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264A - 백호의 캐빈 - Google Patents

백호의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264A
KR20020076264A KR1020027009305A KR20027009305A KR20020076264A KR 20020076264 A KR20020076264 A KR 20020076264A KR 1020027009305 A KR1020027009305 A KR 1020027009305A KR 20027009305 A KR20027009305 A KR 20027009305A KR 20020076264 A KR20020076264 A KR 20020076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backhoe
door
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392B1 (ko
Inventor
아야베히로아키
미야니시마사미
쿠로다타카아키
나가타마사오
Original Assignee
얀마 디이젤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디이젤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디이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87Special type simplified doors related to cabins of, e.g. golf carts, tractors, jeeps, cranes, forklift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E02F3/964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of several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선회프레임(2)의 작업기 부착부(16)를 제외한 부분을 대략 원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이 주행장치(1)의 대략 폭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한 후방 소선회형 백호의 캐빈에 있어서, 캐빈(8) 후방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선회프레임(2)의 외주형상을 따라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적어도 한쪽의 측면을 다각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다각형상부분 중 서로 인접하는 두 면을 중앙접힘식 도어(15a, 15b)로 했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을 종래보다 크게 할 수 있어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고, 레버 조작이 여유있는 공간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Description

백호의 캐빈{CABIN OF BACK HOE}
종래부터 조종부를 캐빈으로 덮고, 우천이나 한랭지나 여름에도 쾌적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캐빈형의 백호는 공지되어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캐빈 내에 출입하기 위한 도어가 상기 캐빈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후측의 종축을 지점으로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방시의 도어의 돌출을 억제하기 위해 미닫이식이나 중앙접힘식 도어로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가 평면에서 보아 선회프레임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선회시에 주행장치의 폭내에 포함되도록 한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실안공개 평6-85455나 일본 특허공개 평11-100864나 일본 특허 제2657541호의 기술이다.
여기서 실제의 작업에 있어서는, 공기조절이 필요할 만큼 덥지 않을 때나, 작업시에 캐빈의 출입을 빈번히 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등에는, 도어를 개방한 채 작업을 행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 보아 상기 실용실안공개 평6-85455나 특허공개 평11-100864의 기술의 결점은 도어의 개방시에 그 외단이 선회프레임으로부터 밀려나오고, 주행장치의 폭도 넘어 버려 선회작업시에 있어서 외부의 장해물에 도어가 닿을 가능성이 생기는 점에 있다.
한편, 특허 제2657541호의 기술에 있어서는 도어 개방시에도 주행폭내의 선회지름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은 캐빈측벽을 선회방향으로 향하여 크게 돌출시켜 거주성의 향상을 도모하고는 있지만, 그 돌출 모양이 「〈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벽에 의해 공간이 크게 줄어드는 구성으로 되어 아직 실내공간을 최대한으로는 확보할 수 없고, 충분히 넓지 않은 공간내에서의 조작을 조작자에 강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2657541호에 관한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말하면, 측벽을 돌출시킨 측에 위치하는 레버(좌측레버)를 조작하고자 하면, 팔이 측벽에 닿아 버려 조작이 곤란했다.
또, 상술한 중앙접힘식 도어를 채용한 경우, 종래에서는 전후 한 측(전측)의 도어의 폭이 다른 측(후측)의 도어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상으로 한 선회프레임의 원내에 도어를 배치하면, 실내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구성의 결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정된 선회대내에서 최대의 거주공간과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도어개방시에도 대략 선회지름내에 포함되도록 백호의 캐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백호의 캐빈의 구조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캐빈을 채용한 백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캐빈을 채용한 백호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캐빈을 채용한 백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캐빈의 실시예를 채용한 백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캐빈의 실시예를 채용한 백호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유리의 부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어의 측면도.
도 10은 중앙접힘식 도어의 힌지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a)는 도 9에 있어서의 A-A단면도, (b)는 B-B단면도.
도 11은 힌지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12는 힌지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13은 힌지부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14는 도어 상부의 캐빈룸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어 상부의 캐빈룸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종래의 단면도.
도 16은 후방유리와 캐빈룸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프론트유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사시도.
도 18은 프론트유리의 수납절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프론트유리의 수납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프론트유리의 수납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잠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종래의 도어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도어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선회프레임의 작업기 부착부를 제외한 부분을 대략 원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이 주행장치의 대략 폭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한 후방 소선회형 백호의캐빈에 있어서, 캐빈 후방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선회프레임 외주형상을 따른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한 측의 측면을 다각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을 종래보다 크게 할 수 있고, 거주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레버조작을 행할 때도 공간에 여유가 생겨 조작성도 향상한다. 작업시의 안전성도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일본 이외의 나라에서의 캐빈 규격에도 적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선회프레임에서의 작업기 부착부와 적어도 한 측면의 탱크커버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대략 전체면 상을 캐빈으로 덮고 있다. 이로 인해 , 굴삭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고 실내공간을 크게 할 수 있고, 작은 백호라도 압박감이 없이 조종작업이 가능하며, 거주성이 향상한다.
또는,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작업기 부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대략 전체면 상을 캐빈으로 덮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을 확대하면서도, 탱크커버를 외측으로부터 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성을 손실하는 일없이, 조종성이나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선회프레임 상의 일측 상에 연료탱크를 배치하고, 상기 연료탱크 상에 걸쳐지도록 탑재하고, 상기 연료탱크의 측면이 캐빈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캐빈은 연료탱크의 부분만큼 줄일 수 있고, 캐빈의 실내공간을 크게 하면서도, 재료비를 저감하고 관리성도 악화시키는 일없이, 거주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캐빈의 후방부를 엔진룸의 후방부 외주단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캐빈과 엔진룸을 덮는 보닛이 대략 일직선 상에있고, 요철이 작아 외관이 향상한다. 또, 캐빈은 선회프레임 내측에 위치하고, 선회시에 다른 장해물에 접촉하는 일도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캐빈측벽을 그 상부가 선회 내측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두부가 크게 보이는 일이 없어져 안정감있는 외관형상이 되며, 또, 선회시에 다른 장해물에 접촉하는 일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캐빈 룸의 외주단은 창유리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빗방울 등이 유리의 시일부재에 직접 닿는 일이 없어져, 시일부재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으며, 빗물의 침수도 장기에 걸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다각형상으로 구성한 캐빈측면 중 서로 인접하는 두 면을 중앙접힘식 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중앙접힘식 도어의 상기 두 면은 서로 대략 같은 폭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거주성이 향상되며, 조작레버 주위의 공간도 넓어져 조종성이 향상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선회프레임의 조작기 부착부를 제외한 부분은 대략 원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이 주행장치의 대략 폭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한 후방 소선회형 백호의 캐빈에 있어서, 상기 캐빈에 설치하는 도어를 중앙접힘식으로 하고, 중앙접힘 부분에 배치하는 힌지의 추지축중심을 상기 힌지로 연결되는 양 도어의 유리두께 중심선 상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어의 개패시에 접혀질 때에 양 도어의 유리끼리의 간격이 변하지 않고, 중앙접힘 부분에 배치하는 시일부재는 도어 개패시에 장력이나 압축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시일부재의 수명을 길게 할수 있었다. 또, 도어의 접힘 각도의 범위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로 연결되는 양 도어의 유리단을 시일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시일부재는 힌지를 우회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힌지와 시일부재가 각각 회동과 신축이 행해지고, 서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없이, 시일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 시일부재의 유리삽입부분에 축대를 넣음으로써, 접착이 필요없게 되고, 끼워맞추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백호의 캐빈에 있어서 캐빈프레임의 유리를 부착하는 부착가장자리부에는 홀 또는 보스를 형성해 둔다. 따라서, 유리가 파손되도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하여, 미리 상기 홀 또는 보스의 위치에 맞춰 홀을 형성하고 있는 대체유리를 볼트나 핀 등으로 캐빈프레임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접착제가 마르기까지의 시간이 불필요해져 수리처리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중단도 적은 시간으로 끝내고, 작업을 빨리 재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백호의 캐빈의 프론트 아래 유리를 탈착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 캐빈 내부에 프론트 유리의 폭보다 긴 벨트형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넓게 설치하고, 떼어낸 상기 프론트 아래 유리를 캐빈 내면과 벨트형상부재 사이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떼어낸 프론트 아래 유리는 하방으로 내리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되고, 상방이나 측방 등 이동거리가 짧아지고,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프론트 아래 유리의 파손의 우려를 감소할 수 있다. 또, 프론트 아래 유리의 고정구조가 간단해져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을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 도 3에 있어서 백호의 전체구성부터 설명한다.
좌우 한쌍의 크롤러를 장비한 크롤러식 주행장치(1)의 상부에, 선회프레임(선회대)(2)을 선회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선회프레임(2)의 후방부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하고, 선회시에 크롤러식 주행장치(1)의 대략 폭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선회프레임의 직경을 주행장치의 대략 폭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도 3에 있어서 W>R×2), 이른바 후방 소선회형의 백호로 하고 있다.
그리고, 크롤러식 주행장치(1)의 전방에 블레이드(3)를 돌출시키고, 상기 선회프레임(2)의 후방 상에 엔진이나 배터리 등을 배치하고 보닛(14)에 의해 덮어 엔진룸을 구성하고, 선회프레임(2)의 우측 상에는 연료탱크를 탑재하여 탱크커버(17)에 의해 덮고 있다. 상기 선회프레임(2)의 전후 대략 중앙 상에는 좌석시트(13)를 배치하고, 상기 좌석시트(13)의 앞부분에는 조작레버 등을 배치하고, 조작방향이나 작업기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좌석시트(13)나 상기 조작레버 등은 캐빈(8)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선회프레임(2)의 앞부분 좌우 대략 중앙에는 작업기 부착부(16)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16)에 굴삭작업기(7)의 기부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굴삭작업기(7)는 버킷(4)이나 암(5), 붐(6) 및 이들을 회동구동하는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붐(6)의 기부는 상기 작업기 부착부(16)에 좌우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브래킷(12)에 전후회동 가능하게 피벗된다. 상기 붐(6)과 붐브래킷(12) 사이에는 붐실린더(11)를 끼워장착하여 붐(6)을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붐(6)의 선단에는 암(5)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암(5)과 상기 붐(6) 사이에는 암실린더(10)를 끼워장착하고, 암(5)을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암(5)의 선단에는 버킷(4)이 피벗되고, 상기 암(5)과 버킷(4) 사이에는 버킷실린더(9)를 끼워장착하고, 버킷(4)을 퍼올림회동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캐빈(8)의 구성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회프레임(2)은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하고, 앞부분의 상기 작업부착부(16)를 설치하는 부분을 절개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선회프레임(2) 상에 캐빈(8)이 탑재되고, 상기 캐빈(8)의 외곽선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선회프레임(2)의 외곽선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8)의 우측(도면 좌측)에 있어서는 탱크커버(17)의 일부(약 반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탱크커버(17)의 나머지부분은 상기 캐빈(8)에 의해 덮도록 배치하고, 바꿔말하면, 캐빈(8)의 우측면은 연료탱크를 전후에 걸쳐 구성하고 있다. 상기 캐빈(8)의 후방부부분은 엔진룸의 후방부 상(즉 보닛(14)의 후방부 상)에 탑재하고, 상기 후방부부분의 형상은 선회프레임(2)의외주형상에 따라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캐빈(8)은 우측면 및 전면을 평면으로 구성하고, 다른 부분은 곡면으로 구성하고, 그 외곽선은 평면에서 보아 일부 원형으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각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 부착부(16)를 제외한 선회프레임(2)의 상전체면을 덮도록 캐빈(8)을 배치하고, 전면이외는 그 외곽선이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의 캐빈(8)의 경우, 노출된 부분의 탱크커버(17)는 외부 상방향으로 개패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작동기름탱크, 연료탱크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보닛(14)의 후면도 후방으로 개패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선회프레임(2)의 전체면을 덮는 구성의 캐빈의 경우, 탱크커버(17)의 외주면 상에 캐빈(8)의 우측면이 실린다. 이 구성의 경우는 진행방향 좌측뿐만아니라 우측에도 도어(15R)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커버(17)는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열거나, 캐빈(8)내에서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캐빈(8)은 전면과 좌측도어(15)와 우측면은 평면으로 구성하고, 그 천정과 측면의 일부와 지지프레임 이외는 유리(창유리)에 의해 덮도록 하여, 작업시의 조작자의 시야가 가능한 한 넓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캐빈(8)은 선회프레임(2)의 상방을 가능한 한 넓게 덮도록 하고, 실내공간을 크게 하여 거주성·조작성을 향상하고 있다.
상기 캐빈(8)내에는 진행방향 왼쪽에 좌석시트(13)나 조작레버 등을 배치하고, 상기 좌석시트(13) 후하방으로부터 우측을 엔진룸으로 하여 보닛(14)으로 덮고 있다. 캐빈(8)의 후방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14)의 상후방부보다 소량만큼 후방으로 돌출하여 탑재되고, 캐빈(8)의 내부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있다. 단 캐빈(8) 후방부는 선회프레임(2)보다는 선회바깥쪽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구성하고, 선회작업시에 장해물에 닿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캐빈(8)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의 외주단은 선회프레임(2)의 외주단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을 제외한 측면은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며, 상방이 기체중심측에 각도 θ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사각 θ는 지나치게 크면 실내공간이 작아져 압박감이 생기는 동시에 조작성도 나빠져 버리지만, 한편으로는 θ를 제로로 하면, 상방이 크게 불안정하게 보이기 때문에 외관이 좋지않고, 더욱이 좁은 현장에서의 선회작업에 있어서 지면이 경사져 있으면 그에 따라 백호도 경사모양으로 되고, 높은 위치의 장해물에 캐빈(8)의 상부가 닿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증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 경사각 θ은 약 1도 전후의 각도로 하고, 좁은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스마트한 인상을 환기시키는 안정감있는 외관으로 하고 있다.
또한, 캐빈(8)이 선회프레임(2) 상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탱크커버(17)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도, 또는 도 4와 같이 전체면을 덮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15)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뒷도어(15a)와 앞도어(15b)의 크기가 대략 같아도 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도어(15b)의 쪽이 크게 해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장의 도어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한장형태의 도어(15)가 채용되어 있지만, 이를 도 1이나 도 6에 나타내는 중앙접힘식 도어로 해도 된다.
다음에, 캐빈(8)을 구성하는 캐빈프레임(20)에 유리(창유리)(19)를 부착하고, 도어(15)부분 이외에 있어서도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을 도 8로부터 설명한다.
캐빈프레임(20)에는 다수의 개구(20A·20B...)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20A·20B...)의 주위에는 각각 유리(19A·19B...)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가장자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그 하나에 관해서 설명하면, 부착가장자리부(20a)에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홀(또는 보스)(20c·20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20c·20c...)에는 시일(21·21...)이 부착되어 닫히고, 그 위에 및 부착가장자리부(20a)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유리(19A·19B...)가 시일부재(23)를 통해 접착고정된다. 상기 시일(21)을 이용하여 홀(20c)을 폐쇄하는 것은 접착제가 홀(20c)에 들어가 홀(20c)을 닫거나, 나사산을 메우거나 하여 후술의 대체부품(22)이 부착불가능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 홀(20c)에는 나사홀가공(탭)이 실시되거나, 또는 보스가 메워지고 있다.
이 캐빈프레임(20)에는 작업시나 주행시 등에 창유리(19A)가 만일 파손한 경우를 위해, 대체부품(22)이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대체부품(22)은 비교적 입수하기 쉬운 부품, 예를 들면, 투명아크릴판 등으로 구성하고, 상기 대체부품(22A·22B...)의 주위에는 상기 홀(20c·20c...)의 위치에 맞춰 홀(22a·22a...)을 개구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대체부품(22)을 부착할 때에는 파손된 유리를 제거하고, 상기 부분의 시일(21·21...)도 떼어내고, 홀(20c)과 홀(22a)에 나사 또는 볼트를 삽입하여 대체부품(22)을 고정하는 것이다. 홀(20c) 대신에 보스를 형성한 경우에는 핀 등에 의해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염가로 경량인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한 대체부품을 미리 준비해 두면, 유리가 파손됐을 때에도 순정부품이 도착하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교환용의 대체부품을 부착함으로써 수리가 간단하면서 염가로 될 수 있게 된다. 또, 대체부품은 나사꺾쇠 등으로 간단히 부착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여 수리의 전문가를 부를 필요도 없고, 접착제가 마르기까지 기다릴 필요도 없기 때문에, 즉석에서 대처할 수 있고, 빠르게 수리하여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다음에, 도어(15)의 구성을 설명한다.
캐빈(8)에 설치하는 도어(15)는 도 1,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작업기(7)를 설치한 측을 전방으로 하여(진행방향)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15)는 전후로 분할하여 양자를 힌지(24·24)에 의해 피벗하고, 열 때에 둘로 접히도록(중앙접힘) 구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도어는 뒷도어(15a)의 폭(L1)이 손잡이(57)를 설치한 앞도어(15b)의 폭(L2)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L1<L2).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좌석시트(13) 측방의 원호부는 폭넓은 앞도어(15b)에 의해 크게 줄어들게 되어 공간을 좁혀버린다.
그래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뒷도어(15a)와 앞도어(15b)의 폭(L1·L2)을 같게하고 있다(L1=L2). 이로 인해 좌석시트(13) 측방의 원호부가 전후의 도어(15a·15b)에 의해 줄어드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조작자측방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거주성·조작성이 향상된다.
도어(15)는 대략 180도 전부 열어 캐빈(8) 후방부측면에 따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캐빈(8)의 후방부측면에 있어서는 연 상태의 도어(15)가 포함되는 원호형상의 오목한 공간(18)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한장형태의 도어(15)를 채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로 인해, 도어(15)를 전부 열었을 때에도 상기 원호형상의 공간(18)내에 도어(15)를 수납할 수 있어 선회프레임(2)의 반경(R)내로부터 돌출하는 일없이 포함되고, 도어(15)를 연채로 선회하는 작업에서도, 가까이에 있는 장해물 등이 도어(15)에 닿아 손상이 미치는 일없이, 도어(15)를 신경쓰지 않고 선회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도어(15)를 전부 연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캐치가 캐빈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5)는 닫은 경우에도 선회프레임(2)내의 반경(R)내에 들어가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상기 중앙접힘식 도어(15)의 뒷도어(15a)와 앞도어(15b) 사이에는 힌지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도어유리(50·50)의 연결구성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유리(50·50)의 단면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시일용의 탄성체(51)를 끼워장착하고, 힌지(24')는 힌지플레이트(52·52)가 도어유리(50·50)에 볼트(53·5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2·52) 사이에는 피벗축(54)에 의해 피벗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플레이트(52·52)의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스테이(55·55)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한쪽의 스테이(55)에 스토퍼(56)를 고정하고, 다른 쪽의 스테이(55)를 상기 스토퍼(56)의 받침판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도어(15')를 여는 경우, 힌지(24')는 바깥방향으로 이동하여 뒷도어(15a')·앞도어(15b')는 안쪽방향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나, 도 21과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피벗축(54)이 도어유리(50·50)의 두께방향의 중심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어(15')를 개폐할 때마다 탄성체(51)가 큰 구부림과 신축을 반복하게 되어, 수명이 짧아져 있었다.
또는 종래의 힌지부분은 도 22와 같이, 탄성체(51)를 좌우로 분할하고 한쪽의 탄성체(51a)는 다른쪽의 탄성체(51b)에 당접시키고, 개폐시에도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 22의 구성에서는 탄성체(51)가 열화하거나 당접부에 쓰레기 등이 들어가면 간극이 생겨버리고, 이것은 비가 새는 등의 원인이 되었다.
또, 도 21의 구성·도 22의 구성에서 도어(15')를 전부 연 경우, 닫았을 때에는 안쪽에 위치하고 있던 힌지(24')가 바깥방향으로 크게 돌출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선회프레임(2)의 반경(R)으로부터도 돌출하고, 선회작업시에 상기 힌지(24')에 장해물이 닿아 손상되는 일이 있었다. 또, 도어(15')는 닫은 상태에서는 분할도어(15a'·15b')가 구부러지지 않는 상태가 되고, 한 장으로 구성한 도어와 같은 원호형상의 공간을 크게 줄여 실내공간이 작아졌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하의 힌지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서는 힌지(24)의 힌지플레이트(25)를 평면에서 보아 국자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선단에 피벗축(26)을 삽입하기 위한 보스부(25a)를 형성하고, 타단은 볼트(53·53...)에 의해 도어유리(50)내면의 단부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스부(25a)의 중심은 도어유리(50)의 두께중심선(01)의 연장 상에 위치시키고, 구부러질 때에 양 도어의 유리(50·50)끼리의 간격이 변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어유리(50·50)의 단부끼리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한 시일부재(27)로 연결하고 있고, 상기 시일부재(27)는 양도어유리(50·50)의 단부에 끼워 맞추는 부분과, 상기 힌지플레이트(25)와 반대측(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보스부(25a)를 우회하여 양도어유리(50·50)의 단부에 끼워맞추는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부분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부(24) 이외의 위치에 있어서는 시일부재(27)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선(0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힌지부의 측면외관은 도 9와 같으며, 이상과 같이 시일 및 힌지구성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여 구부릴 때에 시일부재(27)에 강한 장력이나 압축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구성이 되며, 시일부재(27)가 용이하게 열화하지 않고 수명이 길어진 것이다.
또, 도어유리(50·50)의 단부를 끼워넣는 부분의 시일부재(27)내에는 평면에서 보아 「コ」형상의 축(65)을 배치하여 보강하고, 조립시에 접착제없이 단지 끼워넣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끝나도록 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힌지플리에트(25)와 시일부재(27)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힌지플레이트(45)를 평면에서 보아 「コ」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45)의 막힌측의 외중앙에 보스부(45a)를 설치하고, 이들의 외표면을 시일부재(47)로 덮는 구성으로 하고, 힌지플레이트(45)의 개방측을 도어유리(50)에 삽입하고, 볼트(53·53)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보스부(45a)의 중심은 도어유리(50)의 두께중심선(01)의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단, 힌지플레이트(45)와 도어유리(5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고, 볼트(53)가 불필요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힌지플레이트(45)와 시일부재(47) 대신에 축을 넣은 시일부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프레임(60)에 시일부재(61)를 통해 도어유리(50)를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하고, 상기 도어프레임(60)으로부터 힌지플레이트(62)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전후의 도어(15a·15b)의 힌지플레이트(62)는 각각 「ヘ」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그 선단에 보스부(62a)를 구성하고, 상기 보스부(62a)를 피벗축(63)에 의해 피벗하고 있다. 상기 피벗축(63)의 중심은 도어유리(50)의 두께중심선(0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양 도어유리(50·50)의 단부사이에는 시일부재(64)를 끼워설치하고, 상기 시일부재(64)는 도어유리(50)를 부착하는 부분을 평면도단면에서 보아 「コ」형상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축(65)을 내장하여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 4 실시예에서는 도어프레임(60)으로부터 스테이(60a)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60a)와 도어유리(50)와 힌지플레이트(66)와 시일부재(67)를 볼트(69)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시일부재(67)는 힌지플레이트(66) 전체를 에워싸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힌지플레이트(66·66)에는 보스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66a)가 피벗축(63)에 의해 피벗된다. 상기 피벗축(63)의 중심은 도어유리(50)의 두께중심선(01)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술의 제 1 실시예로부터 제 4 실시예까지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중앙접힘 위치가 되는 힌지(24)의 회전중심과 도어유리(50)의 회전중심이 일치하고 있으므로, 도어(15)의 개폐시에 있어서 시일부재(27)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종래에서는 약 180도로부터 한 측으로 밖에 회동할 수 없었지만, 양측에 회동할 수 있게 되고, 회동각도범위가 크게 확보될 수 있다.
캐빈(8)의 루프(8a)의 측면단면(8b)은 도어유리(50)의 상단의 외면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종래, 도어(15)의 상단과 캐빈(8)의 위치관계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고, 측부단면(8b')과 도어유리(50)의 상단의 외면이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외관의 향상과 실내공간의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측부단면(8b')과 도어유리(50) 사이의 간극에는 시일부재(29')가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빗방울이 직접 시일부재(29')의 일부에 닿거나, 또는 그 상부에 고이기 때문에, 그 부분이 빨리 열화해 버린다. 또, 빗물이 부착한채 도어(15)를 개폐하기 때문에, 빗물이 실내측으로 떨어지거나 흘러드는 일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프레임(30)의 외측면에 돌출프레임(3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돌출프레임(31)을 수평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 돌출프레임(31)의 외단에 루프(8a)의 측부단면(8b)을 고정설치하고 있다. 또는, 루프(8a)를 수평방향으로 연장설치하여 캐빈프레임(30)에 직접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시일(27)을 연장하고, 또는 별도의 시일(29)을 도어(15)의 주위에 고착하고, 캐빈프레임(30) 또는 돌출프레임(31)의 내부측에 시일부재(29)가 닿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캐빈(8)의 측부단면(8b)이 상기 시일부재(29)(또는 도어유리(50))의 외면으로부터, L3의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측으로의 돌출부분에 의해 측부단면(8b)이 「차양」과 같이 되고, 빗물이 직접 시일부재(29)에 닿는 일이 없어지고, 시일부재(29)의 열화가 경감되며, 빗물의 침입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백호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일은 없으므로, 바퀴소리 등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8)의 측부유리(19A)나 후방부유리(19B)의 부착부에 있어서도, 측부단면(8b)이 측부유리(19A)나 후방부유리(19B)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시일부재(23)는 접착제로 캐빈프레임(30) 및 유리에 고정하고 있고, 시일부재(23)의 하부에는 둑역할을 하는 플레이트(71)가 캐빈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고, 시일부재(23)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접착제가 떨어지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프론트유리는 윗유리와 아래유리(35)로 분할하여 구성되고, 윗유리는 상방에 수납가능하게, 아래유리(35)는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여름 등의 더울 시기에 작업을 행할 때나, 하부 바로앞 작업위치가 보기 힘든 경우 등은 상기 프론트유리를 떼어, 통풍을 좋게 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떼어낸 아래유리(35)는 캐빈(8)내에 완전히 세우지 않으면, 쓰러지거나, 이동시에 차거나 하여 깨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아래유리(35)의 부착부의 하방에 수축공간을 형성하고, 아래유리(35)를 수축하여 고무벨트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벨트형상부재(36)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 유리(35)의 아래조각을 지지하고 부착하기 위한 캐빈의 앞커버(37)의 내측부는 아래유리(35)를 수납할 수 있는 넓이의 오목형상으로 구성하고, 앞커버(37)의 내면측에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고무 등의 완충재(39)를 배치하고, 수납시에 아래유리(35)가 직접 앞커버(37)에 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앞커버(37)내측의 양측에 아래유리(35)보다 폭넓은 벨트형상부재(36)의 양단을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아래유리(35)를 떼어내고, 도 18의 (a),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형상부재(36)를 바로 앞으로 끌어당겨 공간을 형성하고, 아래유리(35)를 떼어내고 그 상태로 바로 앞 하방으로 내려 상기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벨트형상부재(36)내에 수납되고, 수납후는 도 17, 도 1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벨트형상부재(36)가 그 산성력에 의해 아래유리(35)를 앞커버(37)측에 끌어당기고, 완충재(39)에 눌어 고정한다.
또, 아래유리(35)를 수납하여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나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형상으로 구성한 좌우의 가이드체(40·40)에 아래유리(35)를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체(40)를 앞커버(37)에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체(40)는 평면에서 보아 「コ」형상의 레일형상으로 구성되고, 좌우의 가이드체(40·40)을 아래유리(35)의 폭에 맞춘 위치에서 연결축(46)으로 연결하고, 바닥부 또는 앞커버(37)의 하부에 피벗하여 양 가이드체(40·40)가 일체적으로 전후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체(40)의 상부에는 잠금부재(41)가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재(41)를 앞커버(37)에 설치한 적절한 결합부에 결합고정하여 잠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잠금구성의 일실시예로서 가이드체(40)의 상부에 통체(42)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고정하고, 상기 통체(42)에 크랙형상의 잠금레버(43)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상기 잠금레버(43)의 선단에 훅부(43a)를 설치하고, 상기 훅부(43a)의 측방의 앞커버(37)에 결합체(44)를 설치하고, 잠금레버(43)를 회동함으로써 훅부(43a)를 결합체(44)에 결합시켜 잠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결합체(44)는 결합홀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잠금레버(43)은 용수철가압하여 잠금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캐빈은 후방 소선회형의 백호에 유용하며, 한정된 선회대내에서 최대의 거주공간과 조작성을 확보하면서, 도어 개방시에도 대략선회지름내에 포함되기 위한 구성에 적합하다.

Claims (12)

  1. 선회프레임의 작업기 부착부를 제외한 부분을 대략 원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이 주행장치의 대략 폭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한 후방 소선회형 백호의 캐빈에 있어서, 캐빈후방부를 평면에서 보아 대략 선회프레임 외주형상을 따른 곡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한쪽의 측면을 다각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작업기 부착부와 적어도 한쪽면의 탱크커버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대략 전체면 상을 캐빈으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3. 상기 선회프레임에 있어서의 작업기 부착부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의 대략 전체면 상을 캐빈으로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프레임 상의 일측 상에 배치하고, 상기 연료탱크 상에 걸쳐지도록 캐빈을 탑재하고, 상기 연료탱크의 측면이 캐빈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방부를 엔진룸의 후방부 외주단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측벽은 그 상부가 선회내측이 되도록 경사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루프의 외주단을 창유리의 외면보다 바깥측으로 돌출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으로 구성한 캐빈측면 중 서로 인접하는 두 면을 중앙접힘식 도어로 구성하고, 상기 중앙접힘식 도어의 상기 두 면은 서로 대략 같은 폭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9. 선회프레임의 작업기 부착부를 제외한 부분을 대략 원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이 주행장치의 대략 폭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한 후방 소선회형 백호의 캐빈에있어서, 상기 캐빈에 설치하는 도어를 중앙접힘식으로 하고, 중앙접힘부분에 배치하는 힌지의 피벗축 중심을 상기 힌지로 연결되는 양 도어의 유리두께 중심선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로 연결되는 양 도어의 유리단을 시일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시일부재는 힌지를 우회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11. 백호의 캐빈에 있어서, 캐빈프레임의 유리를 부착하는 부착가장자리부에는 홀 또는 보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12. 백호의 캐빈의 프론트 아래유리를 탈착가능하게 한 구성에 있어서, 캐빈내부에 프론트 아래유리의 폭보다 긴 벨트형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떼어낸 상기 프론트 아래유리를 캐빈내면과 벨트형상부재 사이에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의 캐빈.
KR1020027009305A 2000-01-19 2001-01-18 백호의 캐빈 KR100766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0444A JP4113925B2 (ja) 2000-01-19 2000-01-19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JP-P-2000-00010444 2000-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264A true KR20020076264A (ko) 2002-10-09
KR100766392B1 KR100766392B1 (ko) 2007-10-11

Family

ID=1853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305A KR100766392B1 (ko) 2000-01-19 2001-01-18 백호의 캐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69272B2 (ko)
EP (1) EP1254989B1 (ko)
JP (1) JP4113925B2 (ko)
KR (1) KR100766392B1 (ko)
CN (2) CN1184386C (ko)
AT (1) ATE360728T1 (ko)
DE (1) DE60128068T2 (ko)
WO (1) WO2001053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3164A1 (en) * 2000-09-29 2002-04-03 Komatsu Utility Europe S.p.A. A cab for earth-moving machines
GB2384819A (en) * 2002-02-02 2003-08-06 New Holland Vehicle door hinge with reinforcement
CL2003002178A1 (es) * 2003-10-27 2005-03-18 Maquinaria Y Tecnologia Bio Bi Maquina trineumatica tipo tractor que cuenta con un chasis formado por tres secciones, en que las dos primeras forman una base y la tercera seccion se proyecta por sobre la parte posterior de la segunda seccion, formadas por bastidores.
CN1898447B (zh) * 2004-06-07 2010-07-1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4625371B2 (ja) * 2004-06-07 2011-02-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257276B2 (ja) * 2004-08-24 2009-04-22 ヤンマー株式会社 バックホーローダーのキャノピー
GB2419117B (en) * 2004-10-14 2008-03-05 Jcb Compact Products Ltd Working machine
KR100693978B1 (ko) * 2004-11-19 2007-03-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선회 작업기
EP1845205A4 (en) * 2005-01-31 2013-01-02 Komatsu Mfg Co Ltd SERVICE VEHICLE
US7287325B2 (en) * 2005-05-10 2007-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interconnect structure or interconnect and via structures using post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JP4544121B2 (ja) * 2005-09-29 2010-09-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070145759A1 (en) * 2005-12-28 2007-06-28 Timberpro Inc. Mobile device for handling material
FR2899197B1 (fr) * 2006-04-04 2009-03-20 Jean Naud Habitacle de vehicule a ouverture adaptable
US7699328B2 (en) 2007-07-16 2010-04-20 Timberpro Inc. Retractable step for cab of mobile machine
WO2009064687A1 (en) * 2007-11-12 2009-05-22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JP4862811B2 (ja) * 2007-12-10 2012-01-25 横浜ゴム株式会社 化粧室ユニット
JP4769850B2 (ja) * 2008-08-28 2011-09-07 三菱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におけるリヤサイドパネルの開閉機構
US8016345B1 (en) * 2009-01-02 2011-09-13 Gehl Company Operator cab having inwardly folding access door
JP5418425B2 (ja) * 2010-07-01 2014-02-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ビンのドア
CN103189575B (zh) * 2010-11-29 2015-06-10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US9879471B2 (en) * 2015-09-30 2018-01-30 Woodfold Mfg., Inc. Reinforced folding door and hinge assembly
USD792190S1 (en) 2016-06-02 2017-07-18 Woodfold Mfg., Inc. Hinge knuckle for folding door assembly
CA3060559A1 (en) 2017-04-19 2018-10-25 Clark Equipment Company Loader cab
US11785900B2 (en) * 2019-09-04 2023-10-17 Timberpro, Inc. Forestry machine
US20230116011A1 (en) * 2021-10-12 2023-04-13 Caterpillar Inc. Secondar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with service ori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8429A (en) * 1945-03-27 1951-01-16 Mack Mfg Corp Horizontally divided door
GB1211815A (en) 1968-06-20 1970-11-11 Karl Schaeff K G Maschinenfabr Improvements in vehicles with rear sluable implements, for example excavators or rock drills or cranes
DE2438752C3 (de) 1974-08-13 1979-03-08 Paul Erich 6360 Friedberg Kettler Seitlich unterhalb der Frontscheibe und in Fahrtrichtung vor der Fahrerhaustür angeordnete Gerätescheibe für Fahrerhäuser, insbesondere von Schleppern, Traktoren und Baufahrzeugen
US3993346A (en) 1975-05-27 1976-11-23 Caterpillar Tractor Co. Rear wall structure for a vehicle cab
DE2854083C2 (de) 1978-12-14 1980-08-28 Pas Patent Administration & Service Gmbh, 8000 Muenchen Falttür, insbesondere für Duschkabinen
WO1980002676A1 (en) 1979-05-29 1980-12-11 R Garman Window clip retainer
US4518195A (en) 1984-01-25 1985-05-21 Deere & Company Window structure for tractor cab
IT1183758B (it) 1985-02-15 1987-10-22 Comind Spa Azienda Ages Cristallo fisso per autoveicoli e suo metodo di collegamento diretto e reversibile alla scocca dell'autoveicolo
JPH0240835A (ja) * 1988-07-29 1990-02-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蛍光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NO169858C (no) * 1989-03-02 1992-08-12 Roger Sten Snarli Innretning ved rulle- eller foldesjalusi
JPH03173U (ko) * 1989-05-23 1991-01-07
FR2663364B3 (fr) 1990-06-14 1992-10-09 Prudhomme Dominique Joint de fermeture destine a une porte pliante et porte pliante comportant un tel joint.
US5096255A (en) * 1990-10-15 1992-03-17 Ford Motor Company Fixed window mounting assembly
US5076635A (en) 1991-01-04 1991-12-31 Deere & Company Rear window for a tractor cab
US5125716A (en) * 1991-01-04 1992-06-30 Deere & Company Vehicle cab door construction
JP2864297B2 (ja) * 1991-04-05 1999-03-03 日立建機株式会社 移動式建設機械の運転室
JPH0612556U (ja) * 1992-07-21 1994-02-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運転室
US5362118A (en) * 1993-02-17 1994-11-08 Caterpillar Inc. Window assembly for cab of a vehicle
JP3000173U (ja) * 1994-01-14 1994-08-02 共和産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JP2930853B2 (ja) 1994-02-09 1999-08-09 株式会社クボタ 小型バックホウの運転部
JP2977729B2 (ja) * 1994-11-16 1999-11-1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のキャブ構造
JP3588858B2 (ja) * 1995-04-17 2004-1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キャブの前窓構造
JP3572719B2 (ja) 1995-05-16 2004-10-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作業機
JPH093974A (ja) 1995-06-26 1997-01-07 Kubota Corp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構造
US5702779A (en) * 1995-07-17 1997-12-30 Webasto Sunroofs Inc Plastic panel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JPH09328780A (ja) * 1996-06-10 1997-12-22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建設機械のキャノピー構造
US6170588B1 (en) * 1997-06-03 2001-01-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evolving construction machine
JPH11100864A (ja) * 1997-09-29 1999-04-13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3714785B2 (ja) * 1998-01-09 2005-11-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901954B1 (ja) * 1998-02-17 1999-06-07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JP3646505B2 (ja) 1998-03-13 2005-05-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空調装置
JPH11254959A (ja) * 1998-03-16 1999-09-21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窓枠構造
JP3304102B2 (ja) * 1998-05-26 2002-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JP3944562B2 (ja) 1998-09-04 2007-07-11 ヤンマー株式会社 超小旋回作業機
JP2000096623A (ja) 1998-09-24 2000-04-04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US6149228A (en) * 1998-12-09 2000-11-21 Deere & Company Modular operator enclosure
EP1081294B1 (en) * 1999-09-01 2011-12-14 Kubota Corporation Backhoe
US6247746B1 (en) * 1999-12-02 2001-06-19 Caterpillar Inc. Door assembly for a cab of an agricultural tractor
US6378172B1 (en) * 2000-08-01 2002-04-30 Fabri-Craft, Inc. Airplane container door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4989A4 (en) 2003-07-09
DE60128068T2 (de) 2007-12-27
EP1254989A1 (en) 2002-11-06
CN1184386C (zh) 2005-01-12
CN100398755C (zh) 2008-07-02
DE60128068D1 (de) 2007-06-06
KR100766392B1 (ko) 2007-10-11
JP4113925B2 (ja) 2008-07-09
WO2001053613A1 (fr) 2001-07-26
ATE360728T1 (de) 2007-05-15
JP2001200552A (ja) 2001-07-27
CN1401039A (zh) 2003-03-05
US6669272B2 (en) 2003-12-30
EP1254989B1 (en) 2007-04-25
CN1619067A (zh) 2005-05-25
US20030047965A1 (en) 200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392B1 (ko) 백호의 캐빈
US6502896B1 (en) Backhoe
JP2001064997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
JP4783922B2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JPH11100864A (ja)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3148637B2 (ja) 建設作業機における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938782B2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3626131B2 (ja) 小型旋回作業機のキャビン
JP2000096623A (ja) 旋回作業機のドア構造
JP2591077Y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3652226B2 (ja) 旋回作業機
KR100383146B1 (ko) 작업차
JPH10168941A (ja) 運転室付き作業機
JP3650298B2 (ja) 作業機のキャビン構造
JP3679277B2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2552519Y2 (ja) 操作レバーの防水機構
JP2533975Y2 (ja) ガードドアの開放係止装置
JPH08218427A (ja) バックホウ
JP3648418B2 (ja) バックホー
JPH08302740A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構造
JPH08302739A (ja)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のシール構造
JP2000273907A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構造
JPH11269926A (ja) 旋回作業機
JP2001303615A (ja) バックホーの旋回台
JPH0672443B2 (ja) 全旋回型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