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999A - 로프 이상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이상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999A
KR20040079999A KR10-2004-7012487A KR20047012487A KR20040079999A KR 20040079999 A KR20040079999 A KR 20040079999A KR 20047012487 A KR20047012487 A KR 20047012487A KR 20040079999 A KR20040079999 A KR 2004007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abnormality detection
rope abnormality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가와도시아키
야마구치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99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magnetic vari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이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선 소선을 포함한 로프(40)에 근접하여 소선 파단 등의 이상을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11)와, 상기 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로 로프 이상 검출장치(10)를 구성하고, 로프가 상대 이동하고, 또 로프의 주행로와의 간격이 일정한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의 소정 부분에 로프 이상 검출기기(10)를 유지하여 장착하는 고정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프 이상 검출 장치{ROP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종래, 엘리베이터의 탑승 케이지를 견인하는 로프의 예방 보전상, 로프를 구성하는 강선의 소선(素線)의 일부 파단 등에 따른 이상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점검원이 로프를 점검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로프에 로프 테스터의 프로브를 손으로 가까이 접촉하고, 그 검출 출력을 기록지에 기록시켜 계측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프로브는 로프가 강선으로 생긴 것을 이용하여 로프의 일부를 포함하는 자기 루프를 형성하고, 센서로 파단 등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 강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그러나, 프로브와 로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측정 정밀도가 올라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낮고 측정에 장시간을 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작업 안전성의 향상과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의 향상 및 점검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이상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의 (A), (B)는 검출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일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6은 고정구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6의 (A)는 사시도, (B)는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의 (A), (B)는 각각 검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개략 측면도,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5의 (A)는 개략 측면도, (B)는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이상 검출장치는,
강선 소선을 포함한 로프에 근접하여 소선 파단 등의 이상을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로 이루어진 로프 이상 검출기기와,
로프가 상대 이동하고, 또 로프의 주행로와의 간격이 일정한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의 소정 부분에 상기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유지하여 장착하는 고정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프로브 등을 손으로 로프에 근접시킬 필요가 없어져, 작업 안전성의 향상과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로프 이상 검출기기는 고정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검출 장치의 운반이 용이해져 장착도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은 검출부와 신호처리부가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고정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작업 안전성의 향상과 장착 위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 상부 또는 기계실에 설치된 권상기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장치의 장착 위치 범위가 넓어지고, 또 로프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가 엘리베이터의 피트(pit) 내에 설치된 권상기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장치의 장착 위치 범위가 넓고, 또 로프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가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의 방향 전환 활차(sheave)의 근방에 상기 메인 로프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장치의 장착 위치 범위가 넓어지고, 또 로프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장치의 장착 위치 범위가 넓어지고, 또 로프 측정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가 엘리베이터의 균형추 시브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장치의 장착 위치 범위가 넓어지고, 또 로프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로프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견인하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이고,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로프 직경이 다른 로프를 동시에 측정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1개 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를 동시에 이상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1개 또는 복수개를 고정구에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측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고정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복수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측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점검 속도와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 중 어느 하나라도 검출 가능한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고정구에 상설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측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신호 처리부가 메모리 기능을 갖고, 소정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메모리 기능에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JOB 데이터의 수집과 관리가 용이해져 예방 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장치에 접속하여, 임의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원격 감시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예방 보전과 인력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떨어진 장소에서 로프 이상 검출장치의 전원의 온과 오프를 실시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이에 의해 작업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신호 처리부가 메모리 기능을 갖고 있고, 메모리 기능은 측정 전체 데이터를 기록함과 동시에 그 측정 데이터를 외부 처리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데이터를 퍼스컴 등의 외부 처리장치에 취입함으로써 데이터의 보관이 용이해지고, 이상 부분의 위치의 발견이나 피해 정도의 확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메모리 기능에 의해 소정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이상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외부에 마크 부착 장치를 부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 이상 부분 검출의 신호에 의해 로프의 이상 부분 또는 그 근방에 로프 본체와는 다른 색채의 마크를 부착시키는 마크 부착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로프의 이상부를 마킹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점검원이 이상부를 찾는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마킹 시에 부저 등의 알림수단을 병용함으로써 확인 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적어도 검출부가 고정구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에 있다. 엘리베이터의 주행 시에 로프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고, 검출부를 로프에 추종하도록 고정구를 회동 자유롭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검출부가 병행하는 복수의 로프에 대응하여 채널을 갖고 있고, 각 채널에 상기 로프에 자속을 통하게 하는 자석과 센서의 조합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과 센서의 조합이 인접하는 채널마다 로프 주행방향으로 단차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이다. 단차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채널의 자력선의 영향에 의한 오검출이나 노이즈의 영향이 적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이상 검출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나타낸다.
로프 이상 검출기기(10)는 검출부(11)와 신호처리부(12)로 이루어지고, 도 1C와 같이 분리되어 형성되며, 조인트부(13)에서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조인트부(13)는 검출부(11)의 배면의 오목부(13a)와 신호처리부(12)의 측면의 볼록부(13b)를 슬라이드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조인트부에 설치한 접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검출부(11)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견인하기 위해 매달아 건 복수개의 로프(40a, 40b, …)를 평행하게 배열한 메인 로프(40)를 각각 통과시키는 격벽(14a)으로 나눈 홈형상 채널(14)을 갖고 있고, 덮개체(15)에 의해 닫혀진다.
덮개체(15) 표면에 수광부(16)가 배치되고, 리모트컨트롤러(17)로부터의 광신호를 받아, 검출부(11) 및 신호처리부(12)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을 스위치온, 오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부호 “18”은 이상 검출기기(10)의 손잡이다.
검출부(11)의 각 채널은 근접하여 상대 이동하는 메인 로프의 주행방향과의 사이에서 자로(磁路)의 루프를 만들고, 자계 중에 배치한 홀센서나 코일센서 등의 센서로 자계 강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자계를 형성하여 자속을 로프에 통하게 하는 자석 및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채널(14)은 로프(40a, 40b, …)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한쌍의 N극, S극을 배치한 자석(14b, 14c)을 설치하여 로프 내를 그 주행방향으로 자속이 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 자극사이의 자로에 센서(14d)를 배치하여 자계 강도를 측정한다.
도 2의 (B)는 검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출부(11)의 채널(14)의 자석(14b, 14c)을 인접하는 채널끼리 로프의 주행 방향으로 교호(交互)로, 예를 들면 갈지자 형상으로 어긋나게 하여 단차나게 2단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 채널로의 자속 누설에 의한 채널의 상호 간섭을 해소할 수 있고, 이상부분의 오검출이나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는 강선으로 생긴 소선을 심선에 감아 슬라이드를 구성하고, 이 슬라이드를 복수개, 심강(心綱)에 감아 형성된 것이며, 장기간의 견인이나 어떤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소선의 일부 등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소선에 파단이 생기면 로프가 통과하는 검출부의 채널의 위치에서 자계에 혼란을 생기게 하므로, 그 혼란이 센서(14d)에 의해 포착되고, 신호로서 취출되어 신호처리부(12)로 보내지고, 로프의 파단 위치가 계측되어 로프의 이상이 검출된다.
도 1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12)는 앞면에 파형 모니터(21), 전원 스위치(22), 전원 램프(23), 로프 주행 속도 설정용 가변 로터리 스위치(24) 및 조작 스위치(25)를 배치하고, 측면에 전원 콘센트(26)를 배치하고 있다. AC전원이나 배터리 전원이 사용 가능하다. 스위치(24)에 의해 엘리베이터 점검 속도,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에 대해 모두 계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신호처리부는 메모리 기능을 갖고 있고, 소정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메모리 기능에 기록하여, 파형 모니터(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장치에 접속하는 콘센트(27a)를 구비하며, 임의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원격 감시 단말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콘센트(27b)는 메모리 기능으로 기록되는 측정 전체 데이터를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자이다. 이 단자에 컴퓨터 등의 외부 처리장치(29)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외부 처리장치에 취입할 수 있어 데이터의 보관이 용이해지고, 또로프 이상부의 발견과 이상부의 손상 정도의 확인 등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의 하우징(28)의 저부에는 도 3에 도시한 고정구(30)에 나사로 고정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로프 이상 검출기기(10)와 함께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30)를 나타낸다. 폭이 넓은 L자형 금구이고, 신호처리부(12)의 하우징을 얹어 설치하는 상면부(31)와, 승강로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측면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상면부(31)에는 하우징(28)을 나사로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관통구멍(33)을 형성하고, 나사(34)에 의해 하우징(28)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또, 측면부(32)에는 도 3에 도시한 케이지 레일에 고정구(30)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 구멍(35)이 형성되고, 브래킷(36)에 의해 나사(37)로 레일에 고정된다.
도 4의 실시형태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1)의 설치 부분을 권상기(50) 근방에 배치한 것이다.
기계실을 구비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방식에서는 권상기(50)를 승강로 천정부 근방에 배치하여, 메인 로프(40)의 양 단부를 승강로 천정에 고정하고, 권상기를 중심으로 하여 한쪽에 탑승 케이지를, 다른쪽에 균형추를 시브에 의해 매달아 건다. 탑승 케이지의 시브는 한쌍을 탑승 케이지의 하변에 배치하고, 메인 로프(40)를 탑승 케이지 하변에 연결하여 탑승 케이지를 견인한다. 탑승 케이지 및 균형추는 각각 탑승 케이지 레일(51), 추 레일(52)을 따라서 승강한다.
승강에 따라 승강로내의 소정 부분에서 메인 로프(40)의 주행로에 대해 간격,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로프가 상대 이동하는 부분이 생긴다. 예를 들면 권상기나 이를 유지하는 권상기 근방의 탑승 케이지 레일에서 본 로프는 주행로는 바뀌지 않지만 로프는 이동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권상기 근방의 탑승 케이지 레일(51)과 추 레일(52)에 각각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장착하여 고정 배치한 것이다. 각각의 레일(51)의 테두리에 브래킷(53)으로 고정구(30)를 고정하고, 추 레일측도 동일하게 한다. 이 위치에서는 로프의 주행도가 변동하지 않으므로 정밀하게 로프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 검출장치를 2군데 설치함으로써 검출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 검출장치(1)의 고정은 도 5의 (A)와 같이 승강로(60)의 벽면(61)에 고정구(30)를 브래킷(62)에 의해 직접 장착해도 좋고, 도 5의 (B)와 같이 동일한 탑승 케이지 레일(51)에 복수의 검출장치(1)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고정구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와 같이 로프 이상 검출기기(10)를 고정구(30)의 상면부(31)에 설치한 베이스(38)에 장착한다. 베이스(38)는 상면부(31)에 고정한 샤프트(39)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고, 로프 이상 검출기기의 채널이 로프에 접촉하여 안내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의 (B)와 같이 메인 시브(50a)의 둘레면(50b)은 탑승 케이지 시브(73)의 둘레면(73a)과 승강로내의 각도가 다른 경우가 있고, 복수의 로프(40)의 병행면은 비틀어져 있다. 예를 들면 탑승 케이지의 양측 중심에 있는 레일(51)을 피해 탑승 케이지 시브(72, 73)(예를 들면 도 10)가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상기 시브는 탑승 케이지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있으므로, 메인 시브(50a)의 둘레면(50b)과 대향하는 탑승 케이지 시브 둘레면(73a)과는 평행하게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탑승 케이지가 상승하여, 권상기에 접근하면 로프의 병행면의 비틀림이 커져 로프(40)와 검출기의 채널(14)이 접촉한다. 도 6의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부(11)가 고정구(30)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으면 로프 주행에 따라서 채널 위치가 변화하고, 채널의 원하지 않은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로프 이상 검출장치의 검출부(11)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의 (A)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로프(40a, 40b, 40c, 40d)로 이루어진 메인 로프(40)에 대해, 복수개, 여기서는 2개의 검출부(11a, 11b)에 대응한 것으로, 1개의 고정구(30a)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신호처리부(12a, 12b)는 각각의 검출부와 조합해도 좋고, 1개의 신호처리부(12a 또는 12b)에서 양 검출부의 신호를 처리해도 좋다. 메인 로프의 로프 직경이 다르거나, 로프수가 검출부의 채널 보다 많은 경우에도 동시 계측이 가능해지고, 계측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복수의 로프(40a, 40b, 40c, 40d)를 일괄하여 1채널(14e)로 이상 검출하는 검출부(11c)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병행으로 주행하는 복수의 로프의 각 간격은 3mm 정도이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채널(14) 사이를 나누는 격벽(14a)을 비접촉으로 좁은 로프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본 형태와 같이 일괄적으로 검사함으로써 쉽게 계측할 수 있다. 이상 부분이 발견되면 그 위치를 더 정밀하게 조사함으로써 고정밀도의 이상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8 내지 도 11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의 장착 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호 부분은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8의 실시형태는 검출부(11)와 신호처리부(12)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권상기(50) 근방의 탑승 케이지 레일(51)에 장착한 것이다. 검출부와 신호처리부의 사이는 케이블(55)로 연결한다. 운반하기 편하고, 좁은 공간에서는 각각 나눠 장착하므로 작업하기 쉽다.
도 9의 실시형태는 탑승 케이지(70)의 저부(71)에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장착하고, 저부에 설치한 한쌍의 케이지 시브(72, 73) 사이를 주행하는 로프(40)의 이상 검출을 실시한다. 탑승 케이지(70)가 승강해도 저부(71)와 로프 주행로의 위치 관계는 바뀌지 않으므로 계측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로프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권상기(50) 근방에 다른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배치하여, 케이지 저부에 장착한 장치(1)와 함께 로프의 측정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56은 권상기의 방향 전환 활차를 나타낸다.
도 10의 실시형태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도 9의 실시형태가 케이지 저부(71)에 설치한 것에 대해, 케이지 천정부(74)에 설치한 구성을 나타낸다. 엘리베이터의 점검 작업은 탑승 케이지(70)의 천정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고, 이 부분에 검출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부분에도 검출장치(1)를 설치하여 로프 측정 범위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의 실시형태는 균형추(75)의 시브(76) 근방에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배치한 것이다. 기계실이 없고 승강로 천정 근방에 권상기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방식에서는 로프의 한단을 천정부 또는 그 근방에서 지지하므로, 이 지지부(77)에서 균형추(75)에 이르는 동안의 로프(40)의 계측은 균형추(75) 부분에 검출 장치(1)를 배치함으로써 이상 검출 측정이 가능해진다.
도 12의 실시형태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1)의 출력을 케이블(81)을 통해 승강로(60)내에 설치한 제어판(80)에서 취출하고, 전화 회선 등의 통신망(82)에 의해 정보 센터(83)에서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상시 설치해두고, 상시 이상 발생에 대처하여 예방 보전과 인력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나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나 신호처리부에 있는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기록하는 메모리 기능을 구비시키고, 이 이상값 기록에 의해 로프 이상의 판단을 실시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이상값 기록을 정보 센터(83)의 원격 감시 단말기로 송신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의 예방 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3의 실시형태는 최상층에 기계실을 설치하는 기계실식 엘리베이터 방식에 있어서, 권상기(9) 근방의 빔(91) 상에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설치한 것이다. 권상기 근방은 로프가 광범위하게 이동하는 부분이고, 넓은 측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의 (B)에 도시한 외부 처리 장치(29)에 상시 데이터를 취입하여 로프 이상이나 손상의 확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형태는 승강로(60)의 피트(63) 부분에 권상기(92)를 배치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권상기(92) 근방의 피트 벽면(64)에 로프 이상 검출장치(1)를 설치하여, 로프(40)를 계측하는 것이다. 권상기 근방은 로프가 광범위하게 이동하는 부분이고, 넓은 측정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5의 실시형태는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 이상 검출장치(1)에 마크 부착장치(100)를 부속시킨 것이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크 부착장치(100)는 펠트 등으로 이루어진 마크 새김부(101)와 잉크 탱크(102)로 이루어진 마킹헤드(103)를 솔레노이드의 헤드 구동장치(10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마크 헤드(103)와 로프(40)는 약간의 틈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헤드구동장치(104)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여 로프에 접촉함으로써 로프에 잉크를 부착한다. 헤드 구동장치(104)는 지지대(105)에 얹어 설치되고, 또 지지대(105)는 검출부(11)의 정수리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헤드 구동장치(104)는 자기 또는 광케이블(106)로 신호처리부(12)의 콘센트(27a)(도 1)에 접속되어 이상 신호가 나오면 헤드 구동장치(104)가 동작하여 마킹 헤드(103)를, 병행하게 주행하는 메인 로프(40)에 눌러 잉크를 마킹한다. 이상 신호가 없어지면 솔레노이드의 뒤쪽에 배치한 스프링(107)에 의해 마킹 헤드(103)가 되돌아가 로프(40)와 마킹 헤드(103)와의 틈이 원 상태가 된다.
로프의 이상부 또는 그 근방을 마킹함으로써 이상부를 인식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점검원이 이상부를 찾아내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상기에서는 마킹을 잉크헤드의 누름에 의해 실시했지만, 마킹을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잉크젯 등의 비접촉 수단으로 실시함으로써, 로프에 접촉하는 것에 따른 헤드의 오염이 없어져 장기간 사용에 견딜 수 있다.
또, 마킹과 동시에 부저 등으로 점검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면 점검의 신속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안전성의 향상과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 작업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1)

  1. 강선 소선을 포함하는 로프에 근접하여 소선 파단 등의 이상을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 로프 이상 검출 기기 및
    상기 로프가 상대 이동하고, 또 로프의 주행로와의 간격이 일정한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의 소정 부분에 상기 로프 이상 검출기기를 유지 장착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이상 검출기기는 고정구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와 신호처리부가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체로 또는 분리되어 고정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 상부 또는 기계실에 설치된 권상기의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엘리베이터의 피트 내에 설치된 권상기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엘리베이터의 메인 로프의 방향 전환 활차의 근방에 상기 메인 로프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 시브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평행하게 배열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견인하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이고,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개의 메인 로프를 동시에 이상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로프 이상 검출기기를 1개 또는 복수개를 고정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를 복수개 설치하여 복수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
  12. 엘리베이터 점검 속도와 엘리베이터 정격 속도 중 어느 하나에서도 검출 가능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고정구에 상설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이상 검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가 메모리 기능을 갖고, 소정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메모리 기능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이상 검출장치를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장치에 접속하고, 어떤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그 이상값을 원격 감시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떨어진 장소에서 로프 이상 검출장치의 전원의 온과 오프를 실시하는 리모트컨트롤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가 메모리 기능을 갖고, 메모리 기능은 측정 전체 데이터를 기록하고, 또 그 측정 데이터를 외부 처리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메모리 기능에 의해 소정의 설정값 이상의 이상값을 검출한 경우에 이상값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이상 검출 신호에 의해 로프의 이상 부분 또는 그 근방에 로프 본체와는 다른 색채의 마크를 부착시키는 마크 부착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검출부가 고정구에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부가 병행하는 복수의 로프에 대응하여 채널을 갖고, 각 채널에서 상기 로프에 자속을 통하게 하는 자석과 센서의 조합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과 센서의 조합이 인접하는 채널마다 로프 주행 방향에 단차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복수의 로프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소정의 방향으로 교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이상 검출장치.
KR10-2004-7012487A 2002-09-04 2003-08-27 로프 이상 검출 장치 KR20040079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9331 2002-09-04
JPJP-P-2002-00259331 2002-09-04
JP2002348787A JP2004149317A (ja) 2002-09-04 2002-11-29 ロープ異常検出装置
JPJP-P-2002-00348787 2002-11-29
PCT/JP2003/010849 WO2004022469A1 (ja) 2002-09-04 2003-08-27 ロープ異常検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999A true KR20040079999A (ko) 2004-09-16

Family

ID=3198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487A KR20040079999A (ko) 2002-09-04 2003-08-27 로프 이상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4149317A (ko)
KR (1) KR20040079999A (ko)
CN (1) CN100390041C (ko)
TW (1) TWI286120B (ko)
WO (1) WO20040224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89B1 (ko) * 2006-12-06 2009-03-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20210075597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구동 로프 결함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0594B2 (ja) * 2003-09-19 2010-04-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
JP2006071603A (ja) * 2004-09-06 2006-03-16 Toshiba Elevator Co Ltd ロープ探傷装置
JP4825525B2 (ja) * 2006-02-01 2011-11-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ロープの探傷装置
DE102006011093A1 (de) * 2006-03-08 2007-09-13 TÜV Rheinland Industrie Service GmbH Seilschlupf-Detektor
EP1847501B1 (de) 2006-04-18 2014-10-01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Tragmittelüberwachungs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Zustandes des Tragmittels und Verfahren zur Prüfung des Tragmittels
JP4295774B2 (ja) * 2006-07-20 2009-07-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の探傷装置
JP2008183806A (ja) * 2007-01-30 2008-08-14 Toyo Advanced Technologies Co Ltd ワイヤソー
US20110192683A1 (en) * 2007-08-17 2011-08-11 Karl Weinberger Elevator system with support means stat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state of a support means
JP4415041B2 (ja) * 2007-10-10 2010-02-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ープ点検方法
JP4951579B2 (ja) * 2008-04-18 2012-06-1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探傷装置の取付装置
JP5420497B2 (ja) * 2010-07-30 2014-0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ー装置
CN102745573B (zh) * 2012-07-27 2015-03-25 重庆迈高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检修装置及其检修方法
JP6193077B2 (ja) * 2012-10-30 2017-09-06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の検査装置
JP2014088261A (ja) * 2012-10-31 2014-05-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5730358B2 (ja) * 2013-08-12 2015-06-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メインロープ点検装置
NL2012634B1 (en) 2014-04-16 2016-06-27 Ihc Holland Ie Bv Real-time rope monitoring.
JP6294246B2 (ja) * 2015-01-21 2018-03-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主ロープ点検方法
CN106018544B (zh) * 2016-06-24 2018-03-20 窦柏林 一种钢丝绳全息检测系统
JP2018100167A (ja) * 2016-12-20 2018-06-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異常検出器及び異常検出方法
JP6844431B2 (ja) * 2017-06-12 2021-03-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CN111212806B (zh) * 2018-01-12 2021-06-15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电梯的绳索的标记辅具
CN109573785B (zh) * 2019-01-02 2020-03-03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曳引钢带断绳检测装置、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6828129B1 (ja) * 2019-12-20 2021-02-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ロープ異常診断システム、ロープ異常診断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23692A (ko) 2021-07-21 2024-02-22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검사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7037A (en) * 1978-02-10 1979-08-22 Hitachi Ltd Elevator cage rope flaw detector
JPH0313269U (ko) * 1989-06-23 1991-02-12
JP3344640B2 (ja) * 1995-12-18 2002-11-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JP3454632B2 (ja) * 1996-04-25 2003-10-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ロープテスタ支持用治具
JP3547342B2 (ja) * 1999-07-30 2004-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の磁気探傷装置
JP2001151433A (ja) * 1999-11-25 2001-06-0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主ロープ素線切れ監視装置
JP2001163553A (ja) * 1999-12-15 2001-06-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ロープ探傷装置の保持装置
JP4500437B2 (ja) * 2000-12-15 2010-07-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出装置
JP4294235B2 (ja) * 2001-06-07 2009-07-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点検装置
JP4536359B2 (ja) * 2002-09-04 2010-09-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機械室をもたない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289B1 (ko) * 2006-12-06 2009-03-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20210075597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구동 로프 결함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5521A (zh) 2005-06-08
JP2004149317A (ja) 2004-05-27
CN100390041C (zh) 2008-05-28
TW200406356A (en) 2004-05-01
TWI286120B (en) 2007-09-01
WO2004022469A1 (ja)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9999A (ko) 로프 이상 검출 장치
TWI261570B (en) Flaw detection apparatus for wire rope of elevator
EP3401262B1 (en) Automatic elevator inspection and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EP3401264B1 (en) Automatic elevator counterweight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8214037A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JP4450594B2 (ja) ロープテスタ
WO2023277554A1 (ko) 유도전압 측정을 이용한 텐던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케이블의 진단시스템
WO2018172597A1 (en) A method and an elevator for automatic elevator condition checking
JP3547342B2 (ja) ワイヤーロープの磁気探傷装置
KR20080026617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JP5422971B2 (ja) 紡機の糸切れ検出装置
CN105293242A (zh) 一种电梯曳引绳检测装置
JP6469826B1 (ja) エレベータ
JP5210532B2 (ja) 簡易ロープ異常検知装置
JP4536359B2 (ja) 機械室をもたないエレベーターの異常検出装置
WO2015089755A1 (en) Pulley for lift system, lift system with pulley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t system
CN115616066A (zh) 钢丝绳检查系统和钢丝绳检查系统的定位方法
CN210375055U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ES2348376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la comprobación de medios de suspensión de mecanismos de elevación.
JP2018100167A (ja) 異常検出器及び異常検出方法
KR102304238B1 (ko) 승강기의 로프풀림 감지장치
CN215626089U (zh) 自动扶梯
KR101646749B1 (ko) 멤스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권상기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020838A (ja) エレベータの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