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211A -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211A
KR20020082211A KR1020027009379A KR20027009379A KR20020082211A KR 20020082211 A KR20020082211 A KR 20020082211A KR 1020027009379 A KR1020027009379 A KR 1020027009379A KR 20027009379 A KR20027009379 A KR 20027009379A KR 20020082211 A KR20020082211 A KR 2002008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filter
raw material
mass
porous honeycomb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260B1 (ko
Inventor
노구치야스시
니시히데아키
스에노부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25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parameter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material
    • B01D46/2429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parameter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material of the honeycomb walls o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01D39/2093Ceramic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25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parameter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material
    • B01D46/24491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25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parameter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material
    • B01D46/24492Po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25Honeycomb filters characterized by parameter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neycomb structure material
    • B01D46/24494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heat capacity or thermal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04B35/195Alkaline earth aluminosilicates, e.g. cordierite or anort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006Honeycomb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01N3/02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the structure being monolithic, e.g. honeyc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35/64Pore diameter
    • B01J35/657Pore diameter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9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ter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04B2235/3218Aluminium (oxy)hydroxides, e.g. boehmite, gibbsite, alumina so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18Silicon oxide, silicic acid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ilica sol, fused silica, silica fume, cristobalite, quartz or fli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36Alkaline earth metal silicates, e.g. barium silicate
    • C04B2235/3445Magnesium silicates, e.g. fors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18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 C04B2235/5436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expressed by the size of the particles or aggregates thereof micrometer sized, i.e. from 1 to 100 mic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4Particle size related information
    • C04B2235/5463Particle size distrib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2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absence or the low content of specific components, e.g. alkali metal free alumina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4Physical characteristics
    • C04B2235/77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06Ceramic, e.g. monoli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5Methods of making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0Exhaus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미세 구멍 분포를 제어한 코디어라이트를 주된 결정상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이다. 미세 구멍 분포를 직경 10 ㎛ 미만인 미세 구멍의 용적은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 이하이고, 직경 10∼50 ㎛인 미세 구멍의 용적은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이상이며, 직경 50 ㎛를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은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 이하로 한다. 이 다공질 벌집형 필터는 미립자(파티큘레이트: particulate) 등의 수집 효율이 높고, 또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특히, 최근의 고압 연료 분사, 커먼 레일 등을 채용한 디젤엔진에 대응하여 이들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POROUS HONEYCOMB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최근, 배기 가스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배기 가스 유입측 단부면과 배기 가스 배출측 단부면으로 개방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양단부면에서 엇갈려서 봉한 구조를 지니고, 배기 가스 유입측 단부면으로부터 유입된 배기 가스를 강제적으로 각 관통 구멍 사이의 격벽(복수 개의 미세 구멍을 지님)을 통과시켜 배기 가스 중의 미립자를 포집, 제거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 다공질 벌집형 필터에서는 배기 가스 중의 미립자의 입자 지름과의 관계에서, 각 관통 구멍 사이의 격벽에 형성되는 미세 구멍의 구멍 직경을 어느 정도로 하는지에 따라 포집 효율, 압력 손실 등의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세 구멍 분포를 제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다공질 벌집형 필터로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코디어라이트(cordierite)제 또는 탄화규소제의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미세 구멍 직경의 제어가 용이한 탄화규소제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에 대해서는 미세 구멍 직경의 평균치가 1∼15 ㎛이고, 미세 구멍 분포가 표준편차(SD) 0.20 이하로 매우 좁은 범위에서 미세 구멍 직경을 제어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5-23512호 공보).
다른 한편, 미세 구멍의 구멍 직경을 제어한 코디어라이트제의 벌집형 필터로서는 카올린과 산화알루미늄을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함유시키지 않음으로써 기공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입자 지름을 특정 범위에서 제어한 수산화알루미늄(입자 지름이 0.5∼3 ㎛인 분말과 입자 지름이 5∼15 ㎛인 분말이 수산화알루미늄 전체의 50∼100%를 차지함)과, 용융 실리카(평균 입자 지름이 30∼100 ㎛)와, 탈크로 이루어지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소정의 유기 발포제 또는 가연성 물질을 첨가한 원료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생성된, 평균 구멍 직경이 25∼40 ㎛인 벌집형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9-77573호 공보).
그러나,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미세 구멍 직경을 주로 수산화알루미늄과, 유기 발포제 또는 가연성 물질에 의해 제어하기 때문에, 평균 미세 구멍 직경은 제어할 수 있더라도 미세 구멍 분포를 원하는 좁은 범위로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을 거친 입자로 만들기 때문에, 열팽창 계수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도 갖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카올린의 각 성분을 특정 입자 지름의 분말로 하여 특정 함유율로 혼합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조공제(造孔劑)로서 그라파이트를 첨가한 원료를 이용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은, 미세 구멍 분포가, 각각 ① 구멍 직경 2 ㎛ 이하인 미세 구멍이 전체 미세 구멍 중 7 용적% 이하, ② 구멍 직경 100 ㎛ 이상인 미세 구멍이 전체 미세 구멍 중 10 용적% 이하인 벌집형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2578176호 공보, 일본 특허 제2726616호 공보).
그러나, 이들 벌집형 필터에서는, 각 성분마다 미세 구멍 직경을 제어하는 용이성이 다르다는 점에 대해 특별히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세 구멍 분포의 하한 또는 상한을 제어하는 것이 한계로, 미세 구멍 분포를 원하는 좁은 범위로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들에 반하여,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카올린의 각 성분마다 미세 구멍 직경을 제어하는 용이성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탈크와 실리카의 양 성분에 관해서, 입자 지름 150 ㎛ 이상의 분말을 원료 전체적으로 3 질량% 이하로 하고, 또한 입지 지름 45 ㎛ 이하의 분말을 25 질량% 이하로 조정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이용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은, 미세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이 전체 미세 구멍 중 52.0∼74.1 용적%를 차지하는 벌집형 필터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고 평7-38930호 공보).
이 벌집형 필터는 미세 구멍 직경을 10∼50 ㎛의 좁은 범위로 제어하는 것을 코디어라이트제의 벌집형 필터에서 처음으로 달성한 것으로, 전술한 여러 가지 코디어라이트제 벌집형 필터에 비하여,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막힘 방지에 의해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탈크의 입자 지름을작게 함으로써, 열팽창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배기 가스 중의 미립자는 디젤엔진의 개량(고압 연료 분사, 커먼 레일 등이 채용되고 있음)에 의해, 배출량이 저감되는 동시에 미립자가 소직경화, 균일화되고 있다(미립자의 입자 지름은 대부분 대략 1 ㎛임). 이로 인해, 미세 구멍 직경을 매우 고도로 제어한 벌집형 필터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이 벌집형 필터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있어서 카올린이 10 ㎛ 이하의 미세 구멍의 형성에 깊게 관여하는 것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지 않고 제조되었기 때문에,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을 75.0 용적% 이상의 고율로 형성할 수 없어, 이러한 최근의 요망에 따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립자(파티큘레이트) 등의 포집 효율이 높고, 또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최근의 고압 연료 분사, 커먼 레일 등을 채용한 디젤엔진에 대응하여 이들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미립자(파티큘레이트: particulate) 등의 수집 효율이 높고, 또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특히, 최근의 고압 연료 분사, 커먼 레일(common rail) 등을 채용한 디젤엔진에 대응하여 이들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의 실리카 성분의 입자 지름을 제어하는 동시에 카올린을 저농도화함으로써, 미세 구멍 직경 분포를 원하는 범위에서 고도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구멍 분포를 제어한 코디어라이트를 주된 결정상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로, 미세 구멍 분포는 직경 10 ㎛ 미만인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 이하이고, 직경 10∼50 ㎛인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이상이며, 직경 50 ㎛을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벌집형 필터에 있어서는, 벌집형 필터의 기공율이 50∼75%인 것이 바람직하며, 65∼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8∼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벌집형 필터의 40∼800℃에서의 열팽창 계수가 1.0×1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주원료로 하는 세라믹스 원료를 이용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카올린을 10 질량% 이하로 함유하고, 또한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이 입자 지름 75 ㎛ 이상인 분말을 1 질량% 이하로 함유하는 입자 지름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9-77573호 공보에 기재된 제조 방법과 달리, 카올린을 1∼10 질량%의 비율로 함유시킬 수 있다.
또,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은 석영 또는 용융 실리카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 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 입자 지름 1∼10 ㎛의 수산화알루미늄을 15∼45 질량% 함유하거나, 입자 지름 4∼8 ㎛의 산화알루미늄을 0∼2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마그네시아(MgO) 원성분으로서 탈크를 37∼4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탈크의 입자 지름은 5∼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라믹스 원료로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 수지를 1∼4 중량부 함유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다공질 벌집형 필터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는 미세 구멍 분포를 특정 범위로 고도로 제어한 코디어라이트를 주된 결정상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는 코디어라이트를 주결정으로 하는 것인데, 코디어라이트는 배향, 무배향, α결정질, β결정질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멀라이트(mullite), 지르콘, 티탄산알루미늄, 클레이본드탄화규소(clay bond silicon carbide), 지르코니아, 스피넬, 인디알라이트(indialite),사파린(sapphirine), 커런덤(corundum), 티타니아 등의 다른 결정상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들 결정상은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동시에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에 있어서의 미세 구멍 분포는 구멍 직경 10 ㎛ 미만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 이하,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100%, 구멍 직경 50 ㎛을 넘는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 이하이다.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미만이 되고, 구멍 직경 10 ㎛ 미만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를 넘으면,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해 압력 손실의 증대가 발생하며, 또한, 필터에 촉매를 붙이는 경우에, 촉매에 의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해서 압력 손실의 증대를 일으켜 버린다. 한편,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미만이 되고, 구멍 직경 50 ㎛을 넘는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를 넘으면, 파티큘레이트의 포집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최근의 디젤엔진의 개량에 따라 파티큘레이트의 직경이 작아지고 균일화되고 있으므로,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이상으로 고효율화되지 않으면, 이러한 디젤엔진의 개량에 대응하여 파티큘레이트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기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벌집형 필터는 압력 손실의 저감 및 포집 효율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기공율이 50∼75%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공율이 65∼7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기공율이 68∼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고온 사용시의 내열충격성의 향상이라는 점에서, 40∼800℃에서의 열팽창 계수가 1.0×1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벌집형 필터는, 통상, 배기 가스 유입측 단부면과 배기 가스 배출측 단부면으로 개방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을 양단면에서 엇갈려서 봉한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벌집형 필터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단부면의 형상이 원 또는 타원인 원주, 단부면의 형상이 삼각, 사각 등의 다각형인 각주, 이들 원주, 각주의 측면이 く자형으로 만곡된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관통 구멍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단면 형상이 4각, 8각 등의 다각형, 원, 타원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는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2.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은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주원료로 하는 세라믹스 원료를 이용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의 특정 성분의 함유율 및 입자 지름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의 입자 지름 75 ㎛ 이상인 분말이 1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인 입자 지름 분포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구멍 직경 10∼50 ㎛의 좁은 범위의 미세 구멍을 매우 고율로 형성할 수 있어, 포집 효율이 높고, 또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대가 없는 벌집형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의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이, 다른 성분과 달리, 성분 입자 지름에 대략 대응하는 미세한 구멍 직경의 미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것과, 구멍 직경 10 ㎛ 이하의 미세 구멍의 형성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 것에 착안하여, 입자 지름 75 ㎛ 이상의 거친 입자 분말을 제거함으로써, 구멍 직경 10∼50 ㎛의 좁은 범위의 미세 구멍을 매우 고율로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으로서는 석영, 용융 실리카, 멀라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소성시에 고온까지 안정적으로 존재하고, 미세 구멍 직경의 제어가 용이한 점에서, 석영과 용융 실리카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리카(SiO2) 원성분은,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 15∼20 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순물로서 Na2O, K2O 등을 함유하더라도 좋지만, 이들불순물의 함유율은 열팽창 계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실리카(SiO2) 원성분 중, 합계로 0.0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카올린을 10 질량% 이하의 함유한다.
카올린이 10 질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구멍 직경 10 ㎛ 미만의 미세 구멍의 형성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의 입자 지름을 제어하더라도 구멍 직경 10∼50 ㎛의 미세 구멍 용적을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리카(SiO2) 원성분의 입도 분포의 제어에 더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의 카올린이 주로 구멍 직경 10 ㎛ 미만의 미세 구멍의 형성에 관여하고 있는 데에 착안하여, 카올린의 함유율을 10 질량% 이하의 저비율로 함으로써, 구멍 직경 10 ㎛ 미만의 미세 구멍의 형성을 거의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구멍 분포의 제어라는 점에서 카올린의 함유율을 억제하기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평9-77573호 공보에 기재한 제조 방법과 달리 1∼10 질량%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또, 카올린은 불순물로서 운모, 석영 등을 함유하더라도 좋지만, 이들 불순물의 함유율은 열팽창 계수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코디어라이트 결정의 이론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리카(SiO2) 원성분 및 카올린 이외에, 예컨대, 탈크 등의 마그네시아(MgO) 원성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나(Al2O3) 원성분 등을 배합할 필요가 있다.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는, 불순물이 적다고 하는 점에서 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중 어느 1종 또는 이들 모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수산화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알루미나(Al2O3) 원성분의 입자 지름은 열팽창 계수를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실리카(SiO2) 원성분의 입자 지름 분포에 의한 구멍 직경 분포의 제어를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수산화알루미늄의 경우는 1∼10 ㎛가 바람직하고, 산화알루미늄의 경우는 4∼8 ㎛가 바람직하다.
또, 알루미나(Al2O3) 원성분은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 수산화알루미늄은 15∼45 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알루미늄은 0∼20 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시아(MgO) 원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탈크, 마그네사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탈크가 바람직하다. 탈크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 37∼40 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크의 입자 지름은 열팽창 계수를 낮게 한다는 점에서 5∼40 ㎛가 바람직하고, 10∼3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이용하는 탈크 등의 마그네시아(MgO) 원성분은 불순물로서 Fe2O3, CaO, Na2O, K2O 등을 함유하더라도 좋다.
단, Fe2O3의 함유율은, 마그네시아(MgO) 원성분중 0.1∼2.5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함유율이라면, 열팽창 계수를 낮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기공율을 얻을 수 있다.
또, CaO, Na2O, K2O의 함유율은 열팽창 계수를 낮게 한다고 하는 점에서, 마그네시아(MgO) 원성분 중 이들의 합계가 0.35 질량% 이하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더욱 기공율을 증대시킴으로써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첨가제로서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조공제 등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공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등의 발포 수지, 그라파이트, 밀가루, 전분, 페놀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등의 발포된 발포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등의 발포된 발포 수지는 중공형이므로 소량으로 높은 기공율의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어, 소성 공정에서의 조공재(造孔材)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공재를 첨가하여 높은 기공율의 벌집형 필터로 하는 경우라도 소성 공정에서의 발열이 적어 열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발포 수지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생성되는 벌집형 필터의 기공율이 매우 커지는 반면 강도가 저하되어, 캐닝 등을 할 때에 손상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5∼3.0 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이 밖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바인더, 매액(媒液)으로의 분산을 촉진하기 위한 분산제 등을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또,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분산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덱스트린, 지방산비누, 폴리알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첨가제는 목적에 따라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중의 특정 성분의 함유율 및 입자 지름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는 것 이외에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으로 벌집형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상술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3∼5 중량부, 조공제 2∼40 중량부, 분산제 0.5∼2 중량부, 물 10∼40 중량부를 투입한 후, 반죽하여, 가소성으로 만든다.
이어서, 가소성 원료의 성형은 압출 성형법, 사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세라믹스 원료를 원주형으로 성형한 후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행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속 성형이 용이한 동시에, 코디어라이트 결정을 배향시켜 저열 팽창성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압출 성형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갓 성형된 성형체의 건조는 열풍 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유전 건조, 감압 건조, 진공 건조, 동결 건조 등으로 행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전체를 신속하고 또한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점에서, 열풍 건조와 마이크로파 건조 또는 유전 건조를 조합한 건조 공정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건조 성형체의 소성은 건조 성형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통상, 1410∼1440℃의 온도에서, 3∼7시간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건조 공정과 소성 공정을 연속해서 행하더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평가 방법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벌집형 필터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평가했다.
(1) 미세 구멍 분포, 미세 구멍의 평균 구멍 직경
마이크로메리틱스사 제조의 수은 압입식 포라시미터(porosimeter)로 미세 구멍 분포, 평균 구멍 직경을 측정했다.
(2) 기공율
코디어라이트의 진비중(眞比重)을 2.52 g/cc로 하여, 전체 미세 구멍 용적으로부터 기공율을 계산했다.
(3) 포집 효율
매연 발생기(soot generator)에 의해 그을음를 발생시킨 배기 가스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만든 벌집형 필터에 일정 시간(2분) 통과시켜 필터 통과후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그을음을 여과지로 포집하여, 그을음의 중량(W1)을 측정했다. 또, 동일한 시간 동안 그을음을 발생시킨 배기 가스를 필터를 통과시키지 않고서 여과지로 포집하여, 그을음의 중량(W2)을 측정했다. 이어서, 얻은 각 중량(W1)(W2)을 이하에 나타내는 식 (1)에 대입하여 포집 효율을 구했다.
(W2-W1)/(W2)×100··· (1)
(4) 그을음 포집 압력 손실
우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벌집형 필터의 양단부면에, 내경 Φ130 mm의 링을 압접하고, 매연 발생기로 발생시킨 그을음을 이 링을 통해 벌집형 필터의 Φ130 mm의 범위 내로 유입하여, 10 g의 그을음을 포집하게 했다.
이어서, 벌집형 필터가 그을음을 포집한 상태에서, 2.27 Nm3/min의 공기를 흘려, 필터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그을음을 포집한 상태에서의 압력 손실을 평가했다.
2.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자 지름 및 입자 지름 분포의 탈크(평균 입자 지름:2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4 질량%), 용융 실리카 B(평균 입자 지름: 3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5 질량%),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자 지름: 2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 질량%)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37 질량%, 용융 실리카 B 19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44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했다.
이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7 중량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 중량부, 라우린산칼륨비누 0.5 중량부, 물 30 중량부를 투입, 반죽하여 가소성으로 만들고, 이 가소성의 원료를, 진공 토련기(土練機)로 실린더형의 배토(puddle)를 성형하고, 압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벌집형으로 성형했다.
이어서, 생성된 성형체를 유전 건조한 후 열풍 건조로 절대 건조시켜 소정의 치수로 양단부면을 절단했다.
계속해서, 이 벌집형의 건조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을 같은 조성의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로 이루어지는 슬러리로 관통 구멍이 개구되는 양단부면에서 엇갈려서 봉했다.
마지막으로, 1420℃에서 4시간 소성하여, 사이즈: Φ144 mm×L152mm, 격벽 두께: 300 ㎛, 셀수: 300 셀/inch2의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용융 실리카 B(평균 입자 지름: 3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5 질량%) 대신에,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용융 실리카 B(평균 입자 지름: 3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5 질량%) 대신에, 용융 실리카 A(평균 입자 지름: 4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6 질량%)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자 지름 및 입자 지름 분포의 탈크(평균 입자 지름: 2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4 질량%), 카올린(평균 입자 지름: 1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2 질량%), 석영 D(평균 입자 지름: 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1 질량%), 산화알루미늄(평균 입자 지름: 6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2 질량%)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자 지름: 2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 질량%)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1 질량%, 석영 D 21 질량%, 산화알루미늄 19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9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자 지름 및 입자 지름 분포의 탈크(평균 입자 지름: 2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4 질량%), 카올린(평균 입자 지름: 1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2 질량%),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산화알루미늄(평균 입자 지름: 6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2 질량%) 수산화알루미늄(평균 입자 지름: 2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 질량%)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3 질량%, 석영 B 20 질량%, 산화알루미늄 18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9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9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석영 D(평균 입자 지름: 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1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5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석영 E(평균 입자 지름: 1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1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4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하여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용융 실리카 B(평균 입자 지름: 3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5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9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용융 실리카 C(평균 입자 지름: 16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1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10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7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석영 A(평균 입자 지름: 2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8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9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석영 C(평균 입자 지름: 5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3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0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에 나타내는 석영 B(평균 입자 지름: 19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0.3 질량%) 대신에, 용융 실리카 D(평균 입자 지름: 70 ㎛,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 39 질량%)를 혼합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7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5 질량%, 석영 B 19 질량%, 산화알루미늄 17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9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7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하여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10 질량%, 석영 B 17 질량%, 산화알루미늄 16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7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1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8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15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15 질량%, 석영 B 14 질량%, 산화알루미늄 15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6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4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9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4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19 질량%, 석영 B 12 질량%, 산화알루미늄 14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5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4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7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하여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디어라이트화 원료에,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을 첨가하지 않고서, 발포 수지인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상품명: F-50E, 마쓰모토유시세이야쿠(주) 제조)를,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 중량부 투입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0 질량%, 석영 D 21 질량%, 산화알루미늄 16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23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1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 중량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5 중량부 및 발포 수지인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1.8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0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크 40 질량%, 카올린 5 질량%, 석영 B 19 질량%, 산화알루미늄 17 질량%, 수산화알루미늄 19 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조제한 것과, 생성된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공제로서 그라파이트 20 중량부 및 발포 수지인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2.8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은 식으로 벌집형 필터를 얻었다.
3. 평가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 원성분이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을 1.0 질량% 이하의 입자 지름 분포를 갖는 실시예 1∼13에서는, 50 ㎛를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 이하로 제어되어 있는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고,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85% 이상으로 높은 포집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 원성분이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을 0.1 질량% 이하로 함유하는 입자 지름 분포를 갖는 실시예 3, 5에서는 50 ㎛를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2% 이하로 제어되어 있는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고,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94% 이상으로 매우 높은 포집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한편,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 원성분의 입자 지름 분포가 입자 지름 75 ㎛ 이상의 분말을 1.0 질량% 초과로 함유하는 비교예 1∼4에서는 50 ㎛를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를 넘는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고,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75% 이하의 낮은 포집 효율로 되어 버렸다.
또, 카올린의 함유율이 10 질량% 이하인 실시예 1∼13에서는 10 ㎛ 미만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 이하로 제어되어 있는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필터에 촉매를 붙인 경우, 촉매에 의한 미세 구멍의 막힘이 억제되어, 그을음 포집시의 압력 손실이 작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카올린의 함유율이 10 질량%을 넘는 비교예 5, 6에서는 10 ㎛ 미만의 미세 구멍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를 넘는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촉매를 붙인 경우, 촉매에 의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해 압력 손실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또,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를 1.8∼2.8 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11∼13에서는 기공율이 68∼75%인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고, 이 벌집형 필터에서는 91% 이상으로 높은 포집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더구나, 포집 압력 손실이 8.5(KPa) 이하로 그을음 포집 상태에서의 압력 손실이 작았다.
또한, 실시예 12에서, 발포 수지의 첨가량을 3.2 중량부로 변경하여 벌집형 필터를 제조한 바, 기공율 80%의 벌집형 필터를 얻을 수 있었지만, 구조 강도의 점에서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원료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성분 평균 입자 지름(㎛) 입자 지름 75 ㎛ 이상의분말 함유율(질량%)
탈크 20 4
카올린 10 2
석영 A 20 8
석영 B 19 0.3
석영 C 5 3
석영 D 5 0.1
석영 E 10 0.1
용융 실리카 A 40 6
용융 실리카 B 35 0.5
용융 실리카 C 16 1
용융 실리카 D 70 39
산화 알루미늄 6 0.2
수산화 알루미늄 2 0
원료 조합 조성
No.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조공제
탈크(질량%) 카올린(질량%) 실리카원성분 산화알루미늄(질량%) 수산화알루미늄(질량%) 그라파이트(중량부) PET *1(중량부) PMM*2(중량부) 발포수지*3(중량부)
성분 함유율(질량%)
실시예1 37 0 용융실리카B 19 0 44 20 7 7 0
실시예2 37 0 석영B 19 0 44 20 7 7 0
실시예3 40 1 석영D 21 19 19 20 10 10 0
실시예4 40 3 석영B 20 18 19 20 9 9 0
실시예5 40 3 석영D 20 18 19 25 5 10 0
실시예6 40 3 석영E 20 18 19 20 4 0 0
실시예7 40 3 용융실리카B 20 18 19 20 3 9 0
실시예8 40 3 용융실리카C 20 18 19 10 0 17 0
실시예9 40 5 석영B 19 17 19 20 7 7 0
실시예10 40 10 석영B 17 16 17 10 8 15 0
실시예11 40 10 석영B 17 16 17 0 0 0 2.4
실시예12 40 0 석영D 21 16 23 10 5 5 1.8
실시예13 40 5 석영B 19 17 19 20 0 0 2.8
비교예1 37 0 용융실리카A 19 0 44 20 7 7 0
비교예2 40 3 석영A 20 18 19 20 7 9 0
비교예3 40 3 석영C 20 18 19 20 10 10 0
비교예4 40 3 용융실리카D 20 18 19 20 6 7 0
비교예5 40 15 석영B 14 15 16 20 4 9 0
비교예6 40 19 석영B 12 14 15 20 4 7 0
*1 PET :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2 PMM : 폴리메타크릴산메틸
*3 발포수지 : 아크릴계 마이크로캡슐
특성
No. 기공율(%) 미세 구멍 분포(%) 평균 미세 구멍 직경(㎛) 열팽창계수(x10-6/℃) 포집압력손실(㎪) 포집효율(%)
∼10㎛ 10∼50㎛ 50㎛∼
실시예1 60 2 89 9 26 0.6 9.4 86
실시예2 62 2 91 7 22 0.7 8.9 88
실시예3 65 5 93 2 17 0.6 8.7 94
실시예4 63 5 88 7 21 0.7 9.0 87
실시예5 65 10 88 2 16 0.6 8.5 95
실시예6 54 7 90 3 19 0.6 10.4 93
실시예7 58 7 85 8 23 0.6 9.9 87
실시예8 55 13 77 10 20 0.5 10.2 85
실시예9 61 8 86 6 20 0.7 9.1 89
실시예10 59 15 80 5 19 0.7 9.2 90
실시예11 68 15 75 10 21 0.9 8.5 91
실시예12 72 12 82 6 18 0.9 7.8 98
실시예13 75 8 82 10 25 1.0 7.4 96
비교예1 60 2 83 15 28 0.6 9.4 71
비교예2 62 4 79 17 22 0.7 9.1 68
비교예3 65 11 77 12 17 0.6 8.7 75
비교예4 57 5 57 38 33 0.7 10.1 48
비교예5 58 19 75 6 19 0.7 9.7 90
비교예6 56 24 77 7 17 0.7 10.2 8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르면, 파티큘레이트 등의 포집 효율이 높고, 또한 미세 구멍의 막힘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어, 특히, 최근의 고압 연료 분사, 코먼레일 등을 채용한 디젤엔진에 대응하여 이들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미세 구멍 분포를 제어한 코디어라이트를 주된 결정상으로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로서,
    상기 미세 구멍 분포는 직경 10 ㎛ 미만인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5% 이하이고, 직경 10 내지 50 ㎛인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75% 이상이며, 직경 50 ㎛를 넘는 미세 구멍의 용적이 전체 미세 구멍 용적의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기공율이 5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기공율이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800℃에서의 열팽창 계수가 1.0×1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
  5.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를 주원료로 하는 세라믹스 원료를 이용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카올린을 0 내지 10 질량%로 함유하고, 또한 카올린 및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이 입자 지름 75 ㎛ 이상인 분말을 1 질량 %이하로 함유하는 입자 지름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상기 카올린을 1 내지 10 질량%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올린 및 상기 탈크 이외의 실리카(SiO2) 원성분이 석영과 용융 실리카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 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알루미늄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 입자 지름 1 내지 10 ㎛의 수산화알루미늄을 15 내지 45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나(Al2O3) 원성분으로서 입자 지름 4 내지 8 ㎛의 산화알루미늄을 0 내지 2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어라이트화 원료는 마그네시아(MgO) 원성분으로서 탈크를 37 내지 40 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의 입자 지름은 5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스 원료는 상기 코디어라이트화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 수지를 1∼4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벌집형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02-7009379A 2000-11-24 2001-10-03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1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7305 2000-11-24
JPJP-P-2000-00357305 2000-11-24
JP2001190404A JP4094830B2 (ja) 2000-11-24 2001-06-22 多孔質ハニカム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190404 2001-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211A true KR20020082211A (ko) 2002-10-30
KR100481260B1 KR100481260B1 (ko) 2005-04-07

Family

ID=2660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79A KR100481260B1 (ko) 2000-11-24 2001-10-03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73481B2 (ko)
EP (1) EP1342494B1 (ko)
JP (1) JP4094830B2 (ko)
KR (1) KR100481260B1 (ko)
CN (1) CN1219575C (ko)
AU (1) AU2001292345A1 (ko)
BR (1) BR0107762B1 (ko)
CA (1) CA2396846C (ko)
DE (1) DE60136844D1 (ko)
WO (1) WO20020419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68B1 (ko) * 2012-04-09 2014-01-15 (주) 세라컴 디젤 입자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디젤 입자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7042A1 (fr) * 2000-04-07 2001-10-18 Ngk Insulators, Ltd. Structure alveolaire ceramique a cordierite presentant une faible dilatation therm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dite structure
CN1277596C (zh) 2000-06-01 2006-10-04 康宁股份有限公司 堇青石结构体
JP4094830B2 (ja) 2000-11-24 2008-06-04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ハニカム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7268B2 (ja) * 2001-07-27 2012-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多孔質セラミック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7429351B2 (en) * 2002-01-21 2008-09-30 Ngk Insulator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ous ceramic structure
EP1493722B1 (en) * 2002-03-29 2008-05-14 Ngk Insulators, Ltd. Silicon carbide based porous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227347B2 (ja) * 2002-03-29 2009-02-18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341602C (zh) * 2002-06-26 2007-10-10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柴油机颗粒过滤器应用的硅酸铝镁结构
JP4571775B2 (ja) * 2002-10-23 2010-10-27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ハニカム成形体
JP4750343B2 (ja) 2002-10-23 2011-08-17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ハニカム成形体
JP4197425B2 (ja) 2002-11-07 2008-12-17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WO2004050215A1 (en) * 2002-12-05 2004-06-17 Clean Air Technology Corp. Ceramic filter and its producing method
JP2004188303A (ja) * 2002-12-10 2004-07-08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
JP4222600B2 (ja) * 2003-01-07 2009-02-12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焼成方法
US20040152593A1 (en) * 2003-01-30 2004-08-05 Cutler Willard A. Catalyst support
US6864198B2 (en) * 2003-01-30 2005-03-08 Corning Incorporated Cordierite ceramic body and method
JP2004250324A (ja) * 2003-01-30 2004-09-09 Hitachi Metal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コージェライト化原料
JP2004315346A (ja) 2003-03-28 2004-11-11 Ngk Insulators Ltd ハニカム構造体
KR100679190B1 (ko) 2003-06-23 2007-02-06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벌집형 구조체
US7179316B2 (en) * 2003-06-25 2007-02-20 Corning Incorporated Cordierite filters with reduced pressure drop
JP4805676B2 (ja) * 2003-07-25 2011-11-02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多孔質体及びその透過性能評価方法
US7442425B2 (en) 2003-09-30 2008-10-28 Corning Incorporated High porosity honeycomb and method
US7132066B2 (en) 2003-09-30 2006-11-07 Ngk Insulators, Ltd. Method for producing honeycomb structure and honeycomb structure
US7897099B2 (en) * 2004-01-13 2011-03-01 Ngk Insulators, Ltd. Method for producing honeycomb structure
JP4737594B2 (ja) * 2004-02-18 2011-08-03 日立金属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
CN100418929C (zh) * 2004-03-19 2008-09-17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陶瓷结构体的制造方法
US20050218543A1 (en) * 2004-03-31 2005-10-06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controlling pore characteristics of porous structure
US8663545B2 (en) 2004-03-31 2014-03-04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honeycomb structure and honeycomb structure
JP4495152B2 (ja) * 2004-03-31 2010-06-30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278330B2 (en) 2004-03-31 2007-10-09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inspecting porous structure
US8366989B2 (en) 2004-04-22 2013-02-05 Ngk Insulators, Ltd. Method for producing porous honeycomb structure and porous honeycomb structure
JP2006027925A (ja) * 2004-07-13 2006-02-02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湿度センサー材料、湿度センサー材料を用いた湿度センサー及び湿度センサー材料を備えた電気機器
US20060021308A1 (en) * 2004-07-29 2006-02-02 Merkel Gregory A Mullite-aluminum titanate body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6030811A1 (ja) * 2004-09-14 2006-03-23 Ngk Insulators, Ltd. 多孔質ハニカムフィルター
JPWO2006035823A1 (ja) 2004-09-30 2008-05-15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EP1795262B1 (en) * 2004-09-30 2010-01-27 Ibiden Co., Ltd. Honeycomb structure
JP4847339B2 (ja) 2004-10-29 2011-12-28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体
KR100820619B1 (ko) * 2004-12-28 2008-04-08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및 필터 집합체
JP2006232590A (ja) * 2005-02-23 2006-09-07 Ngk Insulators Ltd セラミック構造体の製造方法
WO2006130759A2 (en) * 2005-05-31 2006-12-07 Corning Incorporated Aluminum titanate ceramic forming batch mixtures and green bodies including pore former combin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firing same
JP4824769B2 (ja) * 2005-11-30 2011-11-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細孔径分布の制御された多孔質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ハニカム未焼成体、そのバッチ混合物および製造方法
US7485170B2 (en) * 2005-11-30 2009-02-03 Corning Incorporated Narrow pore size distribution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7520911B2 (en) * 2005-11-30 2009-04-21 Corning Incorporated Porous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 with improve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R2893861B1 (fr) * 2005-11-30 2008-01-04 Saint Gobain Ct Recherches Structure de filtration d'un gaz a base de sic de porosite de surface de paroi controlee
US7744980B2 (en) * 2005-12-20 2010-06-29 Corning Incorporated Low CTE cordierite honeycomb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527774B2 (en) * 2005-12-22 2009-05-05 Basf Catalysts Llc Inlet metallic foam support coupled to precious metal catalyst for application on 4 stroke platforms
US7521033B2 (en) * 2005-12-22 2009-04-21 Basf Catalysts Llc Exhaust inlet metallic foam trap coupled to a downstream monolithic precious metal catalyst
WO2007097056A1 (ja) 2006-02-23 2007-08-30 Ibiden Co., Ltd. ハニカム構造体および排ガス浄化装置
CN101395099A (zh) * 2006-03-07 2009-03-25 日本碍子株式会社 陶瓷结构体及其制造方法
CN101400623B (zh) * 2006-03-17 2012-05-23 日本碍子株式会社 蜂窝状结构体的制造方法
US7575618B2 (en) * 2006-03-30 2009-08-18 Corning Incorporated Reactive binders for porous wall-flow filters
US7648548B2 (en) * 2006-05-10 2010-01-19 Corning Incorporated High porosity cordierite composition
US7923093B2 (en) * 2006-06-30 2011-04-12 Corning Incorporated High porosity filters for 4-way exhaust gas treatment
US7596885B2 (en) 2006-07-28 2009-10-06 Corning Incorporated Microwave drying of ceramic structures
EP2069264A2 (en) * 2006-08-25 2009-06-17 Corning Incorporated Low back pressure porous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7648550B2 (en) * 2006-08-25 2010-01-19 Corning Incorporated Narrow pore size distribution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8298311B2 (en) * 2006-11-15 2012-10-30 Corning Incorporated Filters with controlled submicron porosity
US7981188B2 (en) * 2006-11-30 2011-07-19 Corning Incorporated Controlled pore size distribution porous ceramic honeycomb filter, honeycomb green body, batch mi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0412026C (zh) * 2007-03-16 2008-08-20 江苏高淳陶瓷股份有限公司 一种堇青石蜂窝陶瓷及制备方法
JP5502728B2 (ja) * 2007-05-31 2014-05-2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細孔形成体によるチタン酸アルミニウムセラミック形成バッチ混合物および未焼成体
JP4130216B1 (ja) 2007-07-03 2008-08-06 東京窯業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US8187525B2 (en) * 2007-08-31 2012-05-29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iring green bodies into porous ceramic articles
JP5411861B2 (ja) * 2007-08-31 2014-02-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ージェライト・ハニカム物品および製造方法
JP2009061683A (ja) 2007-09-06 2009-03-26 Denso Corp ハニカム構造体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US9890085B2 (en) * 2007-09-27 2018-02-13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structure and its production method
CN101959571B (zh) * 2007-10-12 2013-06-12 日立金属株式会社 堇青石质陶瓷蜂窝过滤器及其制造方法
JP5328174B2 (ja) * 2008-02-20 2013-10-30 日本碍子株式会社 目封止ハニカム構造体
EP2254678B1 (en) * 2008-02-29 2018-03-21 Corning Incorporated Honeycomb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ound nut shells
WO2009118816A1 (ja) * 2008-03-24 2009-10-01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JP2009262125A (ja) 2008-03-31 2009-11-12 Denso Corp 多孔質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413310B2 (ja) * 2008-03-31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多孔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US20090297764A1 (en) * 2008-05-30 2009-12-03 Douglas Munroe Beall Stablized Low-Microcracked Ceramic Honeycombs And Methods Thereof
US8894917B2 (en) 2008-05-30 2014-11-25 Corning Incorporated High porosity cordierite honeycomb articles
JP5464142B2 (ja) * 2008-07-28 2014-04-09 日立金属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333449B2 (en) 2008-08-05 2016-05-10 Mann+Hummel Gmbh Method for producing a ceramic filter element
DE102008036379A1 (de) * 2008-08-05 2010-02-11 Mann + Humme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ramischen Filterelements
JP4864061B2 (ja) 2008-10-08 2012-01-25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8231701B2 (en) * 2009-01-21 2012-07-31 Corning Incorporated Particulate filters and methods for regenerating particulate filters
US8187353B2 (en) * 2009-01-21 2012-05-29 Corning Incorporated Filtration structures for improved particulate filter performance
US8138108B2 (en) * 2009-02-27 2012-03-20 Corning Incorporated Aluminum titanate-containing ceramic-forming batch materia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8449645B2 (en) * 2009-03-31 2013-05-28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structure and its production method
US8389101B2 (en) * 2009-05-29 2013-03-05 Corning Incorporated Lanthanum-containing cordierite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9074504B2 (en) 2009-09-04 2015-07-07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structure and its production method
EP3120916B1 (en) 2010-02-22 2021-10-20 Hitachi Metals, Ltd. Production method for a ceramic honeycomb structure
CN102834158B (zh) * 2010-04-01 2015-07-15 日立金属株式会社 陶瓷蜂窝过滤器及其制造方法
US9334191B2 (en) 2010-05-28 2016-05-1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forming ceramic honeycomb articles
US9856177B2 (en) 2010-05-28 2018-01-02 Corning Incorporated Cordierite porous ceramic honeycomb articles
US8999224B2 (en) * 2010-11-30 2015-04-07 Corning Incorporated Cordierite porous ceramic honeycomb articles with delayed microcrack evolution
US8450227B2 (en) 2011-02-28 2013-05-28 Corning Incorporated Ceramic-body-forming batch materials comprising silica, methods using the same and ceramic bodies made therefrom
WO2013147321A1 (ja) * 2012-03-28 2013-10-03 日本碍子株式会社 炭化珪素質多孔体、ハニカム構造体及び電気加熱式触媒担体
US9126871B2 (en) 2012-05-31 2015-09-08 Corning Incorporated Carbonates as relic pore formers in aluminum titanate
WO2013186923A1 (ja) 2012-06-15 2013-12-1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WO2013186922A1 (ja) 2012-06-15 2013-12-1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WO2014054159A1 (ja) 2012-10-04 2014-04-10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US10370304B2 (en) 2012-11-29 2019-08-06 Corning Incorporated Fused silica based cellular structures
JP6239304B2 (ja) * 2013-07-31 2017-11-2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6239307B2 (ja) 2013-07-31 2017-11-2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6239303B2 (ja) 2013-07-31 2017-11-2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6239305B2 (ja) 2013-07-31 2017-11-2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6239306B2 (ja) 2013-07-31 2017-11-29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5751398B1 (ja) 2013-09-24 2015-07-22 日立金属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73620A1 (en) * 2014-05-15 2015-11-19 Porvair Plc Boron-free aluminum castshop ceramic foam filter
JP6704732B2 (ja) * 2015-01-09 2020-06-03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セラミック組成物用造孔材およびその用途
JP6470975B2 (ja) 2015-01-13 2019-02-13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キャニング構造体
US10072543B2 (en) 2015-03-24 2018-09-11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structure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2441764B1 (ko) 2015-03-24 2022-09-07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허니컴 구조체
CN105777181B (zh) * 2016-03-11 2018-08-14 江苏省宜兴非金属化工机械厂有限公司 一种柴油机用大规格堇青石蜂窝陶瓷载体
JP6633952B2 (ja) * 2016-03-28 2020-01-22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CN110099730A (zh) * 2016-12-21 2019-08-06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具有泡沫几何形状结构和活性材料的自支承性结构
JP6788515B2 (ja) 2017-02-02 2020-11-25 日本碍子株式会社 目封止ハニカム構造体
JP6802096B2 (ja) 2017-03-14 2020-12-16 日本碍子株式会社 目封止ハニカム構造体
JP2019150737A (ja) * 2018-02-28 2019-09-12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JP6912412B2 (ja) 2018-03-30 2021-08-04 日本碍子株式会社 炭化珪素質多孔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3868733A4 (en) * 2018-10-15 2022-07-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ROUS LAMINATED CERAMIC AND METHOD FOR MAKING IT
JP7075507B2 (ja) 2019-03-25 2022-05-25 山東国瓷功能材料股▲フン▼有限公司 ハニカム構造体、ハニカム構造フィルター、及び押出成形金型
JP2020163336A (ja)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Soken 排ガス浄化フィルタ
JP2020164379A (ja)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Soken ハニカム構造体
JP7127606B2 (ja) 2019-04-24 2022-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排ガス浄化フィルタ
JP7230671B2 (ja) * 2019-04-26 2023-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排ガス浄化フィルタ
JP6947200B2 (ja) 2019-05-15 2021-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排ガス浄化フィルタ
CN111393155A (zh) * 2020-01-10 2020-07-10 重庆奥福精细陶瓷有限公司 一种薄壁大孔径的堇青石蜂窝陶瓷载体及其制备方法
JP7449720B2 (ja) 2020-03-02 2024-03-14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7449721B2 (ja) 2020-03-02 2024-03-14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7353218B2 (ja) 2020-03-02 2023-09-29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7353217B2 (ja) 2020-03-02 2023-09-29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JP2022100558A (ja) 2020-12-24 2022-07-06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0009B2 (en) * 1982-02-16 1984-10-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xhaust gas filter
JPS61129015A (ja) * 1984-11-24 1986-06-17 Nippon Denso Co Ltd 排出ガス浄化用フイ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599990B1 (fr) * 1986-03-19 1993-03-26 Ceramiques Composites Filtre pour metaux liquides a base de materiau ceramique alveolair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application a la filtration de metaux ou d'alliages liquides de tres haut point de fusion
JP2578176B2 (ja) * 1988-08-12 1997-02-05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法
US5198006A (en) * 1989-04-07 1993-03-30 Asahi Glass Company, Ltd. Ceramic filter for a dust-containing gas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938740B2 (ja) 1993-12-14 1999-08-25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ージェライト質セラミック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
JP2726616B2 (ja) * 1993-12-15 1998-03-11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
DE69624884T2 (de) * 1995-08-22 2003-09-11 Denki Kagaku Kogyo Kk Wabenkörper
EP1382443B1 (en) * 1996-01-12 2013-04-24 Ibiden Co., Ltd. A filter for purifying exhaust gas
JP3446558B2 (ja) 1996-10-03 2003-09-1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排気ガス浄化用フィルタ
US6261982B1 (en) * 1998-11-12 2001-07-17 Asahi Glass Company Ltd. Cordierite ceramic filter
JP3340689B2 (ja) * 1999-02-03 2002-11-05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ージェライト質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EP1728775B1 (en) * 1999-12-24 2010-02-1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Silicon nitride filter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3756721B2 (ja) * 2000-03-24 2006-03-15 日本碍子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フィルター
JP4094830B2 (ja) 2000-11-24 2008-06-04 日本碍子株式会社 多孔質ハニカム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6827754B2 (en) * 2001-09-13 2004-12-07 Hitachi Metals, Ltd. Ceramic honeycomb filter
US6736875B2 (en) * 2001-12-13 2004-05-18 Corning Incorporated Composite cordierite filt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68B1 (ko) * 2012-04-09 2014-01-15 (주) 세라컴 디젤 입자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디젤 입자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1260B1 (ko) 2005-04-07
US20030041574A1 (en) 2003-03-06
WO2002041972A1 (fr) 2002-05-30
US6773481B2 (en) 2004-08-10
BR0107762B1 (pt) 2009-05-05
CN1419469A (zh) 2003-05-21
JP2002219319A (ja) 2002-08-06
EP1342494A1 (en) 2003-09-10
AU2001292345A1 (en) 2002-06-03
CA2396846A1 (en) 2002-05-30
CN1219575C (zh) 2005-09-21
CA2396846C (en) 2005-05-24
EP1342494A4 (en) 2004-12-29
BR0107762A (pt) 2002-11-12
EP1342494B1 (en) 2008-12-03
JP4094830B2 (ja) 2008-06-04
DE60136844D1 (de)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260B1 (ko) 다공질 벌집형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US6803086B2 (en) Porous honeycomb structure body, the us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141087B2 (en) Honeycomb ceramics filter
JP5411861B2 (ja) コージェライト・ハニカム物品および製造方法
US7141089B2 (en)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ructures for DPF applications
US6942713B2 (en) Ceramic body based on aluminum titanate
US6582796B1 (en) Monolithic honeycomb structure made of porous ceramic and use as a particle filter
JP2578176B2 (ja) 多孔質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法
US6864198B2 (en) Cordierite ceramic body and method
US7122237B2 (en) Honeycomb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12433B2 (en) Low back pressure porous honeycomb and method
US20080050557A1 (en) Low back pressure porous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US20070119134A1 (en) Narrow pore size distribution cordierite ceramic honeycomb articl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KR20030059169A (ko) 리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세라믹
WO2009108362A2 (en) Honeycomb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ound nut shells and honeycomb body produced thereby
JP4361449B2 (ja) コーディエライト質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4250324A (ja)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コージェライト化原料
CN113426491B (zh) 蜂窝结构体
JP7213054B2 (ja) ハニカム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