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954A -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954A
KR20040057954A KR1020030094637A KR20030094637A KR20040057954A KR 20040057954 A KR20040057954 A KR 20040057954A KR 1020030094637 A KR1020030094637 A KR 1020030094637A KR 20030094637 A KR20030094637 A KR 20030094637A KR 20040057954 A KR20040057954 A KR 2004005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shell
wafer
annular
inle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220B1 (ko
Inventor
만쉬노세르지오
Original Assignee
소레마떼끄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레마떼끄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소레마떼끄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04005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21C11/006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by pressing or press-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6Filled waf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23G3/545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hollow products, e.g. with inedible or edible filling, fixed or movable within the ca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웨이퍼 하프 쉘(wafer half-shell)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상 표면(8)과 하나 이상의 측벽(1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입구를 가지며, 웨이퍼 하프 쉘에서 입구 표면(8)과 측벽(10)의 표면(18, 20)은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를 갖는다. 상기 측벽(10)의 외부 표면(20)은 주변으로 연장하며 하프 쉘의 입구 고리형상 표면(8)에 대해 들어간 다공성의 연속 또는 불연속한 영역(22)을 가지며, 영역은 하프 쉘의 입구를 형성하는 고리형상 표면(8)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의 측벽(10)에 연결된 방사상 벽(6)을 절단하여 얻어진다. 상보 하프 쉘의 고리형상 결합 표면은 바람직하게 서로에 상보하는 센터링(centering) 수단을 갖는다. 하프 쉘은 특히, 입구와 입구가 함께 들어맞는 한 쌍의 하프 쉘을 구비하며 액체 충전물 덩어리를 포함하는 식품의 생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 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A WAFER HALF-SHELL,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A FOOD PRODUCT INCLUDING IT}
본 발명은 하프 쉘에 담겨지는 충전물을 구비하며, 특히 입구와 입구가 함께 들어맞는 2개의 하프 쉘에 의해 형성된 셀에 봉입되는, 충전된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의 웨이퍼 하프 쉘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한 형식의 식품은 특히 과자류(confectionery) 및 제빵류(pastry)의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쉘은 제품 및 다양한 형상 예컨대, 구 형상, 계란 형상, 막대기 형상, 이중 절두 피라미드 형상(double truncated-pyramid shape) 또는 복수 개의 셀을 갖는 형상에 따라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EP-A-0 054 229호 및 WO 97/48282호 공보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프 쉘의 공지된 산업적 준비 방법은 연속적이며 통상 평평한 벽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하프 쉘을 갖는 웨이퍼의 준비를 포함한다. 중간 웨이퍼는, 보통은 서로 동일하며 하프 쉘 형상에 상보되는 형상의 홈들을 가로 줄 및 세로줄을 갖는 다중 오목 판으로 구성된 암(female) 하프 몰드와 중간 웨이퍼에 상응하는 형상의 캐비티를 다른 하프 몰드에 형성하는 수(male) 하프 몰드를 구비하는 몰드에서 웨이퍼 반죽을 구워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진 중간 웨이퍼에서, 모든 하프 쉘은 웨이퍼의 일측면에 양각이며, 상호 연결 벽이 하프 쉘의 입구를 구성하는 평면과 동일 평면에서 연장한다. 중간 웨이퍼는 웨이퍼에 전형적인 다공성 또는 다공질의 내부 구조와 큰 표면 구멍이 없이 거의 매끄럽게 마무리된 상부 및 하부 표면을 갖게 되는데, 이는 하부 몰드의 광이 나는 표면과 접촉하여 웨이퍼 혼합물이 구워진 것에 기인한다.
첫번째로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하프 쉘은 하프 쉘의 입구의 크기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의 복수 개의 강(steel) 펀치를 사용하여 하프 쉘의 각각의 입구의 전체 주변을 따라, 벽을 관통해 펀칭이 실행됨으로써 상호 연결 벽으로부터 분리된다.
하프 쉘의 입구 가장자리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면, 웨이퍼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톱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쉘의 분리가 펀칭 또는 톱질에 의해 실행될 때, 웨이퍼의 다공성 내부 구조가 외부에 노출되는 거칠고 부서지는 고리형상의 분리 영역은 하프 쉘의 입구를 형성하는 전체 고리형상 표면 둘레가 절단된 각각의 하프 쉘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프 쉘의 입구의 외형에 일치시켜 완벽하게 펀칭하거나 톱질하는 것, 즉 하프 쉘의 측벽의 외부 표면과 완벽하게 같은 높이로 하는 것이 어려우며, 그 결과 방사상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단차가 하프 쉘의 입구 둘레에 나타날 수도 있다.
펀칭 또는 톱질 작업이, 본래 요망되는 것인, 완벽하게 일치시켜 실행할 수 있을지라도, 웨이퍼 구조가 깨지기 쉽기 때문에, 하프 쉘의 입구를 형성하는 평평한 고리형상 표면에 전파되는 상호 연결 벽의 파손이 큰 위험이 있다. 이 경우,이 표면의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의 파괴 또는 부분적인 제거가 발생하여 이 부분에서 웨이퍼의 다공성 내부 구조가 노출된다.
하프 쉘 입구의 고리형상 표면의 상기 언급된 파손은 특히, 이렇게 생산된 2개의 하프 쉘이 입구와 입구를 함께 맞추고 액체, 크림 또는 풀(paste)과 같은 농도의 충전물을 포함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충전 제품의 생산에 이용될 때 문제의 근원이 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이 경우, 서로 맞추어지는 입구 표면들의 표면 마무리가 양호하지 못하고 개방 구멍의 존재로 외부 웨이퍼 구조 내로 충전물이 진입이 용이하게 되어, 포장의 내부 부분에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야기한다.
또다른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예컨대 EP-A-0 054 229호 및 EP-A-0 221 033호에서, 상기 언급된 중간 웨이퍼로부터 웨이퍼 하프 쉘의 절단은 상호 연결 벽에 평행한 평면에서 실행되고 있다. 이 경우, 절단 처리가 상호 연결 벽의 평면에 수직하게 실행되어 하프 쉘이 얻어지는 더 복잡한 펀칭 작업에 비해 절단 장치에 대한 투자 비용의 관점에서는 유리할지라도,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하프 쉘에서, 절단의 결과로 생긴 표면이 하프 쉘의 벽 두께 내에 놓이게 되며, 즉, 측면이 아닌 단부면이므로, 고리형상 입구 표면에는 어떠한 표면 마무리도 없으며 거칠고 다공성인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를 극복하기에 적절한 신규의 하프 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식품이 유체 충전물 덩어리 특히 액체 또는 크림과 같은 농도를 갖는 덩어리를 담을 때라도 서로 일치하게 하프 쉘들이 정합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 형상을 갖는, 고리 형상 정합 표면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2개의 하프 쉘을 구비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한 바와 같이 웨이퍼 하프 쉘 및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한 바와 같이 하프 쉘의 준비용 중간 제품뿐만 아니라 식품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프 쉘 바람직하게는 충전물을 포함하며 입구와 입구가 함께 들어맞는 2개의 하프 쉘을 구비하는 과자류 또는 제빵류 제품에 사용하는 웨이퍼에 관한 것이다.
고리형상 입구 표면의 매끄러운 마무리의 정도, 및 입구 표면이 상응하는 연결된 고리형상 표면에 그와 함께 동일 평면 관계 또는 상보적이라는 사실은 웨이퍼로부터 충전물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 제공된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의 명세서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cell)을 갖는 웨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한 쌍의 하프 쉘에 의해 형성된 식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하프 쉘이지만 L자 형상 엣지 프로파일을 갖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방사상 돌기를 갖는 원형 고리모양의 입구 표면을 갖는 웨이퍼 하프 쉘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6 내지 도 9에 각각 도시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상호 연결된 하프 쉘을 갖는 웨이퍼 시트 한 쌍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웨이퍼 하프 쉘 4 : 웨이퍼
6, 6a, 6b : 상호 연결 벽 8 : 고리형상 표면
10 : 측벽 12 : 상부 표면
14 : 고리형상 칼라 16 : 하부 표면
22 : 절단 영역 24 : 톱니 형상
26, 30 : 캐비티 28 : V자 형상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퍼 하프 쉘(2)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특성을 갖는 웨이퍼(4)로부터 분리되어 생산된다. 웨이퍼는 하프 쉘을 둘러싸는 연속적이며, 대체로 평평한 연결 벽(6)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가로 세로 줄에 정렬된 복수 개의 하프 쉘(2)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파단선으로 된 것과 같이, 하프 쉘(2)은 성형 몰드의 채널 또는 돌기에 의해 생산되는 복수 개의 상호 연결 벽(6a, 6b)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각각의 하프 쉘(2)은 상보 하프 쉘에 결합되는 고리형상 표면(8) 및 하프 쉘의 본체를 형성하는 측벽(1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개방된 상부 입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호 연결 벽(들)(6, 6a, 6b)은 입구를 형성하는 고리형상 표면(8)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웨이퍼(4)에서, 입구에 인접하여 고리형상 칼라(14)가 형성되도록 상호 연결 벽(6)의 상부 표면(12)이 고리형상 입구 표면(8)의 전체 평면에 대해 들어가 있다.
벽(6, 6a, 6b)의 상부 표면(12)과 고리형상 결합 표면(8)의 평면 사이의 간격은 하프 쉘(2)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넓은 폭 내에서 변경할 수도 있다.
웨이퍼(4)는 예컨대, 국제공개공보 WO97/48282에 기술된 몰드에 성형하여 굽는(baking)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도 있다. 상기 공보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몰드로부터 웨이퍼(4)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예컨대 약 2mm 내지 2.5mm인 상호 연결 벽(6)의 두께는 예컨대 약 1mm 내지 1.5 mm일 수 있는 하프 쉘의 벽 두께(1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 특히, 분리 표면의 깊이를 최소로 감소시키는 것이 요망될 때, 벽(6)의 두께를 하프 쉘(2)의 벽(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더 작게 하는 상황이 자연스럽게 생각될 수 있다.
몰드에서 구워져 생산된 웨이퍼(4)는 상호 연결 벽(6)의 상부 표면(12) 및 하부 표면(16)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프 쉘(2)의 상부 표면(18)과 하부 표면(20)을 가지며, 이는 표면 마무리가 양호한 수준 즉, 국부적인 표면 결함의 존재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큰 개방 구멍이 거의 없는 외부 스킨 또는 얇은 표면 껍질과 다소 유사한 매끄러운 홀은 광이 나는 표면을 갖는다. "매끄러운 표면"의 상기 언급된 정의는 표면이 양각(relief) 또는 들어간 패턴 또는 양각 처리된 표면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유사하게, 고리형상 결합 입구 표면(8) 및 고리형상 칼라 표면(14)은 동일한 표면 마무리를 가지며, 한편 웨이퍼(4)의 내부 구조는 다공성(porous), 다공질(cellular) 구조이다.
하프 쉘(2)은 절단 작업이 칼라(14)의 고리형상 표면을 간섭하지 않도록 입구 주위 전체를 벽(6)을 관통해 절단 작업함으로써 웨이퍼(4)로부터 얻어진다. 이 작업은 통상 하프 쉘(2) 입구의 크기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펀치 세트를 사용하여 펀칭하므로써 실행된다.
분리작업의 결과에 따라 하프 쉘은, 고리형상 입구 표면(8)의 전체 평면 밑의 위치이지만 입구에 인접한 그 측벽 또는 벽 상에서, 부분적으로 부서질 수 있는 거친 표면 및 개방 구멍을 갖는 외주 절단 영역(22)을 갖지만, 칼라(14)와 입구(8)의 고리형상 표면은 웨이퍼(4)의 전체 표면을 특징짓는 표면 마무리를 고수준으로 계속 유지한다.
하프 쉘이 단일 벽 또는 웹(6)에 의해 연결된다면, 이 외주 절단 영역은 연속 고리형상 띠(stripe)로 구성될 것이며, 반면에 상호 연결 벽(6a, 6b)인 경우 절단 영역은 불연속 띠로 될 것이다.
절단 및 분리 방법에 따라, 절단 영역의 표면은 벽(10)의 표면에 대해 약간 양각될 수도 있으며 또는 약간 들어가게 될 수도 있다. 절단 영역(22)의 높이는 중간 웨이퍼(4)의 구조적 강도에 관하여 허용되는 한계 내에서 상호 연결 벽(6)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규제될 수 있게 의도된다.
2개의 하프 쉘(2a, 2b)이 도 3에 도시된 형식의 셀을 형성하도록 입구와 입구가 함께 맞춰질 때, 함께 맞춰지는 고리형상 결합 표면(8)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음식의 악화를 야기할 수 있는 표면 결함 또는 작은 구멍(pore)이 없다.
본 발명은 반구형 하프 쉘의 생산에 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어떠한 형상 또는 크기의 하프 쉘의 생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의도된 것이다.
물론, 하프 쉘의 입구의 표면에 대한 "고리형상 표면"이란 용어는 비원형 고리형상 표면, 예컨대 다각형 면 또는 별모양 방사상 돌기를 갖는 원형 표면(도 5 참조)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자체가 폐쇄된 표면을 지시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입구를 형성하는 표면은 (수평) 평면을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상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격자무늬(greek key) 패턴, 톱니가 있거나 또는 L자형 표면 형상의 프로파일 예컨대 서로 짝이 되는 표면(8a, 8b)(도 4 참조)을 갖는 비평면 결합 입구 표면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전에 기술된 충전된 식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와 입구를 함께 맞춘 2개의 하프 쉘에 의해 형성된 제품으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예컨대 몰드된 초콜렛 셀과 같은 다른 식품으로 만들어진 하프 쉘과 함께 입구와 입구가 연결된 단일 웨이퍼 하프 쉘 또는 웨이퍼의 평평한 베이스나 다른 음식물(food substance)로 베이스를 닫은 단일 웨이퍼 하프 쉘을 포함하는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퍼 하프 쉘은 상보 하프 쉘의 고리형상 결합 표면에 제공된 센터링 수단에 상보하는 센터링 수단이 설치된 고리 형상 결합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입구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고리형상 결합 또는 정합 표면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2개의 하프 쉘을 구비하는 음식이며, 상기 하프 쉘의 고리형상 정합 표면은 서로 상보하는 센터링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후자의 실시의 예를 도 6 내지 도 9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하였다.
후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표면은 단일 평면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2개의 하프 쉘이 일치하여 결합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한 센터링 수단을 갖기 위한 형상이다. 용어 "일치"는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 표면을 따라 또는 대체로 전체 표면을 따라 결합 표면이 맞춰지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센터링 수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의 전체 평면에 직교하는 부분에서) 톱니가 있거나, 지그재그 형상이거나, L자 형상이거나, V자 형상인 프로파일 또는 격자무늬 패턴 프로파일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진 프로파일을 갖는 결합 표면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서, 센터링 수단은, 하프 쉘(2a)의 결합 표면(8a)에 톱니형상(24)(또는 U자 형상) 또는 V자 형상(28)이며 다른 하프 쉘(2b)의 고리형상 결합 표면(8b) 내 상보 캐비티(26, 30) 각각과 맞물리게 한 돌출 형성부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이미 언급된 예와 같이, 상기 센터링 수단은 계단 형상 또는 L자 형상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센터링 수단은 경사 프로파일을 갖는 결합 표면(8a, 8b) 자체에 의해 형성되므로, 결합 표면이 테이퍼 되어 있고, 예컨대, 결합 표면은 하프 쉘에 채택된 입구 프로파일에 따라 절두 원추형(frusto-conical) 또는 절두 피라미드형(frusto-pyramidal) 표면이다.
결합 표면과 이와 연관된 센터링 수단의 표면은 이전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인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결합 수단의 존재에서, 후자가 바람직한 해법을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하프 쉘이 얻어지는 웨이퍼 시트의 상호 연결 벽(6)이 고리형상 결합 표면(8a, 8b)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연결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링 수단을 갖는 하프 쉘은 상호 연결된 하프 쉘과 함께 웨이퍼 시트로부터 얻어지며, 상호 연결 벽은 결합 표면(8a, 8b)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에 연결된다. 이러한 들어간 상호 연결 벽은 도 10 및 도 11에서 참조 부호(6c)로 도시되어 있다.
상호 연결 벽(6c)이 고리형상 결합 표면에 대해 들어가거나 서로 엇갈릴 때,상호 연결 벽으로부터 하프 쉘을 분리하는 절단 작동이 뒤따르게 되므로, 얻어진 하프 쉘은 가능한 부분적으로 부서지는 거친 표면 및/또는 개방 구멍을 가지며, 정합 표면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연장하는 연속 또는 불연속 외주 절단 영역(22)을 그 측벽에 나타낸다.
도 7은 도 11의 하프 쉘이 분리된 결과에 따른 상기 절단 영역(22)을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센터링 수단이 존재할 때, 하프 쉘 사이에 상호 연결 벽이 도 10에서 상호 연결 벽(6d)에 의한 거리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표면의 일부분과 동일 평면 또는 같은 높이에 놓여 있는 상부 표면(쉘의 입구 측을 향해 지향됨)을 갖는 경우를 제외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10의 상호 연결된 하프 쉘로부터 얻어진 제품을 도시하며, 결합 표면(8b)의 접촉부와 동일 평면인 절단 상호 연결 벽(6d)에 의해 얻어진 절단 영역(22a)을 나타낸다.
동일하게, 도 8 및 도 9는 도 12 및 도 13의 각각 상호 연결된 하프 쉘로부터 얻어진 제품을 도시하며, 그 결과 절단 영역(22b, 22c, 22d, 22e)이 도시된다.
도 12의 예에서, 하프 쉘(2b) 사이의 상호 연결 벽(6e)이 결합 표면(8b)의 끝단부에 대해 들어가므로써, 상응하는 절단 영역(22c)(도 8 참조)은 결합 표면(8b)을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서, 하프 쉘(2a) 사이의 상호 연결 벽(6f)은 표면(32)을 가지며, 이 표면은 고리형상 결합 표면(8a)에 접촉하거나 직접 연결된다.
도 13에 유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하프 쉘 사이의 상호 연결 벽이 참조부호(6f, 6g)로 도시된다. 도 13의 하프 쉘로부터 얻어진 제품은 도 9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프 쉘의 준비용 중간 제품뿐만 아니라 식품 특히, 적어도 하나의 하프 쉘 바람직하게는 충전물을 포함하며 입구와 입구가 함께 들어맞는 2개의 하프 쉘을 구비하는 과자류 또는 제빵류 제품에 유용한 웨이퍼를 제공한다.
또한, 고리형상 입구 표면의 매끄러운 마무리의 정도와 입구 표면이 어떠한 상응하는 연결된 고리형상 표면에 그것과 함께 동일 평면 관계 또는 상보적이라는 사실은 웨이퍼로부터 충전물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7)

  1. 입구 고리형상 표면(8)과 측벽(10)의 표면(18, 20)이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형상 표면(8)과 하나 이상의 측벽(10)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입구를 갖는 웨이퍼 하프 쉘에 있어서,
    상기 측벽(10)의 외부 표면(20)은 주변으로 연장하며 하프 쉘의 입구 고리형상 표면(8)에 대해 들어가 있는 다공성의 연속 또는 불연속한 영역(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영역(22)은 하프 쉘의 입구를 형성하는 고리형상 표면(8)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의 측벽(10)에 연결된 하나(6) 또는 그 이상(6a, 6b)의 방사상 벽을 절단하여 얻어진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프 쉘(2)의 측벽(10)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 연결 벽(6, 6a, 6b)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고리형상 입구 표면(8)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에 연결된 복수 개의 하프 쉘(2)을 구비하는 중간 웨이퍼(4)로부터 절단되어 생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표면(8a, 8b)은 상보 하프 쉘의 상보 센터링 수단(26, 30)에 들어맞게 한 센터링 수단(24, 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테이퍼진 고리형상 결합 표면(8a, 8b), 또는 U자형, V자형, L자형 프로파일 또는 톱니가 있거나, 격자무늬 패턴 또는 지그재그식 프로파일을 갖는 결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
  6. 적어도 하나의 수용 측벽(1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호 연결 벽(6)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 개의 하프 쉘(2)을 포함하는 웨이퍼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벽(6)은 각각의 하프 쉘(2)의 고리형상 입구 표면(8)에 관해서 들어간 위치에서 상기 하프 쉘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쉘(2)들은 상기 하프 쉘들(2)들의 상기 수용 측벽(10)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 개의 상호 연결 벽(8a, 8b)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프 쉘을 구비하며, 하프 쉘(2)에수용되는 충전 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입구와 입구가 서로 맞춰지며, 충전물 덩어리를 포함하는 한 쌍의 하프 쉘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하프 쉘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0. 입구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고리형상 정합 표면(8a, 8b)을 따라 서로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웨이퍼 하프 쉘을 구비하는 식품으로서, 상기 하프 쉘 각각의 상기 고리형상 정합 표면은 서로에 상보적인 센터링 수단(24, 26; 28, 30; 8a, 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상호 맞물림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톱니가 있는 프로파일, U자형 프로파일, V자형 프로파일, L자형 프로파일, 격자무늬 프로파일 또는 지그재그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리형상 정합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수단은 테이퍼진 고리형상 정합 표면(8a, 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쉘 중 적어도 하나는 주변으로 연장하며, 상기 하프 쉘의 정합 고리형상 표면(8a, 8b)에 대해 들어간 다공성의 연속 또는 불연속한 영역(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 정합 표면(8a, 8b) 및 상기 센터링 수단의 표면은 매끄러운 표면 마무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6. 입구(8)와 내포하는 측벽(10)을 갖는 웨이퍼 하프 쉘(2)의 준비 방법에 있어서,
    하프 쉘(2)의 고리형상 입구 표면(2)에 대해 들어간 위치에서 하프 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호 연결 벽(6)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하프 쉘(2)을 구비하는 웨이퍼(4)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호 연결 벽(6)의 전체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상호 연결벽(6)으로부터 각각의 하프 쉘(2)이 분리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4)는 몰드에서 웨이퍼 반죽을 구워서 생산한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KR1020030094637A 2002-12-23 2003-12-22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 KR100655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25792A EP1433384B9 (en) 2002-12-23 2002-12-23 A wafer half-shell,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a food product including it
EP02425792.5 2002-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54A true KR20040057954A (ko) 2004-07-02
KR100655220B1 KR100655220B1 (ko) 2006-12-08

Family

ID=3240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37A KR100655220B1 (ko) 2002-12-23 2003-12-22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404978B2 (ko)
EP (2) EP1433384B9 (ko)
KR (1) KR100655220B1 (ko)
CN (1) CN1327800C (ko)
AR (1) AR042804A1 (ko)
AT (2) ATE301934T1 (ko)
AU (1) AU2003271308B2 (ko)
BR (1) BR0306273B1 (ko)
DE (2) DE60205643T2 (ko)
ES (2) ES2247293T3 (ko)
HK (1) HK1068522A1 (ko)
RU (1) RU232435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3874A1 (de) * 1987-07-10 1989-01-19 Bayer Ag Hydroxyalkyl-azolyl-derivate
RU2246219C2 (ru) * 2002-04-04 2005-02-20 Голованов Леонид Михайлович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афельного изделия под жиросодержащий кондитерский продукт
DE60205643T2 (de) 2002-12-23 2006-03-02 Ferrero Ohg Mbh Waffelhalbschal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Lebensmittel enthaltend derselben
US20060251777A1 (en) * 2003-08-06 2006-11-09 Koplish Debra L Interlocking edible sideliner for cake decoration, method, three-dimensional cake sculpture method and product
US20100278979A1 (en) * 2003-08-06 2010-11-04 Signed Originals, Inc. Interlocking edible sideliner for cake decoration, method, three-dimensional cake sculpture method and product
ES2333325T3 (es) * 2004-10-18 2010-02-19 Soremartec S.A. Metodo para soldar hojas de barquillo y producto asi obtenido.
WO2007030031A1 (fr) * 2005-09-06 2007-03-15 Tonkoshkurenko Igor Prokhorovi Enveloppe gaufree pour produits de confiserie
EP1967069B1 (en) * 2007-03-08 2011-05-11 Soremartec S.A. Wafer sheet, corresponding production plate and method of use
WO2008139424A1 (en) * 2007-05-16 2008-11-20 Jonathan Traub Item of confectionary
DE202008001662U1 (de) * 2008-02-06 2008-04-17 Walterwerk Kiel Gmbh & Co. Kg Cerealien aus Waffelsteig
US20090297676A1 (en) * 2008-05-30 2009-12-03 Woo-Young Kim Case for fast food
US20100055257A1 (en) * 2008-08-31 2010-03-04 Dana Petersen Hervig Chocolate candy
IT1396796B1 (it) * 2009-12-03 2012-12-14 Soremartec S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prodotti da forno in forma di semiguscio.
US20120308694A1 (en) * 2011-06-03 2012-12-06 Price William D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even defrosting of frozen food products
ITTO20120034A1 (it) 2012-01-19 2013-07-20 Soremartec Sa Procedimento di saldatura di cialde di wafer e relativa apparecchiatura
US10375968B2 (en) 2013-03-15 2019-08-13 Frito-Lay North America, Inc. Method for making a shaped snack chip
ITUA20162845A1 (it) * 2016-04-22 2017-10-22 Luigi Zaini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uovo per l'industria dolciaria a base di cioccolato e/o crema, e uovo così realizzato
US10150046B1 (en) 2016-06-28 2018-12-11 Julio & Sons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n edible piñata
LU100316B1 (en) * 2017-06-14 2018-12-18 Soremartec Sa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water half-shells
US11779031B2 (en) * 2017-11-03 2023-10-10 Ronald Dushey Method for producing crunch/crisp frozen dessert confection
US20190358552A1 (en) * 2018-05-25 2019-11-28 Melissa Saul Method and apparatus for holiday toy
US11432563B2 (en) 2018-10-26 2022-09-06 John Joseph Zarro Methods of making sugar cone spher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5680A (en) * 1922-01-25 1927-01-25 Maryland Baking Co Ice-cream cone
US2069027A (en) * 1935-12-24 1937-01-26 Joseph Shapiro Method of manufacturing cup pastry
US2404177A (en) * 1942-03-05 1946-07-16 Richard P Jetschmann Pastry
US4260596A (en) 1979-08-13 1981-04-07 Bristol-Myers Company Edible unit dosage form consisting of outer mannitol shell and inner liquid or gel cen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T1129399B (it) * 1980-12-15 1986-06-04 Ferrero & C Spa P Procedimento per ritagliare valve di gusci formate in una cialda di wafer
IT1144189B (it) 1981-04-24 1986-10-29 Ferrero Spa Prodotto di pasticceria con ripieno
IT1205369B (it) * 1981-12-30 1989-03-15 Ferrero Spa Prodotto di pasticceria con ripieno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IT1182644B (it) * 1985-10-30 1987-10-05 Ferrero Spa Apparecchiatura per ritagliare valve di gusci formati in una cialda di wafer
JPH02100633A (ja) * 1988-10-05 1990-04-12 Furuta Seika Kk ナッツ入り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CH688808A5 (it) * 1993-03-12 1998-04-15 Soremartec Sa Procedimento per formare linee di saldatura di materiale adesivo, particolarmente in prodotti alimentari, e relativo dispositivo.
DK171697B1 (da) * 1994-05-31 1997-03-24 Aasted Mikroverk Aps Anlæg til fremstilling af skaller af flydende, tempererede og fedtholdige chokoladelignende masse, skaller fremstillet derved, levnedsmiddelartikler omfattende nævnte skaller samt anvendelse af nævnte skaller som indgående betanddele i levnedsmiddelartikler
CH691022A5 (it) * 1996-06-17 2001-04-12 Soremartec Sa Procedimento per realizzare cialde sagomate, prodotto intermedio e cialda ottenuta con tale procedimento, e relativo stampo.
US5792496A (en) * 1997-01-10 1998-08-11 Fekete; Ferenc Edible shell/thermoplastic container system
DE69922629T2 (de) * 1999-04-02 2005-05-19 Ferrero Ohg Mbh Gefüllte Waffelhohlkörper mit darauf aufgelegten Pralinen
EP1110459A1 (en) * 1999-12-22 2001-06-27 Soremartec S.A.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d product
EP1258194A1 (en) * 2001-05-17 2002-11-20 BVBA Impulse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confectionery products and a wafer mould suitable therefor
DE60205643T2 (de) 2002-12-23 2006-03-02 Ferrero Ohg Mbh Waffelhalbschal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Lebensmittel enthaltend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5643T2 (de) 2006-03-02
EP1433386A1 (en) 2004-06-30
HK1068522A1 (en) 2005-04-29
ATE341216T1 (de) 2006-10-15
AU2003271308B2 (en) 2009-01-15
EP1433384B1 (en) 2005-08-17
EP1433384B9 (en) 2012-09-26
US7404978B2 (en) 2008-07-29
RU2003136846A (ru) 2005-06-10
BR0306273A (pt) 2005-05-17
ES2247293T3 (es) 2006-03-01
ES2274165T3 (es) 2007-05-16
CN1327800C (zh) 2007-07-25
EP1433384A1 (en) 2004-06-30
CN1518904A (zh) 2004-08-11
DE60308802T2 (de) 2007-02-15
DE60205643D1 (de) 2005-09-22
AU2003271308A1 (en) 2004-07-08
AR042804A1 (es) 2005-07-06
EP1433386B1 (en) 2006-10-04
US20040137123A1 (en) 2004-07-15
BR0306273B1 (pt) 2011-10-04
DE60308802D1 (de) 2006-11-16
ATE301934T1 (de) 2005-09-15
KR100655220B1 (ko) 2006-12-08
RU2324357C2 (ru) 200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220B1 (ko) 웨이퍼 하프 쉘, 웨이퍼 하프 쉘의 준비 방법 및 웨이퍼하프 쉘을 포함하는 식품
RU254165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печных изделий в форме полуоболочек
EP0906021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aped wafers, an intermediate product and a wafer obtained by this method, and an associated mould
KR20100129872A (ko) 유니버셜조인트의 크로스-스파이더 폐쇄 단조장치 및 그 방법
US5962050A (en) Pizza-type product having an increased length of exposed crust edge, and method of making
RU170396U1 (ru) Штамп-вырубка для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зделий
RU2089069C1 (ru) Продукт питания и форма для выпечки оболочки продукта питания
RU2091026C1 (ru) Лепешка для секционной пиццы и форма для выпечки лепешки
JP2008079571A (ja) 組立式クッキー用抜き型
JP2010075638A (ja) サンドイッチ成形器
FI106358B (fi) Leivontatuot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2003180234A (ja) ピザ生地製造方法
JP3739033B2 (ja) 蒸し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97107194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зделий
JP2004016099A (ja) もなか皮の製造方法
JPH0777548B2 (ja) 中華まんじゅうの製法及びその加工具
JP2009120246A (ja) 複数連接型容器
CO4440552A1 (es) Metodo y aparato para producir arepas
JP2007068494A (ja) もなか皮の製造型、もなか皮の製造方法
JP2004035053A (ja) 湯切り孔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