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289B1 -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289B1
KR100888289B1 KR1020060123272A KR20060123272A KR100888289B1 KR 100888289 B1 KR100888289 B1 KR 100888289B1 KR 1020060123272 A KR1020060123272 A KR 1020060123272A KR 20060123272 A KR20060123272 A KR 20060123272A KR 100888289 B1 KR100888289 B1 KR 10088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reaction
sensing member
reaction par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709A (ko
Inventor
이수철
김정오
김연훈
왕광식
이율
서희주
하란 벨라
레슬리 워터슨
브루스 훕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012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28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69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강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강장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 반응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S극의 주자석과, 주자석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되는 N극의 보조자석을 포함하고,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홀센서를 포함한다. 각 홀센서는 S극의 주자석을 감지하면 검출 신호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N극이 위치한 곳, 즉 S극의 주자석이 감지되지 않으면 검출 신호가 OFF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된다. 승강장측 실에 대해 엘리베이터 카측 실이 정확히 정렬되면, 복수의 홀센서는 모두 ON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DEVICE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해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 또는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의 층의 승강장에 도달하면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승강장측의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의 도어와의 정확한 착상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킨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및 검출방법은 감지기를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하고 차폐판을 승강로 내의 매층마다 감지기에 대응하도록 부착하여, 차폐판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되는 감지기의 신호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는 로프(12)를 통해 전동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로(14) 내에서 다수의 층(f1, f2) 사이를 상하 주행한다. 엘리베이터 카(10)의 외부 일측면에는 복수의 감지기(20)가 설치되고, 승강로(14)의 일측벽(w)에는 각 층(f1, f2)마다 감지기(20)와 대응하도록 차폐판(3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기(20)와 차폐판(30)은 엘리베이터 카(10)가 정지하고자 하는 목적층에 도착했을 때, 엘리베이터 카(10)의 도어와 승강장 도어(d)와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는가의 착상여부를 판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20)는 복수개(s1, s2, s3, s4, s5)로 구비되어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며 배열되는데, 예를 들어 좌측열에 세 개의 감지기(s1, s2, s3)가 상하로 배치되고, 우측열에 두 개의 감지기(s4, s5)가 상하로 배치된다. 각 감지기(s1, s2, s3, s4, s5)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 카(10)로부터 승강로(14)의 일측벽(w)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22a, 22b)를 가지는데, 일측의 연장부(22a)의 내부에는 영구자석(미도시)이 구비되고, 타측의 연장부(22b)의 내부에는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온/오프(ON/OFF)상태로 전환되는 리드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각 층(f1, f2)마다 승강로(14)내에 설치되는 차폐판(3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로(14)의 일측벽(w)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32)와, 베이스부(32)의 양측단에서 각각 좌측열의 감지기(s1, s2, s3)와 우측열의 감지기(s4, s5)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차폐면부(34a, 34b)를 포함한다. 차폐판(30)의 길이는 최하위 감지기(s3)의 하단에서 최상위 감지기(s1)의 상단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차폐판(30)이 감지기(s1, s2, s3, s4, s5)와 대향할 때, 차폐면부(34a, 34b)가 각 감지기(s1, s2, s3, s4, s5)의 한 쌍의 연장부(22a, 22b)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일측의 연장부(22a) 내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력이 차단되어 타측의 연장부(22b) 내에 구비된 리드스위치는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리드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줄여서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승강장의 바닥부와 일치되도록, 즉, 승강장측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가 정확히 착상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기계적 접촉방식의 리드 스위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내구성 및 작동신뢰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카 위치 검출의 정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폐판의 차폐정도에 따라 승강로 내에서의 리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의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리드 스위치의 온상태와 오프상태 간의 전환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리레벨링에 문제를 일으킨다. 더욱이, 엘리베이터를 계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로프의 슬립 등으로 인해 정렬 위치가 변화되어 이로 인한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후 차폐판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상대이동에 대해 둔감하게 작동함으로써 설치위치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강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강장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며, 반응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는 제1 반응부와, 제1 반응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되는 제2 반응부를 포함하고, 감지부재는 제1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와 제2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부는 S극과 N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제2 반응부는 제1 반응부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감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를 포함한다.
홀센서는 제1 반응부를 감지하면 검출 신호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제2 반응부가 위치한 곳에서는 검출 신호가 OFF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된다.
감지 부재는 각각의 상기 홀센서의 상기 제1 반응부 및 제2 반응부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에 부착되는 자속 집중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장착구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에 구비되는 승강장측 도어(102)는 승강장측 바닥부에 배치된 실(104)의 홈(106)을 따라 개폐되고, 엘리베이터 카(110)측 도어(112)는 카(110)측 바닥부에 배치된 실(114)의 홈(116)을 따라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는 승강장측 실(104)과 엘리베이터 카(110)측 실(114)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반응 부재(120)와 반응 부재(120)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부재(130)가 승강장측과 엘리베이터 카(110)측에 설치된다. 도 3에는 반응 부재(120)가 승강장측 실(104)의 저면에 부착되고, 감지 부재(130)가 엘리베이터 카(110)측 실(114)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응 부재(120)가 엘리베이터 카(110)측 실(114)의 저면에 부착되고, 감지 부재(130)가 승강장측 실(104)의 저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10)측 실(114)에 반응 부재(120)와 감지 부재(130) 중 하나가 부착되고, 승강장측 실(104)에 대응되는 높이의 승강로 벽면에 반응 부재(120)와 감지 부재(130)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될 수도 있다. 부호 126과 136은 각각 반응 부재(120)와 감지 부재(130)를 지지하며 이들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부재(120)와 감지 부재(130)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126, 136)은 토가드(108) 및 에이프런(118)의 측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토가드(108)와 에이프런(118)은 각각 승강장측 실(104) 하부와 엘리베이터 카(110)측 실(114)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하여 카 도어(112) 또는 승강장 도어(102)가 개방되었을 경우에, 탑승자나 물건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 부재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라켓(126, 136)을 에이프런(118) 및 토가드(108)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104, 114)의 저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반응 부재를 보인 정면도와 감지 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부재(120)는 브라켓(126)의 길이방향, 즉 승강로 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카(110)의 승강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장착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반응 부재(120)는 하나의 주자석(122)과 주자석(1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주자석(122)과 반대되는 극성으로 각각 배치되는 제1 보조자석(124a)과 제2 보조자석(124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자석(122)은 S극의 극성을 갖고, 제1 및 제2 보조자석(124a, 124b)은 N극의 극성을 갖는다. 제1 및 제2 보조자석(124a, 124b)은 주자석(122)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감지 부재(130)를 동작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스위칭 포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주자석(122)보다 작게 구비된다. 브라켓(126)에는 주자석(122)과 보조자석(124a, 124b)의 설치를 위해 자석(122, 124a, 124b)이 그 내부로 안착되는 홈(128)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브라켓(126)을 강자성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홈(128)내에 자석(122, 124a, 124b)을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부재(130)는 홀센서(132)와 자속 집중 부재(134)를 포함한다. 자속 집중 부재(134)는 홀센서(132)의 자석(122, 124a, 124b)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자속 집중 부재(134)는 홀센서(132)의 자석(122, 124a, 124b)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에 부착된다. 홀센서(132)는 주자석(122)을 감지하면 동작상태(ON)로 전환되고, 제1 및 제2 보조자석(124a, 124b)이 위치한 곳에서 동작해제상태(OFF)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자속 집중 부재(134)는 저탄소강 재질로 이루어진 원기둥형태를 가진다. 이는 자석(122, 124a, 124b)과 홀센서(132)와의 대면거리가 멀어질수록 분산되는 자속을 홀센서(132)에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자석(122, 124a, 124b)의 자속은 전류와 마찬가지로 자기 저항이 작은 길을 따라 형성되는데, 공기보다는 저탄소강이 자기 저항이 작으므로 자석(122, 124a, 124b)과 홀센서(132)와의 대면 거리가 길어져서 분산되던 자속선들이 저탄소강재질의 자속 집중 부재(134)쪽으로 모여서 홀센서(132)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홀센서(132)는 자석(122,a 124a, 124b)과의 대면 거리, 즉 승강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대이동거리에 둔감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자속 집중 부재(134)는 주자석(122)과 보조자석(124a, 124b)을 향하는 방향의 선단부, 즉 홀센서(132)에 접촉하는 선단부가 뾰족한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는 자속 집중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속 집중 부재(134)와 홀센서(132)의 부착을 위해 자속 집중 부재(134)의 선단부를 원뿔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단부의 원뿔대 형상의 단면의 면적은 홀센서(132)로의 자속 집중이 충분히 되도록 홀센서(132)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속 집중 부재(134)를 이용하여 자속을 홀센서(132)에 집중시키면 홀센서(132)의 동작점과 동작해제 점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자석(122)의 상하단에 각각 주자석(122)과 반대극성의 보조자석(124a, 124b)을 배치시킴으로써 홀센서(132)의 동작점 변동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주자석(122)의 상하단에 각각 주자석(122)과 반대극성으로 부착되는 보조자석(124a, 124b)에 의해 자속선이 주자석(122)과 보조자석(124a, 124b)의 경계면에서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홀센서(132)의 동작점 변동폭을 줄일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카(110)의 착상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엘리베이터 카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홀센서와 자속 집중 부재의 조합체로 이루어진 감지 부재(1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 즉 승강로내에서의 엘리베이터 카(110)의 승강이동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7에는 3개의 감지 부재(13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목적층의 승강장에 대한 착상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면 먼저 최상측에 위치한 감지 부재(130)의 홀센서(132a)가 최초 제2 보조자석(124b)을 지나 주자석(122)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유도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도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송되고, 급격한 제동에 의해 승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제어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계속해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승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위치한 홀센서(132a)는 주자석(122)과 그 상단에 부착된 제1 보조자석(124a)과의 경계선 바로 밑에 위치하고, 가운데에 위치한 홀센서(132b)는 주자석(122)의 중간부분에 대면하여 위치하며, 최하층에 위치한 홀센서(132c)는 제2 보조자석(124b)을 지나 제2 보조자석(124b)과 주자석(122)과의 경계선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개의 홀센서(132a, 132b, 132c) 모두는 주자석(122)에 의해 S극을 감지함으로써 동작상태(ON)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110)측 도어(112)가 승강장측 도어(102)에 정확히 착상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착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홀센서(132a, 132b, 132c)들의 동작,비동작상태(ON/OFF)의 조합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승강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110)의 정확한 착상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10)가 계속해서 상향 이동하면, 먼저 최상층의 홀센서(132a)가 제1 보조자석(124a)과 대면하면서 S극을 벗어남으로써 비동작상태(OFF)로 전환되고, 뒤이어 가운데 홀센서(132b)와 최하층의 홀센서(132c)가 차례대로 비동작상태로 전환된다. 즉,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부착되어 있는 주자석(122)과 제1 및 제2 보조자석(124a, 124b)과의 경계선이 바로 홀센서(132a, 132b, 132c)의 스위칭 포인트가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각각의 홀센서(132a, 132b, 132c)에 부착되는 자속 집중 부재(134)에 의해, 주자석(122)과 보조자석(124a, 124b)의 자속이 홀센서(132a, 132b, 132c)에 효과적으로 집중됨으로써 자석(122, 124a, 124b)과 홀센서(132a, 132b, 132c) 사이의 대면거리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홀센서(132a, 132b, 132c)가 자석(122, 124a, 124b)의 자속을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으면서,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주자석(122)과 보조자석(124a, 124b)에 의해 홀센서(132a, 132b, 132c)의 동작점과 동작해제점(주자석(122)과 제1 보조자석(124a)과의 경계 또는 주자석(122)과 제2 보조자석(124b)과의 경계)이 명확하게 결정되어지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향 이동할 때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110)가 하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주자석(122) 및 보조자석(124a, 124b)에 대해 상기와 같은 홀센서(132a, 132b, 132c)들이 감지하는 자속값의 조합형태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110)의 정확한 착상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주자석(122)의 극성을 S극으로 구성하고, 보조자석(124a, 124b)의 극성을 N극으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홀센서(132a, 132b, 132c)의 종류 또는 부착방법에 따라 주자석의 극성을 N극으로 하고, 보조자석의 극성을 S극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홀센서(132)가 자석(122, 124a, 124b)과 대면하여 발생되는 검출신호가 제어부(140)의 입출력포트(142)를 통해 속도 프로파일 생성기(144), 동기 위치 보정 장치(146), 그리고 도어존(Door Zone) 판별 장치(148)로 입력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110)의 위치를 제공한다.
도 11은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프로파일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지점에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출발하여 E지점에서 정지하는 것으로 제어된다고 가정할 때, B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승강로 내에서의 절대 위치를 알려주는 통상의 로터리 엔코더 신호이고, 각 C지점마다 층고측정을 위해서 홀센서(13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10)의 위치가 업데이트된다. E지점에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정확히 정지하기 위해서 D지점에서의 카(110)의 위치에 기초한 속도 프로파일에 의해서 카(110)의 속도가 제어되고, 홀센서(132), 자속 집중 부재(134) 및 자석(122, 124a, 124b)의 상호 작용에 의해 카(110)는 정확한 착상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반응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자석과, 주자석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주자석과 반대극성으로 부착되는 한 쌍의 보조자석을 포함하고, 감지 부재는 반응 부재의 자속을 감지하고 주자석과 대향시 동작하고 보조자석과 대향시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감지 부재의 동작구간이 일정한 거리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석을 이용한 센서의 경우 자석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센서의 동작점이 매우 크게 달라지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반응 부재인 주자석과 보조자석의 자속을 감지 부재에 집중시키기 위한 수단을 감지 부재에 구비시킴으로써,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사이의 대면거리에 따른 감지 부재의 동작점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감지 부재를 작동시켜 정확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장착구조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반응 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감지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향 이동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착상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향 이동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착상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착상된 때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감지 부재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
도 11은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 프로파일을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승강장 도어
110: 엘리베이터 카
112: 카 도어
120: 반응 부재
122: 주자석
124a: 제1 보조자석
124b: 제2 보조자석
130: 감지 부재
132: 홀센서
134: 자속 집중 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강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강장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반응 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반응부와, 상기 제1 반응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제1 반응부와 일렬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반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와 상기 제2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응부는 S극과 N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상기 제2 반응부는 상기 제1 반응부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상기 감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제1 반응부를 감지하면 검출 신호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고, 상기 제2 반응부가 위치한 곳에서는 검출 신호가 OFF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승강장측 실에 대해 엘리베이터 카측 실이 정확히 정렬되면, 상기 복수의 홀센서는 모두 ON 상태로 전환되어 유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5.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강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승강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강장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반응 부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반응부와, 상기 제1 반응부의 상단과 하단에 상기 제1 반응부와 일렬로 각각 부착되는 제2 반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와 상기 제2 반응부에 위치할 때 출력하는 검출신호가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응부는 S극과 N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상기 제2 반응부는 상기 제1 반응부와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석이고,
    상기 감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는 각각의 상기 홀센서의 상기 제1 반응부 및 제2 반응부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에 부착되는 자속 집중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집중 부재는 저탄소강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집중 부재는 상기 제1 반응부 및 제2 반응부를 향해 뾰족한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8. 삭제
KR1020060123272A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10088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72A KR100888289B1 (ko)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72A KR100888289B1 (ko)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709A KR20080051709A (ko) 2008-06-11
KR100888289B1 true KR100888289B1 (ko) 2009-03-11

Family

ID=3980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272A KR100888289B1 (ko)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9283B2 (en) * 2017-06-02 2023-05-02 Inventio Ag Floor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loor sig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999A (ko) * 2002-09-04 2004-09-16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로프 이상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999A (ko) * 2002-09-04 2004-09-16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로프 이상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709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5210B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CN107835780B (zh) 电梯装置
EP0792833B1 (en) Elevator leveling adjustment
KR930002219A (ko) 승강기 수평 현수 장치 및 제어장치
JP2008230770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JP5345210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EP3566993B1 (en) Synchronization based on distance of magnet assembly to rail
WO2008044303A1 (fr) Capteur de position magnétique
KR100888289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EP2038197A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elevator apparatus
EP0767132B1 (en) Correction run for an elevator system
US11993481B2 (en) Elevator system
WO2009093317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着床位置検出装置
KR102121127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로프 진단 장치
US20210245993A1 (en) Precise elevator car speed and position system
JP6699565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S646110B2 (ko)
JP4761879B2 (ja) エレベータ
KR100638754B1 (ko) 엘리베이터 카 위치검출장치
KR100292260B1 (ko)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장치
JP4416811B2 (ja) 着床制御装置付きエレベーター
KR20060028004A (ko)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KR102706973B1 (ko) 자기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JP5114913B2 (ja) エレベーターの速度検出装置
JP7566204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対面式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