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129A -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129A
KR20140026129A KR1020120093130A KR20120093130A KR20140026129A KR 20140026129 A KR20140026129 A KR 20140026129A KR 1020120093130 A KR1020120093130 A KR 1020120093130A KR 20120093130 A KR20120093130 A KR 20120093130A KR 20140026129 A KR20140026129 A KR 2014002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pad
circuit board
touch pan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송하윤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129A/ko
Priority to US13/956,192 priority patent/US20140054071A1/en
Priority to JP2013165245A priority patent/JP2014044716A/ja
Publication of KR2014002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3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선,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선, 및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쪽이 개방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패드부와,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screen)이 개발되었다.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패널은 투명기판과, 터치 인식을 위해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과, 전극에서 발생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배선과, 배선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배선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투명기판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성회로기판은 투명기판에 접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연성회로기판과 투명기판의 구체적인 연결 구조를 알 수 있는 종래 터치패널 구조의 일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4369호에 개시된 '터치패널센서'를 들 수 있다.
종래 터치패널 구조의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단부가 연성회로기판의 몸체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패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투명기판에 형성되는 전극이 투명기판의 일면에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기판의 양면, 또는 투명기판의 일면과 투명기판에 적층되는 별개의 기판의 타면에서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투명기판의 양면, 또는 투명기판과 별개의 기판이 적층된 전체 기판의 양면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연성회로기판의 단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패드부가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이 개시되고 있으며, 연성회로기판은 이 외에도 투명기판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에는 한 곳에서, 그리고 다른 한 면에는 두 곳에서 연결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패드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터치패널 구조는 이러한 구조의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함에 따라, 투명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의 연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종래 터치패널의 제조방법은 연성회로기판을 투명기판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성회로기판의 두 개 이상의 패드부를 서로 어긋난 방향(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공정을 수반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공정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연성회로기판의 패드부를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 없이 상기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생산 리드 타임이 길어짐은 물론, 제조 편의성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연성회로기판의 패드부 구조에 개선된 특징을 부가하여 투명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의 연결 공정이 자동화 공정으로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쪽이 개방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패드부; 및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는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투명기판의 일면에, 다른 하나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는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투명기판의 일면에, 다른 두 개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는 패드부는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중앙에 위치하는 패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선;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선; 및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쪽이 개방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패드부와,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일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나머지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는 패드부는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중앙에 위치하는 패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기판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의 패드부에 연장부가 형성됨으로써, 연장부를 밀어올리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패드부 사이에 투명기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의 연결 공정은 패드부를 벌리는 별도의 장비가 구비됨이 없이 투명기판을 이동시키는 장비만으로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돌출된 연장부를 손쉽게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공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매우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도시된 연성회로기판 및 투명기판의 연결 과정을 알 수 있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 도시된 연성회로기판 및 투명기판의 연결 과정을 알 수 있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100), 상기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110), 상기 투명기판(100)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전극(1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선(130), 상기 투명기판(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120), 상기 투명기판(100)의 타면에서 상기 제2 전극(1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선(140), 그리고 상기 투명기판(1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배선(130) 및 상기 제2 배선(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201)을 포함한다.
투명기판(100)은 후술할 전극과 배선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투명기판(100)은 전극 및 배선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투명기판(1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은 사용자의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미도시)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극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후술할 배선 및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201)을 통해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된다.
전극은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전극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인듐-주석 산화물(Indum-Thin Oxide)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전극은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110)과 투명기판(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이 중 어느 하나가 구동전극으로, 그리고 나머지 하나가 감지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배선은 제1 전극(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선(130)과 제2 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배선(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배선(130)은 제1 전극(110)에 연결되면서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2 배선(140)은 제2 전극(120)에 연결되면서 투명기판(100)의 타면에 형성된다.
제1 배선(130)은 그 말단부가 투명기판(100) 일면의 단부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선(130)의 말단부는 예컨대 투명기판(100) 일면의 후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배선(130)의 말단부는 후술할 연성회로기판(201)과 접속되는 접속부(131)가 된다.
제2 배선(140)도 마찬가지다. 제2 배선(140)의 말단부는 투명기판(100) 타면의 후단부 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배선(140)의 말단부는 연성회로기판(201 202)과 접속되는 접속부(141)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하나의 접속부(131)가, 그리고 타면에 두 개의 접속부(141)가 형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연성회로기판(201)은 투명기판(100)에 연결되면서 상술한 접속부(131,141)에 접속되어 제1 배선(130) 및 제2 배선(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201)은, 구체적인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와, 패드부(221,222)와,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연성회로기판(201)의 몸체가 되는 부분이며, 패드부(221,222)는 몸체부(210)의 단부에서 형성된다. 패드부(221,222)는 상술한 접속부(131,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0)의 일면에 하나의 접속부(131)가, 그리고 타면에 두 개의의 접속부(14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접속부(131,141)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201)의 패드부도 세 개의 패드부(221,222)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패드부(221,222)는 예컨대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되는 절개부(223)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패드부가 세 개의 패드부(221,222)로 구성되므로 세 개의 패드부(221,222) 사이에 두 개의 절개부(223)가 형성되며, 각 절개부(223)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다. 세 개의 패드부(221,222)는 그 사이에 절개부(223)가 형성됨에 따라 인접하는 패드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패드부는 그 중 일부가 상향 회동되고 나머지가 하향 회동될 경우 패드부 사이에 투명기판(10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으로 투명기판(100)을 삽입한 후에 상향 회동된 패드부의 하면을 투명기판(100) 일면에 형성된 접속부(131)에, 그리고 하향 회동된 패드부의 상면을 투명기판(100) 타면에 형성된 접속부(141)에 접속되도록 연결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201)은 제1 배선(130) 및 제2 배선(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만약 연성회로기판(201)의 다수의 패드부가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면, 다수의 패드부를 서로 어긋난 방향(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벌어지게 하는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공정은 패드부 각각을 회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거나, 아니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한 공정을 위해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는 경우 터치패널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공정을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패드부 각각을 잡고서 벌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성회로기판(20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패드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30)를 포함한다.
연장부(230)는 다수의 패드부(221,222) 중 어느 하나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부(230)가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230)가 형성된 패드부(221)는 그렇지 않은 패드부(222)와 비교하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일 예로서, 세 개의 패드부(221,222) 중 가운데 배치되는 패드부(221)에 연장부(230)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우 양측에 배치된 나머지 패드부(222) 모두에서 또는 이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부(23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부(230)가 형성됨으로써 투명기판(100)과 연성회로기판(201)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이 매우 수월해지는데, 이러한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 개의 패드부(221,222) 중 가운데 패드부(이하 '제1 패드부'라 한다)(221)에 연장부(230)가 형성된 예에서, 이 제1 패드부(221)를 투명기판(100) 일면의 접속부(131)에, 그리고 나머지 패드부(이하 '제2 패드부'라 한다)(222)를 투명기판(100) 타면의 접속부(141)에 연결하고자 할 때,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0)의 후단부(도 3을 기준으로 투명기판(100)의 좌측 단부)를 연장부(230)의 저면에 닿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투명기판(100)의 후단부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연장부(230) 및 제1 패드부(221)가 상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패드부(221)와 제2 패드부(222)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공간으로 투명기판(100)의 후단부를 삽입시킬 수 있다. 투명기판(100)을 제1 패드부(221) 및 제2 패드부(222)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시킨 다음, 제1 패드부(221)의 하면을 투명기판(100) 일면의 접속부(131)에, 그리고 제2 패드부(222)의 상면을 투명기판(100) 타면의 접속부(141)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패드부(221)와 제2 패드부(222)가 접속부(131,141)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제1 패드부(221)의 하면과 제2 패드부(222)의 상면에 접착층(221a,2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패드부(221)와 제2 패드부(222)는 접속부(131,141)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접착층(221a,222a)은 예컨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연성회로기판(201)과 투명기판(100)의 연결 과정이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0)에 의해 연장부(230)를 밀어올리는 단순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매우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과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0)을 이동시키는 기존의 홀더부(300)를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굳이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그리고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이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구조와 비교하여 연성회로기판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성회로기판(202)을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포함되는 연성회로기판(202)의 패드부는, 제1 실시예에서 제시된 패드부와 달리 두 개의 패드부(224,225)로 구성된다.
제1 실시예는 투명기판(100) 일면에 하나의 접속부(131)가 형성되고, 투명기판(100) 타면에 두 개의 접속부(141)가 형성됨에 따라 연성회로기판(201)에 세 개의 패드부(221,222)가 형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00) 일면에 하나의 접속부(131)가, 그리고 투명기판(100) 타면도 하나의 접속부(141)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02)은 두 개의 패드부(224,225)가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패드부(224,225)는 절개부(223)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이 중 어느 하나가 투명기판(100) 일면의 접속부(131)에, 그리고 다른 하나가 투명기판(100) 타면의 접속부(131)에 접속된다.
이때, 두 개의 패드부(224,225) 중 어느 하나에 연장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에서는 좌측 패드부(224)에 연장부(230)가 형성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드부(224)에 연장부(230)가 형성됨에 따라 투명기판(100)의 후단부로써 연장부(230)를 밀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패드부(224,225)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으로 투명기판(100)의 후단부를 삽입하여 패드부(224,225)를 접속부(131,141)에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투명기판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130; 제1 배선
131; 접속부 140; 제2 배선
141; 접속부 201,202; 연성회로기판
210; 몸체부 221; 제1 패드부
222; 제2 패드부 221a,222a;접착층
223; 절개부 224; 좌측 패드부
225; 우측 패드부 230; 연장부
300; 홀더부

Claims (16)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쪽이 개방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패드부; 및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지는 연성회로기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는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투명기판의 일면에, 다른 하나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지는 연성회로기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는 터치패널에 포함되는 투명기판의 일면에, 다른 두 개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는 패드부는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중앙에 위치하는 패드부인 연성회로기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인 연성회로기판.

  10.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배선;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배선; 및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 쪽이 개방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패드부와,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패드부 중 일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나머지는 상기 투명기판의 타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두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패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세 개의 패드부로 이루어지는 터치패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연결되는 패드부는 상기 세 개의 패드부 중 중앙에 위치하는 패드부인 터치패널.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되는 터치패널.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기판에 접착되어 연결되는 터치패널.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인 터치패널.
KR1020120093130A 2012-08-24 2012-08-24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KR20140026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0A KR20140026129A (ko) 2012-08-24 2012-08-24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US13/956,192 US20140054071A1 (en) 2012-08-24 2013-07-3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ouch panel having the same
JP2013165245A JP2014044716A (ja) 2012-08-24 2013-08-08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と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30A KR20140026129A (ko) 2012-08-24 2012-08-24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29A true KR20140026129A (ko) 2014-03-05

Family

ID=5014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130A KR20140026129A (ko) 2012-08-24 2012-08-24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054071A1 (ko)
JP (1) JP2014044716A (ko)
KR (1) KR201400261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508A (ko) * 2011-03-04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20160083376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134531A (ko) * 2015-05-15 2016-11-23 티피케이 터치 시스템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연성 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KR20170091383A (ko) * 2016-02-01 2017-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9696A1 (en) * 2012-09-11 2014-03-1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ttaching multi-layer flex circuits to substrates
JP6323468B2 (ja) * 2016-01-21 2018-05-16 Smk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WO2017185340A1 (zh) * 2016-04-29 2017-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US10910450B2 (en) * 2019-06-04 2021-02-0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CN211349329U (zh) * 2020-01-08 2020-08-25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电容触控膜组件及交互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0226A (ja) *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3871991B2 (ja) * 2002-09-30 2007-01-24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3857278B2 (ja) * 2004-04-06 2006-12-1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4306590B2 (ja) * 2004-11-05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779681B2 (ja) * 2006-02-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8456851B2 (en) * 2008-05-16 2013-06-04 Apple Inc. Flex circuit with single sided routing and double sided attach
JP5455034B2 (ja) * 2009-12-09 2014-03-26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JP2011154442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センサ素子及び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508A (ko) * 2011-03-04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KR20160083376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60134531A (ko) * 2015-05-15 2016-11-23 티피케이 터치 시스템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연성 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자기-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KR20170091383A (ko) * 2016-02-01 2017-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44716A (ja) 2014-03-13
US20140054071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129A (ko) 연성회로기판과 이를 구비한 터치패널
KR101204121B1 (ko) 상호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KR101156866B1 (ko) 터치패널
US8956181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ubstrate and FPCB for touch panel
KR101055510B1 (ko) 터치패널
KR101109382B1 (ko) 터치패널
KR20130071863A (ko) 터치패널
US20130021268A1 (en) Touch panel
KR20110107590A (ko) 터치패널
US9087703B1 (en) Touch panel and a bonding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US20120032927A1 (en) Touch panel
JP2013134767A (ja) タ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体
KR20130024100A (ko) 터치패널
KR20110133359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KR201600611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82463A (ko) 터치 패널
US20140176824A1 (en) Connection structural body of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342476A1 (en) Touch panel
KR20110121661A (ko) 터치패널
KR20120027996A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0697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한 터치센서모듈
US20150042605A1 (en) Touch sensor module
KR20150021832A (ko) 터치센서 모듈
JP2015090704A (ja) 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KR20120039854A (ko)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