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415A - 압전진동기판 - Google Patents

압전진동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415A
KR20150104415A KR1020140026125A KR20140026125A KR20150104415A KR 20150104415 A KR20150104415 A KR 20150104415A KR 1020140026125 A KR1020140026125 A KR 1020140026125A KR 20140026125 A KR20140026125 A KR 20140026125A KR 20150104415 A KR20150104415 A KR 2015010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substrate
adhesive layer
substrate body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록
김경미
이승호
서정욱
김범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415A/ko
Priority to US14/257,246 priority patent/US20150253849A1/en
Publication of KR2015010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06F3/043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in which generating transducers and detecting transducers are attached to a single acoustic waves transmission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101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and mechanical input and output, e.g. having combined actuator and sensor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압전진동기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은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기판본체, 안착홈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 및 기판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안착홈에 수용되어 접착층에 의해 기판본체에 합착되는 압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진동기판{PIEZOELECTRIC OSCILLATION SUBSTRATE}
본 발명은 압전진동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페이스의 감성적인 구현 조작성 향상에 대한 요청에 따라 터치윈도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터치윈도우는 마우스와 유사한 포인터 입력장치로, LED나 LCD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와 연동되어서 움직인다.
이와 같은 터치윈도우는 손으로 직접 위치를 지정하거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용 입력도구를 사용하여 터치윈도우에 접촉한 상태로 포인터를 이동하고 특정 동작을 통해 원하는 지시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윈도우는 주로 시각과 청각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감각을 자극하여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촉각을 이용한 햅틱(Haptic) 기술을 적용하는 장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햅틱기술은 모바일장치, 모니터나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4832호 (2012. 07. 06.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전체의 합착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강한 진동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압전진동기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기판본체, 안착홈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 및 기판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안착홈에 수용되어 접착층에 의해 기판본체에 합착되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압전진동기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기판본체는 터치 접촉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기판일 수 있다.
압전체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 가능한 압전소자, 압전소자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압전소자에 결합되는 전극 및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기판본체에 인몰드되어 일단이 전극에 결합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본체는 중앙부에 터치 영역이 형성되고, 압전체는 기판본체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압전체는 기판본체의 각 모서리에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전체는 접착층이 안착홈에 일정 두께로 도포된 후 접착층에 압착되는 것을 통해 상기 기판본체에 합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체는 외부면이 기판본체의 표면에 대응되도록 접착층에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체가 안착홈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본체에 합착되므로, 압전체의 합착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강하고 균일한 진동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압전진동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에서 압전체에 의해 기판본체에 전달되는 진동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에서 압전체가 배치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에서 압전체에 의해 기판본체에 전달되는 진동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에서 압전체가 배치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은 기판본체(100), 접착층(200) 및 압전체(300)를 포함한다.
기판본체(100)은 일면에 안착홈(11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압전체(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을 감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110)은 기판본체(100)의 사출 공정 시 형성되거나, 에칭 등의 공정으로 후가공되어 형성되는 홈으로서, 후술할 압전체(300)를 수용할 수 있다.
접착층(200)은 안착홈(110)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체(300)를 기판본체(100)에 합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200)은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이 유동성을 가져 안착홈(110)에 도포 가능하며, 압전체(300)를 합착한 후 특정의 소성 온도에서 소결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전체(300)는 기판본체(10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안착홈(110)에 수용되어 접착층(200)에 의해 기판본체(100)에 합착되는 부분으로, 특정 신호 시 압전체(300) 자체에 진동력이 발생함으로써, 압전체(300)가 합착된 기판본체(10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전체(300)를 접착층(200)을 통해 기판본체(100)에 합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압전체(300)에 편심력이 가해지거나 접착층(200)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는 등의 요인에 의해 합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판본체(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전체(3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기판본체(100)의 표면으로 강하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은 압전체(300)가 안착홈(110)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본체(100)에 합착되므로, 압전체(300)의 합착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강하고 균일한 진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압전체(300)가 안착홈(110) 내에서 기판본체(100)에 합착되어, 상대적으로 압전체(300)의 비뚤어짐이나 접착층(200)의 특정 부분의 과도포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체(300)의 합착 불량을 최소화하고 보다 균일한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본체(100)의 내부로 함몰된 안착홈(110)에 압전체(300)가 배치됨으로써, 압전체(300)의 진동이 전달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단축되므로, 보다 강한 진동력을 기판본체(100)의 표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인풋 패드 등과 같이 압전진동기판의 두께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제품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과 같이 압전체(300)가 안착홈(110)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본체(100)에 합착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여기서, 기판본체(100)는 터치 접촉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기판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용 입력도구로 기판본체(100)를 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압전체(300)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본체(100)가 터치기판인 경우, 압전체(300)가 안착홈(110)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본체(100)에 합착됨으로써, 압전체(300)의 진동이 사용자에게 보다 균일하고 강하게 전달되어 사용자의 직관적인 사용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에서, 압전체(300)는 압전소자(310), 전극(320) 및 전선(33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소자(310)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 가능한 부분으로, 기계적 응력을 걸면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걸면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수정이나 압전 세라믹스 등을 사용한 소자로서,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변화하고(압전 효과),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압전소자(310)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압전소자(3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진동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320)은 압전소자(310)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압전소자(3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통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은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330)은 전극(3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기판본체(100)에 인몰드(inmold)되어 일단이 전극(32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압전체(300)의 전극(320) 사이 및 외부 전원과 최외단 압전체(300)의 전극(3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몰드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본체(100)의 사출 성형 시 전선(330)을 주입한 상태로 기판본체(100)를 사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선(330)이 기판본체(100)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의 사용 시 전선(330)이 외부로 노출되어 간섭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에서, 기판본체(100)는 중앙부에 터치 영역(120)이 형성되고, 압전체(300)는 기판본체(100)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체(300)는 터치 영역(120)을 피하여 기판본체(100)의 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체(300)는 기판본체(100)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기판본체(100)의 외곽부는 압전진동기판(1000)에 사용되는 여타 회로부들과 회로소재부품 등의 실장이 방해받지 않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문자 입력 등에 사용되는 터치 영역(120)은 압전체(300)가 침해하지 않아, 터치 영역(120) 및 압전체(300) 모두 본연의 기능이 최적화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체(300)는 기판본체(100)의 각 모서리에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본체(1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전체(300)는 각 모서리를 균등 분할하여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은 기판본체(100)의 전체 표면적에 고른 진동파를 전달할 수 있는 등, 가장 효과적인 진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기판(1000)에서, 압전체(300)는 접착층(200)이 안착홈(110)에 일정 두께로 도포된 후 접착층(200)에 압착되는 것을 통해 기판본체(100)에 합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전체(300)의 압착은 별도의 압착용 지그(jig) 등을 통해 압전체(300)를 기판본체(10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층(200)을 안착홈(110)에 일정 두께로 도포한 후, 압전체(300)를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접착층(200)에 의해 압전체(300)를 기판본체(100)에 합착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체(300)는 외부면이 기판본체(100)의 표면에 대응되도록 접착층(200)에 압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체(300)의 외부면을 연장한 선이 기판본체(100)의 표면과 일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본체(100)의 표면 밖으로 압전체(300)가 돌출되거나 필요 이상으로 안착홈(110)을 깊게 형성하지 않고, 압전진동기판(1000)의 두께를 최소화 및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기판본체
110: 안착홈
120: 터치 영역
200: 접착층
300: 압전체
310: 압전소자
320: 전극
330: 전선
1000: 압전진동기판

Claims (7)

  1.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는 기판본체;
    상기 안착홈의 표면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기판본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안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접착층에 의해 상기 기판본체에 합착되는 압전체;
    를 포함하는 압전진동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본체는 터치 접촉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터치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 가능한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에 전원을 전달하도록 상기 압전소자에 결합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기판본체에 인몰드(inmold)되어 일단이 상기 전극에 결합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본체는 중앙부에 터치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압전체는 상기 기판본체의 외곽부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기판본체의 각 모서리에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상기 접착층이 상기 안착홈에 일정 두께로 도포된 후 상기 접착층에 압착되는 것을 통해 상기 기판본체에 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는 외부면이 상기 기판본체의 표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착층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기판.
KR1020140026125A 2014-03-05 2014-03-05 압전진동기판 KR2015010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25A KR20150104415A (ko) 2014-03-05 2014-03-05 압전진동기판
US14/257,246 US20150253849A1 (en) 2014-03-05 2014-04-21 Piezoelectric oscillation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125A KR20150104415A (ko) 2014-03-05 2014-03-05 압전진동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415A true KR20150104415A (ko) 2015-09-15

Family

ID=5401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125A KR20150104415A (ko) 2014-03-05 2014-03-05 압전진동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53849A1 (ko)
KR (1) KR201501044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4468B (zh) 2016-03-15 2018-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1991B2 (ja) * 2002-09-30 2007-01-24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8092251B2 (en) * 2007-12-29 2012-01-10 Apple Inc. Active electronic media device packaging
JP2010157037A (ja) * 2008-12-26 2010-07-15 Nissha Printing Co Ltd 振動素子を有するパネル部材
JP2011037057A (ja) * 2009-08-07 2011-02-24 Toshiba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US8483771B2 (en) * 2010-08-11 2013-07-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ctua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3849A1 (en) 2015-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980B1 (ko)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3880888B2 (ja) タブレット装置
US7215329B2 (en) Touch panel input device
US9117999B2 (en) Piezoelectric vibration module
JP5484121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0286986A (ja) 携帯端末装置
KR20120063345A (ko) 햅틱 구동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2011175364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の駆動方法
CN106409578A (zh) 使用压电元件的按钮装置
JP2016092879A (ja) 振動子および超音波モータ
JP6133619B2 (ja) 振動装置、電子機器、および携帯端末
JP6827387B2 (ja) 制御装置、入力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9356221B2 (en) Piezoelectric vibrator
JP2019067269A (ja) 触覚呈示システム及び触覚呈示装置
KR20150104415A (ko) 압전진동기판
US9647579B2 (en) Energy harves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wireless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2004420A (zh) 觸感提示裝置
US10078369B2 (en) Tactile-sensation transmitt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tactile-sensation transmitting method
CN203894718U (zh) 一种新型触控反馈装置
WO2020110654A1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触感呈示装置
JP2018128990A (ja) タッチ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37685B2 (ja) 触覚提示装置
US11618057B2 (en) Localized haptic feedback in electronic device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iezoelectric haptic actuators
JP2016162060A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触覚呈示装置
US11599195B2 (en) Structure and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