Sr, Ca)O가 형성된다. 전자 방출원은 텅스텐ㆍ필라멘트선 상에서 일부가 환원되어 활성화된 BaO이고, BaO의 안정화를 위해 SrO, CaO가 적량 배합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 기판 (7)은, 유리 기판 (2) 상에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 도포법에 의해, 또는 박막 형성법으로 형성한 알루미늄 박막을 포토리소법에 의해 패턴화하여 배선층 (3)을 형성한 후, 관통 구멍 (4a)를 제외한 거의 전면에 걸쳐 저융점 플릿 유리 페이스트의 인쇄 도포법에 의해 절연층 (4)를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 (4a)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전극 (5)를 흑연 페이스트의 인쇄 도포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 양극 전극 (5) 상에, 본 발명의 형광체층 (6)을 인쇄 도포법으로 도포한 후 소성시켜 양극 기판 (7)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산화물 (13)을 배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형광체층 (6)은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 (6a), 황화물 (12) 및 도전성 산화물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형광체층 (6)은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 (6a) 및 황화물계 형광체 (6b)로 구성되어 있다. 황화물계 형광체 (6b)로서는 ZnS:Cu,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녹색 형광체 또는 ZnS:Zn을 주성분으로 하는 청색 형광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 입자 (6a)는 SrTiO3모체에 Pr 및 Al이 부활(付活)된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SrTiO3:Pr, Al)를 주성분으로 하는 형광체이다. 적색 형광체는 SrTiO3:Pr, Al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적색 형광체로서의 색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Sr의 일부를 Ca으로 바꿀 수 있으며, 또는 부활 물질을 Ce, Pr, Eu, Tb, Er 및 Tm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원소와, Al, Ga, In 및 Tl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원소와의 혼합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적색 형광체는 SrTiO3:Pr, Al 단체이다.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로서는 황화물, 산 황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 화합물은 형광체의 모체로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황화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황화물은 황과 그것보다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산 황화물을 포함한다.
황화물로서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이 바람직하고, 황화마그네슘(MgS), 황화칼슘(CaS), 황화스트론튬(SrS) 및 황화바륨(BaS)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황화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은 이온 결합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자선 조사에서도 과도한 분해없이 장기간에 걸쳐 형광체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또한 캐소드 특성의 열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다른 황화물로서는 ZnS을, 산 황화물로서는 Y2O2S, Ga2O2S 등을 예시할 수 있고, ZnS이 저속 전자선에 의해 분해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황화물의 배합 비율은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황화물이 0.5 내지 20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중량% 미만이면, 캐소드 표면 상에서의 BaS 또는 BaOS의 생성량이 충분하지 않아 휘도 열화를 억제할 수 없다. 또한, 20 중량%를 초과하면 캐소드의 열화가 너무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황화물 대신에 황화물계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황화물계 형광체로서는 ZnS:Cl, ZnS:Cu, Al, CaS:Eu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황화물계 형광체를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SrTiO3:Pr, Al)에 혼합함으로써, 상기 2종 이상의 형광체의 중간색 중에서, 이들의 혼합 비율에 따른 색조합의 발광색을 갖는 혼합 발광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가 얻어진다. 또한, 황화물계 형광체이기 때문에 SrTiO3:Pr, Al의 수명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녹색 형광체(ZnS:Cu, Al)를 혼합한 형광체의 CIE 색도 좌표에서의 x-값 및 y-값을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괄호 안은 ZnS:Cu, Al과 SrTiO3:Pr, Al과의 중량 혼합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비교로서 비황화물계 녹색 형광체(ZnGa2O4:Mn)와 SrTiO3:Pr, Al을 괄호 안에 나타내는 중량 혼합비로 혼합한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녹색 형광체(ZnS:Cu, Al)를 다양한 혼합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2종 이상의 형광체 그 자체의 발광색 및 이들의 중간색을 포함하는, 적색 내지 갈색 내지 황색 내지 녹색에 이르는 다양한 색조합의 혼합 발광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ZnS:Cu, Al과 SrTiO3:Pr, Al을 중량 혼합비 2:8로 혼합한 형광체와, ZnGa2O4:Mn과 SrTiO3:Pr, Al을 중량 혼합비 4:6으로 혼합한 형광체와의 수명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도 2는 휘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x-값 및 y-값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명 특성은, 혼합 형광체를 이용하여 형광 표시관을 조립하고, 양극 전압 50 V, 충격비(duty ratio) 1/60에서 휘도 및 색도의 경시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SrTiO3:Pr, Al은 휘도의 초기값이 150 cd/cm2이고, 약 900 시간 경과 후에도 120 cd/cm2로 약 80 %의 휘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비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SrTiO3:Pr, Al은 휘도의 초기값이 250 cd/cm2이지만, 약 900 시간 경과 후에는 80 cd/cm2로 30 %의 휘도로 저하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SrTiO3:Pr, Al은 x-값 및 y-값의 변화로 표시되는 색도 변화가 약 900 시간 경과 후에도 ±10 % 이하의 범위 내로 색도의 변화가 적었다.
한편, 비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SrTiO3:Pr, Al은 색도 변화가 약 400 시간 경과 후에 ±30 % 이상으로 변화되어 색도가 크게 변화하였다. 이상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SrTiO3:Pr, Al은 비황화물계형광체를 혼합한 것에 비교하여 휘도 경시 변화 및 색도 경시 변화에 있어서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내었다.
적색 형광체(SrTiO3:Pr, Al)는 그의 표면에 표면 피복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표면 피복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Li을 주성분으로 하는 Li 화합물층, Si 및 Ti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층을 형광체 표면에 피복하고, 최외층을 Sn 및 Sb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층으로 피복하는 복수층으로 만드는 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황화물의 혼합 형광체, 또는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황화물계 형광체의 혼합 형광체에 도전성 산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산화물로서는 Sn, Ti, Zn, W, In, Nb 등의 산화물 단체 또는 복합 도전성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nO2, TiO2, ZnO, WO3, In2O3, ITO를 예시할 수 있다. 도전성 산화물을 배합함으로써, 입사 전자선의 차지-업(charge-up)을 막기 위한 도전성이 부여된다.
도전성 산화물은 상기 혼합 형광체와 도전성 산화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도전성 산화물이 5 내지 20 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 미만이면 도전성의 부여가 충분하지 않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도전성이 그 이상 향상되지 않으며 휘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는 황화물 또는 황화물계 형광체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형광체를 이용하여 인쇄 방법 등 주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양극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페이스트는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고, 저속 전자선용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 또는 황화물계 형광체가 분산되어 있다. 결합제 수지로서는, 인쇄성이 우수한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양극 패턴 상에 인쇄, 건조, 소성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양극 기판이 얻어진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비교예 1>
평균 입경 2 내지 3 ㎛의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황화물 및 도전성 산화물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여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를 얻었다. 황화물로서의 ZnS은 평균 입경 4 내지 6 ㎛, Y2O2S는 평균 입경 4 내지 6 ㎛, CaS는 평균 입경 6 내지 8 ㎛, SrS는 평균 입경 6 내지 8 ㎛인 것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도전성 산화물로서의 In2O3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0.2 ㎛이다.
얻어진 형광체 입자를 α-테르피네올 및 에틸셀룰로오스 혼합액에 분산시켜 인쇄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이 인쇄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하고, 530 ℃의 온도에서 소성시킴으로써 양극 기판을 제조하였다. 이 양극 기판을 이용하여 형광 표시관을 조립하였다.
얻어진 형광 표시관을 양극 전압 26 V, 충격비 1/12에서 초기 휘도와 5000 시간 방치 후의 초기 휘도 유지율 및 캐소드의 발산 능력 유지율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실시예는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황화물을 혼합함으로써 휘도 유지율이 향상되었다. 한편, 황화물을 혼합하지 않는 비교예는 휘도 유지율이 불과 5 % 이하이었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9, 비교예 2>
평균 입경 2 내지 3 ㎛의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황화물계 형광체 및 도전성 산화물을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여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형광체 입자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양극 기판을 제조하고, 형광 표시관을 조립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 형광체(SrTiO3:Pr, Al)와 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한 형광체는 휘도 유지율이 향상되었다. 또한, 색도 변화도 적었다. 한편, 황화물계 형광체를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는 휘도 유지율이 30 % 이하이고, 색도 변화도 컸다. 색도 변화가 큰 것은 적색 형광체의 휘도 열화가 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는 적색 형광체로서 SrTiO3:Pr, Al을 이용하더라도 발광 휘도 수명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Cd을 포함하지 않는 실용적인 적색 형광체가 얻어지며, 형광 표시관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는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혼합하기 때문에 수명 특성이 우수하고, 표시 품위가 일정한 형광 표시관이 얻어진다. 또한, 황화물계 형광체와 혼합함으로써, Cd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혼합되는 2종 이상의 형광체의 중간색 중에 있어서 여러가지 색조합으로의 대응이 가능한 혼합 발광형의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가얻어진다.

Claims (4)

  1. SrTiO3:Pr, Al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 형광체와,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을 포함하는 무기 화합물이 황화물 및 황화물계 형광체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이 알칼리 토류 금속의 황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4. 음극으로부터 발생한 저속 전자선을 양극 기판 상에 형성된 형광체에 조사하여 상기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형광 표시관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표시관.
KR1020040032926A 2003-05-12 2004-05-11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KR20040097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2584 2003-05-12
JP2003132584 2003-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10A true KR20040097910A (ko) 2004-11-18

Family

ID=3341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926A KR20040097910A (ko) 2003-05-12 2004-05-11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71609B2 (ko)
KR (1) KR20040097910A (ko)
CN (1) CN1003700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2813A (ja) * 2002-12-02 2004-07-02 Futaba Corp 暖色系発光蛍光体及び暖色系発光蛍光体を使用した蛍光表示管
JP4828127B2 (ja) * 2005-02-07 2011-11-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及び蛍光発光管
JP2006299118A (ja) * 2005-04-21 2006-11-02 Noritake Itron Corp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表示管
TWI444949B (zh) * 2009-01-30 2014-07-11 Noritake Itron Corp A fluorescent display tube driving method and a fluorescent display tube
JP5379724B2 (ja) * 2010-03-03 2013-12-25 ノリタケ伊勢電子株式会社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装置
JP5599287B2 (ja) * 2010-11-08 2014-10-01 ノリタケ伊勢電子株式会社 蛍光表示装置
CN103289690B (zh) * 2012-02-28 2015-10-28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镨掺杂钛酸盐发光薄膜、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3166659A1 (zh) * 2012-05-08 2013-11-14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钛酸盐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JP5540053B2 (ja) * 2012-09-28 2014-07-02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付蛍光表示管とその蛍光表示管の電極、配線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4862A (en) * 1969-07-22 1972-05-23 Gen Electric Electron energy sensitive phosphors for multi-color cathode ray tubes
DE2906505C2 (de) * 1978-02-20 1985-10-24 Japan Electric Industry Development Association, Tokio/Tokyo Fluoreszenzmisch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Fluoreszenzschirm einer durch langsame Elektronen angeregten Fluoreszenz-Anzeigevorrichtung
DE69204628T2 (de) * 1991-06-20 1996-05-15 Kasei Optonix Pigmentierter blau-emittierender leuchtstoff und farb-kathodestrahlrohr.
JP2729190B2 (ja) * 1994-09-16 1998-03-1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
JP2746186B2 (ja) 1995-04-12 1998-04-2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
JP2937086B2 (ja) 1995-09-25 1999-08-23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及び蛍光表示装置
JP2904106B2 (ja) 1996-03-27 1999-06-14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
EP0915143A4 (en) * 1996-06-28 2002-09-04 Chisso Corp RED LIGHT EMITTING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NEN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TW469292B (en) * 1996-10-31 2001-12-21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An improved phosphor complex having high brightness
JPH10261371A (ja) 1997-03-17 1998-09-29 Futaba Corp 蛍光体及び表示管
JP3159109B2 (ja) 1997-03-28 2001-04-23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蛍光体及び表示管
JPH10279933A (ja) 1997-04-01 1998-10-20 Futaba Corp 蛍光体及び表示管
KR100355456B1 (ko) * 1999-07-30 200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형광 디스플레이용 적색 형광체와 그것의 제조방법
TW567222B (en) * 2000-04-11 2003-12-21 Toshiba Corp Phosphor for display and field-emission display
KR100370396B1 (ko) * 2000-04-26 2003-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저전압 구동용 SrTiO₃:Pr,Al계 형광체
JP2004075908A (ja) 2002-08-21 2004-03-11 Noritake Itron Corp 低速電子線用赤色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管
JP2004075907A (ja) 2002-08-21 2004-03-11 Noritake Itron Corp 低速電子線用赤色蛍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表示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27451A1 (en) 2004-11-18
CN100370004C (zh) 2008-02-20
US7071609B2 (en) 2006-07-04
CN1550541A (zh)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9084B2 (ja) 電界放出形蛍光表示装置
JPH0885788A (ja) 蛍光体
KR20040097910A (ko) 저속 전자선용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JPH08127769A (ja) 蛍光体及び表示装置
KR100533512B1 (ko) 난색계 발광 형광체 및 난색계 발광 형광체를 사용한 형광표시관
JP4515983B2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
JP2001303042A (ja) ラピッドスタート形蛍光ランプ用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ピッドスタート形蛍光ランプ
JPH11172240A (ja) 発光組成物および蛍光表示管
US6690119B2 (en) Phosphor, method for preparing phosphor layer and vacuum fluorescent display
JP2004359940A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管
JP4315834B2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管
KR100385742B1 (ko) 형광체 및 형광 표시관
JP2004238549A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管
JP2008285527A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表示管
JP3514836B2 (ja) 緑色発光蛍光体
JPH02178386A (ja) 青色発光蛍光体
JP2002080845A (ja) 低速電子線励起蛍光体及び蛍光表示管
US7205711B2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and phosphor paste
JP3726674B2 (ja) 蛍光体層の形成材料、蛍光体層の製造方法及び蛍光表示管
JP3982667B2 (ja) 低速電子線励起蛍光体及び蛍光表示管
JPH066704B2 (ja) 電子線励起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7555B2 (ja) 蛍光表示管
JPH0257827B2 (ko)
JP3707131B2 (ja) 蛍光体
JP4272945B2 (ja) 低速電子線用蛍光体および蛍光表示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