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024A -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024A
KR20030096024A KR10-2003-0037490A KR20030037490A KR20030096024A KR 20030096024 A KR20030096024 A KR 20030096024A KR 20030037490 A KR20030037490 A KR 20030037490A KR 20030096024 A KR20030096024 A KR 2003009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polyester film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515B1 (ko
Inventor
아카츠카즈유키
신조카나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4Of cross-linked poly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층을 갖고,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OLYESTER FILM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성, 치수안정성, 기계적 특성, 내열성, 전기적 특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포장재료, 전기절연재료, 금속증착 재료, 제판재료, 자기기록재료, 표시재료, 전사재료, 창문부착재료 등을 비롯해서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 터치패널용,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용 베이스 필름과, 브라운관, LCD, PDP 등의 소위 플랫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 패널 유리 표면 첨부용으로 대전방지, 반사 방지, 전자파 실드 등의 기능층을 설치한 보호 필름의 베이스 필름용 등의 각종 광학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년, 대형 벽걸이 텔레비전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전자 기기의 표시 패널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 수는 점점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방전에 의해 크세논과 네온의 혼합 가스가 여기되어 진공 자외선을 방사하고, 그 진공 자외선 여기에 의한 적, 청, 녹 각각의 형광체 발광을 얻지만, 네온 원자가 여기된 후, 기저 상태로 되돌아 올 때에 600 nm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네온 오렌지광을 발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영상 정보 미디어 학회지 Vol. 51 NO. 4 P. 459-463(1997)). 이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는, 적색에 오렌지색이 섞여버리고, 선명한 적색이 얻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광의 파장 560∼600 nm으로 극대 흡수를 갖는 색소를 사용한 색조 보정을 위한 칼라 필터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네온 오렌지광을 잘 흡수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적색이 선명한 적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칼라 필터에 사용되는 색소를 자외선(디스플레이 측으로부터 및/또는 대기 측으로부터) 열화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 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자체로 자외선 흡수제를 혼입하고,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게 하는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황색미가 강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면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칼라 필터의 색조 보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칼라 필터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자외선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높고, 자외선에 의해 색소가 열화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에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갖게 한 점착제층을 제공하는 등의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1-159711호 공보등).
그러나, 점착제층은 자외선 흡수 효과가 적고, 자외선 흡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흡수제를 상당량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흡수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점착 효과 그 자체를 저해하기 때문에, 배합량에 상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의 투과율이 낮고, 내광성이 높고, 황색미가 적고 색조가 우수하고, 이를테면 광학용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외관이 우수하고, 간섭 무늬가 잘 안보이고, 하드 코트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유용한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특정의 광학적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면, 상기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1 요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층을 갖고,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벤즈옥사노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층을 갖고,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요지는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적어도 편면에 도포층을 갖고,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이고, 필름의 전 광선투과율이 7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란 압출 노즐로부터 용융압출되는 소위 모든 층이 노즐로부터 공용융압출되는, 소위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종방향 및 횡방향의 2축 방향으로 배향시킨 필름이다. 또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는, 3층 구조의 필름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그 목적을 만족하는 한, 3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다. 또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최외층'이란 노즐로부터 압출된 직후 노출하는 2 면을 구성하는 층이고, 그 이외의 층을 내층이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이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l,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PEN)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경우는 30 몰%이하의 제3 성분을 함유한 공중합체이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옥시카르복시산(예, P-옥시벤조산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 글리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점도(IV)는 통상 0.52∼0.75, 바람직하게는 0.55∼0.7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8∼0.75이다. IV 값이 0.52 미만이면, 필름으로 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갖는 우수한 특징인 내열성, 기계적 강도 등이 나쁜 경향이 있다. 또한 IV 값이 0.75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의 압출 공정에서의 부화(負化)가 너무 커지는 경향이 있고,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필름 헤이즈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투명성이 악화되고, 특히 광학 용도로 사용한 경우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전 광선 투과율은 통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과법 1매로 측정한 색조b* 값이 통상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하이다. b* 값이 1.5 이상인 경우는 황색미가 강하고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부적절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는, 자외선 흡수제를 통상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1.8 중량%의 범위로 함유한다. 자외선 흡수제가 0.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투과하는 자외선에 의해 필터 중의 색소가 열화되고, 10.0 중량%를 초과하는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켜도, 이미 색소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는 포화해 있고, 역으로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가 블리드 아웃(bleed out)하고(적층 필름의 경우, 중간층을 덮는 표층을 관통하여 표면에 블리드 아웃한다) 접착성 저하 등, 표면 특성의 악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보다 커지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투과하는 자외선에 의해 필터 중의 색소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1,3,5-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도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을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총량이 0.1∼10.0 중량%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그 분자량이 300∼1,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300 미만인 경우는,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성형시에 승화 또는 발연 등이 일어나 성형이 곤란해지기도 하고, 역으로 본 발명과 같은 3층의 층 구성을 갖는 필름의 중간층에 첨가할 수도 있어도, 표층을 관통하여 표면에 블리드 아웃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분자량이 1,000을 초과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에 용해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필름 헤이즈가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2-히드록시-4-알콕시벤조페논을 메틸렌기에 2개 접속한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놀)메탄,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부톡시페닐)메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1,3,5-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3개의 벤젠 고리중 적어도 하나는 오르토 위치에 페놀성 수산기를 치환기에 갖는 트리페닐-1,3,5-트리아진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이를테면하기 구조식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은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내고, X1및 X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또는 이하의 관능기 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능기 군: 알킬기, 알릴기, 헤테로알릴기, 할로겐기, 알콕시기, 알릴옥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상기 구조식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중 적어도 한 쪽에 제공된 도포층면 측의 절대 반사율 값의 차 △R(구체적으로는 하기 식)은, 통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R = Rs-Rc(min.)
상기 식에서, Rs는 도포층 표면에서 파장 2,400∼2,000 nm의 절대 반사율의 평균치, Rc(min.)는 도포층 표면에서 파장 300∼800 nm의 절대 반사율 값의 최소치를 의미한다.
△R이 2.0%보다 큰 경우는 하드 코트층을 제공한 후, 간섭 무늬가 명료하게보이게 되고, 외관 특성상 결점으로 된다.
본 발명의 간섭 무늬를 보기 어렵게 하는 효과는 하드 코트제로서는 열경화 수지형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 수지형의 어느 것도 동일하지만,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59∼1.50, 바람직하게는 1.58∼1.52의 범위에 있을 때보다 현저하게 확인된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전체 필름 두께는 통상 50∼3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5∼250 ㎛이다. 전체 필름 두께가 50 ㎛ 미만인 경우, 필름의 허리가 약하기 때문에, 매엽 상으로 타발한 후, 1매 마다 실시되는 최종 검사와 디스플레이에의 첨부 시의 작업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300 ㎛보다 두꺼우면 그 강성 때문에 작업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필름은 180℃에서 10분간 열처리 후의,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환상 3중체) 석출량의 표리면의 총합이 15.0 mg/m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 mg/m2이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8.0 mg/m2이하이다.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15.0 mg/m2을 초과하는 경우는, 가공시의 열이력에 의해 필름 헤이즈가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하드 코트층의 내구밀착성의 향상을 위해서도,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15.0 mg/m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에 의한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올리고머의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공압출에 의한 적층 필름의 경우는, 최외층에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고, 열처리후의 필름 표면에의 올리고머 석출량을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포함되는 올리고머 량을 5,00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00 ppm,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3,000 ppm 이하로 함으로써 가열되었 때에 필름 표면에 석출하는 올리고머를 방지할 수 있다.
중합체 중의 올리고머는 막 형성 시의 용융 공정 등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증가량은 중합체 중의 함수율, 용융시의 온도와 체류 시간 등에 크게 영향을 받고, 약 100∼5,000 ppm 정도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술한 필름에 포함되는 올리고머 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용융 공정에서의 증가를 고려하고, 폴리에스테르 원료 중의 올리고머 량으로서는 4,00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00 ppm 이하, 특히 2,500 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중의 올리고머 량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고상 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경우, 최외층 두께는 한쪽 만의 두께로 통상 3㎛ 이상이고, 총 두께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가 3㎛ 미만에서는 가공중의 열이력 등에 의해, 내층에 함유하고 있는 올리고머(환상 삼량체)가 필름 표면에 석출하고, 생산라인의 오염과 필름 헤이즈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고, 총 두께의 1/4 두께보다 두꺼우면 필름의 권취성 향상으로 인해 최외층 필름 중에 배합하고 있는 활제(滑劑) 입자 기인의 헤이즈값(특히 내부 헤이즈값)이 높아지고, 필름의 투명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경우, 적어도 3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은, 그 중간의 층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당해 화합물이 필름 표면에 블리드 아웃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필름의 접착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배합하는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02㎛∼3㎛, 바람직하게는 0.02㎛∼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2㎛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0.02㎛ 미만인 입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평탄화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권취 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경이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조면화의 정도가 너무 커져서 필름의 헤이즈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 반응 개시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고,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도 좋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고, 에틸렌 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고,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필름은 100℃에서 5분간 열처리후의 수축률이 종방향 및 횡방향모두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1.5% 이하이다. 수축률이 2.0%보다 큰 경우는, 하드 코트층을 제공한 후, 필름이 커얼링(curl)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지의 방법에 의해 건조한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압출 장치로 공급하고, 각각의 중합체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고 용융한다. 연이어, 용융한 중합체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회전 냉각 드럼 상에서 유리 전이온도 이하의 온도로 되도록 급냉 고화하고, 실질적으로 비결정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화한다. 연신 조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방향으로 70∼145℃에서 2∼6배로 연신하고, 종 1축연신 필름으로 한 후, 횡방향으로 90∼160℃에서 2∼6배 연신하고, 150∼240℃에서 1∼600초간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열처리의 최고 온도 대역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냉각 대역에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0.1∼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재 종연신, 재 횡연신을 부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층을 갖는다. 도포층의 목적으로서는 이를테면 하드 코트층을 제공하는 경우의 접착성 향상,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것 등이 있다. 도포층은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 또는 그들을 양방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인라인으로 하는 코팅에서는,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종연신이 종료한 단계에서 도포액을 도포한 후, 텐터 입구 전(배향 결정화 완료전)에 코팅하여 텐터 내에서 건조, 예열, 횡연신을 하고, 다시 열고정하는 일련의 공정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코팅 재료로서는, 오프라인 코팅의 경우는 수계 및/또는 용매계의 어느 것도 좋지만, 인라인 코팅의 경우는 수계 또는 수분산계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광학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표면 경도 향상을 위해 제공한 하드 코트층에 다른 기능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대전방지제, 착색제, 도전재료 등을 가하여도 좋고, 다시 그 위에 외광의 영입과 정전기에 의한 전기충격, 먼지 부착 방지, 또한 전자파 차단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다층 박막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으로서는 가교제와 각종 바인더 수지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바인더 수지로서는 접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는 각각 그들의 유도체를 포함하여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유도체'란 다른 중합체와의 공중합체, 관능기에 반응성 화합물을 반응시킨 중합체를 나타낸다. 또한,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 폴리올레핀 등도 강인한 피막을 형성하고 상도제와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은 염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연소 시에 염소를 포함하는 유해한 다이옥신 화합물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도포 필름의 스크랩을 재 이용할 때 착색, 부식성 가스의 발생 문제가 있고 이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우레탄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도포제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하기와 같은 다가 카르복시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즉, 다가 카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르복시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2-칼륨술포테레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디카르복시산, 글루타르산, 호박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스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멜리트산 모노칼륨염 및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p-크실렌 글리콜, 비스페놀A-에틸렌 글리콜 부가물,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옥시드 글리콜,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에틸술폰산 나트륨, 디메틸올프로피온산 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방법인 중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한다.
또한, 상기 외에, 일본 특허공개 평1-16563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소위아크릴 그라프트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로 사슬연장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등의 폴리에스테르 성분을 갖는 복합 고분자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물을 매체로 하는 도포제이고, 계면 활성제 등에 의해 강제 분산화한 도포제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류와 같은 친수성의 비이온 성분과, 4급 암모늄염과 같은 양이온성 기를 갖는 자기 분산형 도포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기를 갖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도포제이다. '음이온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란 음이온성 기를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과 그라프트 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에 결합시킨 것이고, 술폰산, 카르복시산, 인산 및 이들의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음이온성 기의 양은, 0.05∼8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기의 양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이 나쁘고, 음이온성기 양이 8중량%를 초과하면, 도포층의 내수성이 나쁘고, 흡습하여 필름이 서로 고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도포제로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란,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단량체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어느 것도 지장이 없다. 또, 그들 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경우에 따라서는 중합체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경우에 따라서는 중합체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중합체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중합체(경우에 따라서는 중합체 혼합물)도 포함된다.
상기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 수산기 함유 단량체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소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각종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칫소(주)의 제품 "사이라프렌 FM-07"(메타크릴로일로실리콘마크로머)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규소 함유 중합성 단량체류; 인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크롤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같은 각종 할로겐화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 등.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체의 제조에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다. 이를테면, 유기 용제와 상기 각종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혼합하고, 가열교반하여 중합할 수 있다. 또는 유기 용재를 가열교반하면서 상기 각종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적하하여 중합해도 좋다. 또한, 유기 용제, 상기 각종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고압으로 중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유기 용제 대신에 물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병용하여, 유화중합과 현탁중합해도 좋다.
이들 단량체를 반응시키는 데 필요한 중합개시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그들 중에서 대표적인 화합물을 예시하면 하기와 같다: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과 같은 무기 과산화물; 과산화벤조일 등과 같은 아실퍼옥시드; 제3급 부틸히드로퍼옥시드; p-멘탄히드로퍼옥시드와 같은 여러 가지 알킬히드로퍼옥시드; 디-3차 부틸퍼옥시드와 같은 여러 가지 디알킬퍼옥시드, 특히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디-3차 부탄과 같은 여러 가지 아조계 화합물 혹은 상기 유기 또는 무기 과산화물은, 환원제와 조합시켜, 소위 레독스계 촉매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성분을 하나의 화합물로 행해도좋고, 복수를 병용해도 좋다. 상기 환원제로서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이하와 같다. 유기 아민류, L-아스코르브산, L-소르브산, 나프텐산코발트, 옥텐산코발트, 나프텐산철, 옥텐산철 등.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이를테면 일본특허공고 소42-24194호 공보, 일본특허공고 소46-7720호 공보, 일본특허공고 소46-10193호 공보, 일본특허공고 소49-3783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50-12319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53-12605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소54-138098호 공보 등에 개시된 공지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에 준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류,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 아크릴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분자량 300∼2,000의 폴리올이 사용된다.
또, 사슬 연장제 혹은 가교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물을 주 매체로 한 용매에 대한 용해성을 좋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음이온성 치화기, 예를 들면, -SO3H기, -OSO3H기, -COOH기 및 이들의 암모늄염, 알칼리금속염, 알칼리토류 금속염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이를테면 다음 (1)∼(3)의 제법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사슬연장제 등에 음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제법:
이를 테면, 음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술폰화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아미노알코올류의 황산에스테르염 또는 디아미노카르복시산염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2) 음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과 생성한 폴리우레탄의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반응시키는 제법:
음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음이온성 치환기로서 이를테면 중아황산염, 아미노술폰산 및 그 염류, 아미노카르복시산 및 그 염류, 아미노알코올류의 황산에스테르 및 그 염류, 히드록시아세트산 및 그의 염류 등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3) 폴리우레탄의 활성 수소 함유 기(OH, COOH 등)와 특정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제법:
특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시산 무수물, 테트라카르복시산 무수물, 설톤, 락톤, 에폭시카르복시산, 에폭시술폰산, 2,4-디옥소-옥사졸리딘, 이사토산 무수물, 호스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황산카르빌 등의 염 형태의 기 또는 개화 후에 염을 생성할 수 있는 기를 나타내는 3원-고리로부터 7원-고리의 환식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도포제로서 사용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우레탄 중에서, 바람직한 중합체는 유리 전이온도(Tg)가 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0℃ 이상인 것이고, 폴리우레탄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고, 카르복시산 잔기를 갖고, 그중 적어도 일부는 아민 또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수성화되고 있는 중합체이다.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이란, 폴리에스테르를 폴리올로서 사용한 폴리우레탄이고, 본원의 멜라민 수지와 병용하여 인라인코팅으로 사용하였을 때 종합적으로 우수한 피막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도제와의 강한 접착성, 투명한 피막, 우수한 내고착성을 나타낸다. 폴리우레탄에는, 공업적으로,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탄 등도 알려져 있지만, 본원의 멜라민 수지와 조합시킬 때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이 종합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도포액에는, 물보다 고 비점의 수용성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막의 투명성, 상도제와의 접착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비점이 100℃ 이상 300℃ 이하이고, 20℃에서 물의 용해도가1% 이상인 유기 용매이다. 예를 들면, n-부틸알코올, 디아세톤알코올, 셀로솔브아세세이트,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3-메틸메톡시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텍산올,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있다.
가교제 수지로서는, 멜라민계, 에폭시계, 옥사졸린계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도포성, 내구 접착성 면에서, 멜라민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멜라민계 수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멜라민,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얻어지는 메틸올화 멜라민 유도체, 메틸올화 멜마민에 저급 알코올을 반응시켜 부분적 또는 완전히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멜라민계 수지로서는, 단량체, 혹은 2량체 이상의 다량체로 이루어진 축합물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에테르화에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로서는 이미노기, 메틸올기, 혹은 메톡시메틸기와 부톡시메틸기 등의 알콕시메틸기를 1분자 중에 갖는 것으로, 이미노기형 메틸화멜라민 수지, 메틸올기형 멜라민 수지, 메틸올기형 메틸화멜라민 수지, 완전 알킬형 메틸화 멜라민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화 멜라민 수지가 최고로 바람직하다. 또한, 멜라민계 가교제의 열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이를테면 p-톨루엔술폰산 등의 산성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포제 중에 있어서 멜라민 수지의 배합량은 통상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의 범위이다. 가교제 수지의 배합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는, 내구 접착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내용제성의 개량 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충분한 접착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끄럼성, 고착성 등을 더욱 개량하기 위해, 도포층 중에 무기계 입자와 유기계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제 중에 있어서 입자의 배합량은 통상 0.5∼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내블로킹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화상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이산화규소,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카올린, 탈크, 탄산칼슘, 산화티탄, 산화바륨, 카본블랙, 황화몰리브덴, 산화안티몬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는, 이산화규소가 값싸고 또한 입자 직경이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이용하기 쉽다.
유기 입자로서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분자 중에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예를 들면 디비닐벤젠)에 의해 가교 구조를 달성한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상기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는 표면 처리되어도 좋다. 표면처리제로서는, 이를테면, 계면활성제, 분산제로서의 고분자,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이 있다. 도포층 중의 입자 함유량은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첨가량으로서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중량% 이하이다.
또한, 도포층은 대전방지제,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발포제, 염료, 안료 등을 함유해도 좋다.
도포제는 물을 주 매체로 하는 한, 물에 대한 분산을 개량하는 목적 또는 조막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으로 소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해도 좋다. 유기 용제는 물에 용해하는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n-부틸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n-부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유도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프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아밀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가 있다. 이들의 유기 용제는, 필요에 따라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도포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라사키유지(原崎勇次)저, 마키쇼텐, 1979년 발행, "코팅 방식"에 나타내진, 리버스롤코터, 그라비아코터, 로드코터, 에어닥터코터 또는 이들 이외의 도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만 형성해도 좋고, 양면에 형성해도 좋다. 편면에만 형성한 경우, 그 반대 면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포층과 다른 도포층을 형성하여 다른 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제의 필름에 대한 도포성과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 도포 전에 필름에 화학처리와 방전처리를 해도 좋다. 또한, 표면 특성을 더 개량하기 위해 도포층 형성 후에 방전처리를 해도 좋다.
도포층의 두께는, 최종적인 건조 두께로서 통상 0.02∼0.5 ㎛, 바람직하게는 0.03∼0.3 ㎛의 범위이다. 도포층의 두께가 0.02 ㎛ 미만인 경우는,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도포층의 두께가 0.5 ㎛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이 상호 고착하기 쉽고, 특히 필름의 고강도화로 인해 도포처리 필름을 재연신하는 경우, 공정중 롤에 점착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상기 고착의 문제는 특히 필름의 양면에 동일한 도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으면, 다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혼합할 수 있다. 또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형광증백제, 윤활제, 차광제, 매트화제, 및 염료, 안료 등의 착색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 필름의 활성(滑性)과 내마모성을 개량하기 위한 목적 등을 위해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미립자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되는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2∼3 ㎛, 바람직하게는 0.02∼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2 ㎛의 범위이다. 입경이 0.02 ㎛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평탄화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권취 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 입경이 3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조면화의 정도가 너무 커져서 필름이 탁해지는 경향이 있다.
필름 중에 배합하는 입자로서는 산화규소, 알루미나, 탄산칼슘, 카올린, 산화티탄 및 일본특허공고 소59-52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교 고분자 미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입자는 단독 또는 2 성분 이상을 동시에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그 함유량은 통상 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0.5 중량%의 범위이다. 입자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필름 표면이 평탄화하고, 필름 제조 공정에 있어서 권취 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 입자의 함유량이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의 조면화의 정도가 너무 커져 탁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의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 중축합반응 개시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진행시켜도 좋다. 또 벤트 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압출기를 사용하고,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으로 AR 필름(Anti Reflective Film) 내에 사용된다. AR 필름은, 통상 프로텍트 필름/반사방지(+대전방지, 먼지 방지)층/하드코트층(AG(Anti Glare) 또는 클리어)/베이스 필름(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점착층/이형 필름으로 구성된다. 또 AR 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 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양 최외층에 제공되고, 통상 플라즈마디스플레이용 광학 필터는 시청자측--AR 필름/유리 기판/조색 점착층/다층 스퍼터 필름/AR 필름--PDP측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외선의 투과율이 낮고, 황색이 적고, 내광성이 높고, 고온 고습에서 하드코트층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하드코트층 형성후의 간섭무늬를 보기 어렵고, 광학용 필름으로서의 외관이 우수하고, 광학 용도로 적합한 접착 용이성 필름이고, 공업적 가치는 높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모든 "부"는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극한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인 다른 중합체 성분 및 안료를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g을 정확하게 평량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입경(d50):
(주) "島津製作所社" 제 원심침강식 입도 분포측정 장치 SA-CP3형을 사용하여 스톡스의 저항측을 기본으로 침강법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3) 폴리에스테르 중의 올리고머(환상 삼량체) 함유량:
소정량의 폴리에스테르 원료,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o-클로로페놀에 용해한 후, 테트라히드로프란으로 재석출하여 여과하고, 선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제거한 후, 연이어 얻어진 여액을 액체 클로마토그래피(島津 LC-7A)에 공급하여 폴리에스테르 중에 포함되는 올리고머(환상 삼량체) 량을 구하고, 이 값을 측정하는 데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량으로 나누어, 폴리에스테르 중에 포함되는 올리고머 량(환상 삼량체)으로 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구하는 올리고머 (환상 삼량체) 량은 표준 시료 피크 면적과 측정 시료 피크 면적의 피크 면적비로부터 구하였다(절대 검량선법).
표준시료의 제조는 미리 분취한 올리고머(환상 삼량체)를 정확히 평량하고, 정확하게 평량한 DMF(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의 조건은 하기와 같다:
이동상 A: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2% 아세트산 수용액
칼럼: 미쓰비시 가가쿠(주)제 MCI GEL ODS 1HU
칼럼 온도: 40℃
유속: 1 ml/분
검출파장: 254 nm
(4) 필름의 열처리:
A4 싸이즈의 켄트지와 열처리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합친다. 그 때, 측정면이 외측으로 되도록 젬 클립 등으로 4 모퉁이를 클립하고, 켄트지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고정시킨다.
질소 분위기하, 180℃의 오븐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10분간 방치하고 열처리한다.
(5) 필름 표면 올리고머(OL) 량: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있어서, 표리면의 필름 표면 올리고머 량을 측정하고, 표면과 이면의 필름 표면 올리고머 량의 총합을 필름 표면 올리고머 량으로 하였다.
상부가 개방되고, 저변의 면적이 250 cm2로 되도록, 열처리 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고, 4각 상자를 만든다. 그 다음,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상자 중에 DMF 10 ml를 넣고 3분간 방치 후 DMF를 회수한다. 회수한 DMF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島津 LC-7A)에 공급하여 DMF 중의 올리고머 량을 구하고, 이 값을 DMF를 접촉시킨 필름 면적으로 나누어, 필름 표면 올리고머 량(mg/m2)으로 한다. DMF 중의 올리고머 량은, 표준시료 피크 면적과 측정시료 피크 면적의 피크 면적비로부터 구하였다(절대 검량선법) 표준시료의 제조는, 미리 분취한 올리고머(환상 삼량체)를 정확하게 평량하고, 정확에게 평량한 DMF로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표준 시료의 농도는 0.001 mg/ml∼0.01 mg/ml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이동상 A: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B: 2% 아세트산 수용액
칼럼: 미쓰비시 가가쿠(주)제 MCI GEL ODS 1HU
칼럼 온도: 40℃
유속: 1 ml/분
검출파장: 254 nm
(6) 필름 헤이즈:
JIS-K7105에 따라, 일본전색공업사제 적분구식탁도계 NDH-20D에 의해 필름의 탁도-전 광선투과율을 측정하였다.
(7) 광선투과율:
도진제작소사 제 분광광도계 UV3100에 의해, 스캔 속도를 저속, 샘플링 피치를 2 nm, 파장 300∼700 nm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광선투과율을 측정하고, 380 nm 파장에서의 광선 투과율을 검출하였다.
(8) 색조 b* 값:
분광식 측색계 SE-2000(일본전색 주식회사 제)로 C광원, 2도 시야로서, 투과법, 1매에서의 샘픔의 색조(L*, a*, b*)를 측정하고, b*값으로 황색미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9) 색조 육안 판정: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O300E100(미쓰비시 가가쿠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 다이아호일(등록상표))를 표준 샘플로 하여 A4 커트판으로 잘라내고, 흰 태지(台紙) 상에 놓고, 마찬가지로 흰 태지 상에 놓인 자외선 흡수제 함유 필름 샘플의 색조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색조가 표준 샘플 중간(색조 양호)
△: 필름이 약간 착색되어 있음(색조 약간 양호)
X: 필름의 착색이 현저하게 실용성이 없음(색조 불량)
(10) 열처리 후의 필름 헤이즈:
질소 분위기하, 180℃의 오븐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열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JIS-K7105에 따라, 일본전색공업사 제 적분구식탁도계 NDH-20D에 의해 열처리 후의 필름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11) 적층 폴리에스테르층의 두께;
필름 소편을 에폭시 수지로 고정 형성한 후, 미크로톰으로 절단하고, 필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관찰하였다. 그 단면중 필름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2개, 명암에 의해 계면이 관찰된다. 그 2개의 계면과 필름 표면까지의 거리를 10매의 사진으로부터 측정하고, 평균치를 적층 두께로 하였다.
(12) 하드코트의 접착성:
(초기 접착성)
하드코트층 형성 직후, 당해 하드코트층에 1인치 폭으로 바둑무늬가 100개로 되도록 크로스 커트를 넣고, 즉시 동일 개소에 대해서 3회 셀로테이프(등록상표) 급속 박리 테스트를 실시하고, 박리 면적에 의해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바둑판 무늬 박리 개수 = 0
○: 1 ≤ 바둑판 무늬 박리 개수 ≤ 10
△: 11 ≤ 바둑판 무늬 박리 개수 ≤ 20
X: 21 ≤ 바둑판 무늬 박리 개수
(내구 접착성)
하드코트층에 크로스컷트를 넣기 전에 60℃, 90% RH의 습열 오븐 중에 100시간 에이징한 이외는, 초기 접착성 평가와 동일하게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13) 간섭 무늬:
하드코트층 형성품의 하드코트층면을 위로 하고 블랙보드 상에 놓고, 3파장형 주백색 18와트의 형광등을 위로부터 조사하고, 간섭 무늬의 형상 및 농염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다음에 나타낸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간섭 무늬의 줄무늬 폭이 크고(약 2mm 이상), 줄무늬와 줄무늬의 경계가 불명료
△: 간섭 무늬의 줄무늬의 폭이 크지만(약 2mm 이상), 줄무늬와 줄무늬의 경계가 명료
X: 간섭 무늬의 줄무늬의 폭이 좁고 치밀하며(약 2mm 이내), 줄무늬와 줄무늬의 경계가 명료
(14) △R:
접착 용이층의 이면(양면 접착이 용이한 경우는, 측정면의 이면)에, 50 mm 폭의 흑색 점착 테이프(일동전공제 NITTO TAPE)를, 첨합시킨 후, 사이에 기포가 들어있지 않은 개소를, 약 4 cm 각의 샘플 편으로 절출하고, 도진제작소사 제 분광광도계 UV3100(다목적 대형 시료실 MPC-3100 설치 형)로 용이 접착층면의 5°절대 반사율을 다음 측정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 300∼2,400 nm
샘플링 피치 2 nm
스캔 속도 중속
슬릿폭 20 nm
다음에, 파장 2,000∼2,400 nm의 절대 반사율의 2 nm 피치의 평균치 Rs와 파장 300∼800 nm의 절대 반사율 값의 최소치 Rc(min.)를 구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R값을 산출하였다:
△R = Rs - Rc (min.)
(15) 필름 수축률:
100℃±2℃의 기어 오븐 중에 무하중의 상태로 5분간 열수축시키고 하기 식으로 구하였다:
(lo-l) ÷ lo
(상기 식중, lo는 원 길이 locm이고, l은 수축 후의 길이임)
(16) 필름의 변색의 평가 (UV 내광성):
수가 시험기제 자외선 롱라이프페이드 메타(FAL-3형)를 사용하고, 63±3℃에서 500 시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필름의 변색 평가는, 샘플의 색조(L*, a*, b*)를 자외선 조사 전후에 측정하고, 황색미를 나타내는 b*값의 차(△b*)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b* 값이 적을수록 내광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색조의 측정에는, 분광식 측색계 SE-2000(일본전색(주)제)를 사용하였다. 내광성 측정기준은 이하와 같다:
○: △b* ≤ 1.0
X: 1.0 〈 △b*
(17) 광학용 적성 종합평가:
하드코트층과의 접착성과 간섭 무늬, 필름 헤이즈, 380 nm에 있어서, 광선투과율, 색조 등의 특성으로부터, 광학용 용도에 대한 적정을, 다음에 나타낸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색조, 접착성이 극히 양호하고, 간섭 무늬가 명료하지 않고, 380 nm에서 광선 투과율, 헤이즈 값이 낮고 양호하여, 광학 용도로 적당하다.
△: 색조, 접착성이 약간 양호하고, 380 nm에서 광선 투과율, 헤이즈 값이 낮고 양호하여, 광학 용도로 적당하다.
X: 색조, 접착성, 간섭 무늬, 380 nm에서 광선 투과율, 헤이즈 값에 문제가 있고, 광학 용도로 적당하지 않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100 중량부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60 중량부의 에틸렌 글리콜을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0.09 중량부의 아세트산 마그네슘 4수염을 반응기에 넣고, 반응개시 온도를 150℃로 하고, 메탄올을 증류 제거시킴과 동시에 서서히 반응 온도를 상승시키고,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0.04부의 에틸산 포스페이트를 첨가한 후,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가하고, 4시간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에서 서서히 줄이고,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후, 반응조의 교반 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점도 0.63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 중합체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A)의 극한점도는 0.63, 올리고머(환상 삼량체)의 함유량은 0.83 중량%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미리 160℃에서 예비 결정화시킨 후, 온도 220℃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고상 중합하고, 극한점도 0.75, 올리고머(환상 삼량체) 함유량 0.24 중량%의 폴리에스테르(B)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산포스페이트 0.04부를 첨가한 후, 평균입경 1.6 ㎛의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실리카 입자를 0.2부,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가하여, 극한점도 0.65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 반응을 정지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는 극한점도 0.65, 올리고머(환상 삼량체)의 함유량은 0.82 중량%이었다.
(폴리에스테르(D)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벤트 부착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자외선 흡수제로서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 (CYTEC 사제 CYASORBUV-3638 분자량 369 벤조옥사지논계)을 10 중량% 농도로 되도록 공급하여 용융혼련하여 침으로 만들고, 자외선 흡수제 마스터뱃치 폴리에스테르(D)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D)의 극한점도는 0.59이었다.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벤트 부착 2축 압출기로 공급하여, 자외선 흡수제로서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아사히뎅와고교(주)사제, 아데가스타브 LA-51 분자량 469 벤조페논계)을 20중량% 농도로 되도록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여 칩으로 만들고, 자외선 흡수제 마스터뱃치 폴리에스테르(E)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E)의 극한점도는 0.59이었다.
(폴리에스테르(F)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벤트 부착 2축 압출기로 공급하여,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시바스페셜티 케미칼스(주) 사제 TINUVIN577FF, 분자량425; 1,3,5-트리아진계)를 20 중량% 농도로 되도록 공급하여 용융혼련하여 칩으로 만들고, 자외선 흡수제 마스터뱃치 폴리에스테르(E)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G)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벤트 부착 2축 압출기로 공급하여, 미쓰비시가가쿠(주) 제 다이아레진레드 HS 1.5 중량%, 동 블루-H3G 2.75 중량%, 및 동 옐로우 F 0.75중량%의 각 농도로 되도록 혼합하여 첨가하고, 용융혼련하여 칩으로 만들고, 염료 마스터뱃치 폴리에스테르(F)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H)의 제조방법)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디메틸 100부와 에틸렌글리콜 65부 및 아세트산 마그네슘 4수염 0.09부를 반응기에 넣고, 가열 승온함과 동시에 메탄올을 유출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하고, 반응개시로부터 4시간을 요하여 230℃로 승온하고,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하였다. 연이어, 인산 0.04부, 삼산화안티몬 0.04부를 첨가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중축합 반응을 진행하고, 극한점도 0.55의 중합체를 얻고, 연이어 고층(固層) 중합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0.63의 폴리에스테르(G)를 얻었다.
도포제의 조정
하기 표1에 나타낸 수성 도료 원액을 하기 표2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여 P1∼P3이 수성 도포제를 조제하였다.
기호 내용
A1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트리에틸렌글리콜 = 31/16/3/22/21/7 몰비의 폴리에스테르 분산체
A2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 = 24/25/1/25/25 몰비의 폴리에스테르 분산체
A3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 = 28/20/2/35/10/5 몰비의 폴리에스테르 분산체
B1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 45/45/5/5 몰비의 유화 중합체 (유화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C1 다이니폰잉크(주)제; 하이드란 AP
D1 멜라민계 가교제: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E1 무기 입자: 산화규소의 수분산체(입자경 0.06 ㎛)
기호 도료 배합 고형분 조성 (중량비)
P1 A3/B1/D1/E1 = 47/20/30/3
P2 A1/C1/D1/E1 = 20/65/10/5
P3 A2/B1/D1/E1 = 17/50/30/3
(실시예 1)
상기 폴리에스테르(B) 및 (C)를 각각 90% 및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A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 및 (D)를 각각 90% 및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B층의 원료로 하고, 2대의 압출기로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85℃에서 용융한 후, A층을 최외층(표층), B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40℃로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2종3층(ABA)의 층 구성으로 공압출하고 냉각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 롤 주속차(周速差)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2℃에서 종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양면에 표2에 나타낸 수성 도포제 P1을 도포하고, 텐터에 도입하고, 횡방향으로 120℃에서 3.6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고, 30 m/분의 생산속도로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하고, 두께 0.1 ㎛의 도포층을 갖는 두께 100㎛, 극한점도는 0.61의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얻었다.
그 다음, 얻어진 필름의 도포층 상에 하드코트 수지를 경화후의 두께가 6㎛가 되도록 도포하고, 120 W/cm의 에너지의 고압 수은 등을 사용하고, 조사 거리 100 mm에서 약 10초간 조사하여 표면 경화필름을 얻었다. 하드코트 수지로서는 니뽄가야쿠제 KAYANOVA FOP-1700을 사용하였다.
FOP-1700을 유리판 상에 도포 후, 120 W/cm 에너지의 고압 수은 등을 사용하고, 조사거리 100 mm에서 약 10초간 조사하여 FOP-1700의 경화막을 얻은 후, 압베 굴절률계(광원D65)로 경화막의 굴절률을 얻은바 1.54이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상기 폴리에스테르(B), (C) 및 (D)를 각각 89%, 1% 및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원료를 B층의 원료로 하고, 285℃에서 용융한 후, 40℃로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단층 구성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은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6, 참고예1, 비교에1∼3)
실시예1에서, A층 및 B층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그 배합비, 제막시에 형성하는 도포층의 종류, 및 A층, B층 두께 구성을 하기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각 실시예, 참고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정리하여 표4에 나타냈다.
A층 두께 B층 두께 A층 원료 B층 원료 도포액
실시예1 5 90 (B)/(C)=90/10 (A)/(D)=90/10 P1
실시예2 100 (B)/(C)/(D)=89/1/10 P1
실시예3 6 176 (B)/(C)=90/10 (A)/(D)=95/5 P2
실시예4 5 90 (B)/(C)=90/10 (A)/(D)=90/20 P1
실시예5 5 90 (A)/(C)=90/10 (A)/(D)=90/10 P1
실시예6 5 90 (B)/(C)=90/10 (A)/(D)=90/10 P3
비교예1 5 90 (B)/(C)=90/10 (A)/(D)=98/2 P1
비교예2 5 90 (B)/(C)=50/50 (A)/(D)=90/10 P1
참고예1 5 90 (A)/(C)=90/10 (A)/(E)=90/10 P1
비교예3 5 90 (A)/(C)=90/10 (A)/(D)=90/10 -
필름 헤이즈 380nm의 투과율 색조 절대 반사율 △R 180℃,10분 처리후 하드코트층 접착성 하드코트 간섭무늬 종합평가
b*값 육안 판정 Rs Rmin 헤이즈 표면OL량 초기 내구성
% % - % mg/m2
실시예1 0.9 0.5 0.6 5.7 4.4 1.3 1.0 4.6
실시예2 1.0 0.3 0.6 5.7 4.4 1.3 1.0 0.8
실시예3 1.0 0.2 0.9 5.7 4.2 1.5 1.4 8.2
실시예4 0.9 0.0 1.2 5.7 4.6 1.1 1.0 4.5
실시예5 0.9 1.0 0.6 5.7 4.6 1.1 8.0 30.0
실시예6 0.9 1.0 0.6 5.7 3.2 2.5 1.0 4.5 X
비교예1 0.9 17.5 0.5 5.7 4.4 1.3 1.0 4.5 X
비교예2 2.3 0.5 0.6 5.7 4.6 1.1 2.7 9.0 X
참고예1 0.9 0.5 2.0 X 5.7 4.6 1.1 1.0 5.3 X
비교예3 0.9 0.5 0.6 5.8 6.2 -0.4 0.9 1.4 X - X X
(실시예 7)
폴리에스테르(B) 및 (C)를 각각 90% 및 10%의 원료를 A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A) 및 (D)를 각각 90% 및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B층의 원료로 하고, 2대의 압출기에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85℃에서 용융한 후, A층을 최외층(표층), B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40℃로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2종3층(ABA)의 층 구성으로 공압출하고 냉각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었다.
그 다음,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3℃에서 종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양면에 표2에 나타낸 수성 도포제 P1을 도포하고, 텐터에 도입하고, 횡방향으로 120℃에서 3.6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고, 30 m/분의 생산속도로 필름을 롤상에 권취하여, 두께 0.1 ㎛의 도포층을 갖는 두께 100㎛, 극한점도 0.60의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14, 참고예2, 비교에4∼5)
실시예7에서, A층, B층으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그 배합비, 막 성형 시에 형성하는 도포층의 종류, 및 A층, B층 두께 구성을 하기 표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7에서, 횡방향으로 연신한 후의 열처리 온도를 140℃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상, 필름의 구성에 대해서 표5에, 필름의 평가 결과에 대해서 표6∼7에 나타낸다.
A층 두께(㎛) B층 두께(㎛) A층 원료 B층 원료 도포액
실시예7 5 90 (B)/(C)=90/10 (A)/(E)=90/10 P1
실시예8 5 90 (A)/(C)=90/10 (A)/(E)=90/10 P1
실시예9 5 90 (A)/(C)=90/10 (A)/(F)=90/10 P1
실시예10 6 172 (A)/(C)=90/10 (A)/(E)=95/5 P1
실시예11 - 100 - (A)/(C)/(E)=89/1/10 P1
실시예12 5 90 (A)/(C)=90/10 (A)/(E)=90/10 -
실시예13 5 90 (A)/(C)=90/10 (A)/(E)=90/10 P3
실시예14 6 172 (A)/(C)=90/10 (A)/(H)/(F)=87.5/10/2.5 P1
실시예15 5 90 (A)/(C)=90/10 (A)/(E)=90/10 P1
비교예4 5 90 (A)/(C)=50/50 (A)/(E)=90/10 P1
비교예5 5 90 (A)/(C)=90/10 (A)/(E)=95/5 P1
참고예2 5 90 (A)/(C)=90/10 (A)/(G)/(E)=89/1/10 P1
필름헤이즈 전광선 투과율 380nm광선 투과율 Rs Rmin △R
실시예7 1.0 91 1.0 5.7 4.4 1.3
실시예8 1.0 91 1.0 5.6 4.2 1.4
실시예9 1.0 91 1.0 5.5 4.2 1.3
실시예10 1.0 91 1.0 5.6 4.3 1.3
실시예11 1.0 91 1.1 5.7 4.2 1.5
실시예12 1.0 88 1.1 5.8 4.5 1.3
실시예13 1.0 91 1.1 5.5 3.0 2.5
실시예14 1.0 91 3.7 5.6 4.2 1.4
실시예15 1.0 91 1.1 5.5 3.9 1.6
비교예4 2.5 90 1.1 5.8 4.4 1.4
비교예5 1.0 91 8.0 5.6 4.2 1.4
참고예2 1.0 71 1.1 5.6 4.3 1.3
수축률종방향 수축률 횡방향 UV내후성 HC접착성 HC간섭무늬 광학용적정
실시예7 1.2 0.1
실시예8 1.2 0.1
실시예9 1.2 0.1
실시예10 1.2 0.1
실시예11 1.2 0.1
실시예12 1.2 0.1 X
실시예13 1.2 0.1 X
실시예14 1.2 0.1 X
실시예15 5.0 6.0
비교예4 1.2 0.1 X
비교예5 1.2 0.1 X
참고예2 1.2 0.1 X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를 필름은 자외선의 투과율이 낮고, 황색이 적고, 내광성이 높고, 고온 고습에서 하드코트층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하드코트층 형성후 간섭무늬를 보기 어렵고, 광학용 필름으로서의 외관이 우수하고, 광학 용도로 적합한 접착 용이성 필름이고, 공업적 가치는 높다.

Claims (9)

  1.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에 도포층을 갖고, 필름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파장 380 nm의 광선 투과율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옥사지논계 자외선 흡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가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3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의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항에 있어서, 색조b* 값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R이 통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R = Rs-Rc(min.)
    상기 식에서, Rs는 도포층 표면에서 파장 2,400∼2,000 nm의 절대 반사율의 평균치이고, Rc(min.)는 도포층 표면에서 파장 300∼800 nm의 절대 반사율 값의 최소치를 의미한다.
  7. 제 1항에 있어서, 180℃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의, 필름 표리면의 올리고머량 총합이 15 mg/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항에 있어서, 필름의 전 광선 투과율이 7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항에 있어서, 필름의 수축률(100℃-5분)이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30037490A 2002-06-12 2003-06-11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92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0739 2002-06-12
JP2002170739A JP2004010875A (ja) 2002-06-12 2002-06-12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024A true KR20030096024A (ko) 2003-12-24
KR100992515B1 KR100992515B1 (ko) 2010-11-08

Family

ID=2956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490A KR100992515B1 (ko) 2002-06-12 2003-06-11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21580B2 (ko)
EP (1) EP1371682B1 (ko)
JP (1) JP2004010875A (ko)
KR (1) KR100992515B1 (ko)
DE (1) DE60321088D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428B1 (ko) * 2005-11-11 2007-07-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0194A (ko) * 2009-09-29 2012-07-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KR101293098B1 (ko) * 2004-08-30 2013-08-12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이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10149256A (ko) * 2020-06-01 2021-12-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485B1 (ko) * 2002-04-02 2010-02-1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인쇄 원판
US20050023729A1 (en) * 2003-07-31 2005-02-03 Smith Leslie E. Formation of wide paint film parts
EP1511095A3 (en) * 2003-08-19 2011-02-23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295303B (en) * 2003-08-21 2008-04-01 Toyo Boseki Optical-use adhesive polyester film and optical-use laminatede film
DE10352439A1 (de) * 2003-11-10 2005-06-0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eißsiegelbaren und peelfähigen Polysterfolie
KR20060135649A (ko) * 2003-12-09 2006-12-29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반사판용 수지 조성물 및 반사판
US20060086929A1 (en) * 2004-10-25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Ultraviolet-flourescing material
JP4810826B2 (ja) * 2004-12-28 2011-11-09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ル
US20090009899A1 (en) * 2005-02-16 2009-01-08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Near Infrared Ray Absorbing Filter, Optical Filter for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Panel
US7557989B2 (en) * 2005-06-03 2009-07-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flective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586566B2 (en) * 2005-06-03 2009-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ightness enhancing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05049639A1 (de) * 2005-10-18 2007-04-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hydrophiler Beschichtung
US20070084542A1 (en) * 2005-10-19 2007-04-19 Durakon Industri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stretched paint films and articles formed using same
JP2007130956A (ja) * 2005-11-14 2007-05-3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36549B2 (ja) * 2005-11-14 2011-12-14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40212B2 (ja) * 2005-11-29 2013-02-06 三菱樹脂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54001A (ja) * 2005-12-02 2007-06-2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56075A (ja) * 2005-12-05 2007-06-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05927B2 (ja) * 2006-02-17 2012-08-22 三菱樹脂株式会社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224093A (ja) * 2006-02-21 2007-09-06 Tokyo Ohka Kogyo Co Ltd 接着層形成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凸版印刷版、並びに凸版印刷版の製造方法
TWI363195B (en) * 2006-04-14 2012-05-01 Sony Corp Optical sheet,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168813B2 (ja) * 2006-04-14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67479B2 (ja) * 2006-06-30 2012-07-04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8044245A (ja) * 2006-08-17 2008-02-28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55810A (ja) * 2006-09-01 2008-03-1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A2605628C (en) * 2006-09-28 2015-03-1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eded polyamide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80166549A1 (en) * 2007-01-04 2008-07-10 Nan Ya Plastics Corporation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olarizer film
JP5009648B2 (ja) * 2007-02-27 2012-08-22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00086795A1 (en) * 2007-03-12 2010-04-0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Radiation image conversion panel
JP2008242252A (ja) * 2007-03-28 2008-10-0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46780A (ja) * 2007-03-29 2008-10-1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80249226A1 (en) * 2007-04-09 2008-10-09 Nan Ya Plastics Corporation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for optical-use polyester film
US20090075099A1 (en) * 2007-04-09 2009-03-19 Sung-Yueh Shieh Waterborne Coating Compositions for Optical-use Polyester film
JP2008290388A (ja) * 2007-05-25 2008-12-04 Fujifilm Corp 二軸延伸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用ベースフィルム
JP2008304531A (ja) * 2007-06-05 2008-12-18 Mitsubishi Plastics Inc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8568892B2 (en) * 2007-10-31 2013-10-29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Coated articles
US8158230B2 (en) * 2007-11-06 2012-04-17 Mitsubishi Polyester Film, Inc. Tamper evident composite film
JP2009144152A (ja) * 2007-11-29 2009-07-02 Sukano Management & Services Ag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KR100926504B1 (ko) * 2007-12-31 2009-11-17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코트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시트 및 하드코팅 조성물
JP5455315B2 (ja) * 2008-03-04 2014-03-2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55314B2 (ja) * 2008-03-04 2014-03-2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3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2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4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98156B2 (ja) * 2008-03-17 2011-10-1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TWI486388B (zh) * 2008-03-31 2015-06-01 Kolon Inc 光學用聚酯薄膜
JP4735672B2 (ja) * 2008-06-27 2011-07-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フィルム状遮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絞り、光量調整用絞り装置、又はシャッター
US20110189489A1 (en) * 2008-09-08 2011-08-04 Taishi Kawasaki Laminated polyester film
JP5281344B2 (ja) * 2008-09-08 2013-09-04 三菱樹脂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083980A (ja) * 2008-09-30 2010-04-15 Fujifilm Corp 固体高分子材料
KR101653616B1 (ko) * 2008-10-06 2016-09-02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02395469B (zh) * 2009-04-22 2014-05-07 三菱树脂株式会社 叠层聚酯膜
JP5271204B2 (ja) * 2009-05-25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DE102009032820A1 (de) * 2009-07-13 2011-01-2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Ein- oder mehrschichtige, stabilisierte Polyesterfolie
JP5441583B2 (ja) * 2009-09-18 2014-03-12 三菱樹脂株式会社 両面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8784976B2 (en) * 2009-09-23 2014-07-22 Mitsubishi Plastic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CN102762379B (zh) * 2009-09-23 2015-06-24 三菱树脂株式会社 叠层聚酯膜
JP5553627B2 (ja) * 2010-02-07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70289B2 (ja) * 2010-04-29 2014-08-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245809A (ja) * 2010-05-29 2011-12-08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1156571A1 (en) * 2010-06-09 2011-12-15 Toray Plastics (America), Inc. Lumirror Division Optically clear uv and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film
US9405042B2 (en) * 2011-03-28 2016-08-02 Kimoto Co., Ltd. Light-shielding material for optical instru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250446A (ja) * 2011-06-03 2012-12-20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12250445A (ja) * 2011-06-03 2012-12-20 Mitsubishi Plastics Inc 輝度上昇シート部材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43584B2 (ja) * 2011-09-05 2013-07-24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2769840A4 (en) * 2011-10-22 2015-07-01 Mitsubishi Plastics Inc PROTECTIVE FILM
JP5963489B2 (ja) * 2012-03-21 2016-08-0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4204049B (zh) * 2012-03-26 2016-09-07 三菱树脂株式会社 涂布膜
JP6108709B2 (ja) * 2012-08-03 2017-04-05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導電性膜シート
US20170036420A1 (en) * 2013-03-05 2017-02-09 Michael Schuch Layered Removable Graffiti Skin
EP2982509B1 (en) * 2013-04-06 2018-03-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pplied film
JP5758953B2 (ja) * 2013-06-27 2015-08-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7101091A (ja) * 2014-04-02 2017-06-08 御国色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分散体
GB201409063D0 (en) * 2014-05-21 2014-07-02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ated polyester films
JP6299491B2 (ja) * 2014-07-03 2018-03-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用離型フィルム基材
JP2018504622A (ja) * 2014-11-11 2018-02-15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ディスプレイ用ウィンド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513403A (zh) * 2014-12-19 2015-04-15 佛山杜邦鸿基薄膜有限公司 一种在线涂布水性增透涂层的bopet薄膜及其制备方法
US10005264B2 (en) * 2015-12-15 2018-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in protective display film
US9780318B2 (en) * 2015-12-15 2017-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display film
WO2017142184A1 (ko) * 2016-02-19 2017-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능성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10676651B2 (en) * 2016-03-09 2020-06-0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dhe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384557B2 (ja) * 2017-03-09 2018-09-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両面加工品
JP7132702B2 (ja) * 2017-08-30 2022-09-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5601A (en) * 1995-07-07 1998-01-06 Nippon Ester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film
KR0170923B1 (ko) * 1995-06-02 1999-03-20 안시환 추출 올리고머량을 감소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0100349A (ja) * 1996-09-30 1998-04-21 Diafoil Co Ltd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6242081B1 (en) * 1996-12-17 2001-06-0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Oriented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pasting on car window
DE69939236D1 (de) * 1998-05-18 2008-09-18 Toyo Boseki Klebefilm für optische Anwendungen
JP2000141568A (ja) * 1998-11-09 2000-05-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離型フィルム
JP2000108285A (ja) * 1998-10-05 2000-04-18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透明蒸着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733863B1 (en) * 1999-01-21 2004-05-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Optical-use adhesive film and roll thereof
KR100579633B1 (ko) * 1999-01-21 2006-05-12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이접착필름 및 그 롤
JP4792614B2 (ja) * 1999-11-16 2011-10-12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JP4391644B2 (ja) * 1999-12-07 2009-12-24 三菱樹脂株式会社 蒸着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6511738B2 (en) * 2000-01-31 2003-01-28 Konica Corporation Support for rolled light-sensitive photographic material
US6787202B2 (en) * 2000-02-10 2004-09-07 Teijin Limited Polyester film composite, light-diffuser plate and utilization thereof
JP4707206B2 (ja) * 2000-04-04 2011-06-22 三菱樹脂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294826A (ja) * 2000-04-17 2001-10-23 Teijin Ltd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用積層体
JP3627097B2 (ja) * 2000-04-20 2005-03-09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334108B2 (ja) * 2000-05-01 2009-09-30 三菱樹脂株式会社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315262A (ja) * 2000-05-11 2001-11-13 Teijin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2098805A (ja) * 2000-06-30 2002-04-05 Toray Ind Inc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フィルム
US6316531B1 (en) * 2000-11-15 2001-11-13 Shashikant B Garware Process for dyeing UV stabilized polyester film
DE10126149A1 (de) * 2001-05-30 2002-12-05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Gedeckt eingefärbte, hydrolysebeständige, biaxial orientierte Folie aus einem kristallisierbaren Thermoplas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0932873B1 (ko) * 2001-12-10 2009-12-21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98B1 (ko) * 2004-08-30 2013-08-12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이형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742428B1 (ko) * 2005-11-11 2007-07-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용 이접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0194A (ko) * 2009-09-29 2012-07-16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KR20210149256A (ko) * 2020-06-01 2021-12-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1088D1 (de) 2008-07-03
US20030235704A1 (en) 2003-12-25
JP2004010875A (ja) 2004-01-15
EP1371682A3 (en) 2004-03-03
EP1371682B1 (en) 2008-05-21
EP1371682A2 (en) 2003-12-17
KR100992515B1 (ko) 2010-11-08
US6921580B2 (en) 200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515B1 (ko) 디스플레이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009648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311907A (ja)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52716B2 (ja) 赤外線フィルター
JP2005179486A (ja) 高透明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301057A (ja) 光学用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246780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140212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3191413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60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4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30956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556119B2 (ja) 光学用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14616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69281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045024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174627A (ja) 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2001264532A (ja) 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2005263853A (ja) 高透明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58738B2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2371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44245A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0317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310434A (ja) 窓貼り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3A (ja)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