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661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6617A
KR20080026617A KR1020087001249A KR20087001249A KR20080026617A KR 20080026617 A KR20080026617 A KR 20080026617A KR 1020087001249 A KR1020087001249 A KR 1020087001249A KR 20087001249 A KR20087001249 A KR 20087001249A KR 20080026617 A KR20080026617 A KR 20080026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ing
elevator
car
suspension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589B1 (ko
Inventor
다케노부 혼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magnetic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은 현가 수단에 의해 매달려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현가 수단은 복수 개의 강철제 소선을 포함하는 현가체와, 현가체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를 가지고 있다. 피복체의 손상을 검출하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현가 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현가 수단, 승강로, 강철제 소선, 현가체, 피복체, 피복 이상 검출 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강철제(鋼製) 소선(素線)을 포함하는 현가체와, 현가체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를 갖는 현가 수단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자기 탐상(探傷)장치는, 로프를 자화(磁化)하는 여자기(勵磁器)와, 로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탐상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코일을 가지고 있다. 검출 코일로 검출된 탐상 신호는 앰프에 의해 증폭되어 기록계로 보내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소54-107037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외주부가 수지제의 피복체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기 탐상장치로는 피복체의 마모나 박리 등의 손상을 검출할 수 없다. 또, 시각 점검에 의해서도, 피복체가 어느 정도 손상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피복체의 손상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복수 개의 강철제 소선을 포함하는 현가체와, 현가체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현가 수단, 및 현가 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피복체의 손상을 검출하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인 로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복 이상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복 이상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는 기계대(1)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1)상에는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3)와, 권상기 본체(3)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4)를 가지고 있다. 기계대(1)의 권상기(2)의 근방에는 디플렉션 쉬브(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4) 및 디플렉션 쉬브(5)에는, 현가 수단으로서의 복수 개의 메인 로프(6)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6)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7)이 매달아져 있다. 메인 로프(6)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8)가 매달아져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7)은 권상기(2)의 한쪽에서 메인 로프(6)에 의해 매달아지고, 균형추(8)는 권상기(2)의 다른 쪽에서 메인 로프(6)에 의해 매달아져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7) 및 균형추(8)는 권상기(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된다.
각 메인 로프(6)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스트랜드(core strand)(9)와 코어 스트랜드(9)의 외주에 서로 꼬여져 있는 복수 개의 외주 스트랜드(10)를 포함하는 현가체로서의 메인 로프 본체(11)와, 메인 로프 본체(11)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12)를 가지고 있다. 코어 스트랜드(9)는 복수 개의 강철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외주 스트랜드(10)도, 복수 개의 강철제 소선을 서로 꼬아서 구성되어 있다. 피복체(12)는, 코어 스트랜드(9)와 외주 스트랜드(10)와의 사이, 및 외주 스트랜드(10) 사이에도 충전되어 있다. 피복체(12)는, 마찰 계수가 0.2 이상인 고마찰 수지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대(1)상에는, 피복체(12)의 손상을 검출하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는, 장착 도구(13a)를 통하여 메인 로프(6)의 구동 쉬브(4)와 디플렉션 쉬브(5) 사이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의 장착 각도는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는,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하우징(15) 내에는, 메인 로프(6)에 맞닿는 한 쌍의 가이드 풀리(또는 롤러)(16a, 16b)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풀리(16a, 16b)는, 메인 로프(6)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5) 내의 가이드 풀리(16a, 16b)사이에는, 메인 로프(6)의 손상을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검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로프(6)와 검출부(17) 사이에는, 가이드 풀리(16a, 16b)에 의해 소정의 갭이 확보되어 있다.
검출부(17)는 케이싱(18), 케이싱(18)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19a, 19b), 스프링(19a, 19b) 사이에 장착된 자석(20), 자석(20)에 장착된 가동측 접점(21) 및 케이싱(18)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측 접점(22a, 22b)을 가지고 있다. 고정측 접점(22a, 22b)은 가동측 접점(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자석(20)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는 가동측 접점( 21) 및 고정측 접점(22a, 22b)을 가지고 있다.
검출부(17)에는 표시 수단으로서의 표시등(23)이 접속되어 있다. 표시등(23)은, 가동측 접점(21)이 고정측 접점(22a, 22b)의 어느 한 쪽에 접촉함으로써 점등된다.
다음에,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 로프(6)가 정상적인 상태일 때에는, 가동측 접점(21)은 고정측 접점(22a, 22b)으로부터 개리되어 있으며, 표시등(23)은 소등되어 있다. 피복체(12)의 마모가 진행되면, 메인 로프 본체(11)와 자석(20) 사이의 흡인력이 커지게 되어, 자석(20)이 메인 로프(6)측으로 끌어당겨지는 동시에, 메인 로프(6)의 이동에 추종하여 메인 로프(6)의 이동 방향으로도 자석(20)을 끌어당겨진다. 그리고, 피복체(12)가 소정의 두께까지 마모되어 감소하면, 가동측 접점(21)이 고정측 접점(22a, 22b)의 어느 한 쪽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표시등(23)이 점등되는 동시에, 이상 검출 신호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로 보내진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4)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로부터의 이상 검출 신호를 받으면, 엘리베이터 칸(7)을 비상 정지시키던가 또는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칸(7)의 운전을 휴지시키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관리실에 이상을 통보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복체(12)를 갖는 메인 로프(6)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구동 쉬브(4)와 메인 로프(6)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엘리베이터 칸(7)의 경량화나 권상기(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동 쉬브(4)에 대한 메인 로프(6)의 매우 작은 미끄러짐에 의해, 피복체(12)가 마모하거나 박리되거나 하는 것이 염려되나,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를 메인 로프(6)에 근접하여 배치했기 때문에, 피복체(12)의 손상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어 보수 점검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강철제 소선이 단선되어 피복체(12) 밖으로 돌출했을 경우에는, 자력 에 따르지 않고 기계적으로 자석(20)이 변위되므로,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는 피복체(12)의 마모뿐만 아니라, 강철제 소선의 단선도 검출할 수 있다.
게다가 또,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는, 메인 로프(6)의 구동 쉬브(4)와 디플렉션 쉬브(5) 사이의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6)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 피복체(12)의 손상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변위 검출부로서 가동측 접점(21)과 고정측 접점(22a, 22b)의 조합을 나타냈으나, 변위 검출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자석의 변위를 근접 센서나 광학식 센서로 감시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슬라이드 스위치를 이용하거나,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나란히 배치하거나 해서 자석의 변위를 단계적으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피복체의 손상 레벨을 검출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피복체의 손상 레벨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손상 레벨이 갑자기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고, 손상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복 이상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는 하우징(15), 가이드 풀리(16a, 16b), 검출부(24) 및 표시등(23)을 가지고 있다. 검출부(24)는 케이싱(25), 케이싱(25)에 장착되어 메인 로프(6)에 대향하는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 및 케이싱(25)과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7)을 가지고 있다.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는, 센서 헤드 내의 센서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고주파 자장을 발생시킨다. 이 고주파 자장 내에 존재하는 강철제 소선의 표면에는,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자속의 통과에 대해 수직 방향의 와전류가 흘러 센서 코일의 임피던스(impedance)가 변화한다.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는, 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한 발진 상태의 변화에 의해, 강철제 소선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피복체(12)의 마모를 검출한다. 스프링(27)은,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에 메인 로프(6)가 접촉했을 때에 압축되어,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에 대한 메인 로프(6)의 접촉 압력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26)를 갖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13)를 이용했기 때문에, 피복체(12)의 두께 변화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복체(12)의 두께에 따라, 다른 색으로 표시등(23)을 점등시키거나, 엘리베이터 칸(7)의 정지 방법을 비상정지와 가장 가까운 층 정지로 변환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복 이상 검출 장치의 설치 장소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가 수단의 경로상에서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면, 다른 장소여도 된다.
또,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상시 설치해 두어도, 필요시(보수 점검시 등)만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 수단은 표시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피복체의 손상 레벨을 표시 가능한 인디케이터나, 피복체의 손상을 문자에 의해 알리는 디스플레이 등이어도 된다.
게다가 또, 표시 수단의 설치장소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로부터 이격된 장소여도 된다. 또, 표시 수단의 개수는 2개 이상어도 되며, 다른 복수의 장소에 표시 수단을 각각 설치해도 된다.
또, 현가 수단의 단면 구성은 도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타입 의 현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현가 수단의 단면형상도 도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벨트 모양의 메인 로프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메인 로프(6)의 양단부에 엘리베이터 칸(7) 및 균형추(8)가 매달려 있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2:1 로핑 방식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풀리 사이에서 현가 수단에 근접하도록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2)가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나, 기계실없는 엘리베이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복수 개의 강철제 소선을 포함하는 현가체와, 상기 현가체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현가 수단, 및
    상기 현가 수단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피복체의 손상을 검출하는 피복 이상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상기 현가 수단에 대향하는 자석과, 상기 현가 수단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자석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고주파 자계에 의해 상기 강철제 소선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해 상기 강철제 소선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와전류식 피복 두께 센서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이상 검출 장치는, 상기 현가 수단에 맞닿는 한 쌍의 가이드 풀리 와, 상기 피복체에 대향하도록 상기 가이드 풀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복체의 손상을 상기 현가 수단에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검출부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이상 검출 장치에는, 상기 피복체의 손상을 검출한 것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는, 상기 피복 이상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피복체의 손상이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87001249A 2006-05-25 2006-05-25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32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0443 WO2007138643A1 (ja) 2006-05-25 2006-05-25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617A true KR20080026617A (ko) 2008-03-25
KR100932589B1 KR100932589B1 (ko) 2009-12-17

Family

ID=3877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249A KR100932589B1 (ko) 2006-05-25 2006-05-2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20394B1 (ko)
JP (1) JP5436776B2 (ko)
KR (1) KR100932589B1 (ko)
CN (1) CN101233066B (ko)
WO (1) WO2007138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7508A1 (en) 2012-04-25 2013-10-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agnetic drill press
US20150239708A1 (en) * 2014-02-25 2015-08-27 Thyssenkrupp Elevator A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ad Bearing Member
WO2017136318A1 (en) 2016-02-01 2017-08-1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olding force detection for magnetic drill press
EP3309105A1 (en) * 2016-10-14 2018-04-18 Inventio AG Method and control device system for monitoring the suspension traction means of an elevator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and a control device system
EP3505482A1 (en) * 2017-12-29 2019-07-03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 rope of a hoisting apparatus
US11884516B2 (en) * 2018-06-25 2024-01-30 Otis Elevator Company Health monitoring of elevator system tension members
JP7110900B2 (ja) * 2018-10-15 2022-08-02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磁性体粒子操作用装置
CN110526146A (zh) * 2019-08-07 2019-12-03 徐州贝峰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矿山机械的平衡磁感应摩擦提升机设备
EP4065498A4 (en) * 2019-11-27 2023-07-26 KONE Corporation CONTROL OF AN ELEVATOR SYSTEM
US11718501B2 (en) 2020-04-06 2023-08-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heave wear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677A (ja) * 1983-07-15 1985-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用ワイヤ−ロ−プの自動監視装置
JPH0196502A (ja) * 1987-10-08 1989-04-14 Yokohama Rubber Co Ltd:The 厚み測定器及び厚み測定方法
JPH0673072U (ja) * 1993-03-26 1994-10-11 住友建機株式会社 ワイヤーロープの点検装置
JPH06331601A (ja) * 1993-05-26 1994-12-0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渦電流探傷器
JP3214190B2 (ja) * 1993-09-24 2001-10-0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非接触式膜厚測定器
JPH07218474A (ja) * 1994-02-08 1995-08-18 Hitachi Ltd 水中渦電流試験装置
JPH08333066A (ja) * 1995-06-09 1996-12-1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破断検出装置
FR2752294B1 (fr) * 1996-08-12 1998-11-27 Lorraine Laminage Procede et dispositif de mesure en continu d'epaisseur de revetement isolant
JP2001288871A (ja) * 2000-04-06 2001-10-19 Dyflex Corp 塗膜の形成方法および塗膜の膜厚測定方法
WO2002046082A1 (en) * 2000-12-07 2002-06-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main rope elongation sensor
JP4500437B2 (ja) * 2000-12-15 2010-07-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出装置
US6653943B2 (en) * 2001-07-12 2003-11-25 Inventio Ag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US20030062225A1 (en) * 2001-10-03 2003-04-03 Stucky Paul A. Elevator load bearing assembly having a detectable element that is indicative of local strain
JP2004075221A (ja) * 2002-08-12 2004-03-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4099186A (ja) * 2002-09-04 2004-04-02 Hitachi Ltd 昇降機のロープ診断装置
JP2004196449A (ja) * 2002-12-17 2004-07-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4232136A (ja) * 2003-01-30 2004-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ープ
JP4101110B2 (ja) * 2003-05-08 2008-06-18 東京瓦斯株式会社 渦流探傷センサ
JP2005195472A (ja) * 2004-01-07 2005-07-2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ロープテ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0394B1 (en) 2017-12-27
CN101233066B (zh) 2013-06-12
JP5436776B2 (ja) 2014-03-05
EP2020394A4 (en) 2013-02-20
WO2007138643A1 (ja) 2007-12-06
JPWO2007138643A1 (ja) 2009-10-01
CN101233066A (zh) 2008-07-30
EP2020394A1 (en) 2009-02-04
KR100932589B1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64130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4599024B2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ープ摩耗検出器
CA2543848C (en) Elevator apparatus
CN103764532B (zh) 电子化电梯
WO2004022469A1 (ja) ロープ異常検出装置
JPS6017754B2 (ja)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JP2007534577A (ja) クレーンのスチールロープの巻取りおよび巻出しを行うためのロープ巻取りシステム
JP2015037997A (ja) ロープの劣化診断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15902A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5923477B (zh) 电梯
JP2014101197A (ja) エレベータロープ劣化判定方法及びエレベータロープ保守装置
US10906775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CN1951793B (zh) 电梯的自动检查装置以及电梯的自动检查方法
JP5023112B2 (ja) エレベーター
US5886308A (en) Rope speed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WO2010098756A1 (en) Elevator inspection system
JP200922091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主ロープ断線検出装置
CN110386527A (zh) 电梯滚子导轮的预测故障检测
WO2018127272A1 (en) Elevator with overspeed governor rope monitoring
CN102009878A (zh) 电梯
JP2004196449A (ja) エレベータ
CN113853350A (zh) 钢丝绳提升机限位器
JP2004099328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異常検出装置
JPS59154354A (ja) 長尺磁性体の損傷部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