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465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465A
KR20040028465A KR1020020073345A KR20020073345A KR20040028465A KR 20040028465 A KR20040028465 A KR 20040028465A KR 1020020073345 A KR1020020073345 A KR 1020020073345A KR 20020073345 A KR20020073345 A KR 20020073345A KR 20040028465 A KR20040028465 A KR 20040028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plate
touch panel
substrate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243B1 (ko
Inventor
나카야마나오미
에가미다케히로
이마이가즈오
야고다케시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Abstract

압전기판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의 배선의 단순화를 도모하고, 경량화 및 소형화 또한 박형화를 도모함에 효과적인 터치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표면에 입력 조작면을 구비하는 가동판과, 가동판과 약간의 절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동판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기판과, 상기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양면에 한 쌍의 구동 전극이 고착되는 압전기판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가동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 및 압전기판의 한 쌍의 구동 전극을 1개의 커넥터 테일을 사용하여 일체로 인출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가동판(可動板)을 가압(加壓)할 때에 가압되고 있는 가동판 또는 가동판을 지지하는 지지기판(支持基板)을 진동시켜 조작자에게 입력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터치패널 입력장치(touch panel 入力裝置)에 사용할 수 있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전기판(壓電基板)을 사용하여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을 진동시키는 터치패널에서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터치패널 입력장치로 사용된다.
터치패널 입력장치란, 가동판과 지지기판이 그 대향면(對向面)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導電體層) 사이를 약간의 절연(絶緣) 간격을 두고 적층(積層)하여 배치되고, 가동판이 가압될 때에 그 가압위치에 대향하는 도전체층 사이가 접촉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그 가압위치의 데이터를 각종 처리장치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터치패널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가동판과 지지기판이 약간의 절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적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판의 가압 스트로크(加壓 stroke)가 수십∼수백 미크론(micron)으로 매우 작아 조작자는 입력 조작감을 느끼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가동판을 가압할 때에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 등을 진동시킴으로써 가압하는 지점에서 느끼게 하는 포스 피드백형 터치패널(force feedback type touch panel)이 채용되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먼저 단순한 구동회로에 의하여 조작자가 검지할 수 있는 진동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발생시키는 터치패널로서, 다음과 같은 발명에 관하여 특허출원을 하였다(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01-312399호).
그것은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한 쌍의 구동 전극이 고착(固着)되는 압전기판을 직접 또는 구동 전극을 통하여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고, 입력 조작면(入力 操作面)으로의 가압을 검출할 때에 한 쌍의 구동 전극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신축(伸縮)하는 압전기판에 의하여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을 진동시키는 터치패널 입력장치이다.
본 발명은, 앞서 출원한 상기 특허출원에 있어서의 터치패널의 배선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면(裏面)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가동판과 상면(上面)에 도전체층을 형성하는 지지기판을 약간의 배선 간격을 두고서 적층하고, 이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압전기판을 고착하는 구조의 터치패널에 있어서는, 가동판 및 지지기판으로의 배선과 압전기판의 구동용 배선을 인출(引出)할 필요가 있다.
이들 배선을 각각 인출하여 커넥터에 접속하면, 예를 들면 압전기판을 지지기판의 양단(兩端) 2곳에 설치하는 경우에 3개의 커넥터가 필요하게 되고, 배선도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터치패널의 경량화(輕量化), 소형화(小型化)를 도모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압전기판을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사이에 단지 끼우는 구조나 지지기판의 이면측(裏面側)에 고착하는 방법으로는 터치패널의 박형화(薄型化)가 충분히 도모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전기판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의 배선의 단순화를 도모하고, 경량화 및 소형화 또한 박형화를 도모함에 효과적인 터치패널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터치패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터치패널 등의 커넥터 테일의 접속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압전기판 접속부의 단면도(도2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커넥터 테일 접속부의 단면도(도2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커넥터 테일 접속부의 상세한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지지기판의 이면에 홈부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지지기판의 표면에 홈부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지지기판의 측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압전기판으로의 커넥터 테일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압전기판으로의 커넥터 테일의 다른 접속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압전기판의 구동 전극과 가동판의 전극을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2중 필름 구조의 터치패널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치패널(touch panel)2 : 압전기판(壓電基板)
21, 22 : 압전기판의 구동 전극(驅動 電極)
3 : 가동판(可動板)31 : 가동 도전체층(可動 導電體層)
32 : 가동 도전체층의 전극4 : 지지기판(支持基板)
41 : 고정 도전체층(固定 導電體層)
42 : 지지기판의 도전체층의 전극(고정 도전체층 전극)
43a, 43b, 44a, 44b : 압전기판 접속용 전극
5 : 스페이서 부재(spacer 部材)(점착제층(粘着劑層))
6 : 도전성 접착제7 : 커넥터 테일(connector tail)
71 : 테일 기판(tail 基板)72 : 동박 도금 패턴(銅箔 鍍金 pattern)
73 : 보호 시트재(保護 sheet材)74 : 이방 도전성막(異方 導電性膜)
75 : 은(銀)의 도전성 인쇄박판(導電性 印刷薄板)
76 : 커넥터 테일의 홈부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은, 표면(表面)에 입력 조작면(入力 操作面)을 구비하는 가동판(可動板)과, 가동판과 약간의 절연(絶緣)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동판을 배면(背面)에서 지지하는 지지기판(支持基板)과, 상기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대향면(對向面)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導電體層)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한 쌍의 구동 전극(驅動 電極)이 고착(固着)되는 압전기판(壓電基板)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에 있어서, 가동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 및 압전기판의 한 쌍의 구동 전극을 1개의 커넥터 테일(connector tail)을 사용하여 일체(一體)로 인출(引出)한다.
여기에서 1개의 커넥터 테일을 사용하여 일체로 인출한다는 것은, 터치패널에 복수의 커넥터를 분리하여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또한 커넥터 테일이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절연성의 테일 기판에 동박(銅薄) 모양의 도금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를 테일 보호 시트재로 덮은 것을 말한다.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은, 1개의 커넥터 테일을 사용하여 일체로 인출하는 경우에 1개의 커넥터 테일 기판(connector tail 基板)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가동판과 지지기판과의 도전체층 전극에 접속하는 부분과,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형성하는 한 쌍의 구동 전극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일체로 인출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테일의 테일 기판의 접속부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가동판이나 지지기판과 압전기판의 두께 방향의 단차(段差)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은,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에서 한 개의 전극을 길이 방향의 일측(一側)으로 접어서 꺾고, 압전기판의 동일면(同一面)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으로, 이에 따라 압전기판의 일면(一面)에서 인출하는 선과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은, 지지기판의 변부(邊部)에 홈부 또는 지지기판의 측부(側部)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부 또는 오목부에 압전기판을 배치한 것으로, 이에 따라 터치패널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작용한다.
청구항5에 기재한 발명은,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에 형성하는 한쌍의 전극 중에서 한 개의 전극을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접어서 꺾고, 상기 압전기판의 동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지지기판의 이면(裏面)에 도전성 인쇄(導電性 印刷)로 한 쌍의 인출 배선 패턴(引出 配線 pattern)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배선 패턴의 일단(一端)에 상기 압전기판의 한 쌍의 전극을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타단(他端)에 커넥터 테일을 열압착(熱壓着)한다.
이와 같이 지지기판의 이면에 도전성 인쇄로 배선 패턴을 형성하면, 이 배선 패턴을 이용하여 커넥터 테일을 열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얇아져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한 발명은, 인출 배선의 공통화, 단순화를 도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표면에 입력 조작면을 구비하는 가동판과, 가동판과 약간의 절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동판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기판과, 상기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양면에 한 쌍의 구동 전극이 고착되는 압전기판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압전기판의 전극을 접속하고 가동판 및 지지기판으로부터 커넥터 테일로 인출선(引出線)을 형성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한 터치패널(touch panel)1의 외관을 도1에 나타낸다.
터치패널에서 1개의 커넥터 테일(connector tail)7로 인출하여 배선되어 있다.
도2에 커넥터 테일부의 배선구조를 나타내고, 도3에 A-A선 단면의 상세한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4에 B-B선 단면의 상세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가동판(可動板)3은 투명한 합성수지(合成樹脂), 여기에서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를 사용하여 가요성(可撓性)의 사각형 시트(sheet)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다.
가동판3의 재질로서는, 후술하는 지지기판(支持基板)4측으로 약간 휘어지는 것이라면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기판4의 안쪽에 설치하는 표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투명재료를 사용하고, 어느 정도의 강성(剛性)이 필요하다면 글래스 기판(glass 基板), 아크릴판(acryl板)을 사용하고, 가요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면 PC(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ES(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I(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동판3의 표면에는 투명한 하드 코트제(hard coat劑,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도포(塗布)되어 입력 조작면(入力 操作面)이 되는 상면(上面)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지지기판4는 투명한 기판으로서, 소다라임 글래스(sodalime glass)를 사용하여 가동판3과 동일한 윤곽의 사각형의 박판(薄板)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다.
지지기판4는 가압되는 가동판3을 그 배면측(背面側)에서 지지하는 기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성이 필요하지만, 그 안쪽에 표시부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투명재료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지지기판4는 어느 정도의 강성이 있다면 글래스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 기판 등의 플라스틱판이나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판이더라도 좋다.
가동판3과 지지기판4는, 이들의 각 주위에 끼워지는 스페이서 부재(spacer 部材)5(점착제층(粘着劑層))에 의하여 서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적층(積層)하여 배치된다.
가동판3과 지지기판4의 대향면(對向面)에는, 투명 도전막(透明 導電膜)인 가동 도전체층(可動 導電體層)31과 고정 도전체층(固定 導電體層)41이 균일한 막두께로 고착(固着)되어 있다.
(가동)도전체층31의 하부(下部)에는 이 가동 도전체층용의 전극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32는 은(銀)을 성분으로 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도전 박판(導電 薄板)으로서 인쇄(印刷)에 의하여 형성된다.
지지기판4의 (고정)도전체층41 상에는 전극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42도 은을 성분으로 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도전 박판으로서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압전기판(壓電基板)2의 구동 전극과 커넥터 테일을 연결하는 전극43a, 44a, 43b, 44b는 은을 성분으로 하는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도전박판으로서 인쇄에 의하여 지지기판의 이면(裏面)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도전체층 상에는 절연성(絶緣性)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소정의 간격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도트 스페이서는, 입력 조작면의 일부가 의도하지 않게 조작자의 손 등에 의하여 접촉될 경우에 가동 도전체층31과 고정 도전체층41이 오접촉(誤接觸)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스페이서 부재(점착제층)5에 의하여 간격을 두는 가동 도전체층과 고정 도전체층의 간격과 비교하여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압전기판2는 압전 단결정(壓電 單結晶), PZT(티탄지르콘산납(lead/zirconium/titanium))로 대표되는 압전 세라믹(壓電 ceramic), 폴리불화비닐리덴(PVDF(polyvinylidenefluoride)) 등의 압전 재료로 형성하는 단층(單層)의 기판으로, 여기에서는 기계적인 내구성(耐久性)이 있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PZT계의 압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압전 세라믹스판을 사용하여 고정 도전체층41의 측변(側邊)을 따르도록 가늘고 긴 띠 모양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전기판2는 박판이기 때문에 변형이 심하고 또한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압전기판2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한 쌍의 구동 전극21, 22는, 도전성 금속재료를 증착(蒸着), 스크린 인쇄 등으로 압전기판2의 대향하는 표리(表裏)의 양면(兩面)에 부착시킨 후에 소성(燒成) 등으로 고착시키고 있다.
압전기판2의 배면을 덮는 일방(一方)의 구동 전극22는, 압전기판2의 길이 방향의 일측(一側)에서 표면으로 접어서 꺾고, 표면을 덮는 타방(他方)의 구동 전극21과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두고 표면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커넥터 테일7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PET 등의 테일 기판(tail 基板)71에 인출용 배선72를 동박 도금(銅箔 鍍金) 등으로 형성하고, 그 표면을 보호 시트재73으로 덮은 것이다.
이 커넥터 테일의 접속부에는 이방 도전성막(異方 導電性膜)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 도전체층측 전극 또는 고정 도전체층측 전극과 열압착(熱壓着)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다음에 배선구조의 예를 도2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8개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테일7의 접속부에 홈부76을 형성하여 압전기판용 접속부76a를 지지기판의 이면의 전극43a, 44a, 43b, 44b에 열압착하고, 가동판 및 지지기판용 접속부76b를 가동판과 지지기판에 끼워서 전극32 및 전극42에 열압착한다(도4참조).
그 압전기판부의 단면(도2의 A-A선 단면도)을 도3에 나타낸다.
지지기판의 이면에 인쇄로 형성한 전극43a, 44a는 도전성 접착제6을사용하여 압전기판2의 구동 전극21, 22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테일의 접속부는 지지기판의 이면에 형성한 전극(43b, 44b), (43a, 44a)의 일단(一端)이 압전기판에 접속되고, 그 타단(他端)이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테일7의 압전기판용 접속부76a에 열압착되어 있다.
또한 가동판3과 지지기판4 사이의 전극에는, 도4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테일의 가동판 및 지지기판용 접속부76b가 이들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접속되어 있다.
압전기판2를 지지기판4에 고착시키는 방법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기판의 이면에 고착하는 경우 외에 예를 들면 도6∼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기판의 변부(邊部)에 홈부4a, 4b 또는 측부(側部)에 오목부4c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압전기판을 수납하도록 고착하면 터치패널이 그만큼 얇아진다.
압전기판과 커넥터 테일의 접속방법은,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쇄에 의한 은의 도전성 박판(導電性 薄板)을 끼우지 않고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전기판2의 구동 전극21, 22에 커넥터 테일의 접속부를 직접 솔더링(soldering)하여 접착하거나 도전성 접착제로 접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테일에 홈을 형성하면 압전기판의 전극에 꺾음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직접 표면 및 이면에 접속할 수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전기판의 구동 전극21, 22와 가동판의 전극을 접속판7a로 접속하고, 가동판 및 지지기판에 1개의 커넥터 테일로 접속하여도 좋다.
지지기판에 홈부를 형성하는 타입의 경우에는,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기판 상에 얇은 필름(film) 모양의 기판3a를 형성하고, 이 사이에 스페이서 부재5를 끼워 가동판3을 형성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동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 및 압전기판의 한 쌍의 구동 전극을 1개의 커넥터 테일을 사용하여 일체(一體)로 인출함으로써, 이제까지 가동판 및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으로부터의 인출선(引出線)과 압전기판의 구동 전극에 인가하기 위한 인출선이 별개로 이루어져 각각에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그만큼 경량화(輕量化), 소형화(小型化)가 도모된다.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커넥터 테일 기판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1개의 테일 기판에 예를 들면 8개의 선을 배치한 표준화된 커넥터 테일을 사용하여 일체로 인출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형성한 한 쌍의 전극 중에서 한 개의 전극을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접어서 꺾고, 압전기판의 동일면(同一面)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압전기판의 한 개의 면에서 양극(兩極)의 인출 배선이 가능하게 되어 그만큼 터치패널 구조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테일의 접속부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나 접속부를 부위마다 가지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압전기판의 양측에 각각 직접적으로 솔더링에 의한 접착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압전기판의 일방의 전극을 대향면으로 접어서 꺾을 필요가 없게 된다.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지지기판의 두께보다 얇은 압전기판을 사용하여 지지기판의 변부에 홈부 또는 지지기판의 측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상기 압전기판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면 그만큼 터치패널 제품의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압전기판에 의한 돌출을 없앨 수 있어 이러한 돌출에 의한 제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지지기판의 이면에 도전성 인쇄로 한 쌍의 인출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이 배선 패턴의 일방에 압전기판을 접속할 수 있고, 타방에 커넥터 테일을 열압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전극으로부터의 배선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기판의 이면에 압전기판을 고착하는 구조로 하면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사이에 압전기판을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페이서 부재(점착제층)의 폭(幅)을 좁게 할 수 있어 터치패널의 유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압전기판의 한 쌍의 구동 전극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에 접속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압전기판의 구동 전극 배선의 일부를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의 인출선과 공용(共用)할 수 있어 그만큼 경량화하고, 소형화가 도모된다.

Claims (6)

  1. 표면(表面)에 입력 조작면(入力 操作面)을 구비하는 가동판(可動板)과, 가동판과 약간의 절연(絶緣)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동판을 배면(背面)에서 지지하는 지지기판(支持基板)과, 상기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대향면(對向面)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導電體層)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한 쌍의 구동 전극(驅動 電極)이 고착(固着)되는 압전기판(壓電基板)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에 있어서, 가동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 및 압전기판의 한 쌍의 구동 전극을 1개의 커넥터 테일(connector tail)을 사용하여 일체(一體)로 인출(引出)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配線構造).
  2. 제1항에 있어서,
    1개의 커넥터 테일 기판(connector tail 基板)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가동판과 지지기판과의 도전체층 전극에 접속하는 부분과,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兩面)에 형성하는 한 쌍의 구동 전극에 접속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일체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에서 한 개의 전극을 길이 방향의 일측(一側)으로 접어서 꺾고, 상기 압전기판의 동일면(同一面)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지지기판의 변부(邊部)에 홈부 또는 지지기판의 측부(側部)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홈부 또는 오목부에 압전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압전기판의 대향하는 양면에 형성하는 한 쌍의 전극 중에서 한 개의 전극을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접어서 꺾고, 상기 압전기판의 동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지지기판의 이면(裏面)에 도전성 인쇄(導電性 印刷)로 한 쌍의 인출 배선 패턴(引出 配線 pattern)을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배선 패턴의 일단(一端)에 상기 압전기판의 한 쌍의 전극을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타단(他端)에 커넥터 테일을 열압착(熱壓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
  6. 표면에 입력 조작면을 구비하는 가동판과, 가동판과 약간의 절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가동판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기판과, 상기 가동판과 지지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도전체층을 구비하고, 대향하는 양면에 한 쌍의 구동 전극이 고착되는 압전기판을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에 고착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가동판 또는 지지기판의 도전체층 전극과 압전기판의 전극을 접속하고 가동판 및 지지기판으로부터 커넥터 테일로 인출선(引出線)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배선구조.
KR1020020073345A 2002-09-30 2002-11-25 터치패널 KR100907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4590A JP3871991B2 (ja) 2002-09-30 2002-09-30 タッチパネル
JPJP-P-2002-00284590 2002-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465A true KR20040028465A (ko) 2004-04-03
KR100907243B1 KR100907243B1 (ko) 2009-07-10

Family

ID=3202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45A KR100907243B1 (ko) 2002-09-30 2002-11-25 터치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27537B2 (ko)
EP (1) EP1411423A3 (ko)
JP (1) JP3871991B2 (ko)
KR (1) KR100907243B1 (ko)
CN (1) CN1271497C (ko)
HK (1) HK1063664A1 (ko)
TW (1) TWI26999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24B1 (ko) * 2010-03-26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20120100508A (ko) * 2011-03-04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101293017B1 (ko) * 2013-04-29 2013-08-16 주식회사 트레이스 베젤의 폭을 줄인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25252D1 (de) * 2003-08-18 2010-03-11 Gunze Kk Transparente berührungstafel und elektronsiche vorrichtung
JP2005117313A (ja) * 2003-10-07 2005-04-28 Fujitsu Ltd 圧電素子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4784041B2 (ja) * 2003-11-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入力装置
JP4424729B2 (ja) * 2004-02-05 2010-03-03 Smk株式会社 タブレット装置
JP3857278B2 (ja) * 2004-04-06 2006-12-1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4631443B2 (ja) * 2005-01-13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触覚機能付きの入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4591157B2 (ja) * 2005-03-31 2010-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779681B2 (ja) * 2006-02-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08140327A (ja) * 2006-12-05 2008-06-19 Smk Corp タッチパネル
US8026903B2 (en) * 2007-01-03 2011-09-27 Apple Inc.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EP2261783A4 (en) * 2008-03-31 2013-05-22 Sharp Kk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OUCH SCREEN
US8456851B2 (en) * 2008-05-16 2013-06-04 Apple Inc.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WO2010016174A1 (ja) * 2008-08-07 2010-02-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00053087A1 (en) * 2008-08-26 2010-03-04 Motorola, Inc. Touch sensors with tactile feedback
JP5138529B2 (ja)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KR101033997B1 (ko) * 2008-11-11 2011-05-11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
JP4633166B2 (ja) * 2008-12-22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101357751B1 (ko) * 2008-12-22 2014-02-03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입력장치
TWI373665B (en) * 2008-12-25 2012-10-01 Au Optronics Corp Touch panel structure
JP2010157037A (ja) * 2008-12-26 2010-07-15 Nissha Printing Co Ltd 振動素子を有するパネル部材
US8760413B2 (en) * 2009-01-08 2014-06-24 Synaptics Incorporated Tactile surface
JP5448886B2 (ja) * 2009-02-27 2014-03-1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8535623B2 (en) * 2009-04-21 2013-09-1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Concave connector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easuring kit, sensor substrate, and sensor substrate interprolated cylinder
US8711108B2 (en) 2009-06-19 2014-04-29 Apple Inc. Direct connect single layer touch panel
CN101943967B (zh) * 2009-07-08 2012-08-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的定位方法
JP4633184B1 (ja) 2009-07-29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4633183B1 (ja) * 2009-07-29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CN101995988B (zh) 2009-08-19 2012-08-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摸屏
EP2306280B1 (de) * 2009-10-01 2017-1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Berührungssensitive sensoranordnung und anzeigevorrichtung
US10068728B2 (en) 2009-10-15 2018-09-04 Synaptics Incorporated Touchpad with capacitive force sensing
US8624839B2 (en) * 2009-10-15 2014-01-07 Synaptics Incorporated Support-surface apparatus to impart tactile feedback
JP5455034B2 (ja) * 2009-12-09 2014-03-26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CN102236447B (zh) * 2010-05-06 2013-07-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触摸屏液晶显示器
JP5409515B2 (ja) * 2010-05-27 2014-02-0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
US9030308B1 (en) * 2010-07-02 2015-05-12 Amazon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haptic actuator integration
JP5352009B2 (ja) * 2010-07-29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機器
EP2597550B1 (en) 2010-10-27 2016-07-27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WO2012061435A1 (en) * 2010-11-02 2012-05-10 Taiwan Green Point Enterprises Co., Ltd. Display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693606B2 (ja) 2010-11-12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WO2012090031A1 (en) * 2010-12-31 2012-07-05 Nokia Corporation A display apparatus producing audio and haptic output
US8847890B2 (en) 2011-01-04 2014-09-30 Synaptics Incorporated Leveled touchsurface with planar translational responsiveness to vertical travel
US8309870B2 (en) 2011-01-04 2012-11-13 Cody George Peterson Leveled touchsurface with planar translational responsiveness to vertical travel
US8912458B2 (en) 2011-01-04 2014-12-1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surface with level and planar translational travel responsiveness
JP5670928B2 (ja) * 2011-02-28 2015-02-18 リモート・ソルーショ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打点の振動を用いたタッチセンサーシステム
US8735755B2 (en) 2011-03-07 2014-05-27 Synaptics Incorporated Capacitive keyswitch technologies
JP5784959B2 (ja) 2011-04-25 2015-09-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WO2014025786A1 (en) 2012-08-06 2014-02-13 Synaptics Incorporated Touchsurface assembly utilizing magnetically enabled hinge
US9177733B2 (en) 2012-08-06 2015-11-03 Synaptics Incorporated Touchsurface assemblies with linkages
US9040851B2 (en) 2012-08-06 2015-05-26 Synaptics Incorporated Keycap assembly with an interactive spring mechanism
US9218927B2 (en) 2012-08-06 2015-12-22 Synaptics Incorporated Touchsurface assembly with level and planar translational responsiveness via a buckling elastic component
KR20140026129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US20140069696A1 (en) * 2012-09-11 2014-03-1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multi-layer flex circuits to substrates
CN103677459A (zh) * 2012-09-25 2014-03-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触摸屏及其制作方法
US9826637B2 (en) * 2012-10-15 2017-11-21 Poly Ic Gmbh & Co. Kg Film and body with such a film
US9384919B2 (en) 2013-03-14 2016-07-05 Synaptics Incorporated Touchsurface assembly having key guides formed in a sheet metal component
US9213372B2 (en) 2013-04-19 2015-12-15 Synaptics Incorporated Retractable keyboard keys
GB201313167D0 (en) * 2013-07-24 2013-09-04 Ibm Automatic rotation of display contents of a handheld companion device rigidly attached to a handheld mobile device
US9520036B1 (en) * 2013-09-18 2016-12-13 Amazon Technologies, Inc. Haptic output generation with dynamic feedback control
KR20150104415A (ko) * 2014-03-05 2015-09-15 삼성전기주식회사 압전진동기판
GB2571361B (en) * 2018-03-02 2020-04-22 Novosound Ltd Ultrasound array transducer manufacturing
CN112534384A (zh) 2018-07-27 2021-03-19 株式会社日本显示器 带检测装置的显示设备
JP2020174939A (ja) * 2019-04-19 2020-10-29 グンゼ株式会社 電気信号配線構造体
WO2022025232A1 (ja) * 2020-07-30 2022-02-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変形検出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7975B2 (ja) * 1988-02-29 1997-03-0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
US5543589A (en) * 1994-05-23 1996-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pad with dual sensor that simplifies scanning
EP0836133A3 (en) * 1996-10-08 1998-08-12 Spectronic Instruments, Inc. Computer instrument docking apparatus
WO1998029853A1 (en) * 1996-12-25 1998-07-09 Elo Touchsystems, Inc. Grating transducer for acoustic touchscreen
US6118435A (en) * 1997-04-10 2000-09-12 Idec Izumi Corporation Display unit with touch panel
JPH10293644A (ja) * 1997-04-18 1998-11-04 Idec Izumi Corp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2000020226A (ja) *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3352972B2 (ja) * 1999-03-30 2002-12-0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100313108B1 (ko) * 1999-10-02 2001-11-03 김순택 터치 패널 장치
DE10063265A1 (de) * 1999-12-20 2001-07-05 Murata Manufacturing Co Äußeres Überzugsubstrat für ein elektronisches Bauteil und ein piezoelektrisches Resonanzbauteil
JP2001230462A (ja) * 2000-02-17 2001-08-24 Minolta Co Ltd 圧電変換素子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JP2002215330A (ja) * 2001-01-16 2002-08-02 Digital Electronics Corp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タッチパネル、メンブレンスイッチ、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の製造方法
US6608618B2 (en) * 2001-06-20 2003-08-19 Leapfrog Enterprises, Inc.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JP3798287B2 (ja) 2001-10-10 2006-07-19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24B1 (ko) * 2010-03-26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KR20120100508A (ko) * 2011-03-04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101293017B1 (ko) * 2013-04-29 2013-08-16 주식회사 트레이스 베젤의 폭을 줄인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7398A (zh) 2004-04-07
TW200405153A (en) 2004-04-01
HK1063664A1 (en) 2005-01-07
JP2004118754A (ja) 2004-04-15
CN1271497C (zh) 2006-08-23
US20040061688A1 (en) 2004-04-01
JP3871991B2 (ja) 2007-01-24
TWI269999B (en) 2007-01-01
KR100907243B1 (ko) 2009-07-10
EP1411423A3 (en) 2007-08-15
US7227537B2 (en) 2007-06-05
EP1411423A2 (en)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243B1 (ko) 터치패널
JP3857278B2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7455529B2 (en) Wiring boar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put device
US7746662B2 (en) Touch panel
CN100363878C (zh) 触摸面板及使用其的电子设备
EP3056977B1 (en) Tactile sense presenting device
KR100737290B1 (ko)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1163415B2 (en) Touch display module, touch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109226B1 (ko) 압전 액추에이터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CN102262480B (zh) 触摸面板及其制造方法
JP2003288166A (ja) タッチパネルと外部導線の接続構造
JP4893082B2 (ja) タッチパネル
JP2007200177A (ja) 電子装置
JP4174798B2 (ja) 表示装置
US10381545B2 (en) Vibration device and tactile presentation device
JPH0954650A (ja) 座標入力装置
CN212659039U (zh) 触觉反馈装置和电子设备
CN212659040U (zh) 触觉反馈单元、触觉反馈装置和电子设备
CN212933470U (zh) 触觉反馈装置和电子设备
CN212484312U (zh) 触觉反馈单元、触觉反馈装置和电子设备
JP4815753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配線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
KR100573101B1 (ko)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과 이를 채용한 터치 패널
CN111813225A (zh) 触觉反馈单元、触觉反馈装置和电子设备
WO2005008467A1 (ja)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2006155363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