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390A - 테일 게이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테일 게이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390A
KR20030074390A KR10-2003-0015430A KR20030015430A KR20030074390A KR 20030074390 A KR20030074390 A KR 20030074390A KR 20030015430 A KR20030015430 A KR 20030015430A KR 20030074390 A KR20030074390 A KR 2003007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ylinder
tail gate
inner panel
cylinder ro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345B1 (ko
Inventor
하리마잇세이
이께미즈나오유끼
야마구찌고이찌로
가와모또지까시
사또기미또
Original Assignee
지피 다이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68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08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3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2477B2/ja
Application filed by 지피 다이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지피 다이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테일 게이트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한다. 또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테일 게이트의 개구부로부터 떼어내어도, 이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이너 패널 (11) 및 아우터 패널 (12) 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 접합하여 형성되고,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 (10) 의 구조로서, 이너 패널의 내측에 커버체 (14) 가 배치되어 있고,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9) 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 (25) 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20) 와, 키 실린더 로드 (35) 를 통하여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를 구비하고, 상기 키 실린더 로드는, 실질적으로,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의 공간부 (15) 내에 있어서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일 게이트의 구조{STRUCTURE OF TAIL GATE}
본 발명은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 등의 차량의 후단측에 차체 후단부의 개구를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는 소위, 리프트 게이트, 테일 게이트, 리어 게이트 또는 백 도어 등으로 불리우는 개폐체 (이하, 이들 개폐체를 총칭하여 「테일 게이트」라 한다) 는 통상, 내판 부재 (이너 패널) 와 외판 부재 (아우터 패널) 를 조합하여, 양자간에 공간부 (패널 공간부) 를 형성하는 동시에 양 패널의 주연부 및 근방끼리를 접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차실내에 면하는 이너 패널의 내측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된 커버체 (내장 트림) 로 덮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테일 게이트에는 통상, 그 시해정(施解錠) 기구로서,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한 록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록 기구로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키 조작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래치 어셈블리의 록(시정)/언록(해정)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핸들 조작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스트라이커에 대한 래치의 걸어맞춤/비걸어맞춤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핸들 어셈블리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구비한 소위, 기계식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해정 기구에서는, 키 실린더 어셈블리 및 핸들 어셈블리는, 각각 키 실린더 로드 및 핸들 로드를 통하여, 각각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이러한 시해정 기구를 테일 게이트에 설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상기 각 어셈블리 및 각 연결 로드 등의 기본 구성요소는 모두 이너 및 아우터 2 장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패널 공간부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상기 각 기본 구성요소의 외측은 1 장의 판재 (아우터 패널) 로 덮여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테일 게이트가 닫히고 래치 어셈블리가 록(시정) 상태라도,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단 1 장의 판재 (아우터 패널) 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키 실린더 로드를 불법으로 언록 조작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즉, 비교적 간단히 단시간에 불법으로 록 해제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비성능 향상의 요구 등에 수반되는 차체 경량화의 관점에서, 차체 강판의 판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설정하도록 하고 있어, 테일 게이트의 아우터 패널의 경우, 그 판두께는 예를 들면 0.7mm 정도로 매우 얇아, 외부에서 구멍을 뚫는 것도 더욱 간단해지고 있다. 또한, 테일 게이트를 더욱더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이너 및 아우터 양 패널을 합성수지로 형성한 것도 실용적으로 제공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주로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원격조작에 의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래치 구동 액추에이터를 직접 구동하고, 매뉴얼에 의한 기계적인 키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래치 어셈블리의 록/언록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소위, 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이나 패시브ㆍ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원격조작에 의한 시스템에서는, 키 자체가 불필요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키 실린더 및 키 실린더 로드도 형성되지 않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아우터 패널을 뚫어 래치 어셈블리를 직접 조작하여, 불법으로 록 해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법적인 록 해제의 문제에 대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외측을 별도의 커버 부재 등으로 덮도록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부품 갯수가 증가하는 동시에, 커버 부재를 조립 장착하기 위하여 복잡한 조립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의 내부구조가 복잡화되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그런데, 차체 후부가 상기와 같은 테일 게이트로 개폐 가능하게 덮여지는 차량에서는, 차량의 라이센스 플레이트 (소위, 넘버 플레이트) 는 이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야간 등에 넘버 플레이트를 비추기 위한 램프 (소위, 라이센스 램프) 도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게 된다.
이 라이센스 램프를 테일 게이트에 장착하는 경우, 테일 게이트의 적어도 아우터 패널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램프 교환 등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즉,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는, 예를 들면 나사 부재 등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나사 부재 등을 해체시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떼어냄으로써, 상기 개구부로부터 테일 게이트 내부의 키 실린더 로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테일 게이트가 닫히고 래치 어셈블리가 록(시정)된 상태라도, 상기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이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를 불법으로 언록 조작하기가 용이하여, 간단히 단시간에 불법으로 록 해제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테일 게이트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행하기가 어렵게 하는 것을 제 1 의 기본 목적으로 하고, 또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테일 게이트의 개구부로부터 떼어내어도, 이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 의 기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의 차체 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자동차의 차체 후부에 장착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있어서의 B-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5 는 도 2 에 있어서의 C-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6 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는 래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로부터 돌출된 세로벽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상기 테일 게이트의 아우터 패널로부터 돌출된 돌출 벽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기 테일 게이트에 장착되는 이너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상기 이너 커버에 형성된 키 실린더 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상기 키 실린더 지지부와 실린더 본체의 조립 장착전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상기 키 실린더 지지부에 의한 실린더 본체의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의 차체 후부에 장착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4 는 도 13 에 있어서의 D-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15 는 이너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을 차실측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있어서의 C'-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18 은 이너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을 차실측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 스트라이커 10, 60 : 테일 게이트
11 : 이너 패널 11j :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W : 세로벽부 12 : 아우터 패널
12U : 하측 돌출 벽부 12W : 상측 돌출 벽부
14 : 이너 커버 15 : 커버 공간부
17 : 키 실린더 지지부 20 : 래치 어셈블리
25 : 래치 30 : 키 실린더 어셈블리
31 : 실린더 본체 35 : 키 실린더 로드
50 :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1 : 라이센스 램프
M : 자동차 P1, P2, Q1, Q2 : 입벽 (방호벽)
이로 인하여, 본원 청구항 1 의 발명 (이하, 제 1 발명이라 함) 과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구조는,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 접합하여 형성되고,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를 전제로 하여, 이너 패널의 내측에 커버체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에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한 록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2 와 관련된 발명 (이하, 제 2 발명이라 함) 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 장치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래치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키 실린더 로드를 통하여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 실린더 로드는, 실질적으로, 이너 패널과 상기 커버체 사이의 공간부내에 있어서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3 과 관련된 발명 (이하, 제 3 발명이라 함) 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된 세로벽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4 와 관련된 발명 (이하, 제 4 발명이라 함) 은,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차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상기 아우터 패널과의 사이로 연장되는 커버 벽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5 와 관련된 발명 (이하, 제 5 발명이라 함) 은, 상기 이너 패널 및 상기 커버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6 의 발명 (이하, 제 6 발명이라 함) 과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구조는,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 접합하여 형성되고,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로서,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에 상기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적어도 아우터 패널보다 내측에 있어서 연장되는 키 실린더 로드를 통하여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구비한 록 장치가, 적어도 아우터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와 키 실린더 로드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7 과 관련된 발명 (이하, 제 7 발명이라 함) 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은,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입벽과, 상기 개구부의 상하 양측 중 적어도 키 실린더 로드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8 과 관련된 발명 (이하, 제 8 발명이라 함) 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은, 키 실린더 로드 중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측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원 청구항 9 와 관련된 발명 (이하, 제 9 발명이라 함) 은, 상기 제 1∼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은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이 차체 후부에 장착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 또한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 도 4 는 동일 B-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 도 5 는 동일 C-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에는, 상기 차체 후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는 개폐체로서의 테일 게이트 (10) 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테일 게이트 (10) 는 도 3 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소정 형상 및 사이즈의 내판 부재 (11 ; 이너 패널) 와 외판 부재 (12 : 아우터 패널) 를 조합하고, 양 패널 (11, 12) 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양자 (11, 12) 간에 공간부 (13 ; 패널 공간부) 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일 게이트 (10) 에는 리어 윈도우 유리 (6) 의 상단부가 실링 부재 (7) 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리어 윈도우 유리 (6) 의 하단측의 대략 중앙에는 와이퍼 장치 (5) 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일 게이트 (10) 의 하부 (리어 윈도우 유리 (6) 보다 아래쪽 부분) 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차체 안쪽을 향하여 움푹 패인 중앙 오목부 (19) 가 형성되고, 이 중앙 오목부 (19) 에는 차량의 라이센스 플레이트 (8 : 소위, 넘버 플레이트) 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 오목부 (19) 의 위쪽에는 야간 등에 상기 넘버 플레이트 (8) 를 비추기 위한 램프 (라이센스 램프) 를 구비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너 및 아우터 양 패널 (11, 12)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다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성형되어 있으며, 그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는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되어 있다.
상기 이너 패널 (11) 의 합성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유리 강화 섬유가 약 40% 배합된 폴리프로필렌 (PP) 수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우터 패널 (12) 의 합성수지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 (PC) 수지 및 아크릴로 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ABS) 수지를 원료로 한 수지재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접착제로는 우레탄 수지계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너 패널 (11) 의 리어 윈도우 유리 (6) 보다 아래쪽 부분의 내측에는 상기 이너 패널 (11) 의 차실 내측을 덮는 커버체 (14 ; 이너 커버) 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너 커버 (14) 는 해당 커버 (14) 로 덮여진 부분에 대하여, 소위 내장 트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실 내측으로부터 이너 패널 (11) 에 조립장착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주연부 근방의 적절한 복수 위치를 예를 들면 나사 부재 (16) 를 사용하여 이너 패널 (11) 에 체결함으로써, 양자 (11, 14) 간에 공간부 (15 ; 커버 공간부) 를 갖고 이너 패널 (11)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너 커버 (14) 는 합성수지제로, 예를 들면 PP 수지를 재료로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이너 커버 (14), 이너 및 아우터 패널재 (11, 12) 의 각 수지재료, 및 이너 및 아우터 패널재 (11, 12) 끼리를 접합시키는 접착제로는, 상기 예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각종 적절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에서는, 차체 루프 (2) 의 후단측에 있어서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헤더의 상측에, 한 쌍의 힌지 유니트 (4 ; 도 1 참조) 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힌지 유니트 (4) 를 통하여, 테일 게이트 (10) 의 상단측이 차체 루프 (2) 의 후단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 유니트 (4) 는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강재 등의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테일 게이트 (10) 가, 차체 후부의 개구부를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덮도록, 차체 루프 (2) 의 후단부분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테일 게이트 (10) 는 그 시해정 기구로서,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9 ; 도 5 참조) 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 (25) 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20) 와, 키 조작에 의하여 외측에서 래치 어셈블리 (20) 의 록(시정)/언록(해정)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 (20) 의 언록 상태에 있어서 핸들 조작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스트라이커 (9) 에 대한 래치 (25) 의 걸어맞춤/비걸어맞춤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핸들 (아우터 핸들) 어셈블리 (40 ; 도 4 참조) 를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및 핸들 어셈블리 (40) 는, 각각 키 실린더 로드 (35) 및 핸들 로드 (45) 를 통하여,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 (20) 와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와 핸들 어셈블리 (40) 의 각 어셈블리가 모두 이너 패널 (11) 에 조립 장착되어 있다.
이너 패널 (11) 에는 차폭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분에, 핸들 어셈블리 (40) 를 장착하기 위한 핸들 장착용 개구부 (11h) 와, 기본적으로는 조작 로드 (키 실린더 로드 35, 핸들 로드 45) 를 삽입 통과시키는 로드 삽입통과용 개구부 (11s) 와, 래치 어셈블리 (20) 를 장착하기 위한 래치 장착용 개구부 (11r)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또한, 이너 패널 (11) 의 상기 핸들 장착용 개구부 (11h) 의 소정 거리 측방에는,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를 장착하기 위한 키 실린더 장착용 개구부 (11k ; 도 5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우터 패널 (12) 에는 상기 핸들 장착용 개구부 (11h) 의 하향으로 경사진 부위에, 외측으로부터 핸들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핸들 조작용 개구부 (12h) 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키 실린더 장착용 개구부 (11k) 에 대응하는 부위에, 실린더 본체 (31) 단면(端面)의 키 홀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실린더 홀 (12k) 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 어셈블리 (40) 는 그 핸들 본체 (41) 가 상기 핸들 장착용 개구부 (11h) 를 외측으로부터 삽입 통과하여 이너 패널 (11)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본체 (41) 는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이고 이너 커버 (14) 보다 외측에 (즉, 커버 공간부 15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핸들 조작부 (42) 는 이너 패널 (11) 과 아우터 패널 (12) 사이의 패널 공간부 (13) 내에 위치하고, 아우터 패널 (12) 의 상기 핸들 조작용 개구부 (12h) 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핸들 어셈블리 (40) 를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하고, 래치 어셈블리(20) 의 언록 상태에 있어서, 핸들 조작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스트라이커 (9) 에 대한 래치 (25) 의 걸어맞춤/비걸어맞춤 상태를 변환시키는 핸들 로드 (45) 는 그 상단부가 핸들 본체 (41) 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 어셈블리 (20) 의 언록 상태에 있어서, 핸들 조작부 (42) 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핸들 로드 (45) 를 상하 이동시켜, 스트라이커 (9) 에 대한 래치 (25) 의 걸어맞춤/비걸어맞춤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는 그 실린더 본체 (31) 가 상기 키 실린더 장착용 개구부 (11k) 를 도중까지 삽입 통과하고, 브라켓 (32) 을 통하여 이너 패널 (11)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 본체 (31) 의 브라켓 (32) 보다 내측 부분은 커버 공간부 (15)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외측 부분은 패널 공간부 (13) 내에 위치하고, 그 단면부는 아우터 패널 (12) 의 상기 실린더 홀 (12k) 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너 커버 (14) 의 후면측에는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를 지지하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본체 31 의 앞부분을 지지하는) 키 실린더 지지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 실린더 지지부 (17) 는 도 10∼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보강 리브 (17a) 및 세로 보강 리브 (17b) 로 이루어지는 보강 리브와, 실린더 본체 (31) 의 앞부분을 가이드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가이드 벽부 (17c) 와, 실린더 본체 (31) 의 전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리브 (17d) 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가 (따라서, 실린더 본체 31 가) 이너 패널 (11) 에 조립 장착되었을 때에는, 실린더 본체 (31) 는 그 앞부분이 상기 가이드 벽부 (17c) 에 가이드되면서, 전단부가 상기 스토퍼 리브 (17d) 에 고정될 때까지 가이브 벽부 (17c) 에 삽입된다. 이로써, 실린더 본체 (31) 의 앞부분이 키 실린더 지지부 (17) 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의 실린더 본체 (31) 는 그 도중 부분이 브라켓 (32) 을 통하여 이너 패널 (11) 에 고정되는 동시에, 그 앞부분이 이너 커버 (14) 에 형성된 상기 키 실린더 지지부 (17) 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 본체 (31) 의 앞부분을 이너 커버 (14) 에 형성된 상기 키 실린더 지지부 (17) 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실린더 본체 (31) 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쉽게 실린더 본체 (31) 가 탈락되지 않아,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더욱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키 실린더 지지부 (17) 를 상기 이너 패널 (11) 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를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하고, 키 조작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래치 어셈블리 (20) 의 록(시정)/언록(해정) 상태를 변환시키는 키 실린더 로드 (35) 는, 그 상단부가 실린더 본체 (31) 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본체 (31) 의 외측 단면의 키 홀에 소정의 키 (모두 도시하지 않음) 를 꽂아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키 실린더 로드 (35) 를 상하 이동시켜,래치 어셈블리 (20) 의 록/언록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래치 어셈블리 (20) 는 그 어셈블리 본체 (21) 의 하부가 래치 장착용 개구부 (11r) 에 끼워맞춰지고, 볼트 (28) 를 사용하여 이너 패널 (11) 에 고정되어 있으며, 어셈블리 본체 (21) 의 상부는 로드 삽입통과용 개구부 (11s) 로부터 약간의 양만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어셈블리 본체 (21) 의 대부분은 패널 공간부 (13)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래치 (25) 는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어셈블리 본체 (21) 의 내부 홈부 (21s) 내에 배치되고,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 홈부 (21s) 를 따라 진퇴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를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하는 키 실린더 로드 (3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실린더 본체 (31) 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분으로부터 커버 공간부 (15) 를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하단 근방 부분이 로드 삽입통과용 개구부 (11s) 를 삽입 통과하고, 하단부가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는 실질적으로 이너 패널 (11) 과 이너 커버 (14) 사이의 커버 공간부 (15) 내에 있어서 상기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와 래치 어셈블리 (2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 실린더 로드 (35) 는 그 외측이 2 장의 패널 부재 (이너 및 아우터 패널 부재 ; 11, 12) 로 덮여지게 된다. 이 결과, 테일 게이트 (10) 가 닫히고 래치 어셈블리 (20) 가 록(시정) 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아우터 패널 (12) 에 구멍을 뚫었다 하더라도, 다시 이너 패널 (11) 에 구멍을 뚫지 않으면 키 실린더 로드 (35) 를 언록 조작할 수 없다.
즉, 키 실린더 로드의 외측이 아우터 패널 단 1 장으로 덮여 있던 종래에 비하여, 불법적인 록 해제를 행하기 어려워져, 도난피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키 실린더 로드 (35) 를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에 배치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테일 게이트 (10) 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어셈블리 (40) 를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하는 핸들 로드 (45) 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핸들 본체 (41) 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부분으로부터 커버 공간부 (15) 를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하단 근방 부분이 로드 삽입통과용 개구부 (11s) 를 삽입 통과하고, 하단부가 래치 어셈블리 (20) 에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핸들 로드 (45) 도, 실질적으로 커버 공간부 (15) 내에 있어서 핸들 어셈블리 (40) 와 래치 어셈블리 (20)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래치 어셈블리 (20) 에 대한 불법적인 조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해당 래치 어셈블리 (20) 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이 세로벽으로 덮여 있다.
즉, 이너 패널 (11) 의 래치 어셈블리 (20)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뒤쪽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세로벽부 (11W) 가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 어셈블리 (20) 의 이너 패널 (11) 에의 조립 장착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2 점쇄선 곡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들 세로벽부 (11W) 가 상기 래치 어셈블리 (20) 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을 덮고 있다. 이로써, 래치 어셈블리 (20) 에 대한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측방으로부터의 불법적인 조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세로벽은 이너 패널 (11) 로부터 뿐만 아니라, 아우터 패널 (12) 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어셈블리 (20) 가 이너 패널 (11) 에 조립 장착된 상태에서는, 해당 래치 어셈블리 (20) 의 어셈블리 본체 (21) 중, 패널 공간부 (13)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후면측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우터 패널 (12) 로부터 내뻗듯이 하여 형성된 상측 및 하측의 돌출 벽부 (12W, 12U) 로 덮여 있다.
이들 돌출 벽부 (12W, 12U) 는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우터 패널 (12) 의 이면(裏面)측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패널 (12) 의 이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내뻗어 있다. 즉, 래치 어셈블리 (20) 의 차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아우터 패널 (12) 과의 사이로 연장되는 상측 및 하측의 돌출 벽부 (12W, 12U) 가 위치하고 있다. 이들 상측 및 하측의 돌출 벽부 (12W, 12U) 가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커버 벽부」에 상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상하의 돌출 벽부 (12W, 12U) 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래치 어셈블리 (20) 의 외측은 아우터 패널 (12) 과 돌출 벽부 (12W 또는 12U) 로 이중으로 덮여지게 되어, 외측이 아우터 패널 단 1 장으로 덮여져 있던 종래에 비하여, 차체 뒤쪽으로부터의 불법적인 록 해제를 행하기 어렵게 되어, 도난피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아우터 패널 (12) 의 이면측에 돌출 벽부 (12W, 12U) 를 형성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테일 게이트 (10) 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더욱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패널 (11) 및 아우터 패널 (12) 은 합성수지제로 하였으므로,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성형가공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이너 패널 (11) 과 이너 커버 (14) 사이의 커버 공간부 (15) 에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배치할 수 있도록, 이너 패널의 형상을 설정할 때, 또한 래치 어셈블리 (20) 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이너 패널 (11) 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 세로벽부 (11W) 를 형성할 때, 나아가서는 래치 어셈블리 (20) 의 후면측에 아우터 패널 (12) 로부터 내뻗는 돌출 벽부 (12W, 12U) 를 형성할 때,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형상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 성형도 용이하다. 게다가, 테일 게이트를 보다 경량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래치 어셈블리 (20) 와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및 키 실린더 로드 (35) 로, 본원 청구항에 기재한「록 장치」의 적어도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식의 록 기구가 형성된 테일 게이트 (10)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무선통신수단 등을 이용한 원격조작에 의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래치 구동 액추에이터를 직접 구동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록/언록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소위 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이나 패시브ㆍ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 등을 구비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비한 테일 게이트의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한 록 장치 (래치 어셈블리) 를 이너 패널과 커버체 (이너 커버)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불법적인 록 해제를 행하기 어렵게 하여, 도난피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테일 게이트의 개구부로부터 떼어내도, 이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일한 작용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일 게이트 하부의 중앙 오목부 (19) 에 장착한 차량의 라이센스 플레이트 (8 ; 소위 넘버 플레이트) 를 비추기 위한 라이센스 램프를 구비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 도 1 참조) 가 상기 중앙 오목부 (19) 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는 도 1 에 나타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와 동일한 외관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의 테일 게이트 (10) 에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자동차 (M) 의 차체 후부에 장착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 또한 도 14 는 도 13 에 있어서의 D-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또한, 도 13 에 있어서의 B-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 및 동일 C-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는 각각 도 4 및 도 5 와 동일하다.
상기 테일 게이트 (10) 의 이너 패널 (11) 의 핸들 장착용 개구부 (11h) 와 키 실린더 장착용 개구부 (11k)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도 14 에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를 장착하기 위한 램프 장착용 개구부 (11j)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아우터 패널 (12) 에는, 상기 램프 장착용 개구부 (11j) 의 하향으로 경사진 부위에, 라이센스 램프 (51) 의 조사광을 넘버 플레이트 (8) 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조명용 개구부 (12j)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는 조명원으로서의 상기 라이센스 램프 (51) 를 베이스판 (52) 위에 고정시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 (52) 은 (즉,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는), 예를 들면 나사부재 (도시하지 않음) 를 이용하여 이너 패널 (11) 의 개구부 (11j) 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 (51) 의 교환 등의 유지 관리시에는 상기 나사부재를 해체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램프 유니트 (50) 를 그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 (52) 의 배면측에는 커넥터부 (53) 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가 테일 게이트 (10) 의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떼어져도, 이 개구부 (11j) 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가 조작되어 도난피해 등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는 이너 커버 (14) 가 떼어진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 (10) 의 이너 패널 (11) 을 차실측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는 테일 게이트 (10) 의 적어도 아우터 패널 (12) 보다 내측 (구체적으로는,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 에 있어서, 키 실린더 본체 (31) 와 래치 어셈블리 (20) 사이를 연결하여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는 이 키 실린더 로드 (35)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의 좌우 양측에는, 이너 패널 (11) 의 내면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리브 형상의 제 1 입벽 (P1) 이 이너 패널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11j) 의 상하 양측 중 적어도 키 실린더 로드 (35) 에 대응하는 측 (즉, 상기 양 제 1 입벽 P1 의 하단측) 에도, 이너 패널 (11) 의 내면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리브 형상의 제 2 입벽 (P2) 이 이너 패널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입벽 (P2) 은 바람직하게는 양 제 1 입벽 (P1) 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입벽 (P1, P2) 의 강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제 1 입벽 (P1) 및 제 2 입벽 (P2) 은 모두, 좀더 바람직하게는, 이너 패널 (11) 의 내측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이너 패널 (11) 의 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들 입벽 (P1, P2) 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를 그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떼어내어도, 이 개구부 (11j) 의 테일 게이트 안쪽은 그 좌우 양측 및 키 실린더 로드 (35) 에 대응하는 측이 상기 각 입벽 (P1, P2) 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테일 게이트 (10) 의 외부로부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를 통하여, 키 실린더 로드 (35) 에 접근하여 이것을 불법으로 조작하기는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상과 같이,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와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 (P1, P2)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가 그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떼어져도, 이 개구부 (11j) 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 (35) 에 접근하여 조작하는 것이 상기 방호벽 (P1, P2) 에 의하여 규제되어,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불법으로 언록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있어, 도난방지 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방호벽 (P1, P2) 은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제 1 입벽 (P1) 과, 키 실린더 로드 (35) 에 대응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양 제 1 입벽 (P1) 끼리를 연결하는 제 2 입벽 (P2) 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입벽 (P1, P2) 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 (11j) 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이너 패널 (11) 에 리브 형상의 입벽 (P1, P2) 을 일체 성형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호벽의 구성이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관련된 테일 게이트의 정면 설명도, 도 17 은 도 16 에 있어서의 C'-A' 선을 따른 단면 설명도, 또한 도 18 은 이너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을 차실측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와 관련된 테일 게이트 (60) 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일 게이트 (10) 와 동일한 기본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나,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8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 실린더 로드 (35) 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테일 게이트 (10) 의 적어도 아우터 패널 (12) 보다 내측 (구체적으로는,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 에 있어서, 키 실린더 본체 (31) 와 래치 어셈블리 (20) 사이를 연결하여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는 이 키 실린더 로드 (35) 보다 상측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이너 패널 (11) 의 내측에는, 키 실린더 로드 (35) 의 적어도 상측(즉,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에 대응하는 측) 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 (Q1 ; 상측 입벽) 이, 이너 패널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입벽 (Q1) 의 상단측에는, 키 실린더 본체 (31) 의 측면을 덮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벽 (Q1a)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를 그 장착용 개구부 (11j) 로부터 떼어내어도, 이 개구부 (11j) 와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는 테일 게이트 안쪽으로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따라 연장되는 상기 상측 입벽 (Q1) 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테일 게이트 (60) 의 외부로부터,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를 통하여, 키 실린더 로드 (35) 에 접근하여 이것을 불법으로 조작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 상측 입벽 (Q1) 에 키 실린더 본체 (31) 의 측면을 덮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벽 (Q1a) 을 연결 형성함으로써,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를 통한 키 실린더 로드 (35) 의 불법적인 조작을 좀더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입벽 (Q1) 을 형성함으로써, 테일 게이트 (60) 에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형성되어 있어도 이러한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테일 게이트 (60) 의 패널재 (12, 11) 의 키 실린더 로드 (35) 보다 상측의 부분을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불법으로 조작하려 해도, 상측 입벽 (Q1) 에 의하여 방해받으므로, 쉽게 언록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즉, 키 실린더 로드 (35) 의 상측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측 입벽 (Q1) 을 형성하는 것은, 테일 게이트 (60) 에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도난방지상 효과적이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키 실린더 로드 (35) 의 상측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에 대응하는 측) 뿐만 아니라, 그 하측에도,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 (Q2 ; 하측 입벽) 이 이너 패널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측 입벽 (Q2) 의 상단측에는, 키 실린더 본체 (31) 의 측면을 덮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벽 (Q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키 실린더 로드 (35) 의 하측에도, 상기 실린더 로드 (35) 의 테일 게이트 안쪽을 덮는 하측 입벽 (Q2) 을 형성함으로써, 테일 게이트 (60) 의 패널재 (12, 11) 의 키 실린더 로드 (35) 보다 하측 부분을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키 실린더 로드 (35) 를 불법으로 조작하려 해도, 하측 입벽 (Q2) 에 의하여 방해받으므로, 쉽게 언록 조작을 행할 수 없어, 도난피해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측 및 하측의 입벽 (Q1, Q2) 및 각 연직벽 (Q1a, Q2a) 은 모두,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너 패널 (11) 의 내측으로부터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일체 성형된 것이다. 따라서, 이너 패널 (11) 의 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들 입벽 (( Q1,Q2) 및 (Q1a, Q2a)) 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너 패널 (11) 에 입벽 ((Q1, Q2) 및 (Q1a, Q2a)) 을 일체 성형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직벽 (Q1a, Q2a) 은 반드시 각 입벽 (Q1, Q2) 의 상단부에 연결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각 상단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키 실린더 본체 (31) 의 측방을 차폐하는 것이면 된다.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 이너 패널 (11) 및 아우터 패널 (12) 은 합성수지제로 하였으므로,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성형가공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이너 패널 (11) 에,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를 형성할 때, 또한 이너 패널 (11) 의 내측에 입벽 (P1, P2 또는 Q1, Q1a, Q2, Q2a) 을 형성할 때에,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형상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 성형도 용이하다. 게다가, 테일 게이트를 보다 경량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 (11j) 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 (35) 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으로서의 각 입벽 (P1, P2 또는 Q1, Q2) 은 모두 테일 게이트 (10, 60) 의 이너 패널 (11) 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으나, 이들 입벽을 이너 패널 (11) 보다 내측에 배치된 이너 커버 (14) 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50) 는 테일 게이트(10, 60) 의 이너 패널 (11) 에 형성된 장착용 개구부 (11j) 에 장착되어 있었으나, 이 대신에, 아우터 패널에 장착용 개구부를 형성하여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를 아우터 패널측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래치 어셈블리 (20) 와 키 실린더 어셈블리 (30) 및 키 실린더 로드 (35) 로,「록 장치」의 적어도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식의 록 기구가 형성된 테일 게이트 (10) 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무선통신수단 등을 이용한 원격 조작에 의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래치 구동 액추에이터를 직접 구동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록/언록 상태를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소위 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이나 패시브ㆍ키레스 엔트리ㆍ시스템 등을 구비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록 장치」는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과 이너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 대신에, 록 장치를 아우터 패널과 이너 패널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방호벽을 아우터 패널의 내측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또는 설계상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원의 제 1 발명에 의하면,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한 록 장치는,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록 장치는 이너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그 외측은 2 장의 패널 부재 (이너 및아우터 패널 부재) 로 덮여지게 된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가 닫히고 록 장치가 록(시정)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아우터 패널에 구멍을 뚫었다 하더라도, 다시 이너 패널에 구멍을 뚫지 않으면 록 부재를 언록 조작할 수 없다. 즉, 록 장치의 외측이 아우터 패널 단 1 장으로 덮여 있었던 종래에 비하여, 불법적인 록 해제를 행하기 어려워져, 도난피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록 장치를 이너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테일 게이트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2 발명에 의하면,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래치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키 실린더 로드는, 실질적으로,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의 공간부내에 있어서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키 실린더 로드는, 이너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그 외측은 2 장의 패널 부재 (이너 및 아우터 패널 부재) 로 덮여지게 된다.
따라서, 테일 게이트가 닫히고 래치 어셈블리가 록(시정)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끝이 날카롭고 딱딱한 재질의 봉 형상체 등으로 아우터 패널에 구멍을 뚫었다 하더라도, 다시 이너 패널에 구멍을 뚫지 않으면 키 실린더 로드를 언록 조작할 수 없다. 즉, 키 실린더 로드의 외측이 아우터 패널 단 1 장으로 덮여 있었던 종래에 비하여, 불법적인 록 해제를 행하기 어려워져, 도난피해의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키 실린더 로드를 이너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부품 갯수가 증가되지 않고, 테일 게이트의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3 발명에 의하면, 특히 래치 어셈블리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된 세로벽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래치 어셈블리에 대한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측방으로부터의 불법적인 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4 발명에 의하면, 특히 래치 어셈블리의 차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아우터 패널과의 사이로 연장되는 커버 벽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래치 어셈블리에 대한 차체 뒤쪽으로부터의 불법적인 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5 발명에 의하면, 특히 상기 이너 패널 및 상기 커버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키 실린더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쉽게 키 실린더가 탈락하는 일이 없어, 불법적인 시해정 조작을 더욱 행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6 발명에 의하면,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와 키 실린더 로드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가 그 장착용 개구부로부터 떼어져도, 그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에 접근하는 것이 상기 방호벽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개구부로부터의 키 실린더 로드의 불법적인 언록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져, 도난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7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6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호벽은,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입벽과, 상기 개구부의 상하 양측 중 적어도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 입벽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이 확실히 규제된다.
또한, 본원의 제 8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6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호벽은, 키 실린더 로드 중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측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키 실린더 로드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입벽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이 확실히 규제된다.
또한, 본원의 제 9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 1∼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테일 게이트의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은 합성수지제이므로,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성형가공이 훨씬 용이하며,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의 공간부내에 록 장치를 배치할 수 있도록, 이너 패널의 형상을 설정할 때, 또한 래치 어셈블리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세로벽을 형성하거나, 나아가 래치 어셈블리의 후측에 커버 벽부를 형성할 때, 혹은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를 형성할 때, 또한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와키 실린더 로드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을 형성할 때, 강판제인 경우에 비하여, 형상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 성형도 용이하다. 게다가, 테일 게이트를 보다 경량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 접합하여 형성되고,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로서,
    상기 이너 패널의 내측에 커버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너 패널과 커버체 사이에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구비한 록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장치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키 실린더 로드를 통하여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키 실린더 로드는,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 패널과 상기 커버체 사이의 공간부내에 있어서 상기 키 실린더 어셈블리와 상기 래치 어셈블리 사이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상기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부터 돌출된 세로벽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어셈블리의 차체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상기 아우터 패널과의 사이로 연장되는 커버 벽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및 상기 커버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상기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6.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의 주연부 및 그 근방끼리 접합하여 형성되고, 차체 후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로서,
    상기 이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 장착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에 상기 라이센스 램프 유니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출 수 있는 래치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와, 적어도 상기 아우터 패널보다 내측에 있어서 연장되는 키 실린더 로드를 통하여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연결된 키 실린더 어셈블리를 구비한 록 장치가, 적어도 상기 아우터 패널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사이에,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의 접근을 규제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은,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입벽과, 상기 개구부의 상하 양측 중 적어도 상기 키 실린더 로드에 대응하는 측으로부터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은, 상기 키 실린더 로드 중 적어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측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키 실린더 로드를 따라 연장되고, 또한 테일 게이트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입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및 아우터 패널은 합성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의 구조.
KR1020030015430A 2002-03-13 2003-03-12 테일 게이트의 구조 KR10058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8581 2002-03-13
JP2002068581A JP3880875B2 (ja) 2002-03-13 2002-03-13 テールゲートの構造
JPJP-P-2002-00183321 2002-06-24
JP2002183321A JP4002477B2 (ja) 2002-06-24 2002-06-24 テールゲート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90A true KR20030074390A (ko) 2003-09-19
KR100580345B1 KR100580345B1 (ko) 2006-05-16

Family

ID=2804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430A KR100580345B1 (ko) 2002-03-13 2003-03-12 테일 게이트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05398B2 (ko)
KR (1) KR100580345B1 (ko)
DE (2) DE1036205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74B1 (ko) * 2005-11-11 2007-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용 전동래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1779B2 (ja) * 2003-04-10 2008-10-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ゲート
JP4283050B2 (ja) * 2003-06-30 2009-06-24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車両用フィニッシャー
WO2005042287A1 (en) * 2003-10-23 2005-05-12 Magna International Inc. Liftgate frame
DE20317709U1 (de) * 2003-11-14 2005-03-24 Carcoustics Tech Ct Gmbh Türinnenelement für eine Kraftfahrzeugtür mit einer als Einbruchssicherung dienenden Abdeckung
KR101145306B1 (ko) * 2005-02-11 2012-05-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룸 도난방지구조
CA2535234A1 (en) * 2005-02-28 2006-08-28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Exterior equipment module
JP4202360B2 (ja) * 2005-12-28 2008-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US20070182201A1 (en) * 2006-02-07 2007-08-09 Toyota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tandoff boss to control crush
FR2900100B1 (fr) * 2006-04-25 2008-07-04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Assemblage d'une serrure et d'un module de porte.
JP4769229B2 (ja) * 2007-06-12 2011-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構造
DE112008003051T5 (de) * 2007-11-13 2010-11-04 Stoneridge Control Devices, Inc., Canton Einrichtung zur Beleuchtung von Zieloberflächen, einen integrierten Schalter beinhaltend
US7673928B2 (en) * 2007-12-27 2010-03-09 Honda Motor Co., Ltd. Tailgate spoiler with integrated rotating hinge cover
FR2931505A3 (fr) * 2008-05-20 2009-11-27 Renault Sas Agencement de moyens de verrouillage sur une porte de coffre de vehicule automobile perfectionnes
US8672369B2 (en) * 2010-04-20 2014-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lock indicator arm
DE102010015676A1 (de) * 2010-04-21 2011-10-27 Audi Ag Laderaumklappe für Fahrzeuge
JP5222932B2 (ja) * 2010-12-13 2013-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開閉装置
JP5769515B2 (ja) * 2011-06-27 2015-08-26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
FR2992266A3 (fr) * 2012-06-20 2013-12-27 Renault Sa Agenc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nfigure de sorte a proteger 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vehicule equipe de l'agencement
CN104769198B (zh) * 2012-10-29 2016-11-09 爱信精机株式会社 车辆用门锁装置
JP5826736B2 (ja) * 2012-11-21 2015-12-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US8979161B2 (en) * 2013-03-15 2015-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w mass truck end gate utilizing aluminum stampings and extrusions
FR3006659B1 (fr) * 2013-06-10 2015-06-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Garniture en matiere plastique destinee a etre fixee sur la partie inferieure de la face interieure du volet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US9463685B2 (en) * 2014-05-15 2016-10-11 Honda Motor Co., Ltd. Tailgate liner assembly and method for vehicle tailgate
JP6135651B2 (ja) * 2014-12-0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350306B2 (ja) 2015-01-27 2018-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の取付構造
JP7052619B2 (ja) * 2018-07-30 2022-04-12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373534B2 (ja) * 2021-09-30 2023-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4148A (en) * 1950-04-22 1953-04-07 Ford Motor Co Rotary type motor vehicle door lock
DE847713C (de) * 1950-07-20 1952-08-28 Ford Werke Ag Fahrzeugtuerschloss
GB708210A (en) * 1951-06-22 1954-04-28 Briggs Mfg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atch mechanism for swinging closures
US3868836A (en) * 1974-03-01 1975-03-04 Ford Motor Co Deck lid latch and lock assembly
JPS6237486A (ja) * 1985-08-09 1987-02-18 株式会社 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3410372B2 (ja) * 1998-08-31 2003-05-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及び該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用ドア
US6174016B1 (en) * 1999-10-15 2001-01-16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Door assembly module and method
US6431638B1 (en) * 1999-11-15 2002-08-13 The Budd Company Automobile lift gate
US6530251B1 (en) * 1999-11-18 2003-03-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WO2001042037A1 (fr) * 1999-12-13 2001-06-14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orte arriere pour vehicule
JP4425423B2 (ja) * 2000-04-18 2010-03-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FR2808764B1 (fr) * 2000-05-11 2002-08-09 Valeo Systemes Dessuyage Module d'equipement pour 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TW593005B (en) * 2001-03-13 2004-06-21 Kikuchi Press Industry Co Ltd Door for veh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692057B2 (en) * 2001-10-12 2004-02-17 Suzuki Motor Corporation Latch attachment structure
US6626482B2 (en) * 2001-12-18 2003-09-30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74B1 (ko) * 2005-11-11 2007-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용 전동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345B1 (ko) 2006-05-16
DE10311073A1 (de) 2003-11-20
US20030173796A1 (en) 2003-09-18
US6805398B2 (en) 2004-10-19
DE10362050B4 (de) 2007-11-15
DE10311073B4 (de)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345B1 (ko) 테일 게이트의 구조
EP2155992B1 (en) Tailgate structure
US6449907B2 (en) Vehicle door and process of assembling the vehicle door
JP3873566B2 (ja)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EP1630327B1 (en) Vehicle door with door handle
JP4002477B2 (ja) テールゲートの構造
EP2463132B1 (en) Vehicular back door having antitheft structure
JP4957276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3880875B2 (ja) テールゲートの構造
US6471266B1 (en) Door latch cover for automotive vehicle
JP4289157B2 (ja) 車両用ドアの内部構造
JP5151450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CN102606005B (zh) 具有防盗装置的门组件
JP5056187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3985455B2 (ja) ドアロック部の取付構造
CZ299679B6 (cs) Šachtová lišta dverí vozidla
JP4900178B2 (ja) 自動車の側部構造
KR100444018B1 (ko) 충돌 강도 향상 및 도어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도어용 비임 브라켓트 구조
JP4946551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3835407B2 (ja) 自動車用ドア
JP3876599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4074459B2 (ja) 車両用ドアのキーシリンダ
KR10087863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세이프티노브 장치
JP4946519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90058247A (ko) 도난방지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